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865A -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 Google Patents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865A
KR20070032865A KR1020050087412A KR20050087412A KR20070032865A KR 20070032865 A KR20070032865 A KR 20070032865A KR 1020050087412 A KR1020050087412 A KR 1020050087412A KR 20050087412 A KR20050087412 A KR 20050087412A KR 20070032865 A KR20070032865 A KR 20070032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tube
fiber
ai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5999B1 (ko
Inventor
황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화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화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화인
Priority to KR1020050087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999B1/ko
Publication of KR2007003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천정부에 설치된 덕트를 통하여 정화되고 내부공기와 열교환 되며 조화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시스템에 있어서, 덕트의 내부가 오염되었을 때 덕트를 교체하거나 덕트 내부의 비닐 또는 섬유 튜브를 교체하게 하므로서 덕트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가 이물질로 인하여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조 및 환기장치 등의 급기장치에서 정화되고 실내공기와 열교환 되며 조화된 외부공기를 여러 곳으로 공급하는 덕트를 후렉시블한 에어캡으로 제작한 후 급기장치와 분배기 또는 방출기에 결합되게 하는 한편 방향이 틀어지는 곳에는 결합구를 이용하여 에어캡 덕트를 결합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간단히 에어캡 덕트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급기장치, 환기장치, 덕트, 비닐튜브, 청소, 공조장치

Description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Duct for air ventilation system}
도 1은 기존의 급기 시스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에어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에어캡 덕트 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캡 덕트 사용상태의 급기 시스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캡 덕트와 결합구 결합상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에어캡 덕트와 결합구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에어튜브 사용시의 급기 시스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에어튜브 사용시의 덕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에어튜브 사용시의 실시예 시스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에어튜브 사용시의 실시예 덕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덕트 11 : 플렌지
20 : 에어캡 덕트 21 : 에어캡
30 : 비닐튜브 50 : 자바라관
51 : 플렌지 100 : 환기장치
200 : 분배기 300 : 방출기
400 : 결합구
본 발명은 실내 천정부에 설치된 덕트를 통하여 정화되고 내부공기와 열교환되며 조화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시스템에 있어서, 덕트의 내부가 오염되었을 때 덕트를 교체하거나 덕트 내부의 비닐 또는 섬유 튜브를 교체하게 하므로서 덕트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가 이물질로 인하여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급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고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정화 및 열교환시키는 열교환 환기장치(100)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 환기장치(100)에서 덕트(10)를 이용하여 분배기(200)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분배기(200)에서 덕트(10)와 방출기(300)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해 주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신선한 외부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급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덕트(10)는 사각, 원형의 형상을 갖는 강판 또는 합성수지관 등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덕트관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급기 시스템은 건물에 사용되는 경우 덕트(10)의 크기가 대형이 되어야 하고, 가정에 사용되는 경우 덕트(10)의 크기가 소형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그러나 기존의 덕트(10)는 통상 경화된 재질을 사용하는 관계로 장시간 사용 하여 내부에 이물질로 오염이 되는 경우 청소 및 유지 관리가 쉽지 않은 것으로, 대형의 덕트를 사용하는 경우 내부로 청소용 로봇을 투입하여 청소를 할 수 있으나, 소형의 가정용에서는 청소용 로봇을 활용할 수가 없어 덕트의 내부에 쌓여지거나 내부를 오염시키는 이물질을 청소할 수 없는 것이었다.
