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7744A - 배터리 관리 시스템용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시스템용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744A
KR20230117744A KR1020237022917A KR20237022917A KR20230117744A KR 20230117744 A KR20230117744 A KR 20230117744A KR 1020237022917 A KR1020237022917 A KR 1020237022917A KR 20237022917 A KR20237022917 A KR 20237022917A KR 20230117744 A KR20230117744 A KR 20230117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housing
cabl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바스티안 그리펜슈트로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filed Critical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Publication of KR20230117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0Semi-lead accumulators, i.e. accumulators in which only one electrode contains l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01R13/4226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comprising two or more integral flexible retaining fingers acting on a singl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9Threaded ferrule or bolt opera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able or wi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7Comprising supplementary or 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one conductor screwing into an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1/00One po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입형 플러그인 커넥터(flush-mounted plug-in connector)로서 구성되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를 위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을 갖는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은, 예컨대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하우징의 하우징 벽에 플러그인측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플랜지(11)를 갖도록 구성되며,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는 또한, 플러그인 축, 플러그인 영역(31) 및 케이블 연결 영역(32)을 구비하고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에 삽입되었거나 삽입될 플러그인 접점(3)을 가지며, 상기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1)의 케이블 연결 영역(32)이 대전류 케이블로서 구성된 연결 케이블을 통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연결 영역이 크림프 연결부(32)로서 구성됨에 따라 플러그인 접점은 크림프 접점(3)이고, 이 크림프 접점(3)은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 내에서 적어도 장착 동안 플러그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며, 삽입된 크림프 접점(3)은 장착된 후 분해 공구(disassembly tool)를 이용하여 다시 분해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시스템용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제1항의 카테고리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용 매입형 플러그인 커넥터로서의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배터리 및 복수의 패치 케이블; 연결 케이블 및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갖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를 하우징 벽에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 벽은 특히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하우징 벽일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대전류 커넥터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플러그인 측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치 케이블을 통해 복수의 충전식 배터리("축전지")의 구성 가능한 스택("축전지 팩")과 연결하는 데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는, 각각의 요건에 맞게 전류 세기 및 출력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 복수의 축전지가 복수의 패치 케이블에 의해 서로 병렬로 그리고/또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팩, 축전지 캐비닛 및 축전지 랙이 공지되어 있다.
공보 DE 10 2015 105 482 B4호 및 US 2018/0358789 A1호는 이러한 개폐기 캐비닛 또는 랙의 기본 구조를 기술한다.
공보 EP 2 176 901 B1호는, 복수의 전기 셀 커넥터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연결된 복수의 축전지 셀을 갖는 휴대용 전기 기계 공구용 축전지를 개시한다.
공보 DE 10 2016 124 501 A1호는 구성 가능한 축전지 팩을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여기서 단점은, 이러한 시스템의 구성 시, 필요에 따라 현장에서 맞춤화된(customized on site),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연결 케이블과, 나사 연결을 통해 그에 연결될 수 있는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사이에, 높은 전류 세기에 근거하여 바람직하지 않게 높은 접촉 저항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독일 특허청은 본 출원과 관련된 우선권 출원에서 하기의 선행 기술을 조사하였다: DE 10 2015 105 482 B4, DE 199 43 373 A1, DE 10 2016 124 501 A1, US 2004/0266260 A1, US 2018/0358789 A1, EP 2 176 901 B1 및 CN 206 098 925 U.
본 발명의 과제는, 대전류 케이블로서 구성된 연결 케이블과, 배터리 관리 시스템용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사이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의 대상에 의해 해결된다.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는 매입형 플러그인 커넥터(flush-mounted plug-in connector)로서 구성되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상기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는, 하우징 벽, 특히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하우징의 하우징 벽에 플러그인측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플랜지를 갖도록 구성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갖는다.
