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281B1 - 환기용 후드캡 - Google Patents

환기용 후드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281B1
KR102319281B1 KR1020190146762A KR20190146762A KR102319281B1 KR 102319281 B1 KR102319281 B1 KR 102319281B1 KR 1020190146762 A KR1020190146762 A KR 1020190146762A KR 20190146762 A KR20190146762 A KR 20190146762A KR 102319281 B1 KR102319281 B1 KR 102319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nector
air
air conditioning
hoo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9383A (ko
Inventor
박성찬
Original Assignee
박성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찬 filed Critical 박성찬
Priority to KR1020190146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2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벽체에 매립되고,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거나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기하는 환기용 후드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유로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흡기유로를 하나의 후드캡에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후드캡으로 실내 공기의 배기와 실외 공기의 흡기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고,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후드캡의 수를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후드캡의 설치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배기용 후드캡과 흡기용 후드캡을 따로 설치하여 사용하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환기용 후드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기용 후드캡{Hood cap for ventilation}
건물 외벽에 매립되고,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환기용 후드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부는 밀폐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밀폐상태가 장시간 동안 지속되면 실내 공기가 오염되어 거주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고, 심한 경우 호흡기 질환 등의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건물의 실내 공기는 거주자의 활동으로 발생하는 먼지와 각종 이물질, 호흡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생성 및 조리용 가스기기의 사용 등에 의한 실내 공기의 오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장시간 생활할 경우 건강을 해친다.
따라서 건물의 실내 환기를 위해 설치된 덕트의 외측 선단에는 빗물, 바람에 의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 부분에 메쉬망 또는 격판 등이 구비된 후드캡이 설치된다.
상기 후드캡을 건물 외벽에 설치함에 있어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용 후드캡과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흡입용 후드캡이 건물 외벽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건물의 외벽에는 각 세대마다 흡기용과 배기용 2개 이상의 후드캡이 설치되고, 이로 인해 건물 외벽에 2개의 구멍을 뚫어야 하므로 천공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후드캡의 구매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고, 다수의 후드캡 설치로 인해 건물 외벽의 미관을 해치게 되며, 특히 후드캡에서 빗물 또는 결로현상 등으로 인해 흘러나오는 물방물이 외벽을 타고 떨어질 경우에는 건물 외벽이 오염되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782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환기용 후드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하는 것으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유로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흡기유로를 하나의 후드캡에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후드캡으로 실내 공기의 배기와 실외 공기의 흡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후드캡의 수를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후드캡의 설치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배기용 후드캡과 흡기용 후드캡을 따로 설치하여 사용하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 벽체에 매립되어 덕트와 연결되는 제1 연결관; 및 상기 제1 연결관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건물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측면에 통기창이 형성되는 커버캡;를 포함하는 환기용 후드캡에 있어서,
상기 커버캡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관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는 관통공; 및
후드캡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관과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환형의 에어유로를 형성하며, 선단부는 상기 커버캡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후단부가 덕트와 연결되며, 전면은 적어도 하나의 절개공을 갖는 차단캡에 의해 차단되는 제2 연결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은 건물 실내에 구비되는 공기조화 유닛의 흡기구와 배기구에 덕트로 연결되고, 공기조화 유닛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제2 연결관으로 유입된 후 상기 차단캡의 절개공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고, 실외 공기는 상기 통기창을 통해 상기 커버캡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2 연결관과 제1 연결관 사이의 에어유로를 통과한 후 공기조화 유닛의 흡기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에어유로를 하나의 후드캡 내부에 2개 형성하여 실외 공기의 흡기와 실내 공기의 배기가 하나의 후드캡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의 흡기와 배기가 하나의 후드캡에서 이루어짐으로써, 건물의 벽면에 후드캡을 매립하기 위한 천공작업과 후드캡의 설치작업에 따른 소요 시간이 절반 이상으로 줄어드는 효과가 있고, 후드캡의 사용 및 구매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며, 다수의 후드캡으로 인해 건물 외벽의 미감이 저해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본 발명의 후드캡 내부를 동시에 통과함으로써, 후드캡의 내부에 물방울 맺힘 등의 결로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후드캡의 개략도, 측면도,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이 건물 외벽에 설치된 사용상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후드캡과 연결되는 공기조화용 어댑터의 개략도, 정면도, 평면도
