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827A - 도광판,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도광판,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827A
KR20070028827A KR1020050083496A KR20050083496A KR20070028827A KR 20070028827 A KR20070028827 A KR 20070028827A KR 1020050083496 A KR1020050083496 A KR 1020050083496A KR 20050083496 A KR20050083496 A KR 20050083496A KR 20070028827 A KR20070028827 A KR 20070028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ayer
refractive index
light
light guid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성
박진혁
김희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8827A/ko
Publication of KR20070028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16Grooves, prisms, gratings, scattering particles or rough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도광판,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도광판은 제1 광학층 및 제2 광학층을 포함한다. 제1 광학층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며 제1 굴절률을 갖는다. 제2 광학층은 제1 광학층 상에 형성되며, 고굴절률 비드를 포함하여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갖는다. 고굴절률 비드는 이산화티타늄, 이산화규소 및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다. 제2 광학층은 제1 광학층을 통해 제2 광학층과 제1 광학층의 경계면에 입사한 광을 경계면에서 굴절되는 광과,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으로 편광시킨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소비전력 및 부품 수가 감소된다.
편광, 분리, 도광판, 굴절률, 브루스터

Description

도광판,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LIGHT GUIDE UNI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LIGHT GUIDE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광판을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반사에 의한 편광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광판 110 : 제1 광학층
130 : 제2 광학층 131 : 고굴절률 비드
132 : 내부층 134 : 외부층
135 : 경계면 350 : 반사층
5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700 : 표시 장치
790 : 표시 패널 796 : 표시 기판
797 : 편광판
본 발명은 도광판,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램덤한 편광을 특정한 편광으로 변경시켜 출사하는 도광판,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전극이 형성되는 두 장의 기판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액정층의 액정분자들을 재배열시켜 상기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량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이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백라이트를 외부 광원으로 사용한다. 상기 백라이트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랜덤한 편광이며, 상기 액정에 의해 광량 및 광의 편광축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편광판을 포함한다. 상기 편광판은 상기 백라이트와 표시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백라이트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랜덤한 편광을 특정한 편광으로 변경시켜 상기 액정패널에 제공한다.
상기 편광판에 의해 편광된 광은 상기 백라이트로부터 제공된 광에 비해 광량이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백라이트로부터 제공된 광의 이용 효율이 저하되며,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 가이드 및 편광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도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도광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제1 광학층 및 제2 광학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광학층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며 제1 굴절률을 갖는다. 상기 제2 광학층은 상기 제1 광학층 상에 형성되며, 고굴절률 비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갖는다. 상기 고굴절률 비드는 이산화티타늄, 이산화규소 및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광학층은 상기 제1 광학층을 통해 상기 제2 광학층과 제1 광학층의 경계면에 입사한 광을 상기 경계면에서 굴절되는 광과, 상기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으로 편광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굴절률 비드는 내부층 및 외부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내부층은 상기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층은 이산화규소 및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층을 둘러싼다. 상기 제2 광학층과 상기 경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 광학층의 표면에는 요철 패턴이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도광판은 반사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반사층은 상기 제1 광학층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경계면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굴절률과 제2 굴절률의 차이는 1 이상 및 1.5 이하이다. 상기 제1 광학층 및 제2 광학층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 및 도광판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은 제1 광학층 및 제2 광학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광학층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며 제1 굴절률을 갖는다. 상기 제1 광학층의 측면에는 상기 광이 입사된다. 상기 제2 광학층은 상기 제1 광학층 상에 형성되며, 고굴절률 비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갖는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광원, 도광판, 집광 시트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은 제1 광학층 및 제2 광학층을 포함한다. 상기 집광 시트는 상기 도광판의 위에 배치되어 제1 광학층과 제2 광학층의 경계면을 투과한 광을 집광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집광 시트가 출사하는 광을 기초로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도광판,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에 따르면, 상기 도광판이 편광 및 광 가이드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표시 장치에서 편광 필름 1매가 제거되거나, 편광 필름을 투과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광판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광판을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광판(100)은 제1 광학층(110) 및 제2 광학층(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광학층(110)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며 제1 굴절률을 갖는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광 투과성, 내열성, 내화학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예들 들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rylate; PMMA)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제1 광학층(110)의 상기 제1 굴절률은 약 1.492이다.
