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369A - 서류 고정용 클립 - Google Patents

서류 고정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369A
KR20070030369A KR1020050084966A KR20050084966A KR20070030369A KR 20070030369 A KR20070030369 A KR 20070030369A KR 1020050084966 A KR1020050084966 A KR 1020050084966A KR 20050084966 A KR20050084966 A KR 20050084966A KR 20070030369 A KR20070030369 A KR 20070030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ing portion
clip
docume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은
Original Assignee
박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은 filed Critical 박성은
Priority to KR1020050084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0369A/ko
Publication of KR20070030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류 고정용 클립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결합부, 및 제1 결합부로부터 예각으로 절곡 형성된 제1 그립부가 구비된 제1 클립 부재; 제1 결합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로부터 예각으로 절곡 형성되되 제1 그립부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제1 그립부와 함께 서류를 집는 제2 그립부가 구비된 제2 클립 부재; 및 제1 및 제2 결합부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의 회동 중심에 대응되게 이동한 상태에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를 고정하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해제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서류 고정용 클립{Clip for filing paper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류 고정용 클립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류 고정용 클립에 대한 조립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서류 고정용 클립의 작동 예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류 고정용 클립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류 고정용 클립에 대한 조립도.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서류 고정용 클립의 작동 예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류 고정용 클립에 대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서류 고정용 클립에 대한 조립도.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서류 고정용 클립의 작동 예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210,310..제1 클립 부재 111,211,311..제1 결합부
116,216,316..제1 그립부 120,220,320..제2 클립 부재
121,221,321..제2 결합부 126,226,326..제2 그립부
130,230,330..고정해제 부재
본 발명은 서류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발의 서류를 용이하게 집어서 고정하여 철(綴)하고 서류로부터 손쉽게 분리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서류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클립이란 다발의 서류를 집어서 고정하여 철하는 사무용품을 이르는 것으로, 그 종류로는 조작 레버를 손가락으로 조작해서 서로 맞닿는 편(片)들 사이를 넓혀 서류를 집은 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고정하는 더블클립, 탄성판상체(彈性板狀體)를 절곡시켜 서로 맞닿는 편들을 형성하고 클립장착기를 이용하여 서류를 집어서 탄성 복원력으로 고정하는 날클립 등이 있다. 그런데, 더블클립은 서류를 집어서 고정하는데 있어서는 별 문제가 없지만, 대형 사이즈가 되면 맞닿는 편들 사이를 넓히는 조작에 큰 힘이 소요된다. 게다가, 더블클립에 의해 각각 고정된 서류들을 함께 쌓아두는 경우 조작 레버가 설치된 부위로 인해 부피가 커지게 되며, 서류를 넘길 때에는 조작 레버를 외측으로 젖혀서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날클립은 그 사용을 위해 항상 별도의 클립장착기가 함께 준비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서류를 복사하거나, 날클립에 의해 고정된 서류에 다른 서류를 추가하기 위해 날클립을 서류로부터 분리시킨 경우, 다시 날클립을 장착하고자 할 때 클립장착기가 주변에 없게 되면 그 불편함이 심각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예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17559호에 개시된 클립이 있다. 이에 따른 클립에는 비교적 작은 스프링 정수를 갖는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클립 본체의 외측에 비교적 큰 스프링 정수를 갖는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압압(押壓) 커버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클립은 클립 본체가 압압 커버 내에 끼워지도록 서류를 밀어 넣게 되면 압압 커버 내에 끼워진 클립 본체에 의해 서류가 압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별 다른 도구가 없어도 손으로 클립을 서류에 손쉽게 장착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클립은 서류에 장착된 이후에 외부로부터 힘을 받게 되면 압압 커버로부터 클립 본체가 미끄러져 쉽게 분리될 우려가 높으며, 압압 커버 내에 클립 본체가 끼워지는 적층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클립보다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발의 서류를 용이하게 집어서 고정하여 철할 수 있으며, 서류를 철한 상태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는 서류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류 고정용 클립은,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예각으로 절곡 형성된 제1 그립부가 구비된 제1 클립 부재; 상기 제1 결합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로부터 예각으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제1 그립부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그립부와 함께 서류를 집는 제2 그립부가 구비된 제2 클립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의 회동 중심에 대응되게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를 