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497B1 -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497B1
KR100903497B1 KR1020070112126A KR20070112126A KR100903497B1 KR 100903497 B1 KR100903497 B1 KR 100903497B1 KR 1020070112126 A KR1020070112126 A KR 1020070112126A KR 20070112126 A KR20070112126 A KR 20070112126A KR 100903497 B1 KR100903497 B1 KR 100903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mobile terminal
switch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149A (ko
Inventor
조정제
임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112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497B1/ko
Publication of KR20090046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54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1 통신 단말로부터 제 2 통신 단말로의 단말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 3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단말로의 통화 발신 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통신 단말을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제 3 통신 단말측의 교환기로부터 제 1 통신 단말에 대한 착신 위치 정보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제 1 통신 단말이 단말 전환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단말 전환 상태인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제 2 통신 단말측 교환기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 2 통신 단말측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를 문의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제 3 통신 단말측 교환기로 상기 제 2 통신 단말측 교환기로의 라우팅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통신 단말측 교환기에서 상기 제 3 통신 단말측 교환기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단말에 대한 통화 연결 요청을 받아 상기 제 2 통신 단말로 착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 전환, 이동통신, 프로파일, 착신, 발신 호

Description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CALL IN MOBILE TRANSFER SERVICE}
본 발명은 이동 단말 전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느 한 이동 단말로 제공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다른 이동 단말로 대신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 전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 사용중이던 이동 단말의 모든 프로파일(profile)을 새로운 이동 단말에 이전하고자 하는 경우 기기 변경이나 해지 및 개통 절차가 필요하며, 이는 일회성이 아닌 영구적인 특성을 갖는다. 또한, 프로파일(profile) 이전 후에 원상태로 복귀를 위해서는 동일한 절차를 반복해야 한다.
한편, 최근 영상 통화가 가능한 WCDMA 시스템이 도입되며, 이동 가입자는 이동 단말에 장착된 스마트 카드(예컨대, USIM)를 분리하여 다른 이동 단말에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과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 가입자가 이동 단말에서 스마트 카드를 분리하여 다른 이동 단말에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며, 이동 가입자가 현재 이용 중인 이동 단말이 아닌 다른 이동 단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 사용중인 이동 단말에서 다른 이동 단말로 서비스 전환을 하여 상기 기 사용중인 이동 단말로 착신되는 음성, 화상 통화 호를 상기 다른 이동 단말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음성, 화상 통화 호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제 1 통신 단말로부터 제 2 통신 단말로의 단말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 3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단말로의 통화 발신 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통신 단말을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제 3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로부터 제 1 통신 단말에 대한 착신 위치 정보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제 1 통신 단말이 단말 전환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단말 전환 상태인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를 문의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제 3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로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로의 라우팅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에서 상기 제 3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단말에 대한 통화 연결 요청을 받아 상기 제 2 통신 단말로 착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제 1 통신 단말로부터 제 2 통신 단말로의 단말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제 3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단말로의 통화 발신 호를 처리하는 시스템은, 상기 제 1 통신 단말의 위치 등록 정보로서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3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단말에 대한 착신 위치 정보 질의시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 정보를 응답하는 홈 위치 등록기; 및 상기 제 2 통신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로서 상기 제 1 통신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치환 저장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의 응답에 따라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단말에 대한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치환된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통신 단말로 착신 처리하는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가입자는 기존 사용하던 이동 단말에서 다른 이동 단말로 단말 전환을 하여 기존 이동 단말로 착신되어야 할 음성, 화상 통화 호를 상기 다른 이동 단말로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을 분실한 경 우 등에 단말을 교체하는 동안 다른 이동 단말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어, 단말 분실로 인한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전환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전환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이동 단말(110, 120), 상기 각 이동 단말(110, 120)이 위치하는 교환기(130, 140), 상기 각 이동 단말(110, 120)을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50, 160), 단말 전환 처리를 제어하는 단말 전환 서버(170), 이동 단말(110, 120)의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와 MSISDN(Mobile Subscriber ISDN Number) 매핑 데이터를 관리하는 FNPS(180)를 포함한다.