상기 제1 광학층(110)의 표면에는 요철 패턴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광학층(110)의 표면에는 프리즘 산들이 형성된다. 상기 프리즘 산들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프리즘 산의 정상을 기준으로 상기 프리즘 산의 양측의 경사면들은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학층(110)의 표면에는 라운드진 엠보싱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학층(130)은 상기 제1 광학층(110)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2 광학층(130)은 몸체(134) 및 고굴절률 비드(131)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34)는 상기 요철 패턴이 형성된 상기 제1 광학층(110)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134)는 상기 제1 광학층(11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광학층(110)과 제2 광학층(130)의 경계면(135)에서 전반사가 일어나는 경우, 상기 광이 상기 경계면(135)을 투과하여 상기 제2 광학층으로부터 출사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광학층(110) 내에서 다수 회의 반사를 거쳐야 하므로, 불필요한 광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경계면(135)에서 전반사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광학층(130)은 상기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굴절률 비드(131)는 고굴절률 첨가제로서, 다수 개가 상기 몸체(134)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고굴절률 비드(131)는 내부층(132) 및 외부층(133)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층(132)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며 상기 비드의 코어(core)를 이룬다. 상기 외부층(133)은 이산화규소(SiO2) 및 산화알루미늄(Al2O3)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층(132)의 표면을 둘러싸 상기 고굴절률 비드(131)의 외피를 이룬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광학층(130)은 전체적으로 상기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광학층(110)의 측면을 통해 상기 제1 광학층(110)의 내부로 도입된 편광되지 않은 광(이하 조명광(R)으로 칭함)으로서, 광파의 진동축을 기준으로 무수히 서로 다른 진동축을 갖는 광들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을 P파로, 상기 P파와 진동축이 수직을 이루는 광을 S파로 정의한다.
상기 조명광(R)은 상기 제1 광학층(110)의 배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 광학층(110)과 제2 광학층(130)의 경계면(135)에 입사한다. 이때, 상기 조명광(R)의 일부는 상기 경계면(135)에서 굴절되고, 일부는 반사된다.
도 3은 반사에 의한 편광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P파와 S파는 상기 경계면(135)에서 반사율이 서로 다르다. 또한, 상기 반사율은 상기 경계면(135)에 대한 상기 조명광(R)의 입사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투명하며, 절대 굴절률이 n1인 매질 1 및 절대 굴절률이 n2인 매질 2에 대하여, 광이 상기 매질 1을 통하여 상기 매질 1 및 매질 2의 경계면에 입사하는 경우, 수학식 tanΘ= n2/n1로 정해지는 특정한 입사각도(Θ)에서 상기 광의 반사광은 완전히 직선편광이 되어, 상기 경계면(135)에 수직으로 편광된다는 브루스터의 법칙에 의하면, 상기 특정한 입사각도(이하, 브루스터(Brewster)각이라고 칭함)에서는 상기 P파는 반사되지 않고 모두 굴절되며, 상기 S파는 반사 및 굴절된다. 즉, 이때의, 상기 P파의 반사계수 Rp는 0이되지만, 상기 S파의 반사계수 Rs는 0이 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매질 1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광학층(110)의 절대 굴절률(상기 제1 굴절률)은 약 1.492이므로, 상기 수학식 tanΘ= n2/n1으로부터 n2 = n1tanΘ 및 Θ= tan-1(n2/n1)으로 결정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제1 광학층(110)과 제2 광학층(130)의 경계면(135)이 평탄하고, 상기 경계면(135)에 대한 상기 조명광(R)의 입사각이 약 40 도이고, 이 각도를 상기 브루스터각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수학식 n2 = n1tanΘ으로부터 n2 = 1.492tan40 = 1.252(<n1=1.492)가 된다. 이 결과는, 상기 제2 광학층 (130)의 상기 제2 굴절률(n2)이 상기 제1 광학층(110)의 상기 1 굴절률(n1)보다 크다는 본 실시예의 전제와 모순된다.