또한,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는, 플러그인 축, 플러그인 영역 및 케이블 연결 영역을 구비하고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었거나 삽입될 플러그인 접점(plug-in contact)을 갖는다. 케이블 연결 영역에 의해 상기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는 대전류 케이블로서 구성된 연결 케이블을 통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거나 특히 여기에 연결되어 있고, 즉,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케이블 연결 영역이 크림프 연결부로서 구성됨으로써, 플러그인 접점은 크림프 접점(crimp contact)이다. 크림프 접점은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적어도 장착 동안 플러그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보유된다. 삽입된 크림프 접점은 장착된 후에는 분해 공구를 이용하여 다시 분해될 수 있다. 플러그인 접점은 바람직하게 핀 접점이지만, 소켓 접점 또는 암수동체형 접점으로서의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배터리 시스템은, 각각 플러그인 커넥터 형태의 적어도 2개의 단자 및 복수의 패치 케이블을 갖는 복수의 충전식 배터리("축전지")를 가지며, 상기 패치 케이블을 통해 배터리들의 단자가 병렬로 그리고/또는 직렬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배터리 시스템은 매입형 플러그로서 구성된 전술한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대전류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하나의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를 통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배터리에도 이러한 대전류 플러그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의 적어도 하나의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가 적어도 하나의 패치 케이블을 통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하기의 설명부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장점은, 스크류 접점(screw contact)으로서 구성된 대안적인 플러그인 접점이 사용되는 경우보다,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가 연결 케이블에 대해 더 작은 접촉 저항을 갖는다는 점이다.
크림프 접점과 연결 케이블 사이에는 단 하나의, 요컨대 크림프 연결의 작은 접촉 저항만이 중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요컨대 스크류 접점의 사용 시에는 2개의 다른 접촉 저항이 기록된다. 제1 접촉 저항은 연결 케이블에 대한 케이블 슈(cable shoe)의 연결을 통해 발생한다. 이를 위해 케이블 슈는 일반적으로 역시 크림프 연결부를 갖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훨씬 더 큰 제2 전기 저항이 추가로 케이블 슈와 스크류 접점의 나사 연결부 사이에 발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장점은, 랙, 개폐기 캐비닛 및/또는 선반(shelf) 등에 배터리 시스템을 구성할 때 바로 상기 연결 케이블의 길이를 적합하게 맞춤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한 특별한 장점은, 크림핑된 플러그인 커넥터 접점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연결 케이블이 꼬이지 않으면서, 크림프 접점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적합한 방향으로 옮겨질 수 있다. 이는, 예컨대 (가능한 최대 전류 세기에 따라) 400A 이하의 원하는 강전류 범위 내에서 케이블 두께가 예를 들어 20㎟ 이상, 특히 3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즉, 100㎟ 이상도 가능한 크기일 수 있거나, 처음으로 가능하거나, 적어도 상당히 쉬워지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즉, 그렇지 않은 경우 케이블은 가능한 꼬임에 대해 상당한 기계적 저항으로 대항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수동(manual) 플러그인 과정을 방해하거나 심지어 저지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스크류 접점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비틀림 방지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이 점이 특히 바람직한 이유는, 동일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이, 나사 연결 시 공지된 것처럼 "함께 회전"하지 않아야 하는 스크류 접점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단일 유형의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만 구성되고, 제조되고, 지지되고, 여타의 방식으로 보유되면 된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200A 이하의 전류 세기에 대해 스크류 접점을 사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동일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00A 이하의 전류 세기의 경우에는, 동일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에 대안적으로 크림프 접점이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크림프 접점이 회전 방지 장치와 상호작용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스크류 접점의 케이블 슈는 나사로 단단히 조이기 전에 너트 등을 사용하여 플러그인 축 주위에 원하는 위치로 돌려넣을 수 있는 반면, 크림프 접점의 연결 케이블은 크림핑 이후 풀릴 수 없게 고정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상황, 예를 들어 특정 축전지 랙의 상황에 따라 연결 케이블을 적합하게 연장할 수 있으려면, 사용자가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내로 플러그인 접점을 크림핑하고 수동으로 삽입해야 한다.
