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122B1 -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 Google Patents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122B1
KR101087122B1 KR1020090017301A KR20090017301A KR101087122B1 KR 101087122 B1 KR101087122 B1 KR 101087122B1 KR 1020090017301 A KR1020090017301 A KR 1020090017301A KR 20090017301 A KR20090017301 A KR 20090017301A KR 101087122 B1 KR101087122 B1 KR 101087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intake
case
duct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240A (ko
Inventor
임동빈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정진우
임동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우, 임동빈 filed Critical 정진우
Priority to KR1020090017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122B1/ko
Publication of KR20100098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흡입구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실외 공기를 이동하는 흡기공간부와,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를 이동하는 배기공간부를 각각 분리 형성하는 분리부재; 및 상기 흡기공간부의 실외 공기와, 상기 배기공간부의 실내 공기가 덕트를 통하여 실,내외로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배면부에 형성되는 이동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을 사용하면, 케이스의 전면부, 측면부 및 저면부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흡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도록 내부의 분리부재를 구성하므로 흡입되는 신선한 실외 공기와, 배출되는 혼탁한 실내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 항상 신선한 실외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효과를 갖는다.
일체형, 환기그릴, 케이스, 분리부재, 덕트

Description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INHALATION AND EXHAUSTION ONE-BODY TYPE VENTILATION GRILL}
본 발명은 환기그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기영역와 배기영역이 일체로 만들어진 환기그릴을 건물 벽체에 형성된 덕트에 연결 설치하도록 하는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에 관한 것이다.
환기장치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여 실내 공간을 환기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환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과 종래 환기장치에서 환기그릴이 벽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장치는 건물 벽(W)을 기준으로 실내에 위치되고, 그 내부에 송풍기와 열교환 유닛 등이 장착되는 본체(2)를 구비한다.
본체(2)의 일측은 공기의 흡입, 배출을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덕트(2)의 일단과 연결되고, 덕트(4)의 타단은 건물 벽(W)의 환기구(6)를 관통하도록 설치 되어 실외 공간과 통한다.
이 때, 건물 벽(W)의 실외 측에는 그릴(8)이 설치되는데, 그릴(8)은 환기 시 실외의 이물질이나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그릴(8)은 스크류(10)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건물 벽(W)에 고정된다.
환기구(6)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흡기용 환기구와,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용 환기구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그릴(8)은 환기용 환기구와 배기용 환기구에 각각 끼워지도록 흡기용 그릴과 배기용 그릴이 각각 분리 제작된다.
그런데, 종래의 흡기용 그릴과 배기용 그릴을 건물에 설치하기 위하여 건물의 벽면에 2개의 환기구를 뚫어야 하므로 환기구 천공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점을 지닌다.
또한, 흡기용 그릴과 배기용 그릴의 설치 간격이 너무 가까운 경우, 배기용 그릴에서 나온 실내 공기가 재차 흡기용 그릴로 유입되므로 환기의 효과가 줄어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환기용 그릴과 흡기용 그릴 사이의 간격이 1.5m 정도 유지하므로 그릴의 설치면적이 너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기용 그릴과 배기용 그릴을 일체로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내부 구조상 흡입구와 배기구가 동일방향으로 형성될 수밖에 없으므로 실내의 혼탁한 공기와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배출 흡입시, 서로 혼합되므로 신선한 외부공기를 흡입하지 못하는 단점을 지닐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본 발명은 흡기용 그릴과 배기용 그릴이 일체로 된 일체형 환기그릴을 사용하므로 건물의 벽면에 환기구를 한 개만 형성하여 환기구 천공 작업 시간을 줄여주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케이스의 전면부, 측면부 및 저면부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흡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도록 내부의 분리부재를 구성하므로 흡입되는 신선한 실외 공기와, 배출되는 혼탁한 실내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 항상 신선한 실외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에 