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366B1 - 통신 시스템에서의 교환기 및 착신 제한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의 교환기 및 착신 제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366B1
KR101618366B1 KR1020090117410A KR20090117410A KR101618366B1 KR 101618366 B1 KR101618366 B1 KR 101618366B1 KR 1020090117410 A KR1020090117410 A KR 1020090117410A KR 20090117410 A KR20090117410 A KR 20090117410A KR 101618366 B1 KR101618366 B1 KR 101618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called
restriction
call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0731A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117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366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교환기 및 착신 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는, 발신 단말의 착신 단말에 대한 호를 처리하는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발신 단말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 및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의 제한 여부를 결정하는 호 제한 결정부, 및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의 제한이 결정되면, 상기 발신 단말에게 호 연결 제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입자별로 착신 국번의 특성, 및 해당 착신 국번의 특성에 대해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에 따라 호의 연결을 제한할 수 있다.
착신 제한, 착신 국번, 음성/영상, 운영자 결정 제한(ODB), 교환기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의 교환기 및 착신 제한 방법{Switching center i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stricting call}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교환기 및 착신 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망 운영자가 통신 가입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통신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그 통신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떠한 서비스에 대해서는, 가입자의 연령에 따라 그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유료 서비스에 대해서는, 가입자가 해당 유료 서비스를 신청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해당 유료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특성은 착신 국번으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입자별로 착신 국번의 특성에 따라 통신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음성뿐 아니라 영상으로도 통신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어떠한 착신 국번에 대해서는 영상은 제한하고 음성은 연결되도록 해야 하고, 다른 착신 국번에 대해서는 영상은 연결하고 음성은 제한되도록 해야 할 필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입자별로 착신 국번의 특성 및 해당 착신 국번의 특성에 대해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에 따라 호의 연결을 제한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교환기 및 착신 제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는, 발신 단말의 착신 단말에 대한 호를 처리하는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발신 단말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 및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의 제한 여부를 결정하는 호 제한 결정부, 및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의 제한이 결정되면, 상기 발신 단말에게 호 연결 제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제한 방법은, 발신 단말의 착신 단말에 대한 호를 제한하는 착신 제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발신 단말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 및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의 제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의 제한이 결정되면, 상기 발신 단말에게 호 연결 제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입자별로 착신 국번의 특성, 및 해당 착신 국번의 특성에 대해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에 따라 호의 연결을 제한할 수 있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가입자별로 착신 국번의 특성, 및 해당 착신 국번의 특성에 대해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에 따라 호의 연결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제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발신 단말(110), 발신 교환기(120), 가입자 위치 등록기(130), 네트워크(140), 착신 교환기(150), 및 착신 단말(160)을 포함한다.
발신 단말(110)은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를 요청하는 단말로서, 음성 호뿐 아니라 영상 호가 가능한 단말을 말한다. 발신 단말(110)은 유/무선 단말을 포함한다.
착신 단말(160)은 발신 단말(110)이 요청하는 호의 목적지를 말하는 것으로, 유/무선 단말을 포함한다.
교환기는 착신 단말(160)의 착신 국번을 이용하여 호를 라우팅한다. 도 1에서는 발신 교환기(120) 및 착신 교환기(150)가 이와 같은 역할을 한다. 착신 국번은 발신 단말(110)의 호를 착신 단말(160)까지 라우팅하는데 필요한 정보로서, 착신 단말(160)의 번호일 수도 있고 착신 단말(160)의 번호 중 일부일 수도 있다. 또한, 착신 국번은 하나 이상의 교환기를 거쳐 라우팅 되면서 변경될 수도 있다.
발신 교환기(120)와 착신 교환기(150)는 네트워크(140)로 연결될 수 있다.
가입자 위치 등록기(130)는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말한다. 단말에 대한 정보는, 단말의 식별 정보, 단말의 위치 정보, 단말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제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110)은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를 설정해 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Setup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120)에 송신한다(200). 이때,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여 Setup 메시지를 송신한다. 발신 단말(110)이 무선일 경우, 발신 단말(110)은 기지국(Base Station)을 거쳐 발신 교환기(120)와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발신 교환기(120)는 Setup 메시지를 수신한 후, 착신 국번을 이용하여 발신 단말(110)이 요청한 호의 연결을 제한할지 여부를 결정한다(202). 이때, 발신 단말(110)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 및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착신 제한 여부를 결정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발신 교환기(120)가 착신 제한을 결정한 경우에는, 발신 단말(110)에게 호 연결이 제한되었음을 통지하는 메시지(이하 '호 연결 제한 메시지'라 말한다.)를 송신하고(204), 호 처리를 종료한다.