그러나 크림핑 공정 중에는 연결 케이블을 플러그인 커넥터에 부착해야 하는 방향을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번거롭다. 따라서 크림프 접점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크림프 접점용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분리 가능한 회전 방지 장치, 예컨대 나사로 조일 수 있는 회전 방지 장치를 가지며, 이 회전 방지 장치에 의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된 크림프 접점은 회전 완료 후 최종적으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스크류 접점으로서 구성된 대안적인 플러그인 접점과의 상호 작용을 위해 제공되는 비틀림 방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성형부, 특히 직선 성형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웨브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류 접점은 마찬가지로 편평화부 또는 웨브와 각각 상호 작용하는 상대 편평화부 또는 홈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크류 접점은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내에 회전할 수 없게 보유됨으로써 케이블 연결측에 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크림프 접점의 래칭 칼라를 래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암을 가질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래칭 암은 래칭 해제를 위해 래칭 칼라로부터 크림프 접점을 분해하기 위한 분해 공구를 이용하여 다시 제거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플러그인 커넥터가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에 더하여 별도의 제2 하우징, 요컨대 케이블 연결 하우징을 갖는 케이블 고정 장치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이 케이블 연결 하우징은 특히 플랜지도 가질 수 있다. 이 플랜지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케이블 연결측을 전술한 하우징 벽에 부착하는 데 사용된다.
이 점이 특히 바람직한 이유는, 플러그인 접점이 먼저 대전류 케이블에 크림핑된 다음, 케이블이 꼬이지 않는 상태에서 부착 하우징 내 적합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케이블 연결 하우징은 케이블 글랜드를 가지며, 이 케이블 글랜드에 의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내에 장착된 크림프 접점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최종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케이블 글랜드는 그의 케이블 연결측 단부에 복수의 라멜라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 라멜라는 나사로 조여질 유니온 너트에 의해 압착되어 대전류 케이블을 고정하고, 그럼으로써 플러그인 접점을 커넥터 하우징 상의 크림핑 영역에 고정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케이블 연결 하우징은 이를 위해, 토크 및 인장력에 대항하는 작용을 지원하고 그에 더하여 밀봉 작용을 하는 고무 클램프(rubber clamp) 및 밀봉 요소를 추가로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크림프 접점은 200A("암페어") 이상, 특히 250A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A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50A 이상, 즉, 예를 들어 400A 이하의 그리고 가능하다면 심지어 더 높은 전류 세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플러그인 커넥터를 하우징 벽에 장착하기 위한 한 가능한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연결 케이블의 길이를 각각의 용례에 적합하게 맞춤 조정한다. 이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어셈블리, 특히 축전지 랙의 치수 및 요구 사항을 알고 있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 경우, 크림핑 과정이 축전지 랙의 구성 및/또는 장착과 함께 행해질 수 있다는 수행될 수 있다는 특별한 장점이 있으며, 다시 말해, 예를 들어 플러그인 커넥터 제조업체에서 사전 제작된 케이블을 주문하여 랙 제작업체/랙 조립업체로 운송할 필요가 없다. 이는 장착의 유연성을 크게 간소화한다.
연결 케이블은 이후 특히 현장에서 크림프 접점에 크림핑된다.
이어서, 크림프 접점이 케이블 연결측에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내로 삽입되어 그 내부에 래칭될 수 있으며,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플러그인측에서 하우징 벽, 특히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하우징 벽 상의 벽 관통 개구에 장착되고, 특히 나사로 조여지며, 이 두 단계의 순서는 기본적으로 서로 바뀔 수 있고, 다시 말해 먼저 장착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내로 크림프 접점이 삽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 크림프 접점은 상기 시점에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고, 예를 들어 편극 요소(polarisation element) 및/또는 전술한 회전 방지 장치에 의해 그 내부에 고정된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20㎟ 이상, 특히 3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즉, 100㎟ 이상도 가능한 케이블 단면을 갖는 부착된 대전류 케이블을 이용한 장착이 처음으로 가능해지거나 적어도 상당히 쉬워진다.