연결되는 덕트의 내부공간을 나누는 격판으로 흡기영역과 배기영역을 대략 반으로 분리 형성하므로 하나의 덕트에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동시에 이동하므로 설치공간을 줄여주는 일체형 덕트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흡입구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실외 공기를 이동하는 흡기공간부와,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를 이동 하는 배기공간부를 각각 분리 형성하는 분리부재; 및 상기 흡기공간부의 실외 공기와, 상기 배기공간부의 실내 공기가 덕트를 통하여 실,내외로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배면부에 형성되는 이동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는 측면부에 형성되고, 배기구는 저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의 경우, 케이스의 흡입구는 측면부에 형성되고, 배기구는 전면부의 하측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의 경우, 케이스의 흡입구는 전면부의 상측부분에 형성되고, 배기구는 저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와 배기구에는, 이물질 또는 벌레를 차단하는 차단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망은, 금속, 천, 합성수지재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 면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흡기공간부과 배기공간부를 상,하로 분리 형성하는 분리판과, 상기 분리판의 양측으로 경사지거나 절곡 연장되어 상기 흡입구의 내부 일측 면에 고정되는 측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가 전면에 형성되고, 배기구가 저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흡기공간부과 배기공간부를 상,하로 분리 형성하도록 분리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의 양측 단이 상기 케이스의 측면부 내측 면으로 직진 연장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덕트는, 상기 이동공을 통하여 상기 분리부재에 접촉되며, 상기 흡기공간부의 공기가 실내로 흡입되는 흡기영역과, 상기 배기공간부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배기영역을 구획하도록 격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공 주위의 상기 케이스 배면부에는, 상기 덕트가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연결관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과 상기 덕트는 벽체의 환기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배면부에 플랜지부가 접촉되어 배면부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덕트가 연결관에 삽입된 후, 상기 덕트와 연결관을 관통하여 벽체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흡입구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분리부재에 분리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실외 공기를 이동하는 흡기공간부; 상기 흡기공간부의 분리부재 반대 측에 형성되어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를 이동하는 배기공간부; 상기 흡기공간부의 실외 공기와, 상기 배기공간부의 실내 공기가 덕트를 통하여 실,내외로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배면부에 형성되는 이동공; 상기 이동공 주위의 상기 케이스 배면부에는, 상기 덕트가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연결관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을 사용하면, 흡기용 그릴과 배기용 그릴이 일체로 된 일체형 환기그릴을 사용하므로 건물의 벽면에 환기구를 한 개만 형성하여 환기구 천공 작업 시간을 줄여주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케이스의 전면부, 측면부 및 저면부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흡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도록 내부의 분리부재를 구성하므로 흡입되는 신선한 실외 공기와, 배출되는 혼탁한 실내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 항상 신선한 실외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에 연결되는 덕트의 내부공간을 나누는 격판으로 흡기영역과 배기영역을 대략 반으로 분리 형성하므로 하나의 덕트에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동시에 이동하므로 설치공간을 줄여주는 일체형 덕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A)은 건물 벽체(50)를 기준으로 외벽(52)에 설치되고, 덕트(500)를 통하여 벽체(50)의 실내측에 구비된 환기장치의 본체(10)에 연결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실내외 공기가 열교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열교환기(21)와, 실외 공기의 흡입 또는 배출을 위한 흡,배기용 송풍기(700)(800)가 각각 설치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A)은, 케이스(100), 분리부재(200), 이동공(310)을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흡입구(110)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출구(120)를 가진다.
분리부재(20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10)에서 흡입된 실외 공기를 이동하는 흡기공간부(210)와, 배출구(120)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를 이동하는 배기공간부(220)를 각각 분리 형성한다.
이동공(310)은, 흡기공간부(210)의 실외 공기와, 배기공간부(220)의 실내 공기가 덕트(500)를 통하여 실,내외로 연통되도록 케이스(100)의 배면부(300)에 형성된다.
