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044A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044A
KR20070035044A KR1020077001515A KR20077001515A KR20070035044A KR 20070035044 A KR20070035044 A KR 20070035044A KR 1020077001515 A KR1020077001515 A KR 1020077001515A KR 20077001515 A KR20077001515 A KR 20077001515A KR 20070035044 A KR20070035044 A KR 20070035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eat base
state
chai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치무 이나다
김명식
마코토 코니시
Original Assignee
패밀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67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7744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92344A external-priority patent/JP4418532B2/ja
Application filed by 패밀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패밀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5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61H2201/1669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moving along the body in a reciprocating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다리 재치부(載置部)의 위치를 종래와는 다른 위치로 설정할 수 있는 의자이다. 이 의자는 시트 베이스부(seat base section)와, 사용자의 다리가 재치되는 다리 재치면을 갖는 다리 재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리 재치부는 상기 다리 재치면을 하향(下向)으로 해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상에 재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회동해서 상기 다리 재치면이 상향(上向)상태가 되도록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부(前部)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다리 재치부의 상기 시트 베이스부에 대한 회동 중심 위치는 시트 베이스부의 상면보다 상방이다.
의자, 시트 베이스부, 다리 재치부, 쿠션체, 등받이부

Description

의자{CHAIR}
본 발명은 의자, 특히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마사지 체어)에는, 시트부의 앞쪽에 다리 재치대(載置臺)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9-266933호 공보에는, 다리 재치대를 형성하더라도 배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도록, 마사지기의 미사용시에는, 다리 재치대를 뒤집어서 시트부의 시트면에 재치하여 수납하도록 한 마사지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의자형 마사지기로서는, 시트부, 등받이부, 및 팔걸이부를 갖는 의자 본체와, 상기 시트부의 전부(前部)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된 다리 재치부를 갖는 것이 있다. 이러한 의자형 마사지기에 있어서, 마사지기구는, 등받이부를 비롯하여 시트부나 팔걸이부 등에 적절히 배치되지만, 또한 다리 재치부에도 마사지기구를 배치하는 것도 있다. 이러한 다리 재치부를 갖는 의자형 마사지기에 있어서,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다리 재치부를 다리의 마사지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시트 베이스부(seat base section)상에 다리 재치부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 다리 재치부를 다리 마사지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前方)에 상기 다리 재치부가 배치되고, 이 다리 재치부 의 다리 재치면에 사용자의 다리가 놓여지게 되지만, 다리 재치부의 수용시에는, 다리 재치부를 회동시켜 다리 재치면이 아래를 향한 상태로 뒤집어서 시트 베이스부 위에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시에는, 다리 재치면의 이면(다리 재치면과 반대측의 면)이 위를 향한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이 이면에 걸터앉음으로써, 다리 재치부 수용시에도 의자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상기 일본국 특허공개 평9-266933호 공보 참조).
이 마사지기에서는, 다리 재치대를 뒤집을 수 있도록, 시트부의 전부 상단과, 뒤집은 상태의 다리 재치대의 전부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다리 재치대의 상면은, 다리 재치대를 뒤집었을 때에 시트면과 접촉한다. 이러한 연결구조에서는, 다리 재치대를 시트부의 앞쪽으로 전개시킨 전개상태일 때에, 시트면과 다리 재치대의 상면이 연속한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전개상태에 있어서, 다리를 수납하기 위해서 다리 재치대에 형성된 홈의 저면(底面)은 시트면보다도 한 단 낮게 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2-301125호 공보에는, 저면과 저면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측벽을 구비한 1개의 오목형상 다리 수납부 내에 사용자의 양다리를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해서 수납할 수 있는 다리 재치부를 구비한 의자형 마사지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9-206349호 공보에는, 시트부와 마사지체를 갖는 배부(背部)와의 연결부에, 시트부와 배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는 중간 쿠션체를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동 자유롭게 부착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마사지기 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간 쿠션체로 시트부를 덮는다. 이 경우, 배부의 마사지체로 마사지를 행할 수 있으며, 시트부가 중간 쿠션체로 덮여 있으므로, 앉은 느낌이 좋다. 마사지를 행하지 않는 경우는, 중간 쿠션체를 회동해서 중간 쿠션체로 배부를 덮는다. 배부에 있는 마사지체의 자극은 중간 쿠션체에 의해 흡수되며, 아프지 않게 보통의 쿠션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9-266933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연결구조에서는, 다리 재치대를 뒤집기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시트부와 다리 재치대의 위치관계에 제약이 발생한다. 즉, 시트부의 전부 상단과, 뒤집은 상태의 다리 재치대의 전부 하단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조에서는, 전개상태에 있어서 다리 재치대의 상면을 시트면보다 상방에 위치시키거나, 다리를 수납하기 위한 홈 저면과 시트면을 연속하는 위치에 설정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다리 재치부(다리 재치대)의 위치를 종래와는 다른 위치에 설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트 베이스부(seat base section)와, 사용자의 다리가 재치되는 다리 재치면을 갖는 다리 재치부(載置部)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 재치부는 상기 다리 재치면을 하향(下向)으로 해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상에 재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회동해서 상기 다리 재치면이 상향(上向)상태가 되도록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부(前部)에 연결되며, 상기 다리 재치부의 상기 시트 베이스부에 대한 회동 중심 위치는 시트 베이스부의 상면보다 상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다리 재치부를 다리 재치면 상향상태(전개상태)로 했을 때에, 다리 재치부의 상부가 시트 베이스부의 상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다리 재치부의 위치는, 다리 재치부가 다리 재치면으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벽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벽부는 상기 다리 재치부를 상기 다리 재치면이 상향상태가 되도록 회동시켰을 때에, 벽부 입설(立設)방향 선단부를 시트 베이스부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다리 재치면은 벽부 입설방향 선단부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벽부는 다리 재치부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측벽, 다리 재치부의 좌우 중앙부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중앙벽,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 중심 위치는, 상기 다리 재치부의 두께방향 중간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벽부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 중심 위치를 벽부의 범위 내로 하면, 다리 재치면은 하향상태일 때에는 회동 중심 위치보다도 상방에 있고, 상향상태일 때에는 회동 중심보다도 하방에 있다.
회동 중심 위치를 시트 베이스부의 상방에 설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부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 재치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통해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시트 베이스부에 대하여 전후로 회동 자유로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다리 재치부가 다리 재치면 하향상태(접힘상태)일 때에, 당해 다리 재치부의 후부(後部)가 시트 베이스부의 전부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그 선단부가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다리 재치부를 회동시킬 때에, 당해 다리 재치부의 후부가 시트 베이스부의 전부에 닿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다리 재치부는, 상기 다리 재치면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과 상기 지지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본 발명은, 시트 베이스부와, 시트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다리 재치부와, 상기 시트 베이스부와 상기 다리 재치부를 연결하는 중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재는 그 후단이 상기 시트 베이스부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며, 그 전단이 상기 다리 재치부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본 발명에 따르면, 다리 재치부와 시트 베이스 사이에 중간부재를 개재시키고, 회동 부위를 복수로 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부재의 크기나 회동 부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회동했을 때의 다리 재치부의 위치를 종래와는 다른 위치로 하는 것을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것은, 다리 재치면을 하향으로 해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상에 재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회동해서 상기 다리 재치면이 상향상태가 되도록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회동 가능한 다리 재치부의 경우에 특히 유익하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그 각 후단이 상기 시트 베이스부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며, 그 각 전단이 상기 다리 재치부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본 발명은, 시트 베이스부와, 사용자의 다리가 재치되는 다리 재치면을 갖는 다리 재치부와,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부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다리 재치부는 상기 다리 재치면을 하향으로 해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상에 재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회동해서 상기 다리 재치면이 상향상태가 되도록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부에 상기 지지부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시트 베이스부상에 재치된 상태일 때에, 당해 시트 베이스부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리 재치부가 다리 재치면 하향상태(접힘상태)일 때에, 다리 재치부의 위치를 조정해서, 당해 다리 재치부의 후부와 시트 베이스부의 전부와의 위치를 맞출 수 있으며, 의자의 외관이 양호해진다.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중간부재의 움직임을, 그 선단이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을 향하는 앞쪽으로 기운 상태가 되는 위치로 규제하는 제지부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다리 재치부를 마루면으로부터 뜨게 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리 재치부에는, 당해 다리 재치부에 얹혀진 다리를 마사지하는 마사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래와는 다른 위치에서의 마사지가 가능해진다.
다른 의자의 발명은, 사용자의 다리가 재치되는 다리 재치면 및 상기 다리 재치면으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벽부를 갖는 다리 재치부와, 상기 다리 재치면을 하향으로 해서 다리 재치부가 재치되는 시트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 재치부 및 상기 시트 베이스부는 상기 다리 재치면을 하향으로 해서 다리 재치부가 상기 시트 베이스부상에 재치된 제1상태와, 상기 다리 재치면이 상향이며 상기 다리 재치부가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며, 상기 시트 베이스부는 상기 제1상태일 때에, 상기 벽부의 입설방향 선단부가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상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의자이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2-301125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뒤집어서 시트부에 재치되는 다리 재치대가 측벽을 갖는 경우, 측벽부의 분량만큼 다리 재치대가 두꺼워져서, 다리 재치대를 시트부에 재치한 경우의 착석면이 매우 높아져 버린다.
그러나 상기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리 재치면을 하향으로 해서 다리 재치부가 상기 시트 베이스부상에 재치되는 제1상태일 때에, 상기 벽부의 입설방향 선단부가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상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다리 재치부(의 측벽)와 시트 베이스부가 높이방향으로 오버랩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상태에 있어서의 착석면의 높이는, 시트 베이스부의 높이에 다리 재치면의 두께를 더한 것보다도 작아져서, 착석면의 높이가 억제된다.
한편, 상기 벽부의 입설방향 선단부가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상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다리 재치부를 시트 베이스부상에 재치했을 때에, 벽부가 시트 베이스부의 상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면 되고, 당해 공간은, 예를 들면, 시트 베이스부에 벽부를 피하기 위한 노치(notch)(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제2의 본 발명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부는 상기 다리 재치면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측벽이며,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상면의 좌우 폭이 상기 양 측벽의 간격보다 작고, 시트 베이스부의 좌우 양 외방(外方) 위치에 상기 양 측벽이 위치함으로써, 상기 측벽의 입설방향 선단부가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상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허용되고 있다. 이 경우, 간단한 구성으로, 제1상태에 있어서의 착석면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시트 베이스부의 좌우 양 외방 위치에 측벽을 위치시키기 위해서, 시트 베이스부의 좌우 양측에 측벽을 피하기 위한 노치(오목부)를 형성해 두어도 좋다.
상기 다리 재치부는, 상기 제2상태에 있어서의 그 후부가,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부에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상기 제1상태와 상기 제2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리 재치부에는, 당해 다리 재치부에 얹혀진 다리를 마사지하는 마사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자의 발명에 있어서, 시트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 베이스부상에 재치되는 쿠션체와,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 위치에 있으며 사용자의 다리를 얹을 수 있는 다리 재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 재치부는 상기 쿠션체를 상기 시트 베이스부 위에서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 위에 재치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일본국 특허공개 평9-266933호 공보에 기재된 것에서는, 다리 재치대를 시트부의 전방에 위치시켜서 시트부상에 직접 착석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다리 재치대를 시트부상에 재치시켜서 다리 재치대에 착석할 수도 있으나, 시트부 위에 단지 다리 재치대를 얹으면, 시트부만일 때보다도, 착석면이 너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리 재치부는 상기 쿠션체를 상기 시트 베이스부 위에서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 위에 재치 가능하기 때문에, 쿠션체가 제거되지 않은 구조에 비해서 착석면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의 뒤쪽에 형성된 등받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쿠션체를 상기 등받이부의 앞면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쿠션체를 상기 시트 베이스부 위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시트 베이스부 위에서 제거된 쿠션체는 등 쿠션으로서 유효 활용된다.
상기 등받이부는 사용자의 등을 마사지하는 등 마사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체가 등 쿠션으로서 기능하는 경우, 등 마사지부가 있더라도 앉은 느낌이 좋아진다.
상기 쿠션체는 시트 베이스부측으로부터 등받이부측으로의 이동 또는 그 반대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 상면의 후부 근방에 대하여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 재치부는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 위치로부터 시트 베이스부의 상방 위치로의 이동 또는 그 반대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부에 대하여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의자의 발명에 있어서, 시트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 베이스부상에 재치되는 쿠션체와, 시트 베이스부의 뒤쪽에 형성된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에 형성된 등 마사지부와, 사용자의 다리를 얹을 수 있는 다리 재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쿠션체가 등 쿠션으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등받이부의 앞면에 겹쳐서 놓여짐과 아울러, 상기 시트 베이스부 위에 상기 다리 재치부가 놓여져서 상기 다리 재치부를 시트부로서 사용자가 착석 가능한 상태 α와, 상기 다리 재치부가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 위에 상기 쿠션체가 놓여져서 상기 쿠션체를 시트부로서 사용자가 착석 가능한 상태 β로 상태 변경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쿠션체는 상태 β에서는 시트부를 구성하고 있으나, 상태 α에서는 등 쿠션으로서 기능한다. 다리 재치부는 쿠션체가 없는 시트 베이스부 위에 놓여지기 때문에, 착석면의 높이의 증대가 억제된다.
상술한 의자를 사용한 의자형 마사지기에 따른 본 발명은, 시트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팔걸이부와, 의자 전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사용자의 다리가 재치되는 다리 재치면을 가짐과 아울러 마사지기구를 갖는 다리 재치부를 구비한 의자형 마사지기로서, 상기 다리 재치부는 상기 회동에 의해, 상기 다리 재치면이 하향이 되어 상기 시트 베이스부상의 상기 좌우의 팔걸이부 사이에 수용되어 상기 다리 재치면의 이면이 시트면으로서 사용되는 수용상태와, 상기 다리 재치면이 상향이 되어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앞쪽에 배치되는 전개상태 모두가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팔걸이부는 높이조절기구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수용상태에서는 시트면으로서 사용되는 상기 다리 재치면의 이면의 높이보다도 높은 위치까지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전개상태에서는 상기 수용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이면의 높이보다도 낮은 위치까지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 시트면이 되는 다리 재치부 이면보다도 팔걸이부를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도 팔걸이부의 팔걸이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개상태(다리 재치부를 수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이면 높이보다도 팔걸이 높이를 낮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리 재치부의 두께가 비교적 큰 경우라도, 상기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팔걸이 높이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절한 높이로 할 수 있다.