고정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해제 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류 고정용 클립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류 고정용 클립에 대한 조립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서류 고정용 클립의 작동 예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류 고정용 클립은(100), 서류(D)를 고정하여 철하기 위한 것으로, 상호간에 회동 가능하게 된 제1 클립 부재(110) 및 제2 클립 부재(120)와, 상기 제1 클립 부재(110)와 제2 클립 부재(120) 사이의 회동 중심에 대응되게 이동한 상태에서 제1 클립 부재(110)와 제2 클립 부재(120) 사이를 고정하고 회동 중심으로 벗어나게 이동한 상태에서 제1 클립 부재(110)와 제2 클립 부재(120) 사이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해제 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클립 부재(110)(120)는 절곡된 판상 구조를 가지며 탄성 소재로 각각 이루어진다. 상술하면, 상기 제1 클립 부재(110)는 제1 결합부(111)와, 상기 제1 결합부(111)로부터 예각으로 절곡 형성된 제1 그립부(11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클립 부재(120)는 제2 결합부(121)와, 상기 제2 결합부(121)로부터 예각으로 절곡 형성된 제2 그립부(126)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는 제1 클립 부재(110)와 제2 클립 부재(120) 사이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1 그립부(116)와 제2 그립부(126) 사이가 상호 대향되도록 결합된다.
이렇게 상호 대향된 제1 및 제2 그립부(116)(126)는 그 사이에 서류(D)를 집어서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1 그립부(116)와 제2 그립부(126)의 간격은 이들이 제1 및 제2 결합부(111)(121)로부터 90°보다 작은 예각으로 각각 절곡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가 고정해제 부재(13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절곡된 측으로부터 자유단 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그립부(116)(126)가 제1 및 제2 결합부(111)(121)로부터 각각 절곡된 각도는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가 고정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그립부(116)(126)의 자유단 측에서 상호 맞닿아 다물어짐으로써 서류(D)의 두께가 얇더라도 충분히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을 정도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그립부(116)(126)는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의 고정이 해제되어 이완되면 그 사이가 자유로이 벌어지도록 동작함으로써 서류(D)가 손쉽게 끼워질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그립부(116)(126)는 그 사이가 자유로이 벌어지고 다물어지도록 동작하게 되는데, 이는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 (121) 사이의 결합 구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부(111)에는 중앙 측에 복수의 결합 공(112)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121)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1 결합부(111)의 결합 공(112)들에 각각 끼워지는 결합 편(122)들이 구비된다. 이처럼 결합 공(112)이 제1 결합부(111)의 중앙 측에 형성되고, 결합 편(122)이 제2 결합부(121)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됨에 따라, 결합 공(112)에 결합 편(122)이 끼워지게 되면 제1 및 제2 결합부(111)(121)는 일부 영역에서 대향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결합 편(122)은 제2 결합부(121)의 가장자리로부터 제2 그립부(126)의 반대 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90°보다 큰 둔각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 편(122)은 제1 결합부(111)의 외측으로부터 결합 공(112)을 통과하여 끼워짐으로써 제1 결합부(111)의 제1 그립부(116)와 예각을 이루는 내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결합 편(122)은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가 고정해제 부재(130)에 의해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됨으로써 제1 결합부(111)의 내측 면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탄성 변형된 결합 편(122)은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의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려고 하므로, 그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제1 결합부(111)를 외측으로 회동시켜 제1 그립부(116)와 제2 그립부(126) 사이가 자동으로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그 벌어진 사이로 서류(D)가 손쉽게 끼워질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결합 편(122)은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결합 공(112) 에 끼워져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결합 공(112)은 상하 폭이 결합 편(122)의 두께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된다. 하지만, 이처럼 결합 공(112)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결합 편(122)이 완전히 끼워져 설치된 이후에는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가 쉽게 분리될 우려가 있다. 