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758A - 전동휠체어의 발판 - Google Patents

전동휠체어의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758A
KR20070034758A KR1020050089273A KR20050089273A KR20070034758A KR 20070034758 A KR20070034758 A KR 20070034758A KR 1020050089273 A KR1020050089273 A KR 1020050089273A KR 20050089273 A KR20050089273 A KR 20050089273A KR 20070034758 A KR20070034758 A KR 20070034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ootrest
frame
shock absorber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희
Original Assignee
이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희 filed Critical 이은희
Priority to KR1020050089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4758A/ko
Publication of KR20070034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휠체어의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판이 프레임에 장착된 완충기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어 전동휠체어의 주행(走行) 중 발판이 장애물에 충돌되었을 때 충격을 부드럽게 완화시켜 운전자를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사방에 바퀴(11)가 장착된 섀시프레임(10)의 상부에는 등받이(12a)를 갖는 의자(12)가 고정되고, 충전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되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바퀴(11)가 구동되며, 의자(12)의 팔걸이대(13)에는 조정용 레버(14)가 장착되고, 섀시프레임(10)의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된 지지프레임(21)에는 발판(22)이 고정된 전동휠체어(1)에 있어서, 상기 섀시프레임(10)의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된 고정프레임(20)들에는 지지프레임(21)들이 각각 힌지(21a) 결합되고, 고정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21) 사이에는 완충기(30)가 장착되며, 양측 지지프레임(21)의 하부에 각각 고정된 발판(22)이 완충기(3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의 발판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동휠체어의 발판{a footing for electric motion wheel chair}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예시한 전동휠체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휠체어의 발판부위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동휠체어 10 : 섀시프레임
11 : 바퀴 12 : 의자
12a : 등받이 13 : 팔걸이대
14 : 레버 20 : 고정프레임
21 : 지지프레임 21a : 힌지
22 : 발판 30 : 완충기
31 : 실린더 31a, 32a : 핀
32 : 피스톤로드
본 발명은 전동휠체어의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판이 프레임에 장착된 완충기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어 전동휠체어의 주행(走行) 중 발판이 장애물에 충돌되었을 때 충격을 부드럽게 완화시켜 운전자를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로 현재에는 바퀴가 충전배터리의 전원을 인가 받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되는 전동휠체어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상기 전동휠체어의 발판은 의자에 앉은 운전자의 양쪽 발을 자연스럽게 받쳐주기 위하여 섀시(chassis)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장착된 지지프레임에 발판이 각각 고정되어 발판이 전동휠체어의 최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휠체어를 주행(走行)하다가 장애물이나 구조물에 충돌되면 최전방에 위치된 발판이 장애물에 직접 접촉되나 발판은 지지프레임과 함께 섀시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발판이 충격을 흡수 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이 운전자에게 고스란히 전달되어 거동이 불편하거나 노약자인 운전자에게 상당한 충격을 주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더욱이, 주행 중인 전동휠체어가 보행중인 사람과 충돌하면 완충성이 없는 발판에 의하여 운전자 뿐 아니라 보행중인 사람에게까지 상당한 충격을 주어 다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발판이 프레임에 장착된 완충기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어 전동휠체어의 주행(走行) 중 발판이 장애물에 충돌되었을 때 충격을 부드럽게 완화시켜 운전자를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전동휠체어의 발판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사방에 바퀴(11)가 장착된 섀시프레임(10)의 상부에는 등받이(12a)를 갖는 의자(12)가 고정되고, 충전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되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바퀴(11)가 구동되며, 의자(12)의 팔걸이대(13)에는 조정용 레버(14)가 장착되고, 섀시프레임(10)의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된 지지프레임(21)에는 발판(22)이 고정된 전동휠체어(1)에 있어서, 상기 섀시프레임(10)의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된 고정프레임(20)들에는 지지프레임(21)들이 각각 힌지(21a) 결합되고, 고정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21) 사이에는 완충기(30)가 장착되며, 양측 지지프레임(21)의 하부에 각각 고정된 발판(22)이 완충기(3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의 발판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한 종래의 전동휠체어를 예시한 사시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섀시프레임(10)의 사방에는 바퀴(11)가 장착되어 있고, 섀시프레임(10)의 상부에는 등받이(12a)를 갖는 의자(1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바퀴(11)는 충전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되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전동휠체어(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의자(12)의 팔걸이대(13)에는 조정용 레버(14)가 장착되어 의자(12)에 앉은 운전자가 전동휠체어(1)를 운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섀시프레임(10)의 전방 양측에는 지지프레임(21)이 각각 장착되어 있고, 양측 지지프레임(21)의 하부에는 발판(22)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물론,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동휠체어(1)는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사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발판(22)을 고정하는 지지프레임(21)이 완충기(30)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어 발판(22)이 장애물에 충돌되었을 때 충격을 부드럽게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즉, 도 2 내지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섀시프레임(10)의 전방 양측에는 고정프레임(20)들이 각각 장착되어 있고, 고정프레임(20)들에는 지지프레임(21)들이 각각 힌지(21a) 결합되어 지지프레임(21)이 고정프레임(20)에서 후방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21) 사이에는 완충기(30)가 장착되어 있 고, 양측 지지프레임(21)의 하부에 각각 고정된 발판(22)이 완충기(3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완충기(30)는 실린더(31)의 내부에 스프링과 오일이 주입되어 피스톤로드(32)를 스프링과 오일의 힘으로 지지하여 충격을 완충시키는 대시포트(dash pot)나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로 구성되어 있고, 실린더(31)는 고정프레임(20)에 핀(31a)으로 결합되며, 피스톤로드(32)는 지지프레임(21)에 핀(32a)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대시포트(dash pot)나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는 차량용 완충기로서 실린더의 내부 피스톤에는 작은 구멍이 뚫려져 피스톤로드와 함께 피스톤이 움직이면 오일(oil)이 피스톤의 구멍을 빠져 나오면서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 등으로 바꾸어 충격을 흡수하고,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피스톤이 본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물론, 전술한 대시포트(dash pot)나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의 구성은 종류에 따라 그 구조가 조금씩 다르기는 하나 이미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휠체어(1)의 주행 도중에 발판(22)이 장애물에 충돌되면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1)이 힌지(21a)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접혀짐과 동시에 완충기(30)의 피스톤로드(32)가 실린더(31) 내부로 진입되면서 피스톤이 스프링과 오일의 힘으로 지지되어 충격을 부드럽게 완화시키는 것이므로 충격으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동휠체어(1)가 보행중인 사람과 충돌하는 경우에는 보행자까지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발판(22)이 접촉된 장애물과 떨어지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피스톤로드(32)가 실린더(31)에서 다시 출몰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전동휠체어(1)의 주행 도중에 발판(22)이 장애물에 충돌되면, 지지프레임(21)이 힌지(21a)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접혀짐과 동시에 완충기(30)가 지지프레임(2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충격을 부드럽게 완화시키는 것이므로 충격으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전동휠체어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사방에 바퀴(11)가 장착된 섀시프레임(10)의 상부에는 등받이(12a)를 갖는 의자(12)가 고정되고, 충전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되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바퀴(11)가 구동되며, 의자(12)의 팔걸이대(13)에는 조정용 레버(14)가 장착되고, 섀시프레임(10)의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된 지지프레임(21)에는 발판(22)이 고정된 전동휠체어(1)에 있어서,
    상기 섀시프레임(10)의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된 고정프레임(20)들에는 지지프레임(21)들이 각각 힌지(21a) 결합되고, 고정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21) 사이에는 완충기(30)가 장착되며, 양측 지지프레임(21)의 하부에 각각 고정된 발판(22)이 완충기(3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의 발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30)는 실린더(31)의 내부에 스프링과 오일이 주입되어 피스톤로드(32)를 스프링과 오일의 힘으로 지지하여 충격을 완충시키는 대시포트(dash pot)나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로 구성되고, 실린더(31)는 고정프레임(20)에 핀(31a)으로 결합되며, 피스톤로드(32)는 지지프레임(21)에 핀(32a)으로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의 발판.
KR1020050089273A 2005-09-26 2005-09-26 전동휠체어의 발판 KR20070034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273A KR20070034758A (ko) 2005-09-26 2005-09-26 전동휠체어의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273A KR20070034758A (ko) 2005-09-26 2005-09-26 전동휠체어의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758A true KR20070034758A (ko) 2007-03-29