즉, 일본국 특허공개 평9-266933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기술에서는, 다리 재치부를 수용하면, 시트 베이스부 위에 다리 재치부가 배치되고, 다리 재치부의 이면이 의자의 시트면이 되므로, 시트면은 적어도 상기 다리 재치부의 두께 분량만큼 높아진다. 그러면, 시트면에 대한 팔걸이부의 높이는, 다리 재치부의 수용 전보다도 수용 후 쪽이 낮아져 버린다. 재치부 수용시에 있어서의 팔걸이부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하고자 해서 팔걸이부의 높이를 미리 높게 설정해 두면, 다리 재치부를 의자 전방으로 전개한 경우에 팔걸이부가 너무 높아져서 앉기 어려워지고, 마사지의 효과도 감소한다. 한편, 다리 재치부의 전개시(비수용시)를 기준으로 팔걸이부의 높이를 설정하면, 다리 재치부 수용시에 있어서 팔걸이부가 너무 낮아지거나, 혹은 팔걸이부가 시트면보다 낮아져서 실질적으로 팔걸이부가 없어진 상태가 되거나 하게 된다. 특히 다리 재치부가 마사지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에어셀(공기 주머니), 튜브 등의 공기통로, 혹은 기계적 출퇴기구(出退機構) 등이 다리 재치부 내에 형성되게 되고, 또한 다리를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다리 재치부의 두께가 커지기(두꺼워지기) 쉽다. 따라서, 다리 재치부의 수용시와 전개시에 있어서의 시트면 높이의 차가 커져서, 상술한 팔걸이부 높이의 문제가 보다 한 층 현재화(顯在化)하게 된다. 상기 의자형 마사지기의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는, 상기 팔걸이부의 내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리 재치부에 의해 은폐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상기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기구의 조작부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의자형 마사지기가 아니라 가구로서의 단순한 의자에 가까운 외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높이조절기구의 조작부는, 상기 팔걸이부의 높이를 낮출 때에는 조작이 필요하고, 상기 팔걸이부의 높이를 올릴 때에는 조작이 불필요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상기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 조작부가 은폐된 상태에 있어서도 팔걸이부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상태 등, 조작부가 은폐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조작부를 조작해서 팔걸이부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상기 다리 재치부의 회동과 상기 팔걸이부의 높이조절기구가 연동(連動)하고 있어, 상기 다리 재치부를 상기 수용상태(접힘상태)를 향해서 회동하면 상기 팔걸이부는 높아지도록 작동하고, 상기 다리 재치부를 상기 전개상태를 향해서 회동하면 상기 팔걸이부는 낮아지도록 작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다리 재치부의 회동에 연동해서 팔걸이부가 적절한 방향으로 오르내리므로, 팔걸이부의 높이 조절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접힘상태(제1상태 또는 상태 α)의 마사지 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상태(제2상태 또는 상태 β)이며, 또한 베개체가 있는 경우의 마사지 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전개상태(제2상태 또는 상태 β)이며, 또한 베개체가 없는 경우의 마사지 체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시트 베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중간상태(제3상태 또는 상태 γ)의 마사지 체어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접힘상태(제1상태 또는 상태 α)의 마사지 체어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에어셀 수축상태에 있어서의 다리 재치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에어셀 팽창상태에 있어서의 다리 재치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실시형태에 따른 마사지 체어의 제1상태(접힘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2실시형태에 따른 마사지 체어의 제2상태(전개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XIII-XIII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3실시형태에 따른 마사지 체어의 제1상태(접힘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2의 본 발명의 제1상태의 마사지 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나는 의자의 측면 설명도로서, 다리 재치부를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전개함과 아울러 등받이부를 후방으로 넘어뜨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 나타나는 의자의 시트 베이스부 전단 부근의 일부 파단 측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의자의 시트 베이스부 전단 부근의 저면(底面)의 설명도이다.
도 19는 제5실시형태에 따른 마사지 체어의 상태 α(접힘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제5실시형태에 따른 마사지 체어의 상태 β(전개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제5실시형태에 따른 마사지 체어의 상태 α(접힘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제5실시형태에 따른 마사지 체어의 상태 β(전개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의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의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의 의자형 마사지기의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의 의자형 마사지기의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가동부가 가장 낮은 위치로 조정된 상태에 있어서의 의자 측면부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가동부가 가장 높은 위치로 조정된 상태에 있어서의 의자 측면부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높이조절기구의 분해 사시도와 함께 기재한 의자 측면부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30A는 클로(claw) 계합 오목부와 고정 클로부가 계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0B는 가동부를 상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클로 계합 오목부와 고정 클로부와의 계합이 해제된 상태(또는 고정 클로부의 계합부가 클로 계합 오목부에 들어가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0C는 조작 레버를 조작해서 클로 계합 오목부와 고정 클로부와의 계합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조작 레버 근방을 시트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를, 팔걸이 높이 연동기구의 개략도와 함께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팔걸이 높이 연동기구의 개략도와 함께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4는 도 32의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를, 팔걸이 높이 연동기구의 개략도와 함께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5는 도 32의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를, 팔걸이 높이 연동기구의 개략도와 함께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6은 다른 변형예의 의자형 마사지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의자형 마사지기에 있어서의 회동위치 검출기의 개략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상태로부터 180도 회전한 상태에 있어서의 회동위치 검출기의 개략도이다.
도 39는 도 37의 회동위치 검출기의 변형예의 개략도이다.
도 40은 도 39의 상태로부터 180도 회전한 상태에 있어서의 회동위치 검출기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의자(1)는, 마사지 체어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마사지 체어(1)는 도 1과 같이 다리 재치부(載置部; 4)가 시트 베이스부(seat base section; 2) 위로 접혀진 제1상태 또는 상태 α(접힘상태; 의자상태)와, 도 2 및 도 3과 같이 다리 재치부(4)가 시트 베이스부(2)의 전방으로 전개된 제2상태 또는 상태 β(전개상태; 마사지기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한 것이다.
마사지 체어(1)는 시트 베이스부(2)와, 시트 베이스부(2)의 후부에 리클라이닝(reclining) 가능하게 형성된 등받이부(3)와, 사용자의 다리를 얹기 위한 다리 재치부(4)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 베이스부(2)는 지지 다리를 개재하지 않고 마루 등의 재치면(F)에 직접 놓여진다. 즉, 본 실시형태의 마사지 체어(1)는 다리가 없는 타입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높이가 억제된 콤팩트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시트 베이스부(2)의 하부에 시트 베이스부(2)를 재치면(F)상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 다리를 형성해도 좋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시트 베이스부(2)는 내부가 공동(空 洞)이며, 프레임체(21, 22)의 상부에 천판(天板; 23)을 설치해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체(21, 22)는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좌우 한 쌍의 횡프레임체(21, 21)와, 좌우의 횡프레임체(21, 21)의 전단 사이에 형성된 전(前)프레임체(22)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천판(23)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의 횡프레임체(21, 21)의 상단 사이이며, 등받이부(3)보다도 앞쪽을 덮기 위한 것이다. 이 천판(23)의 상면(23a)이 시트 베이스부(2)의 상면이 된다.
천판(23)은 그 상면(23a)이 쿠션성을 갖고 있어,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에 사용자가 직접 착석할 때의 앉기 편안함이 확보되어 있다. 착석면이 되는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의 쿠션성은, 천판(23)의 상면측에 우레탄폼 등의 쿠션재를 배치함으로써 얻어진다.
한편, 천판(23)은 프레임체(21, 22)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천판(23)을 프레임체(21, 22)에서 떼어내면 시트 베이스부(2) 내부의 점검 등이 가능해진다.
시트 베이스부(2)는 그 상면(23a)의 좌우 양측이 한 단 낮게 되어 있으며, 다리 재치부(4)에 형성된 벽부(42)(후술)가 위치하기 위한 오목형상의 벽미끄러짐부(25)로 되어 있다. 이들 벽미끄러짐부(25)는 천판 상면(23a)보다도 낮은 횡프레임체(21)의 상면이, 천판(23)의 좌우 양측에 존재하도록 해서 구성된 것이다.
횡프레임체(21)는 상기 등받이부(3)가 도 3의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리클라이닝 가능해지도록, 회동 지점(26)을 중심으로 당해 등받이부(3)를 회동 자유롭게 유 지하고 있다. 도 3의 전개상태(제2상태 또는 상태 β)이며, 등받이부(3)를 후방(화살표 B의 방향)으로 넘어뜨리면, 사용자는 전신을 가로로 누운 자세로 할 수 있으며, 이 가로로 누운 자세로 마사지를 받을 수 있다.
한편, 등받이부(3)를 후방으로 넘어뜨림으로써, 마사지 체어(1)의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마사지 체어의 안정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마루에 놓여진 횡프레임체(21)(시트 베이스부(2))는 등받이부(3)보다도 후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23)의 상면(23a)에는, 시트 베이스부(2)와는 별체(別體)의 쿠션체(28)가 배치되어 있다. 쿠션체(28)는 도 3의 전개상태에서는, 시트용 쿠션으로서 기능하여, 사용자가 착석했을 때의 앉은 느낌을 좋게 한다. 그 쿠션체(28)가 시트 베이스부(2) 위에 재치됨으로써, 전개상태(제2상태 또는 상태 β)에 있어서의 시트부가 구성된다. 또한,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착석면의 쿠션성은 쿠션체(28)의 쿠션성과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의 쿠션성과의 상승효과(相乘效果)로서 얻어진다.
쿠션체(28)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쿠션체(28)는 그 내부에 우레탄폼 등의 쿠션재를 구비하며, 쿠션성을 확보하기 위한 두께를 갖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의 제2상태에서의, 쿠션체(28)의 상면을 제1면(28a)이라고 하고, 하면을 제2면(28b)이라고 한다. 제2상태에서는, 쿠션체 제1면(28a)은 착석면으로, 이 면(28a) 위에 사용자가 착석한다.
한편, 쿠션체(28)는 그 후부(28c)를 지점으로 해서 후방으로 기립 회동시켜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으로부터 제거하고, 등받이부(3)의 앞면에 위치시켜서 등 쿠션으로 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 점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쿠션체(28)의 제1면(28a)측에는 착석한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대퇴 등을 마사지하는 시트 마사지부(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시트 마사지부(5)는 공기의 급배(給排)에 의해 팽창·수축하는 에어셀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방으로 팽창함으로써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대퇴를 압압(押壓) 마사지할 수 있다.
한편, 시트 마사지부(5)가 되는 에어셀은, 쿠션체(28) 내부의 쿠션재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당해 쿠션재는 에어셀(5)이 표면에 노출하지 않도록, 당해 에어셀(5)마다 커버재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부(3)는 좌우의 횡프레임체(21) 사이에서 회동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다. 등받이부(3)는 도시하지 않은 리클라이닝 구동부(에어실린더 등)에 의해 후방으로 넘어지도록 구동되며, 또는 전방으로 일어서도록 구동된다.
등받이부(3)의 내부에는, 등 마사지부(6)가 내장되어 있다. 등 마사지부(6)는 사용자의 환부에 닿아서 마사지를 실시하기 위한 시료자(施療子)(안마볼)(61)와, 시료자(61)에 마사지 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부(62)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안마 마사지, 두들김 마사지 및 그들을 조합시킨 다양한 마사지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등 마사지부(6)는 사용자의 목에서부터 허리의 범위의 넓은 범위를 마사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부(3)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등받이부(3)는 그 앞면에 등받이 커버(31)를 구비하고 있다. 등받이 커 버(31)는 사용자가 접촉하는 등받이부(3) 앞면의 더러움 방지 등의 역할을 갖는 것으로, 비교적 얇은 시트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등받이부 앞면의 거의 전체를 덮는다. 등받이 커버(31)는 그 상부(31a)가 등받이부(3)의 상부에 면 패스너 등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커버(31)의 하부(31b)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으며, 이 하부(31)를 젖혀 올려서, 커버(31)를 등받이부(3)의 후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등받이부(3)는 그 앞면의 상부 범위에, 등받이 커버(31)에 겹쳐서 상부 커버(31-1)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커버(31-1)도 비교적 얇은 시트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두부(頭部) 부근에 위치한다. 이 상부 커버(31-1)는 그 상부(31-1a)가 등받이부(3)의 상부에 면 패스너 등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그 하부(31-1b)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어, 등받이 커버(31)와 마찬가지로 젖혀 올릴 수 있다. 한편, 등받이 커버(31)나 상부 커버(31-1a)는 생략해도 좋다.
상기 등받이 커버(31) 및 상부 커버(31-1)는 시료자(61)가 등에 닿는 것을 사용자가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얇은 것이다. 즉, 등받이 커버(31) 및 상부 커버(31-1)는 마사지를 실질적으로 저해하지 않는 커버이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3)의 앞면에 쿠션체(28)나 베개체(3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등받이 커버(31) 및 상부 커버(31-1)의 표면이 등받이면이 된다. 시료자(61)는 얇은 등받이 커버(31) 및 상부 커버(31-1)를 개재해서 사용자의 등 등에 접촉한다. 또한, 사용자는 시료자(61)가 등에 닿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등받이부(3)로부터는, 안마·두들김 등의 마사지를 사용자에게 실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커버(31-1) 앞에는, 또한, 베개체(32)가 형성되어 있다. 베개체(32)는 사용자의 두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우레탄폼 등의 쿠션재를 구비하며, 두부를 기분 좋게 지지하기 위한 쿠션성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갖고 있다. 이 베개체(32)는 등받이부(3)의 상부에 있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얇은 연설부(延設部; 33)를 구비하며, 이 연설부(33)가 등받이부(3)의 상부에 면 패스너 등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베개체(32)를 젖혀 올려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3)의 후방에 위치시키거나, 베개체(32)를 등받이부(3)로부터 떼어내어, 등받이부(3) 앞면으로부터 베개체(32)를 제거할 수 있다.
