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9971A - 소방용 자동 경보 송수신기 - Google Patents

소방용 자동 경보 송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9971A
KR20070029971A KR1020050084663A KR20050084663A KR20070029971A KR 20070029971 A KR20070029971 A KR 20070029971A KR 1020050084663 A KR1020050084663 A KR 1020050084663A KR 20050084663 A KR20050084663 A KR 20050084663A KR 20070029971 A KR20070029971 A KR 20070029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transmitter
central processing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9312B1 (ko
Inventor
조범식
Original Assignee
조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범식 filed Critical 조범식
Priority to KR1020050084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31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9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기와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에 있어서, 송신기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와 예비위험 및 위험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변경할 내용을 지정하는 데이터 설정부와 데이터 설정부로부터 지정된 데이터를 정해진 코드로 조합한 후 일정 시간마다 코드로 조합된 데이터를 송신부로 전송하고 자체 상태를 점검하는 중앙처리장치부와 송신부, 데이터 설정부, 중앙처리장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송신기를 구비하며, 수신기는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받는 수신부와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검증하고, 오류를 수정 비교하여 유효한 데이터가 인가됐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중앙처리장치부와 중앙처리장치부로부터 전송된 예비위험 및 위험상황을 알리는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와 수신부, 중앙처리장치부, 데이터 판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에따라, 자신의 목숨을 걸고 화재현장에 침투하는 소방대원들을 빠른 시간 내에 찾을 수가 있어 소방대원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데이터 설정부, 데이터 판독부

Description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automatic alarm transmitter-receiver for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화생방 자동 경보 송신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화생방 자동 경보 송신기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화생방 자동 경보 수신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화생방 자동 경보 수신기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화생방 자동 경보 송신기 102 : 송신부
104 : 데이터 설정부 104a : 예비위험 알림부
104b : 진동 센서부 104c : 전원 공급 체크부
106 : 중앙처리장치부 108, 308 : 발령부
108a : 표시부 108b : 알람부
110 : 셋팅/리셋팅부 112, 312: 전원 공급부
300 : 화생방 자동 경보 수신기 302 : 수신부
304 : 중앙처리장치부 306 : 데이터 판독부
310 : 셋팅/리셋팅 컨트롤러부
본 발명은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치나 다른 방법으로 벨등을 울려 사고의 돌발을 알리는 경보기기는 도난예방 경보기나 화재 경보기 및 화생방 경보기등으로 돌발사고나 화재 및 인명등의 재해를 알리는 장치인데, 이것 중에서 인명을 구하기 위하여 알리는 화생방 경보기는 소방서에서 근무하는 소방대원들에게 적합한 기기로써, 작업복장을 갖춘 소방대원들이 화재사고 발생시에 화생방 경보기를 허리부분 또는 가슴부분에 부착하여 화재현장으로 출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화생방 경보기는 화재현장에 침투한 소방대원이 화염속에 갖힌 사람들을 찾으러 다니다가 소방대원이 의식을 잃을 경우에 화생방 경보기에 구비된 벨이 신호음을 내어 증폭된 소리를 반복적으로 냄으로써, 주변에 있는 소방대원들이 그 소리를 듣고 의식을 잃은 소방대원을 구출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화생방 경보기의 벨소리는 화염속에서 태워지는 기타 외부적인 요소들로 인하여 쉽게 감지할 수가 없어 의식을 잃은 소방대원의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화재현장에 침투하는 소방대원들을 빠른 시간 내에 찾게 함으로써, 소방대원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는 소정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기와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에 있어서, 송신기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와 예비위험 및 위험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변경할 내용을 지정하는 데이터 설정부와 데이터 설정부로부터 지정된 데이터를 정해진 코드로 조합한 후 일정 시간마다 코드로 조합된 데이터를 송신부로 전송하고 자체 상태를 점검하는 중앙처리장치부와 송신부, 데이터 설정부, 중앙처리장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송신기를 구비하며, 수신기는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받는 수신부와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검증하고, 오류를 수정 비교하여 유효한 데이터가 인가됐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중앙처리장치부와 중앙처리장치부로부터 전송된 예비위험 및 위험상황을 알리는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와 수신부, 중앙처리장치부, 데이터 판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수신기를 구비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송신기의 데이터 설정부는 예비위험 알림부, 진동 센서부, 전원 공급 체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예비위험 알림부는 스위치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동 센서부와 전원 공급 체크부는 오피 엠프(OP AMP)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동 센서부는 타이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신기의 데이터 판독부는 데이터 저장부, 데이터 스캔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회로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송신기에 데이터 설정부로부터 지정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조합된 데이터를 통하여 위험상황을 알리는 발령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령부는 표시부와 알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표시부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알람부는 음향을 발생하는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송신기에 발령부의 신호에 의한 동작을 유지시키거나 멈추게 하는 셋팅/리셋팅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셋팅/리셋팅부는 스위치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신기에 데이터 판독부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전송받고 중앙처리장 치로부터 조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위험상황임을 알 수 있도록 발령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령부는 채널 표시부와 알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채널 표시부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알람부는 부저(buzzer)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신기에 발령부의 신호에 의한 동작을 유지시키거나 멈추게 하는 셋팅/리셋팅 컨트롤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셋팅/리셋팅 컨트롤러부는 스위치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화생방 자동 경보 송신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화생방 자동 경보 송신기(100)는 송신부(102), 데이터 설정부(104), 중앙처리장치부(106), 발령부(108), 셋팅/리셋팅부(110), 전원 공급부(112)등이 구비된다.
