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9862A - 다치 에스램 - Google Patents

다치 에스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9862A
KR20070029862A KR1020050084298A KR20050084298A KR20070029862A KR 20070029862 A KR20070029862 A KR 20070029862A KR 1020050084298 A KR1020050084298 A KR 1020050084298A KR 20050084298 A KR20050084298 A KR 20050084298A KR 20070029862 A KR20070029862 A KR 20070029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drain
sram
gate
bi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4823B1 (ko
Inventor
계훈우
송복남
최중범
Original Assignee
최중범
주식회사 엑셀반도체
송복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83606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2986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최중범, 주식회사 엑셀반도체, 송복남 filed Critical 최중범
Priority to KR1020050084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823B1/ko
Priority to PCT/KR2006/003610 priority patent/WO2007029992A1/en
Priority to PCT/KR2006/003609 priority patent/WO2007029991A1/en
Publication of KR20070029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5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 G11C11/565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using capacitive charge storag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3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with charge regeneration common to a multiplicity of memory cells, i.e. external refresh
    • G11C11/405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with charge regeneration common to a multiplicity of memory cells, i.e. external refresh with three charge-transfer gates, e.g. MOS transistors, per cel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0/00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6/00 and subgroups, for features not directly covered by these groups
    • G11C2216/02Structural aspects of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2216/08Nonvolatile memory wherein data storage is accomplished by storing relatively few electrons in the storage layer, i.e. single electron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ET 소자를 이용하여 다치(multiple value) 레벨을 저장하는 MV SRAM에 대하여 개시된다. MV SRAM은 비트라인에 연결되는 전류 소스 트랜지스터와 워드라인과 비트라인의 교차점에 연결되는 단위 셀을 구비한다. 단위 셀은 워드라인이 그 게이트에 연결되고 비트라인이 그 드레인에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와,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이 그 게이트에 연결되고 접지 전압이 그 소스에 연결되는 SET 소자와, 접지 전압이 그 게이트에 연결되고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SET 소자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와,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MV SRAM은 워드라인 만을 인에이블하여 데이터를 재저장하기 때문에 적은 전류만으로 데이터를 재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저전력 응용에 적당하다.
MV SRAM, SET 소자, 전류 소스 트랜지스터, 리프레쉬

Description

다치 에스램{Mutiple valued SRAM}
도 1은 SET 소자와 MOS 트랜지스터를 결합한 유니버셜 레터럴 게이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유니버셜 레터럴 게이트를 사용한 양자화기(quantizer)의 회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양자화기 회로를 응용한 DRAM 타입의 MV SRAM을 설명하는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도 3의 MV SRAM의 기입/독출 동작을 위한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V SRAM 셀을 설명하는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도 5의 MV SRAM 셀의 리프레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MV SRAM 셀 어레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MV SRAM 셀 어레이의 리프레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SET 소자를 이용하여 다 치(multiple value) 레벨을 저장하는 MV SRAM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SET(Single electron transistor)에 대한 연구가 급속히 진행중에 있다. SET를 사용하게 되면, 회로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비 전력이 매우 작아진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SET는 게이트 바이어스(Gate bias)에 따라 드레인 전류(Drain current)가 주기적으로 증가하고 감소하는 매우 특별한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적은 수의 트랜지스터로 회로의 기능성(functionality)를 증가시키려는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SET 소자는 다치 논리회로(Multiple-Valued logic circuit) 응용에 매우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에 응용하려는 많은 시도가 현재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SET 소자와 MOS 트랜지스터를 결합한 유니버셜 레터럴 게이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M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Vgg의 고정된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SET 소자의 드레인 전압(Vds)은 거의 일정한 Vgg-Vth 전압으로 유지된다. 이 Vgg-Vth 전압은 SET의 쿨롱-블락케이드(Coulomb-blockade) 조건을 유지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낮은 전압이기 때문에, SET는 입력 전압(Vin)에 따라 드레인 전류가 주기적으로 증가하고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 때, 정전류원(Io)에 의해 SET 소자의 드레인 전류가 공급된다.