이는 결합 공(112)의 상단 측부에 슬릿(112a)이 형성되며, 결합 편(122)의 고정단 측에 상기 결합 공(112)의 슬릿에 끼워지도록 연장부(122a)가 형성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동 결합된 제1 및 제2 결합부(111)(121) 상에는 판상 부재로 이루어진 고정해제 부재(1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해제 부재(130)는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의 회동 중심에 대응되게 이동한 상태에서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가 회동하지 않도록 억제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이동한 상태에서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제1 클립 부재(110)와 제2 클립 부재(120) 사이를 고정하고 해제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고정해제 부재(130)는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의 고정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결합부(111)(121)를 전체적으로 덮어서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렇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고정해제 부재(120)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집어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용 레버(131)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용 레버(121)는 고정해제 부재(130)의 상단에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 으나, 고정해제 부재(130)의 하단에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해제 부재(130)는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벗어날 때 제1 결합부(111)의 상측이나 제2 결합부(121)의 하측으로 어느 방향이든 이동 가능하나, 고정해제 부재(130)가 제1 결합부(111)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해제 부재(130)의 양측에는 가이드 편(132)들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편(132)들은 제1 및/또는 제2 결합부(111)(121)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결합부(111)(121) 측을 향해 대략 180°절곡되되 가이드 공간을 갖도록 각각 형성됨으로써, 고정해제 부재(130)가 제1 및/또는 제2 결합부(111)(121)에 지지되어 안내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편(132)들은 고정해제 부재(130)가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를 고정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의 겹쳐진 부위에서 양 측부를 각각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의 고정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편(132)들은 고정해제 부재(130)의 이동 궤적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 편(132)들은 고정해제 부재(130)가 제1 및 제2 결합부(111)(121)와 조립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겸한다.
이와 같은 고정해제 부재(130)는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해제 부재(130)의 좌우측 가장자리 하단에는 날개부(113)들에 하나씩 대 응되게 걸림 편(133)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걸림 편(133)들은 제1 및 제2 결합부(111)(121) 측을 향하고 상측 방향으로 대략 180°절곡되되 걸림 공간을 갖도록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 편(133)들은 고정해제 부재(130)가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날개부(113)들이 걸림 공간들에 각각 삽입되어 걸릴 수 있게 함으로써,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의 해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걸림 편(133)은 가이드 편(132)과 함께 제1 결합부(111)로부터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해제 부재(130)는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를 고정하도록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해제 부재(130)의 상측 좌우에는 날개부(113)의 상측에 좌우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114)들에 하나씩 대응되게 지지 편(134)들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 편(134)들은 제1 결합부(111) 측으로 각각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 편(134)들의 각 상단은 고정해제 부재(130)가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이동한 상태에서 지지부(114)의 하단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고정해제 부재(130)는 제1 클립 부재(110)에 먼저 조립되며, 그 다음 제1 클립 부재(110)와 제 2 클립 부재(120)와 조립됨으로써 서류 고정용 클립(100)으로 최종 조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서류 고정용 클립(100)의 작동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해제 부재(130)를 제1 클립 부재(110)의 제1 결합부(111)와 제2 클립 부재(120)의 제2 결합부(121) 사이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방으로 벗어나게 이동시키게 되면,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가 고정되지 않고 이완된 상태로 놓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었던 결합 편(122)들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려고 하므로, 그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제1 그립부(116)와 제2 그립부(126) 사이가 자동으로 벌어져 대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서류(D)가 손쉽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제1 그립부(116)와 제2 그립부(126) 사이로 서류(D)가 삽입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해제 부재(130)를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의 회동 중심에 대응되게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1 및 제2 그립부(116)(126)는 자유단 측에서 다물어지려는 방향으로 이동을 함으로써 서류(D)를 압박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서류(D)를 압박하여 고정하는 힘은 탄성 변형된 제1 및 제2 그립부(116)(126)의 탄성 복원력으로부터 기인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그립부(116)(126)는 그 사이에 서류(D)가 끼워진 상태로 자유단 측에서 다물어지려는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끼워진 서류(D)에 의해 억제되어 다물어지려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원래의 절곡된 각도보다 큰 각도로 휘어지는 탄성 변형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그립부(116)(126)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려는 