먼저, 송신부(102)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데이터 설정부(104)는 예비위험 및 위험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변경할 내용을 지정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데이터 설정부(104)는 의식을 잃는 상황에 처 한 소방대원이 자신의 위치를 호출하기 위하여 예비위험 알림부(104a)가 구비되고, 의식을 잃은 소방대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진동 센서부(104b)가 구비되며, 진동 센서부(104b)에 의해서 이후에 진술할 발령부(108)가 발령될 시에 전원 공급부(112)의 밧데리 전압의 저전압을 감지하여 발령부(108)의 발령이 지속되도록 유지하기 위해서 전원 공급 체크부(104c)가 구비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부(106)는 데이터 설정부(104)로부터 지정된 데이터를 정해진 코드로 조합한 후 일정 시간마다 코드로 조합된 데이터를 송신부(102)로 전송하고 자체 상태를 점검하도록 구비되고, 발령부(108)는 전술한 데이터 설정부(104)로부터 지정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중앙처리장치부(106)로부터 조합된 데이터를 통하여 예비위험 및 위험상황을 알리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발령부(108)는 의식을 잃는 상황에 처한 소방대원 또는 의식을 잃은 소방대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장착된 표시부(108a)와 음향을 발생하는 알람부(108b)가 구비된다.
또한, 셋팅/리셋팅부(110)는 발령부(108)의 신호에 의한 동작을 유지시키거나 멈추게 하도록 구비되고, 전술한 송신부(102), 데이터 설정부(104), 중앙처리장치부(106), 발령부(108), 셋팅/리셋팅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술한 화생방 자동 경보 송신기(100)가 작동되는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 도 2와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화생방 자동 경보 송신기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작업복장을 갖춘 소방대원들이 화재사고 발 생시에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를 허리부분에 부착하여 화재현장으로 출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복장 및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를 부착한 소방대원들은 화재현장에 침투할 시에 셋팅/리셋팅부(110)에 구비된 스위치 소자(110a)를 온(on)시키게 되면, 진동 센서부(104b)에 구비된 소방대원의 움직임을 SR1(104b1) 소자에서 감지하여 IC2LM358인 오피 앰프(Op Amp, 104c1) 소자로 신호를 보내고 IC2LM358인 오피 앰프(Op Amp, 104c1) 소자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중앙처리장치부(106)인 IC316C711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 후, 전술한 발령부(108)에 구비된 표시부(108a)의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인 LED 소자(108a1, 108a2)는 SR1(104b1) 소자의 동작가능 유무에 따라 LED 소자(108a1, 108a2)의 깜빡거리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다시말하면, 전술한 진동 센서부(104b)가 타이머를 구비하여 소방대원의 움직임을 30초 간격으로 감시하면서 중앙처리장치부(106)로 신호를 계속 보내주는데, 만약 소방대원이 움직임이 있을 경우에는 SR1(104b1)의 소자가 기능적으로 동작되어 LED 소자(108a1, 108a2)가 천천히 점멸등처럼 '깜빡깜빡'켜지게 되고, 소방대원의 움직임이 허가 정지시간의 30초 동안 지체하고 있다면 즉, 의식을 잃은 소방대원이 30초 동안 지체된다면 SR1(104b1)의 소자가 기능적으로멈추게 되어 LED 소자(108a1, 108a2)가 빠르게 회전하면서 번쩍이게 된다. 이때, 송신부(102)로 신호를 보내어 3초동안 이후에 진술할 수신부(미도시)로 예비위험 상황임을 송출하게 된다.
