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215A -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215A
KR20070034215A KR1020050088642A KR20050088642A KR20070034215A KR 20070034215 A KR20070034215 A KR 20070034215A KR 1020050088642 A KR1020050088642 A KR 1020050088642A KR 20050088642 A KR20050088642 A KR 20050088642A KR 20070034215 A KR20070034215 A KR 20070034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terminal
service
ensemble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5399B1 (ko
Inventor
이혜영
송재연
이종효
이국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399B1/ko
Priority to US11/526,128 priority patent/US7817600B2/en
Priority to JP2006257545A priority patent/JP4287453B2/ja
Priority to CN200610159519XA priority patent/CN1942012B/zh
Priority to EP06121172.8A priority patent/EP1768440B1/en
Publication of KR20070034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0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multicast or broadcast services, e.g. MB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5Handover due to radio link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도중 서빙 방송 송출기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방송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면서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크지 않으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절차 수행 시작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받으면 상기 서빙 방송 송출기로부터 목적 방송 송출기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방송 시스템, 핸드오버, 이동통신 기지국, Interaction channel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USING INTERWORKING WITH CELLULAR SYSTEM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DAB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앙상블 서비스 구역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앙상블 내의 서비스 다중화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과 방송 송출기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방송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서비스를 지원하는 수신기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1에 따른 단말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1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에서의 핸드오 버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2에 따른 단말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2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이하 "DAB"라 칭함) 시스템은 유럽에서 기존의 AM 및 FM 방송의 디지털화를 목적으로 접근한 오디오 및 데이터 서비스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다. 상기 DAB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DAB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DAB 프레임(101)은 동기채널(102)과 고속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 이하 "FIC" 라 칭함)(103)과 주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 이하 "MSC"라 칭함)(104)로 구성된다. 상기 DAB 프레임(101)은 1개의 Null 심볼과 76개 의 심볼로 구성되는데 첫번째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라 칭함) 심볼은 Null 심볼이며,. 두번째 OFDM 심볼은 위상 참조 심볼 (Phase Reference Symbol: 이하 "PRS"라 칭함)이다. 상기 첫번째 Null 심볼에는 전송되는 신호가 없으므로 Null 심볼 구간 동안의 에너지는 다른 심볼의 전송구간에 비해 현저히 낮다. 따라서 수신기는 에너지 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Null 심볼 구간을 찾아냄으로서 프레임의 시작 시점을 찾을 수 있다. 상기 두번째 심볼, PRS는 데이터 복조를 위해 필요한 위상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두 심볼이 구성하는 채널이 상기 동기 채널(102)이며, 상기 동기 채널(102)은 DAB 프레임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앞부분의 두 심볼 구간이다. 상기 동기 채널(102) 이후는 FIC(103) 구간이며 3개의 심볼이 FIC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나머지 72개의 심볼은 MSC(104)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FIC(103)는 고속 정보 블록 (Fast Information Block : 이하 "FIB"라 칭함) (105)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나의FIC(103)를 통해 전송되는 FIB(105)는 전송모드에 따라 다르다. 전송모드는 총 4가지가 가능하며 전송모드 1의경우는 12개, 전송모드 2의 경우는 3개, 전송모드 3의 경우는 4개, 전송모드 4의 경우는 6개이다. 상기 FIB(105)는 총 256 비트 길이이며, 상기 FIB(105)는 FIB 데이터부분(106) 240 비트와 CRC (Cyclic Redundancy Check)(207) 16 비트로 구성된다. 상기 FIB 데이터 부분(106)은 다시 여러개의 고속 정보 그룹 (Fast Information Group: 이하 "FIG"라 칭함)(108)로 구성된다. 상기 FIG(108)는 FIG 헤더(109)와 FIG 데이터(110)구간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FIG 헤더(109)는 FIG 데이터 구간(110)에서 전송 되는 데이터의 타입을 알려주는 FIG 타입(111)과 FIG 데이터 구간(110)의 길이를 알려주는 FIG 길이(1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FIG(108)는 FIB 데이터 (106) 구간을 통해 전송되는데 전송할 FIG(108)의 총 길이가 FIB 데이터 구간(106)의 길이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종료 지시자(113)를 통해 유효한 데이터 구간의 끝을 알려주고 나머지 구간은 0으로 채운다. 상기 종료 지시자(113)는 8 비트이며 모두 1인 값이다.
상기 MSC(104)는 전송할 데이터가 자리하는 구간으로 공용 인터리브 프레임(Common Interleaved Frame, 이하 "CIF"라 칭함)(114)으로 구성되며 상기 CIF(114)의 개수는 전송모드에 따라 다르다. 전송모드1의 경우는 4개, 전송모드 2와 3은 1개, 전송모드 4는 2개의 CIF가 하나의 MSC로 전송된다. 상기 CIF(114)는 그 길이가 55296 비트이며 상기 CIF (114)는 서브채널(115)로 구성된다. 상기 전송할 서브채널들이 CIF의 길이를 다 채우지 못하는 경우 나머지 구간은 0으로 채운다.
상기 FIC로 전송되는 정보는 교통 정보나 응급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FIC 데이터 서비스 신호와 다중화구성 정보(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 이하 "MCI"라 칭함)와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이하 "SI"라 칭함) 등이 포함된다.
상기 MCI는 MSC를 구성하는 각 서브채널에 대한 위치와 길이 정보, 그리고 각 서브채널의 채널 부호화율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MCI는 하나의 앙상블(Ensemble)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의 목록을 전송한다. 또한 상기 MCI는 하나의 앙상블을 통해 여러 서비스가 전송됨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들이 어떠한 서비 스 컴포넌트들과 연결되어 있는지, 그 연결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MCI는 상기 각 서비스들이 하나 혹은 여러 서비스 컴포넌트들과 연결됨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 컴포넌트들이 어떠한 서브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그 연결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상기 MCI는 상기 다중화 정보들이 재구성되었을 때에 재구성된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SI는 상기 MCI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각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상기 SI에는 서비스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와 시간 및 국가에 대한 정보, 프로그램 관련한 정보 등 현재 전송하고 있는 앙상블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SI에는 주파수 정보(Frequency Information: 이하 "FI"라 칭함), 송출기 식별자 (Transmit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이하 "TII"라 칭함) 정보, 다른 앙상블 정보(Other Ensemble: 이하 "OE"라 칭함), 서비스 링크 정보(Service Linking), 지역 경계에 대한 정보 (Region Definition) , 지방 서비스 영역 정보(Local service area) 등 다른 앙상블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FIC 데이터 서비스 신호는 FIC를 통해서 상기 제어 정보가 아닌 데이터를 보내는 서비스의 신호를 말하며 상기 FIC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로는 페이징(Paging), 교통 정보 채널(Traffic Message Channel: 이하 "TMC'라 칭함), 응급 경보 시스템 (Emergency Warning Systems: 이하 "EWS"라 칭함) 등이 있다.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FIC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를 고속 정보 데이터 채널(Fast Information Data Channel: 이하 "FIDC"라 칭함)라한다.
상기 MCI와 SI와 FIDC는 FIG의 데이터부분으로 전송되며 FIG의 헤더에는FIG 데이터 부분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각각 다른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수신기에서는 상기 헤더를 통해 FIG의 데이터 부분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FIG는 전송할 데이터의 양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적이며 각 FIG의 길이에 대한 정보 또한 FIG 헤더를 통해 알 수 있다. 상기 여러 타입의 FIG는 다중화되어 하나의 FIC를 구성한다.
