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827B1 -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827B1
KR100565827B1 KR20030054894A KR20030054894A KR100565827B1 KR 100565827 B1 KR100565827 B1 KR 100565827B1 KR 20030054894 A KR20030054894 A KR 20030054894A KR 20030054894 A KR20030054894 A KR 20030054894A KR 100565827 B1 KR100565827 B1 KR 100565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communication
calling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54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7736A (ko
Inventor
박재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54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827B1/ko
Publication of KR20050017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82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등급에 따라 각 발신자의 통화중 대기 서비스 실행을 위한 우선순위가 결정되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수의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통화등급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상태에서,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측으로 호발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설정된 통화등급을 근거로 우선순위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보다 통화등급이 우선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화중 대기음 및 발신자 표시번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보다 통화등급이 우선순위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해당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접속을 취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화중 대기, 우선순위, 등급, 통화중 대기음, 음성 메시지, 단문 메시지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PRIORITY CALL WAITING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가 설정한 통화등급에 근거하여 호발신되는 이동 전화번호의 호에 대해 통화중 대기의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상태에 대한 신호흐름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14:이동통신 단말기, 16:홈위치 등록기(HLR),
18:통화중 대기서비스 서버, 20:단문메시지 센터(SMC),
22:음성메일 서버(VMS), A1∼An:이동통신 기지국(BTS),
B1∼Bn:기지국 제어기(BSC), C1∼Cn:이동통신 교환기(MSC),
D1∼Dn: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VLR).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망의 발신자에 대한 통화중 대기 서비스 진행 여부를 가입자가 지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망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서 임의의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음성통화 또는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하는 통신영역을 관장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와, 해당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 가입자의 정보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관리하는 홈 위치 등록기와의 상호 정보통신에 의해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여 호접속 및 호접속 상태에서의 핸드오프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에서 특정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대방측의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나 유선전화 단말기 가입자가 호설정을 요청하게 되면, 해당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는 발신자번호 표시 서비스를 실행하고 있는 바, 이러한 발신자번호 표시 서비스를 통해서 발신자를 미리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통화를 원하지 않는 상대방을 임의적으로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 통신망 시스템에서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소정의 발신자와 음성통화를 진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발신자로부터의 호발신이 있는 경우에, 발신자번호 표시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른 발신자로부터의 호발신 상태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음성통화를 진행하고 있는 발신자를 대기상태로 전환하고 다른 발신자와의 호접속에 의한 음성통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 통신망 시스템에서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소정의 발신자와 음성통화를 진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발신자로부터의 호발신이 있는 경우에, 음성통화를 진행하던 발신자와 대기상태로 전환하고 다른 발신자와 음성통화를 진행할 수 있지만, 특정 발신자와 중요한 내용의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도중에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다른 발신자로부터의 호발신에 따른 통화 대기음 신호가 송출되는 경우에는 중요한 통화의 흐름을 깨거나 통화를 방해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 통신망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등급에 따라 각 발신자의 통화중 대기 서비스 실행을 위한 우선순위가 결정되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위한 우선순위가 결정되지 못 하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부가적인 메시지 통보 서비스를 유도하여 호발신 상태를 가입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수의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통화등급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상태에서,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측으로 호발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설정된 통화등급을 근거로 우선순위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보다 통화등급이 우선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화중 대기음 및 발신자 표시번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보다 통화등급이 우선순위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해당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접속을 취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 이동통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A1∼An),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B1∼Bn), 이동통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C1∼Cn), 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D1∼Dn), 홈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16), 통화중 대기 서비스 서버(18), 단문메시지 센터(Short Massage Center; SMC)(20) 및, 음성메일 서버(Voice Mail system; VMS)(22)로 구성된다.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음성통화가 가능한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따른 통화등급을 설정함에 의해, 특정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음성통화 도중에 통화중 다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호발신이 있게 되면, 상기 다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등급이 음성통화 중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등급보다 우선순위를 갖게 되면, 상기 통화중 대기서비스 서버(18)로부터의 통화중 대기음 신호를 수신받아 음성통화 중인 단말기를 통화 대기상태로 전환하고, 호발신이 이루어진 단말과 호접속에 의한 음성통화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14)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의한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위한 통화등급 설정 여부에 따라,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하나의 발신자와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중에 호발신을 시도하게 되면, 음성통화가 진행중인 발신측 보다 통화등급에 의한 우선순위를 갖는 발신측의 호발신에 의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음성통화가 가능하거나, 우선순위를 갖지 않게 됨에 의해 통화중 대기 대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음성 메시지 통보 기능 또는 문자 메시지 통보기능으로 전환된다.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기지국(A1∼An)은 기저대역의 신호처리와, 유무선 변환 및 무선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가입자의 단말기와 직접 연결되는 망 종단 장치로서, 이는 RF무선 신호의 처리에 의해 각각의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제 1 및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14)에 대한 음성 통화신호나 음성 안내 메시지 또는 데이터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B1∼Bn)는 각각의 담당 기지국(A1∼An)과 각 이동통신 교환기(C1∼Cn)의 사이에 위치하여 각 이동통신 기지국(A1∼An)의 관리 및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이는 각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제 1 및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14)에 대한 무선채널 할당 및 해제기능과, 단말기 및 기지국의 송신출력 제어기능, 셀간의 핸드오프 결정, 기지국의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교환기(C1∼Cn)는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의 착/발신 호처리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각 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D1∼Dn) 또는 홈 위치 등록기(16)를 통한 단말기의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하고, 착신자의 특정 발신자와의 음성 통화중 제 3 발신자의 호발신에 대한 통화중 대기 서비스 를 제공한다.
