KR20070035616A - 모듈식 전기 커넥터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모듈식 전기 커넥터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616A
KR20070035616A KR1020077005120A KR20077005120A KR20070035616A KR 20070035616 A KR20070035616 A KR 20070035616A KR 1020077005120 A KR1020077005120 A KR 1020077005120A KR 20077005120 A KR20077005120 A KR 20077005120A KR 20070035616 A KR20070035616 A KR 20070035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ductor
electrical
cable
bus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엠. 캠벨
마크 에이. 호이징턴
브라이언 씨. 인버그
마크 디. 매티스
찰스 미첼
월터 알. 로만코
리차드 디. 트위그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77005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5616A/ko
Publication of KR20070035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 H01R4/42Clamping area to one side of screw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내부에 공동을 갖는 전도체를 포함한다. 공동은 케이블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클램핑 부재는 케이블의 단부와 전기적 접속을 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1 전기 버스부는 전도체의 제1 측에, 제2 전기 버스부는 전도체의 제2 측에 있다.
전기 커넥터, 공동, 전도체, 클램핑 부재, 전기 버스부

Description

모듈식 전기 커넥터 및 사용 방법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USING}
본 발명은 케이블 컨덕터들을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케이블 전도체 사이에 전기 접속을 형성하도록 유사한 구성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와 정합될 수도 있는 모듈식 전기 커넥터와, 상기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 케이블은 도처에 존재하며, 전력을 광대한 전력망 또는 네트워크를 거쳐 분배하기 위해 사용되며, 발전소로부터 전력 소비자에게 전기를 전송한다. 전력 케이블은 전도성 코어(통상 구리 또는 알루미늄)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적이며, 한 층 이상의 절연 재료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몇몇 전력 케이블은 복수의 전도성 코어를 포함한다. 전력 케이블은 고전압(약 50,000 볼트 이상), 중간 전압(약 1,000볼트에서 약 50,000 볼트 사이) 또는 저전압(약 1,000 볼트 미만)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력 케이블이 전력망을 가로질러 전력의 수요자에게 연결되기 때문에, 전기가 상기 전력망의 부가적인 분기로 분배될 수도 있도록 케이블 내에 접합부(splice)나 연결부(junction)를 주기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종종 필요하거나 바람 직하다. 분기는 상기 전력망이 개인의 가정, 사업장, 사무실 등에 도달할 때까지 더 분배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전력을 일군의 몇몇 빌딩에 공급하는 단일 전력 케이블은 각각의 빌딩에 분기 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접합부"나 "연결부"라는 용어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되며, 진입 케이블이 적어도 하나의 진출 케이블에 접속되는 전력 분배 시스템의 일부를 각각의 경우에 지칭한다.
케이블이 접속되는 각각의 지점에서, 케이블에 소정 형태의 분기 커넥터나 접합부, 또는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케이블의 분기는 소정의 형태와 고정된 수의 분기를 갖는 미리 형성된 분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통상 이루어져왔다.
분기를 형성하기 위해 전력 케이블을 접합하기 위한 현재의 제품은 단점을 갖는다. 예컨대, 소정의 고정된 수의 접속 포트를 갖는 접합 제품(본원에서 종종 "분기 커넥터"라고도 언급됨)을 구매해야만 했었다. 이것은 최종 사용자가 각각의 접합부 위치에서의 장래의 접속 요구조건을 정확히 예상한 후, 예상된 장래의 요구에 맞추어 분기 커넥터를 구매할 것을 요구한다. 즉, 예상된 장래의 요구가 네 개의 전기 서비스를 갖는 것이라면, 진입 공급 케이블과 네 개의 진출 서비스 케이블을 허용하도록 다섯-포트 접합부가 초기에 설치되어야만 한다. 또한, 가능한 장래의 확장을 수용하도록 "안전 마진"을 제공하기 위해 최종 사용자는 현재의 예상 요구를 초과하는 부가적인 접속 포트를 갖는 접합부를 일반적으로 설치할 것이다. 따라서, 예상된 요구가 장래에 설치될 오직 네 개의 진출 서비스 케이블일 때, 진입 공급 케이블에 여섯-포트 접합부가 설치된다. 이러한 초과 조립은 전력 분배 시스템에 설치된 사용되지 않은 포트의 형태로, 낭비된 자본 지출로 이어진다. 또한, 전력 분배 시스템의 장래 확장이 원래의 예상된 요구와 초기에 설치되었을 수도 있는 임의의 추가 포트를 최종적으로 초과하면, 부가적인 접속 포트를 갖는 완전히 새로운 접합부가 설치되어야만 한다. 새로운 접합부의 설치는 원래의 접합부로부터 연장되는 모든 현존하는 서비스 케이블의 서비스 접속 해제 및 중단을 요구하며, 이어서 새로운 더 큰 접합부 제품으로의 재접속을 요구한다. 물론 새로운 접합부 제품은 원래의 접합부 제품과 같이, 통상 사용되지 않은 포트와 관련된 비용 낭비를 가질 것이다.
현재의 접합부 제품 구성이 갖는 추가적인 문제점은 요구되는 접속의 개수의 견지에서 모든 가능한 접합부 요구 조건에 대비하기 위해 많은 수의 제품이 제조되고 재고로 있어야 하는 것이다. 예컨대, 전형적인 접합부 제품군은 다섯 개의 상이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은 상이한 개수의 접속 포트(즉, 두 포트, 세 포트, 네 포트, 다섯 포트, 여섯 포트)를 갖는다. 몇몇 제품군은 열 개만큼의 상이한 포트 구성을 필요로 한다. 오직 접속 포트의 개수의 견지에서, 많은 수의 제품 변화는 공급자에게 상당히 높은 제조 비용과 최종 사용자에게 높은 재고 비용을 가져온다.
또한, 상이한 전력 분배 용도에 요구되는 많은 상이한 형태의 케이블 구조, 구성 및 크기로 인해 접합부 제품 구성의 수가 증가된다. 예컨대, 사업장은 1,000 MCM 전력 케이블을 갖는 전력 서비스를 요구할 수도 있고, 가정에서는 4/0 AWG 전력 케이블을 갖는 서비스를 요구할 수도 있으며, 가로등은 #12 AWG 케이블을 갖는 서비스를 요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케이블들은 상이한 절연 구성 형태 및 두께를 갖는 연선 또는 중실의, 알루미늄 또는 구리일 수 있다.
또한, 포트 구성의 개수와 형태에 기인한 접합부 제품군의 복잡성은 최종 사용자에 대해 생산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특히, 접합부 제품군의 복잡성은 현재의 설치에 대한 정확한 접합부 제품 구성을 결정하고(즉, 설치 위치 요구사항을 검사하고 요구사항에 가장 부합하는 제품을 찾도록 제품 공모를 검토하고) 정확한 제품을 실제적으로 획득하는(즉, 트럭으로의 이동 및 복귀, 또는 도매상으로의 이동 및 정확한 제품이 트럭에 적재되지 않은 경우 복귀시키는)에 설치자에 의한 추가적인 시간 소모를 초래한다.
