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297A - 탈수 공정 - Google Patents

탈수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297A
KR20070032297A KR1020067018516A KR20067018516A KR20070032297A KR 20070032297 A KR20070032297 A KR 20070032297A KR 1020067018516 A KR1020067018516 A KR 1020067018516A KR 20067018516 A KR20067018516 A KR 20067018516A KR 20070032297 A KR20070032297 A KR 20070032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cculant
polymer
suspension
process according
cati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283B1 (ko
Inventor
토니 윗태커
피터 노먼
대릴 스미스
Original Assignee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워터 트리트먼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워터 트리트먼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워터 트리트먼츠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32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2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성 현탁액을 제1 응집제의 응집량 및 제2 응집제의 탈수량으로 처리하고, 당해 현탁액을 기계적 탈수 공정에 적용하여 케이크를 형성함을 포함하는 응집 시스템을 사용하는 수성 현탁액의 탈수 공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제1 응집제는 응집을 유도하여 현탁액의 농후화를 돕고, 제2 응집제는 입자 직경이 20㎛ 이상인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미립자 중합체 형태로 현탁액 속에서 혼합되는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중합체이다.
현탁액, 제1 응집제, 제2 응집제, 탈수공정, 케이크 고형분, 미립자 중합체

Description

탈수 공정{Dewatering process}
본 발명은 수성 현탁액을 응집 및 탈수시켜 탈수된 케이크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응집제를 수성 현탁액에 적용하여 고형물을 현탁액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은 익히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현탁된 고체 유기 물질 또는 무기 고형물을 함유하는 현탁액을 응집시킨 다음 탈수시키는 것이 관행이다. 예를 들어, 하수 슬러지, 폐수, 직물 산업 유출물, 바이엘 알루미나 공정으로부터의 적니(red mud) 및 석탄 찌거기의 현탁액 등과 같은 슬러지를 응집시키는 것이 관행이다. 응집은 일반적으로 현탁액 속에서 응집제를 혼합하고 현탁된 입자를 응집시킨 다음, 응집된 현탁액을 탈수시켜 탈수된 케이크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현탁액의 탈수시에는, 응집제로서 고분자량 수용성 중합체를 현탁액에 첨가하여 현탁액으로부터 액체를 제거하고 현탁액의 무수 고형물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고분자량 응집제의 성질은 양이온성, 음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일 수 있다. 중합성 응집제의 선택은 처리될 기질에 크게 좌우된다. 예를 들어, 현탁된 유기 물질, 예를 들어, 하수 슬러지를 포함하는 수성 현탁액을 처리하기 위해 고분자량 양이온성 응집제를 사용하는 것이 관행이다. 제지 공정에서는, 양이온성, 비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양쪽성 응집제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무기 현탁액의 응집은 흔히 음이온성 응집제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현탁된 유기 물질을 함유하는 현탁액을 응집시키기 위해 중합체를 수성 조성물로서 적용하는 것이 표준 관행이다. 일반적으로, 중합체의 조성물은 비교적 묽고, 예를 들어, 1중량% 이하, 일반적으로 0.5중량% 이하이고, 0.2중량% 이하만큼 낮을 수 있다.
응집제를 현탁액에 도입하는 여러 대안법이 제안되어 왔다. 국제공개공보 제WO-A-02/079099호에는 하나 이상의 응집제 에멀젼을 고형물 액체 분리 공정에 직접 가하여 동일 반응계에서 응집제가 적용물 속에서 직접 방출되도록 전환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에멀젼을 구체적으로 고형물 액체 분리 공정에 가하여 충분한 시간 및 압력 동안 유효량의 고전단에 적용하여 최초 분리 전에 에멀젼의 신속한 전환 및 응집제의 벌크 현탁액으로의 완전한 방출을 보장한다.
국제공개공보 제WO-A-98/31749호 및 제WO-A-98/31748호 둘 다는 용해된 저 고유 점도 양이온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성 매질 중의 고 고유 점도 양이온성 중합체의 분산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생성물은 고분자량 응집제를 제공하기 위한 편리한 수단인 용해되지 않은 고 고유 점도 양이온성 중합체의 수성 분산액이다. 분산 중합체는 물에 통상적 농도로 용해시킬 수 있거나, 현탁액에 직접 첨가할 수 있다.
동일한 공정에 상이한 2개의 중합성 응집제를 사용하는 것도 또한 공지되어 있다. 관행에서, 하수 슬러지의 탈수는 동일한 전하(공-이온성)를 띄는 2개의 중합성 응집제의 첨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공정에서는, 반대 전하(반대이온성) 를 띄는 2개의 중합체를 적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2개의 중합성 응집제를 수성 현탁액에 적용할 경우, 이들은 동시에 또는 더욱 일반적으로는 순차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국제공개공보 제WO9950195호에는 현탁액에 제1 수용성 이온성 중합성 응집제 및 제2 수용성 이온성 중합성 응집제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을 첨가함으로써 현탁된 유기 고형물의 수성 현탁액을 탈수시키는 공정이 기재되어 있다. 제1 응집제는 제2 응집제보다 과량이고, 두 응집제는 반대이온성이다. 제1 응집제 및 제2 응집제가 반대이온성 침전물의 입자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조건이다. 반대이온성 침전물은 제2 응집제를 방출시키기 위해 파열되도록 고안되어 반대이온성 침전물 내에 함유된다.