상기 MCI와 SI는 수신기가 DAB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정보이다. 수신기는 상기 MCI와 SI를 이용하여 MSC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각 서비스별로 복조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DAB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고정된 위치에서 이용하기도 하고 이동 환경에서 이용하기도 한다. 상기 사용자가 고정된 위치에서 DAB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의 신호를 송출하는 DAB 송출기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위치하여 시간적으로 수신신호의 변화가 크지 않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가 이동 중 DAB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신호를 송출하는 DAB 송출기와의 거리는 변화하게 되고 따라서 단말기가 수신하는 DAB 송출기로부터의 신호는 시간적으로 그 수신 상태가 변화하게 된다.
상기 DAB 송출기는 상기 기술한 DAB 프레임을 전송하는데, 상기 DAB 송출기가 전송하는 DAB 프레임을 하나의 앙상블이라 칭한다. 상기 DAB 송출기의 신호인 앙상블은 송출기의 송출전력에 따라 신호가 도달하는 영역이 한정된다. 상기 송출기의 신호가 도달하는 영역을 상기 송출기의 서비스 구역이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앙상블이 도달하여 수신기가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을 앙상블 서비스 구역이라 한다. 상기 송출기의 앙상블이 하나의 송출기에서 송출되는 경우는 상기 앙상블 서비스 구역과 상기 송출기의 서비스 구역은 동일하다. 그런데 상기 DAB 송출기의 앙상블은 DAB 송출기마다 다르기도 하고, 여러 DAB 송출기가 같은 앙상블을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여러 DAB 송출기가 같은 앙상블을 전송하는 경우 앙상블 서비스 구역은 하나의 송출기 서비스 구역과 일치하지 않는다. 상기 앙상블 서비스 구역에 대한 설명은 하기 도면을 참조한다.
도 2는 앙상블 서비스 구역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4개의 서로 다른 DAB 송출기가 존재한다. 상기 4개의 송출기 중 DAB 송출기 1(201)은 앙상블 A를 전송하고, DAB 송출기 2(202)은 앙상블 B를 전송하고, DAB 송출기 3(203)은 앙상블 A를 전송하고, DAB 송출기 4(204)은 앙상블 A를 전송한다. 상기 각 DAB 송출기는 각각의 송출기 서비스 구역을 가진다. 상기 각 송출기의 서비스 구역은 각 송출기의 신호가 도달하는 영역으로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각 송출기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송출기의 서비스 구역이 존재한다.
상기 DAB 송출기 중 송출기 1(201), 송출기 3(203), 송출기 4(204)는 동일하게 앙상블 A를 전송하고 있다. 즉 상기 3개 DAB 송출기의 서비스 구역은 다르나, 상기 3개의 DAB 송출기의 서비스 구역에서는 모두 동일한 앙상블 A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앙상블 A를 수신할 수 있는 앙상블 서비스 구역은 상기 DAB 송출 기 1(201)과 DAB 송출기 3(203)과 DAB 송출기 4(204)의 서비스 구역 모두이다.
상기 DAB 송출기 1(201)의 서비스 구역에서 앙상블 A를 수신하고 있던 참조번호 206 단말기가 DAB 송출기 3(203)의 서비스 구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비록 앙상블 A를 전송하는 DAB 송출기는 송출기 1에서 송출기 3으로 바뀌었으나 단말기(206)는 앙상블 A를 계속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6)는 A위치에 있을 때는 DAB 송출기 1(201)의 서비스 구역에 있으나 B위치에서 상기 단말기(206)는 이제 DAB 송출기 3(203)의 서비스 구역에 있다. 그러나 두 송출기의 신호는 동일한 앙상블이므로 상기 단말기(206)가 앙상블 A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상기 DAB 송출기 1(201)의 서비스 구역에서 앙상블 A를 수신하고 있던 참조번호 207 단말기가 DAB 송출기 2(202)의 서비스 구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단말기(207)는 더이상 앙상블 A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단말기(207)가 C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DAB 송출기 1(201)의 서비스 구역에 있으나 D위치에서 상기 단말기(207)는 이제 DAB 송출기 2(202)의 서비스 구역에 존재하고 상기 DAB 송출기 2(202)는 앙상블 A가 아닌 앙상블 B를 전송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207)는 D위치에서는 앙상블A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상기 단말기(207)가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던 서비스는 중단된다.
상기 DAB 시스템에는 여러 DAB 송출기가 존재하고 상기 DAB 송출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가 이동하는 환경에서는 상기 도 2에 기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가 DAB 송출기의 서비스 구역을 벗어나 다른 DAB 송출기의 서비스 구역으로 이동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상기 단말기가 DAB 송출기의 서비스 구역을 이동하였을 때 상기 DAB 송출기가 다른 앙상블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현재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를 중단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앙상블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앙상블 내에는 여러 다른 서비스들이 다중화되어 전송된다. 상기 다른 서비스들이라 함은 오디오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 등을 말하며 상기 서비스들은 하나의 앙상블에 다중화된다. 상기 앙상블 내의 서비스 다중화는 하기 도면을 참조한다.
도 3은 앙상블 내의 서비스 다중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앙상블(301)이 가지는 서비스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하나의 앙상블(301)을 앙상블 A라 한다. 상기 앙상블 A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302)를 가진다. 상기 앙상블 A(301)는 Alpha 1 라디오, Beta 라디오, Alpha 2 라디오의 3가지 서비스(302)를 가진다. 상기 서비스는 여러 서비스 컴포넌트(303)로 구성된다. 상기 서비스 컴포넌트(303)는 하나의 서비스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lpha 1 라디오는 '오디오 1'와 'Alpha-TMC'와 'Alpha-SI'라는 서비스 컴포넌트 3개로 구성된다. Beta 라디오는 '오디오'와 '2nd-ry 오디오'라는 서비스 컴포넌트 2개로 구성되며, Alpha 2 라디오는 '오디오 1', '오디오 3', 'Alpha-TMC'와 'Alpha-SI' 등 총 4개의 서비스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상기 각 서비스는 주 서비스 컴포넌트 (Primary Service Component)를 가지게 되는데 Alpha 1 라디오의 경우는 '오디오 1' 서비스 컴포넌트가 주 서비스 컴포넌트이며, Alpha-2 라디오는 '오디오 1'과 '오디오 3' 두 서비스 컴포넌트가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어 둘 중 하나가 주 서비스 컴포넌트가 된다. 상기 Alpha-2 라디오의 경우는 Alpha 1 라디오가 하나의 서비스 컴포넌트만을 주 서비스 컴포넌트로 가지는 것과 달리 시간적으로 주 서비스 컴포넌트가 변화하는 경우이다. Beta 라디오는 '오디오 2'를 주 서비스 컴포넌트로 가진다.
