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117B1 - 통합 급배기 방식의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급배기 방식의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117B1
KR101125117B1 KR1020090066226A KR20090066226A KR101125117B1 KR 101125117 B1 KR101125117 B1 KR 101125117B1 KR 1020090066226 A KR1020090066226 A KR 1020090066226A KR 20090066226 A KR20090066226 A KR 20090066226A KR 101125117 B1 KR101125117 B1 KR 101125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exhaust
room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733A (ko
Inventor
홍현성
Original Assignee
홍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현성 filed Critical 홍현성
Priority to KR1020090066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1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8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급배기 방식의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목 적>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환기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급기를 실내에 공급하거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되, 상기 환기장치의 실내측에는 별도의 분배기와 급기관이 형성되어 침실, 거실, 주방, 화장실 등의 각 룸으로 직접 급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이에 실내에서 순환된 공기는 다시 환풍기를 통해 천정공간부를 덕트로 하여금 회수되되, 상기 천정공간부에는 별도의 통합유도관을 갖는 통합흡기관이 부설되어 신속하게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급배기의 원활한 공급과 배기를 도모하는 한편, 사후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구 성>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외기실에 설치되어 급기와 배기가 서로 믹싱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외부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고 실내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급기구(110)와 흡기구(120)가 형성되는 환기장치(100)와; 상기 급기구(110)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되 일측에 결합관(210:흡입부)이 형성되고, 타측에 다수개의 연결관(220:토출부)이 형성되어 포집통(230)으로 하여금 결합관과 연결관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분배기(200)와; 상기 분배기의 연결관(220)과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침실, 거실, 주방, 화장실을 포함한 다수개의 실내측 디퓨 져(3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급기관(300)과; 상기 급기관(300)을 통해 실내거주 공간을 순환한 실내공기가 각 실내의 천정마감재의 상부측 천정공간부(D)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환풍기(400)와; 상기 디퓨져를 통해 천정마감재의 상부측 천정공간부(D)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환기장치의 흡기구(120)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일측에 통합유도관(510)이 형성되고, 타측에 배기관(520)이 형성되는 통합흡기관(5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효 과>
따라서, 본 발명은 환기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급기를 실내에 공급하거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되, 상기 환기장치의 실내측에는 별도의 분배기와 급기관이 형성되어 침실, 거실, 주방, 화장실 등의 각 룸으로 직접 급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이에 실내에서 순환된 공기는 다시 환풍기를 통해 천정공간부를 덕트로 하여금 회수되되, 상기 천정공간부에는 별도의 통합유도관을 갖는 통합흡기관이 부설되어 신속하게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급배기의 원활한 공급과 배기를 도모하는 한편, 사후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공기의 배기시 천정공간부를 하나의 덕트로 사용함으로써, 복잡하고 번거로운 다수의 급기 덕트 시공이 생략되는 바, 이는 덕트 설비에 대한 제조 원가절감 및 설치 시공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환기장치, 환기장치, 환풍기, 디퓨져, 천정공간부, 덕트