한편, 의식을 잃는 상황에 처한 소방대원이 예비위험 알림부(104a)에 구비된 스위치 소자(104a1)를 온(on) 시키면 이것 역시, 송신부(102)로 신호를 보내어 3초동안 이후에 진술할 수신부(미도시)로 예비위험 상황임을 송출하게 된다.
동시에, 전술한 중앙처리장치부(106)는 3초후 알람부(108b)에 구비된 Q2 KSH31C(108b1)의 소자로 신호를 보내고 증폭시켜 TRANS OPT(108b2)로 신호를 보내게되면, 2차 증폭하여 음향을 발생하는 소자인 PIEZO(108b3)가 30초동안 약 65데시벨로 사이렌을 울리고 중앙처리장치부(106)에서는 3초간 송신부(102)로 신호를 보내면서 다시한번 PIEZO(108b3)가 30초동안 약 95데시벨 이상으로 사이렌을 울리고 중앙처리장치부(106)에서는 3초간 송신부(102)로 신호를 다시 보내면서 데이터가 송출될때까지 계속 반복되는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말하면, 1분간격으로 약 65 데시벨과 약 95데시벨 이상으로 전원 공급부(112)인 밧데리(112a)가 소모될때까지 사이렌을 울리고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출하는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사이렌이 울리는 중간에 주변의 소방대원들이 셋팅/리셋팅부(110)에 구비된 스위치(110a)를 오프(off)시키면 동작은 멈추게 된다.
한편, 의식을 잃은 상황에 처한 소방대원이 예비위험 알림부(104a)에 구비된 스위치 소자(104a1)를 온(on) 시키면 이것 역시, 1분간격으로 약 65 데시벨과 약 95데시벨 이상으로 전원 공급부(112)인 밧데리(112a)가 소모될때까지 사이렌을 울리고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출하는 과정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술한 전원 공급부(112)의 밧데리(112a) 전압이 85% 이하가 될때, 즉 7.2볼트(volt)이하가 될때 전원 공급 체크부(104)의 IC2LM358 소자(104c1)는 저전압을 감지하여 중앙처리장치부(106)로 신호를 보내면 중앙처리장치부(106)는 알람부(108b)로 신호를 보내어 약 65데시벨로 사이렌을 울리게끔 유도함으로써, 저전압으로도 사이렌을 지속적으로 울리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화생방 자동 경보 송신기를 이용하여 소방대원의 예비위험 및 위험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송신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받는 수신기를 살펴보면 다음 도 3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화생방 자동 경보 수신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화생방 자동 경보 수신기(300)는 수신부(302), 중앙처리장치부(304), 데이터 판독부(306), 발령부(308), 셋팅/리셋팅컨트롤러부(310), 전원 공급부(312)등이 구비된다.
먼저, 수신부(302)는 전술한 송신기(도1의 1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받도록 구비되고, 중앙처리장치부(304)는 수신부(30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검증하고, 오류를 수정 비교하여 유효한 데이터가 인가됐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또한, 데이터 판독부(306)는 중앙처리장치부(304)로부터 전송된 예비위험 및 위험상황을 알리는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발령부(308)는 데이터 판 독부(306)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전송받고 중앙처리장치부(304)로부터 조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예비위험 및 위험상황을 알리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전술한 데이터 판독부(306)는 의식을 잃는 상황에 처한 소방대원의 위치를 데이터로 수신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306a)가 구비되고, 데이터 저장부(306a)에 의해 저장된 의식을 잃는 상황에 처한 소방대원의 데이터 신호를 나열하기 위한 데이터 스캔부(306b)가 구비된다.
또한, 발령부(308)는 데이터 판독부(306)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전송받고 중앙처리장치부(304)로부터 조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예비위험 및 위험상황을 알수 있도록 구비되고, 셋팅/리셋팅 컨트롤러부(310)는 발령부(308)의 신호에 의한 동작을 유지시키거나 멈추게 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발령부(308)는 의식을 잃는 상황에 처한 소방대원 또는 의식을 잃은 소방대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으로 흔히, 7-segment라 불리우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소자를 구비하는 채널 표시부(308a)와 음향을 발생시키는 부저(buzzer)와 같은 알람부(308b)가 구비된다.