한편, 상기 제2 굴절률(n2)이 약 2(>n1=1.492)인 경우, 수학식 Θ= tan-1(n2/n1)으로부터 브루스터각(Θ)는 약 53.3도 이다. 상기 제1 광학층(110)의 일 측면을 통해 상기 조명광(R)이 입사되고 상기 제1 광학층(110)과 제2 광학층(130)의 경계면(135)이 평탄한 경우, 상기 제1 광학층(110) 내부에 도입되어 상기 경계면(135)에 입사하는 광의 입사각은 0도 내지 90도에서 완만하게 분산된 분포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약 53.3도가 상기 브루스터각인 경우, 상기 53.3도 인근의 입사각으로 상기 경계면(135)에 입사하는 광량은 상기 제1 광학층(110)으로 입사한 광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고, 그 결과, 상기 경계면(135)에서 굴절 및 반사를 통한 편광 효과는 요구되는 성능보다 저조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 광학층(110)의 표면에 요철 패턴이 형성된 경우, 상기 제1 광학층(110)과 제2 광학층(130)의 경계면(135)에 대한 광의 입사각이 상대적으로 특정 각도에 집중된다. 이때, 상기 광의 입사각이 집중되는 특정 각도가 브루스터각이 되도록 상기 제2 광학층(130)의 제2 굴절률(n2)을 결정하면, 상기 경계면(135)서 굴절 및 반사를 통한 편광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편광 분리층(130)의 상기 제2 굴절률(n2)이 2.492인 경우, 도 3에서, 상기 경계면(135)에 대한 입사각도가 약 59도인 경우, 상기 P파의 반사율은 0이고, 상기 S파의 반사율은 약 0.85이다. 따라서, 상기 약 59도를 상기 제1 광학층(110)과 제2 광학층(130)의 경계면(135)에서 상기 P파 및 S파를 포함하는 광에 대한 브루스터각으로 볼 수 있다.
상기 경계면(135)에서, 굴절 및 반사에 의한 편광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광학층(110)으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을 특정 각도의 인근에 편중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경계면(135)에 대한 입사각도가 0도 내지 65도의 범위에서, 상기 S파의 반사율은 상기 P파의 반사율보다 매우 크다. 따라서, 상기 조명광(R)이 상기 경계면(135)과 상기 제1 광학층(110)의 배면에서 반사를 거듭할수록 상기 조명광(R) 중 상기 S파는 다시 P파와 S파로 분리되고, 상기 P파는 상기 경계면(135)에서 굴절되어 상기 제2 광학층(130)으로부터 출사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광학층(130)으로부터 대부분 상기 P파가 출사된다. 그 결과, 상기 도광판(100)은 광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편광되지 않은 광을 편광된 광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상기 제1 광학층(110)의 표면에 형성된 프리즘 형상의 요철 패턴은 상기 경계면(135)에 입사하는 광의 경로를 보다 상기 도광판(100)의 정면 방향에 근접하도록 굴절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광판(300)은 제1 광학층(310), 제2 광학층(330) 및 반사층(350)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300)은 상기 제2 광학층(330) 및 반사층(350)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도광판(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2 광학층(330)은 그 표면(337)이 평탄하게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2 광학층(1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반사층(350)은 상기 제1 광학층(310)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반사층(350)은 반사 효율이 우수한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500)는 광원(501) 및 도광판(507)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501)은 램프 및 발광 다이오드 등일 수 있다. 상기 광원(501)은 광파의 진동축이 다양한 편광되지 않은 광을 출사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500)는 광원 리플렉터(505)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광원 리플렉터(505)는 상기 도광판(507)과 대향하는 방향이 개구되며, 상기 광원(501)을 감싼다. 상기 광원 리플렉터(505)는 상기 광원(501)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도광판(507)의 일측면에 제공한다.
상기 도광판(507)은 제1 광학층(510)의 배면에 형성된 반사층(5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도광판(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500)는 집광 시트(5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집광 시트(570)는 상기 제2 광학층(530)의 위에 배치된다. 상기 제2 광학층(530)과 대향하는 상기 집광 시트(570)의 일면에는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집광 시트(570)는 상기 제2 광학층(530)으로부터 출사되는 편광된 광의 경로를 보다 상기 집광 시트(570)의 정면 방향에 근접시킨다.
