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131A - 자동차 배기계의 파이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배기계의 파이프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131A
KR20070032131A KR1020050087058A KR20050087058A KR20070032131A KR 20070032131 A KR20070032131 A KR 20070032131A KR 1020050087058 A KR1020050087058 A KR 1020050087058A KR 20050087058 A KR20050087058 A KR 20050087058A KR 20070032131 A KR20070032131 A KR 20070032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s
exhaust system
rotatio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7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2131A/ko
Publication of KR20070032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mechanical joints, e.g. by deforming housing, tube, baffle plate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파이프가 상호 연결되어 있을 때 임의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파이프의 회전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자동차 배기계의 파이프 연결구조를 제공할 목적으로;
자동차의 배기계에 적용되는 파이프를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플랜지부에 상호 연결후 파이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방지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가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양 파이프의 플랜지를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갖는 링형 클램프를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배기계의 파이프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고정핀. 플랜지

Description

자동차 배기계의 파이프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Exhaust Pipe For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부위를 나타내기 위하여 머플러에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2개의 파이프가 가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완전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2개의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 A 선 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하여 2개의 파이프 연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6의 B - B 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기계에 적용되는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파이프의 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배기계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의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엔진은 연소실로 공급되는 혼합 기를 연소시켜 이에 생성되는 폭발압력으로 피스톤을 직선 왕복 운동시키며, 이의 직선 왕복운동을 크랭크 기구로서 회전운동으로 전환하여 회전동력을 얻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혼합기의 연소과정에서는 연소가스가 발생되는데, 이의 연소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일련의 장치를 배기계라고 칭하고 있으며, 이의 배기계는 배기매니폴드, 배기 파이프, 촉매 컨버터, 머플러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배기계의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이 관계하는 배기 파이프는 하나의 파이프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배기계를 구성하는 부품과 부품을 상호 연결하는데 적용됨으로써, 여러개의 파이프를 사용하게 된다.
그 일례를 살펴보면, 머플러를 생산하는 업체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머플러(2)를 입구와 출구에 각각 자동차 종합 조립 업체에서 요구하는 일정의 길이의 파이프(4)(6)를 연결하여 하나의 조립체로서 납품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준이 되는 부품의 입,출구 파이프에 또 다른 파이프를 연결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도6 및 7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파이프(100)(102)의 이음부분에 서로 대응하는 플랜지부(104)(106)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104)(106)를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링형 클램프(108)를 체결하는 방법으로 연결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측의 파이프(100)는 단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그 내측에 일정폭을 갖고 외부로 돌출되는 환턱으로 플랜지부(104)를 형성하고, 타측의 파이프(102)는 단부를 상기 환턱의 플랜지부(104)의 일측면에 대응되도록 외측으로 절곡시켜 플랜지부(106)를 형성하여, 서로 맞댄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104)(106) 전체를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110)를 갖는 링형 클램프(108)를 체결함으로써, 2개의 파이프(100)(102)를 연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양 파이프가 파이프 길이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긴밀하게 연결은 할 수 있으나, 파이프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단순히 긴밀하게 연결하고 있는 바,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물론, 클램프를 견고히 체결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용이하게 회전한다는 것은 아니며, 납품을 위한 운송과정에서 다른 물체와 부딪치거나, 운송도중의 진동에 의하여 파이프가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실제로도 이러한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어 실차에 조립시 파이프의 위치를 재조정하면서 조립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는 바,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부품에 연결되어 있는 테일 파이프가 자유단의 상태로 실차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운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파이프와 차체 사이에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발생은 배기 파이프를 모든 부분이 직선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차체의 하부 구조에 따라 많은 절곡부가 있는 바, 파이프의 무게중심이 어느 한 쪽에 편심된 상태이고, 이의 상태에서 진동을 받게 되면 상기와 같이 임의로 회전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가 상호 연결되어 있을 때 임의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파이프의 회전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자동차 배기계의 파이프 연결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기계에 적용되는 파이프를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플랜지부에 상호 연결후 파이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방지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가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양 파이프의 플랜지를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갖는 링형 클램프를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배기계의 파이프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양 파이프의 플랜지에 형성된 요입홈과; 일측 파이프의 축받이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이 타측 파이프의 고정구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가 가조립된 상태의 연결부 사시도로서,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10)(12)의 플랜지(14)(16)에 회전방지수단을 형성하기 위하여 요입홈(18)(20)을 형성하고, 이의 요입홈(18)(20)에 고정핀(22)을 삽입하여 가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고정핀(22)은 일측단이 일측 파이프(10)에 형성된 축받이(24)에 힌 지 고정되고, 타측단은 타측 파이프(12)에 형성된 고정구(26)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가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고정구(26)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핀(22)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측 중앙부에 핀 삽입홈(28)이 형성되고, 그 외측부분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22)의 단부가 걸리면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가조립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플랜지(14)(16) 전체를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30)를 갖는 링형 클램프(32)를 체결하면 양 파이프(10)(12)는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5를 보면서 살펴보면, 일측의 파이프(10)는 단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그 내측에 일정폭을 갖고 외부로 돌출되는 환턱으로 플랜지부(14)를 형성하고, 타측의 파이프(12)는 단부를 상기 환턱의 플랜지부(14)의 일측면에 대응되도록 외측으로 절곡시켜 플랜지부(16)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14)(16)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22)을 고정구에 걸어 고정시킨 후에 상기 플랜지부(14)(16) 전체를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30)를 갖는 링형 클램프(32)를 체결함으로써, 2개의 파이프(10)(12)를 견고하게 연결한 것이다.
도면에서는 고정핀(22)을 1개 형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핀(22)을 수용하기 위하여 링형 클램프(32)의 지지부재(30)는 상기 고정핀(22)의 위치를 고려하여 장홈(3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10)(12)를 연결하게 되면, 길이방향에 대한 연결은 플랜지 지지부재(30)를 갖는 링형 클램프(32)에 의하여 긴밀하게 이루어지며, 플랜지(14)(16)의 요입부(18)(20)에 고정핀(22)이 삽입되어 있는 바, 파이프의 회전은 근본적으로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가 상호 연결되어 있을 때 임의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파이프의 회전을 근본적으로 해결함으로써, 납품을 위한 운송과정에서 다른 물체와 부딪치거나, 운송도중의 진동에 의하여 파이프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실차에 조립시 파이프의 위치를 재조정하는 수고를 줄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또한, 실차의 적용시에도 회전이 근본적으로 방지되는 바, 테일 파이프등에 적용하였던 브라켓을 배제함으로써, 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자동차의 배기계에 적용되는 파이프를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플랜지부에 상호 연결후 파이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방지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가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양 파이프의 플랜지를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갖는 링형 클램프를 체결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계의 파이프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양 파이프의 플랜지에 형성된 요입홈과; 일측 파이프의 축받이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이 타측 파이프의 고정구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계의 파이프 연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고정구는 차체 탄성을 갖는 판상의 부재를 절곡시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계의 파이프 연결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파이프의 플랜지를 지지하는 링형 클램프의 지지부재는 고정핀과 대응하는 장홈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계의 파이프 연결구조.
KR1020050087058A 2005-09-16 2005-09-16 자동차 배기계의 파이프 연결구조 KR20070032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058A KR20070032131A (ko) 2005-09-16 2005-09-16 자동차 배기계의 파이프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058A KR20070032131A (ko) 2005-09-16 2005-09-16 자동차 배기계의 파이프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131A true KR20070032131A (ko) 2007-03-21