도 1에 있어서, 이동통신 가입자는 이동 단말(120)을 사용하는 중에 이동 단말(110)로 단말 전환을 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 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120)은 기존 이동 단말로 지칭되고, 상기 이동 단말(110)은 전환 대상 이동 단말로 지칭된다. 이러한 이동 단말(110, 120)로는 음성 또는 화상 통신, 문자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이면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PDA, 셀룰러폰, PCS폰, GSM폰, W-CDMA폰, CDMA-2000폰, MBMS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은 차량에 설치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레매틱스 단말일 수 있다.
이동통신 가입자는 기존 이동 단말(120)로부터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단말 전환을 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에 단말 전환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코드(예컨대, *120)와, 전환하려는 기존 이동 단말(120)의 전화번호(즉, MSISDN)을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입력한다. 이에 따라, 기존 이동 단말(120)의 정보들은 이동통신망에서 비활성화되어 기존 이동 단말(120)의 착발신은 금지되고 모든 호 처리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동 단말(110, 120)과 교환기(130, 140)는 기지국(NodeB) 및 기지국 제어기(RNC)를 통해 연결되고, 교환기(130, 140)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다른 네트워크, 즉 공중망이나 지능망 시스템 등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단말 전환시, 교환기(140)는 기존 이동 단말(120)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비활성화 설정하여 기존 이동 단말(120)의 착발신을 차단한다. 또한 교환기(130)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상기 기존 이동 단 말(120)의 서비스 프로파일로 변경하고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MSISDN을 상기 기존 이동 단말(120)의 MSISDN으로 변경하여, 기존 이동 단말(120)로 착신되는 호가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착신되도록 한다. 반대로, 단말 전환 해제시, 교환기(140)는 기존 이동 단말(120)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활성화시키고, 교환기(130)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복구시킨다.
한편, 교환기(140)는 단말 전환이 이루어진 후, 기존 이동 단말(120)로부터 발신되는 호를 모두 차단할 수 있지만, 특정 기능을 위한 발신 호는 차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전환을 하여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을 이용하다가 단말 전환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 이동 단말(120)은 호 발신이 차단되어 기존 이동 단말(120)로는 단말 전환 해제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교환기(140)는 기존 이동 단말(120)로부터 단말 전환 해제 발신 호가 전송되어 오는 경우에는 발신을 허용하여 단말 전환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교환기(140)는 단말 전환 해제를 위한 기능 코드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기존 이동 단말(120)로부터 상기 기능 코드를 포함하는 발신 호가 전송되어 오면 상기 기능 코드를 참조하여 해당 발신 호의 발신을 허용한다.
홈 위치 등록기(150, 160)는 이동 단말(110, 120)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이동 단말(110, 120)의 식별번호(IMSI, MSISDN 등), 부가 서비스 정보, 위치 정보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전환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바람직하게, 기존 이동 단말(120)의 홈 위치 등록기(160)는, 단말 전환이 이루어지면 기존 이동 단말(120)의 정보에 전환 표시 를 하고,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이 위치하는 교환기(150) 및/또는 패킷 교환 노드(SGSN, 미도시)의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을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50)의 시스템 데이터(GT 정보)를 관리한다. 반대로, 단말 전환이 해제되면, 기존 이동 단말(120)의 홈 위치 등록기(160)는 단말 전환 정보를 삭제하여 원래대로 복구시킨다. 한편,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홈 위치 등록기(150)는, 단말 전환이 이루어지면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정보에 기존 이동 단말(120)로부터 단말 전환이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관리한다. 단말 전환 해제시, 홈 위치 등록기(150)는 단말 전환 정보를 삭제 처리한다.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홈 위치 등록기(150)에 저장된 단말 전환 정보는 단말 전환 상태에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이 위치 등록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단말 전환 서버(170)는, 단말 전환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단말 전환 서비스 로직을 수행한다. 즉, 단말 전환 서버(170)는 홈 위치 등록기(150, 16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코드에 따라, 단말 전환 명령 또는 단말 전환 해제 명령 메시지를 FNPS(180)로 전송한다. 이때, 단말 전환 서버(170)는 단말 전환 명령 또는 단말 전환 해제 명령 메시지 내에 기존 이동 단말(120)의 MSISDN을 포함시킨다.