만일 정전류원(Io)에서 공급되는 전류 Io 보다 큰 SET 드레인 전류가 흐르도록 입력 전압(Vin)이 인가된다면, 출력 전압(Vout)은 하이에서 로우로 급격하게 낮아지게 된다. 또한 Io 전류 보다 작은 SET 드레인 전류가 흐르도록 입력 전압(Vin) 이 인가된다면 출력 전압(Vout)은 로우에서 하이로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입력 전압(Vin)이 증가하게 되면 유니버셜 레터럴 게이트(100)의 출력 전압(Vout)은 매우 큰 전압 스윙을 갖는 구형파와 같은 특성을 보이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유니버셜 레터럴 게이트(100)를 사용한 양자화기(quantizer, 200)의 회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전류원(Io)에 의해 다수의 안정점들(stability point)이 존재하게 되고, 각각의 안정점은 각 점선으로 구분되는 안정(stable) 영역을 동작으로 하게 된다. 즉, 클럭 신호(CLK)가 인에이블되면 입력 전압(Vin)이 SN 노드에 전달되고, 클럭 신호(CLK)를 오프하면 그 전압에 해당하는 안정점에서 양자화된다. 이에 따라, 계단 파형과 같은 입력-출력(Vin-Vout) 전압 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SET와 MOS 트랜지스터를 결합한 양자화기 회로(200)는 메모리에 응용이 가능하다. 특히 별도의 리프레쉬 동작 없이도 다양한 레벨(Multiple level)의 전압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치 스태틱 메모리(Multiple-valued Static memory)에 매우 효과적이다.
도 3은 도 2의 양자화기 회로(200)를 응용한 DRAM 타입의 MV SRAM을 설명하는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MV SRAM 셀(300)은 SET와 저장 노드(SN) 사이에 연결되고 접지 전압에 게이팅되는 제1 트랜지스터(M1), 전원 전압(Vdd)과 저장 노드(SN) 사이에 연결되고 저장 노드(SN)에 그 게이트가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M2), 비트라 인(BL)과 저장 노드(SN) 사이에 연결되고 제1 워드라인(WL)이 그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M3), 그리고 저장 노드(SN)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셀 커패시터(Cs)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M1, M2)는 디플리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제3 트랜지스터(M3)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도 4는 도 3의 MV SRAM의 기입/독출 동작을 위한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입 동작 시, 먼저 t0 시간에서 워드라인(WL)을 이네이블시킨다. 워드라인(WL) 인에이블 후에는 t1 시간에서 비트라인(BL)에 다치 로직 값(Multiple Logic Value)에 해당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셀 당 2 비트를 저장할 수 있는 실시예를 표현하여, 2 비트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4 레벨의 다른 전압들을 비트라인(BL)에 인가하여 SN 노드에 저장이 되도록 한다. SN 노드에 해당 전압이 전달된 후에는 t2 시간에서 워드라인(WL)을 오프시키고, t3 시간에서 비트라인(BL)을 접지 전압으로 프리차아지한다. 이에 따라, SN 노드에 저장된 전압은 도 2의 양자화기(200) 동작의 안정점 원리에 따라 저장된 레벨이 리프레쉬 동작 없이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독출 동작 시에는, t4 시간에서 워드라인(WL)을 인에이블하여 셀 커패시터(Cs)에 저장된 전하가 비트라인 기생 커패시터와 차아지 셰어링(charge sharing)한다. t5 시간에서 센스 앰프를 인에이블시켜 다치 레벨을 센싱한다.