배면부(300)는 케이스(100)의 배면 부분에 수평으로 이동하여 접촉되거나, 측면에서 슬라이드방식으로 삽입되어 접촉된 후, 리벳, 나사, 볼트 등의 체결부재와 용접 또는 브라켓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에서, 케이스(100)의 흡입구(110)는, 측면부(150)에 형성되고, 배기구(120)는 저면부(16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A)에서, 케이스(100)의 흡입구(110)는 측면부(150)에 형성되고, 배기구(120)는 전면부(14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기구(120)는 배기공간부(220)와 연통되도록 전면부(140) 중심 하측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기구(120)가 저면부(160)에도 부가적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A)에서, 케이스(100)의 흡입구(110)는 전면부(140)에 형성되고, 배기구(120)는 저면부(16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흡입구(110)는 흡기공간부(210)와 연통되도록 전면부(140) 중심 상측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면부(140)의 상측 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되므로 흡입구(121)가 굴곡진 부분에 형성되는 경우, 빗물이 흘러내려 유입될 수 있으므로 흡입구(110)를 전면부(140)의 판재 내측에서 가압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캡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세가지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A)은, 각각 흡입 구(110)와 배기구(120)에 맞도록 내부에 설치되는 분리부재(200)의 형상이 달라지므로 흡기공간부(150)와 배기공간부(160)의 공간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전면부(140)는, 상측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빗물이나 이물질이 잘 흘러내리게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의 전면부(140), 양 측면부(150) 및 저면부는, 일체로 만들거나 서로 다른 판재를 나사, 볼트, 리벳 등의 체결부재 또는 용접, 브라켓으로 서로 고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흡입구(110)와 배기구(120)가 전면이나 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측 부분에 형성되는 일부 구성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빗물이나 이물질을 잘 차단하도록 캡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 부분의 일부 구성은 장공 형상으로 천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흡입구(110)와 배기구(120)의 전체부분이 캡 형상 또는 장공 형상으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케이스(100)의 흡입구(110)와 배기구(120)에는, 이물질 또는 벌레를 차단하는 차단망(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차단망(130)은, 금속, 천, 또는 합성수지재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망(130)은 방충망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촘촘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재(200)는, 케이스(100)의 양측 면에 흡입구(110)가 형성되는 경우, 흡기공간부(210)과 배기공간부(220)를 상,하로 분리 형성하는 분리판(230)과, 분리판(230)의 양측으로 경사지거나 절곡 연장되어 흡입구(110)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는 측면판(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구성은,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측면판(240)은 분리판(230)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캡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측면판(240)이 반대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흡입구(110)와 배기구(120)가 측면에 형성되는 범위와 거리에 따라 측면판(240)이 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재(200)는, 케이스(100)의 흡입구(110)가 전면에 형성되고, 배기구(120)가 저면에 형성되는 경우, 흡기공간부(210)과 배기공간부(220)를 상,하로 분리 구획하는 분리판(250)으로 형성되어 분리판(250)의 양측 단이 케이스(100)의 측면부(150) 내측 면으로 직진 연장 고정될 수 있다.
이 구성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분리판(250)이 구부려짐 없이 사각판재 형상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분리부재(200)에 의하여 흡기공간부(210)가 상측에, 배기공간부(220)가 하측에 형성되는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흡기공간부(210)과 배기공간부(220)의 형성 위치가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부재(200)가 좌,우로 분리하도록 형성되어 흡기공간부(210)가 좌측 또는 우측에, 배기공간부(220)가 반대측 즉, 우측 또는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는 그에 맞도록 흡입구(110)와 배기구(120)가 형성될 것이다.
덕트(500)는, 이동공(310)을 통하여 분리부재(200)에 접촉되며, 흡기공간 부(210)의 공기가 실내로 흡입되는 흡기영역(504)과, 배기공간부(220)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배기영역(504)을 구획하도록 격판(50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공(310) 주위의 케이스(100) 배면부(300)에는, 덕트(500)가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연결관(400)을 구비하고, 연결관(400)과 덕트(500)는 벽체(50)의 환기구(60)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관(400)은, 배면부(300)에 플랜지부(420)가 접촉되어 배면부(300)에 체결 고정되고, 덕트(500)가 연결관(400)에 삽입된 후, 덕트(500)와 연결관(400)을 관통하여 벽체(50)에 체결부재(410)에 의하여 체결 고정될 수 있다.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A)은, 덕트(500)와 연결관(400)을 관통하여 벽체(50)에 체결부재(410)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는 경우, 체결부재가 실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상 보기 좋을 수 있다.
물론,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A)은, 실,내외에서 외벽(52) 또는 내벽(54)으로 체결되는 나사, 볼트, 리벳 등의 체결부재와, 브라켓(Bracket) 등에 의하여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100)와 분리부재(200)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은 결합되는 부분에 스펀지, 고무재 또는 수지재 등의 시일링부재에 의해 소음이 차단되도록 결합된 후, 리벳,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용접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500)의 격판(502)과 케이스(100) 내의 분리부재(200)가 접촉되는 부위 등에, 흡기와 배기가 서로 누설되어 교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펀지, 고무재 또는 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진 시일링부재(900)를 덧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체형 환기장치(A)를 건물 외벽(52)에 설치한 후, 케이스(100)의 배면부(300)와 외벽(52) 사이 틈새부분과, 환기구(60)와 연결관(400) 사이 틈새부분에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또는 접착제등의 접착물질(910)을 주입하여 시일링하도록 한다.