상기 서비스 컴포넌트(303)들은 각각 하나의 서브채널(304)로 전송된다. 상기 각 서비스 컴포넌트를 전송하는 서브채널(304)들은 MSC를 구성하며 상기 서브채널(304)이 MSC의 어느 위치에서 전송되는 가는 상기 도 1에서 기 서술한 바와 같이 MCI를 통해 알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앙상블에는 여러 서비스가 다중화되어 있다. 따라서 앙상블 A와 앙상블 B라는 서로 다른 앙상블이 존재할 때, 상기 두 앙상블 내에는 동일한 서비스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앙상블이 다른 상황에서도 동일한 서비스가 존재한다면 단말기는 다른 앙상블을 수신하더라도 동일한 서비스를 지속할 수가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상기 단말은 다른 앙상블을 수신하더라도 동일한 서비스를 지속하도록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은 핸드오버를 위한 판단을 단말 스스로 결정하며 상기 핸드오버를 위한 판단의 근거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이다. 그런데 상기 단말이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작아지는 경우는 단말이 방송망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이유 이외에도 단말이 방송 송출기의 가까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물에 의해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음영지역으로 진입하여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기 때문인 경우도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이 단지 수신된 신호의 세기만으로 핸드오버 과정의 시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단말에게 핸드오버 오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의 끊임없는 지원을 위해 핸드오버를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를 수행할 시점에 대한 정보를 얻고 핸드오버 할 방송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얻음으로서 핸드오버 오류를 줄이고 핸드오버 수행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단말이 방송 서비스를 받는 도중 핸드오버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과정의 시작 여부를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 판단하여 상기 단말에게 상기 대화채널을 이용하여 그 시작 여부를 알려주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단말과 이동통신 기지국과의 대화채널을 사용하여 핸드오버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도중 서빙 방송 송출기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세기 를 측정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면서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크지 않으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절차 수행 시작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받으면 상기 서빙 방송 송출기로부터 목적 방송 송출기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자신의 셀 영역내에서 서빙 방송 송출기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단말로부터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고, 미리 설정된 방송 송출기 위치맵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할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할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수락하는 수락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할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다고 판단되면, 상기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거절하는 거절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 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서빙 방송 송출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신호세기 측정부와,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도중,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절차 수행 시작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에 대한 수락 응답을 받으면 상기 서빙 방송 송출기로부터 목적 방송 송출기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셀 영역내에 있는 단말로부터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핸드오브의 수행 시작 응답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송수신부와, 주변 방송 송출기들의 위치를 나열한 방송 송출기 맵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요청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방송 송출기 위치맵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할 위치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단말이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할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수락하는 수락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에 전달하고, 상기 단말이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할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다고 판단되면, 상기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거절하는 거절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에 전달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지는 것을 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하고자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등, 방송 시스템에서 디지털 전송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 중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실시 예로 하며, 그 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의 실시 예를 바탕으로 동일한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적용 시스템이 바뀌는 경우 각 시스템에서 고유하게 사용하는 명칭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단말은 DAB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전용 단말일 수도 있고, DAB 신호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신호도 수신 가능한 복합 단말일 수도 있다. 상기 복합 단말의 경우는 방송 송출기로부터의 신호와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동시에 수신 가능하다. 즉, 방송 시스템과 이동통신 시스템은 동시에 구현 가능하다. 상기 복합 단말을 방송 시스템의 관점에서 바 라볼 때 상기 방송 시스템의 송출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채널은 방송채널(Broadcasting channel)이라 하고 상기 단말의 이동통신망과의 통신 채널은 대화채널(Interaction channel)이라 하며, 상기 대화채널의 지원은 DAB 시스템의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다. 상기 방송채널은 방송 송출기로부터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방향 채널이나, 상기 대화채널은 단말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상기 이동통신기지국이 단말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양방향 채널이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를 위해 이동통신 기지국과의 대화채널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대화채널은 단말이 DAB 송출기로부터의 서비스와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의 서비스 모두를 지원 받고 있을 때, 이동통신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채널을 지칭한다. 따라서 상기 대화채널은 양방향 채널이다. 상기 DAB 송출기와 이동통신 기지국이 동시에 존재하는 현상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과 방송 송출기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방송 송출기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지칭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DAB 시스템을 실시 예로 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DAB 송출기 1 (401)과 DAB 송출기 2 (402)는 DAB 서비스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송출기이다. 상기 DAB 송출기 1 (401) 의 서비스 영역에는 참조번호 404 단말과 참조번호 405 단말이 존재한다. 상기 두 단말(404, 405)은 DAB 송출기 1(401)의 서비스 영역에 존재하면서 동시에 이동통신 기지국(403)의 신호를 받는다. 따라서 상기 두 단말은 이동통신 기지국(403)과 대화채널 을 가진다.
상기 단말(404)의 경우는 이동통신 기지국(403)의 서비스 영역의 가장자리에 존재하면서 동시에 DAB 송출기 1(401)의 서비스 영역에서는 중앙부분에 위치한다. 상기 단말(405)의 경우는 이동통신 기지국(403)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으면서 동시에 DAB 송출기 1(401)의 서비스 영역의 가장 자리에 존재하며 또한 C에서 D로 이동 중이다.
상기 두 단말(404, 405)은 모두 DAB 송출기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 두 단말(404, 405)은 DAB 서비스를 받고 있는 도중 DAB 송출기로부터의 신호가 기준값 이하로 수신되는 경우를 겪는다. 상기 단말(404)은 DAB 송출기 1(401)의 서비스 영역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주변 간섭 요인으로 인해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로 수신되는 경우를 가정하고, 상기 단말(405)은 DAB 송출기 1(401)의 서비스 영역의 가장자리에 존재하여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로 수신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단말(405)이 DAB 송출기 1(401)의 신호영역의 가장자리에서 위치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가 미약하므로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여 DAB 송출기 2(402)의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것과 달리, 상기 단말(404)은 DAB 송출기 1 (401)의 서비스 영역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단말(404)은 자신의 위치를 알지 못하므로, 신호의 세기가 수신값 이하라는 이유로 핸드오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단말(404)은 자신의 위치에서 다른 DAB 송출기의 신호 또한 수신되지 않으므로 핸드오버 오동작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 단말(404)의 경우처럼 핸드오버 수행 위치가 아님에도 핸드오버 수행 과정을 시작할 수 있는 오류가 발생하는 것은 단말이 핸드오버 수행 과정을 시작하기 위한 조건을 DAB 수신 신호의 세기 만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핸드오버 수행 과정을 시작하기 위한 조건으로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403)으로부터 정보를 받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403)으로부터 받는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403)이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요구하는 단말에게 핸드오버 수행의 시작 여부 및 관련 방송 시스템의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도 4의 단말(404)과 단말(405)은 모두, 수신하는 신호의세기가 기준값 이하가 되는 순간 각 단말이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각 단말이 속해 있는 이동통신 기지국(403)으로 핸드오버 수행 시작 여부를 문의한다.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403)은 자신의 셀 내의 단말이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요청하게 되면 상기 단말이 방송 송출기의 핸드오버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말이 방송 송출기의 핸드오버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403)은 먼저 DAB 송출기들의 위치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403)이 DAB 송출기 1(401)과 DAB 송출기 2(402)의 위치 및 근접 관계를 알고 있다. 상기 DAB 송출기의 위치 정보를 알기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은 DAB 시스템으로부터 DAB 송출기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유선을 사용하는 것과 무선을 사용하는 것 모두 가능하다. 상기 DAB 송출기들의 위치 정보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된 후 변화가 생겼을 때에는 상기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 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송출기들의 위치는 시간적으로 변하는 성질의 정보가 아니므로 주기적으로 주고 받을 필요는 없으며 위치정보가 변하는 경우에만 업데이트하면 된다. 상기 위치정보가변하는 경우라 함은 새로운 송출기가 네트워크에 추가되나 기존의 송출기가 네트워크에서 삭제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DAB 송출기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이동통신 기지국(403)은 상기 DAB 송출기 1(401), 2(402)의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각 송출기들의 위치를 나열하여 하나의 위치 맵을 생성한다.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403)은 상기 방송 송출기들과의 위치맵 정보와 함께 상기 방송 송출기의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단말의 위치를 또한 알아야 한다. 상기 단말의 위치는 상기 단말이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요청했을 경우 위치 추적 서비스를 실행함으로써 알 수 있다. 상기 위치 추적 서비스라 함은 기존의 이동통신망에서 특정 단말이 위치를 파악하는 것으로 상기 위치 파악을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들이 현재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방법과 단말이 주변 다른 기지국들의 신호를 수신한 시간을 이용한 방법 들이 있다. 상기 위치 파악을 위한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마다 그 가능한 방법을 규격에 정의하고 있으므로 상기 위치 추적 서비스는 본 발명에서는 다루지 않으며 상기 규격에 의거해 위치 파악을 하는 것을 가정한다.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403)이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단말의 위치를 알고 있으므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은 방송 송출기들의 위치맵을 참조하여 상기 단말이 방송 송출기들의 핸드오버 영역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상기 도 4을 참조하면, 단말(404)의 경우 이동통신 기지국(403)은 상기 단말(404)이 DAB 송 출기 1(401)의 서비스 영역의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것이 아님을 판단하고, 상기 단말(404)로 핸드오버 시작 요청을 거절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달리 단말(405)의 경우는 DAB 송출기 1(401)의 서비스 영역의 가장자리에 존재하므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403)은 상기 단말(405)에게 핸드오버 시작을 수락한다.