도 9 내지 도 10은 공기조화용 어댑터가 공기조화 유닛에 분리된 모습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후드캡이 사용되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이하, 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후드캡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후드캡의 개략도, 측면도,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 저면도 및 건물 외벽에 설치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후드캡(10)은, 건물 벽체에 매립되어 덕트(D1)와 연결되는 제1 연결관(11); 및 상기 제1 연결관(11)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건물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측면에 통기창(12a)이 형성되는 커버캡(12);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캡(12)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관(11)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는 관통공(12b); 및 후드캡(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관(11)과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환형의 에어유로(A)를 형성하며, 선단부는 상기 커버캡(12)의 관통공(12b)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후단부가 덕트(D2)와 연결되며, 전면은 적어도 하나의 절개공(22c)을 갖는 차단캡(22)에 의해 차단되는 제2 연결관(2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유로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흡기유로를 하나의 후드캡(100)에 형성함으로써, 실내의 공기조화를 위해 배기용 후드캡과 흡기용 후드캡을 각각 별도로 마련하여 사용하던 종래 환기용 후드캡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으로, 후드캡(100)의 내부에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제2 연결관(21)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연결관(21)의 외측에는 제1 연결관(11)이 형성되며, 제1 연결관(11)과 제2 연결관(21) 사이에는 실외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환형의 에어유로(A)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유로(A)는 실외 공기가 후드캡(100)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 흡기유로가 된다.
상기 제1 연결관(11)은 건물 벽체에 매립되고, 후단부는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유닛(1)의 흡기구(1b)에 제1 덕트(D1)로 연결되며, 선단부에는 건물 외부로 노출되어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소정 부피의 커버캡(12)이 연결된다.
상기 커버캡(12)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소정 부피로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의 반경이 상기 제1 연결관(11)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으로 형성되며, 측면에는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창(12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관(11)의 선단부 테두리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캡(12)의 후단부 테두리부에는 상기 플랜지부가 내부로 삽입되면서 체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와 결합부는 억지끼움방식, 볼트/너트 체결방식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상호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 연결관(11) 및 커버캡(12)의 내부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2 연결관(21)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캡(12)의 전면에는 제1 연결관(11)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어서 제2 연결관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공(12b)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관(21)은 선단부가 상기 커버캡(12)의 관통공(12b)에 삽입 또는 지지되고, 후측부는 제1 연결관(11)의 내부에 위치하며, 전면은 적어도 하나의 절개공(22c)을 갖는 차단캡(22)에 의해 차단되고, 후단부가 제2 덕트(D2)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연결관(21)의 외주연에는 상기 제1 연결관(11)에 볼트(E) 체결되어 고정되는 연결편(2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23)에 의해 제1 연결관(11)의 내부에서 고정된다.
상기 제2 연결관(21)은 커버캡(12)과 제1 연결관(11)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선단부는 상기 커버캡(12)의 관통공(12b)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후단부는 제1 연결관(11)과 연결편(23)에 의해 지지되며, 외측에는 상기 제1 연결관(11)과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환형의 에어유로(A)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덕트(D2)를 통해 상기 제2 연결관(21)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차단캡(22)의 절개공(22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커버캡(12)의 통기창(12a)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에어유로(A)를 통해 제1 연결관(11)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제1 덕트(D1)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차단캡(22)은 제2 연결관(21)의 전면을 차단하고, 제2 연결관(21)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개공(22c)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연결관(21)의 선단부에 삽입되는 몸체부(22b); 및 상기 몸체부(22b)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커버캡(12)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관통공(12b)의 반경과 같거나 더 큰 반경으로 형성되며, 절개공(22c)이 내부에 형성되는 차단판(22a);을 포함한다.
