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566A - 일회용 착용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착용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566A
KR20070024566A KR1020067025759A KR20067025759A KR20070024566A KR 20070024566 A KR20070024566 A KR 20070024566A KR 1020067025759 A KR1020067025759 A KR 1020067025759A KR 20067025759 A KR20067025759 A KR 20067025759A KR 20070024566 A KR20070024566 A KR 20070024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circumferential
fixed
sides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2131B1 (ko
Inventor
도모코 스기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4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일회용 착용물품(20A)은 앞 몸통 둘레 영역(23)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27)를 갖는다. 양측부(27)는 긴밀하게 접합한 소수성 섬유 부직포제의 한 쌍의 층(30A, 30B)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영역(31)은 뒤 몸통 둘레 영역(25)의 양측부(27)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32)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고정 영역(33)은 앞 몸통 둘레 영역(23)의 양측부(27)에 긴밀하게 접합된 플라스틱 필름편(34)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착용물품{DISPOSABLE WEARING ARTICLE}
본 발명은 배설물을 흡수 유지하는 일회용 착용물품에 관한 것이다.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뒤 몸통 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개재하여 앞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로 연장되는 액체 흡수성 코어로 구성되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 내면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점착부와 박리부가 형성된 일회용 착용물품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착용 전의 물품에서는 점착부와 박리부가 상호 접촉하고, 점착부가 박리부에 박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물품을 착용하기 위해서는 점착부를 박리부로부터 박리하고,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를 앞 몸통 둘레 영역의 외측에 중첩시킨 후, 점착부를 앞 몸통 둘레 영역의 외면(이면 시트의 외면)에 고정하여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을 연결한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이 연결된 물품에는 몸통 둘레 개구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가 형성된다. 이면 시트가 소정의 가로 방향으로 인장 파단 강도를 가지며, 점착부가 이면 시트에 대하여 소정의 점착력을 갖기 때문에, 점착부를 앞 몸통 둘레 영역의 외면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이면 시트가 찢어지는 일은 없 고, 물품 착용 중에 점착부가 이면 시트의 외면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박리되는 일이 없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88133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점착제의 점착력이 저하되는 것은 점착제가 경화되는 것이 원인 중 하나이다. 경화된 점착제의 점착력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점착제를 따뜻하게 하여 연화시키면 좋다.
특허 문헌 1에 개시한 물품에서는 점착부를 앞 몸통 둘레 영역에 고정하였을 때에, 앞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점착부의 고정 부위에 코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체온이 앞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점착부에 전달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이 물품 착용 중에 착용자의 체온으로 점착제를 따뜻하게 하여 연화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저하된 점착제의 점착력이 회복되지 않고, 고정 부위의 박리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성 고정 부위에 있어서 박리 강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일회용 착용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발명과 제2 발명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발명은 제1 몸통 둘레 영역; 제2 몸통 둘레 영역; 제1 및 제2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 제1 및 제2 몸통 둘레 영역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부; 양단부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 제1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 내면에 설치된 고정 영역;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 외면에 고정 영역을 박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설치된 피고정 영역;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가 긴밀하게 중첩된 복수장의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일회용 착용물품을 대상으로 한다.
상기 제1 발명에 관한 일회용 착용물품은 고정 영역이 제1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 내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이며, 점착층이 가온하에서 연화되는 것; 및 피고정 영역이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 외면에 긴밀하게 접합된 플라스틱 필름 및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 외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 중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발명에 관한 일회용 착용물품은 고정 영역이 제1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 내면에 긴밀하게 접합된 플라스틱 필름 및 제1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 내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 중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 피고정 영역이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 외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이며, 점착층이 가온하에서 연화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를 포함한다.
(1)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가 제1 및 제2 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단부에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고,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가 가랑이 아래 영역의 양측부를 따라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며, 세로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되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보조 탄성 부재가 제1 및 제2 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와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의 사이에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고,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와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와 보조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가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로 연장되어 나오며, 시트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시트의 대향면에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2) 보조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가 피고정 영역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 근방에서 끝나 있다.
(3)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와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가 피고정 영역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 근방에서 끝나 있다.
(4) 점착층의 두께 치수가 5∼100 ㎛의 범위에 있다.