발신 교환기(120)가 착신을 제한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에는, 호 처리를 위해 가입자 위치 등록기(130)에 착신 단말(160)의 위치를 질의하는 SRI(Send Routing Information) 메시지를 송신한다(206).
가입자 위치 등록기(130)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착신 단말(16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교환기(150)의 영역 내에 착신 단말(160)이 실제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PRN(Provide Roaming Number)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150)에 송신한다(208).
착신 교환기(150)는 예를 들면,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에 착신 단말(160)의 정보가 존재하거나, 착신 단말(160)로부터 소정의 응답 신호를 전달받아, 자신의 영역 내에 착신 단말(160)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착신 교환기(150)는 자신의 영역 내에 착신 단말(160)이 존재하는 경우, PRN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PRN_ACK)를 이용하여 착신 교환기(150)의 위치가 포함된 새로운 착신 국번(MSRN: Mobile Subscriber Roaming Number)을 가입자 위치 등록기(130)로 송신한다(210).
가입자 위치 등록기(130)는 SRI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SRI_ACK)를 이용 하여, 새로운 착신 국번(MSRN)을 발신 교환기(120)로 송신한다(212).
발신 교환기(120)는 새로운 착신 국번(MSRN)을 이용하여 발신 단말(110)이 요청한 호의 연결을 제한할지 여부를 결정한다(214). 202 단계에서와 같이, 발신 단말(110)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 및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착신 제한 여부를 결정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발신 교환기(120)가 착신 제한을 결정한 경우에는, 발신 단말(110)에게 호 연결 제한 메시지를 송신하고(216), 호 처리를 종료한다.
발신 교환기(120)가 착신을 제한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에는, 발신 교환기(120)는 SRI_ACK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 교환기(15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교환기(150)에 IAM(Initial Address Message)을 송신한다(218). 이때,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여 IAM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IAM 메시지는 교환기 간 호 처리에 사용되는 ISUP(ISDN User Part) 또는 BICC(Bearer Independent Call Control)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BICC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IAM 메시지에 동영상 코덱 정보의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60) 간에 동영상 코덱을 결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착신 교환기(150)는 착신 단말(160)이 자신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Paging 메시지를 송신하고(220), 착신 단말(160)로부터 Paging 메시지의 응답인 Paging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면(222), 착신 단말(160)에게 호 설정을 요청하는 Setup 메시지를 송신한다(224).
착신 단말(160)은 Setup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Call Confirm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150)로 송신한다(226).
착신 단말(160)에서 벨이 울리기 시작하면서 망에 주는 메시지인 Alerting 메시지(228)는, 착신 교환기(150)에서 발신 교환기(120)에 전달하는 ACM 메시지(230)를 거쳐 발신 단말(110)에 전달된다(232).
착신 단말(160)이 전화를 받았을 때 망에 주는 메시지인 Connect 메시지(234)는, 착신 교환기(150)에서 발신 교환기(120)에 전달하는 ANM 메시지(236)를 거쳐 발신 단말(110)에 전달된다(238). 이로써, 발신 단말(110)의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의 연결이 완료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제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신 단말(110)의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310). 호 처리 요청 메시지는 착신 국번을 이용하여 발신 단말(110)의 호를 착신 단말(160)로 라우팅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로서, 예를 들면, 도 2에서는 Setup 메시지(200) 또는 SRI_ACK 메시지(212) 일 수 있다.
발신 단말(110)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 및 310 단계에서 수신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호의 제한 여부를 결정한다(320).
호를 제한하기로 결정한 경우(330:예)에는, 발신 단말(110)에게 호 연결 제한 메시지를 송신한다(340). 이때, 호 연결 제한 메시지는,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가 음성인 경우에는 음성이고,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가 영상인 경우에는 문자일 수 있다.
호를 제한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330:아니오)에는, 310 단계에서 수신한 호 처리 요청 메시지에 따라 호를 처리한다(350).