이어서, 연결 케이블이 통과하는 전술한 케이블 연결 하우징은 케이블 연결측에서 하우징 벽 상의 벽 관통 개구에 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연결 케이블과 여기에 단단하게 크림핑된 크림프 접점은 이제, 유니온 너트가 케이블 글랜드에 나사로 고정됨으로써 최종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장에서 크림핑된 크림프 접점은 적합한 길이로 맞춤 조정된 연결 케이블에 먼저 유연하게 장착될 수 있고, 그럼에도 그의 최종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스크류 접점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한 용례에서는, 슬리브 하우징을 제공하기 위해 케이블 연결 하우징을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에 직접 나사로 조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별 구성 요소가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 및 보관해야 하는 개별 제품의 수가 더 줄어든다. 이에 상응하게 물류도 간소화되고, 보관 비용이 낮아지는 동시에 유연성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고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a 및 도 1b는 스크류 접점을 갖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의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크림프 접점을 갖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의 도면이다.
도 3은 크림프 접점을 갖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및 케이블 연결 하우징의 도면이다.
도면들은 부분적으로 단순화된 개략적 도해들을 포함하고 있다. 어떤 경우에는 유사한, 그러나 경우에 따라 동일하지는 않은 요소들에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동일한 요소를 상이한 관찰 방향에서 도시한 도해는 상이하게 스케일링되었을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상기 유형의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에 대한 종래 기술에 상응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 및 스크류 접점(2)을 갖는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를 도시한다.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은 부착 플랜지(11) 및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인 접촉 챔버(12)를 갖는다. 접촉 챔버(12) 내에는 내면에 웨브(123)가 성형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 연결측에 성형되고 삽입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접촉 챔버 내로 연장되는 래칭 암(14)을 가지며, 이 래칭 암의 단부는 각각 래칭 에지(147)를 형성한다.
도 1a에서 특히 잘 확인할 수 있듯이, 스크류 접점(2)은 플러그인측 단부에 접촉 보호 장치(28)가 부착된 플러그인 영역(21)을 갖는다. 스크류 접점은 그 반대편 단부에 나사 연결부로서 구성된 연결 영역(22)을 갖는다. 스크류 접점(2)은 상기 두 단부 사이에, 플러그인 영역(21)에 접경하는 보유 섹션(23)과, 래칭 칼라(247)로써 상기 보유 섹션(23)에 접경하는 래칭 섹션(24)을 갖는다. 래칭 섹션(24)은 플러그인 영역(21)의 방향으로 원추형으로 점점 좁아진다. 보유 섹션(23)은 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편평화부를 가지며, 이 편평화부에 의해 보유 섹션은, 도 1b에서 확인되듯이, 본 예시에서는 육각형 단면을 갖는다. 편평화부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의 웨브(123)와 함께 비틀림 방지부로서 상호 작용한다. 이를 통해 스크류 접점(2)이 플러그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설치된 상태에서 문제 없이 나사 연결부(2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반해, 도 2a 및 도 2b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 및 크림프 접점(3)으로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크림프 접점(3)의 플러그인 영역(31)은 실질적으로 스크류 접점(2)의 플러그인 영역(21)에 상응한다.
또한, 이 어셈블리는 전술한 어셈블리에 비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보유 섹션(33)이 원통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웨브(123)와의 상호 작용이 방지되고 플러그인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가능하다.
래칭 칼라(347)의 뒤에 배치된 래칭 섹션(34)도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그로 인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분해 공구의 삽입이 가능하다.