상기 절개공(22c)은 상기 차단판(22a)에 다단으로 천공되고, 일측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경사판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편(23)은 제2 연결관(21)의 하부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고, 세로바와 가로바를 갖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세로바의 하단부는 제2 연결관(21)의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가로바는 상기 제1 연결관(11)의 내주연에 밀착되어서 제1 연결관(11)과 볼트(E)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관(11) 내부의 선단부 또는 커버캡(12) 내부의 후측부에는 상기 에어유로(A)를 차단하고, 상기 통기창(12a)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에어유로(A)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거름망(C)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거름망(C)은 커버캡(12)의 차단판(22a) 후면 또는 절개공(22c)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절개공(22c)을 통해 배출되거나 절개공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후드캡(10)은, 건물 벽체에 매립되는 원통형의 슬리브(13); 및 상기 슬리브(13)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건물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측면에 통기창(12a)이 형성되는 커버캡(12);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부(S)의 후단부에는 소정 길이의 제1 연결관(11)이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관(11)의 후단부에 덕트(D1)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관(21)은 상기 후드캡(10)과 제1 연결관(11)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연결관(11)과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환형의 에어유로(A)를 형성하며, 선단부는 상기 커버캡(12)의 관통공(12b)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후단부가 덕트(D2)와 연결되며, 전면은 적어도 하나의 절개공(22c)을 갖는 차단캡(22)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환기용 후드캡(10)은, 실외 공기가 통기창(12a)을 통해 커버캡(12)으로 유입된 후 제1 연결관(11)의 내부의 에어유로(A)를 통과하여 실내로 공급되고, 실내 공기는 제2 연결관(21)으로 유입된 후 차단캡(22)의 절개공(22c)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실내 공기의 배기와 실외 공기의 흡입이 하나의 후드캡(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반대로, 본 발명의 환기용 후드캡(10)은, 실외 공기가 차단캡(22)의 절개공(22c)을 통해 제2 연결관(21)의 내부로 유입된 후 실내로 공급될 수 있고, 실내 공기는 제1 연결관(11) 내부의 에어유로(A)로 유입되어 커버캡(12)으로 이동한 후 통기창(12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캡(22)의 내측면에는 상기 절개공(22a)을 통해 제2 연결관(21)으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거름망(C)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환기용 후드캡(10)을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후드캡과 연결되는 공기조화용 어댑터의 개략도, 정면도, 평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0은 공기조화용 어댑터가 공기조화 유닛에 분리된 모습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후드캡이 사용되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환기용 후드캡(10)을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되고 흡기구(1b)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구(1a)를 통해 실외로 배출하는 공기조화 유닛(1);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환기용 후드캡(10); 및 상기 공기조화 유닛(1)에 결합하고 상기 후드캡(10)과 덕트(D1,D2)로 연결되며 상기 공기조화 유닛(1)의 배기구(1a)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를 후드캡(10)에 공급하고 상기 후드캡(10)을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공기조화 유닛(1)의 흡기구(1b)로 공급하는 공기조화용 어댑터(10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 유닛(1)은 실내의 온도·습도·세균·냄새·기류 등의 조건을 그 장소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장치 또는 수단으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고,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장치, 에어컨, 공조시스템 또는 전열교화기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 유닛(1)은 흡기구(1b)를 통해 실외 공기를 공급받아 이를 필터로 필터링한 후 실내로 공급하고, 실내 공기는 흡입하여 배기구(1a)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 유닛(1)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토출구 및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1b)와 배기구(1a)는 공기조화 유닛(1)의 후면에 형성된다. 상기 공기조화 유닛(1)의 배기구(1a) 및 흡기구(1b)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 유닛(1)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환기용 후드캡(10)과 연결되는데, 상기 후드캡(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외 공기의 흡기와 실내 공기의 배기가 하나의 후드캡에서 이루어지는 흡배기 일체형의 후드캡(10)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용 어댑터(100)는 흡배기 일체형인 본 발명의 후드캡(10)을 공기조화 유닛(1)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조화 유닛(1)의 흡기구(1b)와 배기구(1a)에 연통되고,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후드캡(10)과 제1 덕트(D1) 및 제2 덕트(D2)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후드캡(10)을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공기조화 유닛(1)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공기조화 유닛(1)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를 후드캡(10)에 공급한다.