쿠션체(28)를, 도 3의 시트 베이스부(3)상의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일으켜서 도 6 및 도 7과 같이 등받이부(3)의 앞면에 위치시킨 경우, 쿠션체(28)는 등 쿠션의 일부로서 기능하기 위하여, 등받이부(3)의 앞면 범위 중, 베개체(32)보다도 하방의 범위를 덮는다. 환언하면, 베개체(32)는 쿠션체(28)를 등받이부의 앞면에 위치시켰을 때에, 쿠션체(28)보다도 상방의 범위를 덮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쿠션체(28)가 등받이부 앞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쿠션체(28)를 그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위치 유지부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유지부로서는, 예를 들면, 쿠션체(28)의 제1면(후면)(28a)과 등받이부 앞면을 착탈 자유롭게 결합하는 면 패스너를 채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등받이부(3)의 앞면에 베개체(32) 외에, 쿠션체(28)도 존재하는 경우에는, 쿠션체(28)의 앞면(28b) 및 베개체(32)의 앞면(32a)이 등받이면이 되어, 쿠션체(28) 및 베개체(32)는 등 쿠션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쿠션체(28) 및 베개체(32)는 시료자(61)가 등에 닿는 것을 사용자가 느낄 수 없을 정도로 두꺼운 것이다.
따라서, 등받이부(3)의 앞면에 쿠션체(28)나 베개체(32)가 존재하는 경우, 등받이부(3) 내부에 시료자(61)가 있더라도, 사용자는 시료자(61)가 등에 닿는 것을 느끼는 일이 없으며, 의자로서의 앉은 느낌이 좋은 것이 된다.
시료자(61)가 있더라도 등받이면의 앉은 느낌을 좋게 하기 위해서 등받이부(3) 앞면에 형성되는 등 쿠션으로서는, 상기 쿠션체(28)와 베개체(32)가 결합한 것과 같은 커다란 하나의 쿠션체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쿠션체를 등받이부(3) 앞면에서 제거하기 위해서는, 커다란 쿠션체를 젖혀 올려서 등받이부(3)의 후방에 위치시키게 되어, 번거롭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등 쿠션이 상측의 쿠션(베개체(32))과 하측의 쿠션(쿠션체(28))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등받이부(3) 앞면으로부터 따로 따로 제거할 수 있어 간단하다. 구체적으로는, 베개체(32)는 그 상부를 지점으로 해서 등받이부(3)의 후방으로 젖혀 올리면 되고, 쿠션체(28)는 그 하부를 지점으로 해서 전방으로 넘어뜨려 시트 베이스부(2) 위에 얹으면 된다.
또한, 등 쿠션을 상하로 분리함으로써,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과 등받이부 앞면의 크기가 달라 있어도 대응 가능해진다.
쿠션체(28)를 등받이부(3)의 앞면에 위치시키면, 시트 마사지부(5)가 형성되어 있는 제1면(28a)은 등받이부(3) 앞면에 접촉하여, 등 쿠션으로서의 쿠션체(28) 의 이면측이 된다. 따라서, 에어셀(5)에 의한 사용자에의 마사지는 행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쿠션체(28)가 도 6 및 도 7의 위치에 있을 때에도, 쿠션체(28)로부터 사용자에게 마사지를 실시하고 싶은 경우에는, 쿠션체(28)의 제2면(28b)측에 에어셀 등의 마사지부를 형성하면 된다.
한편, 접힘상태(제1상태 또는 상태 α)에 있어서의 등받이면은, 베개체(32)의 앞면(32)과 쿠션체(28)의 제2면(앞면)(28b)에서, 거의 단차가 없도록, 베개체(32)의 두께와 쿠션체(28)의 두께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개체(32)의 두께와 쿠션체(28)의 두께는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시트 마사지부(5) 등을 구성하는 에어셀에 대한 공기의 급배를 행하는 공기급배장치(空氣給排裝置; 8)는 시트 베이스부(2)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급배장치(8)는 에어펌프나 급배 전환밸브 등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공기급배장치(8)와 에어셀(5)은 에어호스(8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에어호스(81)는 시트 베이스부 상면(32a)보다도 하방에 있는 공기급배장치(8)로부터, 등받이부(3)의 앞면과 시트 베이스부 상면(32a)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시트 베이스부 상면(32a) 위에 있는 쿠션체(28)에 접속되어 있다. 이 에어호스(81)는 도 3의 위치에 있는 쿠션체(28)의 후부(28c)에 접속되어 있다. 이 후부(28c)는 쿠션체(28)가 등받이부 앞면으로 기립 회동할 때의 회동 지점이 되고 있으며, 이 회동 지점 부근에 에어호스(81)를 접속함으로써, 에어호스(81)가 쿠션체(28)의 회동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한편, 쿠션체(28)의 후부에 접속된 에어호스(81)는 쿠션체(28)의 내부를 통해서 각 에어셀(5)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쿠션체(28)는, 그 후부(28c)를, 재봉 등에 의해 시트 베이스부 상면(23)의 후부 근방에 부착해서 회동 자유롭게 해도 좋다. 한편, 쿠션체(28)는 시트 베이스부 상면(23)의 후부 근방이면, 시트 베이스부(2) 자체에 부착해도 좋고, 등받이부(3)측에 부착해도 좋다.
또한, 쿠션체(28)를 시트 베이스부(2) 또는 등받이부(3)에 대하여 회동축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지지시켜도 좋다.
또한, 쿠션체(28)를 시트 베이스부(2) 또는 등받이부(3)에 대하여 면 패스너 등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부착해도 좋다.
상기 다리 재치부(4)는 상기 시트 베이스부(2)의 전부에 대하여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다리 재치부(4)는 도 6과 같이 시트 베이스부(2)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개상태로부터, 도 7과 같이 후방으로 접혀져서 시트 베이스부(2)상에 위치하는 접힘상태로 변화하도록 회동 가능하다. 또한, 접힘상태로부터 전개상태로의 변화도 가능하다.
다리 재치부(4)는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후부(4a)가, 회동 기부(基部)가 되도록, 상기 지지부재(29)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다리 재치부(4)의 전부(4b)는 회동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시트 베이스부(2)는 다리 재치부(4)를 회동 자유롭게 지지하기 위해서, 그 전부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지지부재(29)를 구비하고 있다(도 5 참조). 지지부재(29)는 시트 베이스부(2)로부터 약간 앞쪽 방향으로 상방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이 시트 베이스부(2)의 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 있다. 지지부재(29)에는, 그 선단부에 회동 중심 위치가 되는 회동축(29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축(29a)은 시트 베이스부(2)의 상면(23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부재(29)에는, 다리 재치부(4)의 후부(4a)가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지지부재(29)를 전방으로 기울이고 있는 이유는, 가령 지지부재(29)를 시트 베이스부(2)의 상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세워서 형성시킨 경우, 다리 재치부(4)를 회동시킬 때, 다리 재치부(4)의 후부(4a)가 시트 베이스부(2)의 전부에 닿아서 회동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으나, 본 실시형태의 경우, 다리 재치부(4)의 후부(4a)가 시트 베이스부(2)의 전부에 닿지 않아, 다리 재치부(4)를 스무스하게 회동시킬 수 있으며, 다리 재치부(4)의 형상의 자유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지지부재(29)는 시트 베이스부(2)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베이스부(2)로부터 세워서 형성시키더라도 사용자에게 있어서 방해가 되지 않는다. 한편, 지지부재(29)도, 시트 베이스부(2)에 대하여 전후로 회동 자유롭게 형성함으로써, 다리 재치부(4)의 회동 자유도가 높아진다.
도 2,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재치부(4)는 전개상태(제2상태 또는 상태 β)일 때에 시트 베이스부(2)의 전방에 위치해서 사용자의 다리를 얹기 위한 것이며,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상면이 다리 재치면(41a)으로 된 저부(底部; 41)와, 다리 재치면(41a)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벽부(측벽)(42)를 구비하고, 다리 재치면(41a)과 측벽 내면(42a)에 의해 전후 및 상방이 개구한 하나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오목부는 사용자의 양다리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다른 벽부로서, 좌우의 측벽(42) 사이에 중간벽을 형성해도 좋 다. 이 경우, 2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각 다리가 나뉘어서 수납된다.
다리 재치부(4)에는, 사용자의 다리(L)를 마사지하기 위한 다리 마사지부(7)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 마사지부(7)는 다리 재치면(41a)에 형성된 에어셀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에어셀의 팽창 수축에 의해 다리에 대하여 압압 마사지를 실시할 수 있다.
다리 마사지부(7)는 오목부에 양다리가 수납되는 것에 대응해서, 다리 재치면(41a)상에 좌우에 한 쌍 병설되어 있다. 각 다리 마사지부(7)는 다리의 외측을 압압하기 위한 외측 압압부(押壓部; 71)와, 다리의 내측을 압압하기 위한 내측 압압부(72)와, 양 압압부(71, 72) 사이의 중간 지지면(73)을 구비하고 있다.
외측 압압부(71)는 중간 지지면(73)측을 지점(74a)으로 해서 상방으로 일어서는 기립판(74)과, 팽창함으로써 지지판(74)을 기립 구동하는 제1에어셀(75)과, 기립판(74)에 형성된 시료자(76a)가 부착된 시료판(76)과, 팽창에 의해 시료판(76)을 다리(L)에 밀어붙이도록 구동하도록 기립판(74)에 형성된 제2에어셀(77)을 구비하고 있다.
내측 압압부(72)는 팽창에 의해 다리(L)를 압압하는 에어셀(7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편, 외측 압압부(71)와 내측 압압부(72)는 각각 커버(71a, 72a)에 의해 덮여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다리 마사지부(7, 7)는 에어셀(75, 77, 78)의 수축상태에서는, 편평상태(扁平狀態)에 있어 다리(L)를 중간 지지면(73)에 놓았을 때의 규제감이 적어지고 있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에어 셀(75)이 팽창하면 기립판(74)이 다리(L)를 향해서 일어선다. 이 기립판(74)은 제2에어셀(77)이 팽창하기 위한 지지벽이 되며, 이 지지벽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제2에어셀(77)이 팽창하면 시료판(76)이 다리(L)의 외측에 밀어붙여진다.
또한, 에어셀(78)은 팽창하면 다리(L)의 내측을 압압한다.
다리(L)를 압압하기 위한 제2에어셀(77)을 지지하는 기립판(74)은 마사지하지 않을 때에는, 제1에어셀(75)이 수축해서, 외방으로 넘어지기 때문에, 외측 압압부(71)는 도 8의 상태에서 다리 재치면(41a)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작아지고 있다.
한편, 시료판(76)은 생략하고, 제2에어셀(77)에 의해 직접 다리를 압압해도 좋다. 또한 내측 압압부(72)도 외측 압압부(71)와 동일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외측 압압부(71)를 내측 압압부(72)와 동일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에어셀(7a, 7b)과 상기 공기급배장치(8) 사이는, 에어호스(8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에어호스(82)는 공기급배장치(8)로부터, 시트 베이스부(2)의 전(前)프레임체(22)와 천판(23)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시트 베이스부(2) 밖으로 연장되며, 다리 재치부(4)의 회동 기부(후부)(4a) 부근에 접속되고, 다리 재치부(4)의 저부(41) 내부를 통해서 에어셀(7a, 7b)에 접속되어 있다.
다리 재치부(4)에 있어서의 지지부재(29)와의 연결점(회동 지점)(29a)은, 측벽(42)의 범위에 설정되어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즉, 다리 재치부(4)의 측벽(42)이 지지부재(29)와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전개상태에 있어서, 연결점(회동 지점)(29a)은 다리 재치면(41a)보다도 상방이며, 측벽(42)의 상단(입설방향 선단부)(42b)보다도 하방에 설정되어 있다.
다리 재치부(4)는 접힘상태(제1상태 또는 상태 α)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재치면(41a)이 하향이 되어, 시트 베이스부(2) 위에 위치한다. 다리 재치부(4)를 접힘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도 6과 같이 미리 쿠션체(28)를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으로부터 제거해 둔다.
접힘상태에서는, 다리 재치부(4)의 저부(41)의 뒤쪽면(41b)이 사용자의 착석면이 된다. 즉, 시트 베이스부(2) 위에 다리 재치부(4)가 위치함으로써 의자의 시트부가 구성되어 있다.
접힘상태에 있어서는, 다리 재치부(4)와 시트 베이스부(2) 사이에 쿠션체(28)가 없기 때문에, 착석면이 너무 높아지지 않아, 접힘상태와 전개상태의 착석면의 높이의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저부(41)의 뒤쪽면(41b)측에는 착석시의 앉은 느낌을 좋게 하기 위해서 쿠션재가 형성되어 있다. 이 뒤쪽면(41b)에는, 접힘상태(제1상태 또는 상태 α)에 있어서 사용자의 엉덩이나 대퇴에 마사지를 실시하기 위한 마사지부(에어셀)를 형성해도 좋다.
상기 시트 베이스부(2)의 상면(23a)의 좌우 폭은, 상기 양측벽(42, 42)의 간격보다 작다. 따라서, 접힘상태에서는, 다리 재치부(4)의 벽부(42)의 입설방향 선단(상단)(42b)이,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의 좌우 양측에 있는 벽미끄러짐부(25)로 들어간다. 한편, 벽부 상단(42b)은 베이스부 상면(23a)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는 횡프레임체(21)의 상면과 접촉해도 좋고, 비접촉이어도 좋다.
한편, 벽미끄러짐부(25)는, 단지, 시트 베이스부(2) 전체의 좌우 폭을 좌우 양측벽(42, 42)의 간격보다 작게 함으로써 얻어도 좋다. 이 경우, 접힘상태의 측벽(42)은 횡프레임체(21)의 가로 측방(側方)에 위치하게 된다.
다리 재치부(4)가 좌우 양측에 측벽(42)을 가짐으로써, 접힘상태에 있어서, 에어셀(7)이 마사지 체어의 측방에서 보이지 않아, 외관상 양호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이 측벽(42)의 입설방향 선단이,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에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벽미끄러짐부(25)에 들어가서,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보다도 낮은 위치에 올 때까지 다리 재치부(4)의 회동이 허용되어 있기 때문에, 측벽(42)을 형성하더라도, 접힘상태에 있어서의 착석면이 너무 높아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한편, 접힘상태에서는, 다리 재치부(4)의 다리 재치면(41a)과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은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고, 일정한 간격이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접힘상태의 다리 재치부(4) 내부에는, 에어셀(7)이 위치하기 위한 공간(S)이 확보되어 있다.