크림프 접점(3)은 케이블 연결측에 자명하게 크림프 연결부(32)로서 구성된 케이블 연결 영역을 갖는다.
이 어셈블리는 플러그인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과 관련하여 연결 케이블에 대한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의 배향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 없이, 현장에서의 케이블 맞춤화, 즉, 케이블의 길이 조정 및 크림핑을 가능케 한다. 마지막으로, 특히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하우징의 하우징 벽에 고주파 플러그인 커넥터를 설치할 때, 크림프 접점(3)은 모든 임의의 회전으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 내에 삽입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삽입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 점이 특히 중요한 이유는, 그로 인해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가 예컨대 20㎟ 내지 100㎟ 이상의 크기의 케이블 두께를 가진, 꼬임에 대해 적어도 극도로 유연하지 않고 그리고/또는 그러한 꼬임을 전혀 허용하지 않는 연결 케이블과 함께 문제 없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선행 도해에 비해 케이블 고정 장치가 확장된 어셈블리의 분해도를 도시하며, 여기에는 상기 어셈블리의 구성요소(1, 3, 4, 5, 6)가 플러그인 축 상에 놓여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 고정 장치는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인 고무 클램프(4) 및 케이블 연결 하우징(5)을 갖는다. 이 케이블 연결 하우징은 플랜지(51), 밀봉 요소(55), 그리고 케이블 글랜드의 클램핑 장치(56)의 구성요소인 라멜라(561)를 갖는다. 또한, 케이블 글랜드에는, 연결 케이블을 통과시켜 케이블 연결 하우징(5)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유니언 너트(6)가 속한다.
도면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이들 구성요소(1, 3, 4, 5, 6)는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의 부착 플랜지(11)가 케이블 연결 하우징(5)의 플랜지(51)에 직접 나사 결합됨으로써, 직접 조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슬리브 하우징을 갖는 이동식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가 장착된다.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이 매입 플러그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은 부착 하우징으로서 사용되고, 플러그인측에서, 즉 외부로부터, 장치 하우징, 본 경우에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하우징의 하우징 벽 상의 벽 관통 개구에 나사로 고정된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연결 케이블과 크림핑된 크림프 접점(3)은 이미 벽 관통 개구를 통과하여 부착 하우징(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크림프 접점은 하우징 벽에 이미 장착된 부착 하우징(1) 내로 케이블 연결측에서 삽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크림프 접점(3)은 부착 하우징(1) 내에 플러그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보유된다. 고무 클램프(4)와 케이블 연결 하우징(5)을 케이블 연결 영역(32)에 부착하고, 케이블 연결 하우징(5)을 그 플랜지(51)로써 하우징 벽의 케이블 연결측에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크림프 접점은 그의 최종 위치에 이미 잘 고정되어 있다. 유니온 너트(6)를 클램핑 장치(56)에 나사로 조이면 연결 케이블이 케이블 연결 하우징(5)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크림프 접점(3)도 부착 하우징(1) 내에 최종적으로 고정된다.
도면들에 본 발명의 상이한 양태들 또는 특징들이 각각 조합되어 도시되어 있더라도,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도시되고 논의된 조합이 유일하게 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특히, 상이한 실시예들의 상호 대응하는 유닛들 또는 특징 복합체들은 서로 교환될 수 있다.
