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113A -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113A
KR20070031113A KR1020050085809A KR20050085809A KR20070031113A KR 20070031113 A KR20070031113 A KR 20070031113A KR 1020050085809 A KR1020050085809 A KR 1020050085809A KR 20050085809 A KR20050085809 A KR 20050085809A KR 20070031113 A KR20070031113 A KR 20070031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additio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복
임상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5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1113A/ko
Publication of KR2007003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제한 구역 또는 통화 불능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기능을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 및 음성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로 출력하거나,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데이터 및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송수신 처리부, MP3 재생 기능, 게임 기능 및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부가장치부 및 배터리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회로의 각 부분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차단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부가장치만을 사용할 수 있는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분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통신 기능 및 부가 기능을 차단 또는 사용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서 전송한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부가장치를 제외한 부가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함으로써 통화 불능 지역에서의 무선 신호 검색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내 통신기능의 지속적인 신호 검색으로 인한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수 신하는 전파로 인한 장비의 오동작을 예방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꺼야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제한 구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차단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부가 기능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통신 기능, 부가 기능, 제어부, 모드 변경

Description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electively Enabling Communication Functions and Supplementary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과정을 표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안테나
120: 송수신 처리부 130: 부가장치부
132: 모바일 게임 저장부 134: MP3 재생부
136: 카메라 모듈 140: 제어부
150: 전원공급부 160: 스위치
본 발명은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제한 구역 또는 통화 불능 지역에서 부가 기능만을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차단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부가장치만을 사용할 수 있는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및 이동통신으로 대표되는 정보 통신 기술은 현대인의 생활 패턴을 바꾸어 놓고 있다. 거의 모든 가정, 학교 및 사무실에 인터넷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어 웹 사이트를 이용한 정보 습득, 전자 상거래를 통한 상품 구매, 이메일을 통한 소식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하였고, 초기의 음성 통화 위주에서 벗어나 무선 인터넷 접속, 게임, 캠코더, 카메라 및 MP3 플레이어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진화하게 되었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하게 됨으로써,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게임기 등을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영상 및 사진 촬영, 음악 감상 및 게임 등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한 통화 수단에서 벗어나 일상에서 얻는 여가 시간을 활용하기 위한 오락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 사용에 의한 기기의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이나 비행기 기내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을 사용하고 싶어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차단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꺼야만 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 로밍이 되지 않는 지역 또는 송수신 신호가 미약한 지역 등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과 통신을 시도하기 위해 계속해서 수신 신호를 찾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가 많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제한 구역 또는 통화 불능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만을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차단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부가장치만을 사용할 수 있는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제한 구역 또는 통화 불능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을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 및 음성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로 출력하거나,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데이터 및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송수신 처리부, MP3 재생 기능, 게임 기능 및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부가 기능 제공하는 부가장치부 및 배터리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회로의 각 부분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 신 기능을 차단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부가장치만을 사용할 수 있는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통신 기능 및 부가 기능을 차단 또는 사용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서 전송한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부가장치를 제외한 부가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제한 구역 또는 통화 불능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만을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차단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부가장치만을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 변경 요청에 따른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해서 스위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c)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부가 장치를 제외한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하여 스위치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 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구조는 안테나(110), 송수신 처리부(120), 부가장치부(130), 제어부(140), 전원공급부(150), 스위치(160) 등을 포함한다.
안테나(110)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도체로서 전기적 에너지나 정보를 전송선로를 이용하지 않고, 공간을 통해 전기적 에너지를 전파로 바꾸어 송신하거나 전파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송수신 처리부(120)는 기지국(미도시)과 데이터 및 음성 신호를 RF 신호로 송수신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고유 주파수 대역에 맞게 송수신 RF 신호의 잡음 제거, 증폭 등을 수행하여 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거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110)를 통해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부가장치부(130)는 모바일 게임 저장부(132), MP3 재생부(134) 및 카메라 모듈(13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바일 게임 저장부(132)는 무선 인터넷 또는 데스크 탑 컴퓨터(미도시)에서 다운받은 모바일 게임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 저장부(132)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모드 변경에서 게임 모드를 선택해서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치(160)가 모바일 게임 저장부(132)와 전원공급부(150)만을 연결하고, 모바일 게임 저장부(132)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면, 제어부(140)로 모바일 게임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MP3 재생부(134)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MP3 재생을 선택하면, 제어부(140)가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MP3 파일을 읽어와서 표시부(미도시)에 디스플레이하고, 키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가 선곡하는 MP3 파일을 저장부(미도시)로부터 읽어들이면, MP3 재생부(134)는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MP3 파일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MP3 재생부(134)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모드 변경에서 MP3 모드를 선택해서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치(160)가 MP3 재생부(134)와 전원공급부(150)만을 연결하고, MP3 재생부(134)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면,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MP3 파일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 모듈(136)은 화상통신이 가능하고, 외부의 물상을 읽어들여 읽어들인 물상을 이미지로 처리하고 제어부(140)에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36)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모드 변경에서 카메라/동영상 모드를 선택해서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치(160)가 카메라 모듈(136)과 전원공급부(150)만을 연결하고, 카메라 모듈(136)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면, 외부 의 물상을 읽어들여 읽어들인 물상을 이미지로 처리하고 제어부(14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장치부(130)에 포함되는 부가장치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향후 추가될 부가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모든 기능을 통제하고 제어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모드 변경 요청에 따른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해서 스위치(16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공급부(150)는 배터리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 본체 회로의 각 부분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치(160)는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송수신 처리부(120) 또는 부가장치부(130)의 부가장치들과 전원공급부(150)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160)는 평상시 모드인 일반 모드일 때는 송수신 처리부(120) 및 부가장치부(130)의 부가장치들과 전원공급부(150)를 모두 연결하여 전원공급부(150)가 각 장치들이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다가, 제어부(140)의 모드 변경을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송수신 처리부(120) 및 제어 신호에 맞는 부가장치를 제외한 부가장치부(130)의 부가장치들의 전원을 차단하고, 제어 신호에 맞는 부가장치와 전원공급부(150)만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병원이나 비행기 기내 등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원을 꺼야 하는 구역 또는 통화 불능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부가 기능만을 사용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모드 변경 메뉴를 선택한다(S200, S210).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모드를 변경하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꺼 놓거나 송수신 처리부(120) 및 부가장치부(130)에 전원을 모두 공급하는 일반 모드를 유지한다(S220).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사용 제한 구역 또는 통화 불능 지역에서 사용할 부가 기능의 모드를 키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부가장치부(13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해당하는 부가장치를 제외한 부가장치 및 송수신 처리부(120)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160)에 전달한다(S230).
제어부(14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송수신 처리부(120) 및 부가장치부(13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해당하는 부가장치를 제외한 부가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해당하는 부가장치와 전원공급부(150)만을 연결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S240).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과정을 표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3A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메뉴 화면에서 휴대폰 모드 변경을 선택 하면, 3B처럼 휴대폰 모드 변경 메뉴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3B에서처럼 MP3 모드를 선택하면 3C와 같이 MP3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화면이 표시되고, MP3 모드의 설정을 확인하면, 3D와 같이 MP3 모드가 설정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 및 MP3 모드를 제외한 부가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함으로써 통화 불능 지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수신하는 전파로 인한 장비의 오동작을 예방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꺼야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제한 구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차단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부가 기능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화 불능 지역에서 통신 기능을 차단함으로써, 기지국과 통신을 시도하기 위한 신호 찾기로 인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제한 구역 또는 통화 불능 지역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을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 및 음성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로 출력하거나,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RF 신호를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송수신 처리부, MP3 재생 기능, 게임 기능 및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부가장치부 및 배터리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회로의 각 부분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차단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부가장치만을 사용할 수 있는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능 및 상기 부가 기능을 차단 또는 사용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전송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상기 부가장치를 제외한 기타 부가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해서, 상기 모드 변경 요청 신호에 맞는 상기 부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사용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부가장치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송수신 처리부 및 상기 부가장치를 제외한 상기 기타 부가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평상시 모드인 일반 모드일 때는 상기 송수신 처리부 및 상기 부가장치부의 상기 부가장치들과 상기 전원공급부를 모두 연결하여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부가장치들이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가 전송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송수신 처리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맞는 부가장치를 제외한 상기 부가장치부의 상기 기타 부가장치들의 상기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맞는 부가장치와 상기 전원공급부만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제한 구역 또는 통화 불능 지역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만을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차단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부가장치만을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 변경 요청에 따른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해서 스위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상기 부가장치를 제외한 기타 부가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장치와 전원공급부만을 연결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를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제어 신호를 제어부에서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변경 요청에 따른 상기 부가장치를 제외한 상기 기타 부가장치 및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송수신 처리부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스위치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장치와 전원공급부만을 연결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방법.
KR1020050085809A 2005-09-14 2005-09-14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31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809A KR20070031113A (ko) 2005-09-14 2005-09-14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809A KR20070031113A (ko) 2005-09-14 2005-09-14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113A true KR20070031113A (ko) 2007-03-19

