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800A -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리모트컨트롤러 및 동작 방법,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및동작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리모트컨트롤러 및 동작 방법,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및동작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800A
KR20070031800A KR1020060088919A KR20060088919A KR20070031800A KR 20070031800 A KR20070031800 A KR 20070031800A KR 1020060088919 A KR1020060088919 A KR 1020060088919A KR 20060088919 A KR20060088919 A KR 20060088919A KR 20070031800 A KR20070031800 A KR 20070031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vision receivers
remote control
television receiver
state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지로 콘도
야스시 타테히라
이치로 카타기리
츠요시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088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1800A/ko
Publication of KR20070031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5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by lamps or LE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1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accounts, e.g. accounts for childr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용이하게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리모트컨트롤러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리모트컨트롤러(2)의 기능 버튼(22)이 조작되면, 대응하는 커맨드가, 도시하지 않은 발광부가 발광함에 의해 송신된다.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의 수광부(12)는, 수광함에 의해 커맨드를 수신하고, 대응하는 동작 상태로 천이한다.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의 발광부(13)가, 발광함에 의해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커맨드를 발광한다. 리모트컨트롤러(2)는, 발광부(13)가 발광함에 의해 송신하여 오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커맨드를 수광하면, 동작 상태에 응하여, 선택 버튼(21)의 기능을 전환한다. 본 발명은,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의 리모트컨트롤러에 적용할 수 있다.
리모콘, 리모트컨트롤러, TV

Description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 리모트컨트롤러 및 동작 방법,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및 동작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MULTI-SCREEN TELEVISION RECEIVER ROMOTE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LER AND OPERATION METHOD, MULTI-SCREEN TELEVISION RECEIVER AND OPERATION METHOD, RECORDING MEDIA, AND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의 하드웨어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하드웨어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의 리모트컨트롤러의 하드웨어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3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4의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리모트컨트롤러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8은 커맨드 생성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9는 동작 상태의 상태 천이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리모트컨트롤러(2)로부터 송신되는 커맨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텔레비전 수상기에 의한 표시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12는 기본 상태 커맨드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13은 기본 상태 커맨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확대 표시 상태 커맨드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15는 스트로보 표시 상태 커맨드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16은 메뉴 표시 상태 커맨드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17은 메뉴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메뉴 표시 상태에서의 리모트컨트롤러의 선택 버튼의 기능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메뉴 표시 상태에서의 리모트컨트롤러의 선택 버튼의 기능의 그 밖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메뉴 표시 상태에서의 리모트컨트롤러의 선택 버튼의 기능의 또한 그 밖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커맨드 송신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22는 리모트컨트롤러의 선택 버튼에 마련된 LED의 발광색을 동작 상태에 응하여 변화시키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도 23의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에서의 리모트컨트롤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기록 매체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2 : 리모트컨트롤러
11 : 텔레비전 수상기 12 : 수광부
13 : 발광부 21, 21-1 내지 21-9 : 선택 버튼
22, 22-1 내지 22-5 : 기능 버튼 23 : 홈 버튼
81 : 수신 커맨드 인식부 102 : 판정부
103 : 생성부 105 : 수신 제어부
106 : 기억부 107 : 점등 제어부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 리모트컨트롤러 및 동작 방법,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및 동작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리모트컨트롤러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리모트컨트롤 시스템, 리모트컨트롤러 및 동작 방법,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및 동작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구성되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가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한 멀티 화면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수상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 일본 실개평5-63163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에서는,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대해,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는 있어도,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화상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경우, 표시 위치를 변경시키거나, 채널을 변경시킬 때, 새롭게 다른 기능을 갖는 버튼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때문에, 다화면 텔레비젼의 표시 기능을 다기능으로 하면, 기능의 수만큼 버튼이 증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유저에게 있어서 리모트컨트롤러상에서의 조작을 번잡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다기능으로 한 경우에도, 조작 버튼을 단순하게 늘리는 일 없이 리모트컨트롤러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의 측면의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은,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와, 상기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으로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수단의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생성하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수단과, 상기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자기(自己)의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 및,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측면의 리모트컨트롤러는,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로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수단의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생성하는 리모트컨 트롤 커맨드 생성 수단과, 상기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기억하는 상태 기억 수단을 또한 포함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텔레비전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또한 포함시키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상태 기억 수단에는,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전 커맨드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기억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에 의거하여, 발광하는 발광 수단을 또한 포함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수단에는, 적어도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수단의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어느 하나를 액티브 상태로 하여 음성 출력시키는 커맨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 중, 상기 액티브 상태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상을 확대하여,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확대 표시시키는 커맨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 중, 상기 액티브 상태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상을 소정의 시간 지연시켜서, 순차로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스트로보 표시시키는 커맨드, 또는, 메뉴 화면을 표시시켜서, 설정 조작을 실행시키는 커맨드를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로서 생성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수단은, 감압 센서에 의해 구성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커맨드 생성 수단에는,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수단을 구성하는 감압 센서 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커맨드를 생성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측면의 리모트컨트롤러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텝과, 상기 판정 스텝의 처리에서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스텝의 처리에서의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생성하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스텝과, 상기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측면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텝과, 상기 판정 스텝의 처리에서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스텝의 처리에서의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생성하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스텝과, 상기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측면의 프로그램은,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텝과, 상기 판정 스텝의 처리에서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스텝의 처리에서의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생성하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스텝과, 상기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제 3의 측면의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는,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로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자기의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 및,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포함한다.
리모트 컨트롤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또한 포함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자기의 상태를, 텔레비전 커맨드로서 리모트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또한 포함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행 수단에는, 적어도 상기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 및,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자신을 액티브 상태로 하여 음성 출력시키는, 상기 액티브 상태로 지정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상을 확대하여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서 확대 표시시키는, 상기 액티브 상태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상을 소정의 시간 지연시켜서 순차로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스트로보 표시시키는, 또는 메뉴 화면을 표시시켜서 설정 조작을 실행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의 측면의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자기의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 스텝과,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 및,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의 측면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자기의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 스텝과,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 및,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스텝을 포함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의 측면의 프로그램은,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자기의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 스텝과,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 및,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제 1의 측면에서는,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복수의 텔 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가 판정되고, 유저의 조작이 받아들여지고, 판정 결과, 및,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리모트컨트롤 커맨드가 생성되고, 생성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가 송신되고, 상기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에 의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가 수신되고,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자기의 상태가 인식되고,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인식 결과, 및, 수신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가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제 2의 측면에서는,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로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가 판정되고, 유저의 조작이 받아들여지고, 판정 결과, 및,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리모트컨트롤 커맨드가 생성되고, 생성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가 송신된다.