새로운 단지와 건물들(따라서 새로운 케이블 분기들)이 전력망에 계속해서 추가되고 있으며, 현존하는 네트워크는 계속 변경되고 있다. 따라서, 전력 분배 시스템의 용이한 확대를 허용하고 진입 공급 케이블로부터의 상이한 개수의 진출 서비스 케이블 분기에 대해 즉각적으로 적용가능한 분기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또한, 많은 상이한 형태 및 크기의 케이블이 전력 송전 산업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다양한 커넥터의 많은 재고를 조립하고 유지하는데 관련된 제조, 처리 및 재고 비용을 감소시키도록 매우 다양한 케이블 형태에 대한 접속에 대해 용이하게 적용가능한 분기 커넥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계획 공정을 간소화하고 작업장에서 도매상으로의 바람직하지 못한 이동을 제거함으로써 설치자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확장된 접속 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이 현존하는 서비스 접속을 붕괴함이 없이 확장 포트를 부가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넥터가 가능한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상호접속될 수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발명은 케이블 컨덕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는 내부에 공동을 갖는 전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공동은 제1 케이블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제1 클램핑 부재는 제1 케이블의 단부와 전기 접속을 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1 전기 버스부는 상기 전도체의 제1 측에 있고, 제2 전기 버스부는 상기 전도체의 제2 측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제1 케이블 컨덕터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1 커넥터 모듈과, 제2 케이블 컨덕터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2 커넥터 모듈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은 모듈의 제1 측에 제1 전도성 결합 부재와 모듈의 제2 측에 제2 전도성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컨덕터 모듈의 제1 전도성 결합 부재는 제2 커넥터 모듈의 제2 전도성 결합 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에서, 모듈식 전기 커넥터는 복수의 클램핑 부재를 갖는 전도체를 포함한다. 각각의 복수의 클램핑 부재는 대응하는 케이블 컨덕터와 전기적 접속을 하도록 구성된다. 제1 전기 버스부는 전도체의 제1 측에 있고, 제2 전기 버스부는 전도체의 제2 측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에서, 모듈식 전기 커넥터는 케이블 컨덕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부재를 갖는 전도체를 포함한다. 커넥터 수단은 유사한 커넥터 수단을 갖는 다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에 상기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전도체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에서, 케이블 컨덕터를 분기하기 위한 방법은 제1 케이블 컨덕터를 제1 커넥터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와, 제2 케이블 컨덕터를 제2 커넥터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 모듈은 제1 모듈의 제1 측에 제1 전기 버스부와 제1 모듈의 제2 측에 제2 전기 버스부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 모듈은 제2 모듈의 제1 측에 제1 전기 버스부와 제2 모듈의 제2 측에 제2 전기 버스부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 모듈의 제1 전기 버스부는 제2 커넥터 모듈의 제2 전기 버스부와 결합된다.
도1 내지 도4는 절연 하우징이 없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은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2는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우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3은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좌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4는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5 내지 도8은 절연 하우징을 구비하는 도1 내지 도4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5는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6은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우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7은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좌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8은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9 내지 도11은 절연 하우징이 없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합된 도1 내지 도4의 두 개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9는 결합된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10은 결합된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11은 결합된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12 내지 도14는 절연 하우징을 구비하는 도9 내지 도11의 두 개의 결합된 모듈식 전기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12는 결합된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13은 결합된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14는 결합된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15는 이중 케이블 모듈식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는, 절연 하우징이 없는 본 발명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의 우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16은 절연 하우징을 구비하는, 도15의 이중 케이블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우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17 내지 도19는 절연 하우징이 없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7은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우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18은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좌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19는 숨은 소자를 도시하는,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20 내지 도21은 절연 하우징을 구비하는, 도17 내지 도19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20은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우측 전방측 사시도이다.
도21은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좌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22 내지 도23은 절연 하우징이 없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합된 도17 내지 도19의 두 개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22는 결합된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우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23은 결합된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좌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24 내지 도25는 절연 하우징을 갖는 도22 내지 도23의 두 개의 결합된 모듈식 전기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24는 결합된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우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25는 결합된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좌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26 내지 도27은 절연 하우징이 없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26은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합된 도26의 두 개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좌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28 내지 도29는 절연 하우징이 없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28은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2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합된 도28의 세 개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좌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30 내지 도31은 절연 하우징이 없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합된 도30의 두 개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좌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32 내지 도3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32는 절연 하우징이 없는,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우측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33은 절연 하우징을 구비하는, 도32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우측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합된 도33의 두 개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우측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35 내지 도3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35는 절연 하우징이 없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합되기 시작하는 두 개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36은 모듈식 전기 커넥터 중 하나에 절연 하우징을 구비하는, 도35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결합된 전기 버스의 확대도이다.
도37은 완전히 결합된 구성인, 도35 내지 도36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38은 절연 하우징이 없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며, 이중 케이블 모듈식 전기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39는 절연 하우징이 없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버스를 갖는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또다른 실시예의 부분 정면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된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도 있는 특정의 실시예가 도시의 방식으로 도시된다.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경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간주하여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복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다.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예시적인 각각의 실시예는 케이블을 수납하기 위한 전도체와, 케이블을 상기 전도체에 고정하고 케이블과의 전기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클램핑 부재와, 분기를 형성하도록 두 개 이상의 모듈식 커넥 터를 함께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 버스를 포함한다. 전도체, 클램핑 부재 및 전기 버스는 알루미늄, 황동, 구리 또는 다른 전도성 재료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며, 서로 전기적 통신 상태에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도체, 클램핑 부재 및 전기 버스는 모듈식 전기 커넥터를 생성하도록 조립되는 분리 구성품으로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도체 및 전기 버스는 단일 구조로서 형성된다. 절연 외측 하우징은 전도체, 클램핑 부재 및 전기 버스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수납한다. 선택적으로, 외측 하우징은 어떠한 전기 접속 지점으로도 물이 침투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습기 시일을 포함한다.
도1 내지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100)의 제1 예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 내지 도4에서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듈식 전기 커넥터(100)는 전도체(102), 클램핑 부재(104), 및 전기 버스(106)를 포함한다. 전도체(102)는 상기 전도체(102)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공동(108)을 포함한다. 공동(108)은 전도체(102)를 완전히 통과하여 연장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대체적인 실시예에서는, 공동(108)이 클램핑 부재(104)와 케이블 컨덕터 단부(미도시됨)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한, 공동(108)은 전도체(102)를 완전히 통과하여 연장될 필요가 없다.
클램핑 부재(104)는 공동(108) 내에 위치설정되며, 고정식 턱부(110)와 이동식 턱부(11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턱부(110, 112)는 전도체(102)로부터 분리식으로 제조되며 이후에 전도체(102)와 조립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식 턱부(110)는 전도체(102)와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식 턱부(112)는 공동(108)의 종방향 축을 향해 횡방향으로 이동하며, 전도체(102)에서 나사식 보어(116)를 통해 연장하는 나사식 볼트(114)에 의해 작동된다. 볼트(114)와 이동식 턱부(112)는 볼트(114)의 확대 헤드(118)를 이동식 턱부(112)의 T형 슬롯(120) 내로 활주식으로 삽입함에 의해 작동식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볼트(114)는 이동식 턱부(112)에 대해 볼트의 종방향 축을 따라서 회전할 수도 있다. 볼트(114)가 공동 내로 선회되고 전진됨에 따라, 클램핑 부재(104)의 이동식 턱부(112)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동식 턱부(112)와 공동(108)의 대향된 내측 표면(122)의 고정된 턱부(110) 사이에 케이블 컨덕터(미도시됨)를 클램핑한다. 마찬가지로, 볼트(114)가 공동(108)으로부터 선회되고 후퇴된 때, 이동식 턱부(112)는 케이블 컨덕터로부터 헐거워진다. 일 실시예에서, 볼트(114)는 볼트(114)와 일체식이거나 볼트(114)에 고정된 분리 부분인 토크 제한 헤드(124, 도1에만 도시됨)를 가질 수도 있다. 이어서 토크 제한 헤드(124)는 과도한 토크가 가해졌을 때 전단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도성 케이블을 공동(108) 내에 클램핑하기 위해 볼트(114)에 의해 가해진 압축력은 정확하게 제어되고 제한된다.