상기 수락 신호를 받은 단말(405)은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고 단말(405)이 새로운 송출기의 앙상블을 수신하기 시작하면, 상기 단말(405)은 상기 수신한 앙상블의 MSC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하여 먼저 목적 방송 송출기로부터 수신된 FIC를 복조하여 MCI 정보를 얻는다. 상기 MCI 정보를 얻고 MSC의 데이터를 복조하기 시작하면 상기 단말(405)의 핸드오버는 완료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방송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501 단말과 참조번호 502 이동통신 기지국은 상호 통신 가능한 대화채널을 가지고 있다. 상기 대화채널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기지국(502)은 단말(501)로부터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요청하는 신호를 받는다. 상기 단말(501)로부터 핸드오버 수행 시작 요청을 받은 이동통신 기지국(502)은 단말(501)에게 핸드오버 수행 여부를 알려주기 위하여 상기 단말(501)의 위치를 파악한다. 상기 단말(501)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기지국(503)은 송/수신부(503)를 통해 특별한 신호를 송신, 수신하거나 혹은 다른 외부 장치(예를들어 GPS 신호)의 정보를 이용한다. 상기 파악된 단말의 위치 정보는 제어부(505)로 입력된다. 상기 단말(501)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 기 이동통신 기지국(502)은 메모리(504)내의 방송 송출기 위치 맵을 참조한다. 상기 메모리(504)내의 방송 송출기 위치맵과 상기 파악한 단말(50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며, 이동통신기지국(502)은 제어부(505)에서 핸드오버 수행 요청의 수락 여부 및 관련한 방송 송출기들의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정보는 송/수신부(503)를 이용하여 단말(501)로 전송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서비스를 지원하는 수신기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수신기는 RF 수신부(601)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상기 RF 수신부(601)로부터 수신된 신호 중 방송 신호는 방송 수신부(609)에서 처리되는데 상기 수신 방송 신호는 방송 데이터 복조부(603)로 입력되고 동시에 신호세기 측정부(602)로도 입력된다.
상기 신호세기 측정부(602)에서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상기 신호세기 측정부 (602)에서 측정된 수신신호의 세기는 제어부(606)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606)에서는 수신기가 설정해 놓은 수신신호에 대한 기준값이 존재한다. 상기 기준값이라 함은 수신기에서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신호세기 값이다. 즉, 상기 기준값보다, 수신된 신호가작으면, 수신기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제대로 복조해 낼 수 없다. 상기 기준값은 수신기의 성능에 따라 다르게 선택될 수 있으며, 또한 시스템에서미리 규정하여 수신기로 상기 기준 값을 알려줄 수도 있다. 상기 수신기는 상기 기준값을 시스템으로부터 전달 받거나 혹은 수신기의 성능에 따라 상기 기준값을 설정하게 되고, 상기 결정된 기준값은 상기 제어부(606)에 서 사용된다. 상기 제어부(606)에서는 상기 신호세기 측정부(602)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은 후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상기 기준값과 비교한다. 상기 제어부(606)에서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현재 앙상블의 신호가 미약하다고 판단하고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할 준비를 하고 이동통신 송/수신부(608)로 핸드오버 수행 시작여부를 묻는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이동통신 송/수신부(608)는 이동통신 기지국과의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필요한 변/복조를 수행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이부(606)에서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 여부를 묻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 송/수신부(608)에서는 상기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여부를 묻는 신호를 이동통신 송/수신부(608)에서 처리하고 이동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RF 수신부(601)로 전달한다. 상기 이동통신 채널이라 함은 이동통신 기지국과 단말이 이동통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채널로 기 서술한 대화채널을 말한다.