탄성 복원력을 갖게 되며, 그 탄성 복원력으로 서류(D)를 압박 하여 고정함으로써 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서류(D)를 고정하여 철한 서류 고정용 클립(100)을 서류(D)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해제 부재(130)를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방으로 벗어나게 이동시키게 되면, 제1 결합부(111)와 제2 결합부(121) 사이의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어 이완됨으로써, 서류(D)로부터 손쉽게 분리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서류 고정용 클립(100)은 고정해제 부재(130)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서류(D)를 철하고 철한 서류(D)로부터 서류 고정용 클립(100)을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의 날클립에서와 같이 별도의 클립장착기가 필요하지 않게 되며, 비교적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의 더블클립에 비해 부피가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류 고정용 클립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류 고정용 클립에 대한 조립도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서류 고정용 클립의 작동 예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류 고정용 클립(200)은, 상호간에 회동 가능하게 된 제1 클립 부재(210) 및 제2 클립 부재(220)와, 상기 제1 클립 부재(210)와 제2 클립 부재(220) 사이를 고정하고 해제하는 고정해제 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클립 부재(210)는 제1 결합부(211) 및 제1 그립부(216)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클립 부재(220)는 제2 결합부(221)와 제2 그립부(22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 부(221) 사이는 제1 클립 부재(210)와 제2 클립 부재(220) 사이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1 그립부(216)와 제2 그립부(226) 사이가 상호 대향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 그립부(216)(226)는 그 사이에 서류(D)를 집어서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전술한 제1 실시예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그립부(216)와 제2 그립부(226) 사이가 자유로이 벌어지고 다물어지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21) 사이는 다음과 같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부(211)에는 중앙 측에 복수의 결합 공(212)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221)에는 가장자리 측에 형성되어 제1 결합부(211)의 결합 공(212)들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 편(222)들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 편(222)은 제1 결합부(211)의 외측으로부터 결합 공(21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1 결합부(211) 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고정해제 부재(230)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 편(222)은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21) 사이가 분리되지 않고 회동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 공(212)에 끼워진 후 결합 공(212)의 주변에 걸려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 편(222)은 단부 양측에 턱이 각각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1 결합부(211)의 중앙 측에 결합 공(212)이 형성되고, 제2 결합부(221)의 가장자리 측에 결합 편(222)이 형성됨에 따라, 결합 공(212)에 결합 편(222)이 끼워지게 되면 제1 및 제2 결합부(211)(221)는 일부 영역에서 대향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렇게 제1 결합부(211)의 제2 결합부(221)와 대향되는 부위에는 탄성 편(213)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 편(213)은 랜싱(Lancing) 가공 등에 의해 제2 결합부(221) 측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21) 사이가 고정해제 부재(230)에 의해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어 제2 결합부(221)의 내측 면에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이처럼 탄성 변형된 탄성 편(213)은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21) 사이의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려고 하므로, 그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제2 결합부(221)를 외측으로 회동시켜 제1 그립부(216)와 제2 그립부(226) 사이가 자동으로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그 벌어진 사이로 서류(D)가 손쉽게 끼워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탄성 편(213)은 제2 결합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회동 결합된 제1 및 제2 결합부(211)(221) 상에는 판상 부재로 이루어진 고정해제 부재(2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해제 부재(230)는 결합 공(212)과 결합 편(222)이 결합된 부위, 즉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21) 사이의 회동 중심에 대응되게 이동한 상태에서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21) 사이가 회동하지 않도록 억제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21) 사이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이동한 상태에서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21) 사이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한다. 