이때, 상기 집광 시트(570)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도광판(507)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P파는 상기 집광 시트(570)를 투과하더라도 그 편광축을 그대로 유지한다.
표시 장치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광원(701), 도광판(707), 집광 시트(770) 및 표시 패널(790)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701), 도광판(707) 및 집광 시트(770)는 도 5에 도시된 광원(501), 도광판(507) 및 집광 시트(57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도광판(707)은 상기 광원(701)으로부터 제공된 편광되지 않은 광을 편광하여, P파가 대부분인 P편광을 상기 집광 시트(770)에 제공한다. 상기 집광 시트(770)는 광학적 등방성을 갖고서, 상기 P편광을 집광하며, 상기 P편광의 편광축을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집광 시트(770)는 상기 표시 패널(790)의 배면에 P편광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 패널(790)은 상기 집광 시트(770)의 위에 배치되어, 상기 집광 시트(770)로부터 출사된 상기 P편광을 기초로 영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시 패널(790)은 표시 기판(796) 및 편광판(797)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기판(796)은 제1 기판(791), 제2 기판(795) 및 액정층을 포함한 다.
상기 제1 기판(791)은 하부 기판, 화소 전극 및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 전극은 매트릭스 형태로 상기 하부 기판 상에 형성되며, 투명하고 도전성을 갖는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화소 전극에 패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제2 기판(795)은 상부 기판, 색화소 및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기판은 상기 하부 기판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 배치된다. 상기 색화소는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기판에 배치되며, 광을 입사 받아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을 통과시킨다. 상기 색화소가 배치된 상기 상부 기판의 일면 전체에는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여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이 배치된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1 기판(791) 및 제2 기판(795)의 사이에 배치되어 씰런트(Sealant,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밀봉된다. 상기 액정층은 방향성을 갖는 액정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층(760) 내의 액정은 트위스트 배향(Twisted Nematic, TN)모드로 배열된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액정층 내의 액정은 수직 배향(Vertical Alignment, VA), 엠티엔 배향(Mixed Twisted Nematic, MTN) 또는 호모지니우스(Homogeneous) 배향 모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정을 배향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기판(791) 및 제2 기판(795)은 상호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된 배향막들(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한다.
외부의 구동회로부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790)에 인가된 패널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의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면, 상기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의 사이에 개재된 상기 액정의 배열 방향이 변경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집광 시트(770)로부터 상기 제1 기판(791)에 제공되는 P편광의 투과도가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장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액정은 상기 제1 기판(791)으로부터 상기 제2 기판(795)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꼬이도록 그 배열 방향이 변경되고, 상기 액정층에 제공된 상기 P편광의 편광축을 회전시켜 P'편광을 출사한다. 이때, 상기 액정의 꼬임의 정도에 따라, 상기 P편광의 투과량이 조절된다.
한편, 상기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소정의 전기장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P 편광은 편광축의 변경 없이 광량만 감소되어 상기 액정층을 투과한다.
상기 편광판(797)은 상기 제2 기판(795) 상에 배치된다. 상기 편광판(797)의 편광축은 상기 P편광의 편광축과 일치하거나, 상기 P편광의 편광축과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편광판(797)은 상기 액정의 배열에 따라 상기 P편광의 편광축과 투과량이 조절된 P'편광을 편광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는 원하는 계조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광판은 랜덤하게 편광된 조명광을 특정한 P편광으로 편광시킨다. 상기 도광판에 의한 편광에서, 상기 조명광 중 S편광은 소멸되지 않고 P편광과 S편광으로 분리되는 과정을 반복하기 때문에, 종래의 도광판이 출사하는 랜덤 편광이 포함하는 P편광량보다 크게 증가된 휘도의 P편광을 출사한다.