상기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여부를 묻는 신호를 전송한 후 단말은 상기 대화채널로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여부에 대한 응답을 기다린다. 상기 이동통신 송/수신부(608)에서 대화채널로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 여부에 대한 수락 응답을 받으면 상기 이동통신 송/수신부(608)는 제어부(606)로 상기 응답을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606)에서는 이동통신 송/수신부(608)로부터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에 대해 수락 응답을 받으면 핸드오버 수행을 준비하고 후보 앙상블의 신호를 측정할 준비를 한다. 상기 후보 앙상블이라는 것은 현재 수 신하고 있는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는 다른 앙상블을 말한다. 상기 다른 후보 앙상블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다른 후보 앙상블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상기 다른 후보 앙상블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대화채널을 통해 얻거나 혹은 상기 방송 송출기에서 전송된 제어 정보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방송 데이터 복조부(603)에서는 입력된 데이터를 복조하고 상기 복조된 데이터는 MSC 데이터와 FIC 데이터로 구분되어진다. 상기 MSC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장치(605)로 입력되고 상기 FIC 데이터는 제어정보 처리장치(604)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정보 처리장치(604)에서는 MCI와 SI를 복조해낸다. 상기 복조된 MCI와 SI는 데이터 처리장치(605)로 입력되고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 (605)에서는 상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MSC 데이터를 각 서비스별로 복호하여 어플리케이션 모듈(Application Module)(607)로 전달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607)은 상기 복호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기 화면에 필요한 형태로 출력한다. 상기 복조된 SI 정보는 제어부(606)로도 입력되는데 상기 제어부(606)에서는 상기 입력된 제어 정보인 SI 정보를 이용하여 후보 앙상블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된다. 상기 후보 앙상블에 대한 정보를 받으면 제어부(606)에서는 어떠한 후보 앙상블로 핸드오버할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값을 RF 수신부(601)로 알려준다. 상기 RF 수신부(601)는 상기 제어부(606)에서 전달한 정보에 따라 RF의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수신기는 상기 변화된 주파수를 통해 핸드오버한 새로운 앙상블을 수신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701단계에서 서빙 방송 송출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시작하고, 702단계에서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기준값과 비교한다.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면서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주기적으로 계속 측정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703단계로 진행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과정 수행 시작 여부를 문의한다.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문의 신호를 전송한 단말은 704단계에서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 수락 응답을 일정시간동안 기다린 후,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수락받지 못하면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702단계의 수신 신호의 측정과정을 되풀이한다. 그러나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에 대한 수락 응답을 받으면, 705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서빙 방송 송출기로부터 목적 방송 송출기로의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에 대한 정보를 얻음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단말로 보내는 정보는 두가지 다른 방안이 가능하다. 첫째는 이동통신 기지국이 단말에게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과정의 시작 여부를 판단하여 알려주는 것과 두번째는 이동통신 기지국이 단말에게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과정의 시작 여부를 판단하여 알려주는 것과 함께 핸드오버하게 될 목적 방송 송출기의 정보까지 알려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두가지 방안을 각각 실시 예1과 실시 예2로 나누고 각 실시예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1에 따른 단말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801단계에서 서빙 방송 송출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시작하고, 802단계에서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기준값과 비교한다.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보다 크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면서 그 수신 신호의 세기를 주기적으로 계속 측정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803단계로 진행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과정 수행 시작 여부를 문의한다.
804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문의 신호를 전송한 단말은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 수락 응답을 기다린다.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수락받지 못하면 상기 단말은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802단계로 복귀하여 수신 신호의 측정과정을 되풀이한다. 그러나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에 대한 수락 응답을 받으면, 805단계로 진행하여 후보 앙상블들을 찾는다. 상기 후보 앙상블들이란 수신기가 가지고 있는 앙상블 리스트 중에서 현재 선택된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는 다른 앙상블들을 지칭한다. 상기 앙상블 리스트라 함은 수신기가 방송 송출기로부터 수신한 FIC를 통해 수신한 SI를 이용하여 후보 앙상블들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모든 앙상블을 지칭한다. 상기 앙상블 리스트 중 현재 선택된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후보 앙상블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핸드오버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806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서비스를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앙상블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후보 앙상블이 존재한다면, 807단계로 진행하여 수신기는 상기 SI 정보 중 지역정의(Region Definition) 정보를 찾는다. 상기 지역정의 정보는 RegionId에 대한 위도와 경도 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RegionId는 앙상블들을 지역적으로 구분하여 부여한 아이디로 상기 RegionId가 동일한 앙상블은 서로 인접해 있는 앙상블이 될 가능성이 높다. 상기 지역정의 정보를 통해 RegionId의 지역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상기 후보 앙상블로 지정된 앙상블들의 대략적인 위치 판단이 가능하다. 상기 위치 판단을 근거로 수신기는 후보 앙상블들의 우선 순위를 정한다. 또한 현재 앙상블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앙상블들을 우선 순위가 높은 앙상블로 결정하고 거리가 먼 앙상블들은 상기 우선 순위를 낮게 설정한다.
수신기는 상기 앙상블의 우선 순위에 따라 그 우선 순위가 높은 앙상블을 먼저 선택하여, 808단계에서 상기 선택한 앙상블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 후 기준값과 비교한다.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보다 크다면 811단계로 진해하여 상기 선택한 앙상블로 핸드오버를 결정한다. 그러나 상기 선택한 앙상블의 수신 세기가 기준값보다 작다면 809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우선 순위를 가지는 앙상블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809단계에서 상기 수신기가 측정할 앙상블이 남아 있다면, 8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기는 남아 있는 앙상블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앙 상블 Id로 설정하여 새로운 앙상블을 선택한 후 상기 808단계로 진행한다. 만약 다음 앙상블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수신기는 기준값보다 큰 앙상블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했으므로 806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서비스를 종료한다. 상기 810단계에서 상기 남아 있는 앙상블 중 우선 순위에 따라 앙상블을 선택한 경우는 808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선택한 앙상블에 대한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다시 기준값과 비교한다.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보다 크다면 8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한 앙상블로 핸드오버를 결정하고 상기 선택한 앙상블의 수신 세기가 기준값보다 작다면, 809단계로 진행하여 후보 앙상블 중 남아있는 앙상블을 선택하는 위 과정을 반복한다.
도 9은 실시 예 1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기지국은 901단계에서 자신의 셀 영역내에 있는 특정 단말로부터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받는다. 상기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 요청을 특정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이동통신 기지국은 902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위치가 방송 송출기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지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상기 도 5에서 기 서술한 바와 같이 단말로부터 위치 파악을 위해 필요한 신호를 수신하여 알 수 있는 방법과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알 수 있는 방법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면 이동통신 기지국은 이미 방송 송출기의 그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단말이 방송 송출기의 서비스 영 역의 어느 곳에 위치하는 지를 파악하게 된다.
상기 단말의 위치 파악에 따라 이동통신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할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903단계에서 단말에게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과정의 시작을 수락하는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단말이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할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904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에게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과정을 수락하지 않는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들은 이동통신 기지국과 단말이 통신할 때 사용하는 채널을 사용하고 그 전송방식 및 전송위치 결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방식과 위치로 설정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2에 따른 단말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1001단계에서 방송 송출기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시작한 후, 1002단계에서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기준값과 비교한다.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보다 크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면서 그 수신 신호의 세기를 주기적으로 계속 측정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1003단계로 진행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과정 수행 시작 여부를 요청한다.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한 단말은, 1004단계에서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 수락 응답을 기다린다.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수락받지 못하면 상기 단말은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1002단계로 복귀하여 다시 수신 신호의 측정과정을 되풀이한다. 그러나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에 대한 수락 응답을 받으면, 1005단계로 진행하여 핸드오버 수행을 시작하고,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다.
상기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에 필요한 정보라 함은 상기 실시 예 1에서 제어 정보를 통해 얻어낸 정보인 핸드오버 할 앙상블에 대한 정보는 물론, 데이터 복조를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 또한 포함된다. 상기 데이터 복조를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라 함은 방송 시스템에서 MSC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MCI를 의미하며 상기 MCI는 현재 서비스를 받고 있는 방송 송출기의 앙상블에 대한 것이 아닌 핸드오버 할 방송 송출기의 앙상블에 대한 정보이다. 즉 이동통신 기지국은 특정 단말이 현재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방송 송출기에서 새로운 방송 송출기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할 때 상기 새로운 방송 송출기의 앙상블에 대한 제어 정보를 미리 전송해 주는 것이다. 상기 미리 전송된 핸드오버 할 앙상블에 대한 제어 정보로 인해 단말은 1006단계에서 새로운 송출기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였을 때 FIC를 복조하지 않고도 바로 MSC를 복조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복조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 11은 실시 예 2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1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기지국은 1101단계에서 자신의 셀 영역내에 있는 특정 단말로부터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받는 다. 상기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 요청을 특정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이동통신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고 1102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가 방송 송출기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지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상기 도 5에서 기 서술한 바와 같이 단말로부터 위치 파악을 위해 필요한 신호를 수신하여 알 수 있는 방법과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알 수 있는 방법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면 이동통신 기지국은 이미 방송 송출기의 그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단말이 방송 송출기의 서비스 영역의 어느 곳에 위치하는 지를 파악하게 된다.