덕트의 내부에 부착 되는 이물질은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지 않으면 환기장치에서 정화시키고 열교환 된 신선한 외부공기가 덕트를 통하여 공급될 때 덕트 내벽에 붙어있는 이물질이 재 비산되어 오염될 수 있고, 미생물이 번식되어 냄새발생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덕트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덕트를 교체하지 않는 한 개선되기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급기 시스템의 덕트를 간단히 교체하여 설치하도록 하므로서, 덕트의 내부가 오염되어 실내공기가 오염되는 경우를 없애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의 내부에 비닐 또는 섬유 등의 부드럽고 유연한 재질로 제작된 튜브를 끼워주어 오염시에 내부 튜브를 교체하므로서 덕트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급기장치에서 정화되고 열교환된 공기를 여러 곳으로 전달하는 덕트를 후렉시블한 에어캡으로 제작한 후 환기장치와 분배기 및 방출기에 결합되게 하는 한편 방향이 틀어지는 곳에는 결합구를 이용하여 에어캡 덕트를 결합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물질에 의한 오염시 간단히 에어캡 덕트를 교체 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의 내부에 비닐 또는 섬유로 제작되는 튜브를 설치하되 상기 비닐 또는 섬유 튜브는 덕트의 일측 선단에서 플렌지 또는 결합밴드를 체결하여 결합되게 하고, 플렌지의 한 쪽에는 자바라관을 설치하므로서 이루어지며, 자바라관과 덕트는 결합밴드로 체결되게 하는 것으로, 덕트 내부의 비닐 튜브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형의 덕트를 사용하는 사무실, 업소, 가정용 급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경화된 재질로 제작하는 기존의 덕트 대신에 에어캡으로 제작한 에어캡 덕트를 사용하여 에어캡 덕트를 교체하므로서 덕트의 내부 청소를 대신할 수 있는 것이다.
급기 시스템은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 공기를 정화 및 열교환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환기장치(100)와, 상기 환기 장치(100)의 정화 및 열교환된 외부공기를 공급받아 여러 곳에 설치된 방출기(300)에 공기를 분배시키는 분배기(200)와, 상기 환기장치(100)와 분배기(200) 및 방출기(300) 사이를 연결하는 덕트(10)를 구비하여 구성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덕트(10)를 사용하지 않고 도 2와 같은 에어캡(21)으로 제작한 도 3과 같은 에어캡 덕트(20)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고, 에어캡(21)은 두 장의 비닐 내부에 독립된 에어공간이 형성되게 제작되어 제품의 포장시 완충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에어캡(21)을 둥글게 말아주어 내부로 에어를 통과시킬 수 있는 에어캡 덕트(20)를 제작한 후 상기 에어캡 덕트(20)를 기존의 덕트(10) 대신에 급기 시스템에 설치하는 것이다.
에어캡 덕트(20)를 사용하는 경우 단열효과가 뛰어나 덕트의 외측에 발생하게 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에어캡(21)은 기존에 완충재로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캡(21)을 금속 파이프 제작과 같은 방법으로 일정폭의 에어캡(21)을 원형으로 말아주어 서로 맞붙여 주므로서 에어캡 덕트(20)를 제작하는 것으로, 에어캡 덕트(20)는 그 특성상 길이나 폭 방향으로 변형이 자유롭게 상당히 후렉시블 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에어캡 덕트(20)는 에어캡(21)을 이용하여 제작하지 않고 별도의 에어캡 제작 장치를 이용하여 전용으로 압출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캡 덕트(20)를 사용하는 경우 방향이 틀어지는 곳은 후렉시블한 에어캡 덕트(20)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방향이 틀어지는 곳에는 도 4와 같이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는 결합구(400)를 설치 고정한 후 상기 에어캡 덕트(20)가 결합구(400)에 끼워져 결합밴드(410)로 고정되게 한다.
즉 환기장치(100)와 분배기(200) 및 방출기(300) 사이 또는 환기장치(100)와 결합구(400) 및 분배기(200)와 방출기(300) 사이에 에어캡 덕트(20)를 끼운 후 에어캡 덕트(20)를 결합밴드(410)로 고정시켜 에어캡 덕트(20)가 팽팽하게 긴장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에어캡 덕트(20)의 내부로 공기가 흐르는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이 같이 에어캡 덕트(20)를 사용하여 급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장기간 사용하여 에어캡 덕트(20)의 내부가 오염되게 되면 에어캡 덕트(20)를 간단히 새로운 에어캡 덕트(20)로 교체하므로서 깨끗한 에어캡 덕트(20)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에어캡 덕트(20)의 내부가 오염되게 되면 에어캡 덕트(20)의 일측 결합밴드(410)를 풀어준 후 타측의 결합밴드(410)를 풀어주고, 한쪽에서 당기게 되면 에어캡 덕트(20)는 유연성이 뛰어나 쉽게 구부러지면서 빼낼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에어캡 덕트(20)가 후렉시블 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서 천정의 일부만 개방시켜 에어캡 덕트(20)를 빼낼 수 있다.