Family

ID=4929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273A KR20070034758A (ko) 2005-09-26 2005-09-26 전동휠체어의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47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0310A (zh) * 2015-06-13 2015-08-19 杭州树邦科技有限公司 一种可多向调节的特种轮椅
KR101688763B1 (ko) * 2016-01-14 2016-12-22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US11452649B2 (en) * 2017-12-19 2022-09-27 Permobil Ab Leg rest release mechanism and wheelchair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0310A (zh) * 2015-06-13 2015-08-19 杭州树邦科技有限公司 一种可多向调节的特种轮椅
KR101688763B1 (ko) * 2016-01-14 2016-12-22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US11452649B2 (en) * 2017-12-19 2022-09-27 Permobil Ab Leg rest release mechanism and wheelchair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27331A1 (en) Multi-functional wheelchair
WO2010064460A1 (ja) 足揉み装置を備えたマッサージ椅子
KR101215285B1 (ko) 턱이 있는 보도에서도 주행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CN202554296U (zh) 多功能伤残人康复车
KR101859404B1 (ko) 접이식 전동 휠체어
CN106333803A (zh) 一种多用途代步车
KR20070034758A (ko) 전동휠체어의 발판
CN111839992A (zh) 一种按摩椅的机体和防占座按摩椅
KR101581290B1 (ko) 이중 지렛대를 이용한 기립 보조 의자
JP5365359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316246B1 (ko) 스포츠 휠체어용 발판 각도 조절장치
CN113509328B (zh) 一种可适应多种复杂路面的多姿态康复四足机器人
KR101838104B1 (ko) 의자형 기립 보조기
CN114767408A (zh) 智能电动折叠轮椅
JPH07108857A (ja) シート構造
JP4512847B2 (ja) 昇降椅子
CN217548411U (zh) 智能电动折叠轮椅
JP3210254B2 (ja) 立ち上り補助椅子
KR200274465Y1 (ko) 전방가드가 설치된 전동휠체어
CN112752559B (zh) 辅助装置
CN215308045U (zh) 多功能自助式助行器
CN220314874U (zh) 一种可伸缩式房车踏板梯
CN209610467U (zh) 一种高性能自调节控制椅
CN219250724U (zh) 一种便携式多功能电动轮椅
CN212282111U (zh) 智能康复助力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