상기 단말의 위치 파악에 따라 이동통신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할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1103단계에서 단말에게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과정의 시작을 수락하는 ack 메시지와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 할 방송 송출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핸드오버 할 방송 송출기에 대한 위치 정보는 이미 이동통신 기지국이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것으전송받은 정보로 상기 위치 정보는 방송 송출기의 위치가 변화할 때마다 업데이트된다. 상기 단말이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할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11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은 단말에게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과정을 수락하지 않는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들은 이동통신 기지국과 단말이 통신할 때 사용하는 대화 채널을 사용하고 그 전송방식 및 전송위치 결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방식과 위치로 설정한다.
상기 핸드오버 과정은 다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다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DAB 시스템과 이동통신 시스템은 양방향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규격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핸드오버 과정이 다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다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규격에서 상기 다른 네트워크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규격을 참조하며 이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상기 두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규격이 선행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의 끊임없는 지원을 위해 핸드오버를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를 수행할 시점에 대한 정보를 얻고 핸드오버 할 방송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얻음으로서 핸드오버 오류를 줄이고 핸드오버 수행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도중 서빙 방송 송출기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방송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면서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크지 않으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절차 수행 시작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받으면 상기 서빙 방송 송출기로부터 목적 방송 송출기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수락 메시지로부터 상기 목적 방송 송출기의 앙상블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앙상블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상기 목적 방송 송출기의 서비스 영역으 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방송 송출기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한 후,
    상기 목적 방송 송출기로부터의 고속정보채널(FIC)을 복조하지 않고, 주서비스 채널(MSC)을 복조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중인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는 후보 앙상블들을 찾는 과정과,
    상기 후보 앙상블들이 존재한다면, 상기 방송 송출기로부터 FIC를 통해 수신한 서비스 정보(SI) 중 앙상블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역정의(Region Definition)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 앙상블들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과정과,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앙상블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앙상블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앙상블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크다면 상기 선택한 앙상블을 가지는 목적 방송 송출기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앙상블의 수신 세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크지 않다면 다음 우선 순위를 가지는 앙상블의 수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핸드오버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를 정하는 과정은,
    상기 서빙 방송 송출기에 가까운 순서대로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6.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자신의 셀 영역내에서 서빙 방송 송출기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단말로부터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고, 미리 설정된 방송 송출기 위치맵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할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할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수락하는 수락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할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다 고 판단되면, 상기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거절하는 거절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할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락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 할 목적 방송 송출기의 앙상블에 대한 정보를 실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락메시지에 핸드오버 할 목적 방송 송출기의 앙상블에 대한 정보와, 데이터 복조를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를 실어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조를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는
    방송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할 목적 방송 송출기의 MSC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다중화구성 정보(MCI)임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는,
    상기 단말이 주변 다른 기지국들의 신호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이용하거나, 상기 단말에 구비되는 위성항법 장치(GPS)를 이용하여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위치가 상기 서빙 방송 송출기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12.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서빙 방송 송출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신호세기 측정부와,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도중,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절차 수행 시작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에 대한 수락 응 답을 받으면 상기 서빙 방송 송출기로부터 목적 방송 송출기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목적 방송 송출기의 앙상블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앙상블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상기 목적 방송 송출기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방송 송출기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한 후,
    상기 목적 방송 송출기로부터의 고속정보채널(FIC)을 복조하지 않고, 주서비스 채널(MSC)을 복조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중인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는 후보 앙상블들을 찾고, 상기 후보 앙상블들이 존재한다면, 상기 방송 송출기로부터 FIC를 통해 수신한 서비스 정보(SI) 중 앙상블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역정의(Region Definition)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 앙상블들의 우선 순위를 정하고,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앙상블을 선택하고, 상기 신호세기 측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한 앙상블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선택한 앙상블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크다면 상기 선택한 앙상블을 가지는 목적 방송 송출기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선택한 앙상블의 수신 세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크지 않다면, 다음 우선 순위를 가지는 앙상블의 수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핸드오버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서빙 방송 송출기에 가까운 순서대로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방송 신호 데이터를 복조하여 주서비스 채널(MSC) 데이터와 고속 정보채널(FIC) 데이터로 구분하고,
    상기 FIC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중화 구성정보(MCI)와 서비스 정보(SI)를 검출하는 제어정보 처리부와,
    상기 제어정보 처리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MCI와 상기 SI를 이용하여 상기 MSC 데이터를 각 서비스 별로 복호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복호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기 화면에 필요한 형태로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18.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셀 영역내에 있는 단말로부터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핸드오브의 수행 시작 응답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송수신부와,
    주변 방송 송출기들의 위치를 나열한 방송 송출기 맵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요청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방송 송출기 위치맵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방송 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할 위치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단말이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할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수락하는 수락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에 전달하고,
    상기 단말이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할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다고 판단되면, 상기 핸드오버 수행 시작을 거절하는 거절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에 전달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지는 것을 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방송시스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할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락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 할 목적 방송 송출기의 앙상블에 대한 정보를 실어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수락메시지에 핸드오버 할 목적 방송 송출기의 앙상블에 대한 정보와, 데이터 복조를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를 실어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는,
    상기 단말이 주변 다른 기지국들의 신호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이용하거나, 상기 단말에 구비되는 위성항법 장치(GPS)를 이용하여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위치가 상기 서빙 방송 송출기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지를 판단하여 핸드오버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0050088642A 2005-09-23 2005-09-23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35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642A KR100735399B1 (ko) 2005-09-23 2005-09-23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526,128 US7817600B2 (en) 2005-09-23 2006-09-22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JP2006257545A JP4287453B2 (ja) 2005-09-23 2006-09-22 ディジタル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ーを遂行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200610159519XA CN1942012B (zh) 2005-09-23 2006-09-25 在数字广播系统中执行越区切换的方法和装置
EP06121172.8A EP1768440B1 (en) 2005-09-23 2006-09-25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642A KR100735399B1 (ko) 2005-09-23 2005-09-23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215A true KR20070034215A (ko) 2007-03-28
KR100735399B1 KR100735399B1 (ko) 2007-07-04

Family

ID=3764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642A KR100735399B1 (ko) 2005-09-23 2005-09-23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17600B2 (ko)
EP (1) EP1768440B1 (ko)