접힘상태에서는, 에어셀(75, 77)은 수축해 있으며, 외측 압압부(71)의 기립판(74)은 일어서 있지 않아, 외측 압압부(71)의 돌출량은 작아지고 있다. 또한, 에어셀(78)도 수축해 있기 때문에, 내측 압압부(71)의 돌출량도 작다. 따라서, 접힘상태에 있어서의 다리 재치면(41a)과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의 간격을 작아서, 접힘상태에 있어서의 착석면이 너무 높아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특히, 제2에어셀(77)과 같이, 다리(L)를 옆에서 압압하는 에어셀을 지지하는 판(지지벽)(74)이 일어선 상태에서 다리 재치면(41a)에 고정되어 있으면, 공간(S)을 크게 취할 수밖에 없으나, 본 실시형태의 기립판(74)은 넘어뜨릴 수 있기 때문 에, 공간(S)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에어셀(75, 77, 78)의 팽창시에는, 다리 재치면(41a)에 대하여 돌출하는 다리 마사지부(7)가, 에어셀(75, 77, 78)의 수축시에는 편평상태이기 때문에, 다리 마사지부(7)를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에 안정적으로 겹쳐 놓을 수 있다.
접힘상태에 있어서의 다리 재치부(4)는 그 회동 자유단(4b)이 등 쿠션이 되고 있는 쿠션체(28)의 앞면(제2면)(28b)에 접촉하고 있다. 다리 재치부(4)의 회동 자유단(4b)과 쿠션체(28)의 앞면(제2면)(28b)이 접촉(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함으로써, 기립상태의 쿠션체(28)가 앞으로 넘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접힘상태에 있어서의 다리 재치부(4)는 그 전부(회동 기부(4a)측)가 커버체(44)에 의해 덮여 있으며, 마사지 체어(1)를 정면에서 봤을 때에 측벽(42, 42) 사이의 개구를 덮고 있다. 접힘상태에 있어서, 시트 베이스부 상부(23a)와 다리 재치면(41a) 사이에 간격이 있으며, 접힘상태의 마사지 체어(1)를 정면에서 봤을 때에 다리 재치부(4)의 내부 공간(S)이 보여서,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으나, 커버체(44)를 형성함으로써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체(44)는, 또 에어호스(82)나 지지부재(29)도 정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해서, 외관을 양호하게 하고 있다.
커버체(44)는 그 일단(一端)이 저부(41)의 회동 기부(4a)측에 재봉 등에 의해 부착되고, 타단(他端)이 시트 베이스부(2)의 전부에 재봉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커버체(44)는 다리 재치부(4)의 전방 회동시에는 느슨해져서 회동을 허용 하고, 전개상태일 때에는 다리 재치부(4)의 하방에 위치한다(도 6 참조). 따라서, 커버체(44)는 전개상태일 때에는, 측벽(42, 42) 사이의 개구를 덮지 않아, 다리 재치부(4)에 다리를 얹을 때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다리 재치부(4)는 전후방향으로 신축해서 전후방향 길이가 가변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힘상태일 때에는 다리 재치부(4)를 짧게 해 두고, 전개상태일 때에는 다리 재치부(4)를 길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 길이에 맞춰 다리 재치부(4)의 길이를 시트 베이스부 상면(23)의 전후방향 길이보다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리 재치부(4)는 전개상태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의 다리 길이에 맞춰 다리 재치부(4)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7의 접힘상태로부터 다리 재치부(4)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상태로 하면, 다리 재치부(4)의 후부(회동 기부)(4a)는 시트 베이스부(2)의 전부와 접촉해서 도 6의 위치로 회동 규제되어, 다리 재치부(4)의 전부(회동 자유단)(4b)는 마루면(F)보다도 거리(D)만큼 높은 위치로 유지된다. 다리 재치부(4)가 마루면(F)에 접할 때까지 회동하지 않도록 규제함으로써, 사용자는 다리를 편 상태로 다리 재치면(41a)에 얹을 수 있다. 한편, 다리 재치부(4)의 회동 규제위치는, 도 6과 같이 다리 재치부(4)가 거의 수평상태여도 좋고, 앞쪽이 하향 경사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다리 재치부(4)는 도 6의 거의 수평 전개상태로부터 더욱 하방 회동 가능하며, 게다가 당해 수평 전개상태보다도 하방의 회동 범위에서는 임의의 위치 또는 소정의 복수의 위치로 위치 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하방 회동 범위에서의 위치 결정은, 위치 결정을 행하고 싶은 위치로 다리 재치부(4)를 유지하는 기구를 시트 베이스부(2) 등에 형성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리 재치부(4)의 회동축(29a)이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보다도 상방에 있기 때문에, 전개상태의 다리 재치부(4)의 상부(측벽(42)의 상단)(42b)는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다리 재치부(4)의 측벽(42)은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한 형태가 된다. 또한, 회동축(29a)을 다리 재치부(4)의 측벽(42)에 형성함으로써, 전개상태의 다리 재치면(41a)은 회동축(29a)보다도 하방에 위치해서, 다리 재치면(41a)이 너무 높아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다리 재치면(41a)은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동축(29a)을 본 실시형태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접힘상태에서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과 다리 재치면(41a)이 접촉하고 있지 않더라도,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 및 다리 재치면(41a)을 거의 동일한 높이로 할 수 있다.
회동 지점(29a)의 위치는, 다리 재치부(4)의 두께방향(상하방향)에 있어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회동 지점(29a)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전개상태의 다리 재치부(4)의 위치를 높게 할 수 있다. 접힘상태(제1상태 또는 상태 α)에 있어서,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과 다리 재치면(41a) 사이에 간격이 있는 경우에, 회동 지점(29a)이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에 있으면, 전개상태일 때에 다리 재치 면(41a)은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보다 상기 간격만큼 낮아져 버리지만, 회동 지점을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보다도 높게 함으로써,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다리 재치면(41a)이 낮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지점(29)의 위치에 따라서는 제2상태에 있어서의 다리 재치면(41a)을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보다도 높게 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재치부(4)가 전방 회동된 상태에서, 쿠션체(28)를 전방으로 넘어뜨려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에 재치시키면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제2상태(전개상태)가 얻어진다. 시트 베이스부(2)상에 직접 착석하는 경우에 비해서, 다리 재치부(4)가 제거된 시트 베이스부(2)상에 쿠션체(28)를 얹음으로써, 착석면의 높이의 변화가 작아져서, 마사지 체어(1)가 상태 변화하더라도 착석감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쿠션체 상면(제1면)(28a)은 다리 재치면(41a)보다도 상방에 있다.
이상과 같이, 마사지 체어(1)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상태 또는 상태 α(접힘상태; 의자상태)에서는, 다리 재치부 저부(41)의 뒤쪽면(41b)이 착석면이 되고, 베개체 앞면(32a) 및 쿠션체 앞면(제2면)(28b)이 등받이면인 심플한 형태의 의자가 된다. 접힘상태에 있어서의 착석면 및 등받이면에는, 쿠션성이 확보되어 있음과 아울러, 마사지 기능이 없고, 의자(소파)로서의 사용에 적합한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에어셀은 마사지 기능을 갖지만, 앉은 느낌을 저하시키지 않기 때문에, 적어도, 상기 뒤쪽면(41b), 베개체 앞면(32a), 또는 쿠션체 앞면(28b) 중 어느 한 쪽에 에어셀을 배치함으로써, 접힘상태(제1상태 또는 상태 α)에 있어서, 앉은 느낌을 저하시키지 않고 마사지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베개체 앞면(32a) 및/또 는 쿠션체 앞면(28b)에 에어셀을 배치한 경우, 등받이면으로부터의 마사지가 시료자(61)에 의한 하드한 마사지로부터, 에어셀에 의한 소프트한 마사지가 되기 때문에, 등에의 소프트한 마사지를 얻고 싶은 경우에 매우 적합하다.
한편, 등 마사지부(6)가 작동하지 않는 제1상태 또는 상태 α에서는, 등 마사지부(6)는 다리 재치부(4)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등받이부(3) 내의 하부 범위로 이동하도록 제어된다. 이 때문에, 다리 재치부(4)상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시료자(61)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어, 쿠션체(28)가 다소 얇더라도 앉은 느낌이 저하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한편, 마사지 체어(1)가 제2상태 또는 상태 β(전개상태; 마사지기 상태)가 되면, 쿠션체 상면(제1면)(28a)이 착석면이고, 등받이부(3)의 앞면이 등받이면이 된다(도 2와 같이 등받이부(3) 앞에 베개체(32)가 있는 경우에는 베개체 앞면(32)도 등받이면이 된다.).
또한 착석면(28a)의 전방에는, 다리 재치면(41a)이 존재한다. 제2상태의 착석면, 등받이면, 및 다리 재치면은 각각 마사지부(5, 6, 7)에 의한 마사지 기능을 갖고 있으며, 사용자의 전신에 마사지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마사지 체어(1)는 제1상태 또는 상태 α(접힘상태)와 제2상태 또는 상태 β(전개상태)의 중간상태(제3상태 또는 상태 γ; 다리 마사지기 상태)로서, 도 6에 나타내는 상태도 취할 수 있다. 이 중간상태(제3상태 또는 상태 γ)에서는,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이 착석면이 되고, 베개체 앞면(32a) 및 쿠션체 앞면(제2면)(28b)이 등받이면이 되며, 착석면과 등받이면은 쿠션성이 있어 접힘상태(제1상 태 또는 상태 α)와 마찬가지로 앉은 느낌이 좋은 것이 되고 있다. 또한, 전개상태(제2상태 또는 상태 β)와 같이 착석면(23a)의 전방에 다리 재치면(41a)이 존재하며, 다리 재치면(41a)은 마사지부(7)를 갖고 있다. 따라서, 착석면과 등받이면에 관해서는, 의자로서의 앉기 편안함을 얻으면서 다리에 대한 마사지를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에어셀은 마사지 기능을 갖지만, 앉은 느낌을 저하시키지 않기 때문에, 상기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 베개체 앞면(32a), 또는 쿠션체 앞면(28b)에 에어셀을 배치함으로써, 중간상태(제3상태 또는 상태 γ)에 있어서, 앉은 느낌을 저하시키지 않고 마사지 기능을 충실시킬 수 있다.
마사지 체어(1)에는, 어떠한 상태를 취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센서를 형성할 수 있다. 당해 센서는 쿠션체(28)나 다리 재치부(4)와 같이 상태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부재의 당해 이동을 검출하도록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다리 재치부(4)가 전개상태인지 접힘상태인지를, 다리 재치부(4)의 회동각도 또는 위치 등으로부터 검출하는 센서를 형성해도 좋으며, 쿠션체(28)가 시트 베이스부(2) 위에 있는지 등받이부(3)의 앞면에 있는지를 회동각도 또는 위치 등으로부터 검출하는 센서를 형성해도 좋다.
센서로서는, 다리 재치부(4)나 쿠션체(28)의 이동을 검출하는 리미트스위치, 광센서, 자기센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센서에 의해 마사지 체어의 상태가, 접힘상태(제1상태 또는 상태 α), 전개상태(제2상태 또는 상태 β), 중간상태(제3상태 또는 상태 γ) 중 어디에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으며, 당해 상태에 대응한 마사지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힘상태(제1상태 또는 상태 α)에 있어서는, 마사지부(5, 6, 7)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개상태(제2상태 또는 상태 β)에서는, 모든 마사지부(5, 6, 7)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상태(제3상태 또는 상태 γ)에서는, 다리 마사지부(7)를 작동시키고, 시트 마사지부(5) 및 등 마사지부(6)는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쿠션체(28)의 이동은, 다리 재치부(4)의 전개상태에서밖에 행할 수 없기 때문에, 쿠션체가 시트 베이스부(2) 위에 있는 것을 검출하면, 다리 재치부(4)가 전개상태인 것을 검출하지 않더라도 접힘상태(제1상태 또는 상태 α)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도 12는 제2실시형태에 따른 마사지 체어(1)를 나타내고 있다. 이 마사지 체어(1)에서는, 시트 베이스부(2)와 다리 재치부(104)는 판형상의 중간부재(지지부재)(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중간부재(9)는, 도 12에 나타내는 다리 재치부(104)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시트 베이스부(2)의 상면(착석면)(23a)과, 다리 재치부(104)의 다리 재치면(141a) 사이에서, 양면(23a, 41a)을 잇는 중간면(91)을 형성한다.
이 마사지 체어(1)도, 다리 재치부(104)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베이스부(2)에 재치된 제1상태로부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베이스부(2)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다.
다리 재치부(104)는 한 면이 다리 재치면(제2상태에 있어서의 상면)(141a)으 로 된 저부(141)와, 다리 재치면(141a)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측벽(142)을 구비하여, 다리를 수납하기 위한 하나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오목부 내에는 다리 마사지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다리 재치부(1044)는 저부(141)의 타면측(他面側)이 시트면(제1상태에 있어서의 상면)(141b)으로 되어 있으며, 이 시트면(141b)에는, 다리 재치부(104)를 도 11에 나타내는 접힘상태로 했을 때에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다. 시트면(141b)의 좌우 양측에는, 팔걸이(armrest)가 되는 측벽(146, 146)이 세워져서 형성되어 있다.
도 12의 상태(제2상태; 마사지기 상태)에 있어서의 중간부재(9)의 후단(시트 베이스부(2)측의 단부)(9a)은 좌우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 자유롭게 시트 베이스부(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재(9)의 전단(다리 재치부(4)측의 단부)(9b)도, 좌우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 자유롭게 다리 재치부(4)에 연결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재치부(104)를 시트 베이스부(2) 위에 재치시킨 상태(제1상태; 접힘상태; 의자상태)에서는, 중간부재 전단(9b)의 연결부에 존재하는 제1의 회동 지점은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중간부재 전단(9b)의 연결부에도 제2의 회동 지점이 존재하며, 2개(복수)의 회동 지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리 재치부(104)를 크게 전개할 수 있다. 또한, 중간부재(9)는 판형상이며, 중간면(91)에 다리를 얹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리 재치부(104)가 시트 베이스부(2)로부터 떨어져 있더라도, 중간면(91)에 다리를 얹어서 편히 쉴 수 있다.