상기 공기조화용 어댑터(100)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제1 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전면은 개방되며, 상면에 제1 덕트(D1)가 연결되기 위한 제1 연결구(112)를 갖는 제1 수용체(110); 및 상기 제1 공간부(111)의 내부 일측에 수용되고, 내부에는 제2 공간부(121)가 형성되며, 전면은 개방되고, 제1 연결구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어 제2 덕트(D2)가 연결되는 제2 연결구(122)가 상면에 구비되며, 제1 수용체(110)의 내측면과 사이에 제1 공간부(111)의 공기가 제1 연결구(112)로 이동하기 위한 에어유로(A)를 형성하는 제2 수용체(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용체(110)는 내부에 제1 공간부(111)를 갖는 육면체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면은 테두리부를 제외하고 개방되며, 상면에는 제1 덕트(D1)가 연결되는 제1 연결구(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수용체(120)는 상기 제1 수용체(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높이와 폭이 대략 상기 제1 수용체(11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내부에 제2 공간부(121)가 형성되고, 전면은 개방되며, 상면에는 상기 후드캡(10)의 제2 연결관(21)과 덕트(D2)로 연결되는 제2 연결구(122)가 상기 제1 연결구(112)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수용체(120)는 상기 제1 수용체(110)의 제1 공간부(111) 내부의 상측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제1 공간부(111)보다 작은 부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공간부(111) 내부에서 제1 수용체(110)의 내측면과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에어유로(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구(112) 및/또는 제2 연결구(122)는 제1 수용체(110) 및/또는 제2 수용체(120)의 상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수용체(120)는 상기 제1 공간부(111)의 내부에서 후면이 상기 제1 수용체(110)의 후면에 스폿용접에 의해 고정되거나, 상기 제1 수용체(110)와 측면에 볼트/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체(110)의 내측면에 제1 공간부(111)의 내부로 돌출되는 지지바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수용체(120)를 지지바에 안착시킨 후 볼트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100)는, 흡기구(1b)와 배기구(1a)가 형성되는 공기조화 유닛(1)의 일면에 상기 제1 수용체(110)와 제2 수용체(120)의 전면 테두리부가 밀착되면서 체결수단(B)에 의해 상기 제1 수용체(110)가 공기조화 유닛(1)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용체(110)는 상기 제1 공간부(111)에서 제2 수용체(120)의 외측 빈 공간에 공기조화 유닛(1)의 흡기구(1b)가 연통하고 제1 연결구(112)를 통해 제1 공간부(111)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공기조화 유닛(1)의 흡기구(1b)로 공급하며, 상기 제2 수용체(120)는 상기 제2 공간부(121)에 공기조화 유닛(1)의 배기구(1a)가 연통하고, 공기조화 유닛(1)의 배기구(1a)에서 배출되어 제2 공간부(121)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를 제2 연결구(12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용 어댑터(100)는 제1 수용체(110)와 제2 수용체(120)의 전면 테두리부에는 합성수지재의 기밀부재(F)가 구비되고, 제1 수용체(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공기조화 유닛(1)에 형성되는 걸림부재(B2)에 체결되어서 잠금(또는 젖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수용체(110)와 제2 수용체(120)의 전면이 상기 공기조화 유닛(1)의 후면을 가압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클립(B1)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수용체(110)의 전면 테두리부는 제1 수용체(110)의 좌우측면과 상하측면에서 제1 수용체(110)의 내측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체(120)의 전면 테두리부는 제2 수용체(120)의 좌우측면과 상하측면에서 제2 수용체(12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고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제1 공간부(110) 내부에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에어유로(A)의 좌우 폭은 상기 제1 수용체(110)의 전면 폭과 제2 수용체(120)의 전면 폭을 합한 크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B)은, 상기 공기조화 유닛(1)에 형성되는 걸림부재(B2); 및 상기 제1 수용체(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B2)에 체결되어서 잠금에 의해 상기 제1 수용체(110)와 제2 수용체(120)의 전면이 상기 공기조화 유닛(1)의 후면을 가압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클립(B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수용체(120)는 제1 수용체(110)의 후면에 가압되어 전면이 공기조화 유닛(1)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어댑터(100)를 공기조화 유닛(1)의 후면에 결합시, 흡기구(1b)와 배기구(1a)가 형성되는 공기조화 유닛(1)의 후면에 상기 어댑터(100)의 전면을 밀착시키고, 제1 수용체(110)의 체결클립(B1)을 공기조화 유닛(1)의 걸림부재(B2)에 체결하며, 이로 인해 제1 수용체(110)의 제1 공간부(111)에 공기조화 유닛(1)의 흡기구(1b)가 수용되어 연통되고, 제2 수용체(120)의 제2 공간부(121)에는 공기조화 유닛(1)의 배기구(1a)가 수용되어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용체(110)의 제1 연결구(112)는 제1 덕트(D1)에 의해 상기 후드캡(10)의 제1 연결관(11)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수용체(120)의 