Family

ID=4365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058A KR20070032131A (ko) 2005-09-16 2005-09-16 자동차 배기계의 파이프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21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6400B2 (en) System for pre-positioning a hose clamp on a hose end
US6435565B2 (en) Clamp for closely spaced pipes
CN111561398B (zh) 耦联装置、排气阀预装配组件、排气阀
US6042154A (en) Arrangement for joining tubular duct sections
CN203823287U (zh) 用于内燃机的排气管道系统的夹元件和夹组件以及用于内燃机的排气管道
JP2020507720A (ja) エキゾーストクランプおよび方法
KR19980070364A (ko) 플렉시블 커넥터 시스템
JP2015117590A (ja) エンジンの排気系部品取付構造、及びエンジンの排気系部品取付方法
US20220307633A1 (en) Quick coupler
US5775100A (en) Dual inlet muffler connection
KR20070032131A (ko) 자동차 배기계의 파이프 연결구조
US8585101B2 (en) Flange connection
JP6776336B2 (ja) クランプを含むコンポーネントアセンブリ及び車両
US11384678B2 (en) Heat insulating cover for exhaust device
JP6156989B2 (ja) 内燃機関の配管装置
US20100011755A1 (en) Collecting part structure of exhaust manifold
US20160010586A1 (en) Fixing Anchor
CN106437979B (zh) 通过服务接头安装后处理系统
CN101684875A (zh) 连接组件及其组装方法以及包含该连接组件的移动机械
JP4065270B2 (ja) スロットルボディの締結構造
JP4236732B2 (ja) 吸気系消音器の取付構造
US20200392879A1 (en) Component for an exhaust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23111362A (ja) ブラケット
KR101159891B1 (ko) 차량 배관용 조인트 플랜지 및 그 제조방법
JP2024067834A (ja) パイプクランプを用いたパイプの取り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