상기 다수의 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D1∼Dn)는 각각 해당되는 이동통신 교환기(C1∼Cn)가 관장하는 지역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정보 및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홈 위치 등록기(16)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등록된 전체 단말기 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와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SS7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C1∼Cn)와 연결하여 각 방문가입자 위치 등록기(D1∼Dn)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단말기 가입자의 위치등록 및 가입자 추적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통화중 대기 서비스 서버(18)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의해 설정되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등급을 등록시키고,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특정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도중에 다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호발신이 있게 되면, 그 다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통화 중인 발신측보다 통화등급이 우선순위를 갖는지를 검색하여, 우선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정되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대해 통화중 대기음 신호 및 발신자 표시번호가 송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통화중 대기 서비스 서버(18)에서는 상기 다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등급이 음성통화 중인 발신측보다 우선순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검색되면, 해당 다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음성 메시지로의 통보 서비스 또는 단문메시지로의 통보 서비스를 유도하는 안내기능을 수행하여, 해당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선택적으로 호발신 상태를 음성 메시지 또는 단문메시지 를 통해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20)는 SS7망을 통해 상기 각 이동통신 교환기(C1∼Cn)와 연결하고서, 통화중 대기 서비스 대상에서 제외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 단문메시지 통보 서비스를 활성화하여 호발신 상태를 알리는 단문메시지가 착신측에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음성 메일 서버(22)는 SS7망을 통해 상기 각 이동통신 교환기(C1∼Cn)와 연결하고서, 통화중 대기 서비스 대상에서 제외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 음성메시지 통보 서비스를 활성화하여 호발신 상태를 알리는 음성메시지가 착신측에 전송되도록 한다.
다음에,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가 설정한 통화등급에 근거하여 호발신되는 이동 전화번호의 호에 대해 통화중 대기의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상태에 대한 신호흐름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화중 대기 서비스 서버(18)에 접속하여 해당 단말기 가입자가 개인적으로 중요하게 판단되는 발신자를 결정하여 각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등급을 설정한다(A).
이에, 통화중 대기 서비스 서버(18)에서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설정에 따라 각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전화번호 별로 통화등급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 기(12)와 호접속이 이루어져서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상태에서,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음성통화를 수행하기 위해서 호발신을 시도하게 되면(B), 상기 통화중 대기 서비스 서버(18)는 상기 호발신을 시도하는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와 음성통화 중인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와의 통화등급에 따른 우선순위를 판단하게 되고(C), 상기 호발신을 시도한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가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보다 통화등급이 우선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정하게 되면,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화중 대기음 신호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송출되도록 한다(D).
이에,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통화중 대기 상태의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와의 음성통화를 위한 응답을 수행하게 되면(E), 이동 통신망의 관할 이동통신 교환기에서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대해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가 대기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고(F),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가 음성통화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G).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화중 대기 서비스 서버(18)에 접속하고서, 해당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전화 발신이 예상되는 다수의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개인적인 중요도에 따라 통화등급을 설정하게 된다(단계 S10).
그 상태에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와의 호발신에 의한 음성통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단계 S11),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의 음성통화를 위해 호발신 시도에 의한 호접속 요청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S12).
그러면, 상기 통화중 대기 서비스 서버(18)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의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호발신을 시도하는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와 음성통화 중인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에 대한 통화등급을 각각 검색하게 된다(단계 S13).
한편, 상기 통화중 대기 서비스 서버(18)는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가 상기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보다 통화등급이 우선순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통화중 대기 서비스 서버(18)는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가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보다 통화등급이 우선순위라고 판단되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관할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해서 통화중 대기음 신호가 송출되도록 함과 더불어,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의 이동 전화번호에 대한 발신자 표시번호를 동시에 송출하게 된다(단계 S15).
그에 따라,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는 관할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해서 상기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와의 음성통화 상태가 대기 상태로 전환되도록 요청함에 따라(단계 S16), 상기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는 관할 이동통신 교환기에 의해 대기상태로 전환된다(단계 S17).
그 다음에,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의 사이에는 호접속에 의한 음성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단계 S18).
