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374B1 - 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374B1
KR100810374B1 KR1020070003286A KR20070003286A KR100810374B1 KR 100810374 B1 KR100810374 B1 KR 100810374B1 KR 1020070003286 A KR1020070003286 A KR 1020070003286A KR 20070003286 A KR20070003286 A KR 20070003286A KR 100810374 B1 KR100810374 B1 KR 100810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rtable terminal
portable
charging cradle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상
김종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3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공유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가 인입 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들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충전거치대와 상기 충전거치대에 인입되면 상기 충전거치대에 인입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휴대단말기에게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면서 데이터를 갱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충전거치대

Description

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를 위한 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제1 휴대단말기 및 제2 휴대단말기의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데이터 공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를 통해 데이터를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전 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기기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때문에 휴대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특히 휴대단말기는 점점 소형화, 다기능 및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데이터를 공유하는 기능이다.
데이터 공유 기능은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와 다른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며 데이터를 공유하는 기능으로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기능으로 현재 많은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공유 기능은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에서만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배터리 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데이터 공유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가 인입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들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충전거치대와, 상기 충전거치대에 인입되면 상기 충전거치대에 인입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휴대단말기에게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면서 데이터를 갱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공유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들이 충전거치대에 인입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들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에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는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면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공유 장치는 제1 휴대단말기(100), 충전거치대 (110), 제2 휴대단말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휴대단말기(100) 및 제 2 휴대단말기(120)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충전거치대(110)에 인입되면 제1 휴대단말기(100)는 저장된 데이터를 충전거치대(110)를 통해 제2 휴대단말기(120)로 송신한다.
또한 제2 휴대단말기(120)는 저장된 데이터를 제1 휴대단말기(100)로 송신하며, 제1 휴대단말기(100) 및 제2 휴대단말기(120)는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갱신한다.
충전거치대(110)는 제1 휴대단말기(100) 및 제2 휴대단말기(120)가 인입되면 제1 휴대단말기(100)의 데이터를 제2 휴대단말기(120)로 송신하고, 제2 휴대단말기(120)의 데이터를 제1 휴대단말기(100)로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휴대단말기를 제1 휴대단말기(100), 제2 휴대단말기(120)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휴대단말기(100) 및 제2 휴대단말기(120)는 각각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휴대단말기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제1 휴대단말기(100) 또는 제2 휴대단말기(120)에 해당하는 도시된 휴대단말기는 제어부(200), 메모리부(210), 키입력부(220), 표시부(230), 오디오처리부(240), 모뎀(250), 무선송수신부(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휴대단말기(100) 또는 제2 휴대단말기(120)에 해당하는 휴대단말기는 제1 휴대단말기(100) 및 제2 휴대단말기(12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며, 제1 휴대단말기(100) 또는 제2 휴대단말기(120) 중 어느 하나가 되어도 무방하므로 제1 휴대단말기(100)의 기능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제어부(200)는 제1 휴대단말기(100) 또는 제2 휴대단말기 (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휴대단말기(100)가 충전거치대(110)에 인입되면 충전거치대(110)에 인입된 제2 휴대단말기(120)에게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제1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부(200)는 데이터 전송모드에서 제2 휴대단말기(12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저장된 데이터와 수신된 제2 휴대단말기(120)의 데이터를 비교하며 갱신한다.
메모리부(21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사용자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공유 모드에서 전송되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며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해 제어 부(200)를 통해 엑세스되는 운영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롬(ROM)과, 제어부(200)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제어 명령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키입력부(220)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표시부(2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LCD 또는 OLE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230)는 키입력부(220)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40)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송수신부(26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40)는 무선송수신부(260)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 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덱은 제어부(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모뎀(MODEM)(25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무선송수신부(260)는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가 충전거치대(110)에 인입되면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들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제1 휴대단말기 및 제2 휴대단말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휴대단말기(100) 및 제2 휴대단말기(120)가 충전거치대(110)에 인입되면, 제1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부(200)(이하 제1 제어부라 칭함) 및 제2 휴대단말기(120)의 제어부(200)(이하 제2 제어부라 칭함)는 제1 휴대단말기(100) 및 제2 휴대단말기(120)가 충전거치대(110)에 인입되었는지 판단하는 300단계와 301단계를 수행한다.
300단계와 301단계에서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의 판단하에 제1 휴대단말기(100) 및 제2 휴대단말기(120)가 충전거치대(110)에 인입되었으면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는 상호간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302단계와 303단계를 수행한다.
302단계와 303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기(100) 및 제2 휴대단말기(120)간의 데이터 송신이 수행되면, 제1 제어부는 304단계에서 제2 휴대단말기(120)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304단계에서 제2 휴대단말기(12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었으면 제1 제어부 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저장된 데이터와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한다.
305단계에서 저장된 데이터와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하는 중에 새로운 데이터가 존재하면 제1 제어부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데이터의 존재를 판단하고 307단계에서 데이터를 갱신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2 휴대단말기(120)의 데이터 송수신을 설명하면, 302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되면 제2 제어부는 308단계에서 제1 휴대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 수신이 있는지 판단한다.
308단계에서 제2 제어부의 판단하에 데이터가 수신되었으면 제2 제어부는 309단계에서 제2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와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한다.
309단계에서 데이터를 비교하는 중에 새로운 데이터가 존재하면 제2 제어부는 310단계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판단하고 311단계에서 데이터를 갱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제1 휴대단말기(100) 및 제2 휴대단말기(120)는 충전거치대(110)의 인입만으로 상호간의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휴대단말기 내에 데이터 공유를 위한 기능을 따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전화번호를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에 지정하여 하나의 휴대단말기는 외부에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휴대단말기는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호 휴대단말기 간의 데이터를 공유하여 하나의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내부에서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는 멸균 및 친환경적인 휴대단말기 사 용하여 집안에서 사용할 경우 아이들을 세균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를 충전거치대에 인입함으로써 충전과 동시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간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이터 공유를 위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휴대단말기도 쉽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데이터 공유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가 인입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들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충전거치대와,
    상기 충전거치대에 인입되면 상기 충전거치대에 인입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휴대단말기에게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면서 데이터를 갱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거치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들이 인입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들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가 송수신하는 데이터는,
    문자메시지, 통화기록, 사진 데이터, 음악파일 및 폰북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는,
    상기 충전거치대에 인입된 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키입력이 감지되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장치.
  5. 데이터 공유 장치에 있어서,
    충전거치대에 인입되면 상기 충전거치대에 인입된 제2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며 갱신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 송신하는 제1 휴대단말기와,
    충전거치대에 인입되면 상기 충전거치대에 인입된 상기 제1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며 갱신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1 휴대단말기에 송신하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와,
    상기 제1 휴대단말기 및 상기 제2 휴대단말기가 인입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2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상기 제1 휴대단말기로 송신하는 충전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거치대는,
    상기 제1 휴대단말기 및 상기 제2 휴대단말기가 인입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 및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기 및 상기 제2 휴대단말기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문자메시지, 통화기록, 사진 데이터, 음악파일 및 폰북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기 및 상기 제2 휴대단말기는,
    상기 충전거치대에 인입된 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키입력이 감지되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장치.
  9. 데이터 공유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들이 충전거치대에 인입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들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에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는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면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들이 충전거치대에 인입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들에게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가 송수신을 수행하는 데이터는,
    문자메시지, 통화기록, 사진 데이터, 음악파일 및 폰북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가 충전거치대에 인입된 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키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휴대단말기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방법.
  13. 데이터 공유 방법에 있어서,
    제1 휴대단말기 및 제2 휴대단말기가 충전거치대에 인입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며 갱신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1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며 갱신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기 및 상기 제2 휴대단말기가 충전거치대에 인입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 및 상기 제2 휴대단말기에게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기 및 상기 제2 휴대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문자메시지, 통화기록, 사진 데이터, 음악파일 및 폰북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기 및 제2 휴대단말기가 상기 충전거치대에 인입된 상대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키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 및 상기 제2 휴대단말기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방법.
KR1020070003286A 2007-01-11 2007-01-11 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0810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286A KR100810374B1 (ko) 2007-01-11 2007-01-11 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286A KR100810374B1 (ko) 2007-01-11 2007-01-11 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374B1 true KR100810374B1 (ko) 2008-03-04

