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018A -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데이터 출력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데이터 출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018A
KR20070046018A KR1020060105893A KR20060105893A KR20070046018A KR 20070046018 A KR20070046018 A KR 20070046018A KR 1020060105893 A KR1020060105893 A KR 1020060105893A KR 20060105893 A KR20060105893 A KR 20060105893A KR 20070046018 A KR20070046018 A KR 20070046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splay device
data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호
황현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46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 본체; 상기 본체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 디스플레이, 무선 통신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데이터 출력방법{PORTABLE TERMINAL AND DATA OUTPUT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본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컴퓨터의 연결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체의 상세 구성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출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데이터 출력방법에 관해 개시한다.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또는 서비스 업자 사이에 서 전기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기기로서, 음성 통화, 단문 메시지와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는 물론 멀티미디어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모바일 뱅킹 등의 다양한 서비스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들은 문자 등 정보 입력, 화상 촬영, 동영상 감상 등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가 인식하게 되는 화면을 실질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초기에 단순 문자 정보와 간단한 아이콘 표시를 위한 흑백 LCD(liquid crystal display)로부터 점차 그레이스케일, TFT LCD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색상을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촬영, 동영상 감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위성 또는/및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 등의 방송 수신기를 내장하여,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도 있다.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즈가 점차 소형화 추세로 진행되고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도 점차 작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작은 화면에 많은 양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촬영된 영상에 대한 결점을 확인하는 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따라서, 많은 사용자들이 휴대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인터넷으로 전송하거나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통해 일반 컴퓨터의 모니터를 통해 확인하거나, TV 화면을 통해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리 또는 장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데이터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지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데이터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 본체; 상기 본체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서로 다른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며 데이터가 저장된 본체; 데이터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본체 상호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부; 상기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장착시 유선 접속을 위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출력 방법은 본체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가 분리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본체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가 분리되었을 경우, 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 상호 간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본체의 출력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실시간 처리하고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본체(110) 및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본체(110)로부터 착탈되는 구조이다.
상기 본체(110)는 단말기의 각 종 기능이 내장되며, 키 입력부(106) 및 커넥터 등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정보 표시를 위한 최소한의 구성 요소를 내장하고 있으며, 표시부(134)로 데이터를 표시해 준다.
이러한 본체(110) 및 디스플레이 장치(130) 상호간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본체(110)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30)에 데이터를 전송해 주고,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표시부(134)를 통해 표시해 준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본체(110)로부터 전송되는 각 종 정보나 A/V(Audio/Video)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도록 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 및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일체형 구조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체(110)의 소정 부위에 착탈부(150)를 형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장착부(미도시)와 결합시켜 줌으로써, 본체(110)와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일체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의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본체(110)에 힌지 방식, 후크 방식, 슬라이딩 방식, 회전 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및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터(200)와 본체(110) 사이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를 이용하거나 무선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선 방식으로는 USB 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110)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컴퓨터(200)로 전달할 수도 있고, 컴퓨터(200)의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의 본체(110)에 옮겨 저장할 수도 있어,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 오디오 파일 등을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의 본체(110)는 컴퓨터(200)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시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통해 재생시켜 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본체(110)와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장착 또는 분리되는 구조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30)가 분리되어 사용되는 경우 본체(1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본체(110)와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상호 간이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2.4GHz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내 전파를 이용하여,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1Mbps에 통상전송 거리인 10m로 무선 데이터 통신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본체(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원격 제어하여, 본체(110)에 저장된 각 종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3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재생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본체(110)와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체형 구조에서는 본체(110)와 디스플레이 장치(130) 상호간은 커넥터를 통해 직접 접속되어, 유선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체(110)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일체형 또는 분리형 결합 방식에 따라 커넥터를 이용한 유선 통신 모드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10)는 RF(Radio Frequency)부(111), 데이터 처리부(112), 오디오 처리부(113), 스피커(114), 마이크(115), 키 입력부(116), 카메라부(117), 메인 메모리(118), 제 1근거리 통신부(119), 메인 제어부(120), 제 1커넥터(121), 전원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RF부(111)는 휴대 전화를 위한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RF부(111)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EGSM(Extend GSM), DCS(Digital Cordless System),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중 하나 이상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도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12)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며,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기능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12)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13)는 상기 메인 제어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 환하여 스피커(114)를 통해 출력해 주고, 마이크(115)로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키 입력부(116)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 들을 구비한다.