클램핑 부재(104)의 고정식 턱부(110) 및 이동식 턱부(112)는 케이블 컨덕터와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을 설치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구성일 수도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클램핑 부재(104)의 턱부(110, 112)는 클램핑 부재(104)가 케이블 컨덕터에 조여짐에 따라 케이블의 전도성 코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하고 케이블 컨덕터의 절연 커버링을 관통하도록 하기 위해 턱부(110, 112)의 하나 혹은 모두에 치형(teeth, 130)이 제공되는 절연 관통 커넥터(IPC; Insulation Piercing Connector)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블 컨덕터가 절연을 벗겨내고 노출된 컨덕터가 공동 내로 삽입될 때, 클램핑 부재(104)와 케이블 컨덕터 사이에 충분한 기계적 그리고 전기적 접속을 설치하기 위해 치형(130)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양호하게는, 공동(108)과 클램핑 부재(104)는 전기 커넥터의 크기의 범위에 대해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을 하도록 그리고 수납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이러한 크기는 #14 AWG(대략 2.5mm2)부터 1000kcmil(대략 500mm2)까지의 전원 케이블의 전형적인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양호하게는, 케이블은 #6 AWG(대략 16 mm2)부터 500kcmil(대략 240mm2)까지의 범위로 크기가 정해진다.
턱부(110, 112)의 치형(130)은 성형, 기계가공, 압출 성형,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치형(130)의 형상, 크기, 조성, 숫자 및 방향은 턱부(110, 112)에 의해 클램핑된 케이블의 구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턱부(110, 112)는 개별적인 치형 보다는 리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1 내지 도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버스(106)는 전도체(102)의 배면측(140)에 인접하여 위치설정되며, 전도체(102)의 제1 측방향 측(142)으로부터 공동의 배면측(140)을 가로질러 전도체(102)의 제2 측방향 측(146)까지 연장된다. 또한, 전기 버스(106)는 케이블 멈춤부로서 기능할 수도 있으며, 케이블 단부의 공동(108) 내로의 과삽입을 방지하고 케이블 단부의 적절한 위치설정을 돕는다. 전 기 버스(106)는 전도체(102)로부터 연장하는 클램핑부(148)에 의해 전도체(102)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위치된 관형 부재로서 도시된다.
전기 버스(106)는 정합하는 모듈식 전기 커넥터(100)의 전기 버스(이하에서 도9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됨)와 전기적 접속을 하도록 구성된다. 도1 내지 도8의 실시예에서, 전기 버스(106)의 각각의 단부(150)는 전도성 버스 핀(154)을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리셉터클(152)을 갖는다.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버스 핀(154)은 전기 버스(106)의 오직 하나의 리셉터클(152)에 삽입되어 도시되는 반면, 다른 리셉터클(152)은 비어있게 된다. 버스 핀(154)은 버스 핀(154)의 리셉터클(152)로의 삽입을 제한하기 위한 중심선을 따라 확대된 주연 리지(156)를 포함한다. 버스 핀(154)의 단부(160)는 탄성적으로 편의 가능한 아암 부재(164)가 버스 핀(154)의 단부들(160)에 제공되도록 버스 핀(154)의 종방향 축을 따라 하나 이상의 슬롯(162)을 구비한다. 도1 내지 도8에서, 버스 핀(154)은 버스 핀(154)의 각 단부(160)에 네 개의 탄성적으로 편의 가능한 아암 부재(164)를 형성하는 두 개의 직각으로 정렬된 슬롯(162)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아암 부재(164)는 탄성 아암 부재(164)와 리셉터클(152) 사이에 가압력이 생성되도록, 버스 핀(154)이 전기 버스 리셉터클(152) 내로 삽입됨에 따라 함께 가볍게 가압될 수도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버스 핀(154)의 단부(160)는 버스 핀(154)이 리셉터클(152) 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확대된 주연 리지 (166)가 리셉터클(152)의 대응하는 리세스(168)로 잠금되도록, 확대된 주연 리지(166)와 대응하는 리세스(168)를 갖는 리셉터클(152)을 구비한다. 버 스 핀(154)과 정합하는 리셉터클(152)의 형상은 버스 핀(154)과 전기 버스(106)가 결합 후에 분리 불가능하도록 또는 다르게는 버스 핀(154)과 전기 버스(106)가 추후에 커넥터(100)에 손상을 주지않고 분리될 수도 있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버스 핀(154)과 전기 버스(106)의 정합하는 리셉터클(152)의 형상을 선택함에 있어, 모듈간 접속에서 낮은 전기적 접촉 저항을 얻기 위한 희망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바람직한 접촉 저항을 발생시키도록 요구되는 실질적인 접속력은 많은 변수에 의존하는데, 접속되는 케이블의 정격 암페어 수와, 이상 전류, 낙뢰(lightning strike) 및 다른 초과 전압을 극복하기 위한 이 정격 암페어 수 이상의 바람직한 안전 계수와, 접촉하는 금속의 비저항과, 접촉 금속의 미소 경도(micro-hardness)와, 기저 금속 위의 도금의 존재 혹은 부존재와, 접촉 저항에 의해 발생된 열을 멀리 전도하기 위한 접속의 능력과, 산화물, 황산염, 그리스(grease), 및 다른 오염물을 포함하는 접촉면 상의 불순물의 양과 형태와 같은 인자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버스(106)와 전기 핀(154)의 형태는 역전될 수도 있다. 전기 버스(106)는 단부에 탄성적으로 편의 가능한 아암 부재를 갖는 핀과 유사한 부재로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버스 핀(154)은 전기 버스(106)의 편의 가능한 아암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리셉터클과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또다른 대체 실시예에서, 버스의 일측이 수형 커넥터 소자를 형성하는 반면 버스의 다른 측은 암형 커넥터 소자를 형성하도록 전기 버스(106)는 형성될 수도 있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에서뿐만 아 니라)에서, 전도체(102)는 일체형 소자로 도시된다. 그러나, 전도체(102)는 다르게는 복수의 부품(예컨대, 측벽, 바닥벽 및 상부벽)으로부터 조립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부재(104)와 전기 버스(106)는 후에 전도체(102)로 조립되는 분리식으로 형성된 소자로 도시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클램핑 부재(104) 전체 또는 일부와 전기 버스(106)는 전도체(102)와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클램핑 부재(104)의 하부(고정) 턱부(110)는 전도체(102)와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전기 버스(106)은 클램핑부(148)에 의해 전도체에 접속되기보다는 전도체(102)와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모듈식 전기 커넥터(100)는 커넥터의 전도성 소자를 수납하는 외측 절연 하우징(170)을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지금부터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면, 도1 내지 도4의 전도체(102), 클램핑 부재(104) 및 전기 버스(106)가 절연 외측 하우징(170) 내에 수납되어 도시된다. 외측 절연 하우징(170)은 전도체(102)를 수납하고 전도체(102) 외부를 둘러싸는 본체부(172)를 포함한다. 절연 하우징(170)의 배면벽부(174)는 버스 핀 수납 리셉터클(152)을 제외하고는 전기 버스(106)를 둘러싸며, 전도체(102)의 배면 측(140)을 차폐한다. 전면벽부(176)는 전도체(102)의 전방측(178)을 차폐하고 케이블 컨덕터가 공동(108) 내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공동(108)의 입구에 개구(180)를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개구(180)는 케이블 컨덕터 둘레에 습기 시일을 제공하도록 공동(108)의 입구에 실링 부재(182)를 구비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실링 부재(182)는 실링 부재를 관통하여 삽입된 케이블 컨덕터 둘레에 단정하고 탄성 적으로 끼워 맞춰진다. 실링 부재(182)는 임의의 적합한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예시적인 적합한 재료는 화학적으로 가교된(cross-linked) 엘라스토머와, 물리적으로 가교된 엘라스토머와, 이들의 조합 및 혼합물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재료들은 실리콘과, 플루오르 엘라스토머와,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의 삼원 공중합체(terpolymer)와, 고무와, 폴리 우레탄과 이들의 조합 및 혼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재료는 실링 부재(182)에 대한 바람직한 물리적 실링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충전재, 강화제, 가교제, 항상화제 및 다른 저분자량 구성물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연 젤 또는 그리스가 습기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공동(108) 내에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5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하우징(170)의 본체부(172)와, 배면벽부(174)와, 전면벽부(176)를 결합시키도록 접착제와 같은 다른 적합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지만, 절연 하우징(170)의 배면벽부(174)와 전면벽부(176)는 절연 하우징(170)의 본체부(172)에 스크류에 의해 접속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절연 하우징(170)의 전체 또는 일부는 전도체(102), 클램핑 부재(104) 및 전기 버스(106) 상에 단일편으로서 오버몰드될 수도 있다.