미국 특허 제6,063,291호는 응집제 중의 하나가 미립자인 반대이온성 응집제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현탁액의 응집을 기술한다. 미국 특허 제5,112,500호는 무수 양이온성 중합체 입자 및 무수 음이온성 중합체 입자를 현탁액에 별도로 첨가하여 이를 응집시키는 방법을 기술한다.
이러한 반대이온성 응집제 시스템은 특정 슬러지, 특히 상당량의 유기 성분을 함유하는 슬러지, 예를 들어, 하수 슬러지를 탈수시키고자 할 경우에 유해한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국제공개공보 제WO-A-01/05712호는 현탁액에 중합성 응집제의 진한 용액 및 중합성 응집제의 묽은 용액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가하여 현탁액을 탈수시키는 공정을 나타낸다. 진한 중합체 용액 및 묽은 중합체 용액 둘 다는 1% 이하의 통상적 농도로, 일반적으로는 이보다 훨씬 낮은 농도로 가한다.
국제공개공보 제WO-A-02/72482호는 40 내지 60중량%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과 0.05 내지 0.2중량%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이 동시에 도입되는, 현탁된 고형물의 수성 현탁액을 응집 및 탈수시키는 공정을 기술한다. 당해 공정이 여과 및 자유 배수를 약간 개선시키지만, 현탁액, 특히 하수 슬러지 탈수시 수득된 케이크 고형물을 개선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원의 우선일에 공개되지 않은 국제 출원 제PCT/EP03/09381호는 양이온성 중합체 응집제 및 응고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현탁액의 탈수방법을 기술하고, 이때 응고제는 캡슐화된다. 현탁액의 자유 배수 후, 응고제는, 예를 들어 응고제를 포함하는 캡슐을 파열시키거나 응고제가 포획된 매트릭스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현탁액 속으로 방출된다. 케이크 고형물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지만, 보다 용이하게 제조되고/되거나 적용될 수 있는 응집 생성물을 사용하여 등가의 또는 개선된 케이크 고형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고케이크 고형물을 수득하는 것은, 특히 하수 슬러지의 탈수시, 때로 어려울 수 있다. 현탁액의 최초 탈수를 돕는 응집제 또는 응고제를 첨가한 다음, 응집제 또는 응고제를 추가로 가한 후, 추가로 탈수시켜 고케이크 고형물을 수득하는 것도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정은 일본 특허 제10-249398호, 일본 특허 제61-257300호, 일본 특허 제06-343999호, 일본 특허 제06-344000호 및 유럽 특허원 제1035077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공정은 응집제에 의한 2개의 개별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2단계 탈수를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증가된 케이크 고형물을 제공하기 위한 현탁액의 탈수를 유도하는 개선된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제조되어 적용될 수 있는 처리제를 포함하는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2개의 별개 단계로 응집제 첨가물을 사용할 필요성을 피하는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수성 현탁액을 제1 응집제의 응집량 및 제2 응집제의 탈수량으로 처리하고, 당해 현탁액을 기계적 탈수 공정에 적용하여 케이크를 형성함을 포함하는 응집 시스템을 사용하는 수성 현탁액의 탈수 공정으로서, 제1 응집제는 응집을 유도하여 현탁액의 농후화를 돕고, 제2 응집제는 추가로 현탁액을 탈수시키며, 제2 응집제가, 입자 직경이 20㎛ 이상인 수용성 또는 수 팽윤성 미립자 중합체 형태로 현탁액 속에서 혼합되는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고, 제1 응집제와 제2 응집제가 반대이온성이 아닌 탈수 공정을 제공한다.
제1 응집제와 제2 응집제가 반대이온성 침전물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제1 응집제는 비이온성일 수 있는 반면, 제2 응집제는 음이온성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이다. 또는, 제1 응집제는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일 수 있고, 제2 응집제는 비이온성일 수 있다. 제1 응집제 및 제2 응집제 둘 다가 공이온성이어서 두 응집제가 음이온성이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현탁된 고형물을 농축시키는데 바람직한 적합한 현탁액에 적용가 능하다. 이는 폐수, 및 직물 산업 유출물인 무기 현탁액, 예를 들어, 바이엘 알루미나 공정으로부터의 적니 또는 석탄 찌거기, 제지 공장 폐기물, 예를 들어, 셀룰로스성 슬러지를 포함한다. 당해 공정은 특히 하수 슬러지의 탈수에 적용가능하다.
탈수 공정에서, 현탁액은 제1 응집제의 첨가에 따라 우선 농후화된다. 이 단계는 유리수를 최초 응집 및 방출시켜 농후한 현탁액을 생성함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유리수의 방출은 자유 배수 또는 여과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기계적 수단, 예를 들어, 벨트 농후화장치, 벨트 프레스 회전 드럼 농후화장치 또는 원심분리기를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응집제는 현탁액의 최초 응집 및 부분 탈수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현탁액을 농후화시켜 반고체 슬러지 페이스트를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제1 응집제는 통상적 농도, 예를 들어, 0.1 내지 1중량%, 특히 0.2 내지 0.5중량%로 첨가되는 중합체일 것이다.