메인 메모리(118)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전화기의 호 처리 등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각 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이 저장되고, 데이터 메모리는 텍스트 파일 뿐만 아니라, 동영상 파일, 오디오 파일(예: MPEG 3), 이미지 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메인 메모리(118)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과, 제어 프로그램이 실제 동작하는 영역으로 데이터 처리를 위한 임시 저장 메모리로 사용되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과,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Flash ROM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부(117)는 이미지 또는 동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카메라부(117)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는 메인 메모리(118)에 저장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기 본체(110)에는 다른 부가 기능으로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또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 Digital Audio Broadcasting) 등의 방송 수신기를 탑재할 수도 있다.
메인 제어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 다. 또한 메인 제어부(12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휴대 단말기의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120), 데이터 처리부(112) 및 오디오 처리부(113) 등이 하나의 칩으로 집적된 통신 칩(예: MSM)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메인 제어부(120)는 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를 동기시킨 후, 통화 모드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 등을 구분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착탈 여부에 따라 무선 통신 또는 커넥터 통신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제 1근거리 통신부(119)는 상기 메인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해당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변조하여 전송하거나, 수신되는 데이터를 해당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복조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120)에 출력한다. 상기 제 1근거리통신부(119)는 IrDA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Zigbee, WLAN(Wireless LAN), Binary CDMA, Wireless USB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RFID 리더를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근거리 통신부(119)는 본체(110)와 근거리에 위치한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다른 통신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 1커넥터(121)는 USB 포트 또는 유선 데이터 포트를 포함하며, 컴퓨터, TV,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유선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121)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도킹(DOCKING) 방식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전원부(122)는 메인 전원부로서 본체(110)의 각 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주고, 디스플레이 장치(130)가 접속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에도 전원을 공급해 줄 수 있다.
도 6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제 2근거리통신부(131), 서브 제어부(132), 비디오 처리부(133), 표시부(134), 오디오 처리부(135), 스피커(136), 보조 메모리(137), 제 2커넥터(138), 전원부(139)를 포함한다.
상기 제 2근거리 통신부(131)는 본체의 제 1근거리 통신부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모듈로서, 서브 제어부(13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해당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변조하여 전송하거나, 수신되는 데이터를 해당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복조하여 상기 서브 제어부(132)에 출력한다. 이러한 제 2근거리 통신부(131)는 IrDA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Zigbee, WLAN(Wireless LAN), Binary CDMA, Wireless USB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간의 통신 방법으로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경우, 블루투스 모듈은 고주파신호를 받아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할 수 있게 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바꾸어 전송하는 기능을 하는 RF부(Radio Frequency)와, 피지컬 레이어(physical layer)의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부분인 베이스 밴드부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통신 대상으로는 본체 뿐만 아니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서브 제어부(132)는 상기 제 2근거리 통신부(131)를 제어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비디오 및 오디오 처리부(133,135)로 전달함으로써, 표시부(134) 및 스피커(136)를 통해 데이터 재생이 이루어진다. 이때의 서브 제어부(132)는 본체로부터 실시간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 받아 비디오 및 오디오 처리부(133,135)로 전달해 준다.
상기 보조 메모리(137)에는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과,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실제 동작하는 영역으로 데이터 처리를 위한 임시 저장 메모리로 사용되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LED(Polymer LED),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FED(Field Emission Display) Electro-wetting display, 디지털 페이퍼(Electro-paper) 등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구현되는 표시 소자에는 구동 드라이버가 포함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30)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 음성 인식기, 버츄얼 키보드 등의 키 입력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피커 뿐만 아니라 헤드폰 또는/및 헤드 셋을 접속할 수 있는 오디오 출력 포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139)는 배터리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해 준다. 이때 상기 전원부(139)는 본체와의 결합시 본체의 메인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출력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10)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30)에 출력할 데이터의 전송 요구가 있으면(S101), 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분리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가 분리된 상태이면 상기 본체(110)와 디스플레이 장치(130) 상호간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접속을 수행하게 된다(S103). 이때 접속 방식은 블루투스 방식일 경우 본체(1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30)에 접속 요청 신호를 보낸 후 디스플레이 장치(130)로부터 접속 허락 신호를 받아서 접속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110)는 접속된 통신 방식으로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30)에 실시간 전송해 주며(S105),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S107), 수신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S109), 표시부 및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게 된다(S111).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영상 파일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이 수신되면 실시간 재생해 준다.