외측 절연 하우징(170)은 인접하는 모듈식 전기 커넥터(100)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래칭 수단(186)을 선택적으로 구비한다. 도5 내지 도8에서, 래칭 수단(186)은 하우징(17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미늘 형성 단부(190)를 갖는 U형 탄성 아암(188)으로, 그리고 하우징(170)의 대향 측으로 연장하는 슬롯(190)으로 도시된다. 슬롯(192)은 인접하는 모듈식 전기 커넥터(100)들이 서로 고정되도록, 인접 모듈 전기 커넥터(100)의 U형 탄성 아암의 미늘 형성 단부(190)를 수납하고 결합하도록 위치설정되고 구성된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세트들이 제공될 수도 있지만, 두 세트의 U형 탄성 아암(188)과 슬롯(192)이 도시된다. 래칭 수단(186)은 인접 모듈식 커넥터(100)가 래칭 이후에 분리할 수 없도록, 또는 다르게는 모듈식 커넥터(100)가 커넥터에 손상을 주지 않고 후에 분리될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래칭 수단(186)은 다른 공지의 래치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지금부터 도9 내지 도14를 참조하면, 두 개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100a, 100b)는 결합식 구성으로 도시된다. 각각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100a, 100b)는 클램핑 부재(104)의 이동식 및 고정식 턱부(110, 112)가 치형이 없이 도시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1 내지 도8에 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9 내지 도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모듈식 전기 커넥터(100a, 100b)의 전도체(102a, 102b)는 제1 버스 핀(154a)에 의해 기계적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술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모듈식 전기 커넥터(100a, 100b)의 전기 버스(106a, 106b)의 인접 리셉터클(152a, 152b)들 사이에서 제1 버스 핀(154a)은 각각 연장되고 결합된다. 제2 버스 핀(154b)은 제3 모듈식 전기 커넥터(미도시됨)에 대한 접속을 위한 준비에서, 제2 모듈식 커넥터(100b)의 제2 전기 버스 리셉터클(152c)로 삽입되어 도시된다. 오직 두 개의 모듈식 커넥터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라면, 제2 버스 핀(154b)은 존재할 필요가 없다.
도12 내지 도14를 참조하면, 결합된 제1 및 제2 모듈식 커넥터(100a, 100b) 는 각각의 절연 외측 하우징(170a, 170b)과 함께 도시된다. 절연 외측 하우징(170a, 170b)은 제1 버스 핀(154a)의 어느 부분도 노출되지 않도록, 제1 버스 핀(154a)의 전체를 접합식으로 차폐한다. 일 실시예에서, 실링 부재(182)에 대해 전술한 탄성 실링 재료, 또는 절연 젤 또는 그리스는 습기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 버스(106)의 결합 소자 둘레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버스 핀(154a)에 의한 기계적 접속에 부가하여, 제1 및 제2 모듈식 커넥터(100a, 100b)는 래칭 수단(186)에 의해 기계적으로 접합된다. 도13 및 도14에서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절연 하우징(170a, 170b)의 후방벽부(174a, 174b)와 전면벽부(176a, 176b)는 래칭 수단의 U형 탄성 아암(188)에 접근하도록 개구(194)를 구비하여서, 탄성 아암(188)이 공구를 대응 개구(194)로 삽입함에 의해 정합 슬롯(192)으로부터 결합해제될 수도 있다.
케이블 컨덕터를 분기하는 것은 적어도 세 개의 케이블(진입하는 것 한 개와 적어도 두 개의 진출하는 것)을 필요로 하므로, 도1 내지 도14에 도시된 실시예의 세 개 이상의 모듈식 커넥터(100)는 케이블을 분기하도록 통상 사용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도체는 두 개 이상의 케이블 컨덕터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15에서, 전도체(202)를 갖는 모듈식 전기 커넥터(200)는 두 개의 인접 공동(208)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각각의 공동(208)은 각각의 전도성 케이블 단부를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다르게는, 전도체(202)는 단일 확대 공동을 가질 수도 있으며, 여기서 공동은 하나 이상의 컨덕터 케이블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클램핑 부재(204)가 각각의 케이블 컨덕터를 위해 제공되며, 전도 체(202) 상에 단일 전기 버스(206)가 제공된다. 클램핑 부재(204)와 전기 버스(206)는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16에서, 도15의 전도체(202)와, 클램핑 부재(204)와, 전기 버스(206)는 절연 하우징(270) 내에 수납되어 도시된다. 절연 하우징(270)은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각각의 케이블 컨덕터 둘레에 습기 시일을 제공하도록 각각의 공동(208)의 입구에 실링 부재(282)를 양호하게는 포함한다. 외측 하우징(270)은 인접하는 모듈식 전기 커넥터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래칭 수단(286)을 비슷하게 구비한다. 도15 및 도16의 이중 케이블 모듈식 커넥터(200)는 도9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모듈식 커넥터에 접속가능하다. 도15 및 도16에 도시된 이중 모듈식 커넥터(200)는 유사한 이중 모듈 커넥터에 접속될 수도 있고, 또는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단일 케이블 모듈식 커넥터(100)에 접속될 수도 있다.
도17 내지 도2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300)의 또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7 내지 도19에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듈식 전기 커넥터(300)는 전도체(302)와, 클램핑 부재(304)와, 적어도 하나의 전기 버스(306)를 포함한다. 전도체(302)는 상부벽(340)과, 바닥벽(342)과, 두 개의 측벽(344)으로부터 조립된다. 상부벽(340)과, 바닥벽(342)과, 측벽(344)은 전도체(320)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공동(308)을 형성한다.
