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179A -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179A
KR20070031179A KR1020050085930A KR20050085930A KR20070031179A KR 20070031179 A KR20070031179 A KR 20070031179A KR 1020050085930 A KR1020050085930 A KR 1020050085930A KR 20050085930 A KR20050085930 A KR 20050085930A KR 20070031179 A KR20070031179 A KR 20070031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cladding
core
optic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0300B1 (ko
Inventor
이세형
윤신영
강현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85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300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84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urface profiling of the supporting carrier
    • G02B6/369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urface profiling of the supporting carrier with surface micromachining involving etching, e.g. wet or dry etching ste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7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gratings
    • G02B6/02076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 G02B6/0208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wavelength response
    • G02B6/02085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wavelength response characterised by the grating profile, e.g. chirped, apodised, tilted, helic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8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 G02B6/382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with index-matching medium between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166Manufacturing methods
    • G02B2006/12176Etch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166Manufacturing methods
    • G02B2006/12197Grinding; Polis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하여 특별한 외부 장치 없이 광섬유 자체 내에서 광섬유 코어를 통해 진행하는 코어모드를 광섬유 밖으로 방출할 수 있는 광신호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는, 광신호가 전달되는 코어; 상기 코어내에서 상기 광신호가 전달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광신호에 대한 순방향 코어모드를 역방향 클래딩모드로 결합하는 광섬유 브래그 격자;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며, 상기 역방향 클래딩모드에 대한 광신호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변형부가 형성된 클래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사진 광섬유 브래그 격자, 클래딩 모드 결합, 클래딩 연마, 클래딩 식각, 굴절률 정합, 광신호 감시, 광신호 검출, 드롭(Drop) 소자.

Description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OPTICAL SIGNAL DETECTING DEVICE USING BACKWARD PROPAGATING CLADDING MODE COUPLING}
도 1은 종래의 광섬유 브래그 격자를 이용하여 인라인(in-line) 형태의 광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광섬유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경사진 광섬유 브래그 격자를 이용하여 광신호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광 커플링 소자의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아웃 커플러를 이용한 광수신기 모듈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연마 또는 식각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변형부를 갖는 광신호 검출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굴절률 정합 물질을 도포하는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변형부를 갖는 광신호 검출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첩(Chirp)이 되지 않은 경사진 광섬유 브래그 격자의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 검출장치의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첩(Chirp)이 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의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 설명>
10: 광섬유 11: 광섬유 브래그 격자
12: 코어 20: 광 커플링 소자
21: 도파로 22: 다른 광 도파로
30: 광수신기 모듈 31: 코어
32: 격자 33: 격자층
34: 반사층 35: 아웃 커플러
4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41: 코어
42: 클래딩 43: 광섬유 브래그 격자
44: 변형부 45: 광섬유 코어모드
46: 클래딩모드로 결합되는 코어모드 47: 광섬유 클래딩모드
5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 검출장치
51: 굴절률 정합 물질
6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 검출장치
61: 첩(Chirp)이 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
71: 순방향 코어모드가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코어모드로 결합되는 스펙트럼
72: 순방향 코어모드가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클래딩모드로 결합되는 스펙트 럼
73: 첩(Chirp)이 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의 투과 스펙트럼
