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983A - 건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983A
KR20070024983A KR1020050080678A KR20050080678A KR20070024983A KR 20070024983 A KR20070024983 A KR 20070024983A KR 1020050080678 A KR1020050080678 A KR 1020050080678A KR 20050080678 A KR20050080678 A KR 20050080678A KR 20070024983 A KR20070024983 A KR 20070024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ime
drying
air
se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3849B1 (ko
Inventor
고석호
유혜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0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849B1/ko
Publication of KR20070024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감지 센서의 이상을 판단하기 위한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동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히터에 의해 가열된 유동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구비한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 행정으로 진입한 직후 유동공기의 초기온도(T1)를 감지하는 단계; 건조 행정이 제 1 설정시간을 경과하는 시점에 유동공기의 온도(T2)를 감지하는 단계; 건조 행정이 제 2 설정시간을 경과하는 시점에 유동공기의 온도(T3)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설정시간과 제 2 설정시간을 경과한 시점의 각 온도(T2)(T3)가 초기온도(T1)를 기준으로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각 온도(T2)(T3)가 모두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지 않은 경우 건조행정을 중단하고 쿨링(cooling)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 행정시 유동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 센서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행정을 제어하여 센서 불량으로 인한 제품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의류건조기, 온도감지 센서, 센서 불량

Description

건조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drier}
도 1은 일반적인 응축식 건조기의 구조 예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응축식 건조기의 요부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센서 불량 판단 및 그에 따른 행정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히터 20: 냉각팬
30: 제 1 온도 감지부 40: 제 2 온도 감지부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센서의 이상을 판단하여 안정성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히터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드럼 내로 송풍하여 건조대상물에 대한 건조를 행하는 기기로서,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습공기의 처리방식에 따라 크게 배기식 의류건조기와 응축식 의류건조기로 구분된다.
여기서, 배기식 의류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습공기를 건조기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응축식 의류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습공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한 후 수분이 제거된 건조 공기를 다시 드럼으로 보내어 재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하,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구조예를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화살표 Ⅰ은 외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화살표 Ⅱ는 순환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면에 도어(12)가 설치된 본체(10) 내부에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1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드럼(11)은 본체(10) 하부에 설치된 모터(17)에 의해 벨트(19)로 연결되어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하부에는 드럼(11)을 통해 순환하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순환공기를 건조한 상태로 만들어주는 응축기(13)가 설치되고, 상기 응축기(13)의 전방부와 후방부는 드럼(1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연결된 순환덕트(14)에 연결되어, 드럼(11)을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응축기(13)를 지나 다시 드럼(1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순환덕트(14)에는 응축기(13)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여 주는 히터(15) 및 상기 순환덕트(14)를 통해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팬(16)이 설치되는데, 상기 순환팬(16)은 드럼(11)을 구동시키는 모터(17)의 다른 축에 연결되어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히터(15)의 안전장치로서, 상기 히터(15)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면 자동으로 오프 상태로 절환되는 써모스탯(Thermostat)(미도시)이 히터(15)와 직렬 연결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순환덕트(14)를 통해 순환하는 공기를 상기 응축기(13)에서 열교환에 의해 응축시켜 주기 위해서는 응축기(13)로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상기 응축기(13)의 일측에는 본체(10) 외부와 연결된 외기 공급덕트(18)가 연결되고, 상기 외기 공급덕트(18)가 연결된 응축기(13)의 반대측에는 상기 외기 공급덕트(18)를 통해 외부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본체(10) 내로 배출시키도록 냉각팬(20) 및 냉각팬 구동모터(21)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기(13)의 하부에는 응축과정에서 생성되어 낙하된 응축수를 채집하는 물받이(미도시) 및, 이 물받이에 채집된 응축수를 본체(10) 내에 설치된 응축수 저장통(미도시)으로 강제 배출하기 위해 펌프(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공기 유동으로 행정 중에 건조대상물에 붙어있는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드럼(11) 전방의 순환덕트(14)에 린트필터(22)를 장착한다. 이물질 채집장치인 린트필터(22)는 순환덕트(14) 내에서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수집하게 된다.