클램핑 부재(304)는 공동(308) 내에 위치설정되며, 고정식 턱부(310)와 이동식 턱부(31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식 턱부(310)는 바닥벽(342)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이동식 턱부(312)는 공동(308)의 종방향 축까지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U형 부재이고, 전도체(302)의 상부벽(340)에서 나사식 보어(316)를 통해 연장하는 나사식 볼트(314)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볼트(314)와 이동식 턱부(312)는 회전가능한 조인트(318)에서 작동식으로 접합되어 상기 볼트(314)가 이동식 턱부(312)에 대해 종방향 축을 따라 회전할 수도 있다. 볼트(314)가 공동(308) 내로 선회되고 전진함에 따라, 클램핑 부재(304)의 이동식 턱부(312)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동식 턱부(312)와 고정식 턱부(310) 사이에서 공동(308)의 대향 내측면(322) 상에 케이블 컨덕터(미도시됨)를 클램핑한다. 유사하게, 볼트(314)가 공동(308)으로부터 선회되고 후퇴될 때, 이동식 턱부(312)는 케이블 컨덕터로부터 헐거워진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314)는 볼트에 의해 가해진 힘을 정확하게 제한하기 위해 토크 제한 헤드(미도시됨)를 가질 수도 있다.
클램핑 부재(304)의 고정식 및 이동식 턱부(310, 312)는 케이블 컨덕터와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구성일 수도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클램핑 부재(304)의 턱부(310, 312)는 절연 관통 커넥터(IPC)를 형성한다. 도17 내지 도19에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식 턱부(310)는 리지(329)와 함께 구비되고 이동식 턱부(312)는 치형(330)과 함께 구비되어, 클램핑 부재(304)가 케이블 컨덕터 상에 조임에 따라 케이블 컨덕터의 절연 커버를 관통하고 케이블의 전도성 코어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리지(329)와 치형(330)은 성형, 기계가공, 압출 성형,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리지(329)와 치형(330)의 형상, 크기 및 방향은 클램핑될 케이블의 구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블 컨덕터가 절연을 벗겨내고 노출된 컨덕터가 공동 내로 삽입될 때, 날카롭게 된 리지(329)와 치형(330)이 클램핑 부재(304)와 케이블 컨덕터 사이에 충분한 기계적 그리고 전기적 접속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네 개보다 많거나 작은 전기 버스가 제공될 수도 있지만, 도17 내지 도19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분리 전기 버스(306)가 전도체(302)에 제공된다. 각각의 전기 버스(306)는 전도체(302)의 제1 측에 제1 전기 버스부(346)과 전도체(302)의 제2 측에 제2 전기 버스부(348)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1 전기 버스부(346)는 정합 모듈식 전기 커넥터(300, 도22 내지 도2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됨) 상에 대응하는 제2 전기 버스부(348)와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하도록 위치설정되고 구성된다. 제1 및 제2 전기 버스부(346, 348)는 본체(306)로부터 분리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나사결합 또는 용접 등과 같은 적합한 수단에 의해 본체(306)에 부착될 수도 있고, 또는 단일 구조로서 본체(306)와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17 내지 도25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전기 버스부(346)는 암형 커넥터 소자, 특히 리셉터클(352)인 반면 각각의 제2 전기 버스부(348)는 수형 커넥터 소자 특히 핀(354)이다. 각각의 리셉터클(352)은 대응하는 정합 핀(354)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핀(354)의 단부(360)는 탄성적으로 편의 가능한 아암 부재(364)가 핀(354)의 단부(360)에 제공되도록, 핀(354)의 종방향 축을 따라 하나 이상의 슬롯(362)을 구비한다. 도17 내지 도25에서, 핀(354)은 각각의 핀(354)의 단부(360)에서 두 개의 탄성적으로 편의 가능한 아암 부재(364)를 형성하는 하나의 슬롯(362)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탄성적으로 편의 가능한 아암 부재(364)는 탄성 아암 부재(364)와 리셉터클(352) 사이에 압축력이 생성되도록, 핀이 제1 버스부(346)의 리셉터클(352)로 삽입됨에 따라 서로 가볍게 압축될 수도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핀(354)이 리셉터클(352) 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확대된 주연 리지(366)가 리셉터클(352)의 대응하는 리세스(368) 내로 잠금되도록, 각각의 핀(354)의 단부(360)는 확대된 주연 리지(366)와 대응하는 리세스(368)를 갖는 리셉터클(352)을 구비한다. 핀(354)과 정합 리셉터클(352)의 형상은 핀(354)과 리셉터클(352)이 결합 이후에 분리될 수 없거나, 또는 다르게는 핀(354)과 리셉터클(352)이 이후에 커넥터(300)에 손상을 주지 않고 분리될 수도 있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지금부터 도20 내지 도21을 참조하면, 도17 내지 도19의 전도체(302)와, 클램핑 부재(304)와, 전기 버스(306)가 절연 외측 하우징(370) 내에 수납되어 도시된다. 외측 절연 하우징(370)은 도5 내지 도8과, 도12 내지 도14의 전술한 절연 외측 하우징(170)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하우징(370)은 케이블 컨덕터의 공동(308) 내로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 공동(308)의 입구에 개구(380)를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개구(380)는 케이블 컨덕터 둘레에 습기 시일을 제공하기 위해 실링 부재(382)를 구비한다. 개구(380)와 실링 부재(382)는 도5 내지 도8과, 도12 내지 도14의 개구(180)와 실링 부재(182)와 일치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지금부터 도22 내지 도25를 참조하면, 두 개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300a, 300b)가 결합된 구성으로 도시된다. 각각의 모듈식 전기 커넥터(300a, 300b)는 도17 내지 도21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22 내지 도23에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모듈식 전기 커넥터(300a, 300b)의 전도체(302a, 302b)는 복수의 전기 버스(306)에 의해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모듈식 커넥터(300a)의 각각의 전기 버스(306)의 핀(354)은 정합하는 제2 모듈식 커넥터(300b)의 대응하는 리셉터클(352)에 결합된다. 부가적인 모듈식 커넥터(미도시됨)가 상기 조립체에 유사한 방식으로 부가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듈식 커넥터(300) 상의 복수의 전기 버스(306)는 향상된 전류 운반 성능과, 향상된 기계적 조인트 강도와, 서로에 대한 모듈식 커넥터(300a, 300b)의 회전에 대한 저항성을 포함하는 몇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복수의 전기 버스(306)가 순차적 방식으로 배열된 경우라면, 모듈식 커넥터(300a, 300b)는 증분각(incremental angle)에서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시된 전기 버스(306)의 하우징(302) 상의 직사각형 배열은 모듈식 전기 커넥터(300a, 300b)가 180도 증분에서 증분에서 결합되도록 한다. 전기 버스(306)가 사각형 패턴으로 하우징(302)에 배열된 경우라면, 모듈식 전기 커넥터(300a, 300b)는 90도 증분에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증분 결합각은 분기된 케이블 컨덕터를 상이한 방향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을 때, 그리고 특히 분기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공간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 특히 장점이 있다.
도24 내지 도25를 참조하면, 결합된 제1 및 제2 모듈식 커넥터(300a, 300b) 는 각각의 절연 외측 하우징(370a, 370b)과 함께 도시된다. 절연 외측 하우징(370a, 370b)은 결합된 핀(354) 및 리셉터클(352)의 전체를 접합식으로 차폐한다.
