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5940A - 고형 비누 - Google Patents

고형 비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5940A
KR20070025940A KR1020060038573A KR20060038573A KR20070025940A KR 20070025940 A KR20070025940 A KR 20070025940A KR 1020060038573 A KR1020060038573 A KR 1020060038573A KR 20060038573 A KR20060038573 A KR 20060038573A KR 20070025940 A KR20070025940 A KR 20070025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solid soap
weight
agent
hard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이치 후지세
도시키 모리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5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94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25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95Solid transparent soaps or deter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비닐피롤리돈이 배합되어 이루어지고 투명화제를 함유하는 고형 비누에 관한 것으로, 기포성(起泡性)을 손상시키지 않고 거품의 질이 크리미(creamy)하고 또한 금이 가거나 붇거나 녹아 뭉그러짐이 발생하기 어려운 고형 비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형 비누{HARD SOAP}
본 발명은 목욕용이나 세안용 등의 피부 세정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형 비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고형 비누는 목욕용이나 세안용 등의 일반적인 피부 세정료로서 저렴한 것과 그 산뜻한 사용감이 선호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형 비누는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염을 비누 기제로 하는 것으로, 지방산 원료로서는 주로 우지, 팜유, 야자유 및 팜핵유 유래의 지방산이 사용되고 있지만, 비누의 세정력이나 피부에 대한 자극성, 기포성(起泡性), 보형성(保型性)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료의 지방산 조성의 조합이나 혼합 비율을 그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피부 세정료로서의 고형 비누는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은 것은 물론이지만, 이에 추가로 속포성(速泡性)과 기포성이 뛰어나고 거품의 질이 크리미(creamy)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속포성이나 기포성을 개선하는 데에는 저탄소수의 지방산을 많이 함유하는 지방산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단순히 원료 지방산을 저분자화한 것은 거품의 질이 불충분하게 되며 특히 저탄소수 지방산 알칼리 금속 염의 비누는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강하고, 세정 후에 당기는 느낌을 발생시키는 등의 결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보존 중에 비누가 금이 가거나 또는 욕실 등의 고온 다습한 조건하에서 표면이 붇거나 녹아 뭉그러지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이에 대해서,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고, 기포성과 속포성, 거품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거품의 질이 크리미하며, 금이 가거나 녹아 뭉그러지기 어려운 고형 비누로서, 알킬베타인 및 벤토나이트와 특정 조성의 알칼리 금속염을 함유하게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82685호). 또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병용한 복합 비누나, 고급 지방산염을 사용하지 않는 약산성 비누 등도 이용되고 있다[표면, Vo1.40, No.1, P26~34(2002)]. 또한, 최근에는 내부에 기포를 함유하는 고형 비누로서, 기포의 주위에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층이 형성되고, 비누 표면에 소수성(疏水性)이 부여된 고형 비누가 제안되어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2899호).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고형 비누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82685호에 의한 알킬베타인 및 벤토나이트와 특정 조성의 알칼리 금속염을 함유하게 하는 고형 비누에서는 지방산 조성이 한정되는 점에서 범용성이 부족하고, 「표면, Vo1.40, No.1, P26~34(2002)」에 기재된 복합 비누나 약산성 비누 등은 통상의 고형 비누 보다도 녹아 뭉그러지기 쉬워 사용 편의성이 나쁘고 비경제적이라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2899호에 기재된 비누 내부에 기포를 함유하는 고형 비누는 기포(起泡) 공정을 포함하는 등 제조 방법이 복잡하고 특수한 점이나, 투명 비누에는 응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포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거품의 질이 크리미하고 금이 가거나 붇거나 녹아 뭉그러짐이 발생하기 어려운 피부 세정료로서 적합한 고형 비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발견한 것으로, 즉 폴리비닐피롤리돈이 배합되어 이루어진 고형 비누에 있다.
또한, 투명화제를 포함하는 고형 비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포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거품의 질이 크리미하고 또한 금이 가거나 붇거나 녹아 뭉그러짐이 발생하기 어려운 범용성이 풍부한 피부 세정료에 적합한 고형 비누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투명화제를 포함함으로써 투명성이 우수한 고급감을 함께 갖는 투명 고형 비누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은 비닐피롤리돈(VP, 통상은 N-비닐-2-피롤리돈)의 중합체이고, 통상은 VP의 단독 중합체이지만, VP와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VP를 3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등), 메타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 아크릴산의 아미노알킬에스테르(디에틸아 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등), 메타크릴산의 아미노알킬에스테르, 아크릴산과 글리콜의 모노에스테르, 메타크릴산과 글리콜의 모노에스테르(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 아크릴산의 알칼리 금속염, 메타크릴산의 알칼리 금속염, 아크릴산 암모늄염, 메타크릴산의 암모늄염, 아크릴산의 아미노알킬에스테르의 제 4 급 암모늄 유도체, 메타크릴산의 아미노알킬에스테르의 제 4 급 암모늄 유도체, 