본 발명은 광신호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하여 특별한 외부 장치 없이 광섬유 자체 내에서 광섬유 코어를 통해 진행하는 코어모드를 광섬유 밖으로 방출할 수 있는 광신호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 코어를 통해서 진행하는 광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코어를 통하여 전송되는 광신호에 대한 코어모드의 경로를 변경시켜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광섬유 코어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클래딩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영향을 주더라도 코어모드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광섬유에서 광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광섬유 자체에 물리적인 변형을 주어야 한다. 광섬유에 광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변형을 주는 방법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그 중 가장 손쉽고 광섬유 특성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광섬유 코어에 광섬유 격자를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일예로, 미국 특허 제5,042,897호 'OPTICAL WAVEGUIDE EMBEDDED LIGHT REDIRECTING BRAGG GRATING ARRANGEMENT'에는 광섬유 브래그 격자를 이용하여 인라인(in-line) 형태의 광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광섬유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광섬유(10)에는 도파되는 광신호를 코어 밖으로 빼내기 위하여 경사진 광섬유 브래그 격자(11)가 코어(12) 내에 생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인라인(in-line) 형태의 구조이므로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없이 간단하게 구현이 가능하며 브래그 격자(11)를 이용 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소자 크기도 작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코어(12) 내의 광신호를 빼내기에 효율이 너무 작아 광신호 감시용으로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고결합률을 갖는 광신호 검출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미국 특허 제6,850,665호 'WAVELENGTH-SELECTIVE OPTICAL FIBER COMPONENTS USING CLADDING-MODE ASSISTED COUPLING'에는 경사진 광섬유 브래그 격자를 이용하여 광신호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광 커플링 소자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도 2에 도시된다. 그러나 상기 광 커플링 소자(20)는 광신호를 검출 하기 위하여 주된 도파로(21)외에 또 다른 광 도파로(22)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광 커플링 소자(20)는 그 구성하는 소자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직접화를 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 제88567호 '아웃 커플러를 이용한 광수신기 모듈'에는 아웃 커플러를 이용한 광수신기 모듈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광수신기 모듈(30)은 노출된 광섬유 코어(31)를 다수의 격자(32)와 격자층(33) 및 반사층(34)을 갖는 아웃 커플러(35)를 이용하여 광신호(36)를 외부로 방출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50% 이상의 결합 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외부의 추가적인 아웃 커플러(35)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도 1에서 보인 것과 같이 소자의 크기가 광섬유 브래그 격자를 이용했을 때보다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광섬유 모듈이 고집적 광회로와 접목할 수 있도록, 광섬유 모듈 개발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은 광섬유 코어모드를 외부로 빼낼 때 고결합률을 갖도록 하면서도 소자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광 송수신 모듈이나 광 통신용 소자에서 광섬유 내의 광신호를 감시 및 검출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고결합률 및 소형화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 발명들은 위 두 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코어 내에 진행하는 광신호를 외부로 방출 시 고결합률을 갖도록 하면서도 소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광신호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는, 광신호가 전달되는 코어; 상기 코어내에서 상기 광신호가 전달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광신호에 대한 순방향 코어모드를 역방향 클래딩모드로 결합하는 광섬유 브래그 격자;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며, 상기 역방향 클래딩모드에 대한 광신호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변형부가 형성된 클래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40)는 광신호가 전달되는 코어(41), 상기 코어(41)를 둘러싸는 클래딩(42), 상기 코어(41)에 형성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Fiber Bragg Grating: FBG)(43) 및 상기 클래딩(42)에 형성된 변형부(44)를 포함한다.
상기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40)는 광신호가 입사되어 진행되는 코어(41)와 상기 코어(41)를 둘러싸는 클래딩(42)을 포함하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43)는 상기 코어(41) 내에 상기 광신호가 전달되는 광신호 방향과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져 형성된다. 상기 브래그 격자(43)는 상기 광신호의 순방향 코어모드(45)에 대하여 파장 선택적 반사를 통하여 클래딩모드로 결합되는 코어모드(46)를 만들게 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tilted)를 주면 각각 다른 파장에서 순방향 코어모드 결합 및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형성한다.