본 발명의 제 3의 측면에서는,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로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자기의 상태가 인식되고,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인식 결과, 및,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가 실행된다.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및 리모트컨트롤러는, 독립한 장치라도 좋고,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및 리모트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리모트컨트롤 시스템에서서 처리를 행하는 블록이라도 좋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구성 요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의 형태와의 대응 관계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이 기재는, 본 발명을 지지하는 실시의 형태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중에는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실시의 형태로서, 여기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실시의 형태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것은, 그 실시의 형태가, 그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이 아닌 것을 의미한 것이 아니다. 역으로, 실시의 형태가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되어 있다고 하여도, 그것은, 그 실시의 형태가, 그 구성 요건 이외의 구성 요건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인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제 1의 측면의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은,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와, 상기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으로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예를 들면, 도 6의 수신 제어부(105))과,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단(예를 들면, 도 6의 입력 제어부(101))과,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수단의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생성하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수단(예를 들면, 도 6의 생성부(103))과, 상기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예를 들면, 도 6의 송신 제어부(104))을 포함하고, 상기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예를 들면, 도 4의 수신 처리부(68))과,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자기의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예를 들면, 도 5의 수신 커맨드 인식부(81))과,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 및,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수단(예를 들면, 도 5의 화상 변환부(85), 음성 생성부(87), 또는 메뉴 화면 생성부(9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측면의 리모트컨트롤러는,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로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예를 들면, 도 6의 판정부(102))과,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단(예를 들면, 도 6의 입력 제어부(101))과,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수단의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생성하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수단(예를 들면, 도 6의 생성부(103))과, 상기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예를 들면, 도 6의 송신 제어부(104))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기억하는 상태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6의 기억부(106))을 또한 포함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텔레비전 커맨드를 수신 하는 수신 수단(예를 들면, 도 4의 수신 처리부(68))을 또한 포함시키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상태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6의 수신 처리부(106))에는,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전 커맨드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기억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에 의거하여, 발광하는 발광 수단(예를 들면, 도 4의 LED(69))을 또한 포함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수단에는, 적어도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수단의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어느 하나를 액티브 상태로 하여 음성 출력시키는 커맨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 중, 상기 액티브 상태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상을 확대하여,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확대 표시시키는 커맨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 중, 상기 액티브 상태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상을 소정의 시간 지연시켜서, 순차로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스트로보 표시시키는 커맨드, 또는, 메뉴 화면을 표시시켜서, 설정 조작을 실행시키는 커맨드를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로서 생성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수단은, 감압 센서에 의해 구성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커맨드 생성 수단에는,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수단을 구성하는 감압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커맨드를 생성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측면의 리모트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은,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리모트컨트 롤러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예를 들면, 도 7의 순서도에서의 스텝 S3의 처리)과,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텝(예를 들면, 도 7의 순서도에서의 스텝 S1의 처리)과, 상기 판정 스텝의 처리에서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스텝의 처리에서의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생성하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스텝(예를 들면, 도 7의 순서도에서의 스텝 S4의 처리)과, 상기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예를 들면, 도 7의 순서도에서의 스텝 S5의 처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의 측면의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는,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로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자기의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예를 들면, 도 5의 수신 커맨드 인식부(81))과,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 및,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수단(예를 들면, 도 5의 화상 변환부(85), 음성 생성부(87), 또는 메뉴 화면 생성부(90))을 포함한다.
리모트 컨트롤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수신 처리부(31))을 또한 포함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자기의 상태를, 텔레비전 커맨드로서 리모트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예를 들면, 도 5의 송신 커맨드 생성부(93))을 또한 포함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행 수단에는, 적어도 상기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 및,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자신을 액티브 상태로 하여 음성 출력시키는, 상기 액티브 상태로 지정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상을 확대하여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확대 표시시키는, 상기 액티브 상태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상을 소정의 시간 지연시켜서 순차로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스트로보 표시시키는, 또는 메뉴 화면을 표시시켜서 설정 조작을 실행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의 측면의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은,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자기의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 스텝(예를 들면, 도 12의 순서도에서의 스텝 S61의 처리)과,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 및,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스텝(예를 들면, 도 12의 순서도에서의 스텝 S63, S65의 처리)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와 리모트컨트롤러(2)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란,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로 구성되는 텔레비전 수상기이고, 리모트컨트롤러(2)로부터의 커맨드에 의거하여,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에 의해 각각 다른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로 하나의 확대 화면으로서 방송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또는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에 의해, 동일한 방송프로그램을 소정의 타이밍으로 지연하면서 스트로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에 대해, 각각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지 텔레비전 수상기(11)라고 칭하기로 하고,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칭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서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는, 수평 방향으로 3개, 수직 방향으로 3개의 합계 9개의 텔레비전 수상기(11)로 구성되는 예에 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하지만, 텔레비전 수상기(11)의 개수는 그 니외의 개수라도 좋다. 또한,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11)의 배치 방법에 관해서도, 3개×3개 이외의 배치 방법이라도 좋다.
텔레비전 수상기(11)는, 개별적으로 튜너를 구비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독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는, 리모트컨트롤러(2)로부터 발하여지는 커맨드가 광신호로 변환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는, 리모트컨트롤러(2)에 대해, 각 텔레비전 수상기(11)에 의해 생성되는, 자신의 상태에 대응한 커맨드를 소정의 광신호로서 발광한다.
리모트컨트롤러(2)는, 텔레비전 수상기(11)의 위치에 대응하여, 감압 센서로 이루어지는 9개의 선택 버튼(21-1 내지 21-9)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리모트컨트롤러(2)에는, 상술한 확대 표시나 스트로보 표시라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에 대한 기능을 전환하기 위한 5개의 기능 버튼(22-1 내지 22-5)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 기능 중, 특히 기본 상태를 선택하는 홈 버튼(23)이 마련되어 있다. 기능으로 서는, 기본 상태, 확대 표시 상태, 스트로보 표시 상태, 및 메뉴 표시 상태가 있고, 여기서는, 기능 버튼(22-1)이 눌려짐에 의해 확대 표시 상태의 기능으로 전환되고, 기능 버튼(22-2)이 눌려짐에 의해 스트로보 표시 상태의 기능으로 전환되고, 기능 버튼(22-3)이 눌려짐에 의해 메뉴 표시 상태의 기능으로 전환되고, 홈 버튼(23)이 눌려짐에 의해 기본 상태의 기능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고 가지만, 그 밖의 기능 버튼(22)에 의해 동작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 밖의 기능을, 지금 현재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기능 버튼(22-4, 22-5)에 할당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기본 상태란,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가, 모두 다른 채널을 표시하고 있고, 선택 버튼(21)에 의해 액티브 상태가 된 텔레비전 수상기(11)에 설정된 채널의 음성만이 출력되는 상태이다.
확대 표시 상태란,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의 어느 하나가 액티브 상태로 설정된 화상을,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의 전체에서 1장의 디스플레이로서 표시하는 상태이다.
스트로보 표시 상태란,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가,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의 어느 하나가 액티브 상태로 설정된 화상을, 소정의 지연 시간만큼 지연시키면서, 순차로 표시하는 상태이다.
메뉴 표시 상태란, 예를 들면, 각 텔레비전 수상기(11)가 표시한 채널을 설정하거나, 음질, 화질 등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이다.
또한, 리모트컨트롤러(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에 대해 커맨드를 광신호로서 발하기 위한 발광부(66)(도 4), 및, 다화면 텔 레비전 수상기(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커맨드를 수광하는 수광부(67)(도 4)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의 하드웨어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의 수신 처리부(31)는, 수광부(12)로부터 수광한 리모트컨트롤러(2)에 의해 발광된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커맨드로서 각 텔레비전 수상기(11)에 공급한다. 따라서, 리모트컨트롤러(2)로부터의 커맨드는, 모든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에 공급된다.
송신 처리부(32)는,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의 각각으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커맨드를 발광 신호로 변환하고, 발광부(13)를 발광시킨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텔레비전 수상기(11)의 하드웨어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제어부(41)는, 이른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고, 텔레비전 수상기(11)의 동작의 전체를 제어하고 있고, 수신 처리부(3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커맨드에 의거하여, 튜너(42), 화상 처리부(43), 및 음성 처리부(46)를 제어한다. 튜너(42)는, 제어부(41)에 의해 제어되고,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방송국으로부터의 방송 신호를 소정의 방식으로 복조하고, 화상 신호를 화상 처리부(43)에, 음성 신호를 음성 처리부(46)에 각각 공급한다.