JP (1) JP4287453B2 (ko)
KR (1) KR100735399B1 (ko)
CN (1) CN1942012B (ko)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325B1 (ko) 2005-11-28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100814916B1 (ko) 2006-11-14 2008-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단말의 이동성 예측을 통한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장치
WO2009017351A2 (en) * 2007-07-29 2009-02-0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WO2009038402A1 (en) * 2007-09-21 2009-03-2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0891182B1 (ko) * 2007-06-07 2009-04-01 (주) 큐알온텍 Dmb 단말기 및 자동 핸드오버 방법
US7705920B2 (en) 2007-08-24 2010-04-2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0967605B1 (ko) * 2007-12-24 2010-07-05 한국방송공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의 핸드 오버 방법
KR100979563B1 (ko) * 2007-11-30 2010-09-02 한국방송공사 지역별 채널 품질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핸드 오버 방법 및 시스템
US7889695B2 (en) 2007-08-24 2011-02-1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20110029703A (ko) * 2009-09-16 2011-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방송 채널 관리 방법
US8054906B2 (en) 2007-09-21 2011-11-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8199830B2 (en) 2007-08-24 2012-06-1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776143B2 (en) 2007-08-24 2014-07-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954829B2 (en) 2007-07-04 2015-02-10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8964856B2 (en) 2007-08-24 2015-02-24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984381B2 (en) 2006-04-29 2015-03-17 LG Electronics Inc. LLP DTV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data
US9185413B2 (en) 2006-02-10 2015-11-10 Lg Electronics Inc. Channel equalizer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signal in DTV receiving system
US9198005B2 (en) 2007-03-26 2015-11-24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9392281B2 (en) 2006-10-12 2016-07-12 Lg Electronics Inc. Digital television transmitting system and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ing data
US9490936B2 (en) 2007-06-26 2016-11-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digital broadcast data, and data processing method for use in the same
US9521441B2 (en) 2007-03-30 2016-12-13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9564989B2 (en) 2006-05-23 2017-02-07 Lg Electronics Inc. Digital television transmitting system and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data
US9736508B2 (en) 2007-03-26 2017-08-15 Lg Electronics Inc. DTV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TV signal
USRE46728E1 (en) 2007-06-26 2018-02-20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RE46891E1 (en) 2005-10-05 2018-06-1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USRE47183E1 (en) 2007-08-24 2018-12-2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2367878B1 (ko) 2021-10-29 2022-02-25 김영도 히비스커스 건조 꽃잎, 장미 꽃잎 원액을 이용한 맥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7205B2 (ja) * 2006-09-28 2011-09-21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及び基地局
US20080089287A1 (en) * 2006-10-12 2008-04-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roadcast-based communication in a radio or wireless access network to support mobility
US7929513B2 (en) * 2006-10-30 2011-04-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points, end-point communication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that generate security alert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interfering signals and/or connection messages
EP2102596B1 (en) * 2007-01-10 2018-01-03 TomTom Navigation B.V. Method of indicating traffic delays, computer program and navigation system therefor
CA2694704C (en) * 2007-08-24 2013-06-2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1572875B1 (ko) * 2007-09-21 2015-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EP2291035A1 (en) * 2008-04-28 2011-03-02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US8572648B2 (en) 2008-06-18 2013-10-29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the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KR101575632B1 (ko) * 2008-08-20 201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와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2526488A (ja) * 2009-05-08 2012-10-25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ダウンリンク専用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による移動性管理
CN101997624B (zh) * 2009-08-18 2013-08-2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混合网络系统以及基于该系统的切换方法
US8489961B2 (en) * 2009-10-19 2013-07-16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igital broadcast signal in transmitting system,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receiving digital broadcast signal in receiving system
BR112012016470A2 (pt) * 2010-01-04 2017-03-07 Thomson Licensing método de transferência de serviço de difusão e multidifusão em rede sem fio
KR20110105951A (ko) * 2010-03-22 2011-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1116711A2 (zh) * 2011-04-28 2011-09-29 华为终端有限公司 接收广播的方法和装置
EP2702805B1 (en) 2011-04-29 2017-11-01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Wireless device handoff between wireless networks
US20130155102A1 (en) 2011-12-20 2013-06-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of accuracy mapping in a location tracking system
CN103313335B (zh) * 2013-06-05 2015-11-18 天翼电信终端有限公司 双模终端设备网络模式切换方法及双模终端设备
WO2016074693A1 (en) * 2014-11-10 2016-05-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comprising switching between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transmissions and enhanced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transmissions (embms)
KR101956036B1 (ko) * 2014-12-08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20170053450A (ko) * 2015-11-06 2017-05-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라디오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213760B1 (ko) * 2017-02-10 2021-02-05 히르쉬만 카 커뮤니케이션 게엠베하 터널을 통한 차량들에 의한 이동들 동안의 송신기 식별
CN108123737A (zh) * 2017-06-02 2018-06-05 南京义怀数据系统有限公司 基于dab的无线数字多媒体寻呼系统
EP3563503B1 (en) * 2017-10-03 2021-03-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bs determination with multiple base graphs
US11166082B2 (en) 2019-10-30 2021-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llocating streaming content on a hybrid network
US11038539B1 (en) * 2019-11-25 2021-06-15 Hughes Network Systems, Llc Near-capacity iterative detection of co-channel interference for a high-efficiency multibeam satellit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589B2 (ja) 1998-05-07 2000-09-25 日本電気株式会社 ハンドオフ制御方式
KR20000032309A (ko) * 1998-11-13 2000-06-15 정선종 씨디엠에이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하드 핸드오프 방법
JP3634187B2 (ja) * 1999-04-23 2005-03-30 株式会社ケンウッド Bsデジタル放送受信機。
AU2000229010B2 (en) * 2000-03-10 2006-02-02 Kudelski Sa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receiver device for the billing of access controlled programmes and/or data from broadcast transmitters
CN1468499A (zh) * 2000-10-09 2004-01-14 ��˹��ŵ�� 通信系统的信道分配
US6463265B1 (en) 2001-06-05 2002-10-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Data source hand-off in a broadcast-based data dissemination environment
US8068832B2 (en) * 2001-11-19 2011-11-29 Nokia Corporation Multicast session handover
KR100438443B1 (ko) * 2001-12-12 2004-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프 수행방법
KR100532263B1 (ko) * 2001-12-29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방송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91785B1 (ko) * 2002-04-27 2009-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 핸드오버 방법
CN1276606C (zh) * 2002-06-10 2006-09-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蜂窝高速分组接入网的小区切换方法
KR100566208B1 (ko) * 2002-06-14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소프트 컴바이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40344B1 (ko) 2003-03-08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핸드오버 시스템 및 방법
US7146133B2 (en) * 2003-06-19 2006-12-05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transmission interference avoidance on a device capable of carrying out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s
GB2406754A (en) 2003-10-03 2005-04-06 Nokia Corp Same or similar service handover
KR100605821B1 (ko) 2003-10-23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방송채널 제어장치및 방법
US7398091B2 (en) 2004-02-02 2008-07-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in a visited network
US8447301B2 (en) * 2004-02-12 2013-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handoffs in an EV-DV wireless network
EP2439990B1 (en) * 2004-03-04 2021-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al mode of a MAC layer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6891E1 (en) 2005-10-05 2018-06-1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USRE49757E1 (en) 2005-10-05 2023-12-1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USRE48627E1 (en) 2005-10-05 2021-07-0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USRE47294E1 (en) 2005-10-05 2019-03-1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KR100810325B1 (ko) 2005-11-28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9185413B2 (en) 2006-02-10 2015-11-10 Lg Electronics Inc. Channel equalizer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signal in DTV receiving system
US10277255B2 (en) 2006-02-10 2019-04-30 Lg Electronics Inc. Channel equalizer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signal in DTV receiving system
US9178536B2 (en) 2006-04-29 2015-11-03 Lg Electronics Inc. DTV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data