FNPS(Flexible Number Portability Server)(180)는 기존 이동 단말의 IMSI와 MSISDN 매핑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고, 상기 단말 전환 서버(170)로부터 단말 전환 명령 또는 단말 전환 해제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메시지에 포함된 기존 이동 단말(120)의 MSISDN을 이용하여 IMSI를 검색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기존 이동 단말(120)의 MSISDN을 상기 검색된 IMSI로 치환하여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여 단말 전환 설정 또는 단말 전환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 전환 명령 또는 단말 전환 해제 명령 메시지는 ATM(AnyTime Modification) 메시지이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전환 서버(170)와 FNPS(180)를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설명하지만, FNPS(180)는 이동 단말의 MSISDN과 IMSI의 매핑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으로서 단말 전환 서버(170)와 FNPS(180)는 하나로 통합 구축될 수 있고, 이때 FNPS(180)는 DB로서만 이용되고 단말 전환 서버(170)에서 상술한 FNPS(18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청구범위에서의 단말 전환 서버는 본 실시예의 단말 전환 서버(170)와 FNPS(180)가 통합 구축된 경우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실시예에서는 별도 구축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전환 서비스 가입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전환 서비스에 가입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가입자는 대리점, 고객 센터를 통해 단말 전환 서비스에 가입한다. 이동통신 가입자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 도 2에서 MS1)을 지정하여 단말 전환 서비스에 가입한다. 이때, 하나의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에 대해 다수의 이동통신 가입자가 단말 전환 가입을 할 수 있다. 예컨대, 가족 구성원들이 어느 한 이동 단말(110, 도 2에서 MS1)을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지정하여 단말 전환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가입자가 단말 전환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고객 정보 시스템(WISE)은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 단말(120)을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60, HLR2)로 상기 이동 단말(120) 및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정보, 즉 IMSI, MSISDN을 전송한다(S201). 그러면, 홈 위치 등록기(160, HLR2)는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단말 정보에 단말 전환 서비스 설정 정보를 등록한다(S203). 도면에서는 이동통신 가입자 하나에 대해서만 기재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가입자가 하나의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을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가입자의 단말을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로 해당 가입자의 이동 단말 정보 및 전환 대상 이동 단말의 정보를 전송 등록한다.
다음으로, 고객 정보 시스템은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을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50, HLR1)로 단말 전환 가입 정보, 즉 가입자의 기존 이동 단말(120) 정보와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정보를 전송한다(S205). 다수의 가입자가 하나의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을 지정한 경우, 고객 정보 시스템은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정보(MS1)와 상기 다수의 가입자의 이동 단말의 정보(MS2#1, MS2#2, MS2#3, MS2#4...)를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을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50, HLR1)로 전송한다. 그러면, 홈 위치 등록기(150, HLR1)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정보에 상기 다수의 이동 단말의 정보를 등록한다(S207).
다음으로, 고객 정보 시스템은 단말 전환 서비스를 신청한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 단말(120)의 IMSI와 MSISDN 매핑 데이터를 FNPS(180)로 전송하고(S209), FNPS(180)는 그 수신된 IMSI와 MSISDN 매핑 데이터를 등록하고 관리한다(S211). 또 한, 고객 정보 시스템은 단말 전환 가입 정보, 즉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정보(MS1)와 다수의 가입자의 이동 단말의 정보(MS2#1, MS2#2, MS2#3, MS2#4...)를 단말 전환 서버(170)로 전송하고(S213), 단말 전환 서버(170)는 그 정보들을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을 기준으로 등록 관리한다(S215).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전환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 전환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 기존 이동 단말(120)의 프로파일 정보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60)와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프로파일 정보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50)가 동일한 경우의 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이동 가입자는 기존 사용하던 이동 단말(120)에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 도 3에서 MS1)로 단말 사용을 전환하기 위해,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에 단말 전환 서비스 활성화 코드(예컨대, *120) 및 상기 기존 이동 단말(120)의 전화번호(즉, MSISDN, 도 3에서 'MSISDN2'로 표기)를 입력한다. 그러면,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은 단말 전환 요청 메시지인 Process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Request 메시지를 교환기(130, 도 3에서 MSC1)를 거쳐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로 전송한다(S301, S303). 여기서 상기 ProcessUSSD-Request 메시지에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IMSI(도 3에서 'IMSI1'로 표기), 서비스 활성화 코드, 기존 이동 단말(120)의 전화번호(MSISDN2)가 포함된다.