통상적으로, 제1 응집제 및 제2 응집제는 초기 벌크 현탁액속에 첨가될 것이다.
탈수 공정은 제2 응집제가 입자 직경이 20㎛ 이상인 중합체 입자 형태인 농후한 현탁액에 대한 제2 응집제의 작용을 포함한다. 미립자 제2 응집제는 실질적으로 무수 상태가 바람직하지만, 부분적으로 수화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미립자 제2 응집제가 농후화되기 전에 실질적으로 벌크 현탁액 속으로 혼합되지 않지만 혼합 및/또는 기계적 탈수 동안 농후한 현탁액 속으로 통합되고 추가로 물의 방 출을 유도하여 탈수된 케이크를 생성한다는 것을 밝혔다. 중합성 입자들은 농후한 현탁액 속에서 용이하게 혼합되어 통상의 혼합 장치를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적합한 혼합 장치는, 예를 들어, 리본형 믹서 또는 혼련성 믹서를 포함한다. 리본형 믹서는 혼합 용기의 거의 전체 표면을 가로질러 일소하는 나선형 혼합 블레이드로 이루어진다. 혼련성 믹서는 서로 맞물릴 뿐만 아니라 믹서 벽에 대한 밀접한 공차(a close tolerance)를 형성하는 2개의 혼련성 암으로 이루어진다. 또는, 제2 응집제는 기계적 탈수 동안 농후화된 슬러지 전반에 걸쳐 분포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기계적 탈수는 일반적으로 압축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임의의 벨트 프레스, 필터 프레스, 스크류 프레스 또는 원심분리기일 수 있다. 이렇게 처리된 농후한 현탁액을 기계적 탈수에 적용할 경우, 예기치않게도 고케이크 고형물이 수득되었다.
일반적으로, 제2 응집제는 입자 직경이 50㎛ 이상인 미립자 중합체일 것이다. 중합성 입자의 입자 직경은 2000 또는 3000㎛ 이상만큼 클 수 있고, 또는 일반적으로는 50㎛ 이하이지는 않지만, 10 또는 20㎛ 이하만큼 작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자 직경의 범위는 50 내지 200㎛일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입자의 직경은 100㎛ 내지 800㎛, 예를 들어, 120 또는 150 내지 800㎛일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입자 직경의 범위는 250 내지 750㎛이다. 입자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5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8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700㎛인 중량평균 입자 직경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다.
제1 응집제 및 제2 응집제는 임의의 적합한 천연 또는 합성 중합성 응집제일 수 있고, 통상적으로 고분자량일 것이다. 천연 중합체는, 예를 들어, 양이온성 전분, 음이온성 전분 및 키토산 등을 포함한다. 합성 중합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직쇄, 측쇄 및 가교결합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제1 응집제는 제2 응집제와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2개의 응집제는 상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응집제 및 제2 응집제의 중합체의 분자량은 500,000 초과, 일반적으로 1,000,000 이상, 통상적으로 5,000,000 내지 30,000,000 이하일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응집제 및 제2 응집제의 성질은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일 수 있다. 중합성 응집제의 선택은 처리될 기질에 크게 좌우된다. 예를 들어, 현탁된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수성 현탁액, 예를 들어 하수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해 고분자량 양이온성 응집제를 사용하는 것이 관행이다. 제지 공장 폐기물 처리시, 양이온성, 비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양쪽성 응집제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무기 현탁액의 응집은 흔히 음이온성 응집제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응집제 및 제2 응집제는 공이온성이어야 하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비이온성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응집제와 제2 응집제는 반대이온성이어서는 안된다.
당해 중합체는 수용성 단량체 또는 수용성 단량체 블렌드의 중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수용성이란, 수용성 단량체 또는 수용성 단량체 블렌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물 100ml 중 5g 이상임을 의미한다. 당해 중합체는 임의의 적합한 중합방법으로 편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수용성 중합체가 비이온성일 경우, 당해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수용성 에틸 렌계 불포화 비이온성 단량체, 예를 들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중합체는 아크릴아미드로부터 형성된다.
수용성 중합체가 음이온성일 경우, 당해 중합체는 앞서 언급한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음이온성 단량체 또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단량체와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단량체의 블렌드로부터 형성된다. 음이온성 단량체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비닐설폰산, 알릴 설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 설폰산 및 이들이 염이다. 바람직한 중합체는 나트륨 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 수용성 중합체는 양이온성이고 임의로 본원에서 언급된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단량체와 함께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양이온성 단량체로부터 형성된다. 양이온성 중합체는 또한 음이온성 그룹보다 양이온성 그룹이 현저하게 더 존재하는 한, 양쪽성일 수도 있다. 양이온성 단량체는 디알킬아미노 알킬 (메트) 아크릴레이트, 디알킬아미노 알킬 (메트) 아크릴아미드, 이의 산 부가염 및 4급 암모늄 염, 디알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이온성 단량체는 디메틸아미노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메틸 클로라이드 4급 암모늄 염 및 디메틸 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중합체는 아크릴아미드와, 디메틸아미노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메틸 클로라이드 4급 암모늄 염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당해 중합체는 실질적으로 분지화제 또는 가교결합제의 부재하에 제조되어 온 선형일 수 있다. 또는, 당해 중합체는, 예를 들어, 유럽 특허원 제20278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지되거나 가교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당해 중합체는 역상 에멀젼 중합에 이어, 임의로 공비 탈수에 의해 오일 중의 중합체 입자의 분산액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는, 당해 중합체는 역상 현탁액 중합에 의해 비드 형태로, 또는 수용액 중합에 이어, 분쇄, 건조 후 미분시킴으로써 분말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당해 중합체는, 예를 들어, 유럽 특허원 제150933호, 유럽 특허원 제102760호 또는 유럽 특허원 제126528호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서 현탁 중합에 의해 비드로서 또는 유중수 에멀젼 중합에 의해 유중수 에멀젼 또는 분산액으로서 생성될 수 있다.