그리고, 온도 제어는 온도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를 통해 감지된 온도 레벨에 따라 히터(15)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드럼(11) 전방의 린트필터(22)와 인접한 위치에 제 1 온도 감지부(30)를 설치하고 드럼(11) 후방의 히터(15)와 인접한 위치에 제 2 온도 감지부 (40)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및 제 2 온도 감지부(30)(40)를 이용하여 행정 도중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며, 감지된 온도 레벨에 따라 히터(15)의 구동을 제어한다.
종래의 건조기는 제 1 및 제 2 온도 감지부(30)(40)를 구성하는 온도감지 센서의 open/short 등으로 판단될 경우, 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제품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부저음을 출력한 후 행정을 종료하게 된다.
그러나, 온도감지 센서의 자체 이상으로 값이 변하지 않는 경우에는 온도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행정을 지속하게 되므로 포가 타거나 도어의 일부가 녹아 내리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감지 센서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건조행정의 동작 개선을 위한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동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히터에 의해 가열된 유동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구비한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 행정으로 진입한 직후 유동공기의 초기온도(T1)를 감지하는 단계; 건조 행정이 제 1 설정시간을 경과하는 시점에 유동공기의 온도(T2)를 감지하는 단계; 건조 행정이 제 2 설정시간을 경과하는 시점에 유동공기의 온도(T3)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설정시간과 제 2 설정시간을 경과한 시점의 각 온도(T2)(T3)가 초기온도(T1)를 기준으로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각 온도(T2)(T3)가 모두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지 않은 경우 건조행정을 중단하고 쿨링(cooling)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각 온도(T2)(T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한 경우 건조행정을 지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 행정시 유동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 센서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행정을 제어하여 센서 불량으로 인한 제품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응축식 건조기 구성 요소는 종래와 동일하며,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먼저, 드럼(11)을 통해 순환하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본체(10) 하부에 순환 공기를 건조한 상태로 만들어주는 응축기(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3)를 통과한 건조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순환덕트(14) 내에 히터(15)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3)를 거쳐 본체(10)로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응축기(13)의 일측에는 본체(10)와 연결되는 외기 공급덕트(18)가 연결되고 응축기(13)의 반대측에는 외부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본체(10)로 공급하는 냉각팬(20)이 설치된다.
그리고, 저온 온도센서인 제 1 온도 감지부(30)는 린트필터(22)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고온 온도센서인 제 2 온도 감지부(40)는 드럼(11) 후방의 히터(15)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온도 감지부(30)(40)를 구성하는 온도감지 센서의 불량을 감지하고 센서 불량으로 판단될 경우 시스템 보호를 위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구성의 응축식 건조기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드럼(11) 내부에 젖은 상태의 건조대상물을 투입한 후 건조행정에 대한 운전을 개시하면 온풍을 이용한 건조행정이 시작되는데 건조행정으로 진입한 직후 건조기 내 유동공기의 초기온도(T1)를 읽어들여 저장한다(S11)(S13).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모터(17)를 구동하여 순환팬(16) 및 드럼(11)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히터(15)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순환덕트(14)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게 되는데, 순환덕트(14)를 유동하는 공기는 히터(15)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 후 드럼(11)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냉각팬(20)에 의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외기 공급덕트(18)를 통해 응축기(13)로 공급된 후 이 응축기(13)를 지나면서 열교환되어 본체(10)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드럼(11) 내부에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 후 고온 다습해진 공기는 상기 응축기(13)를 지나면서 열교환에 의해 응축되어 건조한 상태로 된 다음, 다시 히터(15)에 의해 가열되어 드럼(11) 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건조행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행정시간이 제 1 설정시간(예를 들어, 20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7) 제 1 설정시간을 경과하는 시점에 유동공기의 현재 온도(T2)를 읽어들인다(S19).
그리고, 상기 읽어들인 온도(T2)를 상기 (S13)과정에서 저장된 초기온도(T1)와 비교하여(S21) 초기온도(T1)를 기준으로 설정치(예를 들어, 3℃) 이상 상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
상기 판단결과(S23), 제 1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온도(T2)가 설정치 이상 상승하지 않은 경우 온도센서 불량으로 판단하여 이러한 상태를 저장한 후(S25) 건조행정을 지속한다(S27).
이어, 건조행정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행정시간이 제 2 설정시간(예를 들어, 40분)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5) 제 2 설정시간을 경과하는 시점에 유동공기의 현재 온도(T3)를 읽어들인다(S29).
