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549A - 기기 등록시스템 및 기기 등록장치 - Google Patents

기기 등록시스템 및 기기 등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549A
KR20070028549A KR1020077001256A KR20077001256A KR20070028549A KR 20070028549 A KR20070028549 A KR 20070028549A KR 1020077001256 A KR1020077001256 A KR 1020077001256A KR 20077001256 A KR20077001256 A KR 20077001256A KR 20070028549 A KR20070028549 A KR 20070028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stration
expiration date
deletion
information
re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츠메 마츠자키
마사야 미야자키
유이치 후타
도시히사 나카노
히로키 야마우치
소이치로 후지오카
유코 즈사카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8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이미 제한대수의 기기가 등록되어 있는 상태인 기기 등록장치(10)에 대해 PC(20)로부터 콘텐츠 요구가 송신되면, 유효기한 관리부(105)는 등록리스트 관리부(102)에 이미 등록유효기한이 끝난 등록정보가 등록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여, 등록유효기한이 끝난 등록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등록리스트 관리부(102)는 당해 등록정보를 삭제하고, 새로 PC(20)의 등록정보를 등록한다.
제한대수, 유효기한, 등록정보, 삭제, 등록

Description

기기 등록시스템 및 기기 등록장치{DEVICE REGISTRATION SYSTEM AND DEVICE REGIST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의 카피(copy)나 이동이 상호 가능한 그룹을 형성하여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화, 음악, 게임 등(이하, 콘텐츠라 한다)은 인터넷이나 디지털방송 등에 의해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게 되었다. 통상, 유통되는 콘텐츠는 저작권보호를 위해 암호화되어 배포된다. 암호화된 콘텐츠는 정당한 권리를 갖는 장치만이 복호 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저작권보호를 너무 엄격하게 적용하면 사용자의 편리성을 손상하게 된다.
그래서 예를 들어 가정 내 등의 「일정하게 제한된 범위 : Authorized Domain(이하, AD라 한다)」에서는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 특허문헌 3).
이는, 가정 내의 서버(server)에 제한대수 이내의 클라이언트(client)를 등록하여, 등록되어 있는 클라이언트는 서버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비 특허문헌 1 : 剛本龍明, 山本博資, 「현대암호(現代暗號)」 P155, P156, 산업도서(産業圖書)
비 특허문헌 2 :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merican National Standards for Financial Service, ANXS 9. 57 : Public Key Cryptography For The Financial Industry : Certificate Management, 1997
비 특허문헌 3 : IBM Response to DVB-CPT Call for Proposals for Content Protection & Copy Management : xCP Cluster Protocol<URL : http://www.almanden.ibm.com/software/ds/Content Assurance/papers/xCP_DVB.pdf>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는 서버에 클라이언트를 등록할 때 및 삭제할 때에는 사용자가 클라이언트의 ID를 입력할 필요가 있는 등, 유용성이 결여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복잡한 조작을 하지 않고도 클라이언트의 등록 및 삭제를 할 수 있는 유용성이 높은 기기 등록장치 및 기기 등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한대수의 범위 내에서 기기를 멤버로 등록하는 기기 등록장치로, 시각을 계측하는 시계수단과, 이미 등록된 1대 이상의 기기에 대해서, 각 기기를 식별하는 식별정보와 등록유효기한을 서로 대응시킨 등록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멤버 기억수단과, 상기 시계수단에서 판독한 시각과 상기 등록유효기한을 비교하여, 초과한 등록유효기한을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선택된 상기 등록정보를 상기 멤버 기억수단에서 삭제하는 삭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기 등록장치에 의하면, 각 기기의 등록유효기한을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기기 ID의 입력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유효기한을 초과한 기기를 AD에서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기 등록장치는 기기로부터 등록요구를 접수하는 접수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접수수단이 상기 등록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시계수단에서 판독한 시각과 상기 등록유효기한을 비교하여, 등록유효기한을 초과한 상기 등록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 등록장치는 기기로부터의 등록요구를 트리거(trigger)로 하여 삭제처리를 행하므로, 사용자 측의 필요성이 발생한 때에 삭제처리를 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제한대수, 이미 등록되어 있는 기기의 대수 및 각 기기의 유효기한 등을 의식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상기 기기 등록장치는 상기 기기를 식별하는 식별정보와 당해 기기의 등록유효기한 서로 대응시킨 등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멤버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등록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 등록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유효기한이 초과한 기기를 AD에서 삭제하고, 새로 요구가 있은 기기를 AD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기 등록장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와 콘텐츠 ID를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 기억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접수수단은 상기 기기로부터 하나의 콘텐츠 ID를 포함하는 상기 등록요구를 접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 등록장치는 콘텐츠 요구인 등록요구를 트리거로 하여 삭제처리 및 등록처리를 행하므로, 사용자 측에서 콘텐츠 요구가 발생한 때에 상기 삭제처리 및 등록처리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록수단은 상기 등록정보를 생성한 때부터 소정 시간 후를 상기 등록유효기한으로 설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 등록장치는 각 기기의 등록유효기한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록수단은 상기 등록정보를 생성한 때의 등록상황에 따라서 상기 등록유효기한을 설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 등록장치는 등록을 한 때의 등록상황에 따라서 유연하게 등록유효기한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록수단은 당해 등록정보를 생성한 때에 이미 등록이 되어 있는 기기의 대수인 상기 등록상황에 따라서 상기 등록유효기한을 설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 등록장치는, 예를 들어, 미등록인 기기를 새로 AD에 등록할 때, 이미 AD에 4대의 기기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미등록인 기기의 등록유효기한을 2주간으로 설정하고, AD에 1대의 기기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미등록인 기기의 등록유효기한을 2개월로 설정하는 등, 대수제한을 고려하여 등록유효기한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기 등록장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기기의 등록정보에 삭제예약을 설정하는 삭제예약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삭제예약이 설정되어 있는 등록정보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 등록장치는, AD에서 삭제하기에 부적절한 기기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기기의 등록정보에 삭제예약일을 설정함으로써 당해 기기가 AD에서 삭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삭제예약수단은 삭제예약이 설정된 등록정보에 대응하는 삭제일을 기억하고 있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시계수단에서 판독한 시각과 상기 삭제일을 비교하여, 상기 시각이 상기 삭제일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등록정보를 선택 대상으로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 등록장치는, AD에서 삭제하기에 부적절한 기기가 이는 경우에는, 삭제예약을 설정함으로써 AD에서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삭제에 적절한 때를 삭제일로 설정함으로써 AD에서 삭제가 방지되어 있던 당해 기기를 적절한 때에 AD에서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삭제예약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 기기의 속성에 따라서 삭제예약을 설정하는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 등록장치는 온라인 기기 및 오프라인 기기 등의 기기의 속성에 따라서 삭제예약일을 설정하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기억수단은 하나 이상의 콘텐츠와 콘텐츠 ID 및 콘텐츠 유효기한을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있고, 상기 삭제예약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 상기 접수수단이 접수한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 유효기한에 따라서 삭제예약을 설정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 등록장치가 기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의 이용기한이 종료할 때까지 당해 기기가 AD에서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콘텐츠의 이용기한을 삭제일로 설정함으로써, 콘텐츠의 이용기한의 종료 시에 기기를 AD에서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기등록장치는 상기 기기가 정당한 기기인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등록수단은 상기 인증수단에 의해 상기 기기가 정당한 기기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등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멤버 기억수단에 기록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부정한 기기가 AD에 등록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수단은, 무효화 된 기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재한 리스트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리스트와 상기 등록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기기가 정당한 기기인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무효화리스트에 기재된 부정한 기기가 AD에 등록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기 등록장치는, 예약리스트를 구비하고, 당해 예약리스트에 미등록인 기기를 나타내는 예약정보를 기재하고 있으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미등록인 기기를 상기 멤버 관리수단에 등록하는 등록예약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수단은 등록유효기한을 초과한 상기 하나의 기기를 선택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등록예약수단에 대해 등록 예약을 지시하며, 상기 등록예약수단은, 상기선택수단으로부터의 등록예약지시를 받아서, 상기 미등록인 기기를 나타내는 예약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예약리스트에 기재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 등록장치는 등록요구를 접수하였음에도 등록이 되지 않았던 기기에 대해서 미등록 기기로서 예약리스트에 기억한다, 이에 의해, 등록요구를 접수한 순으로 기기를 AD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록예약수단은, 상기 시계수단에서 판독하는 시각과 이미 등록된 등록정보에 포함되는 등록유효기한을 정기적으로 비교하여 등록유효기한을 초과한 등록정보가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판단부에 의해 등록유효기한을 초과하였다고 판단된 등록정보를 삭제하는 삭제부와, 상기 예약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미등록인 기기에 대응하는 등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멤버 관리수단에 등록하는 등록부와, 등록된 상기 기기의 예약정보를 상기 예약리스트에서 파기하는 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 등록장치는 등록 대기상태인 기기가 예약리스트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등록유효기한을 초과한 기기가 AD에서 삭제되면 등록 대기중인 기기를 AD에 등록을 함으로써, 등록요구를 접수한 순으로 기기를 AD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시계수단에서 판독한 시각과 상기 등록유효기한을 정기적으로 비교함으로써 등록유효기한을 초과한 상기 등록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 등록장치는 시각과 등록유효기한을 정기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유효기한을 초과한 등록정보가 등록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를 항상 방지할 수 있어서, 새로운 기기로부터 접수하는 등록요구에 대해 신속하게 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수수단은 등록유효기한을 초과한 상기 등록정보에 대응하는 기기로부터 당해 기기에서의 멤버 탈퇴처리가 종료한 것을 나타내는 삭제완료통지를 접수하고, 상기 삭제수단은 상기 접수수단이 상기 삭제완료통지를 접수한 경우에 상기 등록정보를 삭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 등록장치는 삭제처리 시에 기기 측의 삭제처리를 확인하므로 기기에 의한 부정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기 등록장치는, 상기 제한대수 및 등록된 기기의 대수를 나타내는 등록대수를 기억하고, 상기 제한대수와 상기 등록대수를 비교함으로써, 제한대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기를 멤버로 등록하도록 제어하는 대수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 등록장치가 제한대수와 등록대수를 기억함으로써, 항상 제한대수 범위 내에서 기기를 등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수제어수단은 상기 삭제수단에 의해 상기 멤버 기억수단에서 하나의 등록정보가 삭제되면 상기 등록대수를 감소(decrement)시키고, 상기 등록수단에 의해 상기 멤버 기억수단에 하나의 등록정보가 등록되면 상기 등록대수를 증가(increment)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 등록장치는 기억하고 있는 등록대수를 증가 및 감소시킴으로써 항상 제한대수 범위 내에서 기기를 등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멤버 기억수단은 삭제금지기간을 포함하는 상기 등록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시계수단에서 판독한 시각과 상기 삭제금지기간도 비교하여, 초과한 등록유효기간을 포함하고, 또한, 초과한 삭제금지기간도 포함하는 상기 등록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기 등록장치는 등록유효기한을 초과한 기기라도, 삭제금지기간을 초과하고 있지 않은 기기는 AD에서 삭제할 수 없다. 이는, 제한대수를 설정함으로써 콘텐츠의 무제한의 이용을 억제하는 본 시스템에서, 기기의 삭제 및 기기의 등록을 단기간에 반복함에 따라서 제한대수에 의한 억제기능이 충분하게 발휘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기기 등록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기기 등록시스템(1)이 형성하는 AD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서버장치(10) 및 PC(20)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 도이다.
도 4는 등록리스트(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등록리스트(35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등록예약리스트(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기기 등록시스템(1) 전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기기 등록시스템(1)의 등록처리 및 콘텐츠 배포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에 계속.
도 9는 기기 등록시스템(1)의 등록처리 및 콘텐츠 배포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에서 계속.
도 10은 기기 등록시스템(1)의 인증, 세션 키 공유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에 계속.
도 11은 기기 등록시스템(1)의 인증, 세션 키 공유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에서 계속.
도 12는 등록 예약부(106)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기기 등록시스템(1)의 삭제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제 2 실시 예인 기기 등록시스템(2)에 포함되는 서버장치(10a)와 PC(20a)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기능블록 도이다.
도 15는 등록리스트(410)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삭제예약리스트(450)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기기 등록시스템(2)의 전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기기 등록시스템(2)의 등록처리 및 콘텐츠 배포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9에 계속.
도 19는 기기 등록시스템(2)의 등록처리 및 콘텐츠 배포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8에서 계속.