이 같이 에어캡 덕트(20)를 빼낸 후에는 전선관에 전선을 끼우듯이 철사를 이용하여 에어캡 덕트(20)가 설치될 곳에 철사를 끼워준 후에 철사로 에어캡 덕트(20)의 일측을 묶어 당김으로서 에어캡 덕트(20)를 끼워준 후 에어캡 덕트(20)의 양쪽을 각각 결합밴드(410)로 고정시키되 에어캡 덕트(20)가 팽팽하게 당겨진 후 결합밴드(410)로 고정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에어캡 덕트(20)는 쉽게 교체할 수 있는 것으로, 기존과 같이 덕트(1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없어 오염된 상태의 공기를 흡입할 필요 없이 오염이 의심되거나, 외부에서 에어캡 덕트(20)의 내부 오염 확인이 가능하므로 오염이 되었을 경우 간단히 에어캡 덕트(20)를 교체하므로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에어캡 덕트(20)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덕트(10)를 사용하 더라도 덕트(10)의 내부를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덕트(10)의 내부에 섬유나 비닐로 된 비닐튜브(30)를 끼워 넣어 이물질이 섬유나 비닐 튜브(30)의 내측에 붙어 내부가 오염되게 되면 섬유나 비닐튜브(30)를 교체하여 에어 공급라인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비닐로 비닐튜브(30)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섬유로 제작하는 경우 섬유의 조직사이를 통하여 먼지가 배출되지 않는 고기밀의 섬유천을 사용 하여야 한다.
기존 덕트(10)의 내부에 섬유나 비닐튜브(30)를 끼우기 위해서는 덕트(10)의 일측에 자바라관(50)을 결합시키고, 상기 덕트(10)와 자바라관(50)은 각각 플렌지(11)(51)를 이용하여 결합되게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덕트(10)의 내부에 끼워진 섬유나 비닐 튜브(30)는 덕트(10)와 자바라관(50)의 일측에서 선단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한 후 플렌지(11)(51)를 결합시킴으로서 덕트(10)와 자바라관(50)의 내부에 섬유나 비닐튜브(30)를 끼워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섬유나 비닐 튜브(30)는 덕트(10)와 자바라관(50)의 내경과 같은 내경을 갖도록 하고, 상기 섬유나 비닐튜브(30)는 최대한 팽팽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섬유나 비닐튜브(30)는 섬유나 비닐의 특성상 양쪽을 외측으로 벌려 플렌지(11)(51) 사이에 섬유나 비닐의 선단이 고정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위와 같이 섬유나 비닐튜브(30)의 선단을 벌려 고정시키지 않을 경우 섬유나 비닐튜브(30)의 선단에 별도의 고정구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바라관(50)은 섬유나 비닐튜브(30)를 끼우거나 빼낼 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가 고정되어 있는 덕트(10)의 일측에 자바라관(50)을 결합시키면 다른 덕트(10)와 결합될 때 자바라관(50)을 펼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고, 덕트(10)의 내부에 끼워진 섬유나 비닐튜브(30)를 빼내기 위해서는 자바라관(50)을 접어주어 덕트(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한 후 자바라관(50)을 접어 형성시킨 공간을 이용하여 섬유나 비닐튜브(30)를 빼내거나 새로운 섬유나 비닐 튜브(30)를 끼워 넣게 된다.