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와 메틸설페이트의 제 4 급 암모늄 화합물,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비닐설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비닐설폰산의 암모늄염, 스티렌설폰산, 스티렌설폰산염, 아릴설폰산, 아릴설폰산염, 메타릴설폰산, 메타릴설폰산염, 초산 비닐, 비닐스테알레이트, N-비닐이미다졸, N-비닐아세트아미드,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카플로락탐, N-비닐카르바졸,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알킬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글리콜디알릴에테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2종 이상과의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고형 비누에 배합되는 PVP의 분자량(Mw)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분자량이 1000 내지 150만의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만 내지 120만의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분자량이 1000 미만이면 상기의 거품의 질(크리미성)의 향상, 표면에 금이 가거나 녹아 뭉그러지는 것 등을 억제하기 위한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해 PVP의 배합량을 많게 할 필요가 있고 경제적으로 불리해진다. 또한, 분자량이 150만을 초과하여 높아지면, 용해에 시간을 요하거나 불용해물이 석출될 우려가 있어 피부세정료로서 적합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PVP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형 비누 중에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5 중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 미만에서는 상기 발명의 효과가 적고, 2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해도 효과에 변화가 없고 비누성분의 감량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고형 비누의 투명화를 위해 배합되는 투명화제로서는 종래부터 공지된 투명화제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글리세린, 1, 3-부탄디올,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자당 등의 당류를 들 수 있다.
투명화제의 배합량은 고형 비누 중에 5 중량% 내지 40 중량%가 첨가된다. 5 중량% 미만에서는 비누의 투명성이 부족하고 40 중량%를 초과해도 투명성의 향상은 그 이상 수득되지 않고, 또한 세정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고형 비누의 기제로서는 일반적으로 고형 비누 기제로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우지, 팜유, 야자유, 팜핵유 등의 동물, 식물 유지 유래의 고급 지방산, 또는 이들의 지방산 에스테르류를 카세이 소다 등에 의해 비누화하여 수득된 지방산 알칼리 금속염(지방산 비누), 또는 아실글루타민산염 등의 합성계면활성제 중 어느 것이라도 관계없다. 이들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기제로 할 수 있다.
비누 기제의 함유량은 전체 조성 중의 20 중량% 내지 80 중량% 정도이고, 20 중량% 미만에서는 기포성이 부족하고, 약해져 보형성이나 보존 안정성이 부족하고, 80 중량%를 초과하면 당김을 느끼게 하는 등 사용성이 저하된다.
또한, 투명 고형 비누의 경우의 기제로서는 지방산염의 원료 유지로서 식물성 유래의 것이 투명성이 우수하고 비누 내부에 결정이 석출되지 않으며, 또한 향기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고,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조성 중의 함유량은 50 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형 비누에는 상기 성분에 추가로 고형 비누에 통상 사용되는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콜류,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글리세린, 자당 등의 폴리올류, 음이온, 양성(兩性), 비이온 등의 계면활성제, 스쿠알란,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라놀린 유도체, 지방산, 고급 알콜 등의 과지방제,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숯 등의 체질안료, 알로에 엑기스, 차 엑기스, 카밀레 엑기스 등의 식물 추출 엑기스류, 보습제, 펄화제, 향료, 착색료,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살균제, 항염증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실시예)
표 1에 기재된 배합 처방(중량%)에 따라 실시예, 비교예의 각 고형 비누를 상법(常法)에 의해 조제했다. 수득된 고형 비누의 거품의 질(크리미성), 녹아 뭉그러짐, 금이 감, 투명도를 하기 방법에 의해 평가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사용한 배합 성분은 하기와 같다.
[배합 성분]
·야자유 지방산: 야자 지방산 DC(신닛폰리카 제조)
·수산화나트륨: 시약특급(와코준야쿠 제조)
·글리세린: 시약 일급(나카라이테스크 제조)
·자당: 시약 일급(나카라이테스크 제조)
·PVP(Mw5000): 크리자스 K-17(다이이치고교세이야쿠 제조)
·PVP(Mw50000): 크리자스 K-30(다이이치고교세이야쿠 제조)
·PVP(Mw100000): 크리자스 K-90(다이이치고교세이야쿠 제조)
[거품의 질(크리미성)]
고형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씻었을 때 거품의 크리미성에 대해서 패널 10명에 의해 관능 평가하고 하기의 기준에서 판정한 결과를 10명의 평가값을 표시했다.
2점: 거품이 크리미하다고 느꼈다.
1점: 거품이 약간 거칠다고 느꼈다.
0점: 거품이 거칠다고 느꼈다.
[녹아 뭉그러짐]
고형 비누를 뜨거운 물 90 ℃ 내지 95 ℃로 유지한 증기 용기 중에 넣어 2시간 찐 후, 5 분간 실온하에서 방냉하고 형상의 변화를 관찰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비누의 표면도 충분히 단단하고 형상에 변화가 없다.
○: 비누의 표면만 무르고 형상에 변화가 없다.
△: 비누의 내부까지 물러지고 약간 녹아 뭉그러져 있다.
×: 비누의 내부까지 물러지고 완전히 녹아 뭉그러져 있다.
[금이 감(균열 시험)]
5±1 ℃로 유지된 항온조 중에 설치한 수조 중에 고형 비누를 2시간 침지하고 다음에 이를 끌어 올려 동일한 항온조 중에서 24 시간 정치한 후, 균열 발생의 유무 및 발생의 상황을 관찰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비누 표면에 균열이 보이지 않는 것.
○: 비누 표면에 매우 가는 균열이 보이지만 그 수가 적은 것.
△: 비누 표면에 매우 가는 균열이 많이 보이는 것.
×: 비누 표면에 깊은 균열이 보이는 것.
[투명도]
패널 10 명이 눈으로 관찰해서 판단하여 5 명 이상에 의해 투명성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투명」으로 하고, 4 명 이하의 경우에는 「백색」으로 나타냈다.
Figure 112006030105728-PAT00001
본 발명의 고형 비누는 목욕용, 세안용 등의 피부용 세정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고급감을 구비한 투명 고형 비누로서도 유용하다.