도 20은 기기 등록시스템(2)의 삭제처리 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1은 기기 등록시스템(2)의 삭제처리 2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2는 삭제 예약부(106a)가 행하는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3은 삭제 예약부(106a)가 행하는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부호의 설명>
1 기기 등록시스템 2 기기 등록시스템
10 서버장치 10a 서버장치
20 PC 20a PC
21 PC 22 HD 리코더
23 PDA 24 휴대용 플레이어
25 클라이언트 30 네트워크
101 인증부 101a 인증부
102 등록리스트 관리부 102a 등록리스트 관리부
103 대수 제어부 103a 대수 제어부
104 시계 104a 시계
105 유효기한 관리부 105a 유효기한 관리부
106 등록 예약부 106a 삭제 예약부
107 콘텐츠 기억부 107a 콘텐츠 기억부
108 콘텐츠 배포부 108a 콘텐츠 배포부
109 입출력부 109a 입출력부
201 인증부 201a 인증부
202 기기ID 기억부 202a 기기ID 기억부
203 요구 생성부 203a 요구 생성부
204 입력부 204a 입력부
205 표시부 205a 표시부
206 기억부 206a 기억부
207 입출력부 207a 입출력부
<제 1 실시 예>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인 기기 등록시스템(1)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기 등록시스템(1)은 사용자의 가정 내에서 서버장치에 복수의 클라이언트를 등록함으로써 AD를 형성하여, AD 내에서는 자유롭게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이용」은 콘텐츠를 클라이언트의 기억영역에 카피하여, 카피한 콘텐츠를 클라이언트에서 재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성>
1. 전체 시스템
여기에서는, 기기 등록시스템(1)의 구성 및 AD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기 등록시스템(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장치(10), PC(Personal Computer, 20), PC(21), HD 리코더(Hard Disc Recorder, 22),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23) 및 휴대용 플레이어(24)로 구성되고, 각 기 기는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상호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PC(20), PC(21), HD 리코더(22), PDA(23) 및 휴대용 플레이어(24)를 간단하게 「클라이언트」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서버 및 클라이언트는 본래 기능상의 명칭이며, 예를 들어 하나의 기기 내에 서버 기능과 클라이언트 기능의 양방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AD에 주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기능을 구비하는 기기를 서버장치(또, 이 서버장치는 다른 AD의 클라이언트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라고 부르고, 상기 서버장치가 갖는 콘텐츠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 기능을 갖는 기기를 클라이언트(또, 이 클라이언트는 다른 AD의 서버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다른 AD의 서버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의 클라이언트는 온라인 기기(online device)라도 좋고, 오프라인 기기(offline device)라도 좋다. 온라인 기기는 사용자의 가정 내에 있고, 항상 네트워크(30)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이다. 구체적으로는, PC 21 및 HD 리코더(22)가 온라인 기기에 상당한다. 한편, 오프라인 기기는 항상 네트워크(30)에 접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옥외 등에 반출이 가능한 기기이다. 구체적으로는, PC 20, PDA(23), 휴대용 플레이어(24)가 오프라인 기기에 상당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기기 등록시스템(1)이 형성하는 AD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 서버장치(10)가 형성하는 AD의 제한 대수는 「5대」로 한다. 또한, 제한 대수는 미리 정해져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의 실선으로 둘러싸인 범위가 AD이며, PC(21), HD 리코더(22), PDA(23) 및 휴대용 플레이어(24)는 이미 서버장치(10)에 등록이 완료되어 있다. 서버장치(10)에 등록되어 있는 클라이언트는 서버장치(10)가 보유하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상태는, 서버장치(10)에는 4대의 클라이언트가 이미 등록되어 있으므로, 나중에 1대의 클라이언트를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5대째의 클라이언트인 PC(20)는 등록이 가능하며, 등록을 함으로써 서버장치(10)가 보유하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6대째의 클라이언트(25)는 제한대수를 초과하게 되므로 등록이 불가능하다.
2. 서버장치(10)
서버장치(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증부(101), 등록리스트 관리부(102), 대수 제어부(103), 시계(104), 유효기한 관리부(105), 등록 예약부(106), 콘텐츠 기억부(107), 콘텐츠 배포부(108) 및 입출력부(109)로 구성된다.
서버장치(10)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ROM, RAM, 하드디스크 유닛 등으로 구성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서버장치(10)는 등록처리, 삭제처리 및 콘텐츠 배포처리 등을 실현한다.
(1) 인증부(101)
인증부(101)는 내부에 기억영역을 가지며, 기억영역에는 공개키 증명서 Cert_0010, 무효화리스트(Certificate Revocation List : CRL) 및 비밀키 SK_0010이 기억되어 있다. Cert_0010 및 CRL은 미리 서버장치(10)가 인증국(Certificate Authority : CA)으로부터 취득한 데이터이다.
Cert_0010은 서버장치(10)의 기기 ID (ID_0010), 서버장치(10)의 공개키 (PK_0010) 및 서명데이터 (Sig_0010)을 포함한다. PK_0010은 비밀키 SK_0010에 대응하는 공개키이다. 서명데이터 (Sig_0010)은 기기 ID (4ID_0010) 및 공개키 (PK_0010)에 대한 인증국(CA)에 의한 디지털 서명이다.
CRL은 비밀키가 폭로되는 등에 의해 무효가 된 공개키 증명서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재된 리스트이다. 비밀키 SK_0010은 서버장치(10)에 고유한 키 데이터이며, 인증부(101) 내의 안전한 영역(secure area)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인증부(101)는 입출력부(109)를 통해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 요구 및 삭제요구를 수신하면, 콘텐츠 요구 및 삭제요구의 송신원인 클라이언트와의 사이에서 인증처리 및 세션 키(session key) 공유처리를 행한다. 인증처리 및 세션 키 공유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콘텐츠 요구란, AD에 등록이 완료된 클라이언트 및 미등록인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장치(10)에 송신되어서 콘텐츠의 제공을 요구하는 정보로서, 콘텐츠를 지정하기 위한 콘텐츠 ID, 클라이언트를 식별하기 위한 자기(自機) ID, 자기의 공개키 증명서 Cert_L 등을 포함한다. 삭제요구란, 등록이 완료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장치(10)에 송신되어서, AD에서의 탈퇴를 요구하는 정보이다.
또한, CRL은 본 발명에서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인증부(101)는 CRL을 이 용하지 않고 클라이언트를 인증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2) 등록리스트 관리부(102)
등록리스트 관리부(102)는 AD의 멤버를 등록한 등록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다. 도 4는 등록리스트의 구체 예인 등록리스트(300)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록리스트(300)는 등록정보 301, 302, 303 및 304를 포함한다. 각 등록정보는 기기 ID와 유효기한 및 삭제금지기간을 포함한다. 또한, AD의 제한대수는 5대이므로, 등록리스트(300)에는 나중에 1대의 클라이언트를 등록할 수 있다.
기기 ID는 각 클라이언트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수치 및 기호이다. 여기서는, PC(21), HD 리코더(22), PDA(23) 및 휴대용 플레이어(24)의 기기 ID를 각각 ID_0021, ID_0022, ID_0023 및 ID_0024로 한다.
유효기한은 각 클라이언트가 AD의 멤버인 기간의 종기(終期)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의하면, PC(21)의 유효기한은 2005년 9월 10일이고, HD 리코더(22)의 유효기한은 2005년 7월 25일이며, PDA(23)의 유효기한은 2005년 10월 1일이고, 휴대용 플레이어(24)의 유효기한은 2005년 3월 31일이다. 등록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때부터 유효기한까지 각 클라이언트는 AD의 멤버이며, 서버장치(10)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유효기한의 일자의 설정방법은 시스템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며, 구체적으로는 서버장치(10)가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삭제금지기간은 각 클라이언트를 AD에서 완전하게 삭제하는 것을 금지하는 기간의 종기를 나타내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대수 제어부(103)가 관리하는 등록대 수를 감소시키는(decrement) 것을 금지하는 기간의 종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의하면, PC(21)의 삭제금지기간은 2005년 12월 10일이고, HD 리코더(22)의 삭제금지기간은 2005년 7월 25일이며, PDA(23)의 삭제금지기간은 2005년 8월 1일이고, 24의 삭제금지기간은 2005년 3월 31일이다.
또한, 삭제금지기간은 유효기한과는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삭제금지기간을 설정함으로써, 서버장치(10)는 등록유효기한을 초과한 기기라도 삭제금지기간을 초과하지 않은 기기는 AD에서 삭제할 수 없다. 따라서 삭제금지기간은, 등록대수를 설정하여 콘텐츠의 무제한 이용을 억제하는 본 시스템에서, 기기의 삭제 및 기기의 등록을 단기간에 반복함으로써, 제한대수에 의한 억제가 충분하게 기능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삭제금지기간의 날짜의 설정방법은 시스템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고, 서버장치(10)에 대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공자 측의 규격에 의해 결정되어 있어도 좋으며, 사용자가 지불하는 서비스 요금에 의존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등록리스트 관리부(102)는 등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등록정보를 등록리스트에 기록하며, 또, 유효기한 관리부(105)로부터의 지시를 받아서 등록리스트에서 등록정보를 삭제하여 등록리스트를 갱신한다.
또한, 등록리스트 관리부(102)는 유효기한 관리부(105)로부터 지시를 받아서, 유효기한 전에 삭제요구를 접수한 클라이언트에 대해서, 당해 클라이언트의 유효기한을 삭제요구가 있은 날짜로 재기록(rewrite)한다. 예를 들어, 등록리스트 관 리부(102)가 도 4에 도시한 등록리스트(300)를 기억하고 있는 상태에서, 2005년 8월 1일에 PC(21) (ID_0021)로부터 삭제요구를 접수한 경우, 등록리스트 관리부(102)는 등록정보 301에 포함되는 유효기한을 2005년 9월 10일에서 2005년 8월 1일로 재기록한다.
(3) 대수 제어부(103)
대수 제어부(103)는 미리 내부에 AD의 제한대수를 기억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 AD의 제한대수는 5대이므로, 대수 제어부(103)는 AD의 제한대수로 「5」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제한대수는 외부에서 고쳐 쓸 수 없는(unrewritable) 안전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대수 제어부(103)는 AD에 등록되어 있는 클라이언트의 수인 등록대수를 관리하며, 등록대수 범위 내에서 등록대수를 증가(increment) 및 감소(decrement)시킨다.
여기에서는 등록리스트(300)를 이용하여 대수 제어부(103)가 관리하는 등록대수와 삭제금지기간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등록정보 301의 유효기한은 2005년 9월 10일이므로, PC(21)는 2005년 9월 10일 이후에는 서버장치(10)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삭제금지기간인 2005년 12월 10일을 지날 때까지는 대수 제어부(103)가 등록대수를 감소시킬 수 없다. 서버장치(10)가 PC(21)로부터 2005년 9월 10일 이전에 삭제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대수 제어부(103)는 2005년 12월 10일이 지날 때까지는 등록대수를 감소시킬 수 없다.
등록정보 302의 유효기한과 삭제금지기간은 모두 2005년 7월 25일이다. 따라서 HD 리코더(22)는 2005년 7월 25일 이후에는 서버장치(10)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게 되며, 대수 제어부(103)는 2005년 7월 25일을 지나면 등록대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서버장치(10)가 HD 리코더(22)로부터 2005년 7월 25일 이전에 삭제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대수 제어부(103)는 2005년 7월 25일이 지날 때까지는 등록대수를 감소시킬 수 없다.
등록정보 303의 유효기한은 2005년 10월 1일이므로, PDA(23)는 2005년 10월 1일 이후에는 서버장치(10)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이미 삭제금지기간(2005년 8월 1일)이 지났으므로, 대수 제어부(103)는 등록대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장치(10)가 PDA(23)로부터 2005년 8월 1일 이전에 삭제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대수 제어부(103)는 2005년 8월 1일이 지날 때까지는 등록대수를 감소시킬 수 없다.
등록정보 304의 유효기한과 삭제금지기간은 모두 2005년 3월 31일이다. 따라서 휴대용 플레이어(24)는 2005년 3월 31일 이후에는 서버장치(10)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게 되며, 대수 제어부(103)는 2005년 3월 31일이 지나면 등록대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서버장치(10)가 휴대용 플레이어(24)로부터 2005년 3월 31일 이전에 삭제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대수 제어부(103)는 2005년 3월 31일이 지날 때까지는 등록대수를 감소시킬 수 없다.