모듈식 전기 커넥터(300)는 전도체(302) 내에 복수의 공동(308)을 제공함에 의해서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케이블 단부를 수용하도록 공동(308)을 확대시키는 것 중 하나에 의해, 그리고 각각의 케이블 컨덕터용 클램핑 부재(304)를 제공함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전도성 케이블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26 내지 도2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40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모듈식 전기 커넥터(400)는 전도체(402)와, 클램핑 부재(404)와, 전기 버스(306)를 포함한다. 공동(408)은 케이블 컨덕터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전도체(402)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클램핑 부재(404)는 공동(408) 내에 위치설정되며, 고정식 턱부(410)와, 이동식 턱부(412)와, 작동 볼트(414)를 포함하는 전술한 클램핑 부재(104, 304) 중 어느 하나와 같이 형성되고 작동한다.
전기 버스(406)는 전도체(402)의 제1 측에 제1 전기 버스부(446)를, 그리고 전도체(402)의 제2 측에 제2 전기 버스부(448)를 포함한다. 제1 전기 버스부(446)는 정합 모듈식 커넥터(400)의 제2 버스부(448)와 기계적 그리고 전기적 접속을 하도록 위치설정되고 구성된다. 제1 및 제2 전기 버스부(446, 448)는 본체(406)로부터 분리식으로 형성되고, 본체에 나사결합 또는 용접과 같은 적합한 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으나, 양호하게는 본체(406)과 단일 구조로서 형성된다.
도26 내지 도27의 실시예에서, 제1 전기 버스부(446)는 측방향 연장 레 일(452)을 포함하며, 제2 전기 버스부(448)는 한 쌍의 측방향 연장 레일(454)을 포함한다. 레일(452, 454)은 정합 모듈식 커넥터(400a, 400b)의 레일(452, 454)이 서로 교착되도록 위치설정된다. 각각의 레일(452, 454)의 정합면은 잠금 핀(458)을 수납하기 위한 키홈을 구비한다. 레일(452, 454)이 교착된 후, 모듈식 커넥터(400a, 400b)를 접합된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잠금핀(458)이 키홈(456)에 삽입된다. 부가적인 모듈식 커넥터(미도시됨)가 상기 조립체에 유사한 방식으로 부가될 수도 있다.
전도체(402)는 하우징(170, 370)에 대해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절연 외측 하우징(미도시됨) 내에 수납될 수도 있으며, 케이블 컨덕터 둘레에 습기 시일을 제공하기 위한 실링 부재를 갖는 개구를 포함한다.
도28 내지 도2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50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모듈식 전기 커넥터(500)는 전도체(502)와, 클램핑 부재(504)와, 전기 버스(506)를 포함한다. 공동(508)은 케이블 컨덕터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전도체(502)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클램핑 부재(504)는 공동(508) 내에 위치설정되며, 고정식 턱부(510)와, 이동식 턱부(512)와, 작동 볼트(514)를 포함하는 전술한 클램핑 부재(104, 304) 중 어느 하나와 같이 형성되고 작동한다.
전기 버스(506)는 제1 전기 버스부(546)를 전도체(502)의 제1 측에, 그리고 제2 전기 버스부(548)를 전도체(502)의 제2 측에 포함한다. 제1 전기 버스부(546)는 정합 모듈식 커넥터(500)의 제2 버스부(548)와 기계적 그리고 전기적 접속을 하도록 위치설정되고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전기 버스부(546)와 제2 전 기 버스부(548)는 유사하게 형상 지어진다[즉, 자웅동체(hermaphroditic)]. 제1 및 제2 전기 버스부(546, 548)는 본체(506)와 단일 구조로서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도28 내지 도29의 실시예에서, 제1 전기 버스부(546)는 상부 측방향 연장 레일(552a)과 하부 측방향 연장 레일(552b)을 포함한다. 제2 전기 버스부(548)는 상부 측방향 연장 레일(554a)과 하부 측방향 연장 레일(554b)을 포함한다. 레일(552a, 552b, 554a, 554b)의 단부들은 각각 경사진 립(556)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전기 버스부(546, 548)는 커넥터(500a, 500b)들이 서로 가압될 때, 제1 모듈식 커넥터(500a)의 레일(552a, 552b)이 제2 모듈식 커넥터(500b)의 레일(554a, 554b)과 결합하도록 위치설정된다. 정합 레일의 경사진 립(556)은 서로 결합하며 모듈식 커넥터(500a, 500b)를 접합된 구성으로 유지한다. 양호하게는, 정합 레일들 사이에 접촉력이 유지되도록, 정합 레일들은 결합된 위치에 있을 때 탄성적으로 편의된다. 부가적인 모듈식 커넥터(500c)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조립체에 부가된다. C형 단부 부재(560)는 공동(508)의 개구 측에서 레일(554a, 554b)과 결합되어 클램프 부재(504)가 케이블 컨덕터 상에서 조임에 따른 전도체(502)의 변형을 방지한다.
전도성 부재(502)는 하우징(170, 370)에 대해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절연 외측 하우징(미도시됨) 내에 수납될 수도 있으며, 케이블 컨덕터 둘레에 습기 시일을 제공하기 위한 실링 부재를 갖는 개구를 포함한다.
도30 내지 도3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60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모듈식 전기 커넥터(600)는 전도체(602)와, 클램핑 부재(604) 와, 전기 버스(606)를 포함한다. 전도체(602)는 상부벽(640)과, 바닥벽(642)과, 전면벽(643)과, 배면벽(644)으로부터 조립된다. 전면벽(643)과 배면벽(644)은 전도체(602) 내의 공동(608) 내로 케이블 컨덕터의 단부가 진입하도록 허용한다. 클램핑 부재(604)는 공동(608) 내에 위치설정되며, 고정식 턱부(610)와, 이동식 턱부(612)와, 작동 볼트(614)를 포함하는 전술한 클램핑 부재(104, 304) 중 어느 하나와 같이 형성되고 작동한다.
전기 버스(606)는 전도체(602)의 제1 측에 제1 전기 버스부(646)를 , 그리고 전도체(602)의 제2 측에 제2 전기 버스부(648)를 포함한다. 제1 전기 버스부(646)는 정합 모듈식 커넥터(600)의 제2 버스부(648)와 기계적 그리고 전기적 접속을 하도록 위치설정되고 구성된다.
도30 내지 도31의 실시예에서, 제1 전기 버스부(646)와 제2 전기 버스부(648)는 유사하게 형상 지어진다(즉, 자웅동체). 제1 전기 버스부(646)는 상부 측방향 연장 레일(652a)과 하부 측방향 연장 레일(652b)을 포함한다. 제2 전기 버스부(648)는 상부 측방향 연장 레일(654a)과 하부 측방향 연장 레일(654b)을 포함한다. 레일(652a, 652b, 654a, 654b)의 단부들은 각각 경사진 립(656)을 구비한다. 상부 측방향 연장 레일(652a, 654a)은 상부벽(640)과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반면, 하부 측방향 연장 레일(652b, 654b)은 바닥벽(642)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커넥터(600a, 600b)가 함께 가압될 때, 제1 모듈식 커넥터(600a)의 상부 및 하부 레일(652a, 652b)과 제2 모듈식 커넥터(600b)의 상부 및 하부 레일(654a, 654b)은 결합된다. 정합 레일들의 경사진 립(656)들은 서로 결합되며 모듈식 커넥터(600a, 600b)를 접합된 구성으로 유지한다. 양호하게는, 정합 레일들 사이에 접촉력이 유지되도록, 정합 레일들은 결합된 위치에 있을 때 탄성적으로 편의된다. 부가적인 모듈식 커넥터(미도시됨)가 비슷한 방식으로 상기 조립체에 부가될 수도 있다.