(5) 상온에 있어서의 고정 영역과 피고정 영역과의 박리 강도가 3∼8 N/25 mm의 범위에 있으며, 36∼40℃ 하에서 1시간 방치한 후의 박리 강도가 5∼11 N/25 mm, 3시간 방치한 후의 박리 강도가 6∼12 N/25 mm의 범위에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물품에 의하면,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가 대향면 사이에 간극이 없도록 긴밀하게 중첩된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착용 중에 착용자의 체온에 의해 점착제가 따뜻해져 연화된다. 그 결과, 경화에 의해 저하되고 있었던 점착제의 점착력이 회복되는 동시에, 점착층의 온도가 체온에 근접한 온도로 유지되고, 그것에 의해 저온하에서 점착제가 경화됨으로써 점착력의 저하가 방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물품은 고정 영역과 피고정 영역과의 사이의 박리 강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와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와 보조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가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로 연장되어 나오고, 이들 탄성 부재의 단 가장자리부가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를 형성하는 시트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시트의 대향면에 긴밀하게 접합된 물품은 시트의 대향면 사이 및 시트와 이들 탄성 부재의 단 가장자리부와 사이에 간극이 없기 때문에, 착용자의 체온이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를 통하여 점착층에 확실하게 전달된다.
보조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가 피고정 영역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 근방에서 끝나 있는 물품은 보조 탄성 부재가 이용되고 있어도 착용자의 체온이 점착층에 확실하게 전달된다.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와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가 피고정 영역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 근방에서 끝나 있는 물품은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와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가 이용되고 있어도 착용자의 체온이 점착층에 확실하게 전달된다.
점착층의 두께 치수가 5∼100 ㎛의 범위에 있는 물품은 점착층의 점착제가 신속하게 따뜻해지기 때문에, 경화에 의해 저하된 점착제의 점착력을 조속하게 회복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례로서 도시한 착용물품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 양측부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도시한 물품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화살표 3-3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화살표 4-4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선 5-5에서 본 단면도.
도 6은 다른 일례로서 도시한 착용물품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7은 앞뒤 몸통 둘레 영역 양측부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도시한 물품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선 8-8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다른 일례로서 도시한 착용물품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10은 앞뒤 몸통 둘레 영역 양측부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도시한 물품의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화살표 11-11에서 본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화살표 12-12에서 본 단면도.
도 13은 도 9의 선 13-13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4는 다른 일례로서 도시한 착용물품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15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 양측부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도시한 물품 의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선 16-16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7은 도 14의 선 17-17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A: 일회용 착용물품
20B: 일회용 착용물품
20C: 일회용 착용물품
20D: 일회용 착용물품
23: 앞 몸통 둘레 영역
24: 가랑이 아래 영역
25: 뒤 몸통 둘레 영역
26: 양단부
27: 양측부
30A: 섬유 부직포(시트)
30B: 섬유 부직포(시트)
31: 고정 영역
32: 점착제
33: 피고정 영역
34: 플라스틱 필름
35: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
36: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
37: 보조 탄성 부재
38: 양단 가장자리부
39: 양단 가장자리부
40; 양단 가장자리부
42: 내측 가장자리
59: 점착제
70: 앞 몸통 둘레 영역
71: 가랑이 아래 영역
72: 뒤 몸통 둘레 영역
73: 양단부
74: 양측부
81A: 섬유 부직포(시트)
81B: 섬유 부직포(시트)
82: 섬유 부직포(시트)
83: 고정 영역
84: 플라스틱 필름
85: 피고정 영역
86: 점착제
94: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
98: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
99: 보조 탄성 부재
100: 양단 가장자리부
101: 양단 가장자리부
102: 양단 가장자리부
104: 내측 가장자리
105A: 섬유 부직포(시트)
105B: 섬유 부직포(시트)