화상 처리부(43)는, 제어부(41)에 의해 제어되고, 필요에 응하여 메모리(44)를 적절히 사용하면서, 튜너(42)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 신호를 디스플레이(45) 에서 표시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시킨다. 음성 처리부(46)는, 제어부(41)에 의해 제어되고, 튜너(42)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음성 신호를, 예를 들면, DA 변환(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하여 스피커(47)로부터 음성으로서 출력시킨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리모트컨트롤러(2)의 하드웨어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제어부(61)는, 이른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고, 리모트컨트롤러(2)의 동작의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부(61)는, 수신 처리부(68)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텔레비전 수상기(1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신호와, 감압 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조작부(62)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조작 내용에 응한 조작 신호에 의해 AD(Analog/Digital) 변환부(63)를 통하여 공급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텔레비전 수상기(11)로의 지령을 커맨드 생성부(64)에 공급한다.
커맨드 생성부(64)는, 제어부(61)로부터 공급되는 지령에 의거하여,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의 텔레비전 수상기(11)에 의해 인식 가능한 커맨드를 생성하고, 송신 처리부(65)에 공급한다. 송신 처리부(65)는, 커맨드 생성부(64)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커맨드를 발광 신호로 변환하고, 발광부(13)를 발광시킨다.
수신 처리부(68)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의 발광부(13)에 의해 발광된 광신호가 수광부(67)에 의해 수광된 경우, 수광부(67)에 의해 광신호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에 의거하여, 커맨드를 복원하고, 제어부(61)에 공급한다. LED(Light Emission Diode)(69)는, 각 선택 버튼(21)에 내장되어 있고, 제어부(61)에 의해 제어되고, 텔레비전 수상기(11)의 동작 상태에 의거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선택 버 튼(21)를 발광시킨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도 3의 텔레비전 수상기(1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리모트컨트롤러(2)로부터 송신되어 온 커맨드를 인식하고, 튜너 제어부(82), 화상 변환부(85), 음성 생성부(87), 좌표 인식부(89), 및 상태 인식부(93)를 제어한다.
튜너 제어부(82)는, 제어부(81)로부터 공급되는 채널 선택 신호에 의거하여, 튜너(83)를 제어하고, 소정의 채널로 제어하여,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에 의해 방송 신호를 수신시키고, 방송 신호를 화상 생성부(84) 및 음성 생성부(87)에 공급한다. 화상 생성부(84)는, 튜너(83)로부터 공급된 방송 신호로부터 디스플레이로 표시 가능한 화상 신호를 생성하여 화상 변환부(85)에 공급한다. 화상 변환부(85)는, 화상 생성부(84)로부터 공급된 화상 신호를, 디스플레이(45)에 그대로 표시할 뿐만 아니라,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지령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45)에 소정의 배율로 확대하여 확대 표시하거나, 또는, 출력 타이밍 제어부(86)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거하여, 소정 시간만큼 지연시켜서 스트로보 표시시킨다.
음성 생성부(87)는, 튜너(83)로부터 공급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음성 출력 제어부(88)에 공급한다. 음성 출력 제어부(88)는, 음성 신호를 예를 들면 소정의 배율로 증폭하여, 스피커(47)로부터 음성으로서 출력시킨다.
좌표 인식부(89)는,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커맨드의 정보에 의거하여, 커서의 좌표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한 좌표 정보를 메뉴 화면 생성부(90)에 공급한다. 메뉴 화면 생성부(90)는, 좌표 인식부(89)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좌표 정보에 의거하여, 메뉴 화면 메모리(91)에 기억되어 있는 메뉴 화면의 정보를 판독하여, 디스플레이(45)에 표시시킨다.
상태 인식부(92)는, 수신 커맨드 인식부(81)가 각 구성에 대해 공급한 지령 내용에 응하여 텔레비전 수상기(11)의 상태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송신 커맨드 생성부(93)에 공급한다. 송신 커맨드 생성부(93)는, 리모트컨트롤러(2)에 대해 공급하는 텔레비전 수상기(1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커맨드를 생성한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도 4의 리모트컨트롤러(2)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입력 제어부(101)는, 감압 센서로 이루어지는 조작부(62)의 검지 결과에 의거한 AD 변환부(63)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리모트컨트롤러(2)의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내용을 인식하고, 판정부(102)에 공급한다. 판정부(102)는, 기억부(106)에 기억되어 있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의 각 텔레비전 수상기(11)의 동작 상태의 정보에 의거하여, 조작 내용을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생성부(103)에 공급한다. 생성부(103)는, 판정부(102)로부터 공급된 조작 내용인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의 각 텔레비전 수상기(11)에 대한 커맨드를 생성하고, 송신 제어부(104)에 공급한다. 송신 제어부(104)는, 생성부(103)에 의해 생성된 커맨드에 의거하여, 발광부(66)를 제어하여 커맨드를 발광 신호에 의해 텔레비전 수상기(11)에 대해 송신시킨다.
수신 제어부(105)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의 발광부(13)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커맨드의 발광 신호를 수광하고, 수광 결과에 대응하는 커맨드에 의해 텔레비전 수상기(11)의 동작 상태를 인식하고, 인식한 동작 상태를 기억부(106)에 기억시킨다. 동작 상태란, 상술한 기본 상태, 확대 표시 상태, 스트로보 표시 상태, 및 메뉴 표시 상태의 어느 하나이다. 점등 제어부(107)는, 기억부(106)에 기억되어 있는 각 텔레비전 수상기(11)의 동작 상태의 정보에 의거하여, LED(69)를 발광시킨다.
다음에, 도 7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리모트컨트롤러 제어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1에서, 판정부(102)는, 입력 제어부(101)로부터 공급되는, 감압 센서로 이루어지는 조작부(62)로부터의 신호가 AD 변환부(63)에 의해 AD 변환된 신호에 의거하여, 유저의 조작 상태를 인식한다. 즉, 입력 제어부(101)는, 리모트컨트롤러(2)에 마련된, 감압 센서로 이루어지는 조작부(62)의 선택 버튼(21), 기능 버튼(22), 및 홈 버튼(23)의 버튼의 가압 상태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판정부(102)에 공급한다. 판정부(102)는, 인식 결과에 의거하여, 유저에 의한 선택 버튼(21), 기능 버튼(22), 및 홈 버튼(23)의 조작 상태를 인식한다.
스텝 S2에서, 판정부(102)는, 입력 제어부(101)에 의해 인식되는 조작부(62)의 조작 상태에 의거하여, 커맨드의 송신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 즉, 실제로, 선택 버튼(21), 기능 버튼(22), 및 홈 버튼(23)의 버튼이 가압되어, 유저의 조작에 의해, 어느 하나의 버튼 조작에 의한 커맨드의 송신이 지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에서, 어느 하나의 커맨드의 송신이 지시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3에서, 판정부(102)는, 기억부(106)에 기억되어 있는, 액티브 상태의 텔레비젼 수상기(11)의 동작 상태, 즉, 기본 상태, 확대 표시 상태, 스트로보 표시 상태, 및 메뉴 표시 상태의 어느것인지를 인식하다. 또한,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에서는,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11)는, 각각 다른 채널의 화상을 표시하는 기본 상태가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로부터의 정보가 없는 경우, 기억부(106)에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의 텔레비전 수상기(11-1)가 액티브 상태이고, 동작 상태로서 기본 상태가 기억되어 있다.
스텝 S4에서, 커맨드 생성 처리가 실행되고,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로의 커맨드가 생성된다.