다리 재치부(104)와 시트 베이스부(2) 사이에, 중간부재(9)가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의 높이나 다리 재치부(104)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리 재치부(104)를 마루면(F)에 재치시킬 수 있다.
중간부재(9)는 도 11의 접힘상태에 있어서, 다리 재치부(104)의 전부(前部)를 덮고 있으며, 기술한 커버체(44)(도 1∼도 10 참조)와 마찬가지로, 다리 재치부(104)의 측벽(142) 사이의 개구를 덮어 접힘상태에 있어서의 외관을 양호하게 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시트면(141b)측의 측벽(146, 146)은, 도 1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재치부(104)가 시트 베이스부(2)상에 접혀 있을 때에는, 시트면(141b)의 좌우측에 위치해서 팔걸이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12와 같이 다리 재치부(104)의 전개상태시에는, 측벽(146, 146)은 저부(141)를 마루면(F)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 다리로서 기능한다.
또한, 다리 재치면측의 측벽(142, 142)은 도 1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재치부(104)가 시트 베이스부(2)상에 접혀 있을 때에는, 저부(141)를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 다리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12와 같이 다리 재치부(104)의 전개상태시에는, 측벽(142, 142)은 다리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하는 측벽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점은, 도 1∼도 10에 나타내는 마사지 체어와 동일하다.
도 14는 제3실시형태에 따른 마사지 체어(1)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 에 따른 의자(1)는 상기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마사지 체어로서 구성된 것이며, 시트 베이스부(2)와 다리 재치부(104)가 좌우 한 쌍의 프레임(35)(지지부재)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마사지 체어(1)는 도 15와 같이 다리 재치부(104)가 시트 베이스부(2) 위로 접혀진 제1상태(접힘상태; 의자상태)와, 다리 재치부(104)가 시트 베이스부(2)의 전방으로 전개된 도시하지 않은 제2상태(전개상태; 마사지기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한 것이다.
마사지 체어(1)는 시트 베이스부(2)와, 시트 베이스부(2)의 후부에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형성된 등받이부(3)와, 사용자의 다리가 재치되는 다리 재치면(141a)을 갖는 다리 재치부(104)와, 시트 베이스부(2)의 전부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프레임(35)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판형상의 중간부재(9)와는 달리, 좌우 한 쌍의 프레임(35)을 사용해서 시트 베이스부(2)와 다리 재치부(104)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회동 지점이 다리 재치부(104)의 측면이 되어, 프레임(35)이 마사지 체어(1)의 전방으로 나와 있지 않다.
또한, 좌우 한 쌍의 프레임(35)의 후단(시트 베이스부(2)측의 단부)(35a)은, 시트 베이스부(2)에 고정되어 있으며, 당해 프레임(35)은 시트 베이스부(2)로부터 약간 앞쪽 방향으로 상방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35)의 각 전단(다리 재치부(4)측의 단부)(35b)은 좌우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 자유롭게 다리 재치부(104)의 각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35)은 다리 재치부(104)와의 연결측이 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 있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재치부(104)를 시트 베이스부(2) 위에 재치시킨 상태(제1상태; 접힘상태; 의자상태)에서는, 프레임 전단(35b)의 연결부에 존재하는 회동 지점은, 시트 베이스부 상면(23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가령 프레임(35)을 시트 베이스부(2)의 상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세워서 형성시킨 경우(가상선으로 나타낸다), 다리 재치부(104)를 회동시킬 때, 다리 재치부(104)의 후부가 시트 베이스부(2)의 전부에 닿아서 회동시킬 수 없으나, 프레임(35)을 상술과 같이 시트 베이스부(2)의 상면에 대하여 직각방향보다도 앞쪽으로 기운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다리 재치부(104)를 회동시킬 때, 다리 재치부(104)의 후부가 시트 베이스부(2)의 전부에 닿지 않으므로, 다리 재치부(104)를 스무스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리 재치부(104)의 형상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한편,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점은, 상기 제2실시형태의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마사지 체어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제4실시형태에 따른 마사지 체어(1)를 도 15∼도 18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마사지 체어의 한 실시형태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15에 나타나는 마사지 체어(C)는, 시트 베이스부(201)와, 이 시트 베이스부(201)에 회동 자유롭게 연결된 다리 재치부(210)와, 상기 시트 베이스부(201)의 후부에 형성된 등받이부(220)와, 상기 시트 베이스부(201)의 전부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지지암(지지부재; 중간부재)(240)을 구비하고 있고, 다리 재치부(210)는 접혀져서 시트 베이스부(201)상에 재치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재치부(210)는, 다리 재치면(210b)을 하향으로 해서 시트 베이스부(201)상에 재치된 상태로부터, 시트 베이스부(201) 의 전방으로 회동해서 다리 재치면(210b)이 상향상태가 되도록 시트 베이스부(201)의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시트 베이스부(201)의 전부에 지지암(240)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도 15의 상태에 있어서 다리 재치부(210)의 저면(210a)상에 착석할 수 있으나, 착석했을 때의 앉기 편안함을 확보하기 위해서, 착석면이 되는 상기 저면(210a)에 우레탄폼 등의 쿠션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받이부(220) 내에 등 마사지부(221)를 배치해 두면, 이 착석한 상태에서 등에 마사지를 행할 수도 있다. 등 마사지부(221)로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사용자의 환부에 닿아서 마사지를 실시하기 위한 시료자(안마볼)(222)와, 이 시료자(222)에 마사지 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부(223)로 구성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도 16 참조). 이 등 마사지부(221)에 의해, 사용자에게 안마 마사지, 두들김 마사지 및 이들을 조합시킨 다양한 마사지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등 마사지부(21)는 사용자의 목에서부터 허리의 넓은 범위를 마사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부(220) 내에서 가이드(224)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트 베이스부(201)는, 내부가 공동이며,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측벽(202)과, 측벽(202)의 전단 사이에 형성된 앞벽(203)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시트 베이스부(201)의 전후방향을 따르는 프레임(204)(도 16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 베이스부(201)의 공동 내에는, 상기 등받이부(220)를, 후방으로 넘어뜨리도록, 또는 전방으로 일어서도록 구동하는 에어실린더(205)나, 후술하 는 다리 재치부(210)에 있어서의 마사지에 사용되는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및 급배 전환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공기급배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이 형성되어 있다. 도 16은 상기 등받이부(220)가 최대한 후방으로 넘어지고, 또한 다리 재치부(210)가 시트 베이스부(201)의 전방 위치에 있으며 마루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힘상태의 마사지 체어(C)에 있어서, 다리 재치부(210)의 전부 및 시트 베이스부(201)의 앞벽(203)은 커버체(207)에 의해 덮여 있다. 이 커버체(207)는 마사지 체어(1)를 정면에서 봤을 때에, 팔걸이부(206, 206) 사이의 개구를 덮음과 아울러, 앞벽(203)(혹은 시트 베이스부(201))과 다리 재치부(210) 사이의 경계 부분도 덮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접힘상태에 있어서의 마사지 체어(C)의 외관을 양호하게 하고 있다. 또한, 커버체(207)는 에어호스(도시 생략)나 지지암(240)도 정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해서, 외관을 양호하게 하고 있다.
커버체(207)는 그 일단이 다리 재치부(210)측에 재봉 등에 의해 부착되는 한편,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앞벽(203)의 전방에 매달려 있으며, 이들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간위치에 있어서 시트 베이스부(201)의 전부에 재봉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커버체(207)는 다리 재치부(210)의 전방 회동시에는 느슨해져서 회동을 허용하고, 전개상태일 때에는 다리 재치부(210)의 하방에 위치한다(도 16 참조). 따라서, 커버체(207)는 마사지 체어(C)가 전개상태일 때에는, 다리 재치부(210)에 다리를 얹을 때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220)의 앞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등받이 커버를 개재해서 등받이부용의 쿠션체(225)가 형성되어 있다. 쿠션체(225)는 그 내부에 우레탄폼 등의 쿠션재를 구비하며, 쿠션성을 확보하기 위한 두께를 갖고 있다. 의자를 마사지기로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체(225)를 등받이부(220)의 전면(全面)에 배치함으로써 쿠션성이 향상하고, 일반적인 소파 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의자를 마사지기로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쿠션체(225)를 젖혀 올려서 등받이부(220)의 후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쿠션체(225)의 상부(225a)는 재봉, 패스너, 면 패스너 등의 수단에 의해 등받이부(220)의 상부에 부착되는 한편, 쿠션체(225)의 하부(225b)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어, 이 하부를 젖혀 올려서, 쿠션체(225)를 등받이부(220)의 후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도 16 참조). 쿠션체(225)의 하부(225b)에는 면 패스너가 형성되어 있으며, 쿠션체(225)를 등받이부(220)의 후방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이 면 패스너에 의해 하부(225b)를 등받이부(220)의 상부에 부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쿠션체(225)는 접혀진 상태에서 등받이부(220)의 후방에 배치되므로, 외관이 양호해진다. 또한, 쿠션체(225)를 접혀진 상태로 함으로써, 의자를 리클라이닝시킨 경우라도 쿠션체(225)가 의자 접지면(마루)에 붙지 않도록 할 수 있다(도 16 참조).
240은 금속제의 판재(板材)로 제작된 좌우 한 쌍의 지지암이며, 시트 베이스부(201)의 좌우의 측벽(202)의 전단 부근에 있어서, 각 후단이 시트 베이스부(201)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축심 주위로 상기 프레임(204)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고, 그 각 전단이 다리 재치부(210)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지지암(240)은 그 선단이 시트 베이스부(201)의 전방을 향하는 것과 같은 앞쪽으로 기운 상태로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지암(240)의 선단 부근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구멍에 다리 재치부(210)의 측벽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축(241)이 끼워져 있다. 제1축(241)의 선단에는 상기 구멍의 직경보다도 직경이 큰 스토퍼(2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구멍, 제1축(241) 및 스토퍼(242)에 의해 다리 재치부(210)의 제1의 회동 지점(A)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 지점(A)은 시트 베이스부(201)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되어 있다.
한편, 지지암(240)의 길이방향 중앙부의 약간 뒤쪽에 있어서, 시트 베이스부(201)의 전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의 회동 지점(B)이 구성되어 있다. 이 제2의 회동 지점(B)에서는, 제2축(244)이 프레임(204)의 전부 및 지지암(240)의 중도부에 끼워짐으로써, 당해 지지암(240)이 프레임(204)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지지암(240)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지부(250)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지부(250)의 상부에 형성된 접촉면(250a)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204)의 하면(204a)에 접촉함으로써, 당해 지지암(240)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암(240)은 그 선단이 시트 베이스부(201)의 전방을 향하는 앞쪽으로 기운 상태(도 16 참조)가 되는 위치에서 그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재치부(210)가 마루면으로부터 뜨게 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암(240)이 제2의 회동 지점(B)에 있어서 시트 베이스부(201) 에 대하여 전후로 회동 자유롭게 되어 있으며, 당해 회동 지점(B)에 의해 다리 재치부(210)를 전후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지지암(240)이 제1의 회동 지점(A)에 있어서 다리 재치부(210)에 회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다리 재치부(210)를 회동시킬 때, 당해 다리 재치부(210)의 후부를 시트 베이스부(201)의 전부에 접촉시키지 않고 회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다리 재치부(210)가 다리 재치면 하향상태(접힘상태)일 때에, 지지암(240)이 시트 베이스부(201)보다도 전방으로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당해 다리 재치부(210)의 후부가 시트 베이스부(201)의 전부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마사지 체어(C)의 외관이 양호해진다.
다리 재치부(210)의 제1의 회동 지점(A)측의 단부에는, 당해 다리 재치부(210)가 시트 베이스부(201)의 전방 위치에 있을 때에 다리 재치부(210)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함과 아울러, 다리 재치부(210)에 소정의 하중보다 큰 하중이 작용한 경우에 당해 다리 재치부(210)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자세제어기구(2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자세제어기구(230)는 지지암(240)에 대응해서, 다리 재치부(210)의 일단(상기 회동 지점측의 단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도 17,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지암(240)에 접촉할 수 있는 이동체(243), 이 이동체(243)를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부세수단인 코일 스프링(244), 및 이 코일 스프링(244)의 일단(상기 이동체(43)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체(245)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이동체(243), 코일 스프링(244) 및 고정체(245)는, 상기 다리 재치 부(210)에 고정되어 형성된 케이싱(246)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 고정체(245)만이 상기 케이싱(24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243)가 스무스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당해 이동체(243)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축(247)이 케이싱(246)에 형성된 가이드홈(248)에 삽입되어 있다. 한편, 이동체(243)의 형상은, 본 발명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거의 상자형상을 나타낸 것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다리 재치부(210) 위에 잘못해서 사람이 앉는 등 하여 당해 다리 재치부(210)에 소정 하중을 넘는 하중이 작용하면, 상기 이동체(243)는 지지암(240)의 측면(240a)에 압압되어, 코일 스프링(244)은 이동체(243)에 의해 압축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다리 재치부(210)에 작용한 과대한 하중에 의해 지지암(240) 등이 파손하지 않도록 다리 재치부(210)를 회동 자유롭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중이 없어지면, 다리 재치부(210)는 코일 스프링(244)의 탄성에 의해 저절로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한편, 회동을 개시하는 하중은, 코일 스프링(244)의 탄성 및 길이를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암(240) 등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자세제어기구(230)에 대하여 2개의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나, 코일 스프링의 수는 1개여도 좋고, 또한 3개 이상이어도 좋으며, 다리 재치부(210)가 시트 베이스부(201)의 전방 위치에 있어서 소정의 자세로 유지되고, 또한 다리 재치부(210)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거되었을 때에 당해 다리 재치부(210)를 상기 소정의 자세로 복귀시킬 수 있는 탄성이 얻어지는 한, 그 개수나 길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세수단으로서, 코일 스프링을 대신하여, 에어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4실시형태의 마사지 체어(C)는 다리 재치부(210)가 회동함으로써, 이 다리 재치부(210)에 작용하는 과대한 하중이 지지암 등에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안전을 위해서, 상기 제1∼제4실시형태의 다리 재치부의 회동시에는 마사지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을 위해서, 다리 재치부의 회동을 검지하는, 예를 들면 리미트스위치, 광센서, 자기센서 등의 검지수단을 상기 다리 재치부의 회동 지점 부근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검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마사지 체어(C)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마사지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제4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리 재치부에 형성되는 마사지부로서는, 에어셀에 한하지 않으며, 진동 마사지장치 등 다른 마사지기구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제1, 제3,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리 재치부의 후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긴구멍을 형성하고, 당해 다리 재치부와 지지부재(지지암)와의 회동점이 이 긴구멍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리 재치부가 시트 베이스부상에 재치된 상태일 때에, 당해 시트 베이스부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접힘상태일 때에, 다리 재치부를 후방으로 어긋나게 해서 당해 다리 재치부의 후부와 시트 베이스부의 전부의 위치를 맞춤으로써, 마사지 체어의 외관이 양호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측벽(42)의 내면(42a)에 에어셀을 형성해서 다리 외측을 옆에서 압압해도 좋다. 또한, 측벽(42)은 도시한 것보다도 더 높게 해도 좋다.