US9425827B2 (en) 2006-04-29 2016-08-23 Lg Electronics Inc. DTV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data
US8984381B2 (en) 2006-04-29 2015-03-17 LG Electronics Inc. LLP DTV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data
US9680506B2 (en) 2006-04-29 2017-06-13 Lg Electronics Inc. DTV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data
US9564989B2 (en) 2006-05-23 2017-02-07 Lg Electronics Inc. Digital television transmitting system and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data
US10057009B2 (en) 2006-05-23 2018-08-21 Lg Electronics Inc. Digital television transmitting system and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data
US9831986B2 (en) 2006-10-12 2017-11-28 Lg Electronics Inc. Digital television transmitting system and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ing data
US9392281B2 (en) 2006-10-12 2016-07-12 Lg Electronics Inc. Digital television transmitting system and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ing data
US10454616B2 (en) 2006-10-12 2019-10-22 Lg Electronics Inc. Digital television transmitting system and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ing data
KR100814916B1 (ko) 2006-11-14 2008-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단말의 이동성 예측을 통한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장치
US9736508B2 (en) 2007-03-26 2017-08-15 Lg Electronics Inc. DTV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TV signal
US9912354B2 (en) 2007-03-26 2018-03-0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9924206B2 (en) 2007-03-26 2018-03-20 Lg Electronics Inc. DTV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TV signal
US10070160B2 (en) 2007-03-26 2018-09-04 Lg Electronics Inc. DTV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TV signal
US10244274B2 (en) 2007-03-26 2019-03-26 Lg Electronics Inc. DTV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TV signal
US9198005B2 (en) 2007-03-26 2015-11-24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9521441B2 (en) 2007-03-30 2016-12-13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KR100891182B1 (ko) * 2007-06-07 2009-04-01 (주) 큐알온텍 Dmb 단말기 및 자동 핸드오버 방법
US9490936B2 (en) 2007-06-26 2016-11-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digital broadcast data, and data processing method for use in the same
USRE46728E1 (en) 2007-06-26 2018-02-20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0097312B2 (en) 2007-06-26 2018-10-09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digital broadcast data, and data processing method for use in the same
US9860016B2 (en) 2007-06-26 2018-01-0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digital broadcast data, and data processing method for use in the same
US9094159B2 (en) 2007-07-04 2015-07-28 Lg Electronics Inc. Broadcasting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data in the broadcast transmitting system
US8954829B2 (en) 2007-07-04 2015-02-10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9660764B2 (en) 2007-07-04 2017-05-23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transmitter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service data for transmission
US9444579B2 (en) 2007-07-04 2016-09-13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transmitter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service data for transmission
US9184770B2 (en) 2007-07-04 2015-11-10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transmitter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service data for transmission
US8122473B2 (en) 2007-07-29 2012-02-21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WO2009017351A3 (en) * 2007-07-29 2009-03-2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8132213B2 (en) 2007-07-29 2012-03-0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WO2009017351A2 (en) * 2007-07-29 2009-02-0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8307400B2 (en) 2007-07-29 2012-11-0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8149754B2 (en) 2007-08-24 2012-04-03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314891B2 (en) 2007-08-24 2012-11-20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9154817B2 (en) 2007-08-24 2015-10-0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7705920B2 (en) 2007-08-24 2010-04-2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9438378B2 (en) 2007-08-24 2016-09-0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9071278B2 (en) 2007-08-24 2015-06-30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964856B2 (en) 2007-08-24 2015-02-24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7777817B2 (en) 2007-08-24 2010-08-1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7889695B2 (en) 2007-08-24 2011-02-1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776143B2 (en) 2007-08-24 2014-07-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619818B2 (en) 2007-08-24 2013-12-31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RE47183E1 (en) 2007-08-24 2018-12-2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7948943B2 (en) 2007-08-24 2011-05-24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7982808B2 (en) 2007-08-24 2011-07-19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9755849B2 (en) 2007-08-24 2017-09-0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199830B2 (en) 2007-08-24 2012-06-1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9860871B2 (en) 2007-08-24 2018-01-0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9369154B2 (en) 2007-08-24 2016-06-14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300569B2 (en) 2007-08-24 2012-10-30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9525512B2 (en) 2007-09-21 2016-12-20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8885762B2 (en) 2007-09-21 2014-11-11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8054906B2 (en) 2007-09-21 2011-11-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8472476B2 (en) 2007-09-21 2013-06-2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385250B2 (en) 2007-09-21 2013-02-2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10084568B2 (en) 2007-09-21 2018-09-2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8089929B2 (en) 2007-09-21 2012-01-03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WO2009038402A1 (en) * 2007-09-21 2009-03-2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9717082B2 (en) 2007-09-21 2017-07-2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9137643B2 (en) 2007-09-21 2015-09-1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542761B2 (en) 2007-09-21 2013-09-24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0609520B2 (en) 2007-09-21 2020-03-31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0979563B1 (ko) * 2007-11-30 2010-09-02 한국방송공사 지역별 채널 품질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핸드 오버 방법 및 시스템
KR100967605B1 (ko) * 2007-12-24 2010-07-05 한국방송공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의 핸드 오버 방법
KR20110029703A (ko) * 2009-09-16 2011-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방송 채널 관리 방법
KR102367878B1 (ko) 2021-10-29 2022-02-25 김영도 히비스커스 건조 꽃잎, 장미 꽃잎 원액을 이용한 맥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399B1 (ko) 2007-07-04
CN1942012A (zh) 2007-04-04
US7817600B2 (en) 2010-10-19
JP4287453B2 (ja) 2009-07-01
CN1942012B (zh) 2011-08-17
EP1768440B1 (en) 2018-06-13
JP2007089184A (ja) 2007-04-05
EP1768440A2 (en) 2007-03-28
EP1768440A3 (en) 2011-11-02
US20080225799A1 (en) 200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399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938091B2 (ja) マルチモード無線通信装置に対するwlan及びwwan通信サービスの管理
KR100944993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기 방법및 장치
EP198866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between services provided in all frequency bands and services provided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KR20080041576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US8774808B2 (en) Radio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09011226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웃목록을 갱신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20020026384A (ko) 하나 이상의 트래픽 채널들을 위한 채널 할당들을포워딩하는 방법
EP3219030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comprising switching between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transmissions and enhanced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transmissions (embms)
WO2020247428A1 (en) Method of using a 2-stage 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 design
JPH1098759A (ja) 移動体通信方式
US20150263771A1 (en) Efficiency and optimization of rf tuner reception through inter-car correlation
KR20130112304A (ko) 차량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 통신 장치
JP2001060910A (ja) 無線端末装置及び受信制御方法
KR101291465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19298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ommunicating on a voice channel and broadcast channel
KR20080038803A (ko)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 신호를스캐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566277B1 (ko) 사용자 단말기에서 gps 신호 획득 방법
KR100942808B1 (ko) 도로 구간별 채널 품질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핸드 오버 방법 및 시스템
US20230362957A1 (en) Reservation signal forwarding using 2-stage 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
JP3853002B2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放送用受信機のネットワークフォロー装置
KR100979563B1 (ko) 지역별 채널 품질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핸드 오버 방법 및 시스템
EA007446B1 (ru) Способ приема данных, передаваемых в системе радиосвяз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