제2 응집제는 30중량% 이상의 양이온성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40 또는 50중량% 이상의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가 훨씬 더 바람직하다. 양이온도(cationicity)가 매우 높은 양이온성 중합체, 예를 들어, 80% 이하 또는 100% 양이온성 단량체 단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양이온성 제2 응집제 중합체가 양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 디알킬 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중합체, 디알킬 아미노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의 염) 및 디알킬 아미노 알킬 (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이의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2 응집제는 비교적 고분자량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제2 응집제는 고유 점도가 0.5dl/g 이상인 중합체일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유 점도는 3dl/g 이상일 것이고, 흔히 20 또는 30dl/g만큼 높을 수 있지만, 바 람직하게는 4 내지 10dl/g일 것이다.
중합체의 고유 점도는 중합체의 활성 함량을 기준으로 하는 중합체 수용액(0.5 내지 1%w/w)을 제조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0.5 내지 1% 중합체 용액 2g을 (탈이온수 1ℓ당 인산이수소나트륨 1.56g 및 인산수소이나트륨 32.26g을 사용하여) pH 7.0으로 완충된 2M 염화나트륨 용액 50ml를 사용하여 용적 플라스크에서 100ml로 희석시키고, 전체를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100ml 마크까지 희석시킨다. 중합체의 고유 점도는 1M 완충된 염 용액 중에서 25℃에서 넘버 1 현탁 레벨 점도계(Number 1 suspened level visc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제2 응집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특히 유용한 양이온성 중합체 종류는 디메틸 아미노 에틸 (메트) 아크릴레이트의 메틸 클로라이드 4급 암모늄 염 50 내지 100중량% 및 고유 점도가 4 내지 10dl/d인 아크릴아미드 0 내지 50중량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중합체는 디메틸 아미노 에틸 (메트) 아크릴레이트의 메틸 클로라이드 4급 암모늄 염을 80% 이상 포함한다.
기타 적합한 중합성 제2 응집제는 고유 점도가 1dl/g 초과, 바람직하게는 2dl/g 초과인 폴리비닐 아미딘 및 폴리비닐 아민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히 적합한 제2 응집제 부류는 만니히(Mannich) 부가 폴리아크릴아미드이다. 이상적으로, 이러한 중합체의 고유 점도는 1dl/g 초과이고, 매우 흔히 4dl/g 이상, 예를 들어 7 또는 8dl/g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포름알데히드/아민 부가물을 폴리아크릴아미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아민은, 예를 들어, 디메틸아민 또는 기타 2급 아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만니히 부 가 폴리아크릴아미드는 4급화 염이고, 이들은 유리 염기 만니히를 적합한 4급화제, 예를 들어, 메틸 클로라이드 또는 디메틸 설페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제2 응집제로서 적합한 또 다른 중합체는 고유 점도가 0.5dl/g 초과, 바람직하게는 1dl/g 이상인 폴리 디메틸 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현탁액의 효과적인 탈수는 이들 중합체가 제2 응집제로서 사용될 경우에 달성될 수 있다.
수성 조성물의 투여량은 기질에 좌우되고, 일반적으로 이는 통상적 양일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수 슬러지 처리를 위해, 유효한 탈수량으로 밝혀진 수성 조성물(제2 응집제)의 투여량은 흔히 현탁액 1ℓ당 활성 중합체 50mg 이상이다. 일반적으로, 당해 양은, 예를 들어, 400mg/ℓ 이하로 많을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량은 60 내지 300mg/ℓ이다. 제1 응집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현탁액 1ℓ당 활성 중합체 50mg 이상일 것이고, 500 또는 600mg/ℓ만큼 많을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량은 100 내지 400mg/ℓ일 것이다.
여러 중합체가 제1 응집제로서 사용되어 제2 응집제로 처리하기 위한 적합하게 농후화된 현탁액을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응집제는 양이온성 유기 중합체이다. 이는 현탁액이 하수 슬러지일 경우 특히 그렇다. 바람직한 양이온성 중합체는 아크릴아미드 중합체, 폴리비닐 아미딘, 폴리비닐 아민, 폴리디메틸 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 아민, 폴리에틸렌이민, 만니히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4급화 만니히 폴리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를 포 함한다.