또한, 대수 제어부(103)는 제한대수와 등록대수를 기억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대수 제어부(103)는 남은 대수(이후에 몇 대의 기기를 등록할 수 있는가)를 기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4) 시계
시계(104)는 시각을 계측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계(104)는 현재 일시를 계측하고 있다. 여기서, 시계(104)가 계측하는 시각은 외부에서 고쳐 쓰거나 부정하게 정지시킬 수 없는 안전한 영역에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시계(104)는 현재 일시(절대시각)를 계측하는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어떤 초기치에 의거하여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라도 좋고, 소정 시간당 1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라도 좋다. 즉, 시계(104)가 계측하는 시각은 등록정보에 포함되는 유효기한 및 삭제금지기간을 초과하고 있는가 여부의 판단에 이용할 수 있는 정보이면 된다. 또, 그 정밀도에서도 유효기한 및 삭제금지기간이 초과하였는가 여부의 판단에 이용할 수 있으면, 일, 시간, 분 단위 등과 같은 정밀도를 이용해도 좋다.
(5) 유효기한 관리부(105)
유효기한 관리부(105)는 서버장치(10)가 미등록인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 요구를 접수하고, 또한, 등록리스트 관리부(102)가 기억하고 있는 등록리스트가 도 4에 도시한 등록리스트(350)와 같이 이미 5개의 등록정보를 등록하고 있는 경우에, 각 등록정보에 포함되는 유효기한과 시계(104)가 계측하고 있는 현재 일시를 비교하여 유효기한이 초과한 클라이언트가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유효기한 관리부(105)가 시계(104)로부터 취득한 현재 일시가 2005년 6월 1일이라고 하면, 등록정보 354의 유효기한이 2005년 5월 30일이므로, 이미 휴대용 플레이어(24)(ID_0024)는 유효기한이 끝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유효기한 관리부(105)는 서버장치(10)가 이미 등록이 완료된 클라이언트에서 삭제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당해 클라이언트의 등록정보에 포함되는 유효기한 및 삭제금지기간과 현재 일시를 비교하여, 대수 제어부(103)가 관리하고 있는 등록대수를 감소시키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유효기한 관리부(105)는 당해 클라이언트의 유효기한을 시계(104)에서 판독한 현재 일자로 고쳐 쓰는 지시를 등록리스트 관리부(102)에 출력한다.
(6) 등록 예약부(106)
등록 예약부(106)는 서버장치(10)가 이미 5대의 클라이언트를 AD의 멤버로 등록하고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당해 클라이언트를 「등록 대기상태인 클라이언트」로 하여 등록예약정보를 작성해서 등록예약리스트에 등록하는 처리를 한다. 도 6은 등록예약리스트의 일 예인 등록예약리스트(400)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등록리스트 관리부(102)가 도 5에 도시한 등록리스트(350)를 기억하고 있고, 대수 제어부(103)가 관리하고 있는 등록대수가 5대인 상태에서, 서버장치(10)가 2005년 5월 5일에 PC(20)로부터 콘텐츠 요구를 접수하면, 등록 예약부(106)는 PC(20)의 기기 ID(ID_0020)와 콘텐츠 요구를 접수한 일자(이하, 등록예약일이라 한다)(2005년 5월 5일)로 이루어지는 등록예약정보 401을 생성하여 등록예약리스트에 등록한다.
마찬가지로, 서버장치(10)가 2005년 6월 6일에 기기 ID가 ID_0124인 클라이언트(미도시)로부터 콘텐츠 요구를 접수하면, 등록 예약부(106)는 당해 클라이언트의 기기 ID(ID_0124)와 등록예약일자로 이루어지는 등록예약정보를 생성하여 등록예약리스트에 등록한다.
또한, 등록 예약부(106)는 등록예약리스트, 등록리스트 및 등록대수를 감시하면서, 등록이 완료된 클라이언트가 AD에서 삭제되면 등록예약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클라이언트를 AD에 등록한다. 등록예약리스트에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등록일이 빠른 클라이언트부터 순서대로 등록하는 것으로 한다.
(7) 콘텐츠 기억부(107)
콘텐츠 기억부(107)는 구체적으로는 하드디스크 유닛 등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콘텐츠를 기억하고 있다.
콘텐츠는 외부의 콘텐츠 서버로부터 취득한 것이라도 좋고, 광디스크 등의 휴대형 매체에서 판독한 것이라도 좋다.
콘텐츠 기억부(107)는 콘텐츠를 콘텐츠 ID와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있다. 콘텐츠 ID는 콘텐츠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이다. 콘텐츠 기억부(107)는 콘텐츠 배포부(108)로부터 콘텐츠 ID를 수신하면, 수신한 콘텐츠 ID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를 판독하여 콘텐츠 배포부(108)에 인계한다.
(8) 콘텐츠 배포부(108)
콘텐츠 배포부(108)는 콘텐츠 ID를 콘텐츠 기억부(107)에 인계하고,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한다.
콘텐츠 배포부(108)는 인증부(101)에 의해 클라이언트와 공유한 세션 키를 암호 키로 이용하여 콘텐츠를 암호화해서 암호화 콘텐츠를 생성한다. 콘텐츠 배포부(108)는 생성한 암호화 콘텐츠를 네트워크(30)를 통해서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한다.
(9) 입출력부(109)
입출력부(109)는 네트워크 접속용 유닛으로, 네트워크를 통해서 각 클라이언트와 통신을 행한다.
3. PC(20)의 구성
PC(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증부(201), 기기 ID 기억부(202), 요구 생성부(203), 입력부(204), 표시부(205), 기억부(206) 및 입출력부(207)로 구성된다.
PC(20)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ROM, RAM, 하드디스크 유닛, 네트워크 접속유닛, 디스플레이,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성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1) 인증부(201)
인증부(201)는 내부에 기억영역을 가지며, 기억영역에는 공개키 증명서 Cert_0020, CRL 및 비밀키 SK_0020이 기억되어 있다. Cert_0020 및 CRL은 PC(20)가 미리 인증국(CA)에서 취득한 데이터이다.
Cert_0020은 PC(20)의 ID (ID_0020), PC(20)의 공개키 (PK_0020), 및 서명데이터 (Sig_0020CA)을 포함한다. PK_0020은 비밀키 SK_0020에 대응하는 공개키이다. 서명데이터 (Sig_0020CA)는 기기 ID (ID_0020) 및 공개키 (PK_0020)에 대한 인증국(CA)에 의한 디지털 서명이다.
CRL은 비밀키가 폭로되는 등에 의해 무효가 된 공개키 증명서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재된 리스트이다. 비밀키 SK_0020은 PC(20)에 고유한 키 데이터이며, 인증부(201) 내의 안전한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인증부(201)는 서버장치(10)에 대해 콘텐츠 요구 및 삭제요구를 송신한 후에 서버장치(10)와의 사이에서 인증처리 및 세션 키 공유처리를 행한다.
또한, CRL은 본 발명에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인증부(201)는 CRL을 공유하지 않고 서버장치(10)를 인증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2) 기기 ID 기억부(202)
기기 ID 기억부(202)는 PC(20)를 고유하게 기억하기 위한 정보인 기기 ID (ID_0020)를 기억하고 있다.
(3) 요구 생성부(203)
요구 생성부(203)는 입력부(204)를 통해서 콘텐츠의 선택을 접수하면 콘텐츠 요구를 생성한다.
또한, 요구 생성부(203)는 입력부(204)를 통해서 AD에서 탈퇴를 접수하면 삭제요구를 생성하고, 서버장치(10)와의 사이에서의 삭제처리에서 삭제완료통지를 생성한다. 삭제요구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장치(10)에 대해 AD에서 탈퇴를 신청하는 요구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새로운 기기를 구입하여 즉시 새 기기를 AD에 등록하려 고 한다. 그러나 AD에는 이미 제한대수와 같은 수의 클라이언트가 등록되어 있어서 새 기기를 AD에 등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삭제요구는 유효하게 기능을 한다.
즉, 사용자가 별로 사용하지 않는 기기를 유효기한 만료 이전에 AD에서 삭제하고, 등록대수에 여유가 생긴 곳에 새 기기를 등록할 수 있다.
(4) 입력부(204)
입력부(204)는 구체적으로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을 포함하며, 키보드 및 마우스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입력을 접수한다.
구체적인 예로, 입력부(204)는, 표시부(205)에 서버장치(10)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의 일람표인 콘텐츠 리스트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마우스의 클릭에 의해 하나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ID를 요구 생성부(203)에 인계한다.
(5) 표시부(205)
표시부(205)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콘텐츠 리스트 및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6) 기억부(206)
기억부(206)는 서버장치(10)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의 일람표인 콘텐츠 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다. 콘텐츠 리스트는, 일 예로 UPn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미리 서버장치(10)로부터 PC(20)에 송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기억부(206)는 서버장치(1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기억한다.
(7) 입출력부(207)
입출력부(207)는 네트워크 접속 유닛으로,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서버장치(10)와 통신을 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일 예로 PC(2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그 외의 클라이언트는, 기억하고 있는 ID와 공개키 증명서는 상이하나, 기기의 기능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PC(20)와 동일하다.
<동작>
여기에서는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한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기기 등록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시스템 전체의 동작
도 7은 기기 등록시스템(1) 전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기기 등록시스템(1)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 요구가 발생하지 않고(스텝 S 101에서 NO), 또한, 삭제요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 104에서 NO) 처리를 행하지 않고 스텝 S 101로 복귀한다.
기기 등록시스템(1)은 클라이언트에서 콘텐츠 요구가 발생하면(스텝 S 101에서 YES) 서버장치(10)에 의한 클라이언트의 등록처리 및 클라이언트에 콘텐츠를 배포하는 배포처리를 한다(스텝 S 102). 클라이언트는 서버장치(10)로부터 취득한 콘텐츠를 재생한다(스텝 S 103). 그 후, 스텝 S 104로 진행한다.
기기 등록시스템(1)은 클라이언트에서 삭제요구가 발생하면(스텝 S 104에서 YES) 서버장치(10)에 의한 클라이언트의 삭제처리를 한다(스텝 S 105). 그 후, 스 텝 S 101로 복귀하여 처리를 계속한다.
2. 등록처리 및 콘텐츠 배포처리의 동작
도 8 및 도 9는 기기 등록시스템(1)에서의 클라이언트 등록처리 및 콘텐츠 배포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동작은 도 7의 스텝 S 101, S 102 및 S 103의 상세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PC(20)가 서버장치(10)에 콘텐츠를 요구하는 장면을 구체 예로 이용하여 설명하나, PC(20) 이외의 클라이언트라도 동일한 처리를 한다.
먼저, PC(20)의 입력부(204)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한다(스텝 S 201). PC(20)의 요구 생성부(203)는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ID 및 기기 ID 기억부(202)에 기억되어 있는 기기 ID (ID_0020)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구를 생성한다(스텝 S 202). 입출력부(207)는 요구 생성부(203)가 생성한 콘텐츠 요구를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서버장치(10)에 송신하고, 서버장치(10)의 입출력부(109)는 콘텐츠 요구를 수신한다(스텝 S 203).
그 후, 서버장치(10)의 인증부(101)와 PC(20)의 인증부(201) 사이에서 인증처리 및 세션 키 공유처리를 한다(스텝 S 204).
서버장치(10)는 PC(20)에 대응하는 등록정보가 이미 등록리스트에 등록되어 있고, 또한 유효기한 내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205).
PC(20)에 대응하는 등록정보가 이미 등록리스트에 등록되어 있고, 또한 유효기한 내인 경우(스텝 S 205에서 YES)에는 서버장치(10)는 스텝 S 227로 진행하여 처리를 계속한다. PC(20)에 대응하는 등록정보가 미등록인 경우, 또는 등록은 되어 있으나 유효기한이 끝난 경우(스텝 S 205에서 NO)에는 대수 제어부(103)는 등록대수와 제한대수가 동일한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206).
등록대수와 제한대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스텝 S 206에서 NO), 구체적으로는 등록대수가 제한대수 미만인 경우에는 서버장치(10)는 스텝 S 225로 진행하여 처리를 계속한다. 등록대수와 제한대수가 같은 경우(스텝 S 206에서 YES)에는, 유효기한 관리부(105)는 등록리스트 관리부(102)에서 등록리스트를 판독하고, 시계(104)에서 현재일시를 취득한다. 유효기한 관리부(105)는 등록리스트에 포함되는 5개의 등록정보 각각에 대해서 유효기한과 현재 일시를 비교하여, 유효기한이 끝난 등록정보기 있는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 207).
유효기한이 끝난 클라이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S 208에서 NO)에는 서버장치(10)의 등록 예약부(106)는 스텝 S 210으로 진행하여 처리를 계속한다. 유효기한이 끝난 클라이언트가 존재하는 경우(스텝 S 208에서 YES)에는, 유효기한 관리부(105)는 유효기한이 끝난 클라이언트의 등록정보에서 삭제금지기간을 판독하여, 현재가 삭제금지기간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209).