그런데, 이러한 MV SRAM 셀은 트랜지스터 4개와 커패시터 1개로 구성되어 칩 사이즈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다치 메모리의 장점은 셀 당 저장 비트 수를 늘려서 메모리의 집적도를 향상시킨다는 장점이 있는 데 반하여, 이를 구현하기 위한 셀의 소자 수가 증가하여 MV SRAM의 장점을 충분히 살릴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트라인 마다 정전류원을 공유하고 2개의 트랜지스터와 1개의 SET 소자, 그리고 1개의 커패시터로 구성되는 MV SRAM 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다치(Multiple Value) 레벨을 저장하는 MV SRAM은 적어도 하나의 워드라인; 적어도 하나의 비트라인; 전원 전압이 그 소스에 연결되고 비트라인이 그 게이트와 그 드레인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워드라인과 비트라인의 교차점에 연결되는 단위 셀을 구비한다. 단위 셀은 워드라인이 그 게이트에 연결되고, 비트라인이 그 드레인에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이 그 게이트에 연결되고, 접지 전압이 그 소스에 연결되는 SET 소자; 접지 전압이 그 게이트에 연결되고,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SET 소자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SET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소스와 드레인; 소스와 드레인 사이에 터널 정션을 형성하고, 소스와 드레인 사이에 위치하는 메탈 아일랜드; 및 메탈 아일랜드 상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메탈 아일랜드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게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는 디플리션 엔모스 트랜지스터 이고, 제3 트랜지스터는 디플리션 엔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MV SRAM은 워드라인을 인에이블시켜 단위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프레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MV SRAM은 복수개의 워드라인들과 복수개의 비트라인들의 교차점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단위 셀들을 더 구비하고, 단위 셀들을 리프레쉬하기 위하여, 소정의 리프레쉬 주기로 워드라인들을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MV SRAM에 의하면, 종래의 MV SRAM 셀 보다 트랜지스터 수를 1개 줄여, MV SRAM 소자의 집적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MV SRAM은 워드라인 만을 인에이블하여 데이터를 재저장하기 때문에 적은 전류만으로 데이터를 재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저전력 응용에 적당하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V SRAM 셀을 설명하는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정점을 유지하기 위한 정전류원 기능의 제1 트랜지스터 (N1)가 비트라인(B/L)에 연결되어 다수의 셀들에 공유된다. 1개의 단위 셀(500)은 저장 노드(SN)를 비트라인(B/L)에 연결하기 위한 제2 트랜지스터(N2), SET 소자(N4), SET 소자(N4)의 드레인 전압을 10mV 내외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3 트랜지스터(N3), 그리고 차아지를 저장하기 위한 커패시터(Cs) 만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단위 셀의 제2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는 워드라인(WL)에 연결되며 드레인 노드는 비트라인(BL)에 연결된다. 워드라인(WL)과 비트라인(BL)의 교차점에는 다수의 셀들이 연결된다. 비트라인(BL)에는 쿨롱 블락케이드 조건의 안정점을 유지하기 위한 제1 트랜지스터(N1)가 연결되어, 다수의 셀들에 공유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셀(500)은 도 3의 MV SRAM 셀(300) 보다 트랜지스터 수가 1개 적다. 따라서, 복수개의 셀들을 배열시키면 MV SRAM 소자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MV SRAM 셀의 리프레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워드라인(WL)이 오프되면, 셀 커패시터(Cs)에 저장된 차아지가 트랜지스터의 정션 누설 전류 또는 서브쓰레쉬홀드(subthreshold) 전류에 의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셀 커패시터(Cs)에 저장된 레벨이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게 된다. 차아지 손실(charge loss)에 의한 데이터 손실 전에, 워드라인(WL)을 인에이블시켜 제1 트랜지스터(N1)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한 리프레쉬가 필요하게 된다.
각 다치 레벨(Multiple valued level) 차이가 250mV 라고 가정하고, 제1 트랜지스터(N1)에서 공급되는 전류 량이 100pA 라고 가정하자. 기입 동작시, SN 노드에 저장된 전압이 1V라고 가정하자. 워드라인(WL) 오프 상태에서 100mv 정도의 전 압 손실이 발생하면, 워드라인(WL)을 다시 인에이블시킨다.