또한, 다리 재치부(4)는 시트 베이스부(2)에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시트 베이스부(2)로부터 분리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각 마사지부(5, 6, 7)는 진동 마사지 등 다른 마사지 동작을 발생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도 19 및 도 20은 제5실시형태에 따른 의자(마사지 체어)(1)를 나타내고 있다. 이 마사지 체어는 다리 재치부(104)가 시트 베이스부(2)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시트 베이스부(2)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이다.
이 마사지 체어(1)도, 다리 재치부(104)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베이스부(2)에 재치된 상태 α로부터,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베이스부(2)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 β로 상태 변경 가능하다. 다리 재치부(104)는 상태 α에서는, 시트 베이스부(2)상에 단지 얹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다리 재치부(104)를 시트 베이스부(2) 전방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단지 다리 재치부(104)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또한, 다리 재치부(104)를 앞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하를 반대로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다리 재치부(104)는 다리 마사지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오로지 다리를 얹기 위할 뿐인 것이지만, 다리 마사지부를 형성해도 좋다. 다리 마사지부로서는, 에어셀이나 진동 마사지장치 등 다양한 마사지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다리 마사지부는 다리 재치부(104)의 상면(104a) 및/또는 하면(104b)에 형성 할 수 있다. 상면(104a)과 하면(104a)에 다른 종류의 마사지부를 형성해 둠으로써, 작동시키고 싶은 마사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면(104a, 104b)을 위로 해서, 시트 베이스부(2) 또는 마루(F)에 놓음으로써, 마사지의 종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다리 재치부로서는, 도 1∼도 10에서 나타낸 형태의 다리 재치부(4)여도 좋다. 이 경우, 다리 재치부(4)를, 다리 재치면(4a)을 위로 해서 시트 베이스부(2) 전방에 위치시키면 다리를 마사지할 수 있고, 뒤쪽면(상태 α에 있어서의 시트면)(41b)을 위로 해서 시트 베이스부(2) 전방에 위치시키면, 단지 다리를 얹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사지 체어(1)에 관해서, 설명을 생략한 점에 대해서는, 도 1∼도 10에 나타낸 마사지 체어(1)와 동일하다.
도 21 및 도 22는 제6실시형태에 따른 의자(마사지 체어)(1)를 나타내고 있다.
이 마사지 체어는 다리 재치부(204)가 시트 베이스부(2)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시트 베이스부(2)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한 것이다.
이 마사지 체어(1)도, 다리 재치부(204)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베이스부(2)에 재치된 상태 α로부터,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베이스부(2)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 β로 상태 변경 가능하다. 이 다리 재치부(204)는 그 상면(204a)이 상태 α에 있어서의 착석면임과 아울러 상태 β에 있어서의 다리 재치면이다. 다리 재치부(204)의 하면(204)에는 전후에 각각 차륜(2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차륜(241)은 시트 베이스부(2)에 형성된 궤도부(242)상을 전동(轉動) 한다.
따라서, 다리 재치부(204)는 도 21의 위치로부터, 도 22의 위치가 되도록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6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사지 체어(1)에 관해서, 설명을 생략한 점에 대해서는, 도 1∼도 10에 나타낸 마사지 체어(1)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도면에 나타낸 시트 베이스부, 다리 재치부, 쿠션체, 및 등받이부의 구체적 형상과 그들의 결합구조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계 변경 가능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3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인 의자형 마사지기(g1)의 사시도이고, 도 24 및 도 26은 그 측면도이다.
이 의자형 마사지기(g1)는 시트 베이스부(g2)와, 상기 시트 베이스부(g2)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팔걸이부(g3)와, 의자 전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사용자의 다리가 재치되는 다리 재치면(g4)을 가짐과 아울러 마사지기구(도시 생략)를 갖는 다리 재치부(g5)와, 등받이부(g6)를 구비하고 있다.
다리 재치부(g5)는 시트 베이스부(2) 혹은 팔걸이부(g3)의 전부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러한 회동에 의해, 다리 재치부(g5)는 전개상태(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다) 및 수용상태(접힘상태;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낸다)의 양방의 상태로 할 수 있다. 수용상태란, 다리 재치면(g4)이 하향으로 된 상태에서 다리 재치부(g5)가 시트 베이스부(g2)상의 상기 좌우의 팔걸이부(g3) 사이에 수용되고, 다리 재치면(g4)의 이면(g7)(다리 재치부(g5)의 저부의 뒤쪽면)이 시트면으로서 사용되는 상태이다. 한편, 전개상태란, 다리 재치면(g4)이 상향으로 된 상태에서 다리 재치부(g5)가 시트 베이스부(g2)의 앞쪽에 배치되는 상태이다. 이 전개상태에서는, 의자형 마사지기(g1)에 걸터앉은 사용자가 다리를 다리 재치면(g4)상에 놓아서 다리의 마사지를 받을 수 있다.
한편,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재치부(g5)에는, 의자형 마사지기(g1)에 걸터앉은 사용자의 좌우의 다리를 각각 배치할 수 있는 2개의 오목부(g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각 오목부(g10)의 내면 곳곳에는, 공기에 의해 팽창 및 수축하는 에어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오목부(g10)에 배치된 다리를 마사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시트면, 즉 시트 베이스부(g2)의 상면에 의해 구성되는 시트면을 전개시 시트면(g11)이라고도 칭하기로 하고(도 23 및 도 24 참조),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의 시트면, 즉 다리 재치부(g5)에 있어서의 다리 재치면(g4)의 이면(g7)에 의해 구성되는 시트면을 수용시 시트면(g12)이라고도 칭하기로 한다(도 25 및 도 26 참조).
팔걸이부(g3)는 그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기구(g8)를 갖고 있다. 도 27∼도 29는 팔걸이부(g3)를 포함하여 의자형 마사지기(g1)의 좌우 측면부분을 구성하는 의자 측면부(g20) 중 한쪽측을 빼내서 기재한 사시도이며, 이 중 도 27(및 전술한 도 23, 도 24)은 팔걸이부(g3)가 가장 낮게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8(및 전술한 도 25, 도 26)은 팔걸이부(g3)가 가장 높게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다. 또한 도 29는 높이조절기구(g8)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높이조절기구(g8)에 의한 팔걸이부(g3)의 높이 조절 범위는 전개시 시트면(11) 및 수용시 시트면(g12)과 관련해서 결정되어 있다.
우선, 팔걸이부(g3)는 적어도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는, 시트면으로서 사용되는 다리 재치면(g4)의 이면(g7), 즉, 수용시 시트면(g12)의 높이보다도 높게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26에 나타내는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 팔걸이부(g3)의 높이(상기 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는 그 최대 높이)는, 수용시 시트면(g12)의 높이(상기 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는 그 최대 높이)(hs)보다도 높이차(h1)(도 26 참조)만큼 높게 조정 가능하다. 이 높이차(h1)는 통상의 팔걸이부에 필요한 높이를 고려해서 100mm∼200mm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팔걸이부(g3)는 적어도 전개상태에 있어서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수용시 시트면(g12)(도 24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표시)의 높이(hs)보다 높이차(h2)만큼 낮게 조정 가능하다.
다음으로, 높이조절기구(g8)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높이조절기구(g8)는 동(同)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로서 조작 레버(g9)를 구비하고 있다. 이 조작 레버(g9)는 상방향으로만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방향으로 조작하면 높이 고정이 완전히 해제되어, 팔걸이부(g3)의 가동부(g3a)를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조작 레버(g9)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동부(g3a)를 낮출 수 없으나, 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팔걸이부(g3)의 가동부(g3a)를 올리는 경우에는, 조작 레버(g9)를 조작하는 것은 불필요 하며, 가동부(g3a) 중 어딘가의 부위(예를 들면 측면부분 등)를 들어올리는 등 하면 된다. 이와 같이, 조작 레버(g9)는 팔걸이부(g3)의 높이를 낮출 때에는 조작이 필요하지만, 팔걸이부(g3)의 높이를 올릴 때에는 조작이 불필요하다.
도 29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조절기구(g8)는 가동부(g3a)측에 형성된 부분과, 비가동부측(가동부(g3a)를 제외하는 의자 측면부(g20)측)에 형성된 부분이 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가동부(g3a)측에는, 조작 레버(g9)와, 상기 조작 레버(g9)의 상면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으로 거의 역(逆) ハ자형으로 연장되는 2개의 판스프링(g15)과, 조작 레버(g9)와 일체적으로 연동해서 상기 조작 레버(g9)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봉(棒)형상의 연동부재(連動部材; g16)와, 평판형상의 슬라이드부(g17)와, 연동부재(g16)나 슬라이드부(g17)를 팔걸이부 내측에서 덮는 커버(g18)와, 가동부(g3a)를 소정의 높이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로부(claw)(g21)를 구비하고 있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클로부(g21)는 슬라이드부(g17)에 대하여 연동부재(g16)와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연동부재(g16)의 하단부는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이 절곡부분이 슬라이드부(g17)에 형성된 관통구멍(g23)을 관통하고 또한 고정 클로부(g21)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한편, 상기 비가동부측에는, 상기 슬라이드부(g17)를 끼워 넣어서 상기 슬라이드부(g17)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가이드부(g19)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g19)에는, 슬라이드부(g17)의 폭 및 두께에 대응한 가이드홈(g24)이 좌우 양측에 서로 대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홈(g24) 내에 슬라이드 부(g17)를 끼워 넣음으로써, 슬라이드부(g17)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3a)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g17)가 가이드부(g19)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때에는, 고정 클로부(g21)도 가이드부(g19)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데, 가이드부(g19)에는, 고정 클로부(g21)의 상대 이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클로 이동용 홈(g25)이 상하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부(g19)는 3개의 나사(g22)에 의해 의자 측면부(g20)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g19)에는, 고정 클로부(g21)와 계합(係合)함으로써 가동부(g3a)를 소정의 높이로 고정하기 위한 클로 계합 오목부(g26)가 상하방향으로 복수 부위(도 29의 실시형태에서는 4부위)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클로 계합 오목부(g26) 중, 어느 오목부(g26)와 클로 계합 오목부(g26)가 계합하는지에 의해 팔걸이부(g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0은 고정 클로부(g21)와 클로 계합 오목부(g26)와의 계합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고정 클로부(g21)는 회동축(g27)에 있어서 슬라이드부(g17)(도 30에서는 기재를 생략)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단, 고정 클로부(g21)는 회동축(g27)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연동부재(g16)에 의해 회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것을 이하에 설명한다.
고정 클로부(g21)의 회동 범위는, 연동부재(g16)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가동 범위에 의해 규제되어 있으나, 이 연동부재(g16)의 가동 범위는, 연동부재(g16)와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조작 레버(g9)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가동 범위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도 31은 조작 레버(g9) 근방을 의자의 시트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조작 레버(g9)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가동 범위의 상한 위치는, 조작 레버(g9)의 상측 단면(g9a)이 가동부(g3a)의 본체측 내면(g29)에 닿는 위치이며, 한편, 동(同) 가동 범위의 하한 위치는, 연동부재(g16)와 고정 클로부(g21)가 후술하는 계합상태가 되는 위치로 되어 있다. 조작 레버(g9)는 가동 범위의 전 범위에 있어서, 판스프링(g15)에 의해 하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이 판스프링(g15)과 연결하고 있는 연동부재(g16)도 마찬가지로 하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판스프링(g15)의 부세력에 의해 연동부재(g16)가 하방향으로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클로부(g21)도 한쪽 방향(도 30에 있어서의 반시계 둘레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부세되어 있다. 조작 레버(g9)를 조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g9)는 판스프링(g15)의 부세력에 의해, 가동 범위의 하한 위치를 취하려고 하게 된다.
도 3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동부재(g16)는 회동축(g27)에 대하여, 클로 계합 오목부(g26)와 계합하는 계합부(g28)와는 반대측에 있어서 고정 클로부(g21)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30A와 같이, 고정 클로부(g21)와 클로 계합 오목부(g26)가 계합한 상태(이하, 계합상태라고도 말함)가 유지됨으로써, 팔걸이부(g3)(의 가동부(g3a))의 높이가 고정된다. 이때, 조작 레버(g9)는 그 가동 범위의 하한 위치에 있으며, 따라서 연동부재(g16)는 회동축(g27)에 대하여 더욱 하방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연동부재(g16)에 의해, 고정 클로부(g21)는 도 30A의 계합상태보다도 계합부(g28)가 올라가는 방향(도 g8에 있어서의 반시계 둘레의 방향)으로는 회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팔걸이 부(g3)의 자중 혹은 사용자의 팔의 무게 등의 하중에 의해 고정 클로부(g21)가 회동하는 일이 없으며, 고정 클로부(g21)와 클로 계합 오목부(g26)와의 계합이 빠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가동부(g3a)가 가이드부(g19)에 대하여 내려가는 일이 없으며, 팔걸이부(g3)의 높이가 고정된다.