현재가 삭제금지기간인 경우(스텝 S 209에서 YES)에는, 서버장치(10)의 등록 예약부(106)는 예약정보를 생성하고(스텝 S 210), 생성한 예약정보를 등록예약리스트에 추가한다.
현재가 삭제금지기간이 아닌 경우(스텝 S 209에서 NO)에는 등록리스트 관리부(102)는 유효기한이 끝난 클라이언트의 등록정보를 리스트에서 삭제한다(스텝 S 221).
다음에, 대수 제어부(103)는 등록대수를 감소시키고(스텝 S 222), 등록대수와 제한대수가 같은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223).
등록대수와 제한대수가 같은 경우(스텝 S 223에서 YES)에는 대수 제어부(103)는 입출력부(109) 및 네트워크(30)를 통해서 PC(20)에 에러통지를 송신한다(스텝 S 224). 등록대수와 제한대수가 같지 않은 경우(스텝 S 223에서 NO), 구체적으로는 등록대수가 제한대수 미만인 경우에는 대수 제어부(103)는 등록대수를 증가시킨다(스텝 S 225).
다음에, 등록리스트 관리부(102)는 PC(20)의 등록정보를 생성하고, 등록리스트에 추가해서 등록한다(스텝 S 226).
이어서, 콘텐츠 배포부(108)는 스텝 S 203에서 수신한 콘텐츠 요구에 포함되는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기억부(107)에서 판독한다(스텝 S 227), 콘텐츠 배포부(108)는 인증부(101)로부터 스텝 S 204에서 PC(20)와 공유한 세션 키를 수신하고, 세션 키를 암호 키로 이용하여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생성한다(스텝 S 228). 콘텐츠 배포부(108)는 입출력부(109) 및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암호화 콘텐츠를 PC(20)에 송신하고, PC(20)는 암호화 콘텐츠를 수신한다(스텝 S 229).
PC(20)의 기억부(206)는 인증부(201)로부터 세션 키를 수신하고, 세션 키를 복호 키로 이용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복호 하여(스텝 S 230), 복호 한 콘텐츠를 표시부(205)에 표시한다(스텝 S 231).
3. 인증처리 및 세션 키 공유처리의 동작
도 10 및 도 11은 서버장치(10)와 클라이언트에서의 인증처리 및 세션 키 공유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동작은 도 8의 스텝 S 204 및 도 13의 스텝 S 404의 상세이다.
또한, 여기에서도 클라이언트의 구체 예로 PC(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Gen()을 키 생성함수로 하고, Y를 시스템 고유의 파라미터로 한다. 또, 키 생성함수 Gen()은 Gen(X, Gen(y, Z)) = Gen(y, Gen(X, Z))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키 생성함수는 임의의 공지기술에 의해 실현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PC(20)의 인증부(201)는 내부의 기억영역에서 공개키 증명서 Cert_L을 판독한다(스텝 S 501). PC(20)의 경우 L = 0020이다.
PC(20)의 입출력부(207)는 네트워크(30)를 통해서 Cert_0020을 서버장치(10)에 송신하고, 서버장치(10)의 입출력부(109)는 Cert_0020을 수신한다(스텝 S 502).
서버장치(10)는 CA의 공개키 PK_CA를 이용하여 공개키 증명서 Cert_0020에 포함되는 서명데이터 Sig_0020CA에 대해서 서명검증 알고리즘을 실시하여 서명검증을 한다(스텝 S 503). 또한, 서버장치(10)는 CA의 공개키 PK_CA를 미리 알고 있는 것으로 한다. 검증결과가 실패인 경우(스텝 S 504에서 NO)에는 서버장치(10)는 처리를 종료한다. 검증결과가 성공인 경우(스텝 S 504에서 YES)에는, 서버장치(10)의 인증부(101)는 내부의 기억영역에서 CRL을 판독하여(스텝 S 505), 공개키 증명서 Cert_0020에 포함되는 ID_0020이 CRL에 포함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ID_0020이 CRL에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 506에서 YES)에는 서버장치(10)는 처리를 종료한다. ID_0020이 CRL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스텝 S 506에서 NO)에는 서버장치(10)의 인증부(101)는 내부의 기억영역에서 공개키 증명서 Cert_0010을 판독한다(스텝 S 507). 입출력부(109)는 네트워크(30)를 통해서 공개키 증명서 Cert_0010을 PC(20)에 송신하고, PC(20)의 입출력부(207)는 Cert_0010을 수신한다(스텝 S 508).
PC(20)의 인증부(201)는 공개키 증명서 Cert_0010을 수신하면, CA의 공개키 PK_CA를 이용하여 Cert_L에 포함되는 서명데이터 Sig_0010CA에 대해 서명검증 알고리즘을 실시하여 서명검증을 한다(스텝 S 509). 또한, PC(20) 및 각 클라이언트는 CA의 공개키 PK_CA를 미리 알고 있는 것으로 한다. 검증결과가 실패인 경우(스텝 S 510에서 NO)에는 PC(20)는 처리를 종료한다. 검증결과가 성공인 경우(스텝 S 510에서 YES)에는 공개키 증명서 Cert_0010에 포함되는 ID_0010이 CRL에 등록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ID_0010이 CRL에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 512에서 YES)에는 PC(20)는 처리를 종료한다. ID_0010이 CRL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스텝 S 512에서 NO)에는 PC(20)는 처리를 계속한다.
스텝 S 507의 처리에 이어, 서버장치(10)의 인증부(101)는 난수 Cha_B를 생성한다(스텝 S 513). 입출력부(109)는 네트워크(30)를 통해서 난수 Cha_B를 PC(20)에 송신하고, PC(20)의 입출력부(207)는 난수 Cha_B를 수신한다(스텝 S 514).
PC(20)의 인증부(201)는 비밀키 SK_0020을 판독하고, 판독한 비밀키 SK_0020과 앞에서 수신한 난수 Cha_B를 이용하여 서명생성 알고리즘을 실시해서 서명데이 터 Sig_a를 생성한다(스텝 S 515. 입출력부(207)는 서명데이터 Sig_a를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서버장치(10)에 송신하고, 서버장치(10)의 입출력부(109)는 서명데이터 Sig_a를 수신한다(스텝 S 516).
서버장치(10)의 인증부(101)는, 서명데이터 Sig_a를 수신하면, 스텝 S 502에서 Cert_0020에 포함되어 수신한 PC(20)의 공개키 PK_0020을 이용하여 서명데이터 Sig_a에 서명검증 알고리즘을 실시하여 서명검증을 한다(스텝 S 517). 검증결과가 실패인 경우(스텝 S 518에서 NO)에는 서버장치(10)는 처리를 종료한다. 검증결과가 성공인 경우(스텝 S 518에서 YES)에는 서버장치(10)는 처리를 계속한다.
한편, PC(20)의 인증부(201)는 스텝 S 515의 처리에 이어서 난수 Cha_A를 생성한다(스텝 S 519). 입출력부(207)는 네트워크(30)를 통해서 난수 Cha_A를 서버장치(10)에 송신하고, 서버장치(10)의 입출력부(109)는 난수 Cha_A를 수신한다(스텝 S 520).
서버장치(10)의 인증부(101)는 수신한 난수 Cha_A에 내부에 보유하고 있는 비밀키 SK_0010을 이용하여 서명 알고리즘을 실시해서 서명데이터 Sig_b를 생성한다(스텝 S 521). 입출력부(109)는 생성한 서명데이터 Sig_b를 네트워크(30)를 통해서 PC(20)에 송신하고, PC(20)의 입출력부(207)는 서명데이터 Sig_b를 수신한다(스텝 S 522).
PC(20)의 인증부(201)는 서명데이터 Sig_b를 수신하면, 스텝 S 508에서 Cert_0010에 포함되어 수신한 서버장치(10)의 공개키 PK_0010을 이용하여 서명데이터 Sig_b에 서명검증 알고리즘을 실시하여 서명검증을 한다(스텝 S 523). 검증결과 가 실패인 경우(스텝 S 524에서 NO)에는 PC(20)는 처리를 종료한다. 검증결과가 성공인 경우(스텝 S 524에서 YES)에는, PC(20)의 인증부(201)는 난수 「a」를 생성하고(스텝 S 525), 생성한 난수 「a」를 이용하여 Key_A = Gen(a, Y)를 생성한다(스텝 S 526). 입출력부(207)는 생성된 Key_A를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서버장치(10)에 송신하고, 서버장치(10)의 입출력부(109)는 Key_A를 수신한다(스텝 S 527).
서버장치(10)의 인증부(101)는 Key_A를 수신하면 난수 「b」를 생성하고(스텝 S 528), 생성한 난수 「b」를 이용하여 Key_B = Gen(b, Y)를 생성한다(스텝 S 529). 입출력부(109)는 생성된 Key_B를 네트워크(30)를 통해서 PC(20)에 송신하고, PC(20)의 입출력부(207)는 Key_B를 수신한다(스텝 S 530).
또, 서버장치(10)의 인증부(101)는 스텝 S 528에서 생성한 난수 「b」와 스텝 S 527에서 수신한 Key_A를 이용해서 Key_AB = Gen(b, Key_A) = Gen(b, Gen(a, Y))를생성하여 (스텝 S 531), 생성한 Key_AB를 세션 키로 한다(스텝 S 532).
한편, PC(20)의 인증부(201)는 스텝 S 530에서 Key_B를 수신하면, Key_B와 스텝 S 525에서 생성한 난수 「a」로부터 Key_AB = Gen(a, Key_B) = Gen(a, Gen(b, y))를 생성하여(스텝 S 533), 생성한 Key_AB를 세션 키로 한다(스텝 S 534).
4. 등록 예약부(106)
도 12는 등록 예약부(106)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동작은 다른 동작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등록 예약부(106)는 등록예약리스트에 예약정보가 기록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303).
등록예약리스트에 예약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 303에서 NO), 즉, 등록 대기중인 클라이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등록 예약부(106)는 스텝 S 303의 처리를 계속한다.
등록예약리스트에 예약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스텝 S 303에서 YES), 즉, 등록 대기중인 클라이언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등록 예약부(106)는 등록리스트 관리부(102)에서 등록리스트를 취득하고, 시계(104)에서 현재 일시를 취득한다(스텝 S 304). 등록 예약부(106)는 각 등록정보의 유효기한을 현재 일시와 비교하여 유효기한이 끝난 클라이언트가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305). 유효기한이 끝난 클라이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S 305에서 NO)에는 등록 예약부(106)는 스텝 S 304로 복귀하여 처리를 계속한다.
유효기한이 끝난 클라이언트가 존재하는 경우(스텝 S 305에서 YES)에는, 등록 예약부(106)는 등록예약정보를 확인하여 현재가 삭제금지기간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306). 현재가 삭제금지기간인 경우(스텝 S 306에서 YES)에는 등록 예약부(106)는 스텝 S 304로 복귀하여 처리를 계속한다. 현재가 삭제금지기간이 아닌 경우(스텝 S 306에서 NO)에는 등록 예약부(106)는 유효기한이 끝난 클라이언트의 등록정보를 등록리스트에서 삭제한다(스텝 S 307). 그 후, 대수 제어부(103)는 등록대수를 감소시키고(스텝 S 308), 등록대수와 제한대수가 같은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309).
등록대수와 제한대수가 같은 경우(스텝 S 309에서 YES)에는 서버장치(10)는 스텝 S 304로 복귀하여 처리를 계속한다. 등록대수와 제한대수가 같지 않은 경우 (스텝 S 309에서 NO), 구체적으로는, 등록대수가 제한대수 미만인 경우에는 대수 제어부(103)는 등록대수를 증가시킨다(스텝 S 310).
다음에, 등록리스트 관리부(102)는 예약정보에 포함되는 기기 ID에 의해 식별되는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등록정보의 생성을 등록리스트 관리부(102)에 지시한다(스텝 S 311).
등록 예약부(106)는 스텝 S 311에서 등록정보의 생성을 지시한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예약정보를 파기하고(스텝 S 312), 그 후, 스텝 S 303으로 복귀하여 처리를 계속한다.
또한, 스텝 S 309에서 YES인 경우에는, 스텝 S 303으로 복귀하지 않고, 등록예약중인 클라이언트에 에러통지를 해도 좋다.
또, 등록 예약부(106)는 예약리스트에 복수의 예약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등록예약일이 빠른 예약정보부터 등록처리를 하는 것으로 한다.