Claims (2)

  1. 폴리비닐피롤리돈이 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비누.
  2.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비누.
KR1020060038573A 2005-09-05 2006-04-28 고형 비누 KR200700259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57004 2005-09-05
JP2005257004A JP2007070414A (ja) 2005-09-05 2005-09-05 固形石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940A true KR20070025940A (ko) 2007-03-08

Family

ID=3793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573A KR20070025940A (ko) 2005-09-05 2006-04-28 고형 비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7070414A (ko)
KR (1) KR20070025940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70414A (ja)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31307C (en) Skin ph cleansing bar
US5328632A (en) Low pH mild personal cleansing bar with lathering mild synthetic surfactant and magnesium soap
EP1836289B1 (en) Reduced odor toilet bar composition
JP2003526643A (ja) 沈着して良好に泡立つボディ洗浄遮光剤組成物
DE60104333T2 (de) Hautreinigungsstück mit hohen anteilen an flüssigem weichmacher
BR112012015922A2 (pt) "barra de lavagem pessoal extrudada"
CA2579115C (en) Mild acyl isethionate toilet bar composition
DE60206387T2 (de) Stückförmiges hautreinigungsmittel mit hoher stabilität gegenüber dem matschigwerden
BRPI1005438A2 (pt) barra de limpeza pessoal extrusada de baixa matéria graxa total (tfm)
GB2459093A (en) Personal washing soap bar
US9861571B2 (en) Soap bar formulations with improved skin softness comprising nonionic polymer structuring system
US7989410B2 (en) Method of enhancing perfume bloom in extruded diluted bars having low total fatty matter and using starch polyol structuring system
DE60208711T2 (de) Feinseifen mit sensorischen zusätzen
AU651102B2 (en) Mildness additives for skin cleansing compositions
JP4406982B2 (ja) 固形石鹸
EP0575440B1 (en) LOW pH MILD PERSONAL CLEANSING BAR
KR20070025940A (ko) 고형 비누
CN114921296A (zh) 皂基型自增稠的清洁组合物
EA035754B1 (ru) Композиция кускового мыла и способы сохранения улучшенного пенообразования в воде с высокой концентрацией электролитов
KR20050098528A (ko) 인체 세정 비누 조성물
JPH0673395A (ja) 洗浄剤組成物
KR20070025941A (ko) 투명 비누 조성물
KR100998050B1 (ko) 화장비누 조성물
JPH08113529A (ja) 化粧用固形石鹸
JP2013091609A (ja) 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012

Effective date: 2008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