하지만, 상기 단계 S14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호발신을 시도한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가 상기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보다 통화등급이 우선순위가 아니라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통화중 대기 서비스 서버(18)는 관할 이동통신 교환기가 호접속을 취소하도록 하게 된다(단계 S19).
그 상태에서, 상기 통화중 대기 서비스 서버(18)는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대해서 음성 메시지 통보 서비스 또는 단문메시지 통보 서비스를 유도하는 안내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바, 그러한 안내기능에 따라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서 음성 메시지 통보 서비스를 선택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통화중 대기 서비스 서버(18)는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가 음성 메시지 통보 서비스를 선택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되면, 음성 메일 서버(22)를 통해서 해당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가 호발신을 시도함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한다(단계 S21).
하지만, 상기 단계 S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통화중 대기 서비스 서버(18)에서는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가 음성 메시지 통보 서비스를 선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20)를 통해서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의 이동 전화번호에 대한 콜백정보를 갖춘 단문메 시지가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통보되도록 한다(단계 S22).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 가입자가 각각의 호발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개인적인 판단 기준에 따라 통화등급을 설정하고, 가입자가 하나의 발신자와 음성통화 중에 다른 발신자로부터의 호발신이 있게 되면 미리 설정된 통화등급에 따른 우선순위를 판정하여 통화중 대기 서비스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가입자가 개인적으로 판단하는 중요도에 따라 설정하는 특정한 발신자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통화중 대기 서비스가 이용 가능하게 되면서, 이동 통신망 가입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5)

  1.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수의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통화등급을 설정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상태에서,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측으로 호발신을 수행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설정된 통화등급을 근거로 우선순위를 판정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보다 통화등급이 우선순위를 갖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화중 대기음 및 발신자 표시번호를 송출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보다 통화등급이 우선순위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해당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접속을 취소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에서,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보다 통화등급이 우선순위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음성메시지 통보 서비스로 전환하여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발신 사실을 음성 메시지의 형태로 통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에서, 상기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 1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보다 통화등급이 우선순위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단문메시지 통보 서비스로 전환하여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발신 사실을 단문 메시지의 형태로 통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에는 제 2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전화번호에 대한 콜백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
KR20030054894A 2003-08-08 2003-08-08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 KR100565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4894A KR100565827B1 (ko) 2003-08-08 2003-08-08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4894A KR100565827B1 (ko) 2003-08-08 2003-08-08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736A KR20050017736A (ko) 2005-02-23
KR100565827B1 true KR100565827B1 (ko) 2006-03-30

Family

ID=3722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54894A KR100565827B1 (ko) 2003-08-08 2003-08-08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8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157B1 (ko) * 2005-10-07 2012-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ms 착신중 음성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90787B1 (ko) * 2007-01-16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대기 중인 휴대단말기의 대기우선순위를변경하는 방법
KR100938558B1 (ko) * 2007-05-25 2010-01-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브이오아이피 네트워크에서의 가입자의 통화 우선 순위에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브이오아이피 네트워크에서의사용자 인증 정보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KR101725754B1 (ko) * 2011-03-18 2017-04-11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 통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736A (ko)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3470B2 (en) Repeat dealing in wireless networks to busy called parties
JP2006287930A (ja) 無線ネットワーク内での電源を切っている被呼者への再ダイヤル
KR100565827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
JP2001245345A (ja) 移動通信システム、輻輳時における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通信交換機
KR100554780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지정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방법
KR100561671B1 (ko) 부가 서비스의 우선순위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및 부가 서비스 우선순위 제어 방법
KR101618366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교환기 및 착신 제한 방법
CN100417272C (zh) 一种移动通讯系统间的号码可携带方法
KR20070072972A (ko) 화상 전화망에서의 통화 대기 서비스 방법
KR100565822B1 (ko)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음성 안내 링백톤 제공 방법
KR100807907B1 (ko) 국제 로밍 통화연결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1465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대표번호 서비스 구현 방법
KR101017138B1 (ko) 이동통신망에서 수신 전화의 선별통화 서비스 방법 및 이를지원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와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17737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비밀번호 입력에 따른 통화중대기서비스 방법
KR100978114B1 (ko) 사용자 기반의 호 대기 서비스 방법
AU5951000A (en) Method for informing a busy subscriber of an access request
KR100561666B1 (ko) 번호용량 확장 호 접속 시스템 및 방법
KR100827127B1 (ko) 착신 통화 전환 제어 방법
KR100645111B1 (ko) 착신 제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822855B1 (ko) 국제 로밍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KR20040008839A (ko) 사설 교환망을 통해 통화중인 단말에 대한 공중망 착신 호처리 방법
KR20110060186A (ko) 발신 번호 변경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2013162368A (ja) 発信予約システム
KR101065051B1 (ko) 호 전환 정보 표시 시스템, 방법 및 단말기
KR101003529B1 (ko) 발신 사용자 단말과 수신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회선 설정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