여기서, 도 8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커맨드 생성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21에서, 판정부(102)는, 입력 제어부(101)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동작 상태를 변경시키는 커맨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동작 상태는, 예를 들면,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변경된다. 또한, 도 9에서는, 동작 상태로서, 기본 상태(151), 확대 표시 상태(152), 스트로보 표시 상태(153), 및 메뉴 표시 상태(154)가 나타나 있고, 각각의 상태 천이(131 내지 143)에 의해 동작 상태의 천이 방향이 나타나 있다.
동작 상태는, 디폴트에서는, 도면중의 중앙에서 도시되는 기본 상태(151)이고,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가 각각 다른 채널을 표시하고 있고, 디폴트 에서 액티브 상태로 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11-1)의 음성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기본 상태(151)로부터, 예를 들면, 확대 표시 상태(152)로 천이시키는 경우, 선택 버튼(21-1 내지 21-9)의 어느 하나와 함께, 기능 버튼(22-1)이 동시에 압하되든지, 또는, 기능 버튼(22-1)만이 압하되면, 상태 천이(135)에 의해, 압하된 선택 버튼(21)에 대응하는 채널, 또는, 액티브 상태의 텔레비전 수상기(11)의 채널이,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의 전부에 의해 확대하여 표시된다. 도 9의 기본 상태(151)에서는, 선택 버튼(21-1)과 기능 버튼(22-1)이 동시에 압하된 경우가 나타나 있다.
또한, 기본 상태(151) 이외의 스트로보 표시 상태(153) 또는 메뉴 화면 표시 상태(154)로부터, 확대 표시 상태(152)로 천이시키는 경우, 기능 버튼(22-1)만이 압하됨에 의해 동작 상태가 스트로보 표시 상태(153)로부터는 상태 천이(136)에 의해, 또한, 메뉴 표시 상태(154)로부터는 상태 천이(134)에 의해 천이하는데, 이 경우, 채널은, 그때까지 선택되어 있는, 즉, 액티브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11)의 채널로 된다.
또한, 기본 상태(151)로부터 스트로보 표시 상태(153)로 이행시키는 경우, 선택 버튼(21-1 내지 21-9)의 어느 하나와 함께, 기능 버튼(22-2)이 동시에 압하되면, 상태 천이(138)에 의해, 압하된 선택 버튼(21)에 대응하는 채널이,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의 전부에 의해 소정 시간만큼 지연되어 순차로 표시된다. 도 9의 스트로보 표시 상태(153)에서는, 선택 버튼(21-1)과 기능 버튼(22-2)이 동 시에 압하된 경우가 나타나 있다.
또한, 기본 상태(151) 이외의 확대 표시 상태(152) 또는 메뉴 화면 표시 상태(154)에서, 스트로보 표시 상태(153)로 천이시키는 경우, 단지, 기능 버튼(22-2)이 압하됨에 의해 동작 상태가 확대 표시 상태(152)로부터는 상태 천이(139)에 의해, 또한, 메뉴 표시 상태(154)로부터는 상태 천이(137)에 의해 천이하는데, 이 경우, 채널은, 그때까지 선택되어 있는, 즉, 액티브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11)의 채널로 된다.
또한, 기본 상태(151)로부터 메뉴 표시 상태(154)로 이행시키는 경우, 선택 버튼(21-1 내지 21-9)의 어느 하나와 함께, 기능 버튼(22-3)이 동시에 압하되면, 상태 천이(141)에 의해, 압하된 선택 버튼(21)에 대응하는 텔레비전 수상기(11)의 메뉴 화면이,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의 디스플레이(45)의 전부에 의해 표시된다. 도 9에서는, 선택 버튼(21-1)과 기능 버튼(22-3)이 동시에 압하된 경우가 나타나 있다.
또한, 기본 상태(151) 이외의 확대 표시 상태(152) 또는 스트로보 표시 상태(153)에서, 메뉴 표시 상태(154)로 이행시키는 경우, 단지, 기능 버튼(22-3)이 압하됨에 의해 동작 상태가 확대 표시 상태(152)로부터는 상태 천이(140)에 의해, 또한, 스트로보 표시 상태(153)로부터는 상태 천이(142)에 의해 천이하는데, 이 경우, 메뉴 화면은, 그때까지 선택되어 있는, 즉, 액티브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11)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된다.
또한, 확대 표시 상태(152), 스트로보 표시 상태(153), 및 메뉴 표시 상 태(154)로부터 기본 상태(151)로 이행시키는 경우, 선택 버튼(21-1 내지 21-9)의 어느 하나와 함께, 홈 버튼(23)이 동시에 압하되던지, 또는, 홈 버튼(23)만이 압하되면, 상태 천이(131 내지 133)에 의해, 압하된 선택 버튼(21)에 대응하는 텔레비전 수상기(11)의 채널이나, 또는, 그때까지 액티브 상태의 텔레비전 수상기(11)의 채널만의 음성이 출력된다.
또한, 기본 상태(151)에서, 액티브 상태가 아닌 텔레비전 수상기(11)에 대응하는 선택 버튼(21-1 내지 21-9)의 어느 하나만이 압하되면, 상태 천이(143)에 의해, 재차 기본 상태(151)로 되돌아오고, 그 때, 새로운 텔레비전 수상기(11)가 액티브 상태로 된다.
따라서 스텝 S21에서는, 어는 하나의 기능 버튼(22) 또는 홈 버튼(23)만이 압하되던지, 또는, 어는 하나의 선택 버튼(21) 및 기능 버튼(22)이 동시에 압하된 때, 동작 상태를 천이시키는 커맨드가 지시되었다고 판정하고, 판정부(102)는, 동작 상태를 천이시키는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생성부(103)에 지령한다.
스텝 S22에서, 생성부(103)는, 지령을 받은 상태 천이시키는 커맨드를 생성하고, 송신 제어부(104)에 공급한다.
스텝 S21에서, 동작 상태를 천이시키는 커맨드가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3에서, 판정부(102)는, 현재의 동작 상태가 기본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3에서, 현재의 동작 상태가 기본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 즉, 지금 현재의 상태가 기본 상태이고, 선택 버튼(21-1 내지 21-9)의 어느 하나만이 압하되었 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4에서, 판정부(102)는, 선택 버튼(21-1 내지 21-9)의 어느 하나가 선택된 텔레비전 수상기(11)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액티브 상태의 텔레비전 수상기(11)만의 음성을 출력시키는 커맨드를 생성부(103)에 생성시킨다. 이때, 생성부(103)는, 선택 버튼(21)에 의해 선택된 텔레비전 수상기(11)를 액티브 상태로 하여, 음성을 출력시키는 커맨드를 생성하고, 송신 제어부(104)에 공급한다.
스텝 S23에서, 기본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5에서, 판정부(102)는, 현재의 동작 상태가 확대 표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5에서, 현재의 동작 상태가 확대 표시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 즉, 지금 현재의 상태가 확대 표시 상태이고, 선택 버튼(21-1 내지 21-9)의 어느 하나만이 압하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6에서, 판정부(102)는, 선택 버튼(21-1 내지 21-9)의 어느 하나가 선택된 텔레비전 수상기(11)에서 표시되어 있는 확대 화상을,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의 전체로 확대해 표시하는 커맨드를 생성부(103)에 생성시킨다. 이때, 생성부(103)는, 선택 버튼(21-1 내지 21-9)의 어느 하나가 선택된 텔레비전 수상기(11)에서 표시되고 있는 확대 화상을,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의 전체에서 또한 확대하여 표시하는 커맨드를 생성하고, 송신 제어부(104)에 공급한다.