이렇게 하면, 제1 트랜지스터(N1)에서 공급되는 100pA의 전류에 의해 다시 1V 레벨로 회복된다. SN 노드가 1V로 회복 완료되면, 워드라인(WL)을 오프하여 해당 전압을 저장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셀 커패시터(Cs)에 저장된 데이터가 손실되기 전에, 워드라인(Wl)을 순차적으로 인에이블하여 모든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MV SRAM의 리프레쉬 방법은 DRAM에서 사용하고 있는 리프레쉬 방법과 유사하다. 그러나, DRAM에서는 워드라인을 인에이블한 후, 센스 앰프를 동작시켜 데이터를 재저장하지만, 본 발명의 MV SRAM에서는 워드라인 만을 인에이블하여 데이터를 재저장한다는 면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DRAM에서 데이터 리프레쉬를 위해 사용하는 전류가 매우 크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방법은 적은 전류만으로 데이터를 재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저전력 응용에 적당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MV SRAM 셀 어레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워드라인(WL)과 비트라인(BL)의 교차 점들에 MV SRAM 셀들이 배열되고, 각 비트라인(BL)에는 정전류원 기능의 전류 소스 트랜지스터들(N1)이 연결된다.
도 8은 도 7의 MV SRAM 셀 어레이의 리프레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각 워드라인들(WL<0>, WL<1>, WL<3>)은 리프레쉬 주기(tref) 마다 순차적으로 인에이블된다. 리프레쉬 주기(tref)는 셀 커패시터(Cs)에 저장된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셀 커패시터(Cs)에 저장된 전압이 유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MV SRAM에 의하면, 종래의 MV SRAM 셀 보다 트랜지스터 수를 1개 줄여, MV SRAM 소자의 집적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MV SRAM은 워드라인 만을 인에이블하여 데이터를 재저장하기 때문에 적은 전류만으로 데이터를 재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저전력 응용에 적당하다.

Claims (6)

  1. 다치(Multiple Value) 레벨을 저장하는 MV SRAM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워드라인;
    적어도 하나의 비트라인;
    전원 전압이 그 소스에 연결되고 상기 비트라인이 그 게이트와 그 드레인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워드라인과 상기 비트라인의 교차점에 연결되는 단위 셀을 구비하고,
    상기 단위 셀은
    상기 워드라인이 그 게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비트라인이 그 드레인에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이 그 게이트에 연결되고, 접지 전압이 그 소스에 연결되는 SET 소자;
    상기 접지 전압이 그 게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상기 SET 소자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셀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 SRAM.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ET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상기 소스와 상기 드레인;
    상기 소스와 상기 드레인 사이에 터널 정션을 형성하고, 상기 소스와 상기 드레인 사이에 위치하는 메탈 아일랜드; 및
    상기 메탈 아일랜드 상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메탈 아일랜드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상기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 SRAM.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디플리션 엔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 SRAM.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트랜지스터는
    디플리션 엔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 SRAM.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V SRAM은
    상기 워드라인을 인에이블시켜 상기 DRAM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프레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 SRAM.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V SRAM은
    복수개의 상기 워드라인들과 복수개의 상기 비트라인들의 교차점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기 단위 셀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단위 셀들을 리프레쉬하기 위하여, 소정의 리프레쉬 주기로 상기 워드라인들을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V SRAM.