제1 응집제 및 제2 응집제는 순차적으로 가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제2 응집제를 먼저 현탁액에 가하지만, 이의 역순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응집제 및 제2 응집제는 근접하게 첨가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첨가한다. 두 응집제를 이러한 방식으로 가할 경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별도로 가할 수 있지만, 몇몇 상황에서는 제1 응집제와 제2 응집제를 유리한 결과를 갖는 단일 조성물로 합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국면에서, 단일 조성물은 제1 응집제가 직경이 10㎛ 이하인 입자들을 포함하고, 제2 응집제가 직경이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인 입자들을 포함하는 미립자 중합체 생성물이다. 제2 응집제의 입자 크기는 앞서 규정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제1 응집제가 현탁액에 대해 실질적으로 즉시 작용하여 응집 및 농후화를 일으키는 경향이 있고, 보다 큰 입자 크기의 제2 응집제는 농후화된 현탁액 전반에 걸쳐 용이하게 분포하여 추가의 탈수를 유도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특히 효과적인 결과는 제1 응집제와 제2 응집제를 슬러지에 동시에, 그러나 별도로 가할 경우 달성될 수 있다. 이론에 구애받지 않고, 제1 응집제는 슬러지의 응집을 유도하고, 분산되지 않은 제2 응집제의 중합체는 응집된 구조물 내에 포획되지만 응집된 슬러지가 농후화될 때까지 상당한 탈수를 유도하지 않고, 제2 응집제의 중합체를 혼합함으로써 전반적으로 분포되어 슬러지와 통합되고, 추가의 탈수를 달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추가의 양태에서, 제2 응집제는 표면에 피복물이 도포된 중합성 입자를 포함 한다. 피복물은 제2 응집제 입자의 용해를 지연시켜 현탁액에 첨가시 제1 응집제가 현탁액에 작용하여 응집을 유도하고 농후화된 현탁액을 생성하고 피복된 제2 응집제 입자가 농후화된 현탁액 전반에 분포되어 추가의 탈수를 유도하도록 한다. 피복물은, 예를 들어, 실리콘 화합물일 수 있거나, 또는 수용성 왁스일 수 있다. 수용성 왁스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일 수 있다. 적합한 수용성 왁스는, 예를 들어, 분자량이 600(PEG600) 이상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이다. 제1 응집제와 제2 응집제를, 제2 응집제가 피복된 입자를 포함하는 단일 조성물로 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에서, 제2 응집제는 액체 중의 제2 응집제 중합체 입자의 슬러리 형태로 현탁액에 도입될 수 있다. 당해 액체는 제2 응집제의 입자 또는 현탁액과 불리하게 상호작용하지 않는 적합한 액체일 수 있다. 적합하게는, 당해 액체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일 수 있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한다.
실시예
유기 중합체 응집제의 통상적 용액 및 무수 입자의 1단계 첨가를 통한 수성 현탁액의 탈수
중합체
중합체 A는 고유 점도가 12dl/g인 탈수 에멀젼(액체 분산 생성물) 형태의 선형 고분자량 고양이온성 아크릴아미드계 중합체이다. 중합체 B는 고유 점도가 5dl/g인 계열의 중합체의 비드 형태의 4급화 디메틸 아미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선형 저 내지 중분자량 양이온성 단독중합체이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고유 점도는 설명서에 기재된 정보에 따라, pH 7로 완충된 1M 염화나트륨 속에서 넘버 1 현탁 레벨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시험 기질
침지된 혼합 1차/활성화 슬러지 샘플에 대해 탈수 시험을 수행하였다. 샘플의 무수 고형분 함량은 3.28%였다.
실험 과정
(A) 중합체(들)의 1단계 첨가
i) 중합체 A를 먼저 탈이온수에 용해시켜 1% w/v의 균질 용액을 수득하고, 사용 전에 0.25% w/v로 추가로 희석시켰다. 중합체 B를 탈이온수에 용해시켜 1% w/v 용액을 수득하였다. 1% w/v 용액을 사용 전에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0.25% w/v로 추가로 희석시켰다.
ii) 침지된 혼합 1차/활성화 슬러지 250㎖를 1ℓ들이 플라스틱 비이커(120㎝ 직경 ×120㎝ 높이)에 넣었다. 표준 실험실용 교반기를, 비이커 뚜껑의 중심에서 구멍을 통해 위치해 있는 교반기 축을 갖춘 비이커에 고정시켰다. 교반기는 4개의 블레이드를 갖추고 있는 편평한 크로스헤드형이다(각 패들은 25㎝ 너비 ×1.1㎝이다).
iii) 적절한 용적의 중합체 A의 0.25% 용액 및 중합체 B의 0.25% 용액 또는 실질적으로 무수 입자(250 내지 500㎛)를 슬러지에 동시에 첨가하고, 뚜껑을 비이커에 고정시켰다. 1,500rpm에서 15초 동안 교반시켜 슬러지를 응집시켰다. 8㎝ 직경의 벨트-프레스 여과천(belt-press filter cloth)을 포함하는, 여과 멤브레인을 갖는 여과 셀에 응집된 슬러지를 부어넣고, 측정용 실린더로 여액을 수집하였다.