제2 연결구(122)는 상기 후드캡(10)의 제2 연결관(21)과 제2 덕트(D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 덕트(D1)는 제2 덕트(D2)보다 반경이 더 크고, 제1 덕트(D1)의 내부에 제2 덕트(D2))가 삽입되며, 제1 덕트(D1)와 제2 덕트(D2) 사이의 공간 및 제2 덕트(D2)의 내부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덕트(D1)의 내부에 제2 덕트(D2)를 미리 삽입하고, 제2 덕트(D2)의 양단부를 제2 연결구(122)와 제2 연결관(21)에 먼저 연결한 후 제1 덕트(D1)를 제1 연결구(122)와 제1 연결관(11)에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덕트(D1) 및/또는 제2 덕트(D2)를 유연성(Flexible)이 좋고 압착이 쉬운 주름관으로 형성할 경우, 제1 덕트(D1)를 먼저 제1 연결구(122) 또는 제1 연결관(11)에 연결하여 압착한 후, 제1 덕트(D1)의 내측으로 제2 덕트(D2)를 삽입하여 상기 제2 덕트(D2)를 제2 연결구(122) 또는 제2 연결관(21)에 연결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드캡을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은, 공기조화 유닛(1), 어댑터(100) 및 후드캡(10)을 각각 설치 및 연결하고,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유닛(1)을 가동되면, 공기조화 유닛(1)의 송풍기에 의해 실외 공기가 상기 후드캡(10)의 통기창(12a)을 통해 후드캡(10) 내부로 유입되고, 제1 연결관(11)과 제2 연결관(21)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유로(A)를 통과하여 제1 덕트(D1)로 유입되며, 제1 수용체(110)의 제1 연결구(112)를 통해 제1 공간부(111)로 유입된 후 공기조화 유닛(1)의 흡기구(1b)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 유닛(1)의 배기구(1b)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 공기는 제2 수용체(120)의 제2 공간부(121)로 유입되고, 제2 연결구(122)와 제2 덕트(D2)를 통해 상기 후드캡(10)의 제2 연결관(21)으로 공급된 후 차단캡(22)의 절개공(22c)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에어유로를 하나의 후드캡 내부에 2개 형성하고, 실외 공기의 흡기와 실내 공기의 배기가 하나의 후드캡에서 이루어질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물의 벽면에 후드캡을 매립하기 위한 천공작업과 후드캡의 설치작업에 따른 소요 시간이 절반 이상으로 줄어드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공기조화 유닛 1a : 배기구
1b : 흡기구
10 : 후드캡 11 : 제1 연결관
12 : 커버캡 21 : 제2 연결관
22 : 차단캡 23 : 연결공
100 : 어댑터 110 : 제1 수용체
111 : 제1 공간부 112 : 제1 연결구
120 : 제2 수용체 121 : 제2 공간부
122 : 제2 연결구
A : 에어유로 B : 체결수단
C : 차단망 D1,D2 : 제1,제2 덕트
E : 볼트 F : 기밀부재

Claims (6)

  1. 건물 벽체에 매립되어 덕트와 연결되는 제1 연결관; 및 상기 제1 연결관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건물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측면에 통기창이 형성되는 커버캡;를 포함하는 환기용 후드캡에 있어서,
    상기 커버캡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관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는 관통공; 및
    후드캡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관과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환형의 에어유로를 형성하며, 선단부는 상기 커버캡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후단부가 덕트와 연결되며, 전면은 적어도 하나의 절개공을 갖는 차단캡에 의해 차단되는 제2 연결관;을 포함하고,
    공기조화용 어댑터에 의해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조화용 어댑터는,
    내부에 제1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은 개방되며, 상면에는 제1 연결관과 덕트로 연결되기 위한 제1 연결구가 형성되고, 공기조화 유닛의 흡기구와 연통하는 제1 수용체;
    상기 제1 공간부의 내부 일측에 수용되고, 내부에 제2 공간부가 형성되며, 전면은 개방되고, 제1 연결구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어 제2 연결관과 덕트로 연결되기 위한 제2 연결구가 상면에 형성되며, 제1 수용체의 내측면과 사이에 제1 공간부의 공기가 제1 연결구로 이동하기 위한 에어유로를 형성하고, 공기조화 유닛의 배기구와 연통하는 제2 수용체; 및
    제1 수용체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되고, 공기조화 유닛에 형성되는 걸림부재에 체결되어서 잠금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수용체와 제2 수용체의 전면이 상기 공기조화 유닛의 후면을 가압하면서 고정되게 하는 체결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후드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관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 연결관에 볼트로 체결되어서 상기 제2 연결관을 상기 제1 연결관의 내부에 고정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후드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캡은,
    상기 제2 연결관의 선단부에 삽입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커버캡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관통공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개공이 내부에 형성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후드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의 상단부에는 상기 통기창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에어유로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거름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후드캡.