5. 삭제처리의 동작
도 13은 기기 등록시스템(1)에서의 클라이언트의 삭제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동작은 도 7의 스텝 S 104 및 스텝 S 105의 상세이다.
또한, 여기서는 PC(20)가 서버장치(10)에 AD로부터의 탈퇴를 신청하는 장면을 구체 예로 이용하여 설명하나, PC(20) 이외의 클라이언트라도 동일한 처리를 한다.
먼저, PC(20)의 입력부(204)는 AD를 탈퇴한다는 취지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한다(스텝 S 401). 그 후, 요구 생성부(203)는 기기 ID 기억부(202)가 기억하고 있는 기기 ID (ID_0020)을 판독하고, ID_0020을 포함하는 삭제요구를 생성한다(스텝 S 402).
입출력부(207)는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삭제요구를 서버장치(10)에 송신하고, 서버장치(10)의 입출력부(109)는 삭제요구를 수신한다(스텝 S 403).
그 후, 서버장치(10)의 인증부(101) 및 PC(20)의 인증부(201)는 인증처리 및 세션 키 공유처리를 한다(스텝 S 404). 또한, 스텝 S 404의 상세는 도 10 및 도 11의 플로차트에 의해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다.
서버장치(10)의 유효기한 관리부(105)는, PC(20)의 등록정보가 등록리스트 관리부(102)에 등록되어 있고, 또한 현재가 PC(20)의 유효기한 내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405). PC(20)의 등록정보가 등록리스트 관리부(102)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등록되어 있으나 이미 유효기한이 끝난 경우(스텝 S 405에서 NO)에는 서버장치(10)는 삭제처리를 종료한다.
PC(20)의 등록정보가 등록리스트 관리부(102)에 등록되어 있고, 또한, 현재가 유효기한 내인 경우(스텝 S 405에서 YES)에는 유효기한 관리부(105)는 현재가 PC(20)의 삭제금지기간 내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406). 삭제금지기간 내인 경우(스텝 S 406에서 YES)에는, 유효기한 관리부(105)는 등록리스트 관리부(102)에 대해 PC(20)의 등록정보에 포함되는 기한을 현재 일자로 고쳐 쓰도록 지시하고, 등록리스트 관리부(102)는 유효기한을 고쳐 쓴다(스텝 S 414).
현재가 PC(20)의 삭제금지기간이 아닌 경우(스텝 S 406에서 NO)에는, 유효기 한 관리부(105)는 PC(20)에 대해 AD에서 탈퇴를 할 수 있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삭제가능 통지를 생성한다(스텝 S 407). 입출력부(109)는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삭제가능 통지를 PC(20)에 송신하고, PC(20)의 입출력부(207)는 삭제가능 통지를 수신한다(스텝 S 408).
PC(20)는 삭제가능 통지를 수신하면 기억부(206)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및 콘텐츠 리스트를 소거하는 등의 삭제처리를 한다(스텝 S 409). 삭제처리가 종료하면 PC(20)의 요구 생성부(203)는 삭제완료통지를 생성한다(스텝 S 410). 입출력부(207)는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삭제완료통지를 서버장치(10)에 송신하고, 서버장치(10)의 입출력부(109)는 삭제완료통지를 수신한다(스텝 S 411).
다음에, 등록리스트 관리부(102)는 등록리스트에서 PC(20)의 등록정보를 삭제하고(스텝 S 412), 대수 제어부(103)는 등록대수를 감소시킨다(스텝 S 413).
또한, 스텝 S 405에서 유효기한이 이미 끝나 있는 경우(스텝 S 406에서 NO)에는 PC(20)는 서버장치(10)에 대해 그 취지를 통지하도록 동작해도 좋다.
<제 2 실시 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로 기기 등록시스템(2)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기 등록시스템 2는 제 1 실시 예에서 개시한 기기 등록시스템 1과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AD를 형성하며, AD의 범위 내에서 클라이언트는 서버장치가 보유하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구성>
도 14는 기기 등록시스템 2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여기에서는 서버 장치(10a) 및 PC(20a)만을 도시하며, PC(20a) 이외의 클라이언트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실제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 등록시스템(2)의 제한대수는 5대로 한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서버장치(10a) 및 PC(20a)는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1. 서버장치(10a)의 구성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장치(10a)는 인증부(101a),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 대수 제어부(103a), 시계(104a), 유효기한 관리부(105a), 삭제 예약부(106a), 콘텐츠 기억부(107a), 콘텐츠 배포부(108a) 및 입출력부(109a)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서버장치 10의 기능 블록 도와의 차이는, 서버장치 10의 등록 예약부 106 대신 서버장치 10a에서는 삭제 예약부 106a를 구비하는 점이다.
인증부 101a, 시계 104a, 유효기한 관리부 105a, 콘텐츠 배포부 108a 및 입출력부 109a는 인증부 101, 시계 104, 유효기한 관리부 105, 콘텐츠 배포부 108 및 입출력부 109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 1 실시 예의 서버장치 10과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1)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는 AD의 멤버를 등록한 등록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다.
도 15는 등록리스트의 구체 예인 등록리스트(410)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록리스트(410)는 등록정보 411, 412, 413, 414 및 415를 포함한다. 제 1 실시 예에서의 등록리스트와 달리, 등록리스트(410)의 각 등록정보는 기기 ID와 유효기한 및 삭제예약플래그를 포함한다.
기기 ID와 유효기한은 실시 예 1과 동일하다.
삭제예약플래그는 등록되어 있는 각 클라이언트에 대해서 삭제예약이 설정되어 있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삭제예약플래그가 「1」인 경우에는 대응하는 클라이언트에는 삭제예약이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삭제예약플래그가 「0」인 경우에는 대응하는 클라이언트에는 삭제예약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삭제예약이 설정되면 등록리스트에서 등록정보는 삭제되지 않으며, 등록대수도 감소시킬 수 없으나, 삭제예약이 설정된 클라이언트는 서버장치(10a)가 보유하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다. 삭제예약이 설정된 상태에서 현재 일시가 삭제 예약부(106a)에 등록되어 있는 삭제일을 지나면 등록을 삭제하고 등록대수를 감소시킨다.
도 15에 의하면, 삭제예약이 설정되어 있는 것은 기기 ID_0021a, ID_0023a, ID_0020a를 갖는 3대의 클라이언트이다. 또, ID_0020a를 갖는 기기는 PC(20a)이다.
등록리스트 관리부 102a는 등록리스트 관리부 102와 마찬가지로 등록정보를 생성하여, 생성한 등록정보를 등록리스트에 기록한다. 또, 등록리스트에서 등록정보를 삭제함으로써 등록리스트를 갱신한다.
(2) 대수 제어부(103a)
대수 제어부(103a)는 제 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제한대수와 등록대수를 관 리하고 있고,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가 등록리스트에서 등록정보를 삭제 및 추가함에 따라서, 제한대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등록대수를 감소 및 증가시킨다.
또, 대수 제어부(103a)는 삭제 예약부(106a)로부터의 지시를 받아서 등록대수를 감소시킨다.
(3) 삭제 예약부(106a)
삭제 예약부(106a)는 클라이언트의 유효기한 전에, 서버장치(10a) 측의 사정에 의해, 클라이언트를 AD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삭제예약을 설정하는 삭제예약기능을 갖는다.
여기에서는 먼저, 삭제 예약부(106a)의 삭제예약기능을 설명하기 전에, 오프라인 기기에 의한 콘텐츠의 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오프라인 기기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기를 네트워크에서 절단하여 가정 밖으로 반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래서 오프라인 기기를 반출한 상태에서, AD의 콘텐츠를 보유하면서, 콘텐츠의 이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콘텐츠에는 콘텐츠 이용기한이 설정되어 있다. 오프라인 기기는 콘텐츠 이용기한 내에는 서버장치(10a)에 액세스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기기 자체에 카피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기기에 카피 되어 있는 콘텐츠는 콘텐츠 이용기한이 지나면 소거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서버장치(10a)가 가정 밖으로 반출된 오프라인 기기인 클라이언트를 당해 클라이언트의 유효기한 이전에 AD에서 삭제하는 경우에는, 서버장치(10a) 측의 등록리스트에서 등록정보를 삭제하는 것만으로는 당해 클라이언트 대신에 다른 새로운 클라이언트가 AD에 등록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만일 당해 클라이언트에 카피 되어 있는 콘텐츠의 이용기한이 끝나기 이전이면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의 등록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는 5대이나, 실질적으로는 AD의 등록대수를 초과하여, 상기 오프라인 기기를 포함한 6대의 기기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예약부(106a)가 설정하는 삭제예약은 이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삭제 예약부(106a)는 오프라인 기기인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 요구를 접수하고 콘텐츠의 이용을 허가하는 경우에는 당해 클라이언트를 나타내는 기기 ID 및 당해 콘텐츠의 이용기한을 내부에 기억해 둔다. 또한, 여기서 기억하고 있는 기기 ID 및 콘텐츠 이용기한은 콘텐츠의 이용기한이 지나면 삭제되는 것으로 한다.
삭제 예약부(106a)는 AD에서 삭제하려고 하는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에서 절단되어 있는 오프라인 기기인 경우에는 당해 클라이언트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의 이용기한을 확인한다. 삭제 예약부(106a)는 현재가 콘텐츠의 이용기한 이전인 경우에는 삭제예약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삭제예약정보를 삭제예약리스트에 기록한다. 또한, 삭제 예약부(106a)는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에 대해 당해 클라이언트의 등록정보에 포함되는 삭제예약플래그를 1로 설정하도록 지시한다.
도 16은 삭제예약리스트의 일 예인 삭제예약리스트(45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삭제예약리스트(450)는 삭제예약정보 451, 452 및 453을 포함하며, 각 삭제예약정보는 기기 ID와 삭제예약일로 이루어진다. 삭제일은 앞에서 설명한 콘텐츠의 이용기한이다.
삭제예약정보 451에 의하면, 기기 ID가 ID_0020a인 클라이언트는 2005년 6월 15일까지 이용 가능한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다. 삭제예약정보 452에 의하면, 기기 ID가 ID_0021a인 클라이언트는 2005년 9월 1일까지 이용 가능한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다. 삭제예약정보 453에 의하면, 기기 ID가 ID_0023a인 클라이언트는 2005년 10월 1일까지 이용 가능한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다.
삭제 예약부(106a)는 정기적으로 시계(104a)로부터 시간정보를 취득하고, 삭제예약리스트에 삭제일이 지난 삭제예약정보가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삭제일이 지난 삭제예약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삭제 예약부(106a)는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에 대해 삭제일이 지난 삭제예약정보에 포함되는 기기 ID와 일치하는 기기 ID를 갖는 등록정보를 삭제하도록 지시하고, 또한, 대수 제어부(103a)에 대해 등록대수를 감소시키도록 지시한다. 그 후, 삭제 예약부(106a)는 삭제예약리스트에서 당해 삭제예약정보를 파기한다.
또, 네트워크에서 절단되어 있던 오프라인 기기가 다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서버장치(10a)에 액세스를 한 경우에는, 삭제 예약부(106a)는 당해 오프라인 기기의 등록정보의 삭제예약플래그를 확인한다. 삭제예약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즉, 삭제예약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삭제 예약부(106a)는 당해 오프라인 기기에 대해 새로운 콘텐츠의 제공을 거부하고, 이미 당해 오프라인 기기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를 삭제하도록 지시한다. 그 후, 삭제 예약부(106a)는 당해 오프라인 기기에 카피 되어 있는 콘텐츠의 삭제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통지를 수신하면,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에 대해 당해 오프라인 기기의 등록정보를 등록리스트에서 삭제하도록 지시하고, 또한 대수 제어부(103a)에 대해 등록대수를 감소시 키도록 지시한다.
(4) 콘텐츠 기억부(107a)
콘텐츠 기억부(107a)는 콘텐츠 ID와 콘텐츠 및 당해 콘텐츠의 이용기한을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있다.
2. PC(20a)의 구성
PC(20a)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증부(201a), 기기 ID 기억부(202a), 요구 생성부(203a), 입력부(204a), 표시부(205a), 기억부(206a) 및 입출력부(207a)로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는 제 1 실시 예에서 개시한 PC 20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여기에서는 PC 20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PC(20a)의 기기 ID 기억부(202a)는 PC(20a)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인 기기 ID (ID_0020a)와 함께 PC(20a)가 오프라인 기기라는 것을 나타내는 기기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요구 생성부(203a)는 콘텐츠 요구를 생성할 때 기기 ID 기억부(202a)에서 기기 ID (ID_0020a)와 함께 상기 기기정보를 판독하여, 콘텐츠 ID, 기기 ID 및 기기정보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요구를 생성한다.