흡배기 일체형 환기장치(A)는, 아파트, 빌라 등의 다세대주택, 학교, 업무용건물 등과 같이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흡배기 일체형 환기장치(A)를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 벽체(50)에 실외와 실내로 연통되는 환기구(60)를 드릴 등의 천공기구를 사용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환기구(60)가 형성된 건물의 외벽(52)에 흡배기 일체형 환기장치(A)의 케이스(100)의 이동공(310) 배면으로 돌출된 연결관(400)을 삽입하여 끼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구(60)로 연통되는 덕트(500)를 케이스(100)의 배면부(300)로 돌출된 연결관(400)에 삽입하여 끼운 후, 연결관(400)과 덕트(500)를 나사, 볼트 등의 체결부재(410)를 관통하여 환기구(60)의 벽체(50)에 체결하므로 흡배기 일체형 환기장치(A)를 외벽(52)에 고정시킨다.
이때, 덕트(500)가 연결관(400)을 끼워져 조립되면, 덕트(500)의 격판(502)이 케이스(100)의 이동공(310)을 통하여 내부에 설치된 분리부재(200)에 접촉된다.
그러므로, 덕트(500) 상부의 흡기영역(504)이 케이스(100) 내의 흡기 공간부(210)와 연통되어지고, 덕트(500)의 하부의 배기영역(506)이 케이스(100) 내의 배기 공간부(220)와 연통되어진다.
흡기영역(504)과 흡기 공간부(210)로 이루어진 흡기공간은, 배기영역(506)와 배기 공간부(220)으로 이루어진 배기공간과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덕트(500)의 격판(502)과 케이스(100)의 분리부재(200)가 접촉되는 부위와, 케이스(100)와 분리부재(200) 접촉부위 등에, 흡기와 배기가 서로 누설되어 호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펀지, 고무재 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시일링부재(900)를 덧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내에서 덕트(500)의 타단은 환기장치 본체(10)의 흡기영역과 배기 영역으로 구분된 상태에서 연결하므로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케이스(100)의 배면부(300)와 외벽(52) 사이의 틈새부분과, 환기구(60)와 덕트(500) 사이의 틈새부분에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또는 접착제등의 접착물질(910)을 주입하여 시일링하므로 일체형 환기장치(A)를 건물 외벽(52)에 설치 완료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환기장치의 일체형 그릴을 사용하여 흡기 및 배기 상태를 살펴본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 상태를 살펴보면, 케이스(100)의 흡입구(110) 실외 공기가 유입되어 차단망(130)을 통하여 이송되고, 분리부재(200)에 형성된 흡기 공간부(210)를 거쳐 덕트(500)의 흡기영역(504)으로 이동되고, 본체(10)의 흡기용 송풍기(700)에 의해 열교환기(600)를 거쳐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를 환기시킨다.
한편, 배기 상태를 살펴보면, 실내에서 배출된 공기를 배기용 송풍기(800)로 이송하여 열교환기(600)를 거쳐 덕트(500)의 배기영역(506)으로 이동하고, 분리부재(200)의 하측부분과 배기용 공간부(152)를 거쳐 차단망(130)을 통하여 배기구(120)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다른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에의 경우에도, 거의 동일한 경로를 거쳐 흡,배기가 이루어지므로 흡배기 과정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흡기용 그릴과 배기용 그릴을 구비한 환기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의 분해 사시도.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을 건물 벽체에 설치하는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을 환기장치와 연결하여 설치한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50 : 벽체 52 : 외벽
54 : 내벽 60 : 통기공
100 : 케이스 110 : 흡입구
120 : 배기구 130 : 차단망
200 : 분리부재 210 : 흡기공간부
220 : 배기공간부 230 : 분리판
240 : 측면판 250 : 분리판
300 : 배면부 310 : 이동공
400 : 연결관 410 : 체결부재
500 : 덕트 502 : 격판
600 : 열교환기 700, 800 : 송풍기

Claims (12)

  1.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흡입구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실외 공기를 이동하는 흡기공간부와,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를 이동하는 배기공간부를 각각 분리 형성하는 분리부재; 및
    상기 흡기공간부의 실외 공기와, 상기 배기공간부의 실내 공기가 덕트를 통하여 실,내외로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배면부에 형성되는 이동공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흡기공간부과 배기공간부를 상,하로 분리 형성하는 분리판과,
    상기 분리판의 양측으로 경사지거나 절곡 연장되어 상기 흡입구의 내부 일측 면에 고정되는 측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는 측면부에 형성되고, 배기구는 저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는 측면부에 형성되고, 배기구는 전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는 전면부에 형성되고, 배기구는 저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와 배기구에는, 이물질 또는 벌레를 차단하는 차단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망은, 금속, 천, 합성수지재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이동공을 통하여 상기 분리부재에 접촉되며,