즉 덕트(10)의 일측에 자바라관(50)이 설치된 경우 덕트(10)의 타측에 형성된 플렌지(11)를 해제시켜 섬유나 비닐튜브(30)의 고정을 해제하고, 자라바관(50)을 접어주어 공간이 생기게 한 후 상기 공간을 이용하여 섬유나 비닐튜브(30)를 제거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와 역순으로 섬유나 비닐튜브(30)를 덕트(10)와 자바라관(50)의 내부에 끼운 후 플렌지(11)(51)를 결합시킴으로서 섬유나 비닐 튜브(30)가 내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덕트(10)와 자바라관(50)의 일측에서 플렌지(11)(51)에 끼워져 결합되게 되므로, 섬유나 비닐튜브(30)의 내측을 통하여 공기가 흐르게 되고, 이물질은 섬유나 비닐튜브(30)의 내측에 붙게 되어 주기적으로 섬유나 비닐튜브(30)를 교체해주어 깨끗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 또는 비닐튜브(30)가 덕트(10)의 외측을 감싸게 한 후 덕트(10)를 감싸는 섬유 또는 비닐튜브(30)의 외측에 자바라관(50)을 끼우고, 그 외측으로 결합밴드(410)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는 플렌지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덕트(10) 사이에 자바라관(50)이 결합되므로 자바라관(50)의 양측에 위치한 덕트(10)가 고정되어 있어야 하고, 섬유나 비닐튜브(30)는 덕트(10)의 선단에서 외측으로 뒤집혀 끼워지게 하고, 그 외측에 자바라관(50)을 끼운 후 결합밴드(410)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자바라관(50)은 덕트(10)의 일측 선단에서 결합구(400)의 전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자바라관(50)을 이용하여 섬유나 비닐 튜브(30)를 끼우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하고, 결합구(400)에 자바라관(50)을 결합시켜 설치가 용이하며 섬유나 비닐 튜브(30)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같이 본 발명은 덕트(10) 내부에 섬유나 비닐튜브(30)를 끼워주어 공기가 섬유나 비닐튜브(30)를 통하여 흐르게 하고, 사용이 경과됨에 따라 섬유나 비닐튜브(30)의 내측에 이물질이 붙게 되면 덕트(10)에서 섬유나 비닐튜브(30)를 빼고, 덕트(10)의 내부에 새로운 섬유나 비닐 튜브(30)를 끼워주면 되는 것으로, 섬유나 비닐튜브(30)의 간단한 교체로 공기가 덕트(1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급기 시스템의 덕트에 관한 것으로, 에어캡 덕트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에어캡 덕트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거나, 덕트의 내부에 섬유나 비닐튜브를 설치하여 섬유나 비닐튜브를 간단히 교체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급기 시스템에서 덕트를 청소하지 못하여 흡입공기가 오염되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간단히 에어캡 덕트나 비닐 튜브를 교체할 수 있어 교체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고, 또한 공기가 흐르는 통로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청소하지 않고 완전히 제거하게 되므로 정화된 공기가 덕트를 통과하면서 오염되지 않는 것이다.