스텝 S25에서, 확대 표시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7에서, 판정부(102)는, 현재의 동작 상태가 스트로보 표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7에서, 현재의 동작 상태가 스트로보 표시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 즉, 지금 현재의 상태가 스트로보 표시 상태이고, 선택 버튼(21-1 내지 21-9)의 어느 하나만이 압하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8에서, 판정부(102)는, 선택 버튼(21-1 내지 21-9)에 대응하여 지연 시간을 변경하여 스트로보 표시시키는 커맨드를 생성부(103)에 생성시킨다. 이때, 생성부(103)는, 선택 버튼(21-1 내지 21-9)에 대응하여, 지연 시간을 변경하여, 스트로보 표시되도록 하는 커맨드를 생성하고, 송신 제어부(104)에 공급한다.
즉, 스트로보 표시 화상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11-1)가 최초에 소정의 채널의 정지화를 표시하면,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한 타이밍에서, 텔레비전 수상기(11-2)가, 소정의 채널에서의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한 타이밍의 정지화를 표시하고, 텔레비전 수상기(11-3)가, 또한 소정의 채널에서의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한 타이밍의 정지화를 표시한다는 표시를, 텔레비전 수상기(11-4 내지 11-9)에 대해 순차로 실행하고, 텔레비전 수상기(11-9)에서, 소정의 채널의 정지화가 표시된 후, 또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재차 텔레비전 수상기(11-1)에서, 그 타이밍에서의 정지화를 표시한다는 처리를 반복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선택 버튼(21-1)이 조작된 때는, 다음의 정지화가 표시되기까지의 소정의 시간을 1초로 하고, 선택 버튼(21-2)이 조작된 때는, 다음의 정지화가 표시되기까지의 소정의 시간을 2초로 하고, 선택 버튼(21-3)이 조작된 때는, 다음의 정지화가 표시되기까지의 소정의 시간을 3초로 한다는 것처럼, 선택 버튼에 응하여, 스트로보 표시의 간격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스트로보 표시 상태에서의 표시 타이밍을 변경시킨다.
스텝 S27에서, 스트로보 표시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즉, 기본 상태에서도, 확대 표시 상태도, 스트로보 표시 상태도 아니기 때문에, 현재의 동작 상태가 메뉴 표시 상태라고 판정되게 되고, 그 처리는, 스텝 S29로 진행한다.
스텝 S29에서, 판정부(102)는, 선택 버튼(21-1 내지 21-9)에 대응하여 메뉴 화면 내의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맨드를 생성부(103)에 생성시킨다. 이때, 생성부(103)는, 선택 버튼(21-1 내지 21-9)에 대응하여, 메뉴 화면 내의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커맨드를 생성하고, 송신 제어부(104)에 공급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선택 버튼(21-1 내지 21-9)에 의한 동작 상태에 응하여, 전환한다는 조작을 하는 일 없이, 동일한 선택 버튼(21-1 내지 21-9)을 조작할 뿐으로, 동작 상태에 응하여, 다른 커맨드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결과로서, 동작 상태에 응한 조작마다 조작 버튼을 늘린다는 것을 하는 일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복수의 기능을 구비한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용이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도 7의 순서도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스텝 S5에서, 송신 제어부(104)는, 스텝 S4의 처리에서 생성한 커맨드를 발광부(66)를 발광시켜서,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에 송신한다. 리모트컨트롤러(2)로부터 송신되는 커맨드는, 후술하는 텔레비전 수상기(1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커맨드와 같은 구성이고, 예를 들면, 도 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두 비트로부터 스타트 비트(181), 식별 코드(182), 및 커맨드 코드(183)로 구성되어 있다. 스타트 비트(181)는 데이터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고, 식별 코드(182)는 리 모트컨트롤러(2) 또는 텔레비전 수상기(11)를 식별하는 코드이다. 또한, 커맨드 코드(183)는, 리모트컨트롤러(2)로부터 송신되는 커맨드인 경우, 텔레비전 수상기(11)에 대해 실제로 실행을 요구하는 커맨드를 식별하는 코드이고, 텔레비전 수상기(11)로부터 송신되는 커맨드인 경우, 텔레비전 수상기(1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커맨드를 식별하는 코드이다.
한편, 스텝 S2에서, 커맨드의 송신이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6에서, 수신 제어부(105)는, 수광부(67)를 제어하여,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의 발광부(13)가 발광함에 의해, 커맨드를 송신하여 왔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송신되어 오지 않아다고 판정된 경우, 그 처리는, 스텝 S1로 되돌아온다. 즉, 리모트컨트롤러(2)가 조작되는 일 없이, 커맨드의 송신이 지시되지 않고, 또한,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로부터 커맨드가 송신되어 오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 S2, S6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6에서,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의 발광부(12)로부터 커맨드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7에서, 수신 제어부(105)는, 수광부(67)를 제어하여, 송신되어 온 광신호에 의거하여, 커맨드를 수신하고, 그 커맨드에 기록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11)의 동작 상태의 정보를 판독하고, 기억부(106)에 기억시킨다.
스텝 S8에서, 점등 제어부(107)는, 기억부(106)에 기억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11)의 동작 상태에 응하여, 대응하는 선택 버튼(21)에 내장된 LED(69)를 제어하여, 소정의 조명을 점등시킨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11)로부터 송신되 어 오는 커맨드는, 액티브 상태의 텔레비전 수상기(11)로부터 송신되어 오기 때문에, 식별 코드(182)에 의거하여, 텔레비전 수상기(11)에 대응하는 선택 버튼(21)의 LED(69)를 발광시킴으로써, 현재 어느 텔레비전 수상기(11)가 액티브 상태인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커맨드 코드에 의거하여, 복수의 선택 버튼(21)의 LED(69)의 발광 패턴을 바꾸고 발광시킴으로써, 동작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의 텔레비전 수상기(11)의 동작에 대응하여, LED(69)를 발광시키도록 할 수 있다. 결과로서, 리모트컨트롤러(2)의 선택 버튼(21)에 마련된 LED(67)의 발광 패턴을 볼 뿐으로,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의 동작 상태 또는 액티브 상태의 텔레비전 수상기(11)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11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의 각각의 텔레비전 수상기(11)에 의한 표시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41에서,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수광부(12)에 의해 리모트컨트롤러(2)의 발광부(66)로부터 발광된 광신호에 의해 송신되어 온 커맨드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수신될 때까지, 그 처리가 반복된다.
예를 들면, 도 7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텝 S5의 처리에 의해, 리모트컨트롤러(2)로부터 커맨드가 송신되어 온 경우, 스텝 S41에서, 커맨드가 수신되었다고 판정되고, 그 처리는, 스텝 S42로 진행한다.
스텝 S42에서,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송신되어 온 커맨드가, 동작 상태를 천이시키는 커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42에서, 예를 들면, 도 8의 스텝 S22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동작 상태를 천이시키는 커맨드인 경우, 스텝 S43에서,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동작 상태를 천이시킴과 함께, 천이한 동작 상태의 정보를 상태 인식부(92)에 공급한다. 따라서, 이때, 상태 인식부(92)는, 천이처(遷移先)가 되는 동작 상태를 인식한다.
스텝 S42에서, 동작 상태를 천이시키는 커맨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43의 처리는, 스킵되게 된다.
스텝 S44에서,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기본 상태의 커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송신되어 온 커맨드가, 도 8의 순서도에서의 스텝 S24의 처리에서 생성된 커맨드인 경우, 기본 상태의 커맨드라고 판정되고, 스텝 S45에서, 기본 상태 커맨드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 도 12를 참조하여, 기본 상태 커맨드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61에서,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자신이 액티브인 것을 나타내는 커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스텝 S24의 처리에서, 선택 버튼(21-4)이 조작되는 경우, 대응하는 텔레비전 수상기(11-4)의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자신이 액티브인 것을 나타내는 커맨드라고 판정하고, 스텝 S62에서, 자신의 상태를 액티브로 하여, 자신의 튜너 제어부(82)를 제어하여, 자신의 튜너(83)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화상 생성부(84) 및 음성 생성부(87)에 공급한다. 화상 생성부(84)는, 방송 신호로부터 화상 신호를 생성하고, 화상 변환부(85)에 공급한다. 화상 변환부(85)는, 공급된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텔레비전 수상기(11-4)의 디스플레이(45)에 표시 가능한 화상을 표시한다.