전도체(602)는 하우징(170, 370)에 대해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절연 외측 하우징(미도시됨) 내에 수납될 수도 있으며, 케이블 컨덕터 둘레에 습기 시일을 제공하기 위한 실링 부재를 갖는 개구를 포함한다.
도32 내지 도3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70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모듈식 전기 커넥터(700)는 전도체(702)와, 클램핑 부재(704)와, 전기 버스(706)를 포함한다. 전도체(702)는 전도체(702)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공동(708)을 갖는 단일의 부재이다.
클램핑 부재(704)는 공동(708) 내에 위치설정되며, 고정식 턱부(710)와, 이동식 턱부(712)를 포함한다. 고정식 턱부(710)는 전도체(702)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이동식 턱부(712)는 도1 내지 도4에서 이동식 턱부(112)에 대해 전술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고 작동되며, 전도체(702)에서 나사식 보어(716)를 통해 연장되는 나사식 볼트(714)에 의해 작동된다.
전기 버스(706)는 전도체(702)의 제1 측에 제1 전기 버스부(746)를, 그리고 전도체(702)의 제2 측에 제2 전기 버스부(748)를 포함한다. 제1 전기 버스부(746)는 정합 모듈식 커넥터(700)의 제2 버스부(748)와 기계적 그리고 전기적 접속을 하도록 위치설정되고 구성된다.
도32 내지 도34의 실시예에서, 제1 전기 버스부(746)는 측방향 연장 레 일(752)을 포함하며, 제2 전기 버스부(748)는 정합 레일(752)을 수용하기 위해 전도체(702)에 슬롯(754)을 포함한다. 레일(752)의 단부는 그루브(756)를 포함하며, 슬롯(754)은 슬롯(754)의 바닥벽(760)을 통해 관통되는 세트 스크류(758)를 구비한다. 도34에서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 중 제1 모듈식 커넥터(700a)의 레일(752)은 제2 모듈식 커넥터(700b)의 슬롯(754)으로 진입한다. 세트 스크류(758)는 세트 스크류(758)가 레일(752)의 그루브(756)를 결합하도록 슬롯(754) 내로 전진하며, 그에 의해 모듈식 커넥터(700a, 700b)를 접합된 구성으로 유지한다. 부가적인 모듈식 커넥터(미도시됨)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조립체에 부가될 수도 있다.
도33을 참조하면, 전도체(702)는 하우징(170, 370)에 대해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절연 외측 하우징(770) 내에 수납될 수도 있으며, 케이블 컨덕터 둘레에 습기 시일을 제공하기 위한 실링 부재(782)를 갖는 개구(780)를 포함한다. 하우징(770)은 정합 모듈식 커넥터(700a, 700b)들 사이에 부가적인 기계적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래치 수단(786)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3 및 도34에서, 하우징(770)의 배면벽은 모듈식 커넥터(700)의 내부를 보기 위해 제거되었다.
도35 내지 도37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80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모듈식 전기 커넥터(800)는 전도체(802)와, 클램핑 부재(804)와, 전기 버스(806)를 포함한다. 전도체(802)는 전도체(802)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공동(808)을 갖는 단일의 부재이다.
클램핑 부재(804)는 공동(808) 내에 위치설정되며, 고정식 턱부(810)와, 이 동식 턱부(812)를 포함한다. 고정식 턱부(810)는 전도체(802)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이동식 턱부(812)는 도1 내지 도4에서 이동식 턱부(112)에 대해 전술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고 작동되며, 전도체(802)에서 나사식 보어(816)를 통해 연장되는 나사식 볼트(814)에 의해 작동된다.
전기 버스(806)는 전도체(802)의 제1 측에 제1 전기 버스부(846)를, 그리고 전도체(802)의 제2 측에 제2 전기 버스부(848)를 포함한다. 제1 전기 버스부(846)는 정합 모듈식 커넥터(800)의 제2 버스부(848)와 기계적 그리고 전기적 접속을 하도록 위치설정되고 구성된다.
도35 내지 도37의 실시예에서, 제1 전기 버스부(846)는 측방향 연장 레일(852)를 포함하며, 제2 전기 버스부(848)는 정합 레일(852)을 수용하기 위해 전도체(802)에 슬롯(854)을 포함한다. 레일(852)의 단부는 그루브(856)를 구비하며, 슬롯(854)은 슬롯(854)의 바닥벽(86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토글 래치(858)를 구비한다. 사용 중, 제1 모듈식 커넥터(800a)의 레일(852)은 제2 모듈식 커넥터(800b)의 슬롯(854) 내로 가압된다. 레일(852)이 슬롯(854) 내로 진입함에 따라, 레일(852)의 그루브(856)는 토글 래치(858)를 포획한다. 레일(852)이 계속 진입함에 따라, 토글 래치는 고정축(856) 둘레를 회전하며 레일(852)을 슬롯(854)의 상부벽(862)에 대해 가압한다. 슬롯(854)의 상부벽(862)은 레일(852)의 상부면(868) 상의 대향된 치형(866)과 결합하는 치형(864)을 구비한다. 결합된 치형(864, 866)는 레일이 슬롯(854)으로부터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며, 그에 의해 모듈식 커넥터(800a, 800b)를 접합된 구성으로 유지한다. 부가적인 모듈식 커넥터 (미도시됨)가 비슷한 방식으로 상기 조립체에 부가될 수도 있다.
도37에서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도체(802)는 하우징(170, 370, 770)에 대해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절연 외측 하우징(870) 내에 수납될 수도 있으며, 케이블 컨덕터 둘레에 습기 시일을 제공하기 위한 실링 부재(882)를 갖는 개구(880)를 포함한다. 하우징(870)은 정합 모듈 커넥터(800a, 800b)들 사이에 부가적인 기계적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래치 수단(886)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36 및 도37에서, 하우징(870)의 배면벽은 모듈식 커넥터(800)의 내부를 보기 위해 제거되었다.
두 개 이상의 커넥터 모듈들 사이에 모듈간 접속을 생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와 방법은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모듈간 접속을 형성하기 위한 부가적인 실시예와 방법들이 고려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각각의 모듈식 커넥터는 두 개 이상의 케이블 컨덕터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15 및 도16은 모듈식 커넥터가 두 개의 케이블 컨덕터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일 특정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38에서는, 두 개의 케이블 컨덕터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모듈식 전기 커넥터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38의 이중 모듈식 전기 커넥터(700')는 도32 내지 도34의 단일 케이블 실시예로부터 구성되고 변경되었으며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이중 모듈식 전기 커넥터(700')는 전도체(702')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공동(708)을 갖는 전도체(702')를 포함한다. 각각의 공동(708)은 도32 내지 도34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클램핑 부재(704)를 구비한다. 또한, 모듈(700') 의 전기 버스(706)는 도32 내지 도34에 대해 전술된 것과 같이 구성되며, 측방향 연장 레일(752)과, 정합 레일(752)을 수용하기 위해 전도체(702') 내에 슬롯(754)을 포함한다. 이중 모듈식 커넥터(700')는 다른 비슷하게 구성된 이중 모듈식 커넥터(700')와 접속될 수도 있고, 도32 내지 도34에 도시된 단일 케이블 모듈식 커넥터(700)와 접속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자웅동체 및 수형/암형 전기 버스 커넥터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한 개수의 모듈간 접속 지점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전기적 버스 커넥터 구성은 도시된 것을 대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웨지 형상 전기 버스 커넥터 구성이 도39에 도시되며, 여기서 제1 커넥터 모듈(900a) 상의 웨지 형상 돌출부(902)는 제2 커넥터 모듈(900b) 상의 웨지형 슬롯(904)에 의해 수용된다. 부가적으로, 이전에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조합이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기능적인 모듈식 커넥터 유닛으로 상호교환될 수도 있다.