이어서,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교환기(MSC1)를 통해 수신된 상기 ProcessUSSD-Request 메시지를 분석한다. 상기 ProcessUSSD-Request 메시지에는 단 말 전환 서비스 활성화 코드(*120)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홈 위치 등록기는 단말 전환 처리를 위해 단말 전환 서버(170)로 상기 ProcessUSSD-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305).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ProcessUSSD-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 전환 서버(170)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IMSI, 기존 이동 단말(120)의 전화번호(즉, MSISDN) 및 기존 이동 단말(120)로부터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의 단말 전환을 지시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전환 명령 메시지인 ATM(AnyTime Modification) 메시지를 FNPS(180)로 전송한다(S307). FNPS(180)는 단말 전환 서버(170)로부터 전송된 ATM 메시지에 포함된 기존 이동 단말(12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기존 이동 단말(120)의 IMSI(도 3에서 IMSI2로 표기)를 검색한 후, 상기 ATM 메시지의 기존 이동 단말(120)의 전화번호를 상기 검색한 IMSI로 변경하여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한다(S309).
다음으로, 홈 위치 등록기는, ATM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전환을 지시하는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IMSI, 기존 이동 단말(120)의 전화번호(MSISDN) 및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 그리고 단말 전환 활성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 전환 명령 메시지(즉, ISD(Insert Subscriber Data) 메시지)를 상기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이 위치하는 교환기(130, MSC1)로 전송하고(S311),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이 위치하는 패킷 교환 노드(SGSN)로 전송한다.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이 위치하는 교환기(130, MSC1) 및 패킷 교환 노드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IMSI에 매핑되어 있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전화번호(MSISDN) 및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를 기존 이동 단말(120)의 전화번호(MSISDN) 및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로 치환하고 단말 전환 서비스가 활성화되었음을 설정하고, 응답 메시지를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한다(S313).
또한, 홈 위치 등록기는, 기존 이동 단말(120)을 비활성화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기존 이동 단말(120)의 IMSI와 일반 호 처리 비활성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 비활성화 명령 메시지(즉, ISD(Insert Subscriber Data) 메시지)를 기존 이동 단말(120)이 위치하는 교환기(140, MSC2)에 전송하고(S315),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패킷 교환 노드(SGSN)로 전송한다. 기존 이동 단말(120)이 위치하는 교환기(140, MSC2) 및 패킷 교환 노드는, 기존 이동 단말(120)의 일반 호 처리를 비활성화 설정하고 응답 메시지를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한다(S317).