107: 점착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물품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 1∼5를 참조하면, 물품(20A)은 외측 시트(21)와, 외측 시트(21)의 내측에 부착된 액체 흡수성 내측 패널(22)로 구성되어 있다. 물품(20A)은 상호 대향하는 앞 몸통 둘레 영역(23) 및 뒤 몸통 둘레 영역(25)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23, 25)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24)과, 앞뒤 몸통 둘레 영역(23, 25)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부(26)와, 앞뒤 몸통 둘레 영역(23, 25)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27)를 갖는다. 물품(20A)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통 둘레 개구(28)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29)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시트(21)는 시트로 형성되고, 그 평면 형상이 모래시계형이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시트(21)는 상호 중첩되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제의 내외층(30A, 30B)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내외층(30A, 30B)의 대향면은 간극 없이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또한, 외측 시트(21)는 대향면이 긴밀하게 접합된 3장 이상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층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대향면이 긴밀하게 접합된 2장 이상의 통기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층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외측 시트(21)는 대향면이 긴밀하게 접합된 소수성 섬유 부직포층과 통기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층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뒤 몸통 둘레 영역(25)의 양측부(27) 내면에는 단 가장자리(26)를 약간 남겨 양측부(27)를 따라 연장되는 고정 영역(31)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영역(31)은 외측 시트(21)의 내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32)으로 형성되어 있다. 앞 몸통 둘레 영역(23)의 양측부(27) 외면에는 고정 영역(31)과 박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피고정 영역(33)이 설치되어 있다. 피고정 영역(33)은 고정 영역(31)과 같은 형태 같은 크기로서, 외측 시트(21)의 외면에 긴밀하게 접합된 플라스틱 필름편(34)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층(30B)과 필름편(34)은 이들 사이에 간극이 없도록 상호 밀착되어 있다. 고정 영역(31) 및 피고정 영역(33)은 외측 시트(21) 상의 내측 패널(22)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 영역(31)과 피고정 영역(33)은 점착층(32)을 사이에 두고 상호 착탈 가능하며, 고정과 박리를 반복할 수 있다. 고정 영역(31)과 피고정 영역(33)은, 각각 가로 치수가 10∼40 mm, 세로 치수가 70∼120 mm의 범위에 있다. 점착층(32)의 두께 치수는 5∼100 ㎛의 범위에 있 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32)의 두께 치수가 5 ㎛ 미만에서는 점착제의 점착력이 초기에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점착층(32)의 두께 치수가 100 ㎛를 초과하면, 점착층(32)에 착용자의 체온이 전달되기 어렵다. 점착층(32)의 점착제는 가온하에서 연화되는 것으로 체온이 전달되어 따뜻해지면 연화되고, 점착층의 점착력이 증가한다.
점착층(32)의 점착제에는 이 종류의 물품에 통상 이용되는 주지 관용의 점착제,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나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비닐에테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재박리용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폴리머 단독이어도 좋지만, 점착력을 올리기 위해 점착 부여 수지를 첨가하는 경우가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는 점착성을 부여하는 주모노머, 응집성을 부여하는 코모노머, 가교점이 되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 형성되고, 라디칼 중합 또는 음이온 중합으로써 중합한다. 주모노머에는 통상 호모 폴리머의 Tg가 -50℃ 이하인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사용된다. 코모노머에는 저급 알킬기를 포함하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초산비닐,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주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하며 Tg가 높아지는 모노머가 사용된다. 이들 코모노머는 응집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점착성이나 내수성, 투명성, 가공성 등의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관능기 함유 모노머는 점착제 가교점의 형성이나 점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관능기 함유 모노머에는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수산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등을 함유하는 모노머가 사용된다.
외측 시트(21)의 양단부(26)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35)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35)는 내외층(30A, 30B) 사이에 개재하고,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신장된 상태에서 내외층(30A, 30B)의 대향면에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가랑이 아래 영역(23)에는 양측부(27)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36)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36)는 내외층(30A, 30B) 사이에 개재하고,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신장된 상태에서 내외층(30A, 30B)의 대향면에 고정되어 있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23, 25)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35)와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36)와의 사이에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하여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보조 탄성 부재(37)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보조 탄성 부재(37)는 내외층(30A, 30B) 사이에 개재하고,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신장된 상태에서 내외층(30A, 30B)의 대향면에 고정되어 있다. 내외층(30A, 30B)과 이들 탄성 부재(35, 36, 37)와의 사이에 간극이 없도록 탄성 부재(35, 36, 37)는 내외층(30A, 30B)과 접합되어 있다.