<동작>
여기서는, 도 17에서 도 23의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기기 등록시스템(2)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시스템 전체의 동작
도 17은 기기 등록시스템(2)의 전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기기 등록시스템(2)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 요구가 발생하지 않고(스텝 S 1001에서 NO), 또한 삭제요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스텝 S 1004에서 NO)에는 처리를 하지 않고 스텝 S 1001로 복귀한다.
기기 등록시스템(2)은 클라이언트에서 콘텐츠 요구가 발생하면(스텝 S 1001에서 YES) 서버장치(10a)에 의한 클라이언트의 등록처리 및 클라이언트에 콘텐츠를 배포하는 배포처리를 한다(스텝 S 1002). 클라이언트는 서버장치(10a)에서 취득한 콘텐츠를 재생한다(스텝 S 1003). 그 후, 스텝 S 1004로 진행한다.
기기 등록시스템(2)은 클라이언트에서 삭제요구가 발생하면(스텝 S 1004에서 YES), 클라이언트에 의한 삭제요구인 경우에는(스텝 S 1005에서 클라이언트), 기기 등록시스템(2)은 삭제처리 1을 하고(스텝 S 1006) 스텝 S 1001로 복귀한다. 서버장치(10a)에 의한 삭제요구인 경우(스텝 S 1005에서 서버)에는, 기기 등록시스템(2)은 삭제처리 2를 하고(스텝 S 1007), 그 후 스텝 S 1001로 복귀한다.
2. 등록처리 및 콘텐츠 배포처리의 동작
도 18 및 도 19는 등록처리 및 콘텐츠 배포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PC(20a)가 서버장치(10a)에 콘텐츠를 요구하는 장면을 구체 예에 따라서 설명하나, PC(20a) 이외의 클라이언트라도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먼저, PC(20a)의 입력부(204a)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한다(스텝 S 601). PC(20a)의 요구 생성부(203a)는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ID, 기기 ID 기억부(202a)에 기억되어 있는 기기 ID(ID_0020a), 및 PC(20a)가 오프라인 기기라는 것을 나타내는 기기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구를 생성한다(스텝 S 602). 입출력부(207a)는 요구 생성부(203a)가 생성한 콘텐츠 요구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장치(10a)에 송신하고, 서버장치(10a)의 입출력부(109a)는 콘텐츠 요구를 수신한다(스텝 S 603).
그 후, 서버장치(10a)의 인증부(101a)와 PC(20a)의 인증부(201a) 사이에서 인증처리 및 세션 키 공유처리를 한다(스텝 S 604). 스텝 S 604의 상세는 도 10 및 도 11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다.
서버장치(10a)는 PC(20a)에 대응하는 등록정보가 이미 등록리스트에 등록이 되어 있고, 또한, 유효기한 내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605).
PC(20a)에 대응하는 기기정보가 등록리스트에 등록되어 있고, 또한 유효기한 내인 경우(스텝 S 605에서 YES)에는 서버장치(10a)는 스텝 S 630으로 진행하여 처리를 계속한다. PC(20a)에 대응하는 등록정보가 미등록인 경우, 또는 등록은 되어 있으나 유효기한이 끝난 경우(스텝 S 605에서 NO)에는 대수 제어부(103a)는 등록대수와 제한대수가 같은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606).
등록대수와 제한대수가 같지 않은 경우(스텝 S 606에서 NO), 구체적으로는 등록대수가 제한대수 미만인 경우에는 서버장치(10a)는 스텝 S 623으로 진행하여 처리를 계속한다. 등록대수와 제한대수가 같은 경우(스텝 S 606에서 YES)에는, 유효기한 관리부(105a)는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에서 등록리스트를 판독하고, 시계(104a)에서 현재 일시를 취득한다. 유효기한 관리부(105a)는 등록리스트에 포함 되는 5개의 등록정보 각각에 대해 유효기한과 현재 일시를 비교하여, 유효기한이 끝난 등록정보가 있는가를 확인한다(스텝 S 607).
유효기한이 끝난 클라이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S 608에서 NO)에는 유효기한 관리부(105a)는 입출력부(109a) 및 네트워크를 통해서 PC(20a)에 대해 에러통지를 송신한다(스텝 S 609). 유효기한이 끝난 클라이언트가 존재하는 경우(스텝 S 608에서 YES)에는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는 유효기한이 끝난 클라이언트의 등록정보를 등록리스트에서 삭제한다(스텝 S 612).
다음에, 대수 제어부(103a)는 등록대수를 감소시키고(스텝 S 613), 등록대수와 제한대수가 같은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621).
등록대수와 제한대수가 같은 경우(스텝 S 621에서 YES)에는 대수 제어부(103a)는 입출력부(109a) 및 네트워크를 통해서 PC(20a)에 에러통지를 송신한다(스텝 S 622). 등록대수와 제한대수가 같지 않은 경우(스텝 S 621에서 NO), 구체적으로는 등록대수가 제한대수 미만인 경우에는 대수 제어부(103a)는 등록대수를 증가시킨다(스텝 S 623).
다음에,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는 PC(20a)의 기기 ID와 유효기한을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생성하여, 생성한 등록정보를 등록리스트에 추가하여 등록한다(스텝 S 624). 또한,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는 신규로 등록정보를 생성할 때에는 삭제예약플래그는 0을 설정한다.
이어서, 삭제 예약부(106a)는 PC(20a)가 오프라인 기기인가 온라인 기기인가를 판정한다(스텝 S 625). 구체적으로는, 스텝 S 603에서 수신한 콘텐츠 요구에 포 함되는 기기정보에 의해 판단한다.
PC(20a)가 온라인 기기인 경우(스텝 S 625에서 NO)에는 삭제 예약부(106a)는 스텝 S 630으로 진행하여 처리를 계속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PC(20a)는 오프라인 기기이므로(스텝 S 625에서 YES), 삭제 예약부(106a)는 스텝 S 603에서 수신한 콘텐츠 요구에 포함되는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이용기한을 콘텐츠 기억부(107a)에서 판독하고, 판독한 콘텐츠의 이용기한을 PC(20a)의 기기 ID와 대응시켜서 기억한다(스텝 S 626).
다음에, 콘텐츠 배포부(108a)는 콘텐츠 기억부(107a)에서 콘텐츠를 판독한다(스텝 S 630). 콘텐츠 배포부(108a)는 인증부(101a)로부터 스텝 S 604에서 PC(20a)와 공유한 세션 키를 수신하고, 세션 키를 암호 키로 이용하여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생성한다(스텝 S 631). 콘텐츠 배포부(108a)는 입출력부(109a) 및 네트워크를 통해서 암호화 콘텐츠를 PC(20a)에 송신하고, PC(20a)는 암호화 콘텐츠를 수신한다(스텝 S 632).
PC(20a)의 기억부(206a)는 인증부(201a)로부터 세션 키를 수신하여, 세션 키를 복호 키로 이용해서 암호화 콘텐츠를 복호 하고(스텝 S 633), 복호 한 콘텐츠를 표시부(205a)에 표시한다(스텝 S 634).
3. 삭제처리 1의 동작
도 20은 기기 등록시스템(2)에서의 삭제처리 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PC(20a)가 서버장치(10a)에 AD에서의 탈퇴를 신청하는 장면을 구체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나, PC(20a) 이외의 클라이언트라도 동일한 처리를 한다.
먼저, PC(20a)의 입력부(204a)는 AD를 탈퇴한다는 취지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한다(스텝 S 701). 그 후, 요구 생성부(203a)는 기기 ID 기억부(202a)가 기억하고 있는 기기 ID (ID_0020a)를 판독하여, ID_0020a를 포함하는 삭제요구를 생성한다(스텝 S 702).
입출력부(207a)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삭제요구를 서버장치(10a)에 송신하고, 서버장치(10a)의 입출력부(109a)는 삭제요구를 수신한다(스텝 S 703).
그 후, 서버장치(10a)의 인증부(101a) 및 PC(20a)의 인증부(201a)는 인증처리 및 세션 키 공유처리를 한다(스텝 S 704). 또한, 스텝 S 704의 상세는 도 10 및 도 11의 플로차트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다.
서버장치(10a)의 유효기한 관리부(105a)는 PC(20a)의 등록정보가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에 등록되어 있고, 또한, 현재가 PC(20a)의 유효기한 내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705). PC(20a)의 등록정보가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등록되어 있으나 이미 유효기한이 끝난 경우(스텝 S 705에서 NO)에는 서버장치(10a)는 삭제처리를 종료한다.
PC(20a)의 등록정보가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에 등록되어 있고, 또한 현재가 유효기한 내인 경우(스텝 S 705에서 YES)에는 유효기한 관리부(105a)는 PC(20a)에 대해 AD에서 탈퇴할 수 있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삭제가능 통지를 생성한다(스텝 S 707). 입출력부(109a)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삭제가능 통지를 PC(20a)에 송신하고, PC(20a)의 입출력부(207a)는 삭제가능 통지를 수신한다(스텝 S 708).
삭제가능 통지를 수신하면 PC(20a)는 기억부(206a)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및 콘텐츠 리스트를 소거하는 등의 삭제처리를 한다(스텝 S 709). 삭제처리가 종료하면 PC(20a)의 요구 생성부(203a)는 삭제완료통지를 생성한다(스텝 S 710). 입출력부(207a)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삭제완료통지를 서버장치(10a)에 송신하고, 서버장치(10a)의 입출력부(109a)는 삭제완료통지를 수신한다(스텝 S 711).
다음에,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는 등록리스트에서 PC(20a)의 등록정보를 삭제하고(스텝 S 712), 대수 제어부(103a)는 등록대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스텝 S 705에서 유효기한이 이미 끝난 경우(스텝 S 705에서 NO)에는 서버장치(10a)는 PC(20a)에 대해 그 취지를 통지하도록 동작해도 좋다.
4. 삭제처리 2의 동작
도 21은 기기 등록시스템(2)에서의 삭제처리 2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삭제처리 2는 서버장치(10a)에서 삭제요구가 발생한 경우의 처리이므로, 여기에서는 서버장치(10a)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서버장치(10a)는 AD에서 삭제한 클라이언트가 현재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을 할 수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801). 삭제한 클라이언트가 통신을 할 수 있는 경우(스텝 S 801에서 온라인)에는 서버장치(10a)는 클라이언트에 대해 콘텐츠의 삭제 및 콘텐츠 리스트의 삭제 등을 지시한다(스텝 S 802). 서버장치(10a)는 당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의 삭제 및 콘텐츠 리스트의 삭제 등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삭제완료통지를 접수하면(스텝 S 803), 당해 클라이언트의 등록정보를 등록리스트에서 삭제하고(스텝 S 804), 등록대수를 감소시킨다(스텝 S 805).
스텝 S 801에서 삭제한 클라이언트가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스텝 S 801에서 오프라인)에는, 서버장치(10a)의 삭제 예약부(106a)는 당해 클라이언트에게 이용을 허가한 콘텐츠의 이용기한을 확인하여, 당해 클라이언트가 이용중인 콘텐츠가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806). 당해 클라이언트가 이용중인 콘텐츠가 없는 경우(스텝 S 806에서 NO)에는 서버장치(10a)는 스텝 S 1006(도 17)으로 진행한다.
당해 클라이언트가 이용중인 콘텐츠가 있는 경우(스텝 S 806에서 YES)에는, 삭제 예약부(106a)는 당해 클라이언트의 기기 ID와 콘텐츠 이용기한에 의거하여 삭제예약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 807). 다음에, 삭제 예약부(106a)는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에 대해 당해 클라이언트의 등록정보에 포함되는 삭제예약플래그를 1로 설정하도록 지시한다(스텝 S 808).
5. 삭제 예약부(106a)의 처리 1
도 22는 삭제 예약부(106a)가 행하는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하는 동작은 다른 동작과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삭제 예약부(106a)는 지금까지 네트워크에서 절단되어 있던 오프라인 기기로부터의 액세스가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911). 액세스가 없는 경우(스텝 S 911에서 NO)에는 삭제 예약부(106a)는 스텝 S 911의 처리를 계속한다. 액세스가 있는 경우(스텝 S 911에서 YES)에는 삭제 예약부(106a)는 당해 오프라인 기기에서 기기 ID를 취득한다(스텝 S 912).
삭제 예약부(106a)는,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가 관리하는 등록리스트를 확인하여(스텝 S 913), 스텝 S 912에서 취득한 기기 ID와 일치하는 기기 ID를 갖는 등록정보에 포함되는 삭제예약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914).