Description

통합 급배기 방식의 환기시스템{ventilation system with type of synthesis-Ventilating}
본 발명은 환기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급기를 실내에 공급하거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되, 상기 환기장치의 실내측에는 별도의 분배기와 급기관이 형성되어 침실, 거실, 주방, 화장실 등의 각 룸으로 직접 급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이에 실내에서 순환된 공기는 다시 환풍기를 통해 천정공간부를 덕트로 하여금 회수되되, 상기 천정공간부에는 별도의 환풍기를 갖는 통합흡기관이 부설되어 신속하게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급배기의 원활한 공급과 배기를 도모하는 한편, 사후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급배기 방식의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급배기용 환기장치가 구비된 환기장치가 설치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환기장치는 실외로부터 외기가 유입 되도록 형성되고,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환기장치와 함께 실내와 실외를 연통하도록 하는 덕트에 의해 연결되어 외기가 실내에 순환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기장치는 급,배기 덕트와 같은 공기 통풍로가 주로 천장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공기 통풍로의 설치에 따른 설치공간의 증가로 인하여 건물의 실제층고(방의 바닥면으로부터 위층 바닥 아랫면까지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건물의 용적률이 상승하게 되어 건축업자의 경우 막대한 건설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실내를 연결하는 급,배기 덕트의 제조와 시공으로 인해 제조원가 증가 및 시공 비용이 상승함으로써, 자연히 건축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환기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급기를 실내에 공급하거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되, 상기 환기장치의 실내측에는 별도의 분배기와 급기관이 형성되어 침실, 거실, 주방, 화장실 등의 각 룸으로 직접 급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이에 실내에서 순환된 공기는 다시 환풍기를 통해 천정공간부를 덕트로 하여금 회수되되, 상기 천정공간부에는 별도의 통합유도관을 갖는 통합흡기관이 부설되어 신속하게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급배기의 원활한 공급과 배기를 도모하는 한편, 사후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급배기 방식의 환기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외기실에 설치되어 급기와 배기가 서로 믹싱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외부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고 실내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급기구(110)와 흡기구(120)가 형성되는 환기장치(100)와; 상기 급기구(110)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되 일측에 결합관(210:흡입부)이 형성되고, 타측에 다수개의 연결관(220:토출부)이 형성되어 포집통(230)으로 하여금 결합관과 연결관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분배기(200)와; 상기 분배기의 연결관(220)과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침실, 거실, 주방, 화장실을 포함한 다수개의 실내측 디퓨 져(3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급기관(300)과; 상기 급기관(300)을 통해 실내거주 공간을 순환한 실내공기가 각 실내의 천정마감재의 상부측 천정공간부(D)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환풍기(400)와; 상기 디퓨져를 통해 천정마감재의 상부측 천정공간부(D)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환기장치의 흡기구(120)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일측에 통합유도관(510)이 형성되고, 타측에 배기관(520)이 형성되는 통합흡기관(5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분배기(200)는 결합관(210:흡입부)와 연결관(220:토출부)은 "기억자(ㄱ)"로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배기(200)는 환기장치(100)의 실내측 전방에 형성되어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환기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급기를 실내에 공급하거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되, 상기 환기장치의 실내측에는 별도의 분배기와 급기관이 형성되어 침실, 거실, 주방, 화장실 등의 각 룸으로 직접 급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이에 실내에서 순환된 공기는 다시 환풍기를 통해 천정공간부를 덕트로 하여금 회수되되, 상기 천정공간부에는 별도의 통합유도관을 갖는 통합흡기관이 부설되어 신속하게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급배기의 원활한 공급과 배기를 도모하는 한편, 사후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공기의 배기시 천정공간부를 하나의 덕트로 사용함으로써, 복잡하고 번거로운 다수의 급기 덕트 시공이 생략되는 바, 이는 덕트 설비에 대한 제조 원가절감 및 설치 시공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실내에 대해 원활한 급기와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직접 공급식 분배기 및 급기관과 천정공간부를 덕트로 이용하는 통합흡기관을 갖는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환기장치, 분배기, 급기관, 배기용 디퓨져, 통합흡기관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환기장치(100)는 실외기실에 설치되어 급기와 배기가 서로 믹싱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외부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고 실내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급기구(110)와 흡기구(1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배기(200)는 상기 급기구(110)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되 일측에 결합관(210:흡입부)이 형성되고, 타측에 다수개의 연결관(220:토출부)이 형성되어 포집통(230)으로 하여금 결합관과 연결관이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급기관(300)는 상기 분배기의 연결관(220)과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침실, 거실, 주방, 화장실을 포함한 다수개의 실내측 디퓨져(3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환풍기(400)는 상기 급기관(300)을 통해 실내거주 공간을 순환한 실내공기가 각 실내의 천정마감재의 상부측 천정공간부(D)로 유입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통합흡기관(500)은 상기 환풍기를 통해 천정마감재의 상부측 천정공간부(D)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환기장치의 흡기구(120)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일측에 통합유도관(510)이 형성되고, 타측에 배기관(520)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환기장치를 통해 급기가 공급되면 실내공기의 압력이 양압으로 바뀌면서 공기가 밖으로 나가려는 현상에 의해 천정마감재에 설치된 환풍기로 하여금 외부로 배기되도록 형성되어 별도의 배기 덕트가 생략되어 배기 효율이 개선됨은 물론 관련 덕트의 시공이 생략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분배기(200)는 결합관(210:흡입부)와 연결관(220:토출부)은 "기억자(ㄱ)"로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배기(200)는 환기장치(100)의 실내측 전방에 형성되어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분배기는 외기가 흡입되어 실내로 토출되는 결합관과 연결관이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연결조인트에 해당하는 상기 분배기의 청소와 설치 작업 및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개략적 구조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1의 실내구조에 비해 큰 실내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에 설치된 환기장치의 개략적 구조 평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를 확대한 예시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환기장치의 개략적 구조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환기장치 110 ... 급기구
120 ... 흡기구 200 ... 분배기
210 ... 결합관 220 ... 연결관
300 ... 급기관 310 ... 디퓨져
400 ... 환풍기 500 ... 통합흡기관
510 ... 통합유도관 520 ... 배기관