또한, 셋팅/리셋팅 컨트롤러부(310)는 발령부(308)의 신호에 의한 동작을 유지시키거나 멈추게 하도록 구비되고, 전술한 수신부(302), 중앙처리장치부(304), 데이터 판독부(306), 발령부(308), 셋팅/리셋팅 컨트롤러부(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술한 화생방 자동 경보 수신기(300)가 작동되는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 도 4와 같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화생방 자동 경보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셋팅/리셋팅 컨트롤러부(310)에 구비된 STANBY 스위치(310a)를 온(on)시키면 소방차에 장착된 화생방 자동 경보 수신기의 PCB 기판상에 설치된 적색 LED가 켜지면서 소방대원들이 휴대하고 다니는 송신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을 준비를 하게 된다.
이때, 소방대원들이 휴대하고 다니는 송신기(도1의 100)에서 예비위험 및 위험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송신된 데이터가 무선으로 수신부(302)에 데이터 신호를 받으면 수신부(302)에서 송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304)인 IC16C72 마이크로프로세서 소자로 보내게 된다. 이때, 전술한 중앙처리장치(304)는 수신부(30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검증하고, 오류를 수정 비교하여 유효한 데이터가 인가됐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유효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306a)의 IC293C46 마이크로프로세서 소자로 보내어 의식을 잃는 상황에 처한 소방대원들 또는 의식을 잃은 소방대원들의 위치를 데이터로 수신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306a)가 구비되고, 데이터 저장부(306a)에 의해 저장된 의식을 잃는 상황에 처한 소방대원들 또는 의식을 잃은 소방대원들의 데이터 신호를 이후에 진술할 채널 표시부(308a)의 FND 소자(308a1) 각각에 표시되도록 데이터 신호가 나열된 데이터 스캔부(306b)를 통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 스캔부(306b)를 통하여 보내지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서 소방대원들의 위치가 채널 표시부(308a)의 FND 소자(308a1)에 표시되고 동시에 그 데이터 신호가 알람부(308b)의 Q3KN2222 소자(308b1)로 보내져 음향을 발생시키는 부저 (buzzer, 308b2)가 경보음을 내게 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에 따른 화생방 자동 경보 수신기(300)의 채널 표시부(308a)를 10개의 FND 소자(308a1)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0명 이상의 다수의 소방대원들의 위급상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10개 이상의 FND 소자(308a1)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채널 표시부(308a)에 표시되는 위급상황에 처한 다수의 소방대원들의 데이터 신호를 선택적으로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셋팅/리셋팅 컨트롤러부(310)의 CURSOR RIGHT MOVE S/W(310b) 소자 또는 CURSOR LEFT MOVE S/W(310c) 소자를 이용하여 10개의 FND 소자(308a1)중 선택한 FND 소자(308a1)로 이동시켜 선택된 FND 소자(308a1)의 데이터 신호를 RESET S/W(310d)로 리셋함으로써 해제된다.
또한, 전원 공급부(310)는 소방차 전원이 DC 24볼트(Volt)에서 DC 12볼트(Volt)까지 공급되므로 브릿지 다이오드(BRIDGE DIODE, 312a)에서 정류된 전압을 정전압 IC인 IC3 7805 소자(312b)에서 안정된 전압 DC 5볼트(Volt)를 수신부(302), 중앙처리장치부(304), 데이터 판독부(306), 발령부(308), 셋팅/리셋팅 컨트롤러부(310)각각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위성항법장치를 구비하여 위급상황에 처한 다수의 소방대원들의 위치를 추적하여 구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는 통신수단으로 송신기 와 수신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자신의 목숨을 걸고 화재현장에 침투하는 소방대원들의 생명을 구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화재현장에 침투하는 소방대원들을 빠른 시간 내에 찾게 함으로써, 소방대원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소정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와;
    위험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변경할 내용을 지정하는 데이터 설정부와;
    상기 데이터 설정부로부터 지정된 데이터를 정해진 코드로 조합한 후 일정 시간마다 코드로 조합된 데이터를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고 자체 상태를 점검하는 중앙처리장치부와;
    상기 송신부, 상기 데이터 설정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송신기를 구비하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검증하고, 오류를 수정 비교하여 유효한 데이터가 인가됐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중앙처리장치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로부터 전송된 위험상황을 알리는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와;
    상기 수신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 상기 데이터 판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수신기를 구비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의 데이터 설정부는 예비위험 알림부, 진동 센서부, 전원 공급 체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위험 알림부는 스위치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센서부와 상기 전원 공급 체크부는 오피 엠프(OP AMP)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센서부는 타이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의 데이터 판독부는 데이터 저장부, 데이터 스캔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회로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에 상기 데이터 설정부로부터 지정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조합된 데이터를 통하여 위험상황을 알리는 발령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령부는 표시부와 알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음향을 발생하는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에 상기 발령부의 신호에 의한 동작을 유지시키거나 멈추게 하는 셋팅/리셋팅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셋팅/리셋팅부는 스위치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에 상기 데이터 판독부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조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위험상황임을 알 수 있도록 발령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발령부는 채널 표시부와 알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표시부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부저(buzzer)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에 상기 발령부의 신호에 의한 동작을 유지시키거나 멈추게 하는 셋팅/리셋팅 컨트롤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셋팅/리셋팅 컨트롤러부는 스위치 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자동 경보 송수신기.