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 부착 하우징
11 부착 플랜지
12 접촉 챔버
123 웨브
14 래칭 암
147 래칭 에지
2 스크류 접점
21 플러그인 영역
22 케이블 연결 영역(나사 연결부)
23 보유 섹션
24 래칭 섹션
247 래칭 칼라
28 접촉 보호 장치
3 크림프 접점
31 플러그인 영역
32 케이블 연결 영역(크림프 연결부)
33 보유 섹션
34 래칭 섹션
347 래칭 칼라
4 고무 클램프
5 케이블 연결 하우징
51 플랜지
55 밀봉 요소
56 클램핑 장치
561 라멜라
6 유니온 너트

Claims (13)

  1. 매입형 플러그인 커넥터로서 구성되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이를 위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을 갖는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이며,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은 하우징 벽에 플러그인측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플랜지(11)로서 구성되며,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는 또한, 플러그인 축, 플러그인 영역(31) 및 케이블 연결 영역(32)을 구비하고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에 삽입되었거나 삽입될 플러그인 접점(3)을 가지며,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1)의 케이블 연결 영역(32)이 대전류 케이블로서 구성된 연결 케이블을 통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는,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에 있어서,
    Figure pct00001
    상기 케이블 연결 영역이 크림프 연결부(32)로서 구성됨으로써, 플러그인 접점은 크림프 접점(3)이며,
    크림프 접점(3)은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 내에서 적어도 장착 동안 플러그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며,
    삽입된 크림프 접점(3)은 장착된 후 분해 공구를 이용하여 다시 분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은 스크류 접점(2)으로서 구성된 대안적인 플러그인 접점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비틀림 방지 장치(123)를 갖지만, 크림프 접점(3)은 회전 방지 장치(123)와 상호작용하지 않는,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방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직선 성형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웨브(123)로서 구성되는,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크림프 접점(3)은 플러그인 영역(31)과 케이블 연결 영역(32) 사이에 편평화부 또는 만입부가 없는 원통형 보유 섹션(33)을 갖는,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은 크림프 접점(1)의 래칭 칼라(347)의 래칭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암(14)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래칭 암(14)은 래칭 칼라(347)로부터 크림프 접점(1)을 분해하기 위한 분해 공구를 이용하여 다시 제거될 수 있는,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에 더하여, 케이블 연결측을 상기 하우징 벽에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51)를 갖는 케이블 연결 하우징(5)으로서 별도의 제2 하우징을 추가로 갖는,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 하우징(5)은 케이블 글랜드를 가지며, 이 케이블 글랜드에 의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 내에 장착된 크림프 접점(3)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 내에서 최종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는 추가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 내에 크림프 접점(3)을 추가 고정하기 위한 고무 클램프(4)를 갖는,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림프 접점(3)은 300A("암페어") 이상의 전류 세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10. 복수의 충전식 배터리; 및 배터리들을 병렬로 그리고/또는 직렬로 서로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패치 케이블과,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매입형 플러그로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가 장착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
    을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이며,
    상기 배터리들은 적어도 하나의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를 통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그리고 각각 상기 패치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들에도 마찬가지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전류 플러그가 장착되는, 배터리 시스템.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를 하우징 벽에 장착하기 위한 방법이며, 다음 단계:
    A. 연결 케이블의 길이가 각각의 용례에 적합하게 맞춤 조정되는 단계;
    B. 상기 연결 케이블이 크림프 접점(3)에 크림핑되는 단계;
    C. 크림프 접점(3)이 케이블 연결측에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 내로 삽입되어 그 내부에 래칭되며,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이 플러그인측에서 하우징 벽 상의 벽 관통 개구에 나사로 조여지는 단계;
    D. 케이블 연결 하우징(5)이 케이블 연결측에서 하우징 벽 상의 벽 관통 개구에 나사로 조여지고 연결 케이블을 둘러싸는 단계;
    E. 유니온 너트(6)가 케이블 연결 하우징(5)에 나사로 고정됨으로써, 연결 케이블 및 이와 단단하게 크림핑된 크림프 접점(3)이 최종 위치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를 하우징 벽에 장착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방법 단계(D)에서 크림프 접점(3)의 추가 고정을 위해 크림프 접점(3)과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 사이에 고무 클램프(4)가 배치되는,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를 하우징 벽에 장착하는 방법.