Claims (3)

  1. 실외기실에 설치되어 급기와 배기가 서로 믹싱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외부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고 실내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급기구(110)와 흡기구(120)가 형성되는 환기장치(100)와;
    상기 급기구(110)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되 일측에 결합관(210:흡입부)이 형성되고, 타측에 다수개의 연결관(220:토출부)이 형성되어 포집통(230)으로 하여금 결합관과 연결관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분배기(200)와;
    상기 분배기의 연결관(220)과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침실, 거실, 주방, 화장실을 포함한 다수개의 실내측 디퓨져(3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급기관(300)과;
    상기 급기관(300)을 통해 실내거주 공간을 순환한 실내공기가 각 실내의 천정마감재의 상부측 천정공간부(D)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환풍기(400)와;
    상기 디퓨져를 통해 천정마감재의 상부측 천정공간부(D)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환기장치의 흡기구(120)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일측에 통합유도관(510)이 형성되고, 타측에 배기관(520)이 형성되는 통합흡기관(5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급배기 방식의 환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200)는
    결합관(210:흡입부)와 연결관(220:토출부)은 "기억자(ㄱ)"로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급배기 방식의 환기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200)는
    환기장치(100)의 실내측 전방에 형성되어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급배기 방식의 환기시스템.
KR1020090066226A 2009-07-21 2009-07-21 통합 급배기 방식의 환기시스템 KR101125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226A KR101125117B1 (ko) 2009-07-21 2009-07-21 통합 급배기 방식의 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226A KR101125117B1 (ko) 2009-07-21 2009-07-21 통합 급배기 방식의 환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733A KR20110008733A (ko) 2011-01-27
KR101125117B1 true KR101125117B1 (ko) 2012-03-21

Family

ID=4361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226A KR101125117B1 (ko) 2009-07-21 2009-07-21 통합 급배기 방식의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1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410Y1 (ko) * 2006-04-12 2006-06-20 강남필터 주식회사 천장공간을 급기덕트로 이용하는 환기시스템
KR20070032865A (ko) * 2005-09-20 2007-03-23 주식회사 에어화인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KR100851589B1 (ko) * 2007-06-27 2008-08-12 미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865A (ko) * 2005-09-20 2007-03-23 주식회사 에어화인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KR200419410Y1 (ko) * 2006-04-12 2006-06-20 강남필터 주식회사 천장공간을 급기덕트로 이용하는 환기시스템
KR100851589B1 (ko) * 2007-06-27 2008-08-12 미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733A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026958U (zh) 一种空调室内机
CN108413500A (zh) 一种空调室内机
JP2011214799A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JP5870345B2 (ja) 空調システム
KR20210106836A (ko) 건물 환기 시스템
CN201828004U (zh) 无风道活动顶棚送风空调装置
KR101125117B1 (ko) 통합 급배기 방식의 환기시스템
JP5913151B2 (ja) 冷暖房換気システム
US20070298704A1 (en) Cabinet combination section having a ventilation device
CN105910195B (zh) 静音低能耗手术室
CN208536256U (zh) 一种单体式新风系统
JP2017211175A (ja) 建物
JP2003302075A (ja) 加湿空気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湿空気搬送システム
KR20090058314A (ko) 공동주택의 욕실 연동형 세대환기 시스템
CN108644958B (zh) 空气净化墙单元及空气净化墙系统
KR20060024828A (ko) 바닥온수 및 실내공기 겸용난방.
CN208293721U (zh) 一种降噪多能型下水管道
CN208487741U (zh) 空气净化墙单元及空气净化墙系统
JP2011112239A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CN105890123A (zh) Glv及新风的温湿度独立控制系统及其安装室
CN113959037A (zh) 一种送风口与回风口对立分布的热交换新风机
CN206347691U (zh) 基于建筑工业化预制置换新风装置
CN206207572U (zh) 一种同时向两个室内空间供风的家用新风机
KR20100131637A (ko) 통합형 환기 시스템
CN108534292A (zh) 教学楼用垂直并联式新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