이하 320 단계에서의 호의 제한 여부 결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발신 단말(110)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조건을 설정한다. 호 연결을 제한하는 조건은 각 단말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단말에 대해 호 연결을 제한하는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통신 망 운영자나 통신 서비스 제공자는 각 가입자에 대해 특정한 서비스의 사용을 허용할지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호 연결을 제한하는 조건은, 예를 들면, 운영자 결정 제한(ODB: Operator Determined Barring) 정보 내에 설정할 수 있다. 운영자 결정 제한 정보는, 통신망 운영자나 서비스 제공자가 각 가입자에 대해 특정한 서비스의 사용을 허용할지 여부를 조절하기 위해 설정한 정보를 말한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연결 제한 조건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로, 발신 단말(110)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조건은 도 5의 (a)와 같이, 착신 국번의 특성일 수 있다. 운영자 결정 제한 정보에서 착신 국번의 특성은 PRI (Premium Rate Information) 및 PRE(Premium Rate Entertainment) 등이 있다.
도 5의 (a)는 발신 단말(110)이 요청한 호의 착신 국번의 특성이 PRI이면 발신 단말(110)의 호 연결을 제한하고, 발신 단말(110)이 요청한 호의 착신 국번의 특성이 PRE인 경우에는 발신 단말(110)의 호 연결을 제한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번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다. 각 착신 국번의 특성은 국번 테이블에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각 착신 국번의 특성을 Information(PRI)으로 할지 Entertainment(PRE)로 할지는 운영자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착신 국번이 가지는 각각의 특성에 대하여 착신 제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5의 (b)를 참조하면, 착신 국번의 특성은 PRI와 PRE가 있고, 착신 국번의 특성에 대한 착신 제한 조건은 음성(Voice)과 영상(Video)이 있다.
따라서 320 단계에서는 일 실시예로, 발신 단말(110)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이 착신 단말(160)의 착신 국번의 특성에 해당하고, 해당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에 대한 착신 제한 조건과 310단계에서 수신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를 제한하기로 결정한다.
발신 단말(110)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조건이 도 5의 (a)와 같이 설정되어 있고, 도 5의 (b)와 같은 국번 테이블이 정의되어 있으며, 착신 단말(160)의 착신 국번이 0602099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발신 단말(110)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조건은 착신 국번의 특성이 PRI인 경우이다. 0602099라는 착신 국번의 PRI 특성에 대 한 착신 제한 조건이 음성(Voice)이므로, 310 단계에서 수신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음성인 경우에는 호를 제한한다.
그 다음, 발신 단말(110)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조건으로, 착신 국번의 특성이 PRI 및 PRE가 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살펴본다. 착신 단말(160)의 착신 국번이 0702533인 경우, 착신 국번 0702533은 PRI 및 PRE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다만, PRI 특성에 대해서는 호가 영상인 경우만 착신 제한이 설정되어 있고, PRE 특성에 대해서는 호가 음성인 경우만 착신 제한이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310 단계에서 수신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음성인 경우에는 PRE(Voice)의 설정을 이유로 호를 제한하고, 310 단계에서 수신한 호가 영상인 경우에는 PRI(Video)의 설정을 이유로 호를 제한한다.
그러므로 발신 단말(110)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에 따라 호를 제한하되, 해당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에 대해 설정된 착신 제한 조건에 따라 영상, 음성, 또는, 영상 및 음성을 제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통신 시스템에서의 교환기(400)는 수신부(410), 호 제한 결정부(420) 및 송신부(430)를 포함한다.
수신부(410)는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호 처리 요청 메시지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호 제한 결정부(420)는 발신 단말(110)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 및 수신부(410)에서 수신한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의 제한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로, 발신 단말(110)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이 착신 단말(160)의 착신 국번의 특성에 해당하고, 해당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에 대한 착신 제한 조건과 수신부(410)에서 수신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를 제한하기로 결정한다. 호의 제한 여부 결정에 대해서는 320 단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송신부(430)는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의 제한이 결정되면, 발신 단말(110)에게 호 연결 제한 메시지를 송신한다. 호 연결 제한 메시지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교환기(400)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440) 및 국번 테이블(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440) 및 국번 테이블(450)은 교환기(400)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교환기(400)와 분리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440)는 발신 단말(110)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로서, 일 실시예로 도 5의 (a)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440)는 발신 단말(110)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을 설정한 운영자 결정 제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발신 단말(110)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국번 테이블(450)은 착신 단말(160)의 착신 국번의 특성 및 착신 단말(160)의 착신 국번의 특성에 대한 착신 제한 조건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로서, 일 실 시예로 도 5의 (b)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다.
교환기(400)는 또한 라우팅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를 제한하지 않기로 결정하면, 라우팅부(460)는 수신부(410)에서 수신한 호 처리 요청 메시지에 따라 착신 단말(160)에 대한 호를 라우팅한다. 이때, 방문자 위치 등록기(440)에 저장되어 있는 착신 단말(160)에 대한 위치 정보 및 국번 테이블(450)에 저장된 라우팅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가입자별로 착신 국번의 특성, 및 해당 착신 국번의 특성에 대해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에 따라 호의 연결을 제한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제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제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제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연결 제한 조건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a) 및 국번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b)이다.