이러한 고정해제 부재(230)는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21) 사이의 고정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결합부(211)(221)를 전체적으로 덮어서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해제 부재(230)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집어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용 레버(23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해제 부재(230)가 제1 및 제2 결합부(211)(221)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제1 결합부(211)에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홀(214)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221)에는 제1 가이드 홀(214)들에 각각 연통되게 대응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홀(224)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 홀(214)들은 각각 고정해제 부재(230)의 이동 궤적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짐으로써, 각 상단이 결합 공(212)의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가이드 홀(224)들은 각 하단이 제1 가이드 홀(214)들의 각 하단과 동일하게 위치되게 형성되며, 각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가이드 홀(214)(224)들에 대응되도록 고정해제 부재(230)에는 한 쌍의 걸쇠(232)가 구비된다. 상기 걸쇠(232)들은 랜싱 가공 등에 의해 각각 고정해제 부재(230)로부터 제1 및 제2 결합부(211)(221)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걸쇠(232)는 외측으로부터 제2 가이드 홀(224)과 제1 가이드 홀(214)에 차례로 끼워진다. 그리고, 이렇게 끼워진 걸쇠(232)는 제1 가이드 홀(214)의 주변에 걸려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걸쇠(232)는 단부 양측에 턱이 각각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제1 가이드 홀(214), 제2 가이드 홀(224), 및 걸쇠(232)는 한 쌍으로 구비된 것 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 쌍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제1 및 제2 가이드 홀(214)(224)에 걸쇠(232)가 끼워져 설치됨에 따라, 고정해제 부재(230)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홀(214)(224)의 안내를 받아 제1 및 제2 결합부(211)(221)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고정해제 부재(230)의 양측에는 가이드 편(233)들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편(233)들은 제1 및/또는 제2 결합부(211)(221)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결합부(211)(221) 측을 향해 대략 180°절곡되되 가이드 공간을 갖도록 각각 형성됨으로써, 고정해제 부재(230)가 제1 및/또는 제2 결합부(211)(221)에 지지되어 안내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편(233)들은 고정해제 부재(230)가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21) 사이를 고정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그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21) 사이의 겹쳐진 부위에서 양 측부를 각각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서류 고정용 클립(200)의 작동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해제 부재(230)를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21) 사이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제1 및 제2 가이드 홀(214)(224)을 따라 상방으로 벗어나게 이동시키게 되면,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21) 사이가 고정되지 않고 이완된 상태로 놓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21) 사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었던 탄성 편(213)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제1 그립부(216)와 제2 그립부(226) 사이가 자동 으로 벌어짐으로써 그 벌어진 사이로 서류(D)가 손쉽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제1 그립부(216)와 제2 그립부(226) 사이로 서류(D)가 삽입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해제 부재(230)를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21) 사이의 회동 중심에 대응되게 제1 및 제2 가이드 홀(214)(224)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1 및 제2 그립부(216)(226)는 자유단 측에서 다물어지려는 방향으로 이동을 함으로써 서류(D)를 고정하여 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서류 고정용 클립(100)을 서류(D)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해제 부재(230)를 이동시킴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류 고정용 클립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서류 고정용 클립에 대한 조립도이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서류 고정용 클립의 작동 예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류 고정용 클립(300)은, 상호간에 회동 가능하게 된 제1 클립 부재(310) 및 제2 클립 부재(320)와, 상기 제1 클립 부재(310)와 제2 클립 부재(320) 사이를 고정하고 해제하는 고정해제 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클립 부재(310)는 제1 결합부(311) 및 제1 그립부(316)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클립 부재(320)는 제2 결합부(321)와 제2 그립부(326)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그립부(316)(326)는 그 사이에 서류(D)를 집어서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그립부(316)와 제2 그립부(326) 사이가 자유로이 벌어지고 다물어지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부(311)와 제2 결합부(321) 사이는 다음과 같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부(311)에는 가장자리 측에 복수의 결합 공(312)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321)에는 가장자리 측에 형성되어 제1 결합부(311)의 결합 공(312)들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 편(322)들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 편(322)은 제1 결합부(311)의 내측으로부터 결합 공(312)에 끼워져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 