이와 같이, 교환기(MSC1, MSC2) 및 패킷 교환 노드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홈 위치 등록기는 처리 결과로서 ATM 응답 메시지를 단말 전환 서버(170)로 전송한다(S319, S321). 단말 전환 서버(170)는 기존 이동 단말(120)로부터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단말 전환이 설정되었음을 관리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결과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S323). 홈 위치 등록기는 처리 결과를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전송한다(S325). 이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는 기존 이동 단말(120)에 대해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단말 전환이 이루어졌음을 표시 관리하고, 또한 기존 이동 단말(120)의 위치 등록 정보로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교환기(130, MSC1) 및 패킷 교환 노드의 주소 정보를 설정 관리한다(S327). 이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는 교환기로부터 기존 이동 단말(120)에 대한 착신 위치 질의가 오 면 기존 이동 단말(120)의 교환기 정보가 아닌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교환기 정보를 이용하여 호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이 텔레매틱스 차량 단말인 경우 홈 위치 등록기는 단말 전환 서비스의 대상이 차량임을 설정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정보에 기존 이동 단말(120)로부터 단말 전환이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관리한다. 그 저장된 단말 전환 정보는 단말 전환 상태에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이 위치 등록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이상의 과정에 따라, 이동통신망에서의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프로파일 정보가 기존 이동 단말(120)의 프로파일 정보로 치환되고, 기존 이동 단말(120)의 프로파일 정보는 비활성화되어, 기존 이동 단말(120)로 착신되는 모든 호, 예컨대 음성 통화 호, 화상 통화 호, 문자 메시지 호, 멀티미디어 메시지 호, 패킷 호 등을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대신 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이 차량에 장착되는 텔레매틱스 단말일 경우, 이동통신 가입자는 차량에 탑승하여 자신의 이동 단말을 텔레매틱스 단말로 전환하여 자신의 이동 단말로 착신되어야 하는 호들을 텔레매틱스 단말로 대신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가입자는 차량 탑승시에 운전에 방해되지 않으며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전환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 전환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 기존 이동 단말(120)의 프로파일 정보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와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프로파일 정보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가 다른 경우의 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이동 가입자는 기존 사용하던 이동 단말(120)에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 도 4에서 MS1)로 단말 사용을 전환하기 위해,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에 단말 전환 서비스 활성화 코드(예컨대, *120) 및 상기 기존 이동 단말(120)의 전화번호(즉, MSISDN, 도 4에서 MSISDN2로 표기)를 입력한다. 그러면,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은 단말 전환 요청 메시지인 ProcessUSSD-Request 메시지를 교환기(130, 도 4에서 MSC1)를 거쳐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50, 도 4에서 HLR1)로 전송한다(S401, S403). 여기서 상기 ProcessUSSD-Request 메시지에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IMSI(도 4에서 IMSI1으로 표기), 서비스 활성화 코드, 기존 이동 단말(120)의 MSISDN이 포함된다.
이어서, 홈 위치 등록기(150, HLR1)는 상기 교환기(130, MSC1)를 통해 수신된 상기 ProcessUSSD-Request 메시지를 분석한다. 상기 ProcessUSSD-Request 메시지에는 단말 전환 서비스 활성화 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홈 위치 등록기(HLR1)는 단말 전환 처리를 위해 단말 전환 서버(170)로 상기 ProcessUSSD-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405).
홈 위치 등록기(150, HLR1)로부터 ProcessUSSD-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 전환 서버(170)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IMSI, 기존 이동 단말(120)의 MSISDN 및 기존 이동 단말(120)로부터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의 단말 전환을 지시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ATM 메시지를 FNPS(180)로 전송한다(S407). FNPS(180)는 단말 전환 서버(170)로부터 전송된 ATM 메시지에 포함된 기존 이동 단말(120)의 MSISDN를 이용하여 기존 이동 단말(120)의 IMSI(도 4에서 IMSI2로 표기)를 검색한 후, 상기 ATM 메시지에서 기존 이동 단말(120)의 전화번호를 상기 검색한 IMSI로 변경하여 상기 홈 위치 등록기(150, HLR1)로 전송한다(S409).
다음으로, 홈 위치 등록기(150, HLR1)는, 상기 ATM 메시지를 분석하여 기존 이동 단말(120)로부터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의 단말 전환임을 판단하는데 기존 이동 단말(120)의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있지 않으므로, 기존 이동 단말(120)의 프로파일 정보를 관리하는 홈 위치 등록기(160, HLR2)로 기존 이동 단말(120)의 IMSI,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IMSI, 그리고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이 위치하는 교환기(130, MSC1) 및 패킷 교환 노드(SGSN1)의 주소를 포함하는 ATM 메시지를 전송한다(S411).
이러한 ATM 메시지를 수신한 홈 위치 등록기(160, HLR2)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IMSI, 기존 이동 단말(120)의 MSISDN, 기존 이동 단말(120)의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 그리고 단말 전환 활성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 전환 명령 메시지(즉, ISD(Insert Subscriber Data) 메시지)를 상기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이 위치하는 교환기(130, MSC1)에 전송하고(S413),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이 위치하는 패킷 교환 노드로도 전송한다.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이 위치하는 교환기(130, MSC1) 및 패킷 교환 노드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IMSI에 매핑되어 있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MSISDN 및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를 기존 이동 단말(120)의 MSISDN 및 서비스 프로파일 정 보로 치환하고 단말 전환 서비스가 활성화되었음을 설정하고, 응답 메시지를 홈 위치 등록기(160, HLR2)로 전송한다(S415).