이에 따라, 편광판을 거치지 않고 도광판으로부터 P편광을 직접 표시 패널에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랜덤한 편광을 편광판에 의해 P편광시켜 표시 패널에 제공하는 P광량보다 월등하게 향상된 휘도의 P편광을 상기 표시 패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P편광이므로 도광판과 표시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판 1매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휘도가 향상된 P편광을 상기 표시 패널에 제공함에 따라, 표시 장치의 소비전력이 감소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며 제1 굴절률을 갖는 제1 광학층; 및
    상기 제1 광학층 상에 형성되며, 이산화티타늄, 이산화규소 및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고굴절률 비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가지는 제2 광학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비드는
    상기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내부층; 및
    상기 이산화규소 및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층을 둘러싸는 외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층과 상기 경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 광학층의 표면에는 요철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층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광학층과 제2 광학층의 경계면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절률과 제2 굴절률의 차이는 1 이상 및 1.5 이 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층 및 제2 광학층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7. 광을 출사하는 광원;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며 제1 굴절률을 갖고, 상기 광이 입사되는 제1 광학층과, 상기 제1 광학층 상에 형성되며 이산화티타늄, 이산화규소 및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고굴절률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가지는 제2 광학층을 포함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8. 광을 출사하는 광원;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며 제1 굴절률을 갖고, 상기 광이 입사되는 제1 광학층과, 상기 제1 광학층 상에 형성되며 이산화티타늄, 이산화규소 및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고굴절률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가지는 제2 광학층을 포함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광학층과 제2 광학층의 경계면에서 굴절되는 광을 집광하는 집광 시트; 및
    상기 집광 시트가 출사하는 광을 기초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및
    상기 표시 기판 상에 배치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50083496A 2005-09-08 2005-09-08 도광판,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KR20070028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496A KR20070028827A (ko) 2005-09-08 2005-09-08 도광판,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496A KR20070028827A (ko) 2005-09-08 2005-09-08 도광판,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827A true KR20070028827A (ko) 2007-03-13

Family

ID=3810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496A KR20070028827A (ko) 2005-09-08 2005-09-08 도광판,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88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4619A2 (ko) * 2008-10-15 2010-04-22 주식회사 엘엠에스 확산비드가 구비된 광학소자, 이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100977272B1 (ko) * 2009-04-03 2010-08-23 주식회사 엘엠에스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도광판
WO2019019888A1 (en) * 2017-07-28 2019-01-31 Smart Liquid Crystal Technologies Co., Ltd. POLARIZING BACKLIGHT UNI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4619A2 (ko) * 2008-10-15 2010-04-22 주식회사 엘엠에스 확산비드가 구비된 광학소자, 이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WO2010044619A3 (ko) * 2008-10-15 2010-07-29 주식회사 엘엠에스 확산비드가 구비된 광학소자, 이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101009709B1 (ko) * 2008-10-15 2011-01-19 주식회사 엘엠에스 확산비드가 구비된 광학소자, 이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100977272B1 (ko) * 2009-04-03 2010-08-23 주식회사 엘엠에스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도광판
WO2019019888A1 (en) * 2017-07-28 2019-01-31 Smart Liquid Crystal Technologies Co., Ltd. POLARIZING BACKLIGHT UNI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9307903A (zh) * 2017-07-28 2019-02-05 江苏集萃智能液晶科技有限公司 一种出射偏振光的背光源及其制备方法和液晶显示装置
CN109307903B (zh) * 2017-07-28 2020-05-12 江苏集萃智能液晶科技有限公司 一种出射偏振光的背光源及其制备方法和液晶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8668B1 (ko) 비흡광형 편광소자, 이 편광소자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 편광소자를 이용한 편광광원, 액정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EP1855150B1 (en) Illuminating apparatus providing polarized color ligh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828531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300456B1 (ko) 백라이트장치및액정표시장치
JP3801032B2 (ja) 光源とこの光源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EP1850156A1 (en) Polarizing light guide plate unit an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KR100681095B1 (ko)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71839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도광판
KR10166657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H11110131A (ja) 液晶表示装置
US20080252823A1 (en) Double-sided display device employing a polarized light guide
JPH11352479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透過型表示装置
JP2001166299A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0123464A (ja) 照明装置、光学シー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4794069B2 (ja)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4784110B2 (ja)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H10161123A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4011805B2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70028827A (ko) 도광판,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US20070047111A1 (en) Prism sheet and backlight unit employ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JPH10170916A (ja)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WO2019019888A1 (en) POLARIZING BACKLIGHT UNI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H11133419A (ja) 液晶表示装置
KR101284048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2007004162A (ja) 表示パネル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