Family

ID=3939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286A KR100810374B1 (ko) 2007-01-11 2007-01-11 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3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758A (ko) 1999-08-30 2001-03-15 구자홍 데이터송수신 겸용 충전크레들
KR200421364Y1 (ko) * 2006-04-13 2006-07-13 김영길 유무선 전화 연동 결합 단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758A (ko) 1999-08-30 2001-03-15 구자홍 데이터송수신 겸용 충전크레들
KR200421364Y1 (ko) * 2006-04-13 2006-07-13 김영길 유무선 전화 연동 결합 단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456B1 (ko)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자동등록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44301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휴대 단말기및 그 방법
KR20120065549A (ko) 터치 패널 운용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WO2006088273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mobile phones
US20080086301A1 (en) Audio communication apparatus, audio communication system, audio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audio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KR20070046018A (ko)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데이터 출력방법
KR100810374B1 (ko) 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0800771B1 (ko) 휴대단말기를 통해 외부 오디오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 및방법
KR10060607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정보 동기화 방법
KR1006780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능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07000026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835209B1 (ko) 휴대단말기에서의 영상데이터 전송 방법
KR100365778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 통화 발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8908A (ko) 블루투스 피티티 단말 장치 그리고 이를 가지는 블루투스 피티티 시스템
JP2011061846A (ja) 携帯電話端末の消費電力を低減する方法
KR100834658B1 (ko) 휴대단말기에서 폰북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01586A (ko) 4극 이어폰 및 이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
KR100762658B1 (ko) 휴대단말기에서 볼륨 조절 장치 및 방법
US20030157889A1 (en) Wireless mobile device
KR10079014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325714Y1 (ko) 다기능 휴대폰
KR20110093295A (ko) 휴대단말기에서 vNote를 적응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00694B1 (ko) 스케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800732B1 (ko)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13472B1 (ko) 휴대단말기의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