Claims (8)

  1. 발신 단말의 착신 단말에 대한 호를 처리하는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발신 단말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 및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의 제한 여부를 결정하는 호 제한 결정부; 및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의 제한이 결정되면, 상기 발신 단말에게 호 연결 제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은, 운영자 결정 제한(ODB: Operator Determined Barring) 정보 내에 설정된, 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제한 결정부는,
    상기 발신 단말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이 상기 착신 단말의 착신 국번의 특성에 해당하고, 상기 착신 단말의 착신 국번의 특성에 대해 기설정된 착신 제한 조건과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를 제한하기로 결정하는, 교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을 저장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 및
    상기 착신 단말의 착신 국번의 특성 및 상기 착신 단말의 착신 국번의 특성에 대한 착신 제한 조건을 저장하는 국번 테이블
    을 더 포함하는 교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를 제한하지 않기로 결정하면, 수신된 상기 호 처리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를 라우팅하는 라우팅부
    를 더 포함하는 교환기.
  6. 발신 단말의 착신 단말에 대한 호를 제한하는 착신 제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발신 단말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 및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의 제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의 제한이 결정되면, 상기 발신 단말에게 호 연결 제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신 제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은, 운영자 결정 제한(ODB: Operator Determined Barring) 정보 내에 설정된, 착신 제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의 호 연결을 제한하는 착신 국번의 특성이 상기 착신 단말의 착신 국번의 특성에 해당하고, 상기 착신 단말의 착신 국번의 특성에 대해 기설정된 착신 제한 조건과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가 음성인지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호를 제한하기로 결정하는, 착신 제한 방법.
KR1020090117410A 2009-11-30 2009-11-30 통신 시스템에서의 교환기 및 착신 제한 방법 KR101618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410A KR101618366B1 (ko) 2009-11-30 2009-11-30 통신 시스템에서의 교환기 및 착신 제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410A KR101618366B1 (ko) 2009-11-30 2009-11-30 통신 시스템에서의 교환기 및 착신 제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731A KR20110060731A (ko) 2011-06-08
KR101618366B1 true KR101618366B1 (ko) 2016-05-04

Family

ID=4439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410A KR101618366B1 (ko) 2009-11-30 2009-11-30 통신 시스템에서의 교환기 및 착신 제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3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339B1 (ko) * 2012-09-20 2014-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호 전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99349B1 (ko) * 2012-09-20 2014-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호 수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731A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8899B2 (en) Method of forwarding an SMS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450938B2 (en) Method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uccess rate in simultaneous call trial between subscrib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JP4897876B2 (ja) 緊急通報受付センターの受呼者によって発呼者の電話サービス機能を支配する方法
US7974608B2 (en) Anonymous call blocking in wireless networks
US200602114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user equipment capability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2006287930A (ja) 無線ネットワーク内での電源を切っている被呼者への再ダイヤル
KR101618366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교환기 및 착신 제한 방법
KR20040102834A (ko) 통화 연결음 서비스 방법
EP2341721A1 (en) Call screening method and system
JP4354875B2 (ja) サービス提供モードが指定されたデータサービスを実施する装置及び方法
US7107047B2 (en) Employment of established telephone number of mobile device supported by serving mobile switching center to connect a call to the mobile device
KR10032178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대표번호 서비스 구현 방법
KR100814515B1 (ko) 착신전환을 통한 무료통화를 방지시키는 이동통신 시스템및 방법
KR100565827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
US8477669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communication services
KR101593957B1 (ko) 링백톤 시스템을 통한 국제 로밍 서비스에서의 현지시각 안내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0554780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지정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방법
KR100947496B1 (ko) 해외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거기에 이용되는 다중 번호 제공 서비스의 가입자 위치 등록 방법 및 착신 번호 식별 방법
AU5951000A (en) Method for informing a busy subscriber of an access request
KR100565822B1 (ko)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음성 안내 링백톤 제공 방법
KR100478256B1 (ko) 착신 전환 방식을 이용한 번호 이동성 제공 방법
EP2563000A1 (en) Methods for providing call back service in GSM
JP2007081575A (ja) Ip電話サービスセンタ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0823023B1 (ko) 통화 중 효과 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448459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착신율 향상을 위한 플렉시블 페이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