KR1020050084298A 2005-09-09 2005-09-09 다치 에스램 KR100714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298A KR100714823B1 (ko) 2005-09-09 2005-09-09 다치 에스램
PCT/KR2006/003610 WO2007029992A1 (en) 2005-09-09 2006-09-11 Multiple-valued dram
PCT/KR2006/003609 WO2007029991A1 (en) 2005-09-09 2006-09-11 Multiple-valued s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298A KR100714823B1 (ko) 2005-09-09 2005-09-09 다치 에스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862A true KR20070029862A (ko) 2007-03-15
KR100714823B1 KR100714823B1 (ko) 2007-05-07

Family

ID=37836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298A KR100714823B1 (ko) 2005-09-09 2005-09-09 다치 에스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14823B1 (ko)
WO (2) WO20070299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600A (ko) * 2008-12-18 2010-06-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전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을 제어가능한 set ulg회로 및 그 회로를 이용한 단전자 트랜지스터 드레인전압의 제어방법
CN106329960A (zh) * 2015-07-01 2017-01-11 Ls产电株式会社 用于断路器的恒压供电电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947B1 (ko) 2007-01-16 2008-07-09 주식회사 엑셀반도체 단전자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다치 dram 셀 및 다치 dram 셀 어레이
KR100844946B1 (ko) 2007-01-16 2008-07-09 주식회사 엑셀반도체 단전자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다치 dram 셀 및 다치 dram 셀 어레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494B1 (ko) * 1988-01-28 1998-07-15 미다 가쓰시게 레벨시프트회로를 사용한 고속센스 방식의 반도체장치
US5677637A (en) * 1992-03-25 1997-10-14 Hitachi, Ltd. Logic device using single electron coulomb blockade techniques
JP3179943B2 (ja) * 1993-07-12 2001-06-2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JPH0830250A (ja) * 1994-07-20 1996-02-02 Fujitsu Ltd 文章処理装置
US5640350A (en) * 1996-05-01 1997-06-17 Iga; Adam Sempa Multi-bit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cell storage
US5889697A (en) * 1997-10-08 1999-03-30 Advanced Micro Devices Memory cell for storing at least three logic states
JP3415502B2 (ja) * 1999-07-30 2003-06-09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6282115B1 (en) * 1999-12-22 2001-08-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level DRAM trench store utilizing two capacitors and two plates
US6538923B1 (en) * 2001-02-26 2003-03-25 Advanced Micro Devices, Inc. Staircase program verify for multi-level cell flash memory desig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600A (ko) * 2008-12-18 2010-06-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전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을 제어가능한 set ulg회로 및 그 회로를 이용한 단전자 트랜지스터 드레인전압의 제어방법
CN106329960A (zh) * 2015-07-01 2017-01-11 Ls产电株式会社 用于断路器的恒压供电电路
CN106329960B (zh) * 2015-07-01 2019-01-01 Ls产电株式会社 用于断路器的恒压供电电路
US10176951B2 (en) 2015-07-01 2019-01-08 Lsis Co., Ltd. Constant voltage supplying circuit for circuit br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29991A1 (en) 2007-03-15
WO2007029992A1 (en) 2007-03-15
KR100714823B1 (ko) 2007-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4221B2 (en) Memory devices including floating body transistor capacitorless memory cells and related methods
US7259986B2 (en) Circuit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w voltage, high performance register files
US9633708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ing STT-MRAM
US20100165704A1 (en) Circuit and Method for a High Speed Memory Cell
TWI543157B (zh) 靜態隨機存取記憶體及其操作方法
US8059451B2 (en) Multiple valued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cell and thereof array using single electron transistor
JP2007042172A (ja) 半導体メモリ装置
US20060227593A1 (en) Low voltage operation dram control circuits
US6788571B2 (en) Thin film magnetic memory device having an access element shared by a plurality of memory cells
KR100674105B1 (ko) 다치 디램
JP5321855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8953401B2 (en)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memory array thereof
JP2008257833A (ja) センス増幅回路およびセンス増幅方法
US6853579B1 (en) Non-refresh four-transistor memory cell
KR100512545B1 (ko) 리프레쉬 동작이 불필요한 메모리 셀을 구비하는 반도체기억 장치
KR100714823B1 (ko) 다치 에스램
KR100380825B1 (ko) 모든 메모리 셀에 의해 공유되는 워드선 바이어스 회로를 구비하는 스태틱 램
KR100673408B1 (ko) 싱글 일렉트론 트랜지스터를 채용하는 메모리 셀 및 그메모리 장치
US6310795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data retention characteristic of improved stability
US6990029B2 (en) Column read amplifier power-gating technique for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and those devices incorporating embedded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JPH08180684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11049550B1 (en) Multi-bit current sense amplifier with pipeline current sampling of resistive memory array structure and sensing method thereof
Bhushan et al. High Density FourTransistor SRAM Cell with Low Power Consumption
JPS6124092A (ja) 半導体記憶装置
KR017069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센스 증폭기 풀다운 구동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