KR1020050084663A 2005-09-12 2005-09-12 소방용 자동 경보 송수신기 KR100709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663A KR100709312B1 (ko) 2005-09-12 2005-09-12 소방용 자동 경보 송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663A KR100709312B1 (ko) 2005-09-12 2005-09-12 소방용 자동 경보 송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971A true KR20070029971A (ko) 2007-03-15
KR100709312B1 KR100709312B1 (ko) 2007-04-20

Family

ID=3810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663A KR100709312B1 (ko) 2005-09-12 2005-09-12 소방용 자동 경보 송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3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60B1 (ko) * 2008-07-08 2010-09-10 주식회사 아이디폰 소방관의 개인안전 감시 시스템
KR101235977B1 (ko) * 2011-04-06 2013-02-21 송현준 화학 자동 경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6972A (en) 1987-04-29 1990-03-06 The Boeing Company Communication system for hazardous areas
US6121881A (en) * 1994-09-02 2000-09-19 Safety Tech Industries, Inc. Protective mask communication devices and systems for use in hazardous environments
JP3392294B2 (ja) * 1996-05-29 2003-03-31 協同組合ヤシマグループ 携帯用警報装置
JP2003109146A (ja) 2001-09-28 2003-04-11 Tokyo Metropolis 携帯警報器
KR20030017597A (ko) * 2003-02-04 2003-03-03 이규섭 소방관 위치파악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60B1 (ko) * 2008-07-08 2010-09-10 주식회사 아이디폰 소방관의 개인안전 감시 시스템
KR101235977B1 (ko) * 2011-04-06 2013-02-21 송현준 화학 자동 경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9312B1 (ko) 200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5980B1 (en) Personal rescue system
US7346336B2 (en) Personal activity sensor and locator device
US5939988A (en) Child proximity monitor and alarm
US20180109740A1 (en) Thermal imaging system
KR101595850B1 (ko) 안전 경보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공기호흡기
JP2009165517A (ja) 安全帯使用状況の監視及び警報システム
KR101082533B1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KR100704018B1 (ko) 유/무선 재난 자동 감시 시스템
JP2015153177A (ja) 支援システム
US9214076B2 (en) Firefighter's safety monitoring and alarm
US20110045795A1 (en) Portable radio with automatic motion sensing and emergency alert facility
KR100981660B1 (ko) 소방관의 개인안전 감시 시스템
KR101835689B1 (ko) 안전 경보 기능이 구비된 호흡장치
KR20150040571A (ko) 위급 상황 판별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KR101676813B1 (ko) 개인인명구조용 경보기
KR100709312B1 (ko) 소방용 자동 경보 송수신기
KR200314946Y1 (ko) 공기호흡기용 개인안전 경보시스템
KR101751960B1 (ko) 소방관용 개인 안전 알람장치
US5949337A (en) Dual controlled personal alert safety system
KR200333763Y1 (ko) 휴대용 다목적 비상경보장치
US201701100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refighters imminent warning
KR200358354Y1 (ko) 소화기 지지대 음성 전달 장치
CN205264006U (zh) 一种用于火场救援的搜寻设备
CN109270553A (zh) 应急示位标设备
RU106843U1 (ru) Сигн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спасателя и система оповещ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