iv) 30초 배수 후에, 여과천에 보유된 농후화된 슬러지를 '퍼로윙' 기술(furrowing technique)을 적용시켜, 스파츌라로 몇몇 방향에서 슬러지를 가로질러 서서히 물을 빠지게 하여, 더 많은 물을 방출시킨다. 퍼로윙을 30초 동안 수행하였다. 여액의 용적을 적어두었다.
v) 농후화된 슬러지를 250㎖ 들이 비이커에 옮기고, 느리게 원을 그리면서 섞는 동작(circular folding action)으로 스파츌라를 사용하여 45초 동안 손으로 교반하였다.
vi) 이후, 농후화된 슬러지를 피스톤-프레스 장치로 옮기고, 압축 탈수 단계에 적용시킨다. 20psi의 압력을 사용하여 2분 동안 탈수를 개시한 다음, 1분 간격으로 추가의 3분 동안 10psi씩 최대 60psi까지 증가시킨다. 60psi에서 추가의 5분 동안 압력을 유지시키면 총 압축 탈수 시간은 10분이 된다. 습식 케이크를 제거하고, 110℃에서 밤새 가열하여 케이크 고형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B) 농후화된 슬러지의 혼합을 제외한, 중합체(들)의 1단계 첨가
항목(v)를 생략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해 공정은 항목 (A)에 기재되어 있는 과정과 정확히 동일하였다.
(C) 대조군- 무수 중합체 입자의 2단계 공정으로의 첨가
당해 공정은 다음을 제외하고는 항목 (A)에서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다:
항목(iii)- 적절한 용적의 중합체 A의 0.25% 용액을 시린지를 사용하여 슬러지에 첨가하고, 뚜껑을 비이커에 고정시켰다. 1,500rpm에서 15초 동안 교반시켜 슬러지를 응집시켰다. 8㎝ 직경의 벨트-프레스 여과천을 포함하는 여과 셀에 응집된 슬러지를 부어넣고, 측정용 실린더로 여액을 수집하였다.
항목 (v)- 농후화된 슬러지를 250㎖ 들이 비이커에 옮겼다. 적합한 중량의 중합체 B의 실질적으로 무수 입자(250 내지 500㎛)를 농후화된 슬러지에 동시에 첨가하였다. 중합체를 내부 혼합하기 위해, 처리된 농후화된 슬러지를 느리게 원을 그리면서 섞는 동작으로 스파츌라를 사용하여 45초 동안 손으로 교반하였다.
결과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6065361708-PCT00001
데이터 세트 1 및 2는 하수 슬러지에 묽은 중합체 용액의 통상적 첨가를 나타낸다. 당해 결과는 통상적 처리로, 농후화된 슬러지의 추가 혼합(세트 1)이 어떠한 추가의 혼합이 없는 것(세트 2)에 비해 케이크 고형분에 불리한 영향을 미침을 나타낸다.
데이터 세트 3 및 4는 개선된 케이크 고형분은 제1 단계(세트 3)로 실질적으로 무수 중합체를 첨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이는 제2 단계(세트 4)로 실질적으로 무수 중합체를 첨가하는 것만큼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Claims (19)

  1. 수성 현탁액을 제1 응집제의 응집량 및 제2 응집제의 탈수량으로 처리하고, 당해 현탁액을 기계적 탈수 공정에 적용하여 케이크를 형성함을 포함하는 응집 시스템을 사용하는 수성 현탁액의 탈수 공정으로서, 제1 응집제는 응집을 유도하여 현탁액의 농후화를 돕고, 제2 응집제는 추가로 현탁액을 탈수시키며, 제2 응집제가, 입자 직경이 20㎛ 이상인 수용성 또는 수 팽윤성 미립자 중합체 형태로 현탁액 속에서 혼합되는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고, 제1 응집제와 제2 응집제가 반대이온성이 아닌 탈수 공정.
  2. 제1항에 있어서, 수성 현탁액이 하수 슬러지인 공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계적 탈수 공정이 벨트 프레스, 필터 프레스, 스크류 프레스 및 원심분리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장치를 사용하는 공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응집제가, 입자 직경이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0㎛인 미립자 중합체인 공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응집제가 양이온성 중합체 인 공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응집제가 50중량% 이상의 양이온성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로부터 형성되는 공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응집제가 양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 디알킬 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중합체, 디알킬 아미노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의 염) 및 디알킬 아미노 알킬 (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이의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공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응집제의 고유 점도가 0.5dl/g 이상,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dl/g인 공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응집제가,
    i) 디메틸 아미노 에틸 (메트) 아크릴레이트의 메틸 클로라이드 4급 암모늄 염 80 내지 100중량% 및, 고유 점도가 4 내지 10dl/g인 아크릴아미드 0 내지 20중량%로부터 형성된 중합체,
    ii) 고유 점도가 1dl/g 초과인 폴리비닐 아미딘 및 폴리비닐 아민,
    iii) 고유 점도가 1dl/g 초과인 만니히 부가 폴리아크릴아미드의 4급화 염 및
    iv) 고유 점도가 0.5dl/g 초과인 폴리 디메틸 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공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응집제가 양이온성 유기 중합체인 공정.