또한, 홈 위치 등록기(160, HLR2)는, 기존 이동 단말(120)을 비활성화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기존 이동 단말(120)의 IMSI와 일반 호 처리 비활성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 비활성화 명령 메시지(즉, ISD(Insert Subscriber Data) 메시지)를 기존 이동 단말(120)이 위치하는 교환기(140, MSC2)로 전송하고(S417),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패킷 교환 노드로도 전송한다. 기존 이동 단말(120)이 위치하는 교환기(140, MSC2) 및 패킷 교환 노드는, 기존 이동 단말(120)의 일반 호 처리를 비활성화 설정하고 응답 메시지를 홈 위치 등록기(160, HLR2)로 전송한다(S419).
이와 같이, 교환기(140, MSC2) 및 패킷 교환 노드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홈 위치 등록기(160, HLR2)는 처리 결과 응답으로서 ATM 응답 메시지를 홈 위치 등록기(150, HLR1)로 전송하고(S421), 홈 위치 등록기(150, HLR1)는 ATM 응답 메시지를 단말 전환 서버(170)로 전송한다(S423, S425). 단말 전환 서버(170)는 기존 이동 단말(120)로부터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단말 전환이 이루어졌음을 설정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150, HLR1)로 결과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S427). 이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150, HLR1)는 교환기(130, MSC1)를 경유하여 결과 통지 메시지를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전송한다(S429).
이상의 과정에 따라, 기존 이동 단말(120)을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60, HLR2)는 기존 이동 단말(120)이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단말 전환되었음을 설 정하고, 또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을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의 정보를 설정하며, 또한 기존 이동 단말(120)의 위치 등록 정보로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을 수용하는 교환기(130, MSC1) 및 패킷 교환 노드의 정보를 설정한다(S433). 이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160)는 교환기(140, MSC2)로부터 기존 이동 단말(120)에 대한 착신 위치 질의가 오면 기존 이동 단말(120)의 교환기 정보가 아닌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교환기 정보를 이용하여 호 처리를 진행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150, HLR1)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정보에 기존 이동 단말(120)로부터 단말 전환이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관리한다(S431). 그 저장된 단말 전환 정보는 단말 전환 상태에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이 위치 등록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결국, 이동통신망에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프로파일 정보에 기존 이동 단말(120)의 프로파일 정보가 치환되고 기존 이동 단말(120)의 프로파일 정보는 비활성화되어, 기존 이동 단말(120)로 착신되는 모든 호, 예컨대 음성 통화 호, 화상 통화 호, 문자 메시지 호, 멀티미디어 메시지 호, 패킷 호 등을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대신 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이 차량에 장착되는 텔레매틱스 단말일 경우, 이동통신 가입자는 차량에 탑승하여 자신의 이동 단말을 텔레매틱스 단말로 전환하여 자신의 이동 단말로 착신되어야 하는 호들을 텔레매틱스 단말로 대신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가입자는 차량 탑승시에 운전에 방해되지 않으며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한 상기 실시예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하나의 기존 이동 단말(120)이 단말 전환을 하는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 고,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이동통신 가입자가 동일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을 지정하여 단말 전환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으므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복수의 기존 이동 단말(120)이 동시에 단말 전환을 할 수 있다. 복수의 기존 이동 단말(120)의 사용자는 각각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에 따라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단말 전환을 설정한다. 이때, 복수의 기존 이동 단말(120)이 하나의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동시에 단말 전환을 하므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을 수용하는 교환기(130, MSC1) 및 패킷 교환 노드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IMSI에 복수의 기존 이동 단말(110)의 MSISDN, 서비스 프로파일을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단말 전환이 이루어지면 기존 이동 단말(120)로 착신되는 음성, 화상 통화 호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착신되어, 이동통신 가입자는 기존 이동 단말(120)이 아닌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대신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음성, 화상 통화 호 착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 이동 단말(120)에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단말 전환을 한 후 기존 이동 단말(120)로 착신되어야 할 음성, 화상 통화 호를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착신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이동통신 가입자가 기존 이동 단말(120, MS2)로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시도할 경우, 그 이동통신 가입자는 본인의 이동 단말(도 5에서 MS3)에 상기 기존 이동 단말(12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통화 버튼을 입력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MS3)은 기존 이동 단말(12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발신 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한다(S501).