이들 탄성 부재(35, 36, 37)의 양단 가장자리부(38, 39, 40)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23, 25)의 양측부(27)에 위치하고 있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23, 25)의 양측부(27)에서는 이들 탄성 부재(35, 36, 37)의 양단 가장자리부(38, 39, 40)가 내외층(30A, 30B)의 대향면에 간극 없이 고정되어 있으며, 내외층(30A, 30B)과 탄성 부재(35, 36, 37)가 상호 밀착되어 있다. 이들 탄성 부재(35, 36, 37)의 양단 가장자리부(38, 39, 40)는 고정 영역(31)과 피고정 영역(33)을 횡단하지 않고, 이 들 영역(31, 33)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41, 42)의 내측 근방에서 끝나 있다.
내측 패널(22)은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43)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44)와, 표면 시트(43)의 외면 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액체 불투과성 샘 방지 커프(45)와, 표리면 시트(43, 44)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시트(43, 44)의 내면에 접합된 액체 흡수성 코어(46)로 구성되어 있다. 패널(22)은 세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 가장자리부(47)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48)를 갖고, 외측 시트(21)의 양단부(26)와 양측부(27)를 제외한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패널(22)에서는 이면 시트(44)의 외면이 외측 시트(21)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표면 시트(43)에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사용되어 있다. 이면 시트(44)에는 코어(46)에 대향하는 통기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과 외측 시트(21)에 대향하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를 라미네이트한 복합 시트가 사용되어 있다. 샘 방지 커프(45)에는 발수 처리가 실시된 소수성 섬유 부직포가 사용되어 있다.
샘 방지 커프(45)는 패널(22)의 양측 가장자리(48)에 배치되어 양단 가장자리부(47) 사이를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샘 방지 커프(45)는 양측 가장자리(48)에 고착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기부(49)와, 고정 기부(49)에 병행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고, 표면 시트(43)의 상측으로 기립 성향을 갖는 선단부(50)와, 패널(22)의 가로 방향 내측으로 도복한 상태에서 양단 가장자리부(47)에 고착된 양단부(51)를 갖는다. 선단부(50)의 정상 부분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축성 탄성 부재(52)가 샘 방지 커프(45)에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52)가 수축하면, 샘 방지 커프(45)의 선단부(50)가 세로 방향으로 오그라들어 표면 시트(43)의 상측으로 기립하고, 선단부(50)가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한다.
패널(22)의 양단 가장자리부(47)는 코어(46)의 단 가장자리(53)로부터 세로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리면 시트(43, 44)의 단부(54, 55)와 샘 방지 커프(45)의 단부(51)를 포함한다. 양단 가장자리부(47)에서는 표리면 시트(43, 44)의 단부(54, 55)와 샘 방지 커프(45)의 단부(51)가 상호 중첩되고, 표리면 시트(43, 44)의 내면끼리 접합되며, 표면 시트(43)의 외면과 샘 방지 커프(45)의 내면이 접합되어 있다. 패널(22)의 양측 가장자리(48)는 코어(46)의 측 가장자리(56)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리면 시트(43, 44)의 측부(57, 58)와 샘 방지 커프(45)의 기부(49)를 포함한다. 양단 가장자리부(48)에서는 표면 시트(43)의 측부(57)가 코어(46)의 측 가장자리(56)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약간 연장되고, 측부(57)로부터 더욱 가로 방향 외측으로 이면 시트(44)의 측부(58)와 샘 방지 커프(45)의 기부(49)가 연장되어 있다. 양단 가장자리부(48)에서는 표리면 시트(43, 44)의 측부(57, 58)와 샘 방지 커프(45)의 기부(49)가 상호 중첩되고, 표리면 시트(43, 44)의 내면끼리 접합되며, 표리면 시트(43, 44)의 내외면과 샘 방지 커프(45)의 내면이 접합되어 있다.