  11. 제10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아크릴아미드 중합체, 폴리비닐 아미딘, 폴리비닐 아민, 폴리 디메틸 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 아민, 폴리에틸렌이민, 만니히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4급화 만니히 폴리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공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응집제와 제2 응집제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첨가되는 공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응집제와 제2 응집제가 단일 조성물로 합해지는 공정.
  14. 제13항에 있어서, 단일 조성물이, 제1 응집제가 직경 10㎛ 이하의 입자를 포함하고, 제2 응집제가 직경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의 입자를 포함하는 미립자 중합체 생성물인 공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응집제가 표면에 피복물이 도포된 중합성 입자를 포함하는 공정.
  16. 제15항에 있어서, 피복물이 실리콘인 공정.
  17. 제15항에 있어서, 피복물이 수용성 왁스인 공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응집제가 액체 중의 슬러리 형태로 현탁액에 도입되는 공정.
  19. 제18항에 있어서, 액체가 폴리에틸렌 글리콜인 공정.
KR1020067018516A 2004-03-12 2005-02-28 탈수 방법 KR101204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405505.9 2004-03-12
GBGB0405505.9A GB0405505D0 (en) 2004-03-12 2004-03-12 Dewatering process
PCT/EP2005/002079 WO2005097687A1 (en) 2004-03-12 2005-02-28 Dewatering pro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297A true KR20070032297A (ko) 2007-03-21
KR101204283B1 KR101204283B1 (ko) 2012-11-26

Family

ID=3211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516A KR101204283B1 (ko) 2004-03-12 2005-02-28 탈수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54087B2 (ko)
EP (1) EP1723081A1 (ko)
KR (1) KR101204283B1 (ko)
CN (1) CN1930090B (ko)
AU (1) AU2005231565B2 (ko)
CA (1) CA2558038C (ko)
GB (1) GB0405505D0 (ko)
NZ (1) NZ549350A (ko)
WO (1) WO2005097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4325A1 (en) * 2009-06-12 2010-12-16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piral mixer for floc conditioning
US8647479B2 (en) 2009-06-12 2014-02-1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tand-alone integrated water treatment system for distributed water supply to small communities
US9909070B2 (en) 2009-09-15 2018-03-06 Suncor Energy Inc. Process for flocculating and dewatering oil sand mature fine tailings
PL2477707T3 (pl) 2009-09-15 2017-10-31 Suncor Energy Inc Sposób osuszania drobnoziarnistych odpadów przeróbczych
AU2009354586A1 (en) 2009-10-30 2012-05-24 Suncor Energy Inc. Depositing and farming methods for drying oil sand mature fine tailings
CA2803904C (en) 2010-07-26 2014-01-28 Sortwell & Co. Method for dispersing and aggregating components of mineral slurries and high-molecular weight multivalent anionic polymers for clay aggregation
US20130220936A1 (en) * 2010-11-10 2013-08-29 Yara International Asa Method to support an emission-free and deposit-free transport of sulphide in sewer systems to waste water treatment plants and agent for use therein
US20150075561A1 (en) * 2011-01-06 2015-03-19 Perigee Solutions International Llc Process for removing polymeric fouling
CN102267795A (zh) * 2011-06-17 2011-12-07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一种污水处理厂脱水污泥干化方法
CA2789678C (en) * 2011-09-16 2015-04-07 Syncrude Canada Ltd. In Trust For The Owners Of The Syncrude Project Oil sands fine tailings flocculation using dynamic mixing
US8721896B2 (en) 2012-01-25 2014-05-13 Sortwell & Co. Method for dispersing and aggregating components of mineral slurries and low molecular weight multivalent polymers for mineral aggregation
AU2013318334B2 (en) * 2012-09-19 2016-06-09 Solenis Technologies Cayman, L.P. Process for filtration enhancement of aqueous dispersions
FR2998563B1 (fr) * 2012-11-28 2014-12-19 Roquette Freres Procede d'epaississement ou de deshydratation de boues
US20140238943A1 (en) * 2013-02-22 2014-08-28 Cedrick Favero Method For Treating Suspensions Of Solid Particles In Water Using Post Hydrolyzed Polymers
CA2812275C (en) 2013-04-10 2019-01-08 Imperial Oil Resource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mine tailings from water-absorbing polymers and regenerating the separated water-absorbing polymers
CA2812273C (en) 2013-04-10 2019-01-08 Imperial Oil Resource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dewatering mine tailings
US10106443B2 (en) * 2013-04-25 2018-10-23 S.P.C.M. Sa Composition for treating suspensions of solid particles in water and method using said composition
US20150034562A1 (en) * 2013-07-31 2015-02-05 S.P.C.M. Sa Method for dewatering suspensions of solid particles in water
AR101419A1 (es) * 2014-08-28 2016-12-1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ciones para tratamiento de agua y métodos de uso
JP2016120464A (ja) * 2014-12-25 2016-07-07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汚泥の脱水方法
CN105903556A (zh) * 2016-04-14 2016-08-31 山东鑫海矿业技术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节能的尾矿干排工艺
WO2018199330A1 (ja) * 2017-04-28 2018-11-0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及びその利用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83225A (en) * 1966-03-24 1970-03-04 Simonac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Treatment of Slurries
JPS55721A (en) * 1978-06-19 1980-01-07 Showa Denko Kk Aqueous dispersion of water-soluble high polymer complex
US4506062A (en) * 1982-08-09 1985-03-19 Allied Colloids Limited Inverse suspension polymerization process
GB8309275D0 (en) 1983-04-06 1983-05-11 Allied Colloids Ltd Dissolution of water soluble polymers in water
GB8401206D0 (en) 1984-01-17 1984-02-22 Allied Colloids Ltd Polymers and aqueous solutions
DE202780T1 (de) * 1985-04-25 1988-01-14 Allied Colloids Group Ltd., Bradford, Yorkshire, Gb Flockungsverfahren.