상기 이동 단말(MS3)으로부터 발신된 호는 발신측 교환기(MSC3)로 전송되고, 발신측 교환기(MSC3)는 발신 호에 포함된 착신자 전화번호, 즉 기존 이동 단말(120)의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로 위치 정보를 질의한다(S503).
위치 정보 질의를 받은 홈 위치 등록기(HLR)는 착신자 단말인 기존 이동 단말(120)이 단말 전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505). 만약 기존 이동 단말(120)이 단말 전환되어 있지 않은 경우 홈 위치 등록기(HLR)는 일반적인 호 처리 절차에 따라 기존 이동 단말(120)이 위치하는 교환기(140, MSC2)로 호 처리를 진행한다.
반면, 착신자 단말인 기존 이동 단말(120)이 단말 전환되어 있는 경우 홈 위치 등록기(HLR)에는 기존 이동 단말(120)의 위치 등록 정보로서 실제 기존 이동 단말(120)이 위치하고 있는 교환기(140, MSC2)가 아닌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교환기(130, MSC1)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따라서 홈 위치 등록기는 기존 이동 단말(120)이 단말 전환되어 있는 경우, 기존 이동 단말(120)의 위치 등록 정보로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이 위치하는 교환기(130, MSC1)의 정보를 확인한다(S507).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이 위치하는 교환기(130, MSC1)의 정보를 확인한 홈 위치 등록기(HLR)는 해당 교환기(130, MSC1)로 라우팅 넘버를 문의하고(S509), 해당 교환기(130, MSC1)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로 라우팅 넘버를 응답한 다(S511).
홈 위치 등록기(HLR)는 상기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측의 교환기(130, MSC1)의 라우팅 넘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응답을 상기 발신측 교환기(MSC3)로 전송하고(S513), 발신측 교환기(MSC3)는 위치 정보 응답에 포함된 라우팅 넘버에 따라 상기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측의 교환기(130, MSC1)로 호 접속 요청한다(S515).
그런데,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측의 교환기(130, MSC1)에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프로파일 정보에 기존 이동 단말(120)의 전화번호 및 프로파일 정보가 치환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측의 교환기(130, MSC1)는 상기 호 접속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기존 이동 단말(120)의 전화번호를 기초로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프로파일 정보를 확인한 후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호 착신 처리를 한다(S517). 이에 따라 발신자의 통화 호는 기존 이동 단말(120)이 아닌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로 착신 처리되고, 발신자는 전환 대상 이동 단말(110)의 사용자와 통화를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단말 전환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통신 가입자는 본인의 이동 단말로 착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통화 호를 대신 다른 이동 단말을 받음으로써, 본인의 단말을 분실할 경우 등에 있어서도 지속적인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전환 대상 이동 단말이 차량에 장착되는 텔레매틱스 단말인 경우 단말 전환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통신 가입자는 본인의 이동 단말이 아닌 차량에 장착된 텔레매틱스 단말을 이용하여 기존에 받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어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전환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전환 서비스 가입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전환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 전환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전환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 전환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음성, 화상 통화 호 착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20 : 이동 단말 130, 140 : 교환기
150, 160 : 홈 위치 등록기(HLR) 170 : 단말 전환 서버
180 : FNPS(Flexible Number Portability Server)

Claims (8)

  1. 제 1 통신 단말로부터 제 2 통신 단말로의 단말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 3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단말로의 통화 발신 호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제 1 통신 단말을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제 3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로부터 제 1 통신 단말에 대한 착신 위치 정보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제 1 통신 단말이 단말 전환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c) 단말 전환 상태인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를 문의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제 3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로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로의 라우팅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에서 상기 제 3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단말에 대한 통화 연결 요청을 받아 상기 제 2 통신 단말로 착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제 1 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교환기의 정보로서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에서, 제 2 통신 단말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로 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제 1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로 상기 제 1 통신 단말에 대한 비활성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제 1 통신 단말의 이동통신서비스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에서의 프로파일 정보 치환은,
    제 2 통신 단말의 IMSI에 제 1 통신 단말의 MSISDN 및 서비스 프로파일을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방법.