내외층(30A, 30B)끼리의 접합, 외층(30B)과 필름편(34)과의 접합, 내외층(30A, 30B)과 탄성 부재(35, 36, 37)와의 접합, 외측 시트(21)와 이면 시트(44) 와의 접합, 표리면 시트(43, 44)끼리의 접합, 표리면 시트(43, 44)와 샘 방지 커프(45)와의 접합, 샘 방지 커프(45)와 탄성 부재(52)와의 접합에는 접착제(도시하지 않음)가 사용되고 있다. 접착제는 내외층(30A, 30B)이나 시트(21, 43, 44), 커프(45)에 스파이럴 형상이나 물결 형상, 지그재그 형상, 도트 형상, 줄무늬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에는 핫멜트형 접착제나 아크릴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물품(20A)은 고정 영역(31)을 피고정 영역(33)에 고정하고, 앞 몸통 둘레 영역(23)의 양측부(27)와 뒤 몸통 둘레 영역(25)의 양측부(27)를 연결한 상태에서 착용된다. 착용 중에 배설된 배설물은 표면 시트(43)를 투과하여 코어(46)에 흡수 유지된다. 앞 몸통 둘레 영역(23)의 양측부(27)가 상호 중첩되어 대향면이 긴밀하게 접합된 2장의 내외층(30A, 30B)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내외층(30A, 30B)의 대향면 사이에 간극이 없으므로 착용 중에 앞 몸통 둘레 영역(23)의 양측부(27)에 착용자의 체온이 확실하게 전달된다. 그것에 의해, 점착제가 경화되고 있었던 점착층이 연화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바람직한 점착력이 회복된다.
상온에서의 고정 영역(31)과 피고정 영역(33)과의 박리 강도는 3∼8 N/25 mm(바람직하게는 4∼6 N/25 mm)의 범위에 있으며, 36∼40℃ 하에서 고정 영역(31)이 피고정 영역(33)에 고정되고, 1시간 후의 박리 강도는 5∼11 N/25 mm(바람직하게는 6∼9 N/25 mm), 36∼40℃ 하에서 고정 영역(31)이 피고정 영역(33)에 고정되며, 3시간 후의 박리 강도는 6∼12 N/25 mm(바람직하게는 7∼10 N/25 mm)의 범위에 있다.
36∼40℃의 체온 부근의 온도가 앞 몸통 둘레 영역(23)의 양측부(27)에 전달되면, 점착층(32) 점착제의 점착력이 증가한다. 그것에 의해, 고정 영역(31)과 피고정 영역(33)과의 사이의 박리 강도가 강해진다. 고정 영역(31)과 피고정 영역(33)과의 박리 강도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피고정 영역(33)을 포함하는 앞 몸통 둘레 영역(23)의 양측부(27)와 고정 영역(31)을 포함하는 뒤 몸통 둘레 영역(25)의 양측부(27)를 물품(20A)으로부터 잘라내어, 제1∼제3 박리 강도 측정용 샘플(가로 치수 40 mm, 세로 치수 100 mm, 「고정 영역(31)과 피고정 영역(33)과의 치수: 가로 치수 25 mm, 세로 치수 80 mm」)을 작성하였다. 박리 강도의 측정에는 AUTOGRAPH AG-I 시험기(시마즈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사쿠쇼제)를 사용하였다. 샘플을 세로 방향으로 박리하였을 때의 응력-왜곡 곡선 중 대략 평탄한 응력을 나타내는 부분에 있어서의 응력을 그 샘플의 박리 강도로 하였다.
(2) 제1∼제3 샘플을 700 g의 롤러로 가압하여 고정 영역(31)을 피고정 영역(33)에 고정하고, 이들 영역(31, 33)끼리를 접합시킨 상태에서 항온 항습으로 30분간 방치하였다. 다음에, 제1∼제3 샘플의 일단부[앞 몸통 둘레 영역(23)측의 단부]와 타단부[뒤 몸통 둘레 영역(25)측의 단부]를 척(척 사이 치수: 10 mm)으로 유지하고, 300 mm/min으로 고정 영역(31)과 피고정 영역(33)을 박리(T형 박리)한 후, 700 g의 롤러로 이들 샘플을 가압하여 고정 영역(31)을 피고정 영역(33)에 재차 고정하였다.
(3) 고정 영역(31)을 피고정 영역(33)에 재차 고정한 직후에, 제1 샘플의 일 단부와 타단부를 척(척 사이 치수: 10 mm)으로 유지하며, 300 mm/min으로 고정 영역(31)과 피고정 영역(33)을 박리(T형 박리)시키고, 그 때의 박리 강도를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측정한 제1 샘플의 박리 강도는 3∼8 N/25 mm의 범위였다.
(4) 고정 영역(31)을 피고정 영역(33)에 고정한 상태의 제2 샘플을 40℃의 오븐에 넣어 1시간 방치하고, 1시간 경과 후에 제2 샘플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척(척 사이 치수: 10 mm)으로 유지하며, 300 mm/min으로 고정 영역(31)과 피고정 영역(33)을 박리(T형 박리)시키고, 그 때의 박리 강도를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측정한 제2 샘플의 박리 강도는 5∼11 N/25 mm의 범위였다.