사용 중,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각의 커넥터 모듈 소자는 제1 케이블 컨덕터를 제1 커넥터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에 의해 그리고, 제2 케이블 컨덕터를 제2 커넥터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에 의해 케이블을 분기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커넥터 모듈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커넥터 모듈은 모듈의 제1 측에 제1 전기 버스부와 모듈의 제2 측에 제2 전기 버스부를 포함한다. 이어서,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은 제1 커넥터 모듈의 제1 전기 버스부와 제2 커넥터 모듈의 제2 전기 버스부를 결합시킴에 의해 상기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부가적인 분기는 예컨대 제3 케이블 컨덕터를 제3 커넥터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이어서 제2 커넥터 모듈의 제1 전기 버스부를 제3 커넥터 모듈의 제2 전기 버스부와 결합시킴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전기 커넥터 모듈의 전기 전도체는 알루미늄과, 구리와, 황동과, 이들의 혼합물과, 조합과 합금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도체는 니켈, 주석, 아연, 주석-납,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적합한 재료로 도금될 수도 있다.
전기 커넥터 모듈의 절연 하우징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공업용 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상기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계산된 다양한 대체적인 및/또는 동등한 구현이, 도시되고 설명된 상기 특정 실시예를 대체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기계, 전기 기계, 및 전기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광범위한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즉각적으로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양호한 실시예의 임의의 적용 또는 변화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청구항과 그것의 등가물에 의해서만 제한되도록 명백히 의도된다.

Claims (28)

  1.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이며,
    제1 케이블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을 내부에 갖는 전도체와,
    제1 케이블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클램핑 부재와,
    상기 전도체의 제1 측에 제1 전기 버스부와,
    상기 전도체의 제2 측에 제2 전기 버스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기 버스부와 제2 전기 버스부는 제1 전기 버스부 및 제2 전기 버스부를 갖는 다른 전기 커넥터의 버스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전기 버스부는 다른 전기 커넥터의 제2 버스부와 물리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제1 전기 버스부와 제2 전기 버스부는 상기 전도체의 대향 측에 있는,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제1 전기 버스부와 제2 전기 버스부는 내부에 전도성 버스 핀을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제1 전기 버스부는 수형 커넥터 반부를 포함하고, 제2 전기 버스부는 암형 커넥터 반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7. 제3항에 있어서, 제1 전기 버스부와 제2 전기 버스부는 자웅동체 커넥터 반부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기 버스부는 상기 전도체의 상기 측 내로 연장하는 암형 전기 버스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 제1 전기 버스부, 및 제2 전기 버스부는 단일 구조인,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제1 축을 따라 상기 전도체 내로 연장되며, 제1 클램핑 부재는 제2 축을 따라 공동 내에서 이동가능하며, 제1 및 제2 전기 버스부는 제3 축을 따라 정렬되는,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축, 제2 축, 및 제3 축은 대체로 서로에 대해 직교하는,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의 입구에 위치되고, 케이블 둘레에 습기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를 둘러싸는 절연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 하우징은 케이블 컨덕터를 수용하고 상기 공동에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 부재는 절연 하우징 내의 개구를 덮는,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제1 클램핑 부재에 복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클램핑 부재 상의 돌출부는 케이블 상의 절연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제1 클램핑 부재가 제1 케이블의 단부를 클램핑할 때 케이블 컨덕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를 둘러싸는 절연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케이 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제2 케이블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제2 케이블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클램핑 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18. 제1 케이블 컨덕터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1 커넥터 모듈과,
    제2 케이블 컨덕터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2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은 모듈의 제1 측에 제1 전도성 결합 부재와 모듈의 제2 측에 제2 전도성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컨덕터 모듈의 제1 전도성 결합 부재는 제2 커넥터 모듈의 제2 전도성 결합 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은 동일한 형상인 전기 커넥터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은 상이한 크기의 케이블 컨덕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넥터 모듈은 절연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인 전도체를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넥터 모듈은 개별적인 케이블 컨덕터를 모듈 내에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기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기구는 절연 관통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커넥터는 각각의 개별 모듈 내로 연장하는 암형 전기 버스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25. 제1 케이블 컨덕터를 제1 커넥터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로서, 제1 커넥터 모듈은 제1 커넥터 모듈의 제1 측에 제1 전기 버스부와 제1 커넥터 모듈의 제2 측에 제2 전기 버스부를 포함하는 제1 케이블 컨덕터를 제1 커넥터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단계와,
    제2 케이블 컨덕터를 제2 커넥터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로서, 제2 커넥터 모듈은 제2 모듈의 제1 측에 제1 전기 버스부와 제2 모듈의 제2 측에 제2 전기 버스부를 포함하는 제2 케이블 컨덕터를 제2 커넥터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 하는 단계와,
    제1 커넥터 모듈의 제1 전기 버스부를 제2 커넥터 모듈의 제2 전기 버스부와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 컨덕터를 접속하기 위한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하는 단계들에 선행하는 케이블 컨덕터를 접속하기 위한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하는 단계들에 후속하는 케이블 컨덕터를 접속하기 위한 방법.
  28. 케이블 컨덕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부재를 갖는 전도체와,
    유사한 커넥터 수단을 갖는 다른 모듈식 전기 커넥터에 상기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전도체 상에 커넥터 수단을 포함하는 케이블 컨덕터와 사용하기 위한 모듈식 전기 커넥터.
KR1020077005120A 2004-08-05 2005-07-28 모듈식 전기 커넥터 및 사용 방법 KR20070035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5120A KR20070035616A (ko) 2004-08-05 2005-07-28 모듈식 전기 커넥터 및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11,858 2004-08-05
KR1020077005120A KR20070035616A (ko) 2004-08-05 2005-07-28 모듈식 전기 커넥터 및 사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616A true KR20070035616A (ko) 2007-03-30

Family

ID=4365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120A KR20070035616A (ko) 2004-08-05 2005-07-28 모듈식 전기 커넥터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56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832B2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using
US7090544B2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using
US698189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locking means
US7867001B2 (en) Connection member and harness connector
US4842551A (en) Modular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 utility box
US9653859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8007310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rimp connector
US6126478A (en) Wiring device with gripping of individual conductors
WO2020099883A1 (en) A modular power distribution system
EP1139496A2 (en) Connector for an overhead cable
US6371774B2 (en) Tap connector
US6142815A (en) Electrical interface connector
JP3266064B2 (ja) 導通コネクタ
KR20070035616A (ko) 모듈식 전기 커넥터 및 사용 방법
US9941605B2 (en) Wire connectors with binding terminals
US20230299507A1 (en)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screwless wire terminals
US20230327377A1 (en)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screwless wire terminals
US20230299509A1 (en)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screwless wire terminals
US20230299510A1 (en)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screwless wire terminals
JP3512591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コネクタ分岐構造
US20230299511A1 (en)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screwless wire terminals
EP1117149B1 (en) Electrical tap connector
US4699442A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s
KR20230117744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용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JPH0223017A (ja) 低圧幹線分岐部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