그리고, 상기 읽어들인 온도(T3)를 상기 (S13)과정에서 저장된 초기온도(T1)와 비교하여(S31) 초기온도(T1)를 기준으로 설정치 이상 상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
상기 판단결과(S33), 제 2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온도(T3)가 설정치 이상 상승하지 않은 경우 상기 (S25)과정에 저장된 온도센서 상태정보를 읽어들인 후(S35) 이를 통해 제 1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설정치 이상의 온도 상승이 없었는지 즉, 온도센서 불량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7).
여기서, 상기 제 1 설정시간과 제 2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각 온도(T2)(T3)가 모두 설정치 이상의 온도 상승이 없었다고 판단되면 진행 중인 건조행정을 중단하고 일정시간 동안 쿨링 행정(cooling mode)을 수행한 후 모든 행정을 종료한다(S39).
한편, 제 2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설정치 이상의 온도변화가 감지되면 제 1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온도변화와 상관없이 진행 중이던 건조행정을 지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행정이 진행되는 동안 두 차례 이상 온도감지 센서의 온도변화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센서 이상으로 판단하고 행정을 중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행정이 진행되는 동안 여러 차례 온도감지 센서의 온도변화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센서이상으로 판단하고 제품의 안전성을 위해 행정을 중단한다.
따라서, 고온 온도센서의 불량으로 인한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유동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히터에 의해 가열된 유동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구비한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 행정으로 진입한 직후 유동공기의 초기온도(T1)를 감지하는 단계;
    건조 행정이 제 1 설정시간을 경과하는 시점에 유동공기의 온도(T2)를 감지하는 단계;
    건조 행정이 제 2 설정시간을 경과하는 시점에 유동공기의 온도(T3)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설정시간과 제 2 설정시간을 경과한 시점의 각 온도(T2)(T3)가 초기온도(T1)를 기준으로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각 온도(T2)(T3)가 모두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지 않은 경우 건조행정을 중단하고 쿨링(cooling)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각 온도(T2)(T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한 경우 건조행정을 지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20050080678A 2005-08-31 2005-08-31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203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678A KR101203849B1 (ko) 2005-08-31 2005-08-31 건조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678A KR101203849B1 (ko) 2005-08-31 2005-08-31 건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983A true KR20070024983A (ko) 2007-03-08
KR101203849B1 KR101203849B1 (ko) 2012-11-21

Family

ID=3809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678A KR101203849B1 (ko) 2005-08-31 2005-08-31 건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9028A (zh) * 2017-10-26 2020-06-12 三星电子株式会社 干衣机和用于执行其灭菌过程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1289B2 (en) 2017-10-26 202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dryer and method for performing sterilization course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9028A (zh) * 2017-10-26 2020-06-12 三星电子株式会社 干衣机和用于执行其灭菌过程的方法
CN111279028B (zh) * 2017-10-26 2023-03-07 三星电子株式会社 干衣机和用于执行其灭菌过程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849B1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774B1 (ko) 건조기 및 그 청소 운전 제어 방법
KR101218031B1 (ko) 건조기의 제어 방법
KR101253143B1 (ko) 건조기의 건조방법
KR20090105082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094582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03849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154985B1 (ko) 건조기의 모터 회전속도 제어방법
KR101253628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165635B1 (ko) 의류건조기의 행정 제어방법
KR101053608B1 (ko)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137331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158054B1 (ko) 응축식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137332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203850B1 (ko) 의류건조기의 행정 제어방법
KR101234067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22081B1 (ko) 건조기의 드럼 회전 및 습도 감지장치
KR20070002438A (ko) 의류건조기의 건조 제어방법
KR100508340B1 (ko) 의류건조기의 히터 고장 감지 방법
JP2020069054A (ja) 洗濯乾燥機
JP7141314B2 (ja) 衣類処理装置
KR101181770B1 (ko) 건조기의 건조방법
KR20060102958A (ko) 응축식 건조기의 제어방법
JPH0833796A (ja) 衣類乾燥機
KR20050041657A (ko) 응축식 의류건조기 및 그 필터 점검방법
KR20060060228A (ko) 응축식 건조기의 필터 감지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