(5) 고정 영역(31)을 피고정 영역(33)에 고정한 상태의 제3 샘플을 40℃의 오븐에 넣어 3시간 방치하고, 3시간 경과 후에 제3 샘플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척(척 사이 치수: 10 mm)으로 유지하며, 300 mm/min으로 고정 영역(31)과 피고정 영역(33)을 박리(T형 박리)시키고, 그 때의 박리 강도를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측정한 제3 샘플의 박리 강도는 6∼12 N/25 mm의 범위였다.
앞 몸통 둘레 영역(23)의 양측부(27)에 있어서 내외층(30A, 30B) 사이에 탄성 부재(35, 36, 37)의 단 가장자리부(38, 39, 40)가 개재되어 있어도 탄성 부재(35, 36, 37)의 단 가장자리부(38, 39, 40)가 피고정 영역(33)의 내측 가장자리(42)의 내측 근방에서 끝나 있으며, 또한, 탄성 부재(35, 36, 37)가 내외층(30A, 30B)의 대향면에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고, 내외층(30A, 30B)의 대향면 사이 및 내외층(30A, 30B)과 탄성 부재(35, 36, 37)의 단 가장자리부(38, 39, 40)와의 사이에 간극이 없다. 이것에 의해, 착용 중에 착용자의 체온이 앞 몸통 둘레 영역(23)의 양측부(27)를 통하여 점착층(32)에 확실하게 전달된다.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 6∼8을 참조하면, 이 물품(20B)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의 물품(20A)과 다른 것은 피고정 영역(33)이 점착층(59)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과, 탄성 부재(35, 36)의 단 가장자리부(38, 39)가 고정 영역(31) 및 피고정 영역(33)을 횡단하고 있는 점이다. 그 밖의 구성은 물품(20A)과 동일이기 때문에, 물품(20A)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 이 물품(20B)에서의 그 밖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 영역(31)은 뒤 몸통 둘레 영역(25)의 양측부(27)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32)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고정 영역(33)은 앞 몸통 둘레 영역(23)의 양측부(27)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59)으로 형성되어 있다. 점착층(59)에는 점착층(32)과 동일한 점착제가 사용된다. 점착층(59)의 두께 치수는 점착층(32)과 동일하게 5∼10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점착층(59)에는 공지한 점착제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외층(30A, 30B) 사이에 개재하고 있는 탄성 부재(35, 36, 37) 중 보조 탄성 부재(37)의 양단 가장자리부(40)는 고정 영역(31)과 피고정 영역(33)을 횡단하지 않고, 이들 영역(31, 33)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41, 42)의 내측 근방에서 끝나 있지만,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35)의 양단 가장자리부(38)와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36)의 양단 가장자리부(39)는 고정 영역(31)과 피고정 영역(33)을 횡단하고 있다.
내외층(30A, 30B)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 부재(35, 36)가 고정 영역(31) 및 피고정 영역(33)을 횡단하고 있어도 내외층(30A, 30B)의 대향면 사이 및 내외층(30A, 30B)과 탄성 부재(35, 36, 37)의 단 가장자리부(38, 39, 40)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내층(30A)과 외층(30B) 및 각 탄성 부재(35, 36, 37)를 유지하는 내외층(30A, 30B)이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 중에 착용자의 체온이 앞 몸통 둘레 영역(23)의 양측부(27)를 통하여 점착층(32, 59)의 점착제에 확실하게 전달된다.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 9∼13을 참조하면, 물품(20C)은 상호 대향하는 앞 몸통 둘레 영역(7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72)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70, 72)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71)을 가지며, 앞뒤 몸통 둘레 영역(70, 72)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부(73)와, 앞뒤 몸통 둘레 영역(70, 72)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74)를 갖는다. 물품(20C)은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75)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76)와, 표면 시트(75)의 외면 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액체 불투과성 샘 방지 커프(77)와, 표리면 시트(75, 76)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시트(75, 76)의 내면에 접합된 액체 흡수성 코어(78)로 구성되어 있다. 가랑이 아래 영역(71)의 양측부(74)는 물품(20C)의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하여 호를 그리고 있다. 물품(20C)은 그 평면형상이 모래시계형이다. 물품(20C)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통 둘레 개구(79)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80)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75)에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이면 시트(76)는 상호 중첩되는 2장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제의 내외층(81A, 81B)으로 형성되어 있 다. 또한, 이면 시트(76)는 대향면이 긴밀하게 접합된 통기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과 소수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샘 방지 커프(77)에는 발수 처리가 실시된 소수성 섬유 부직포(82)가 사용되고 있다.