결합부(311)의 결합 공(312)을 거쳐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 편(322)들은 판상 부재로 이루어진 고정해제 부재(330)에 형성된 가이드 홀(332)들에 각각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홀(332)들은 각각 고정해제 부재(330)의 이동 궤적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상기 가이드 홀(332)은 각 하측이 개구된 구조를 갖는 것이, 고정해제 부재(330)가 결합 편(322)과 결합 공(312) 사이의 결합된 부위, 즉 제1 결합부(311)와 제2 결합부(321) 사이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충분히 벗어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가이드 홀(332)에 끼워지는 결합 편(322)은 결합 공(312)과 가이드 홀(332)에 차례로 끼워진 후 가이드 홀(332)의 주변에 걸려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1 결합부(311)와 제2 결합부(321) 사이가 분리되지 않고 회동 지지되게 하는 한편, 고정해제 부재(330)의 슬라이딩 이동이 지지되게 한다. 이를 위한 결합 편(322)은 단부 양측에 턱이 각각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처럼 가이드 홀(332)에 결합 편(322)이 끼워져 설치됨에 따라, 고정해제 부재(330)는 제1 및 제2 결합부 (311)(321)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슬라이딩 이동되는 고정해제 부재(330)는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며, 제1 결합부(311)와 제2 결합부(321) 사이의 고정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결합부(311)(321)를 전체적으로 덮어서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해제 부재(330)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집어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용 레버(331)가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고정해제 부재(330)의 양측에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은 가이드 편(333)들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 결합부(311)와 제2 결합부(321) 사이가 고정되지 않고 이완되면 제1 그립부(316)와 제2 그립부(326) 사이는 자동으로 벌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결합부(321)에는 제1 결합부(311) 측으로 연장 형성된 탄성 편(323)들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 편(323)들은 연장 형성된 단부가 제1 결합부(311)와 제2 결합부(321) 사이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해제 부재(330)가 이동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어 제1 결합부(311)의 내측 면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굽어지게 각각 형성된다. 이처럼 탄성 변형된 탄성 편(323)들은 제1 결합부(311)와 제2 결합부(321) 사이의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제2 결합부(321)를 외측으로 회동시켜 제1 그립부(316)와 제2 그립부(326) 사이가 자동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탄성 편(323)은 제1 결합부(311)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하나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서류 고정용 클립(300)의 작동을 도 11 및 도 12를 참조 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해제 부재(330)를 결합 편(322)에 지지된 상태로 제1 결합부(311)와 제2 결합부(321) 사이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방으로 벗어나게 이동시키게 되면, 제1 결합부(311)와 제2 결합부(321) 사이가 고정되지 않고 이완된 상태로 놓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결합부(311)와 제2 결합부(321) 사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었던 탄성 편(323)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제1 그립부(316)와 제2 그립부(326) 사이가 자동으로 벌어짐으로써 그 벌어진 사이로 서류(D)가 손쉽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제1 그립부(316)와 제2 그립부(326) 사이로 서류(D)가 삽입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해제 부재(330)를 제1 결합부(311)와 제2 결합부(321) 사이의 회동 중심에 대응되게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1 및 제2 그립부(316)(326)는 자유단 측에서 다물어지려는 방향으로 이동을 함으로써 서류(D)를 고정하여 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서류 고정용 클립(100)을 서류(D)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해제 부재(330)를 이동시킴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날클립 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인 클립장착기가 없어도 손쉽게 서류를 철하고 서류로부터 클립을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떠한 상황에서도 클립을 서류로부터 분리시켜 서류를 추가하거나 서류의 일부를 제거한 후 맨손으로 동일한 클립을 가지고 간단하게 서류를 철할 수 있 다. 그리고, 별도의 클립장착기가 사용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클립의 크기와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클립을 서류에 철하여 다른 서류와 겹쳐둘 때에도 부피를 적게 차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예각으로 절곡 형성된 제1 그립부가 구비된 제1 클립 부재;