한편, 도 3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g9)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동부(g3a)를 올리면, 가이드부(g19)에 대하여 고정 클로부(g21)가 상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려고 한다. 이때, 사용자가 가동부(g3a)를 올리려고 하는 힘에 의해, 고정 클로부(g21)는 판스프링(g15)에 의한 부세력에 반해서, 계합부(g28)가 내려가는 방향(도 30에 있어서의 시계 둘레의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것에 의해 고정 클로부(g21)의 계합부(g28)와 클로 계합 오목부(g26)와의 계합이 해제되어, 팔걸이부(g3)의 높이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동부(g3a)를 내리는 경우는, 전술한 판스프링(g15)의 부세력에 저항해서 조작 레버(g9)를 상방향으로 조작하여, 도 3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클로부(g21)의 계합부(g28) 선단이 가이드부(g19)의 내측 단면(g19a)으로부터 뜬 상태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동부(g3a)는 하방향으로(물론 상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클로부(g21)는 판스프링(g15)의 부세력에 의해, 도 30에 있어서의 반시계 둘레의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따라서, 클로 계합 오목부(g26)와 고정 클로부(g21)가 계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g9)로부터 손을 떼는 등 해서 조작 레버(g9)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로 하면, 고정 클로 부(g21)에 있어서의 계합부(g28)의 선단이 가이드부(g19)의 내측 단면(g19a)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인 채로 가동부(g3a)를 내려서 계합부(g28)와 클로 계합 오목부(g26)가 계합할 수 있는 위치관계가 되면, 계합부(g28)가 그 선단측으로부터 클로 계합 오목부(g26)로 미끄러져 들어가고(도 30B의 상태), 이윽고 도 30A에 나타내는 계합상태에 이른다.
한편, 계합부(g28)의 형상은, 클로 계합 오목부(g26)에 대한 상방향의 상대 이동에 대해서는 계합이 해제되기 쉽고, 또한 클로 계합 오목부(g26)에 대한 하방향의 상대 이동에 대해서는 계합이 해제되기 어려워지도록 고안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도 30A의 계합상태에 있어서의 계합부(g28)의 상측의 윤곽형상은 거의 단순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데에 비해서, 동(同) 하측의 윤곽형상은 클로 계합 오목부(g26)의 하측면(g26a)과 계합하기 쉽도록 오목형상으로 굴곡한 것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도 30A의 계합상태에 있어서 거의 수평이 되는 계지부(係止部; g28a)를 갖고 있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조절기구(g8)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인 조작 레버(g9)는 팔걸이부(g3)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부(g3a)의 높이를 가장 낮은 위치로 한 채로 다리 재치부(g5)를 회동시켜서 상기 수용상태(접힘상태)로 하면, 수용시 시트면(g12)의 높이(hs)는 팔걸이부(g3)보다도 h2만큼 높은 위치가 되며, 조작 레버(g9)는 다리 재치부(g5)에 의해 은폐된다(도 26의 이점쇄선 참조). 따라서 이 경우, 마사지 의자가 아닌 통상의 가구의 외관에 가까운 의자로 할 수 있다. 한편, 특히 최근, 마사지 의자에 있어서도 통상의 가구 에 있어서의 의자에 가까운 외관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g3a)를 최고의 높이로 조정한 경우에는, 수용상태(접힘상태)로 한 경우라도 조작 레버(g9)는 다리 재치부(g5)에 의해 은폐되지 않으며, 조작 레버(g9)를 은폐하기 위해서는, 수용상태(접힘상태)로 한 후에 팔걸이부(g3)의 높이를 최저 혹은 비교적 낮은 위치로 조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조작 레버(g9)가 다리 재치부(g5)에 의해 은폐된 상태에 있어서는, 팔걸이부(g3)의 높이가 수용시 시트면(g12)보다도 낮은 상태 또는 수용시 시트면(g12)보다도 충분히 높지 않은 상태가 되어, 팔걸이 기능을 갖는 부분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조작 레버(g9)의 위치를 본 실시형태보다도 낮은 위치로 함으로써,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 팔걸이부(g3)의 높이를 수용시 시트면(g12)보다도 높게 하더라도 조작 레버(g9)가 다리 재치부(g5)에 의해 은폐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술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부(g3a)를 최저의 높이로 한 상태에서 수용상태(접힘상태)로 하면, 다리 재치부(g5)에 의해 조작 레버(g9)가 은폐되게 되지만,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가동부(g3a)를 올릴 때에는 조작 레버(g9)의 조작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조작 레버(g9)가 은폐된 상태에서라도 가동부(g3a)를 올릴 수 있다. 또한, 수용상태(접힘상태)로부터 전개상태로 이행하면, 은폐되어 있었던 조작 레버(g9)가 노출하여, 조작 레버(g9)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개상태에서도 조작 레버(g9)를 조작해서 가동부(g3a)를 내릴 수 있다.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g9)가 은폐된 경우, 가동부(g3a)의 가동범위의 하한에 여유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조작 레버(g9)를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가동부(g3a)를 내릴 수 없다. 그러나,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는, 시트면은 수용시 시트면(g12)이 되며, 시트면이 비교적 높아지기 때문에, 높아지는 시트면에 대응시켜서 가동부(g3a)를 올릴 필요성은 높지만, 굳이 가동부(g3a)를 내릴 필요성은 적다. 따라서,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g9)가 은폐되어, 가동부(g3a)를 내릴 수 없더라도 거의 문제가 되지 않아, 상술한 조작 레버(g9)가 은폐되는 것에 의한 이점 쪽이 중요하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g3a)를 가장 낮은 위치로 한 상태에서 다리 재치부(g5)를 접어서 수용상태(접힘상태)로 하면, 팔걸이부(g3)의 높이는 수용시 시트면(g12)의 높이 이하가 되어, 팔걸이 기능을 갖는 부분이 없는(즉 팔걸이가 없는) 상태의 의자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팔걸이가 없는 의자에서는, 의자의 전방으로부터 뿐만 아니라 의자의 측면측(좌우측)으로부터도 사용자가 의자에 앉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의자형 마사지기(g1)에서는,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 시트면이 되는 다리 재치부 이면(7), 즉 수용시 시트면(g12)보다도 팔걸이부(g3)를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도 팔걸이부(g3)의 팔걸이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상태에서는 수용상태(접힘상태)에 있어서의 이면 높이(hs)보다도 팔걸이 높이를 낮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리 재치부의 두께(t)(도 26 참조)가 비교적 큰 경우라도, 전개상태에 있어서 팔걸이 높이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절한 높이로 할 수 있다. 다리 재치부의 두께(t)가 두꺼운 경우, 수용시 시트면(g12)을 기준으로 팔걸이부(g3)의 높이를 설정해 두면, 전개상태로 했을 때에 시트면의 높이가 상기 두께(t)에 따라 낮아지기 때문에, 팔걸이부(g3)의 높이가 너무 높아져 버리는 경향이 강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는 다리 재치부(g5)가 마사지기구를 갖는 경우에 보다 한 층 현재화(顯在化)한다. 왜냐하면, 다리 재치부(g5)가 마사지기구를 갖는 경우에는, 전술과 같이 다리 재치부의 두께(t)가 두꺼워지기 쉽기 때문이다. 그러나 의자형 마사지기(g1)에서는, 전개상태에 있어서는 수용시 시트면(g12)의 높이보다도 팔걸이부(g3)의 높이를 낮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개상태에 있어서도 팔걸이부(g3)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다리 재치부의 두께(t)가 100mm 이상, 특히는 200mm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팔걸이 높이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기 쉬워지지만, 전개상태에 있어서 수용시 시트면(g12)의 높이보다도 팔걸이부(g3)의 높이를 낮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팔걸이 높이를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다리 재치부(g5)가 마사지기구를 갖는 경우,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다리를 배치할 수 있는 오목부(g10)를 형성한 경우에는, 다리 재치부의 두께(수용상태에 있어서의 연직방향의 최대 두께)(t)는 150mm∼250mm정도로 비교적 두꺼워지는 것이 통상이다. 따라서, 팔걸이부(g3)의 높이방향의 가동범위의 길이도 상기 두께(t)에 대응해서 150mm 이상, 나아가서는 250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다리 재치부의 두께(t)가 비교적 두꺼운 경우라도, 수용상태(접힘상태)와 전개상태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적절한 팔걸이 높이로 조정하기 쉬 워지기 때문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g30)의 측면도로서, 의자 내부에 형성된 팔걸이 높이 연동기구(g31)의 개략 구성을 투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3∼도 35는 도 32의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2∼도 35에서는, 전개상태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수용상태(접힘상태)를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기로 한다.
도 32에 나타내는 의자형 마사지기(g30)는, 상술한 의자형 마사지기(g1)의 높이조절기구(g8)와는 다른 높이조절기구를 포함한 팔걸이 높이 연동기구(g3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팔걸이 높이 연동기구(g31)는 다리 재치부(g5)의 전개 회동축(g14)과 동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개 회동축(g14)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제1풀리(g32)와, 톱니바퀴 부분을 갖는 제2풀리(g33)와, 제2풀리(g33)와 맞물리는 톱니바퀴인 피니언부(g34)와, 이 피니언부(g34)와 맞물려 피니언부(g34)의 회전운동을 상하방향으로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랙부(g35)를 갖고 있다. 또한, 제1풀리(g32)와 제2풀리(g33) 사이에는 벨트(g36)가 놓여져 있으며, 제1풀리(g32)의 회전이 제2풀리(g33)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전개상태의 다리 재치부(g5)를 수용상태(접힘상태)가 되도록 전개 회동축(g14) 주위로 회동시키면(화살표 Y1 참조), 제1풀리(g32)도 전개 회동축(g14)과 마찬가지로 회전하고, 제2풀리(g33)는 제1풀리(g32)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며(화살표 Y2), 또한 피니언부(g34)가 제2풀리(g33)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화살표 Y3), 랙부(g35)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랙부(g35)와 일체인 가동 부(g3a)도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수용상태(접힘상태)의 다리 재치부(g5)를 전개상태가 되도록 전개 회동축(g14) 주위로 회동시키면, 팔걸이 높이 연동기구(g31)의 각 부재가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여서, 가동부(g3a)가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이 의자형 마사지기(g30)에서는, 다리 재치부(g5)의 회동과 팔걸이부(g3)의 높이조절기구가 연동하고 있어 다리 재치부(5)를 수용상태(접힘상태)가 되도록 회동하면 팔걸이부(3)는 높아지도록 작동하고, 다리 재치부(g5)를 전개상태가 되도록 회동하면 팔걸이부(g3)는 낮아지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다리 재치부(g5)의 회동에 연동해서 팔걸이부(g3)가 적절한 방향으로 오르내리므로, 팔걸이부(g3)의 높이 조절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32의 실시형태에서는 풀리와 벨트에 의해 회전을 전달하였으나, 기어와 이붙이 벨트에 의해 회전을 전달해도 좋다.
도 33의 변형예인 의자형 마사지기(g40)에서도, 도 32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다리 재치부(g5)의 회동과 팔걸이부(g3)의 높이조절기구가 연동하고 있으나, 도 33의 예에서는, 유압 등의 유체압기구와 캠기구를 조합시켜서 팔걸이 높이 연동기구(g41)를 구성하고 있다. 유체로서는 기름, 공기, 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하, 유체압기구를 대표해서 유압기구를 예로 설명한다. 한편, 유압기구는 당연한 것이지만 의자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도 33에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유압기구의 일부인 유압회로(JIS 기호에 의한 표시)를 의자 외부에 기재하고 있다. 다리 재치부(g5)를 전개상태로부터 수용상태(접힘상태)를 향해서 회동시키면(화살표 Y5 참조), 다리 재치부(g5)의 전개 회동축(g14)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편심캠(g42)이 같 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피스톤(g43)을 밀어넣고(화살표 Y6), 이 움직임이 유압에 의해 전달되어 제2피스톤(g44)을 밀어올려(화살표 Y7), 이 제2피스톤(g44)과 일체를 이루는 가동부(g3a)가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다리 재치부(g5)를 전개상태로 한 경우는, 가동부(g3a)의 자중에 의해 가동부(g3a)는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회로에 조작밸브(g45)나 역지밸브(g46)를 형성함으로써, 연동동작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 34에 나타내는 다른 변형예인 의자형 마사지기(g50)는 와이어를 사용한 팔걸이 높이 연동기구(g51)에 의해, 다리 재치부(g5)의 회동과 팔걸이부(g3)의 높이조절기구를 연동시키고 있다. 다리 재치부(g5)의 전개 회동축(g14)과 동축으로 일체 회전하는 와이어 권취부(g52)에는, 제1와이어(g53) 및 제2와이어(g54)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다. 각 와이어(g53, g54)의 타단은, 가동부(g3a)와 일체이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지지부재(g55)에 부착되어 있다. 다리 재치부(g5)를 전개상태로부터 수용상태(접힘상태)를 향해서 회동시키면(화살표 Y8), 와이어 권취부(g52)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이, 중간위치에서 교차한 각 와이어(g53, g54)에 의해 지지부재(g55)의 상하운동으로 변환되어, 가동부(g3a)가 상방향으로 이동한다(화살표 Y9). 다리 재치부(g5)를 수용상태(접힘상태)로부터 전개상태를 향해서 회동시키면 반대의 움직임이 되어 가동부(g3a)가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이 예에서는 2개의 와이어(g53, g54)를 사용하였으나, 이것을 대신해서 1개의 푸셔풀 와이어를 사용해도 좋다.