삭제예약플래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스텝 S 914에서 NO)에는 삭제 예약부(106a)는 스텝 S 911로 복귀한다. 삭제예약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스텝 S 914에서 YES)에는 삭제 예약부(106a)는 당해 오프라인 기기에 대해 당해 오프라인 기기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의 삭제를 지시한다(스텝 S 915). 삭제 예약부(106a)는 당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의 삭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삭제완료통지를 접수하면(스텝 S 916),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에 대해 당해 클라이언트의 등록정보를 등록리스트에서 삭제하도록 지시하고(스텝 S 917), 또한, 대수 제어부(103a)에 대해 등록대수를 감소시키도록 지시한다(스텝 S 918).
6. 삭제 예약부(106a)의 처리 2
도 23은 삭제 예약부(106a)가 행하는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한, 여기에서의 동작은 다른 동작과는 독립해서, 정기적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삭제 예약부(106a)는 내부의 삭제예약리스트에 삭제예약정보가 등록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901). 삭제예약리스트에 삭제예약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 901에서 NO)에는 스텝 S 901의 처리를 계속한다.
삭제예약리스트에 삭제예약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스텝 S 901에서 YES)에는, 삭제 예약부(106a)는 시계(104a)에서 현재 일시를 취득하여(스텝 S 902), 현재 일시가 삭제예약정보에 포함되는 삭제일을 지났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 903).
현재 일시가 삭제예약일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스텝 S 903에서 NO)에는 삭제 예약부(106a)는 스텝 S 901로 복귀하여 처리를 계속한다. 현재 일시가 삭제예약일을 지난 경우(스텝 S 903에서 YES)에는 삭제 예약부(106a)는 등록리스트 관리부(102a)에 대해 당해 삭제예약정보에 포함되는 기기 ID를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등록리스트에서 삭제하는 지시를 출력한다(스텝 S 904).
또한, 삭제 예약부(106a)는 대수 제어부(103a)에 대해 등록대수를 감소시키는 지시를 출력하고(스텝 S 905), 삭제예약리스트에서 당해 삭제예약정보를 파기한다(스텝 S 906). 그 후, 삭제 예약부(106a)는 스텝 S 901로 복귀하여 처리를 계속한다.
<기타 변형 예>
본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는 않음은 물론이며, 이하의 여러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 예에서는 가정 내에 1대의 서버장치가 구비된 구성을 가지나, 가정 내에 복수 대의 서버장치를 구비한 구성이라도 좋다. 그 경우, 각 콘텐츠에는 그 콘텐츠를 갖는 서버장치의 ID가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클라이언트가 콘텐츠 요구를 생성할 때에, 콘텐츠 리스트에서 서버 ID를 취득하고, 서버 ID, 클라이언트 자신의 기기 ID, 콘텐츠 ID 및 기기정보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요구를 생성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2) 상기 실시 예에서는 제한대수가 5대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한대수는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증감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등록대 수의 증감은 사용자가 지불하는 요금의 금액에 따라서 결정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3) 상기 실시 예에서 서버장치와 각 클라이언트 사이의 인증처리 및 세션 키 공유처리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개키 암호방식을 이용하는 구성을 가지나, 본 발명에서 서버장치와 각 클라이언트 사이의 인증처리는 이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공개키 암호방식 대신 공통키 암호방식을 이용해도 좋고, 또, 서버장치와 각 클라이언트가 상호 인증을 하지 않고, 서버장치가 각 클라이언트를 인증하는 일 방향 인증처리로 해도 좋다.
(4) 상기 실시 예에서 서버장치는, 신규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등록리스트에서 유효기한이 끝난 등록정보를 검색하고, 유효기한이 끝난 등록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등록리스트에서 삭제하는 구성을 가지나, 서버장치가 유효기한이 끝난 등록정보를 검색하는 타이밍은 신규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 요구를 접수한 때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서버장치의 전원이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될 때에 검색하거나, 서버장치의 태스크(task)가 비어 있을 때에 검색하거나, 또는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정기적으로 검색하는 등의 구성으로 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등록리스트에 유효기한이 끝난 등록정보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서버장치는 유효기한이 끝난 모든 등록정보를 삭제해도 좋고, 신규 클라이언트의 수에 따라서 등록리스트에서 삭제하는 등록정보를 선택해도 좋다. 이 경우, 유효기한이 끝나고 나서부터의 기간이 긴 등록정보부터 삭제하도록 해도 좋다.
(5) 상기 실시 예에서는 등록정보가 등록리스트에 등록된 날짜(AD 등록일)를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유효기간의 시기(始期)로 하고 있으나, 유효기한의 시기는 이 방법 이외의 방법을 이용해서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 요구를 접수한 때로부터 소정 시간 후(예를 들어, 콘텐츠 요구를 접수한 때로부터 1일 후)로 유효기한의 시기를 설정해도 좋다.
또, 서버장치가 관리하고 있는 등록리스트에는 유효기한의 종기(終期)만을 기재한 등록정보가 기억되어 있으나, 등록정보는 유효기한의 시기가 기재되어 있어도 좋고, 유효기한의 시기와 종기가 기재되어 있어도 좋다.
등록정보에 유효기한의 시기만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버장치의 유효기한 관리부는 시기에서부터 종기까지의 시간을 기억하고 있어도 좋다. 유효기한 관리부는 등록정보로부터 취득한 시기와 기억하고 있는 시간을 이용하여 유효기한의 종기를 산출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6) 상기 실시 예에서 유효기한은 서버장치가 AD 등록일부터 일률적으로 1개월 후의 날짜를 설정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유효기한의 설정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AD 등록일에서의 등록상황에 따라서 유효기한을 결정하는 방법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버장치는 등록이 완료된 기기의 대수와 새로 등록하는 기기의 유효기한을 서로 대응시킨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다.
일 예로, 등록된 기기의 대수가 0인 경우에는 유효기한을 3개월, 등록된 기기의 대수가 1 또는 2인 경우에는 유효기한을 2개월, 등록된 기기의 대수가 3인 경 우에는 유효기한을 1개월, 등록된 기기의 대수가 4인 경우에는 유효기한을 2주간으로 한다.
서버장치는 신규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 요구를 접수하여 당해 신규 클라이언트의 유효기한을 설정할 때에 등록된 기기의 대수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등록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정보의 수를 계수한다. 다음에, 서버장치는 상기 테이블에서 등록된 기기의 대수에 대응하는 유효기한을 취득한다. 서버장치는 현재의 일시로부터 유효기한 후의 일자를 당해 신규 클라이언트의 유효기한으로 설정한다.
또한, 등록상황은 기기의 등록대수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등록대수 이외의 등록상황에 따라서 유효기한을 설정해도 된다.
(7) 클라이언트의 유효기한은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연장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클라이언트가 유효기한 내에 연장신청을 함으로써 유효기한이 연장되는 것으로 한다. 또, 클라이언트의 유효기한이 연장된 경우의 삭제금지기간의 설정방법으로는, (a) 유효기한이 연장된 시간과 동일한 시간으로 삭제금지기간이 연장된다. (b) 1회째의 설정보다 짧은 기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1회째의 설정이 2개월인 경우에는 2회째의 설정에서는 1개월로 한다. (c) 유효기한의 연장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한다 등을 생각할 수 있다.
(8) 상기 제 1 실시 예에서, 서버장치(10)는, 예약리스트에 복수의 예약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등록예약일이 빠른 클라이언트부터 등록리스트에 등록하는 구 성을 가지나, 등록의 우선순위를 별도로 설정해도 좋다.
또, 예약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클라이언트가 등록리스트에 등록된 경우에는 그 취지를 당해 클라이언트에게 통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등록예약단계에서 이미 등록이 완료된 클라이언트의 유효기한을 판단하여, 나중에 언제쯤에 신규 클라이언트가 등록을 할 수 있는가를 당해 클라이언트에게 통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서버장치(10)는, 등록예약을 접수하지 않고, 나중에 언제쯤에 신규 클라이언트를 등록할 수 있는가를 클라이언트에게 통지하는 것만으로 해도 된다.
또, 클라이언트로부터 등록예약을 접수한 서버장치는 등록에 앞서 콘텐츠 요구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를 클라이언트에게 송부해도 된다. 이때, 서버장치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콘텐츠를 암호화해서 송신한다. 그 후, 당해 클라이언트가 실제로 등록리스트에 등록되면, 서버장치에서 콘텐츠를 복호 하기 위한 키를 송신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네트워크가 비어 있을 때, 또는 클라이언트의 사정이 좋을 때 등에 데이터의 용량이 큰 콘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9) 본 발명에서 삭제금지기간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등록정보에 삭제금지기간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삭제금지기간을 설정하는가 여부는 사용자의 등록형태에 의존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구체 예로, 삭제금지기간을 설정하는가 여부를 사용자가 지불하는 서비스 요금에 의존해서 결정해도 된다. 즉, 높은 요금을 지불하는 사용자에게는 삭제금지기간을 설정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서 삭제금지기간은 삭제예약이 설정된 기기를 위해 AD의 등록대수에 「여분」을 준비해 두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삭제예약이 설정된 기기가 삭제금지기간에 서버장치에 액세스한 경우에 등록을 연장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서버장치는 삭제금지기간의 길이를 사용자가 지불하는 서비스 요금에 의존해서 결정해도 되고, 사용자의 부정한 사용의 가능성에 따라서 결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지금까지 한 번도 부정하게 사용을 하지 않았던 사용자의 기기에 대해서는 삭제금지기간을 짧게 설정하는 등을 생각할 수 있다.
(10) 상기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에 의한 콘텐츠의 「이용」은, 콘텐츠를 클라이언트의 기억영역에 카피하여, 카피한 콘텐츠를 클라이언트의 기기에서 재생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클라이언트는 서버장치로부터 취득한 콘텐츠를 바로 재생하는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취득한 콘텐츠를 기억영역에 보존해 두고,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할 때에 콘텐츠를 재생하는 구성이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1)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해도 된다. 또, 이들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 실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해도 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 예를 들어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CD-ROM, MO, DVD, DVD-ROM, DVD-RAM, BD(Blu-ray Disc), 반도체 메모리 등에 기록한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이들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 지털 신호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전기통신회선, 무선 또는 유선통신회선, 인터넷을 대표로 하는 네트워크 등을 경유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상기 메모리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이송함으로써,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등을 경유하여 이송함으로써, 독립된 다른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12)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서의 서버장치 10, 서버장치 10a, PC 20 및 PC 20a의 기능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가 집적회로인 LSI로 실현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들은 별개로 1 칩화되어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 칩화되어도 좋다. 여기에서는 LSI로 하였으나,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 집적회로 화를 하는 방법은 LSI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된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할 수 있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 및 설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재구성 가능 프로세서(re-configurable processor)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를 대체하는 집적회로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블록을 집적화해도 된다.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13) 상기 실시 예 및 상기 변형 예를 각각 조합시킨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영화나 음악 등의 저작물이 디지털화된 콘텐츠나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산업에서 경영적으로, 또 반복적으로,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기기 등록시스템, 서버장치 및 각 클라이언트는 전기제품 등의 제조산업에서 생산 및 판매할 수 있다.

