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263A -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263A
KR20070035263A KR1020050089915A KR20050089915A KR20070035263A KR 20070035263 A KR20070035263 A KR 20070035263A KR 1020050089915 A KR1020050089915 A KR 1020050089915A KR 20050089915 A KR20050089915 A KR 20050089915A KR 20070035263 A KR20070035263 A KR 20070035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forwarding
calling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형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5263A/ko
Publication of KR20070035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Abstract

착신 전환 대상 발신자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미리 설정 등록된 전화번호로 착신 전환하는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제 1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대상 여부를 확인하고, 착신 전환 대상일 경우, 상기 착신 전환을 위해 미리 설정해둔 제 2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 1 전환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 정보 서버는, 착신 대상 단말기 정보 및 상기 제 2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미리 저장함으로써, 착신 단말기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 번호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착신 단말기 가입자가 원하는 개별번호로 착신시켜 통화할 수 있다.
착신 전환

Description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SELECTIVELY CALL TRANSFER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발신 단말기가 착신 전환 대상이 아닐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발신 단말기가 착신 전환 대상일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발신 단말기 120: 제 1 이동 교환국
130: 제 1 전환 시스템 131: 제 1 홈 위치 교환기
132: 단말 정보 서버 140: 제 2 전환 시스템
141: 제 2 홈 위치 교환기 150: 제 2 이동 교환국
160: 제 3 이동 교환국 170: 제 1 착신 단말기
180: 제 2 착신 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착신 전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신 전환할 발신자 번호에 따른 전화번호를 미리 설정 등록하여, 상기 발신자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자가 원하는 전화번호로 착신 전환하는 착신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와 입력된 정보 및 일정 정보를 가시상태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정보처리기기의 실 예로선,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 전자 수첩, 개인 휴대 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unication 2000),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있다. 이러한, 휴대용 이동 단말기들은 통상 사용자 정보의 처리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여러 기능 수행을 하게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가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는 전화수신에 대한 경보, 즉 링이나 진동형태의 착신 경보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착신전화가 있음을 경보하게 된다. 상기 착신 경보에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응답하면 발신측과 통화를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 관련 부가서비스로서,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부재시 혹은 집이나 회사에 단말기를 두고 온 경우, 음성사서함(VMS) 서비스 및 발신번호표시(CID)를 이용하여 음성메시지를 저장하거나 발신번호만 남기어 그 정보가 이동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음성메시지 녹음 기능이나 발신번호표시(CID)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어, 부재중이라 할지라도 착신정보 혹은 녹음된 음 성메시지 혹은 녹음된 음성메시지 등의 추후 확인이 가능하지만, 반드시 실시간으로 수신하여야 하거나 응급한 경우에 대한 통화를 단말기 사용자가 정보 확인 전까지 놓치는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착신 전환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부재시 혹은 집이나 회사에 단말기를 두고 온 경우에도 착신 정보를 놓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하지만, 착신 전환 설정된 이동 단말기로 착신되는 모든 착신 전화에 대해 착신 전환이 이루어지므로, 전환이 필요치 않거나 원하지 않는 통화도 착신 전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 전환 대상 발신자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미리 설정 등록된 전화번호로 착신 전환하는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제 1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대상 여부를 확인하고, 착신 전환 대상일 경우, 상기 착신 전환을 위해 미리 설정해둔 제 2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 1 전환 시스템; 및 상기 제 2 착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제 2 전환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제 1 전환 시스템은 상기 발신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대상 여부에 따른 위치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 1 홈 위치 교환기; 및 상기 제 2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홈 위치 교환기에 제공하는 단말 정보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단말 정보 서버는, 착신 대상 단말기 정보 및 상기 제 2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선택적 착신 전환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a) 발신 단말기의 제 1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한 제 1 홈 위치 교환기가 단말 정보 서버에 상기 발신 단말기의 착신 대상 여부 조회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단말 정보 서버가 상기 요청결과를 상기 제 1 홈 위치 교환기에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제 1 홈 위치 교환기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대상 여부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 및 (d)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제 1 홈 위치 교환기로부터 전달된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b) 단계는, (b-1) 저장된 착신 전환 단말기 정보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 단말기가 착신 전화 대상일 경우, 저장된 제 2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홈 위치 교환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술하기로 한 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은, 제 1 이동 교환국(120)을 통해 전달되는 발신 단말기(110)의 제 1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연결 경로를 결정하는 제 1 전환 시스템(130) 및 제 2 전환 시스템(140)을 포함한다.
제 1 전환 시스템(130)은 상기 발신 단말기(110)의 착신 전환 대상 여부에 따라, 제 1 착신 단말기(170) 또는 제 2 착신 단말기(180)의 위치 정보를 발신 단말기(110)가 속한 제 1 이동 교환국(120)으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제 1 전환 시스템(130)은, 제 1 홈 위치 교환기(131) 및 단말 정보 서버(132)를 포함한다.