Claims (5)

  1. 환기장치나 공조장치 등의 급기장치에서 정화되고 열교환 되며 조화된 공기를 분배기로 공급한 후 분배기에서 방출기를 통하여 공기를 공급함에 있어서,
    상기 급기장치에서 공기가 공급되는 통로를 에어캡으로 제작한 에어캡 튜브를 설치하여 에어캡 튜브로 공기가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에어캡 튜브는 방향이 틀어지는 곳에 고정되게 설치된 결합구에 끼워져 결합밴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3. 환기장치나 공조장치 등의 급기장치에서 정화되고 열교환 되며 조화된 공기를 분배기로 공급한 후 분배기에서 방출기를 통하여 공기를 공급함에 있어서,
    상기 급기장치에서 급기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덕트의 한 쪽 선단에서 결합구와 결합시키되 상기 덕트와 결합구 사이에 자바라관이 결합된 덕트를 연결하고, 상기 덕트와 자바라관의 내부에는 섬유나 비닐튜브가 끼워져 섬유나 비닐튜브의 내측으로 공기가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덕트와 자바라관은 플렌지를 이용하여 결합되게 하고, 상기 덕트와 자바라관에 끼워진 섬유나 비닐튜브의 선단은 외측으로 벌려 플렌지 사이에 서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자바라관은 플렌지가 형성되지 않은 덕트 사이에서 덕트의 외측을 덮어주는 섬유나 비닐튜브의 외측에 끼워지게 하고, 자바라관은 결합밴드로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KR1020050087412A 2005-09-20 2005-09-20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KR100725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412A KR100725999B1 (ko) 2005-09-20 2005-09-20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412A KR100725999B1 (ko) 2005-09-20 2005-09-20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865A true KR20070032865A (ko) 2007-03-23
KR100725999B1 KR100725999B1 (ko) 2007-06-11

Family

ID=41560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412A KR100725999B1 (ko) 2005-09-20 2005-09-20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59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117B1 (ko) * 2009-07-21 2012-03-21 홍현성 통합 급배기 방식의 환기시스템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RU197930U1 (ru) * 2019-07-24 2020-06-0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Компания "Домвент" Воздуховод переменного диаметра
KR102221522B1 (ko) * 2020-08-20 2021-03-02 박경헌 작업성과 조립성이 개선된 공조덕트를 갖는 공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924B1 (ko) * 2007-07-13 2008-11-28 (주)무한 환기시스템용 분배장치
KR102551811B1 (ko) 2021-09-29 2023-07-04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공간별 환기량 제어가 가능한 환기시스템
KR102520031B1 (ko) 2021-09-29 2023-04-1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공간별 환기량 제어가 가능한 환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660A (ko) * 2000-06-27 2002-01-05 전병수 초임계 및 아임계 이산화탄소와 보조용매를 이용한 해조류 및 갑각류(게, 새우), 극피동물(유령멍게, 불가사리, 성게 등)로부터 클로로필과 카로티노이드 색소 추출 및 해취 제거 방법 (이취,불쾌취)
KR100434684B1 (ko) * 2001-06-27 2004-06-22 케이에스엠 주식회사 신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117B1 (ko) * 2009-07-21 2012-03-21 홍현성 통합 급배기 방식의 환기시스템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RU197930U1 (ru) * 2019-07-24 2020-06-0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Компания "Домвент" Воздуховод переменного диаметра
KR102221522B1 (ko) * 2020-08-20 2021-03-02 박경헌 작업성과 조립성이 개선된 공조덕트를 갖는 공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5999B1 (ko) 200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5999B1 (ko)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TWI686574B (zh) 阻尼器內裝型通風機
CN206377805U (zh) 一种新风工程静音管路系统
KR20190000356U (ko) 급기관의 자가청소기능을 가지는 급기시스템
KR101511491B1 (ko) 청소 효율이 개선된 공동주택용 환기덕트 청소장치
CN208536257U (zh) 一种家装新风管路系统
JP2008107056A (ja) 床下利用空気清浄化システム
KR20100109666A (ko) 일체형 급배기 후드
KR102319281B1 (ko) 환기용 후드캡
KR102289920B1 (ko) 공기조화용 어댑터
JP4775022B2 (ja) 熱交換換気装置
KR200463265Y1 (ko) 공기조화장치
KR200164658Y1 (ko) 공조용 공기 토출구
CN213066269U (zh) 一种等离子自清洁浴霸
CN212006119U (zh) 一种具有过滤器的送风装置
JP2014145570A (ja) 換気装置
KR20070035291A (ko) 공기조화 시스템
KR20090069991A (ko)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연결구
KR20100079728A (ko) 역풍을 방지하는 급기 및 배기 후드
CN207729796U (zh) 一种环保通风软管
KR100953903B1 (ko) 디퓨져 조립체
CN105910219A (zh) 换气装置及所适用的新风机
CN202581713U (zh) 结构改进的空调风管
JP4787767B2 (ja) 建物のダクト設置構造、及びダクト設置方法
CN105928076A (zh) 一种混风式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