  5. 삭제
  6. 삭제
KR1020190146762A 2019-11-15 2019-11-15 환기용 후드캡 KR102319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762A KR102319281B1 (ko) 2019-11-15 2019-11-15 환기용 후드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762A KR102319281B1 (ko) 2019-11-15 2019-11-15 환기용 후드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383A KR20210059383A (ko) 2021-05-25
KR102319281B1 true KR102319281B1 (ko) 2021-10-28

Family

ID=7614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762A KR102319281B1 (ko) 2019-11-15 2019-11-15 환기용 후드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2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2070A (ja) 2010-05-19 2011-12-01 Panasonic Corp 天井埋込形換気扇
JP2018059637A (ja) 2016-09-30 2018-04-12 株式会社Lixil 換気装置の給排気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8936A (ja) * 1985-05-23 1986-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通気系のベントキヤツプ
KR20060119368A (ko) * 2005-05-20 2006-11-24 (주) 휴니웰 필터부가 구비된 공조장치용 공기 통과장치
KR200437822Y1 (ko) 2006-12-19 2008-01-02 (주)아이에어 공동주택 환기용 그릴 캡
KR101133044B1 (ko) * 2009-05-06 2012-04-04 이상현 열교환용 관부재를 구비한 환기시스템
KR20170025899A (ko) * 2015-08-31 2017-03-08 임종갑 환기용 후드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2070A (ja) 2010-05-19 2011-12-01 Panasonic Corp 天井埋込形換気扇
JP2018059637A (ja) 2016-09-30 2018-04-12 株式会社Lixil 換気装置の給排気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383A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475B1 (ko) 공기청정기겸 환기장치의 고정장치
KR101087122B1 (ko)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KR101398037B1 (ko) 환기 시스템
JP2007212073A (ja) 換気装置
KR100725999B1 (ko) 급기 시스템의 덕트 장치
KR101783547B1 (ko) 흡입 또는 배기용으로 사용 가능한 후드캡
JP4811052B2 (ja) 外壁端末換気口
KR102319281B1 (ko) 환기용 후드캡
US7073782B2 (en) Humidifier
KR102289920B1 (ko) 공기조화용 어댑터
CN108224616A (zh) 一种基于建筑体用外部通风装置
US20020123305A1 (en) Ultimate vent
CN106694293A (zh) 一种汽车烤漆房
CN208382376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1035950B1 (ko)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KR200468966Y1 (ko) 시공과 관리가 용이한 환기장치
JP2006207871A (ja) 空気調和装置
WO2019184509A1 (zh)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20070005172A (ko) 공기조화기의 디스챠지 그릴
CN220017654U (zh) 一种新风系统的进风结构
US20090229045A1 (en) Toilet seat ventilation system
CN209101435U (zh) 一种具有新风净化功能的吊装式除湿机
CN210463445U (zh) 一种适用于模块集成房侧墙安装的防风沙管道式换气装置
CN211781822U (zh) 一种新风管组件及新风空调器
CN208998173U (zh) 一种新风装置及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