제 1 홈 위치 교환기(131)는 상기 발신 단말기(110) 정보를 수신하며, 발신 단말기(110)의 착신 전환 대상 여부에 따른 제 1 또는 제 2 착신 단말기(170,180)의 위치 정보를 제 1 이동 교환국(120)으로 전달한다.
단말 정보 서버(132)는, 제 1 착신 단말기 가입자가 지정한 착신 대상 단말기 정보 및 상기 착신 대상 단말기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상기 제 2 착신 단말기(180)의 위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다시 말해, 단말 정보 서버(132)는 상기 제 1 홈 위치 교환기(131)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발신 단말기(110)의 정보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110)의 착신 전환 대상 여부를 판단하고, 파단 결과, 착신 전환 대상일 경우, 미리 저장된 상기 제 2 착신 단말기(180) 정보를 제 1 홈 위치 교환기(131)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발신 단말기(110)가 착신 전환 대상이 아닐 경우, 단말 정보 서버(132)는 상기 제 1 홈 위치 교환기(131)에 그에 따른 결과를 통보한다. 즉, 발신 단말기(110)가 착신 전환 대상이 아닐 경우, 제 1 홈 위치 교환기(141)는 제 1 착신 단말기(170)가 속한 제 2 이동 교환국(150)으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이동 교환국(120)으로 전달한다.
제 2 전환 시스템(140)은, 상기 발신 단말기(110)의 제 2 착신 단말기(180)의 위치 정보 요청 결과를 제 1 이동 교환국(120)으로 통보하는 제 2 홈 위치 교환기(141)를 포함한다. 즉, 제 2 홈 위치 교환기(141)는 제 1 이동 교환국(120)을 통해 전달되는 제 2 착신 단말기(120)의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제 2 착신 단말기(180)가 속한 제 3 이동 교환국(160)으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착신 단말기(180)의 위치 정보를 제 1 이동 교환국(120)으로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적 착신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는 발신 단말기가 착신 전환 대상이 아닐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발신 단말기가 착신 전환 대상일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발신 단말기(110)가 착신 전환 대상이 아닐 경우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발신 단말기(110)가 제 1 이동 교환국(120)을 통해 제 1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를 제 1 홈 위치 교환기(131)에 요청한다(S110).
이 후, 발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한 상기 제 1 홈 위치 교환기(131)는 단말 정보 서버(132)에 상기 발신 단말기(110)의 착신 전환 대상 여부 확인을 요청한다(S120).
그런 다음, 단말 정보 서버(132)는 미리 설정 저장된 착신 전환 대상 단말기 정보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110)가 착신 전환 대상이 아닌 것을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제 1 홈 위치 교환기(131)로 전달한다(S130).
그리고 나서, 제 1 홈 위치 교환기(131)는 제 1 착신 단말기(170)가 속한 제 2 이동 교환국(150)에 상기 제 1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S140), 제 2 이동 교환국(150)은 상기 요청 결과를 제 1 홈 위치 교환기(131)에 전달한다(S150).
다음으로, 제 1 홈 위치 교환기(131)는 제 1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를 제 1 이동 교환국(120)으로 전달함으로써(S160), 최종적으로, 발신 단말기(110)와 제 1 착신 단말기(170)가 상호 연결된다(S190).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발신 단말기(110)가 착신 전환 대상일 경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신 단말기(110)가 제 1 이동 교환국(120)을 통해 제 1 착신 단말기(170)의 위치 정보를 제 1 홈 위치 교환기(131)에 요청한다(S210).
이 후, 발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한 상기 제 1 홈 위치 교환기(131)는 단말 정보 서버(132)에 상기 발신 단말기(110)의 착신 전화 대상 여부 확인을 요청한다(S220).
그런 다음, 단말 정보 서버(132)는 미리 지정된 착신 전환 대상 단말기 정보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110)가 착신 대상임을 판단하고, 설정 저장된 제 2 착신 단말기(180)의 위치 정보를 제 1 홈 위치 교환기(131)로 전달한다(S230).
그리고 나서, 제 1 홈 위치 교환기(131)는 상기 제 2 착신 단말기(180)의 위치 정보를 제 1 이동 교환국(120)으로 전달한다(S240). 이 때, 제 1 홈 위치 교환기(131)는 상기 제 2 착신 단말기(180)의 위치 정보를 전달함과 동시에, 제 2 이동 교환국(150)을 통해 제 1 착신 단말기(170)로 상술한 바와 같은 착신 전환된 사실을 통보한다(S250). 여기서, 착신 전환 통보는 음성사서함 또는 문자 메시지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이동 교환국(120)은 제 2 홈 위치 교환기(141)에 제 2 착신 단말기(18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며(S260), 이를 수신한 제 2 홈 위치 교환기(141)는 제 2 착신 단말기(180)가 속한 제 3 이동 교환국(141)에 제 2 착신 단말기(18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S270).