Family

ID=4365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809A KR20070031113A (ko) 2005-09-14 2005-09-14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11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8175A (zh) * 2019-09-05 2021-03-05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8175A (zh) * 2019-09-05 2021-03-05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US11394117B2 (en) * 2019-09-05 2022-07-19 Innolux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60212A1 (en) Method &amp; apparatus for disabling the RF functionality of a multi-func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hile maintaining access to local functionality
CN107770759B (zh) 蓝牙语音链路的建立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US20050101350A1 (en) Communication device
KR20060010087A (ko) 듀얼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20067461A (ko) 휴대 단말기의 복합 기능 일체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JP3658182B2 (ja) 携帯電話端末
JP2002330483A (ja) 移動通信機、被遠隔制御機器、及び遠隔制御方法
JP3775962B2 (ja) 携帯型無線情報端末装置
CN110011035B (zh) 天线结构和电子设备
CN109687150B (zh) 一种天线结构和电子设备
KR20070031113A (ko) 통신 기능과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이동통신단말기
JP2001036456A (ja) 移動無線装置及び移動無線装置の制御方法
JP2007311956A (ja) 携帯通信端末
JP5451581B2 (ja) 携帯電話端末の消費電力を低減する方法
US7991428B2 (en) Dual-mode dual-standby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communication by sensing thereof
KR100812489B1 (ko) 휴대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저전력 모드 구현 방법
US2002004225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selective power supply function
CN113329297B (zh) 控制方法、控制装置以及电子设备
JP2005252386A (ja) 情報端末装置
JP2002164988A (ja) 携帯端末装置用のアダプタ
KR10069813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JP3019889B2 (ja) 移動電話機
KR20090091928A (ko) 단말장치와, 이에 포함되는 통신모듈 및 ui모듈과,단말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JP3614846B2 (ja) 携帯電話端末
KR100810374B1 (ko) 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