스텝 S63에서,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음성 생성부(87)를 제어하여, 공급된 방송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를 생성시켜서, 음성 출력 제어부(88)를 통하여 스피커(47)로부터 음성으로서 출력시킨다.
한편, 예를 들면, 스텝 S24의 처리에서, 선택 버튼(21-4)이 조작되는 경우, 대응하는 텔레비전 수상기(11-4)를 제외한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3 및 11-5 내지 11-9)의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자신이 액티브인 것을 나타내는 커맨드가 아니라고 판정하고, 스텝 S64에서, 자신의 상태를 비액티브로 하여, 자신의 튜너 제어부(82)를 제어하여, 자신의 튜너(83)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화상 생성부(84) 및 음성 생성부(87)에 공급한다. 화상 생성부(84)는, 방송 신호로부터 화상 신호를 생성하고, 화상 변환부(85)에 공급한다. 화상 변환부(85)는, 공급된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3 및 11-5 내지 11-9)의 디스플레이(45)에 표시 가능한 화상을 표시한다.
스텝 S65에서,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음성 생성부(87)를 제어하여, 공급된 방송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의 생성을 정지시키고, 음성 출력 제어부(88)를 통한 스피커(47)로부터의 음성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즉, 이상의 처리에 의해, 도 1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모트컨트롤러(2)의 선택 버튼(21-4)에 대응하는 텔레비전 수상기(11-4)는, 화상과 함께 음성이 스피커(47)로부터 출력되게 되지만, 그 밖의 텔레비전 수상기(11)에서는, 화상은 출력되지만, 음성이 출력되지 않게 된다. 결과로서, 기본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설정된 텔레비전 수상기(11)의 음성만이 출력되게 된다. 또한, 이때, 후술하는 커 맨드 송신 처리에 의해, 텔레비전 수상기(11-4)로부터의 커맨드에 의해, 상술한 도 7의 순서도에서의 스텝 S8의 처리에 의해, 도 1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택 버튼(21-4)에 대응하는 LED가 발광하게 되기 때문에, 선택 버튼(21-4)에 대응하는 텔레비전 수상기(11-4)가 액티브 상태인 것을 용이하게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도 11의 순서도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스텝 S44에서, 기본 상태의 커맨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46에서,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확대 표시 상태의 커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송신되어 온 커맨드가, 도 8의 순서도에서의 스텝 S26의 처리에서 생성된 커맨드인 경우, 확대 표시 상태의 커맨드라고 판정되고, 스텝 S47에서, 확대 표시 상태 커맨드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 도 14를 참조하여, 확대 표시 상태 커맨드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81에서,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자신이 액티브인 것을 나타내는 커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스텝 S26의 처리에서, 선택 버튼(21-4)이 조작되는 경우, 대응하는 텔레비전 수상기(11-4) 이외의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3, 및 11-5 내지 11-9)의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자신이 액티브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는 커맨드라고 판정하고, 스텝 S82에서, 튜너 제어부(82)를 제어하여, 튜너(83)의 채널을 액티브 상태로 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11-4)의 채널로 변경한다. 즉, 이 처리에 의해, 모든 텔레비전 수상기(11)가, 텔레비전 수상기(11-4)의 채널과 동일한 채널로 변경된다.
한편, 자신이 액티브 상태인 경우, 대응하는 텔레비전 수상기(11-4)는, 이 미, 자신의 채널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S82의 처리는 스킵된다.
스텝 S63에서,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화상 변환부(85)를 제어하여, 자신의 텔레비전 수상기(11)의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에서의 위치 관계로부터, 표시하여야 할 화상의 중심 위치와 확대 배율을 설정한다. 즉,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11-5)에서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에서의 중심 위치이기 때문에, 화상 변환부(85)는, 자신의 디스플레이(45)의 중심 위치의 화상을 3배로 확대한 화상을, 중심 위치에 맞추어서 표시하도록 설정하게 된다.
한편,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11-3)에서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에서 우상(右上)이기 때문에, 화상 변환부(85)는, 자신의 디스플레이(45)의 우상의 수평 방향으로도 수직 방향으로도 1/3의 범위의 화상을, 각각 3배로 확대한 화상을, 중심 위치에 맞추어서 표시하도록 설정하게 된다.
스텝 S84에서, 화상 변환부(85)는, 튜너(83)로부터 공급된 방송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 생성부(84)에 의해 생성된 화상 신호중, 각각의 위치에 대응한 영역의 화상을 확대하여 표시한다.
즉, 이상의 처리에 의해, 리모트컨트롤러(2)의 선택 버튼(21)을 특히 확대 표시 표시 전용의 모드로 전환하는 일 없이, 리모트컨트롤러(2)의 선택 버튼(21)에 대응하는 선택된 텔레비전 수상기(11)의 화상이, 도 9의 좌상부의 확대 표시 상태(152)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든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를 1장의 디스플레이로서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리모트컨트롤러(2)에 의해 용이하게 확대하는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의 순서도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스텝 S46에서, 확대 표시 상태의 커맨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48에서,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스트로보 표시 상태의 커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송신되어 온 커맨드가, 도 8의 순서도에서의 스텝 S28의 처리에서 생성된 커맨드인 경우, 스트로보 표시 상태의 커맨드라고 판정되고, 스텝 S49에서, 스트로보 표시 상태 커맨드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 도 15를 참조하여, 스트로보 표시 상태 커맨드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91에서,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자신이 액티브인 것을 나타내는 커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스텝 S28의 처리에서, 선택 버튼(21-4)이 조작되는 경우, 대응하는 텔레비전 수상기(11-4) 이외의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3, 및 11-5 내지 11-9)의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자신이 액티브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는 커맨드라고 판정하고, 스텝 S92에서, 튜너 제어부(82)를 제어하여, 튜너(83)의 채널을 액티브 상태로 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11-4)의 채널로 변경한다. 즉, 이 처리에 의해, 모든 텔레비전 수상기(11)가, 텔레비전 수상기(11-4)의 채널과 동일한 채널로 변경된다.
한편, 자신이 액티브 상태인 경우, 대응하는 텔레비전 수상기(11-4)는, 이미, 자신의 채널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S92의 처리는 스킵된다.
스텝 S93에서,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화상 변환부(85)를 제어하여, 선택 버튼(21)의 위치에 응한 지연 시간을 설정한다.
스텝 S94에서, 화상 변환부(85)는, 출력 타이밍 제어부(86)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지연 시간이 경과한 곳에서, 화상 생성부(84)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스틸 화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45)에 표시한다.