이 후, 제 3 이동 교환국(141)은 제 2 착신 단말기(180)의 위치 정보를 제 2 홈 위치 교환기(141)에 제공하며(S280), 이를 수신한 제 2 홈 위치 교환기(141)는 상기 제 2 착신 단말기(180)의 위치 정보를 제 1 이동 교환국(120)으로 전달함으로써(S290), 최종적으로, 발신 단말기(110)와 제 2 착신 단말기(180)가 상호 연결된다(S30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 가입자가 자신이 받고 싶지 않거나, 받고 싶은 특정 발신자 번호를 지정 하고, 상기 특정 번호에 따른 착신지를 설정하여, 상기 설정번호를 단말 정보 서버(132)에 저장함으로써, 특정 발신자의 호출에 한에서만 가입자가 원하는 착신지로 전환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은, 특정 번호에 대한 착신지를 미리 설정 저장함으로써, 특정 발신자에 한에서만가입자가 원하는 착신지로 전환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이동 통신망의 착신 전환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제 1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대상 여부를 확인하고, 착신 전환 대상일 경우, 상기 착신 전환을 위해 미리 설정해둔 제 2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 1 전환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착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제 2 전환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환 시스템은,
    상기 발신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대상 여부에 따른 위치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 1 홈 위치 교환기; 및
    상기 제 2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홈 위치 교환기에 제공하는 단말 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 서버는,
    착신 대상 단말기 정보 및 상기 제 2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
  5.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환 시스템은,
    상기 제 2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 2 홈 위치 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환 시스템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착신 전환 대상이 아닐 경우, 상기 제 1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
  7. 이동 통신망의 착신 전환 방법에 있어서,
    (a) 발신 단말기의 제 1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한 제 1 홈 위치 교환기가 단말 정보 서버에 상기 발신 단말기의 착신 대상 여부 조회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단말 정보 서버가 상기 요청결과를 상기 제 1 홈 위치 교환기에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제 1 홈 위치 교환기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대상 여부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 및
    (d)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제 1 홈 위치 교환기로부터 전달된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 전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저장된 착신 전환 단말기 정보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 단말기가 착신 전화 대상일 경우, 저장된 제 2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홈 위치 교환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 전환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위치 교환기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착신 전환 대상이 아닐 경우, 상기 제 1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 전환 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위치 교환기는,
    상기 발신 단말기에 상기 제 2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위치 정보가 전달되었다는 메시지를 상기 제 1 착신 단말기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 전환 방법.
  11. 제 7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착신 전환 대상일 경우, (d-1) 제 2 홈 위치 교환기가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제 2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요청결과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및
    (d-2)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제 2 착신 단말기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 전환 방법.
  12. 제 7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착신 전환 대상이 아닐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제 1 착신 단말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 전환 방법.
KR1020050089915A 2005-09-27 2005-09-27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35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915A KR20070035263A (ko) 2005-09-27 2005-09-27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915A KR20070035263A (ko) 2005-09-27 2005-09-27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263A true KR20070035263A (ko) 2007-03-30

Family

ID=4365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915A KR20070035263A (ko) 2005-09-27 2005-09-27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52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497B1 (ko) * 2007-11-05 2009-06-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497B1 (ko) * 2007-11-05 2009-06-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588B1 (ko) 통신 통지 및 핸들링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5232173B2 (ja) サーバ装置、及び、メッセージ送信方法
US7548538B2 (en) Telephone call manager
US7974659B2 (en) Repeat dialing in wireless networks to called parties that are powered off
KR100785408B1 (ko) 발신자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251332A (ja) 移動体通信端末、着信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617738B2 (ja) 電話制御装置、電話システム、および発信制御方法
KR20070035263A (ko)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97457A (ko) 착신 단말기의 전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방법
KR100830823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sms를 이용한 실시간 착신전환방법
US20060223584A1 (en) Notify me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KR100793351B1 (ko) 통화 중 예약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23481A (ko) 메신저의 상태정보에 따른 인터넷 전화의 호 전환 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JP3886129B2 (ja) 留守番電話サービスに用いる交換システム、留守番電話サービスに用いる移動端末、留守番電話サービス方法
KR100684645B1 (ko) 원격 대리조작을 위한 에이전트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및 에이전트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의 원격 대리조작 방법
JP3600183B2 (ja) 発信代行装置及び方法
JP3737387B2 (ja) 発信代行装置及び方法
JP4885694B2 (ja) 機能制御システム及び機能制御方法
JP5652006B2 (ja) 中継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ショートメッセージ中継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065051B1 (ko) 호 전환 정보 표시 시스템, 방법 및 단말기
JP4258848B2 (ja) Ip電話装置
KR100806177B1 (ko) 유무선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91025A (ko) Gsm/umts에서의 착신불가호에 대한 발신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60091446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KR100911818B1 (ko) 음성 대화 저장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