상기 변형부(44)는 상기 클래딩(42)의 외부 표면의 일정한 부분에 작은 변형(deformation)을 가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43)에 의하여 결합된 상기 역방향 클래딩모드(47)에 대한 광신호를 광섬유의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변형부(44)는 상기 클래딩(42)의 외부 표면을 일정 깊이(d)로 연마 또는 식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부(44)는 상기 클래딩(42)의 외부 표면에 굴절률 정합 물질을 부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변형부(44)를 연마 또는 식각 방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그 깊이(d)는 상기 광신호 검출장치(40)의 사용 용도에 따라서 달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신호 검출장치(40)를 광신호 감시를 위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변형부(44)의 깊이(d)는 수 μm 이면 충분하고, 반면에 광신호 검출을 위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십 μm 까지 연마 또는 식각을 해야한 다. 여기서 상기 식각 방법에는, 예를 들어, 건식 식각방법 또는 레이저 식각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클래딩(42)의 구조를 일부 변형하여 변형부(4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클래딩(42) 상에서 상기 변형부(44)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과 상기 변형부(44)가 존재하는 부분 간에 모드(mode)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모드 차이로 인하여 상기 클래딩(42)으로 전파되는 역방향 클래딩모드(47)에 대한 광신호의 대부분이 클래딩(42) 바깥으로 방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변형부(44)는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43)보다 광신호가 입사되는 방향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 4에서 순방향 코어모드(45)의 진행방향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한다고 가정할 때, 상기 변형부(44)는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43)의 위치보다 왼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변형부(44)가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43)보다 광신호가 입사되는 방향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입사된 순방향 코어모드(45)가 상기 브래그 격자에(43)의하여 반사됨으로써 결합된 역방향 클래딩모드(47)에 대한 광신호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신호 검출장치(40)는 상기 클래딩(42) 바깥, 즉 광섬유 외부로 광신호를 빼내는 드롭 포트(Drop Port)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신호 검출장치(40)는 광신호의 감시 또는 검출 소자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43)에 첩(Chirp)을 주면 보다 넓은 광신호 영역을 감시 또는 검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연마 또는 식각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변형 부를 갖는 광신호 검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신호 검출장치(40)에 의하여 광신호의 감시 또는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광신호 검출장치(40)의 코어(41)로 입사된 광신호의 순방향 코어모드(45)는 상기 코어모드(45)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형성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43)에 의하여 반사되어, 역방향 클래딩모드(47)로 결합되는 코어모드(46)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순방향'이란 상기 광신호가 진행하는 방향으로서, 도 5를 기준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역방향'을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역방향 클래딩모드(47)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변형부(44)에 다다르면 상기 클래딩(42)과 상기 변형부(44) 간에 모드 불일치로 인하여, 상기 클래딩(42)으로 전파되는 역방향 클래딩모드의 대부분이 클래딩(42) 바깥으로 방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굴절률 정합 물질을 도포하는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변형부를 갖는 광신호 검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 검출장치(50)는 상기 클래딩(42)의 외부 표면의 일정 부분에 굴절률 정합 물질을 부착함으로써 변형부(5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굴절률 정합 물질은 상기 클래딩(42)의 굴절률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신호 검출장치(50)는 역시 코어(41)로 입사된 광신호의 순방향 코어모드(45)는 상기 코어모드(45)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형성된 광섬유 브래 그 격자(43)에 의하여 반사되며, 이로 인하여 클래딩모드(47)로 결합되는 코어모드(4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역방향 클래딩모드(47)는 상기 변형부(51)에 다다르면 상기 클래딩(42)와 상기 변형부(51) 간에 모드 불일치로 인하여, 상기 클래딩(42)으로 전파되는 역방향 클래딩모드(47)에 대한 광신호의 대부분이 클래딩(42) 바깥으로 방출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절률 정합 물질은 상기 클래딩(42)의 외부 표면상에 렌즈(lens) 형상으로 도포됨으로써 상기 방출되는 광신호(48)를 모으거나 확산시킬 수 있는 렌즈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첩(Chirp)이 되지 않은 경사진 광섬유 브래그 격자의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첩(Chirp)이 안된 경사진 광섬유 브래그 격자(43)의 대표적인 투과 스펙트럼은 순방향 코어모드(45)가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코어모드로 결합되는 스펙트럼(71)과, 순방향 코어모드(45)가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클래딩모드(47)로 결합되는 스펙트럼(7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사진 광섬유 브래그 격자(43)기능은 코어모드(45)가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클래딩모드(47)로 결합되는 스펙트럼(72)를 이용한다. 따라서 경사진 광섬유 브래그 격자(46)는 감시 또는 검출을 위한 신호의 파장(λc)에 맞게 코어모드(45)를 클래딩 모드(47)로 결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 검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신호 검출장치(60)의 코어(41)에 형성되는 광섬유 브래그 격자(61)의 간격을 선형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첩(Chirp)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첩(Chirp)이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61)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간격이 선형적으로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간격이 선형적으로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61)에 첩(Chirp)을 형성함으로써 첩(Chirp)이 되지 않은 광섬유 브래그 격자(46)에 비하여 보다 넓은 광신호 영역을 감시 또는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도 8에서는 연마 또는 식각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변형부(44)를 갖는 경우의 광섬유를 도시하고 있으나, 굴절률 정합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는 변형부(51)를 갖는 광섬유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광섬유 브래그 격자(46)에 첩(Chirp)을 형성함으로써 넓은 광신호 영역을 감시 또는 검출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첩(Chirp)이 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의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첩(Chirp)이 된 광신호 검출장치(60)에 형성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43)는 각기 다른 파장의 순방향 코어모드가 각각의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클래딩모드로 결합되는 스펙트럼(73)을 갖기 때문에 첩(Chirp)이 되지 않은 광신호 검출장치(40,50)에 대한 광섬유 브래그 격자에 비하여 넓은 영역의 광신호를 감시 또는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신호 검출장치(40, 60)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광신호가 전달되는 코어(41)와, 상기 코어(41)를 둘러싸는 클래딩(42)을 갖는 광섬유를 마련한다.