  5. 제 1 통신 단말로부터 제 2 통신 단말로의 단말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 동통신망에서 제 3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단말로의 통화 발신 호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 1 통신 단말의 위치 등록 정보로서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3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단말에 대한 착신 위치 정보 질의시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 정보를 응답하는 홈 위치 등록기; 및
    상기 제 2 통신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로서 상기 제 1 통신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치환 저장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의 응답에 따라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단말에 대한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치환된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통신 단말로 착신 처리하는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를 포함하는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통신 단말의 일반적인 호 처리를 위한 정보를 비활성화하여 상기 제 1 통신 단말의 이동통신서비스를 차단하는 상기 제 1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단말에서 상기 제 2 통신 단말로의 단말 전환 요청을 상기 제 2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함에 따라,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단말 전환 처리 명령을 전송하는 단말 전환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단말 전환 서버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로 상기 제 2 통신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제 1 통신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로 치환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로는 제 1 통신 단말의 호 처리 정보를 비활성화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시스템.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단말 측의 교환기는,
    제 2 통신 단말의 IMSI에 매핑된 MSISDN 및 서비스 프로파일을 제 1 통신 단말의 MSISDN 및 서비스 프로파일로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시스템.
KR1020070112126A 2007-11-05 2007-11-05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903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126A KR100903497B1 (ko) 2007-11-05 2007-11-05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126A KR100903497B1 (ko) 2007-11-05 2007-11-05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149A KR20090046149A (ko) 2009-05-11
KR100903497B1 true KR100903497B1 (ko) 2009-06-18

Family

ID=4085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126A KR100903497B1 (ko) 2007-11-05 2007-11-05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4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339A (ko) * 2002-09-24 2004-03-3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멀티 전화번호 서비스에서 지능형 착신전환 방법
KR20070035263A (ko) * 2005-09-27 2007-03-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77535A (ko) * 2006-01-24 2007-07-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반복 착신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339A (ko) * 2002-09-24 2004-03-3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멀티 전화번호 서비스에서 지능형 착신전환 방법
KR20070035263A (ko) * 2005-09-27 2007-03-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선택적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77535A (ko) * 2006-01-24 2007-07-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반복 착신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149A (ko)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832B1 (ko) 이동 단말과 텔레메틱스 단말 간의 단말 전환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100864582B1 (ko) 단말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03497B1 (ko)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907614B1 (ko)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의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561671B1 (ko) 부가 서비스의 우선순위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및 부가 서비스 우선순위 제어 방법
JP2910655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1003691B1 (ko) 단말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727752B1 (ko) 착신 제한 번호 입력 방법
KR100931504B1 (ko) 단말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23439B1 (ko)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착신 불가 호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100931505B1 (ko)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565827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
KR100863683B1 (ko) 단말 스위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66755B1 (ko)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착신 불가 호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100608285B1 (ko) 화상전화 시도시 발신 그룹별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서비스 방법
KR100554780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지정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방법
KR100864583B1 (ko)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의 위치 등록 방법 및 시스템
KR100565822B1 (ko)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음성 안내 링백톤 제공 방법
KR100645111B1 (ko) 착신 제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1187360B1 (ko) 발신 번호 변경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홈 위치 등록기
KR20110086306A (ko)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608282B1 (ko) 화상전화 시도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KR100837286B1 (ko) 착신전환시 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837540B1 (ko) 서비스 서버 그리고 그를 포함한 통화요구 알림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0186A (ko) 발신 번호 변경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