이후, 본체(110)에서는 재생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S113), 본체(110)와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무선 데이터를 위한 접속이 해제할 수도 있다(S115).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본체가 디스플레이 장치와 근거리로 이격된 상태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규격 등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리할 수 있어, 본체의 사이즈를 제한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가 기능들을 내장이 가능하며 대용량 메모리를 탑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도 사이즈를 본체에 제약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본체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가전 제품과도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휴대 단말기의 본체에서 홈 네트워킹할 수 있는 공간으로 2.4GHz 무선주파수를 이용하는 무선 기술 기반의 Ethernet Home RF(Home Radio Frequency) 또는 블루투스 통신기술에 의해 구축된 가전제품 네트워킹 기술에 의하여 각 종 정보가 송수신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체에 입력되는 영상, 텍스트 등의 데이터를 통해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전제품의 제어도 가능해진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본체는 전시회장, 공공기관, 경마장, 쇼핑 몰, 슈퍼마켓 등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출력되는 광고 영상, 동영상, 지도 등의 위치정보 , 관광 안내, RF 태그가 부착된 상품들의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좀 더 넓은 화면에서 정확하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가 분리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격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단말기 본체로부터 각 종 데이터를 받아 표시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데이터를 시청할 수 있다.

Claims (20)

  1.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 본체;
    상기 본체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키 입력을 위한 키 입력부,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 각 종 제어를 위한 메인 제어부,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GSM, EGSM, DCS, PCS 대역 중 하나 이상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부, 상기 RF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신 제어 및 데이터 처리를 제어하는 서브 제어부와, 수신되는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헤드 폰 또는 헤드 셋을 통해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는 착탈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 UWB, ZigBee, WLAN, Binary CDMA, IrDA, Wireless USB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LED(Polymer LED),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FED(Field Emission Display) Electro-wetting display, Electro-paper 중 어느 하 나 이상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 음성 인식기, 버츄얼 키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각각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선 접속을 위해 커넥터를 각각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RFID 리더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5. 서로 다른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며 데이터가 저장된 본체;
    데이터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본체 상호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부;
    상기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장착시 유선 접속을 위한 커넥터를 각각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 UWB, ZigBee, WLAN, Binary CDMA, IrDA, Wireless USB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GSM, EGSM, DCS, PCS 대역 중 하나 이상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부, 상기 RF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착탈되는 휴대 단말기.
  19. 본체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가 분리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본체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가 분리되었을 경우, 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 상호 간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본체의 출력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실시간 처리하고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출력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넥터를 통해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출력방법.
KR1020060105893A 2005-10-28 2006-10-30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데이터 출력방법 KR200700460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549 2005-10-28
KR20050102549 2005-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018A true KR20070046018A (ko) 2007-05-02

Family

ID=3796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893A KR20070046018A (ko) 2005-10-28 2006-10-30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데이터 출력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46018A (ko)
WO (1) WO200704993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800A (ko) * 2007-07-19 2009-01-22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분리 가능한 영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영상 표시방법
KR101454546B1 (ko) * 2013-06-20 2014-10-28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본체 분리가 가능한 레고형 스마트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7387A2 (en) * 2007-01-15 2008-07-24 University Of Wales Institute, Cardiff Interactive prototype assessment system
US9124715B2 (en) 2011-03-15 2015-09-01 Nokia Technologies Oy Mobile user apparatus and a mobile accessory apparatus for the mobile user apparatus
CN210405375U (zh) 2018-12-29 2020-04-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手机及其主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5968A (ja) * 1995-06-06 1996-12-17 Sony Corp 携帯用情報端末装置
JP2002152696A (ja) * 2000-11-10 2002-05-24 Hitachi Ltd 携帯端末
JP3951882B2 (ja) * 2001-11-02 2007-08-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800A (ko) * 2007-07-19 2009-01-22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분리 가능한 영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영상 표시방법
KR101454546B1 (ko) * 2013-06-20 2014-10-28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본체 분리가 가능한 레고형 스마트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49933A1 (en) 200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941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Media Data
KR101521309B1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416305B2 (en) Portable Wi-Fi digital video camcorder and system with thereof
KR20140146362A (ko) 휴대단말기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70043313A (ko) 보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99364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mitted from a wireless headset
US7085538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mage transmission function
WO2006088273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mobile phones
CN111565410A (zh) 一种无线信号质量评估方法、电子设备及系统
KR20070046018A (ko)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데이터 출력방법
US201202719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contents in cpns environment
CN101449619B (zh) 功率高效的无线网络检测
CN113170279A (zh) 基于低功耗蓝牙的通信方法及相关装置
CN114285938A (zh) 一种设备推荐方法及设备
CN108306795A (zh) 一种电子设备控制的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US9392098B2 (en) Dummy terminal and main body
CN104768084A (zh) 实现对讲的方法、装置及系统
US200701959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data using wireless terminal
KR101076500B1 (ko)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JP2002044763A (ja) 電子機器
CN115525366A (zh) 一种投屏方法及相关装置
US20070054694A1 (en) Method for activating specific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037604A1 (en) Mobile terminal having display unit separable from main unit and method thereof
KR1006780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능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030012918A (ko) 휴대폰용 모바일기기에서 현재 작동되고 있는 콘텐츠를일반 오디오/비디오 재생 기기에서 재생하는 장치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