그리고 상기 코어(41)에 상기 광신호가 전달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갖고 상기 광신호에 대한 순방향 코어모드를 역방향 클래딩모드로 결합하기 위한 광섬유 브래그 격자를(43,61) 형성한다.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43, 61)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선형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간격을 갖도록 첩(Chirp)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첩(Chirp)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넓은 영역의 광신호를 감시 또는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클래딩(42)에 역방향 클래딩모드(47)에 대한 광신호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변형부(44,51)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클래딩(42)의 외부 표면을 일정 깊이(d)로 연마 또는 식각함으로써 상기 변형부(44,5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식각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건식 식각방법 또는 레이저 식각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클래딩(42)의 외부 표면에 굴절률 정합 물질을 부착함으로써 상기 변형부(44,51)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변형부(44,51)는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43,61)보다 광신호가 입사되는 방향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신호 검출장치(40,60)를 광신호의 감시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코어모드(45)의 극히 일부만 클래딩모드(47)로 결합 시켜야 하므로 클래딩모드(47)로 결합되는 스펙트럼(72)이 작도록 경사진 광섬유 브래그 격자 (43,61)를 설계 해야 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광신호 검출장치(40,60)를 광신호 검출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클래딩모드(47)로 결합되는 스펙트럼(72)이 크도록 경사진 광섬유 브래그 격자(43,61)를 설계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광섬유 코어 내에 진행하는 광신호를 외부로 방출 시 고결합률을 갖도록 하면서도, 상기 광신호 검출장치를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신호 검출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소자 구현이 용이하고, 경사진 광섬유 격자의 방향에 상관없는 광섬유 클래딩의 연마 또는 식각 또는 굴절률 정합 물질이 적용된 부분을 통해서 광신호 감시 및 검출 소자 구현이 가능하므로 수동 패키징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신호 검출장치는, 경사진 광섬유 브래그 격자를 이용하여, 광섬유 밖으로 코어모드를 직접 빼내는 간편한 구조를 보임으로써 기존의 평면도파로 등과 같은 추가적인 외부 소자가 필요한 드롭(Drop) 소자를 만드는 방 법에 비하여 전혀 새로운 방법을 채택하여 제작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섬유 자체를 감시 및 검출 소자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광신호가 전달되는 코어;
    상기 코어내에서 상기 광신호가 전달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광신호에 대한 순방향 코어모드를 역방향 클래딩모드로 결합하는 광섬유 브래그 격자;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며, 상기 역방향 클래딩모드에 대한 광신호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변형부가 형성된 클래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는 선형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클래딩의 외부 표면을 일정 깊이(d)로 연마 또는 식각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클래딩의 외부 표면에 굴절률 정합 물질을 부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광섬유 브래그 격자보다 광신호가 입사되는 방향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
KR1020050085930A 2005-09-14 2005-09-14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 KR100730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930A KR100730300B1 (ko) 2005-09-14 2005-09-14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930A KR100730300B1 (ko) 2005-09-14 2005-09-14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179A true KR20070031179A (ko) 2007-03-19
KR100730300B1 KR100730300B1 (ko) 2007-06-19

Family

ID=41633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930A KR100730300B1 (ko) 2005-09-14 2005-09-14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30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576B1 (ko) * 2006-08-18 2008-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신호 아웃-커플링 광섬유 및 그 광섬유를 이용한 광신호검출장치
KR100803288B1 (ko) * 2006-12-20 2008-02-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머 집광 도파로 격자 커플러 및 광 pcb