도 35에 나타내는 다른 변형예인 의자형 마사지기(g60)는 각 구성부재의 단 부끼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링크기구를 사용한 팔걸이 높이 연동기구(g61)에 의해, 다리 재치부(g5)의 회동과 팔걸이부(g3)의 높이조절기구를 연동시키고 있다. 직선 봉형상의 제1부재(g62)의 일단부는, 다리 재치부(g5)의 전개 회동축(g14) 근방의 상부(다리 재치부(g5)가 전개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전개 회동축(g14)보다도 상측의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1부재(g62)의 타단부는, 마찬가지로 직선 봉형상의 제2부재(g63)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부재(g63)의 타단부는, 가동부(g3a)와 일체를 이루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지지부재(g64)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2부재(g63)는 그 길이방향 중간위치(g65)에 있어서, 의자 본체측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다리 재치부(g5)가 전개상태로부터 수용상태(접힘상태)를 향해서 회동하면(화살표 Y10), 다리 재치부(g5)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제1부재(g62)의 일단부가 하방으로 내려가고, 나아가서는 제1부재(g62)가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2부재(g63)가 길이방향 중간위치(g65)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지지부재(g64)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화살표 Y11). 다리 재치부(g5)를 수용상태(접힘상태)로부터 전개상태를 향해서 회동하면 반대의 움직임에 의해 가동부(g3a)가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에 예시되는 바와 같은 각종의 팔걸이 높이 연동기구를 형성함으로써, 다리 재치부(g5)의 회동과 팔걸이부(g3)의 높이조절기구를 연동시켜서, 팔걸이부(g3)의 높이 조절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예에서는, 팔걸이 높이 연동기구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나, 전기적 수단 등 다른 수단에 의해도 좋다. 예를 들면, 다리 재치부(g5)의 회동위치(예를 들면, 다리 재치부(g5)가 수용상태인지 전개상태인지)를 검지하는 회동위치 검출기와, 상기 회동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가동부(g3a)를 상하동(上下動)시키는 전동 높이조절기구를 예시할 수 있다.
도 37∼도 38은 상술한 다리 재치부(g5)의 회동위치 검출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6은 상기 회동위치 검출기를 포함하는 전동 높이조절기구를 구비한 의자형 마사지기(g100)를 나타내고 있다. 이 회동위치 검출기(g80)는 다리 재치부(g5) 내부의 어딘가의 위치, 예를 들면 도 3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재치부(g5)의 전개 회동축(g14) 근방에 설치된다. 이 회동위치 검출기(g80)는 케이스(g81) 내에 배치된 기판(g82)상에 탑재된, 자기센서인 홀 IC(g83)와, 상기 케이스(g81)에 돌출되어 형성된 축(g84) 주위로 자중으로 회동 가능해지도록 당해 축(g84)에 부착된, 회동체인 자석부(g8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g81)는 예를 들면 ABS,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있으며, 그 한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축(g84)이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자석부(g85)는 전체로서 거의 상자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g81)와 마찬가지로 ABS,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있다. 이 자석부(g85)의 내부에는, 페라이트 자석은 희토류 자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자석(g86)이 매설되어 있으며, 이 자석(g86)에 의해 상기 홀 IC(g83)에 있어서의 홀 소자에 인가되는 자속밀도가 당해 자석(g86)의 위치에 의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다리 재치부(g5)가 어떠한 회동위치에 있는지, 예를 들면 다리 재 치부(g5)가 수용상태(접힘상태)인지, 혹은 전개상태인지를 검출한다. 한편, 케이스(g81) 및 자석부(g85)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37은 다리 재치부(g5)가 수용상태(접힘상태)인 경우의 회동위치 검출기(g80)를 나타내고 있으며, 자석(g86)과 홀 IC(g83)는 서로 떨어진 위치관계에 있다. 이렇게 해서 회동위치 검출기(g80)가 다리 재치부(g5)의 수용상태(접힘상태)를 검지하면, 이 검지신호에 기초해서 도 36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의자형 마사지기(g100)의 전동 모터(도시 생략)의 회전축(g91)을 소정 방향(도 36에 있어서의 시계 둘레 방향, 화살표 Y13 참조)으로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이 회전축(g91)과 동축으로 일체 회전하는 톱니바퀴(g92)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이 톱니바퀴(g92)와 맞물리는 피니언부(g93)가 톱니바퀴(g92)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화살표 Y14 참조), 랙부(g94)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 랙부(g94)와 일체를 이루는 가동부(g3a)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다리 재치부(g5)를 수용상태(접힘상태)로부터 회동시켜서 전개상태로 한 경우, 케이스(g81)는 거의 180도 회전하고, 자석부(g85)는 자중에 의해, 축 지지된 측과 반대측이 항상 하방(연직방향 하향)을 향하도록 축(g84) 주위로 회동하며, 자석(g86)과 홀 IC(g83)가 대향해서 서로 가장 근접한 위치관계가 된다(도 38 참조). 이렇게 해서 회동위치 검출기(g80)가 다리 재치부(g5)의 전개상태를 검지하면, 이 검지신호에 기초해서 도 36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의자형 마사지기(g100)의 전동 모터(도시 생략)의 회전축(g91)을 상기 수용상태(접힘상태)의 경우와는 반대의 방향(도 36에 있어서의 반시계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이 회전축(g91)과 동축으로 일체 회전하는 톱니바퀴(g92)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톱니바퀴(g92)와 맞물리는 피니언부(g93)가 톱니바퀴(g92)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랙부(g94)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랙부(g94)와 일체를 이루는 가동부(g3a)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회동위치 검출기(g80)는 다리 재치부(g5)에 형성되는 한 그 설치 장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리 재치부(g5)의 전개 회동축(g14) 근방 이외에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회동위치 검출기(g80)는 1개뿐만 아니라 2개 이상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 37∼도 38의 실시형태에서는, 회동위치 검출기에 자기센서를 사용하였으나, 리미트스위치, 광센서, 각도센서 등 다른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광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도 3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 37에 있어서 홀 IC(g83)가 배치되어 있었던 부위에 발광소자(g88)를 형성하고, 이 발광소자(g88)와 대향하는 케이스(g81)의 내면에 수광소자(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면 된다. 예를 들면 도 39를 수용상태(접힘상태)로 하면, 이 상태에서는 발광소자(g88)로부터의 빛이 차폐되지 않고 수광소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광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다리 재치부(g5)를 수용상태(접힘상태)로부터 전개상태로까지 회동하여 회동위치 검출기(g80)를 거의 180도 회전시키면, 자중으로 회동 가능한 차폐체(g87)가 빛을 차폐한 상태가 되며, 도 39와는 다른 상태로서 전개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도 40 참조). 또한, 각도센서를 사용한 경우, 다리 재치부(g5)의 전개 회동축(g14)에 각도센서를 설치해서, 당해 다리 재치부(g5)의 회동각도를 검출함으로 써, 수용상태(접힘상태)인지 전개상태인지를 검출시킬 수 있다.
또한, 유선 또는 무선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다리 재치부(g5)의 회동과 팔걸이부(g3)의 높이조절기구가 연동하는지, 비연동으로 할지의 전환을 가능하게 해 둘 수도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팔걸이부(g3)의 상하동을 다리 재치부(g5)의 회동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25)

  1. 시트 베이스부(seat base section)와,
    사용자의 다리가 재치되는 다리 재치면을 갖는 다리 재치부(載置部)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 재치부는 상기 다리 재치면을 하향(下向)으로 해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상에 재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회동해서 상기 다리 재치면이 상향(上向)상태가 되도록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부(前部)에 연결되며,
    상기 다리 재치부의 상기 시트 베이스부에 대한 회동 중심 위치는 시트 베이스부의 상면보다 상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재치부는 다리 재치면으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부는 상기 다리 재치부를 상기 다리 재치면이 상향상태가 되도록 회동시켰을 때에, 벽부 입설(立設)방향 선단부가 시트 베이스부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부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 재치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통해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시트 베이스부에 대하여 전후로 회동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그 선단이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재치부는 상기 다리 재치면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과 상기 지지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7. 시트 베이스부와,
    시트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다리 재치부와,
    상기 시트 베이스부와 상기 다리 재치부를 연결하는 중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재는 그 후단이 상기 시트 베이스부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며, 그 전단이 상기 다리 재치부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그 각 후단이 상기 시트 베이스부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고, 그 각 전단이 상기 다리 재치부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9. 시트 베이스부와,
    사용자의 다리가 재치되는 다리 재치면을 갖는 다리 재치부와,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부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 재치부는 상기 다리 재치면을 하향으로 해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상에 재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회동해서 상기 다리 재치면이 상향상태가 되도록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부에 상기 지지부재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시트 베이스부상에 재치된 상태일 때에, 당해 시트 베이스부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중간부재의 움직임을, 그 선단이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을 향하는 앞쪽으로 기운 상태가 되는 위치로 규제하는 제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재치부에는, 당해 다리 재치부에 얹혀진 다리를 마사지하는 마사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2. 사용자의 다리가 재치되는 다리 재치면 및 상기 다리 재치면으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벽부를 갖는 다리 재치부와,
    상기 다리 재치면을 하향으로 해서 다리 재치부가 재치되는 시트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 재치부 및 상기 시트 베이스부는, 상기 다리 재치면을 하향으로 해서 다리 재치부가 상기 시트 베이스부상에 재치된 제1상태와, 상기 다리 재치면이 상향이며 상기 다리 재치부가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고,
    상기 시트 베이스부는, 상기 제1상태일 때에, 상기 벽부의 입설방향 선단부가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상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다리 재치면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된 측벽이며,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상면의 좌우 폭이 상기 양측벽의 간격보다 작고, 시트 베이스부의 좌우 양 외방(外方)위치에 상기 양측벽이 위치함으로써, 상기 측벽의 입설방향 선단부가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상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허용되 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재치부는, 상기 제2상태에 있어서의 그 후부가,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부에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상기 제1상태와 상기 제2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재치부에는, 당해 다리 재치부에 얹혀진 다리를 마사지하는 마사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상에 재치되는 쿠션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다리 재치부는 상기 쿠션체를 상기 시트 베이스부 위에서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 위에 재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뒤쪽에 형성된 등받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쿠션체를 상기 등받이부의 앞면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쿠션체를 상기 시트 베이스부 위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사용자의 등을 마사지하는 등 마사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체는 상기 시트 베이스부 상면의 후부 근방에 대하여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재치부는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전부에 대하여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상에 재치되는 쿠션체와,
    시트 베이스부의 뒤쪽에 형성된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에 형성된 등 마사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쿠션체가 등 쿠션으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등받이부의 앞면에 겹쳐서 놓여짐과 아울러, 상기 시트 베이스부 위에 상기 다리 재치부가 놓여져서 상기 다리 재치부를 시트부로서 사용자가 착석 가능한 상태 α와,
    상기 다리 재치부가 시트 베이스부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 베이스부 위에 상기 쿠션체가 놓여져서 상기 쿠션체를 시트부로서 사용자가 착석 가능한 상태 β로 상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2.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팔걸이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다리 재치부는 상기 회동에 의해, 상기 다리 재치면이 하향이 되어 상기 시트 베이스부상의 상기 좌우의 팔걸이부 사이에 수용되어 상기 다리 재치면의 이면이 시트면으로서 사용되는 수용상태와, 상기 다리 재치면이 상향이 되어 상기 시트 베이스부의 앞쪽에 배치되는 전개상태 모두가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팔걸이부는 높이조절기구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수용상태에서는 시트면으로서 사용되는 상기 다리 재치면의 이면의 높이보다도 높은 위치까지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전개상태에서는 상기 수용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이면의 높이보다도 낮은 위치까지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기재된 의자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는, 상기 팔걸이부의 내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리 재치부에 의해 은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팔걸이부의 높이를 낮출 때에는 조작이 필요하고, 상기 팔걸이부의 높이를 올릴 때에는 조작이 불필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재치부의 회동과 상기 팔걸이부의 높이조절기구가 연동하고 있으며, 상기 다리 재치부를 상기 수용상태를 향해서 회동하면 상기 팔걸이부는 높아지도록 작동하고, 상기 다리 재치부를 상기 전개상태를 향해서 회동하면 상기 팔걸이부는 낮아지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 기.
KR1020077001515A 2004-06-24 2005-03-16 의자 KR200700350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86778A JP2005177446A (ja) 2003-11-25 2004-06-24 椅子
JPJP-P-2004-00186778 2004-06-24
JP2004292344A JP4418532B2 (ja) 2004-10-05 2004-10-05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JP-P-2004-00292344 2004-10-05
PCT/JP2005/004662 WO2006001104A1 (ja) 2004-06-24 2005-03-16 椅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044A true KR20070035044A (ko) 2007-03-29

Family

ID=35781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515A KR20070035044A (ko) 2004-06-24 2005-03-16 의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70035044A (ko)
TW (1) TW200600081A (ko)
WO (1) WO200600110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767B1 (ko) * 2011-08-16 2013-06-20 이재웅 차량용 에어쿠션
KR101470185B1 (ko) * 2013-07-04 2014-12-0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쿠션 익스텐션 패드 장치
KR20200000701U (ko) * 2018-09-26 2020-04-03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폴더블 쿠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8918Y2 (ko) * 1973-03-14 1978-07-20
JPS5254572Y2 (ko) * 1973-06-11 1977-12-10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767B1 (ko) * 2011-08-16 2013-06-20 이재웅 차량용 에어쿠션
KR101470185B1 (ko) * 2013-07-04 2014-12-0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쿠션 익스텐션 패드 장치
KR20200000701U (ko) * 2018-09-26 2020-04-03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폴더블 쿠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00081A (en) 2006-01-01
WO2006001104A1 (ja) 200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6385C (en) Inflatable device
KR100323631B1 (ko) 의자식 에어 마사지기
US5433505A (en) Adjustable seat and back cushion
KR20120049294A (ko) 마사지기
KR20110122607A (ko) 전자동 리클라이너 소파
KR20070035044A (ko) 의자
JP5306848B2 (ja) 椅子
JP4931421B2 (ja) 座席構造
JP2010017343A (ja) 背面支持構造
JP2005177446A (ja) 椅子
JP2008272310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100730557B1 (ko) 등받이 조절 장치
JP2005152201A (ja) 椅子
JP2010046449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CN1972657A (zh) 椅子
JP2005152202A (ja) 椅子
JP4418532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06340876A (ja) リクライニング式座椅子
JP4017230B2 (ja) 起立補助装置
KR102667334B1 (ko) 높이조절 가능한 좌변기 좌대 장치
JP4415967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05160824A (ja) マッサージ椅子
JP2004141247A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
KR20240070488A (ko) 높이조절 가능한 좌변기 좌대 장치
KR20230173940A (ko) 높이조절 가능한 좌변기 좌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