Claims (28)

  1. 제한대수의 범위 내에서 기기를 멤버로 등록하는 기기 등록장치로,
    시각을 계측하는 시계수단과,
    이미 등록된 1대 이상의 기기에 대해서, 각 기기를 식별하는 식별정보와 등록유효기한을 서로 대응시킨 등록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멤버 기억수단과,
    상기 시계수단에서 판독한 시각과 상기 등록유효기한을 비교하여, 초과한 등록유효기한을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선택된 상기 등록정보를 상기 멤버 기억수단에서 삭제하는 삭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기 등록장치는 기기로부터 등록요구를 접수하는 접수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접수수단이 상기 등록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시계수단에서 판독한 시각과 상기 등록유효기한을 비교하여, 등록유효기한을 초과한 상기 등록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기 등록장치는 상기 기기를 식별하는 식별정보와 당해 기기의 등록유 효기한을 서로 대응시킨 등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멤버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등록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기 등록장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와 콘텐츠 ID를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 기억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접수수단은 상기 기기로부터 하나의 콘텐츠 ID를 포함하는 상기 등록요구를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등록수단은 상기 등록정보를 생성한 때부터 소정 시간 후를 상기 등록유효기한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등록수단은 상기 등록정보를 생성한 때의 등록상황에 따라서 상기 등록유효기한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등록수단은 당해 등록정보를 생성한 때에 이미 등록이 되어 있는 기기의 대수인 상기 등록상황에 따라서 상기 등록유효기한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기 등록장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기기의 등록정보에 삭제예약을 설정하는 삭제예약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삭제예약이 설정되어 있는 등록정보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삭제예약수단은 삭제예약이 설정된 등록정보에 대응하는 삭제일을 기억하고 있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시계수단에서 판독한 시각과 상기 삭제일을 비교하여, 상기 시각이 상기 삭제일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등록정보를 선택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삭제예약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 기기의 속성에 따라서 삭제예약을 설정하는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기억수단은 하나 이상의 콘텐츠와 콘텐츠 ID 및 콘텐츠 유효기한을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있고,
    상기 삭제예약수단은,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 상기 접수수단이 접수한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 유효기한에 따라서 삭제예약을 설정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기등록장치는 상기 기기가 정당한 기기인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등록수단은 상기 인증수단에 의해 상기 기기가 정당한 기기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등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멤버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인증수단은, 무효화 된 기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재한 리스트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리스트와 상기 등록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기기가 정당한 기기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기 등록장치는, 예약리스트를 구비하고, 당해 예약리스트에 상기 미 등록인 기기를 나타내는 예약정보를 기재하고 있으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미등록인 기기를 상기 멤버 관리수단에 등록하는 등록예약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수단은 등록유효기한을 초과한 상기 하나의 기기를 선택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등록예약수단에 대해 등록 예약을 지시하며,
    상기 등록예약수단은, 상기선택수단으로부터의 등록예약지시를 받아서, 상기 미등록인 기기를 나타내는 예약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예약리스트에 기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등록예약수단은,
    상기 시계수단에서 판독하는 시각과 이미 등록된 등록정보에 포함되는 등록유효기한을 정기적으로 비교하여 등록유효기한을 초과한 등록정보가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판단부에 의해 등록유효기한을 초과하였다고 판단된 등록정보를 삭제하는 삭제부와,
    상기 예약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미등록인 기기에 대응하는 등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멤버 관리수단에 등록하는 등록부와,
    등록된 상기 기기의 예약정보를 상기 예약리스트에서 파기하는 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시계수단에서 판독한 시각과 상기 등록유효기한을 정기적으로 비교함으로써 등록유효기한을 초과한 상기 등록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수수단은 등록유효기한을 초과한 상기 등록정보에 대응하는 기기로부터 당해 기기에서의 멤버 탈퇴처리가 종료한 것을 나타내는 삭제완료통지를 접수하고,
    상기 삭제수단은 상기 접수수단이 상기 삭제완료통지를 접수한 경우에 상기 등록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기 등록장치는, 상기 제한대수 및 등록된 기기의 대수를 나타내는 등록대수를 기억하고, 상기 제한대수와 상기 등록대수를 비교함으로써, 제한대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기를 멤버로 등록하도록 제어하는 대수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대수제어수단은 상기 삭제수단에 의해 상기 멤버 기억수단에서 하나의 등록정보가 삭제되면 상기 등록대수를 감소(decrement)시키고,
    상기 등록수단에 의해 상기 멤버 기억수단에 하나의 등록정보가 등록되면 상기 등록대수를 증가(increment)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멤버 기억수단은 삭제금지기간을 포함하는 상기 등록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시계수단에서 판독한 시각과 상기 삭제금지기간도 비교하여, 초과한 등록유효기간을 포함하고, 또한, 초과한 삭제금지기간도 포함하는 상기 등록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계수단이 계측하는 시각은 현재의 일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계수단이 계측하는 시각은 타이머 또는 카운터에 의해 계측되는 상대적인 시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시계수단이 계측하는 시각은 외부에서 개찬(tampering)을 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장치.
  24. 제한대수의 범위 내에서 기기를 멤버로 등록하는 기기 등록시스템으로,
    상기 기기는,
    상기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식별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등록요구를 생성하여 기기 등록장치에 송신하는 요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기 등록장치는,
    시각을 계측하는 시계수단과,
    이미 등록된 1대 이상의 기기에 대해서, 각 기기를 식별하는 식별정보와 등록유효기한을 서로 대응시킨 등록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멤버 기억수단과,
    상기 기기로부터 상기 등록요구를 접수하는 접수수단과,
    상기 접수수단이 상기 등록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시계수단에서 판독한 시각과 상기 등록유효기한을 비교하여, 초과한 등록유효기한을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선택된 상기 등록정보를 상기 멤버 기억수단에서 삭제하는 삭제수단과,
    상기 기기를 식별하는 식별정보와 당해 기기의 등록유효기한을 서로 대응시킨 등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멤버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등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시스템.
  25. 제한대수의 범위 내에서 기기를 멤버로 등록하는 기기 등록장치에서 이용되는 기기 등록방법으로,
    상기 기기 등록장치는 이미 등록된 1대 이상의 기기에 대해서 각 기기를 식별하는 식별정보와 등록유효기한을 서로 대응시킨 등록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멤버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기 등록방법은,
    시각을 계측하는 시계스텝과,
    상기 시계수단에서 판독한 시각과 상기 등록유효기한을 비교하여, 초과한 등록유효기한을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스텝과,
    선택된 상기 등록정보를 상기 멤버 기억수단에서 삭제하는 삭제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등록방법.
  26. 제한대수의 범위 내에서 기기를 멤버로 등록하는 기기 등록장치에서 이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상기 기기 등록장치는 이미 등록된 1대 이상의 기기에 대해서 각 기기를 식별하는 식별정보와 등록유효기한을 서로 대응시킨 등록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멤버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시각을 계측하는 시계스텝과,
    상기 시계수단에서 판독한 시각과 상기 등록유효기한을 비교하여, 초과한 등록유효기한을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스텝과,
    선택된 상기 등록정보를 상기 멤버 기억수단에서 삭제하는 삭제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7. 제한대수의 범위 내에서 기기를 멤버로 등록하는 기기 등록장치에서 이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상기 기기 등록장치는 이미 등록된 1대 이상의 기기에 대해서 각 기기를 식별하는 식별정보와 등록유효기한을 서로 대응시킨 등록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멤버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시각을 계측하는 시계스텝과,
    상기 시계수단에서 판독한 시각과 상기 등록유효기한을 비교하여, 초과한 등록유효기한을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스텝과,
    선택된 상기 등록정보를 상기 멤버 기억수단에서 삭제하는 삭제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8. 제한대수의 범위 내에서 기기를 멤버로 등록하는 집적회로로,
    시각을 계측하는 시계수단과,
    이미 등록된 1대 이상의 기기에 대해서, 각 기기를 식별하는 식별정보와 등록유효기한을 서로 대응시킨 등록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멤버 기억수단과,
    상기 시계수단에서 판독한 시각과 상기 등록유효기한을 비교하여, 초과한 등록유효기한을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선택된 상기 등록정보를 상기 멤버 기억수단에서 삭제하는 삭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KR1020077001256A 2004-07-15 2005-07-14 기기 등록시스템 및 기기 등록장치 KR200700285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08523 2004-07-15
JP2004208523 2004-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549A true KR20070028549A (ko) 2007-03-12

Family

ID=3578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256A KR20070028549A (ko) 2004-07-15 2005-07-14 기기 등록시스템 및 기기 등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84489B2 (ko)
EP (1) EP1783651B1 (ko)
JP (1) JP4861824B2 (ko)
KR (1) KR20070028549A (ko)
CN (1) CN100511252C (ko)
WO (1) WO20060066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6801A (ja) * 2005-09-29 2007-04-12 Toshiba Corp 通信装置、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のコンテンツリスト管理方法
JP4781125B2 (ja) 2006-02-17 2011-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周辺装置
JP4872437B2 (ja) * 2006-04-19 2012-02-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
JP5034978B2 (ja) * 2008-01-26 2012-09-26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取得装置、登録解除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335177A4 (en) * 2008-10-06 2012-06-20 Ericsson Telefon Ab L M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A USER-CONTROLLED ENVIRONMENT
JP5470863B2 (ja) * 2009-01-15 2014-04-16 ソニー株式会社 サーバへの電子機器の登録
US9106645B1 (en) * 2011-01-26 2015-08-11 Symantec Corporation Automatic reset for time-based credentials on a mobile device
US9419864B2 (en) * 2011-08-26 2016-08-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management server, content-u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JP5990259B2 (ja) 2012-03-20 2016-09-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サーバ装置、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6036415B2 (ja) * 2013-03-08 2016-11-30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配信システム
JP6350514B2 (ja) * 2013-03-08 2018-07-0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
CN103246727B (zh) * 2013-05-10 2016-09-21 四川省林业调查规划院 一种多用户森林资源时空数据库构建的方法
CN104462874B (zh) * 2013-09-16 2017-09-05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一种支持离线共享数字资源的drm方法与系统
US10181985B1 (en) 2013-12-04 2019-01-15 Amazon Technologies, Inc. Cloud-based device discovery
US20160366662A1 (en) * 2014-02-14 2016-12-15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CN105069691A (zh) * 2015-07-16 2015-11-18 国家电网公司 用电登记系统
JP6269754B2 (ja) * 2016-08-30 2018-01-31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配信システム並びにコンテンツ・リモート・アクセス制御装置
JP6323514B2 (ja) * 2016-08-30 2018-05-16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リモート・アクセス制御方法
JP6269755B2 (ja) * 2016-08-30 2018-01-31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配信システム並びにコンテンツ・リモート・アクセス利用装置
JP6471820B2 (ja) * 2018-02-27 2019-02-20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リモート・アクセスシステム
US20210312564A1 (en) * 2018-08-10 2021-10-07 Pioneer Corporation Data structures, storage media, storage device and receiver
CN109859339A (zh) * 2019-01-03 2019-06-07 伊甸城(北京)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识别的登记管理系统及方法
CN111770096B (zh) * 2020-06-29 2022-04-15 西安抱朴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注册状态恢复的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8816A (ja) * 1997-01-13 1998-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型情報処理システム
JP3923161B2 (ja) 1998-01-14 2007-05-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フォトサービスシステム
US6421717B1 (en) * 1999-09-10 2002-07-16 Avantgo,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ustomizing channels, content, and data for mobile devices
JP4712989B2 (ja) 2001-03-09 2011-06-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情報配信サーバー装置
JP3898475B2 (ja) * 2001-08-21 2007-03-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配信サーバ
JP2003162599A (ja) * 2001-11-27 2003-06-06 Sony Corp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005315A (ja) * 2002-06-03 2004-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関する、装置または方法または記録媒体またはプログラム
JP4610872B2 (ja) * 2002-09-05 2011-01-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グループ形成管理システム、グループ管理機器及びメンバー機器
EP2116915A1 (en) * 2002-09-05 2009-11-11 Panasonic Corporation Group management system, group management device, and member device
EP1579693B1 (en) * 2002-12-17 2009-02-18 Sony Pictures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 control in an overlapping multiserver network environment
TWI349204B (en) * 2003-01-10 2011-09-21 Panasonic Corp Group admission system and server and client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83651A4 (en) 2012-08-01
US20080196109A1 (en) 2008-08-14
EP1783651A1 (en) 2007-05-09
EP1783651B1 (en) 2016-11-02
US7984489B2 (en) 2011-07-19
CN100511252C (zh) 2009-07-08
JPWO2006006678A1 (ja) 2008-05-01
JP4861824B2 (ja) 2012-01-25
CN1989506A (zh) 2007-06-27
WO2006006678A1 (ja)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8549A (ko) 기기 등록시스템 및 기기 등록장치
CA2461805C (en) Content delivery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content delivery service terminal unit
JP4218451B2 (ja) 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端末装置
JP491994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ライセンス配信システム
JP4889637B2 (ja) ライセンス管理装置及び方法
EP2026238A1 (en) Electronic device,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US9524746B2 (en) Server device, playback device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20040228487A1 (en) Content reading apparatus
US20080022416A1 (en)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 Management Unit
US8997216B2 (en)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uthenticating a device based on a revocation list
KR20040100848A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US20080155648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TW201346613A (zh) 用於媒體內容之安全傳輸及限制使用之系統、方法及裝置
EP1771967B1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data via communication network and playing the multimedia data
WO2005048111A1 (ja) 半導体メモリカード
JP2004133654A (ja) 記憶装置、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JP5039931B2 (ja) 情報処理装置
JP2009058983A (ja) 著作権管理システム
JP4673150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トークンデバイス
KR100843079B1 (ko)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04240959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ライセンス発行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JP2004135021A (ja) 記憶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JP2002041821A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とコンテンツ再生装置とコンテンツ配信装置用プログラム記録媒体とコンテンツ再生装置用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1585057B1 (ko) Drm 모듈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JP2009122923A (ja) 著作権保護システム、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