KR100860405B1 (ko) * 2006-11-15 2008-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섬유 일체형 파장분할다중화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다채널 광신호 방출 방법
KR100949663B1 (ko) * 2008-01-31 2010-03-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섬유 브래그 격자 제조 방법
KR101144720B1 (ko) * 2010-06-25 2012-05-24 (주)디오텍 반사용 홈을 가지는 광섬유
US8768117B2 (en) 2010-08-26 2014-07-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ptical fiber coupl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ptical fiber coupler, and active optical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7039A (en) 1995-12-14 1997-07-08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switching system and devices using a long period grating
US6084996A (en) 1998-04-01 2000-07-04 Lucent Technologies, Inc. Broadband long-period gratings
JP2003086875A (ja) 2001-09-11 2003-03-20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ファイバグレーティングを用いた波長ロッカー及び光通信システム
KR100616549B1 (ko) * 2004-01-16 2006-08-28 주식회사 골드텔 광신호검출용 광케이블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576B1 (ko) * 2006-08-18 2008-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신호 아웃-커플링 광섬유 및 그 광섬유를 이용한 광신호검출장치
US7526156B2 (en) 2006-08-18 2009-04-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ptical fiber for out-coupling optical signal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ptical signal using the same optical fiber
KR100860405B1 (ko) * 2006-11-15 2008-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섬유 일체형 파장분할다중화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다채널 광신호 방출 방법
KR100803288B1 (ko) * 2006-12-20 2008-02-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머 집광 도파로 격자 커플러 및 광 pcb
KR100949663B1 (ko) * 2008-01-31 2010-03-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섬유 브래그 격자 제조 방법
KR101144720B1 (ko) * 2010-06-25 2012-05-24 (주)디오텍 반사용 홈을 가지는 광섬유
US8768117B2 (en) 2010-08-26 2014-07-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ptical fiber coupl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ptical fiber coupler, and active optical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0300B1 (ko) 200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69497A1 (en) Optical waveguide tap monitor
US7526156B2 (en) Optical fiber for out-coupling optical signal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ptical signal using the same optical fiber
KR100730300B1 (ko)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
JP2007025422A (ja) 波長分岐フィルタ及び光通信モジュール
KR20140119605A (ko) 광학모듈 및 광송수신모듈
JP2009151106A (ja) 一芯双方向光デバイス
JP2008181025A (ja) 一芯双方向光モジュール
JP3947186B2 (ja) 光ハイブリッド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753022B2 (ja) 双方向光通信モジュール
JP4330560B2 (ja) 光分波器及び波長多重光伝送モジュール
KR100860405B1 (ko) 광섬유 일체형 파장분할다중화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다채널 광신호 방출 방법
JP2005049821A (ja) 光合分波器、光集積回路及びそれらを用いた光送受信器
US7995883B2 (en) Optical waveguide and bi-directional optical transceiver
KR100557407B1 (ko) 양방향 광송수신 모듈
JP2007147740A (ja) マルチモード一芯双方向デバイス
JP5312309B2 (ja) 光合分波器
KR100798914B1 (ko) 광섬유를 이용한 파장선별적 광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광모듈
US7260295B2 (en) Optical waveguide and optical transmitting/receiving module
WO2002016979A2 (en) Fiberoptic bus, modulator, detector and emitter using cladding mode coupling
JP2004279640A (ja) Wdm光モジュール
JP2005300954A (ja) 双方向光通信装置
JP2009186578A (ja) 光導波部材、光モジュール、及び光伝送装置
JP2007025423A (ja) 波長偏光分離フィルタ及び光通信モジュール
CN100487508C (zh) 双衍射光栅平面光波电路
JP4759973B2 (ja) デマルチプレクサ及び波長多重光伝送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