    상기 흡기공간부의 공기가 실내로 흡입되는 흡기영역과, 상기 배기공간부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배기영역을 구획하도록 격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 주위의 상기 케이스 배면부에는, 상기 덕트가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연결관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과 상기 덕트는 벽체의 환기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배면부에 플랜지부가 접촉되어 배면부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덕트가 연결관에 삽입된 후, 상기 덕트와 연결관을 관통하여 벽체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12. 삭제
KR1020090017301A 2009-02-27 2009-02-27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KR101087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301A KR101087122B1 (ko) 2009-02-27 2009-02-27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301A KR101087122B1 (ko) 2009-02-27 2009-02-27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240A KR20100098240A (ko) 2010-09-06
KR101087122B1 true KR101087122B1 (ko) 2011-11-25

Family

ID=4300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301A KR101087122B1 (ko) 2009-02-27 2009-02-27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1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942B1 (ko) * 2018-10-11 2019-06-21 주식회사 스마트지텍 개별형 열회수 청정 환기 장치
KR20230099757A (ko) * 2021-12-27 2023-07-05 주식회사 힘펠 벽부형 환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728123U (zh) * 2017-03-09 2017-12-08 邱新生 一种自动清洁监控摄像机
CN110319556A (zh) * 2018-03-30 2019-10-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防虫防鼠装置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CN110319557A (zh) * 2018-03-30 2019-10-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防虫防鼠装置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CN110319508A (zh) * 2018-03-30 2019-10-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102390500B1 (ko) * 2021-08-23 2022-04-25 노기준 댐퍼 일체형 후드 캡
CN113719897A (zh) * 2021-09-03 2021-11-30 珠海特普科技有限公司 多功能空调一体机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880A (ja) * 2001-03-16 2002-09-25 Ichimon Kiko Kk 二重管と二管路管との継手管、二重管用ベントキャップ及び二重管用防火ダンパー付きベント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880A (ja) * 2001-03-16 2002-09-25 Ichimon Kiko Kk 二重管と二管路管との継手管、二重管用ベントキャップ及び二重管用防火ダンパー付きベントキャップ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942B1 (ko) * 2018-10-11 2019-06-21 주식회사 스마트지텍 개별형 열회수 청정 환기 장치
KR20230099757A (ko) * 2021-12-27 2023-07-05 주식회사 힘펠 벽부형 환기장치
KR102650685B1 (ko) * 2021-12-27 2024-03-25 주식회사 힘펠 벽부형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240A (ko)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122B1 (ko)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WO2019184506A1 (zh)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101035950B1 (ko)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CN110736149A (zh) 一种具有换新风功能的一体式空调
KR102089784B1 (ko) 열회수 공기순환용 환기유니트의 댐퍼구조체
KR20210064778A (ko) 공기 조화기 및 이에 구비되는 배관 설치 장치
CN209027031U (zh) 外罩组件、接管结构和空调室内机
CN212378187U (zh) 小型家用换气机
WO2019184509A1 (zh)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102289920B1 (ko) 공기조화용 어댑터
KR102650685B1 (ko) 벽부형 환기장치
KR102319281B1 (ko) 환기용 후드캡
WO2022219812A1 (ja) 換気扇
CN219063596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10805966A (zh) 一种一体式空调
KR20190005664A (ko) 건축물용 후드 벤트
CN213454047U (zh) 壁挂式新风机
CN110748975B (zh) 一种一体式空调
KR20220158665A (ko) 건축물용 벤트 장치
JPH0656271B2 (ja) 換気装置
CN110805964B (zh) 一种一体式空调
CN213297289U (zh) 一种高效隔音结构的私密空间装置
JP2018128196A (ja) 換気装置
KR102194196B1 (ko) 환기장치
KR200446715Y1 (ko) 환기장치용 외부통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