즉, 이상의 처리에 의해, 리모트컨트롤러(2)의 선택 버튼(21)을 특히 스트로보 표시 전용의 모드로 전환하는 일 없이, 압하된 선택 버튼(21)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가 순차로 스틸 화상 표시함으로써, 스트로보 표시가 가능해짐과 함께, 선택 버튼(21)을 다양하게 바꿈에 의해 지연 시간을 변화시켜서, 스트로보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도 11의 순서도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스텝 S48에서, 스트로보 표시 상태의 커맨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즉, 기본 상태의 커맨드도, 확대 표시 상태의 커맨드도, 스트로보 표시 상태의 커맨도 아니기 때문에, 메뉴 표시 상태의 커맨드로 간주되고, 스텝 S50에서, 메뉴 표시 상태 커맨드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 도 16을 참조하여, 메뉴 표시 상태 커맨드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101에서,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자신이 액티브인 것을 나타내는 커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스텝 S29의 처리에서, 선택 버튼(21-4)이 조작되는 경우, 대응하는 텔레비전 수상기(11-4) 이외의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3, 및 11-5 내지 11-9)의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자신이 액티브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는 커맨드라고 판정하고, 그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01에서, 자신이 액티브 상태인 경우, 스텝 S102에서,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선택된 선택 버튼(21)의 위치에 응한 위치에 커서를 이동시킨 때, 커서로 지정되는 메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최초의 처리에서는, 메뉴 화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커서로 지정되는 메뉴가 존재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스텝 S104에서,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는, 좌표 인식부(89)에 대해, 빈 정보를 공급한다. 좌표 표시부(89)는, 좌표 정보 없음의 정보를 메뉴 화면 생성부(90)에 공급한다. 메뉴 화면 생성부(90)는, 이 좌표 정보 없음의 정보를 시작 메뉴의 표시 신호라고 인식하고, 메뉴 화면 메모리(91)로부터, 예를 들면, 도 1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시작 메뉴 화면을 판독하여, 디스플레이(45)에 표시한다. 도 17에서는, 위로부터 선택 메뉴로서 「(A) 화질 조정」, 「(B) 음질 조정」, 「(C) CH 설정」, 및「(D) 시각 설정」으로 표시되어 있고, 커서(201)를 조작함에 의해,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커서(201)를 조작하는 리모트컨트롤러(2)는, 예를 들면, 도 1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택 버튼(21-1 내지 21-9)의 각각에 대해, 메뉴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A」, 「B」, … 「I」까지를 할당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택 버튼(21-1 내지 21-4 및 21-6 내지 21-9)의 각각에 대해, 커서(201)의 이동 방향을 할당함에 의해, 선택 버튼(21-5)을 결정 버튼으로서 조작하도록 시키고도 좋다. 도 19에서는, 선택 버튼(21-1)은, 비스듬히 좌상방향, 선택 버튼(21-2)은, 곧바로 상방향, 선택 버튼(21-3)은, 비스듬히 우상방향, 선택 버튼(21-4)은, 좌방향, 선택 버튼(21-6)은, 우방향, 선택 버튼(21-7)은, 비스듬히 좌 하방향, 선택 버튼(21-8)은, 곧바로 하방향, 선택 버튼(21-9)은, 비스듬히 우하방향으로 각각 커서(201)를 이동시키고, 선택 버튼(21-5)은, 결정 버튼으로서 할당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선택 버튼(21-1 내지 21-9)은, 감압 센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 2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저의 손가락(211) 등으로, 예를 들면, 선택 버튼(21-4)으로부터 선택 버튼(21-6) 방향으로 그어가도록 함으로써, 각 감압 센서가 압력을 검지하는 순서에 의거하여, 손가락(211)의 우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방향으로, 커서(201)를 움직이도록 하여도 좋다.
스텝 S102에서, 예를 들면, 상술한 도 8의 순서도에서의 스텝 S29의 처리에 의해, 예를 들면, 커서(201)가 조작되어, 도 1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D) 시각 설정」으로 이동된 경우, 대응하는 메뉴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 처리는, 스텝 S1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3에서, 좌표 인식부(89)는, 커서(201)로 지정된 좌표 위치를 인식하고, 메뉴 화면 생성부(90)에 공급한다. 메뉴 화면 생성부(90)는, 커서(201)의 위치에 대응한, 새로운 메뉴 화면, 즉, 「(D) 시각 설정」에 대응하는 메뉴 화면을 메뉴 화면 메모리(91)로부터 판독하고, 디스플레이(45)에 표시시킨다.
즉, 이상의 처리에 의해, 리모트컨트롤러(2)의 선택 버튼(21)을 특히 메뉴 화면 조작 전용의 모드로 전환하는 일 없이, 압하된 선택 버튼(21)에 대응하여 커서(201)를 이동시켜서, 각종의 설정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21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텔레비전 수상기(11)에 의한 리모트컨 트롤러(2)로의 커맨드 송신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121에서, 상태 인식부(92)는, 수신 커맨드 인식부(81)로부터 동작 상태가 변화한 것이 통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통지될 때까지, 그 처리를 반복한다. 예를 들면, 스텝 S43의 처리에 의해, 동작 상태의 변화가 통지된 경우, 스텝 S122에서, 상태 인식부(92)는, 자신의 텔레비전 수상기(11)가 액티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액티브가 아닌 경우, 그 처리는, 스텝 S121로 되돌아온다. 즉, 동작 상태가 변화하지 않은, 또는 액티브 상태가 아닌 경우, 스텝 S121, S122의 처리가 반복된다. 예를 들면, 동작 상태가 변화하고, 또한, 액티브 상태인 경우, 스텝 S123에서, 상태 인식부(92)는, 송신 커맨드 생성부(93)에 대해 지금 현재의 동작 상태를 통지함과 함께, 대응하는 동작 상태를 통지하는 커맨드를 생성시킨다.
스텝 S124에서, 송신 커맨드 생성부(93)는, 생성한 지금 현재의 텔레비전 수상기(1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커맨드를 발광부(13)를 제어하여, 송신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상술한 도 7의 순서도에서의 스텝 S7의 처리에서, 리모트컨트롤러(2)에서 동작 상태가 기억되고, 또한, 스텝 S8에서, 그 동작 상태의 종류에 의해, 또는, 선택된 액티브한 텔레비전 수상기(11)의 위치에 의해, 대응하는 선택 버튼(21)의 LED를 발광시키게 된다.
또한, 이 처리에 의해, 리모트컨트롤러(2)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의 동작 상태를 기억할 수 있고, 결과로서, 이 정보에 의거하여, 기본 상태, 확대 표시 상태, 스트로보 표시 상태, 또는 메뉴 표시 상태의 어느 하나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가, 선택 버튼(21)의 기능을, 복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전환한다 는 조작을 하는 일 없이, 복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전환하여 조작이 가능해지고, 조작 버튼을 늘리는 일 없이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를 리모트컨트롤러(2)로 용이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상에서는, 선택 버튼(21)이 선택된 위치에 응하여, 대응하는 위치의 LED(69)를 발광시키는 예에 관해 설명하여 왔지만 , 예를 들면, 도 2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동작 상태에 응하여, LED에서 발광한 색을 바꾸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에서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와 리모트컨트롤러(2)가 상호간에 커맨드를 수수할 수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여 왔지만, 예를 들면, 도 2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모트컨트롤러(302)로부터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301)에 대해서만 커맨드를 송신할 수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도 2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환 스위치(321)를 마련하도록 함으로써, 선택 버튼(21)의 기능을 전환되도록 한다.