KR1020237022917A 2020-12-10 2021-11-29 배터리 관리 시스템용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KR202301177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32962.8 2020-12-10
DE102020132962.8A DE102020132962A1 (de) 2020-12-10 2020-12-10 Hochstromsteckverbinder für Batteriemanagementsystem
PCT/DE2021/100944 WO2022122075A1 (de) 2020-12-10 2021-11-29 Hochstromsteckverbinder für batteriemanagement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744A true KR20230117744A (ko) 2023-08-09

Family

ID=7895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917A KR20230117744A (ko) 2020-12-10 2021-11-29 배터리 관리 시스템용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47899A1 (ko)
EP (1) EP4260407A1 (ko)
KR (1) KR20230117744A (ko)
CN (1) CN116569423A (ko)
DE (1) DE102020132962A1 (ko)
WO (1) WO202212207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16506D0 (en) * 1995-08-11 1995-10-11 Amp Gmbh Seal carrying contact for a connector assembly
JP3498832B2 (ja) 1998-09-10 2004-02-23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雌型端子の組立方法及びコネクタハウジング
FR2855660B1 (fr) 2003-05-27 2005-08-19 Marechal Sepm Dispositif de connexion electrique muni d'au moins un contact en bout tubulaire
DE102007031860A1 (de) 2007-07-09 2009-01-15 Robert Bosch Gmbh Akkumulator
JP5096515B2 (ja) * 2010-03-26 2012-1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5105482B4 (de) 2015-04-10 2019-02-07 Rittal Gmbh & Co. Kg Schaltschrank oder Rack zur Aufnahme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insbesondere Batterien, und eine entsprechende Schaltschrank- oder Rackanordnung
DE102016109266A1 (de) * 2016-05-06 2017-11-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ungsvorrichtung mit wenigstens einem Steckverbinder
CN206098925U (zh) 2016-10-10 2017-04-12 泰兴市八达电连接器有限公司 电动汽车空调压缩机圆形高压连接器
DE102016124501A1 (de) 2016-12-15 2018-06-21 Metabowerke Gmbh Konfigurierbares Akkupack
US10516254B2 (en) 2017-06-08 2019-12-24 Legrand Av Inc. Electronics rack with integrated batteries for uninterrupted power supply
DE102018126448A1 (de) * 2018-10-24 2020-04-30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CN111952755B (zh) * 2020-08-20 2024-04-30 常熟利星光电科技有限公司 直插式铜铝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60407A1 (de) 2023-10-18
DE102020132962A1 (de) 2022-06-15
US20240047899A1 (en) 2024-02-08
WO2022122075A1 (de) 2022-06-16
CN116569423A (zh)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3811B2 (en) Electrical ground connector
US7503800B2 (en) Meter jaw assembly
MX2007001334A (es) Conector electrico modular y metodo de uso.
CA2568267C (en) Hermaphroditic handle socket assembly and pin assembly
CN102037611A (zh) 引线端子
US20060105626A1 (en) Electrical receptacle and junction box free of wire-nuts
JP6110470B2 (ja)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接続構成
CN108475889A (zh) 大功率电连接器
US7090544B2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using
CA2965161C (en) Pad extending member
US20120202360A1 (en) Electrical hinge connector
US6126478A (en) Wiring device with gripping of individual conductors
KR20230117744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용 대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US5657200A (en) Tubular bus arrangement for power transport in electrical devices
CA2647666C (en) High voltage fuse with universal fuse terminal
KR101811007B1 (ko) 시공이 편리한 분전반
AU746230B2 (en) Electronic power distribution module
KR100816282B1 (ko) 배전 선로의 분기슬리브
EP3828037B1 (en) Arrangement for attaching an insulator sleeve to an electrical conductor
CA1217552A (en) Ground disconnect block
KR102249090B1 (ko)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WO2007009486A1 (en) Connector contact with separate clamping beams provided with arcuate sections
US20020132513A1 (en) High voltage bulkhead connector
US20230387622A1 (en) Electrical safety connector
US20220094081A1 (en) Protective conductor conn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