JPH0641000B2 (ja) 1985-05-08 1994-06-01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汚泥の脱水装置
DE3630666A1 (de) * 1986-09-09 1988-03-17 Nalco Chemical Co Verfahren zur entwaesserung von klaerschlaemmen, insbesondere auf kammerfilterpressen
US5178774A (en) * 1990-06-29 1993-01-12 Allied Colloids Limited Purification of aqueous liquor
US5112500A (en) * 1990-06-29 1992-05-12 Allied Colloids Limited Purification of aqueous liquor
GB9021565D0 (en) * 1990-10-04 1990-11-21 Allied Colloids Ltd Dewatering compositions and processes
US5370800A (en) * 1993-05-25 1994-12-06 Stevenson; Sanford M. Method for removing metal compounds from waste water
JPH06343999A (ja) 1993-06-10 1994-12-20 Kubota Corp 汚泥の脱水方法
JPH06344000A (ja) 1993-06-10 1994-12-20 Kubota Corp 汚泥の脱水方法
GB9402717D0 (en) * 1994-02-11 1994-04-06 Allied Colloids Ltd Solid polymeric products and their use
GB9411444D0 (en) * 1994-06-08 1994-07-27 Cdm Ab Dewatering of suspensions
GB9516254D0 (en) * 1995-08-08 1995-10-11 Allied Colloids Ltd Dewatering of aqueous suspensions
GB9605420D0 (en) * 1996-03-15 1996-05-15 Allied Colloids Ltd Polymeric compositions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US6702946B1 (en) * 1996-10-03 2004-03-09 Cytec Technology Corp. Aqueous dispersions
MY120719A (en) * 1997-01-20 2005-11-30 Ciba Spec Chem Water Treat Ltd Polymeric compositions and their production and uses
MY118538A (en) * 1997-01-20 2004-12-31 Ciba Spec Chem Water Treat Ltd Polymeric compositions and their production and uses
JPH10249398A (ja) 1997-03-14 1998-09-22 Nippon Shokubai Co Ltd 汚泥の脱水方法
US6117938A (en) * 1998-02-06 2000-09-12 Cytec Technology Corp. Polymer blends for dewatering
GB9807047D0 (en) 1998-04-01 1998-06-03 Allied Colloids Ltd Dewatering of organic suspensions
DE19910298A1 (de) 1999-03-09 2000-09-21 Alb Klein Umwelttechnik Gmbh Verfahren sowie Anlage zum Entwässern von Schlamm
GB9916748D0 (en) 1999-07-19 1999-09-15 Ciba Spec Chem Water Treat Ltd Process for the flocculation of suspensions
GB0020862D0 (en) * 2000-08-25 2000-10-11 Ciba Spec Chem Water Treat Ltd Polymeric compositions for dewatering sewage sludges
GB0106233D0 (en) * 2001-03-14 2001-05-02 Ciba Spec Chem Water Treat Ltd Process for flocculating suspensions
US6485651B1 (en) 2001-03-28 2002-11-26 Ondeo Nalco Company Quick inverting liquid flocculant
GB0108548D0 (en) * 2001-04-05 2001-05-23 Ciba Spec Chem Water Treat Ltd Process for flocculating suspensions
GB0109087D0 (en) * 2001-04-11 2001-05-30 Ciba Spec Chem Water Treat Ltd Treatment of suspensions
GB0220714D0 (en) 2002-09-05 2002-10-16 Ciba Spec Chem Water Treat Ltd Dewatering of suspen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30090A (zh) 2007-03-14
US7754087B2 (en) 2010-07-13
CN1930090B (zh) 2010-06-16
GB0405505D0 (en) 2004-04-21
CA2558038C (en) 2013-10-01
AU2005231565A1 (en) 2005-10-20
WO2005097687A1 (en) 2005-10-20
KR101204283B1 (ko) 2012-11-26
CA2558038A1 (en) 2005-10-20
AU2005231565B2 (en) 2010-06-17
NZ549350A (en) 2010-07-30
US20070187333A1 (en) 2007-08-16
EP1723081A1 (en) 200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283B1 (ko) 탈수 방법
KR101196243B1 (ko) 탈수 방법
KR101204285B1 (ko) 수성 현탁액의 탈수방법
KR101198649B1 (ko) 탈수 공정
KR20020014833A (ko) 현탁액을 응집시키기 위한 방법
JP2002526253A (ja) 難脱水性スラッジの脱水方法
JP2002540941A (ja) 浄化、脱水および保持かつ排水を補助する、より高活性な分散ポリマ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