    상기 제1 결합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로부터 예각으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제1 그립부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그립부와 함께 서류를 집는 제2 그립부가 구비된 제2 클립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의 회동 중심에 대응되게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를 고정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해제 부재를 구비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에는 중앙 측에 복수의 결합 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 그립부의 반대 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둔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결합 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결합부의 제1 그립부와 예각을 이루는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해제 부재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해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부의 내측 면에 탄성력을 가하는 결합 편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 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제1 결합부 및/또는 제2 결합부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해제 부재의 이동이 안내되고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부 측으로 절곡되되 가이드 공간을 갖는 가이드 편들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 부재의 좌우측 가장자리 하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 측으로 절곡되되 걸림 공간을 갖는 걸림 편들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해제 부재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부의 상측에 좌우로 연장 형성된 날개부들이 상기 걸림 공간들에 각각 삽입되어 걸릴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 부재의 상측 좌우에는 상기 제1 결합부 측으로 각각 절곡 형성된 지지 편들이 구비되며,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고정해제 부재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편들의 각 상단에 걸릴 수 있게 좌우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에는 중앙 측에 복수의 결합 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해제 부재의 이동 궤적에 상응하는 길이를 각각 갖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가이드 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 공들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이탈 방지되게 형성된 결합 편들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홀들과 각각 대응되고 상측이 개구된 제2 가이드 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해제 부재에는 상기 제1 가이드 홀 및 제2 가이드 홀을 거쳐 끼워지고 이탈 방지되게 각각 형성된 걸쇠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의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돌출 형성되되 그 돌출 형성된 단부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해제 부재가 이동한 상태에서 다른 쪽의 내측 면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된 탄성 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 부재에는 그 이동 궤적에 상응하는 길이를 각각 갖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에는 가장자리 측에서 상기 가이 드 홀들 상에 위치되는 결합 공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 공과 가이드 홀을 거쳐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이탈 방지되게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중 어느 한쪽에는 다른 쪽으로 연장 형성되되 그 연장 형성된 단부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해제 부재가 이동한 상태에서 다른 쪽의 내측 면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굽어지게 형성된 탄성 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
  10. 제 6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 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 결합부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해제 부재의 이동이 안내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또는 제2 결합부 측으로 절곡되되 가이드 공간을 갖는 가이드 편들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 부재에는 이동용 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
KR1020050084966A 2005-09-13 2005-09-13 서류 고정용 클립 KR20070030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966A KR20070030369A (ko) 2005-09-13 2005-09-13 서류 고정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966A KR20070030369A (ko) 2005-09-13 2005-09-13 서류 고정용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369A true KR20070030369A (ko) 2007-03-16

Family

ID=4365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966A KR20070030369A (ko) 2005-09-13 2005-09-13 서류 고정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03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12114564A1 (ja) 綴具
WO2006017467A2 (en) A mechanism for ring binder notebooks
JP2010069862A (ja) 綴じ具
KR20070030369A (ko) 서류 고정용 클립
WO2005100044A1 (ja) 書類等の綴じ具
JP2007216695A (ja) 書類等の綴じ具
JP5973154B2 (ja) バインダーのロック補助装置
KR20070035705A (ko) 서류 고정용 클립
JP6886687B2 (ja) リング式綴具ホルダー、綴具付きホルダーおよび、ファイル
JPS6024622Y2 (ja) フアイル用綴じ具
JP4040871B2 (ja) ルースリーフ綴具
JP4750891B2 (ja) 文具用クリップ
JPH036458Y2 (ko)
JP3610856B2 (ja) 綴じ具
WO2008089605A1 (en) A lever folder mechanism
JPS595585Y2 (ja) ロツク付綴具
JP6821252B2 (ja) 綴じ具のパッド
JP2002036772A (ja) 綴具のロック構造
JP6355697B2 (ja) 綴具の変位体及び帳面
JPS6113351Y2 (ko)
JP3054034U (ja) 紙押え具
JPS6341180Y2 (ko)
JP6484104B2 (ja) 綴じ具と表紙との固定構造、及びファイル
JPS5842979Y2 (ja)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AU2007288059A1 (en) Lever clip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