도 23에서는, 리모트컨트롤러(302)로부터의 커맨드를 수광하는 수광부(312)가 마련되고, 수광부(312)에서 수광된 커맨드에 의거하여, 텔레비전 수상기(311-1 내지 311-9)가 동작한다. 도 23의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301)의 텔레비전 수상기(311)는, 발광부(13)에 대응하는 구성이 삭제되어 있는 이외는, 도 1의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에서의 텔레비전 수상기(11)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리모트컨트롤러(302)는, 도 2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환 스위치(321)가 마련되어 있는 이외는, 도 1의 리모트컨트롤러(2)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전환 스위치(321)는, 수평 방향으로 좌우의 2단계로 슬라이드하는 스위치로 서, 예를 들면, 좌측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인 때, 선택 버튼(21-1 내지 21-9)은, 대응하는 텔레비전 수상기(311-1 내지 311-9)의 어느 하나를 액티브 상태에 전환하는 버튼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전환 스위치(321)가 우측으로 슬라이드된 때, 선택 버튼(21-1 내지 21-9)은, 기능 버튼(21)의 조작에 연동하여, 동작 상태를 전환하여, 예를 들면, 확대 표시 상태인 때, 확대하는 텔레비전 수상기(311-1 내지 311-9)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버튼으로서 기능하고, 스트로보 표시 상태인 때, 확대한 텔레비전 수상기(311-1 내지 311-9)의 어느 하나에 의해 지연 시간을 선택하는 버튼으로서 기능하고, 메뉴 표시 상태인 때, 메뉴 화면에서의 커서를 이동시키는 버튼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각종의 동작에 관해서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301)로부터 리모트컨트롤러(302)에 대해 커맨드를 송신하는 처리 이외는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동작 상태로서, 기본 상태, 확대 표시 상태, 스트로보 표시 상태, 및 메뉴 표시 상태의 4개의 동작 상태로 천이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여 왔지만, 그 이외의 동작 상태를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슬라이드 쇼 표시 상태 등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슬라이드 쇼란, 방송 신호에 의해 전송되어 온 스트림 화상 등에서의 장면 전환(scene change) 부분을 검출하고, 장면 전환의 타이밍에서의 스틸 화상을, 텔레비전 수상기(11-1 내지 11-9)에 순차로 표시시키는 것이다.
이상에 의하면,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해 용이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는,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도 25는, 도 1, 도 23의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1, 301) 및 리모트컨트롤러(2, 302)의 전기적인 내부 구성을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는 경우의 퍼스널 컴퓨터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의 CPU(501)는, 퍼스널 컴퓨터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CPU(501)는, 버스(504)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505)를 통하여 유저로부터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506)로부터 지령이 입력되면, 그것에 대응하여 ROM(Read Only Memory)(502)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는 또한, CPU(501)는, 드라이브(510)에 접속된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리무버블 미디어(521)로부터 판독되고, 기억부(508)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을, RAM(Random Access Memory)(503)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이로써, 상술한 도 1, 도 23의 상태 천이 프로그램 편집 장치(1)의 기능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또한, CPU(501)는, 통신부(509)를 제어하여, 외부와 통신하고, 데이터의 수수를 실행한다.
컴퓨터에 인스톨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는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기록 매체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디스크(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한다), 광자기 디스크를 포함한다),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인 리무버블 미디어(511), 또는, 프로그램이 일시적 또는 영속적으로 격납되는 ROM(502)이나, 기억부(508)를 구성하는 하드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된다. 기록 매체에의 프로그램의 격납은, 필요에 따라 라우터, 모뎀 등의 인터페이스인 통신부(509)를 통하여,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방송이라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행하여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록 매체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하여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의 측면에 의하면,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의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한 조작을 용이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7)

  1.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와, 상기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수단의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생성하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수단과,
    상기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자기의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 및,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 를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
  2.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수단의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생성하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수단과,
    상기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컨트롤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기억하는 상태 기억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컨트롤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텔레비전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상태 기억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전 커맨드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컨트롤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에 의거하여, 발광하는 발광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컨트롤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수단은, 적어도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수단의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어느 하나를 액티브 상태로 하여 음성 출력시키는 커맨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 중, 상기 액티브 상태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상을 확대하여,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확대 표시시키는 커맨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 중, 상기 액티브 상태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상을 소정의 시간 지연시켜서, 순차로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스트로보 표시시키는 커맨드, 또는, 메뉴 화면을 표시시켜서, 설정 조작을 실행시키는 커맨드를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컨트롤러.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감압 센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커맨드 생성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수단을 구성하는 감압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커맨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컨트롤러.
  8.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텝과,
    상기 판정 스텝의 처리에서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스텝의 처리에서의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생성하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스텝과,
    상기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9.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텝과,
    상기 판정 스텝의 처리에서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스텝의 처리에서의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생성하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스텝과,
    상기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10.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텝과,
    상기 판정 스텝의 처리에서의 판정 결과, 및, 조작 스텝의 처리에서의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의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생성하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스텝과,
    상기 리모트컨트롤 커맨드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1.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자기의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 및,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리모트컨트롤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자기의 상태를, 텔레비전 커맨드로서 리모트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수단은, 적어도 상기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 및,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자신을 액티브 상태로 하여 음성 출력시키는, 상기 액티브 상태로 지정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상을 확대하여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확대 표시시키는, 상기 액티브 상태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상을 소정의 시간 지연시켜서 순차로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스트로보 표시시키는, 또는, 메뉴 화면을 표시시켜서 설정 조작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15.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자기의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 스텝과,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 및,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의 동작 방법.
  16.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자기의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 스텝과,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 및,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17.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이루어지는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자기의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 스텝과,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인식 수단의 인식 결과, 및, 리모트컨트롤 커맨드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60088919A 2005-09-15 2006-09-14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리모트컨트롤러 및 동작 방법,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및동작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KR20070031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919A KR20070031800A (ko) 2005-09-15 2006-09-14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리모트컨트롤러 및 동작 방법,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및동작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67774 2005-09-15
KR1020060088919A KR20070031800A (ko) 2005-09-15 2006-09-14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리모트컨트롤러 및 동작 방법,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및동작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800A true KR20070031800A (ko) 2007-03-20

Family

ID=4365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919A KR20070031800A (ko) 2005-09-15 2006-09-14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리모트컨트롤러 및 동작 방법,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및동작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18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452B1 (ko) * 2010-06-14 2013-03-14 주식회사 디콘 다수의 스크린으로 구성된 대형영상기기와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452B1 (ko) * 2010-06-14 2013-03-14 주식회사 디콘 다수의 스크린으로 구성된 대형영상기기와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6659B2 (ja) 多画面テレビジョン受像機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動作方法、多画面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動作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241907B1 (ko) 리모트 콘트롤러 및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키이 코드를 발생하는 방법
KR101259116B1 (ko) 콘트롤러 및 콘트롤러에서 키이 코드를 발생하는 방법
KR101259105B1 (ko) 콘트롤러 및 콘트롤러에서 키이 코드를 발생하는 방법
US20180309951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151644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信号処理方法
US8497766B2 (en) Key input device for remote control apparatus, key input method of key input device for remote control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447976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5198115A (ja) リモコン装置
JP200806689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80029502A (ko) 좌표 인식 장치 및 이 좌표 인식 장치에서 키이 코드를발생하는 방법
JP2010109446A (ja) 制御装置、電子機器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1084500B1 (ko) 선택 장치 및 선택 방법
KR20070031800A (ko)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리모트컨트롤 시스템,리모트컨트롤러 및 동작 방법, 다화면 텔레비전 수상기 및동작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US20070132729A1 (en) Character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205452B1 (ko) 다수의 스크린으로 구성된 대형영상기기와 그 제어방법
JP2010182134A (ja) リモコンシステム、制御端末装置及び、選択状態表示変更方法
JP4206315B2 (ja) 放送受信装置、リモコン制御方法及びリモコン制御プログラム
US8799958B2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698332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複数画面操作方法
JP3288188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装置
JP2001103389A (ja) 受信機及びチューナ
KR101480890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106037A (ja) 画像表示装置
KR100600698B1 (ko) 영상재생장치 및 영상재생장치를 제어하는 리모콘 장치그리고 그들의 채널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