뒤 몸통 둘레 영역(72)의 양측부(74)의 내면에는 단 가장자리(73)를 약간 남겨 양측부(74)를 따라 연장되는 고정 영역(83)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영역(83)은 코어(78)와 중첩되지 않은 위치에서 샘 방지 커프(77)에 긴밀하게 접합된 플라스틱 필름편(84)으로 형성되어 있다. 앞 몸통 둘레 영역(70)의 양측부(74)의 외면에는 고정 영역(83)과 박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피고정 영역(85)이 설치되어 있다. 피고정 영역(85)은 코어(78)와 중첩되지 않은 위치에서 외층(81B)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86)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영역(83)과 피고정 영역(85)은 상호 착탈 가능하며, 고정과 박리를 반복할 수 있다. 고정 영역(83)과 피고정 영역(85)은 같은 형태 같은 크기이다. 구체적으로는 가로 치수가 10∼40 mm, 세로 치수가 70∼120 mm의 범위에 있다. 점착층(86)의 점착제에는 제1 실시 형태의 물품(20A)의 점착층(32)의 점착제 대신에, 소위 자기 접착형 접착제가 사용된다. 점착층(86)의 두께 치수는 물품(20A)의 점착층(32)과 동일하게 5∼10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샘 방지 커프(77)는 양측부(74)에 배치되어 양단부(73) 사이를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샘 방지 커프(77)는 양측부(74)에 고착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기부(87)와, 고정 기부(87)에 병행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면 시트(75)의 상측으로 기립 성향을 갖는 선단부(88)와, 물품(20C)의 가로 방향 내측으 로 도복한 상태에서 물품(20C)의 양단부(73)에 고착된 양단부(89)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88)의 정상 부분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축성 탄성 부재(90)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90)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신장된 상태에서 선단부(88)에 고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90)가 수축하면, 샘 방지 커프(77)의 선단부(88)가 세로 방향으로 오그라들어 표면 시트(75)의 상측에 기립하고, 선단부(88)가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한다.
양단부(73)는 코어(78)의 단 가장자리(91)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리면 시트(75, 76)의 단부(92, 93)와 샘 방지 커프(77)의 단부(89)를 포함한다. 양단부(73)에서는 표리면 시트(75, 76)의 단부(92, 93)와 샘 방지 커프(77)의 단부(89)가 중첩되고, 표리면 시트(75, 76)의 내면끼리 접합되며, 표면 시트(75)의 외면과 샘 방지 커프(77)의 내면이 접합되어 있다.
양측부(74)는 코어(78)의 측 가장자리(95)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리면 시트(75, 76)의 측부(96, 97)와 샘 방지 커프(77)의 기부(87)를 포함한다. 양측부(74)에서는 표면 시트(75)의 측부(96)가 코어(78)의 측 가장자리(95)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약간 연장되고, 이면 시트(76)의 측부(97)와 샘 방지 커프(77)의 기부(87)가 측부(96)로부터 또한, 가로 방향 외측으로 약간 연장되어 있다. 양측부(74)에서는 표리면 시트(75, 76)의 측부(96, 97)와 샘 방지 커프(77)의 기부(87)가 중첩되고, 표리면 시트(75, 76)의 내면끼리 긴밀하게 접합되며, 표리면 시트(75, 76)의 내외면과 샘 방지 커프(77)의 내면이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70, 72)의 양측부(74)는 대략 이면 시트(76)의 측 부(97)와 샘 방지 커프(77)의 기부(87)로 형성되어 있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70, 72)의 양측부(74)에서는 내외층(81A, 81B), 샘 방지 커프(77)가 긴밀하게 접합되고, 이들 대향면 사이에 간극이 없도록 상호 밀착되어 있다.
양단부(73)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94)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94)는 내외층(81A, 81B) 사이에 개재하고,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신장된 상태에서 이들 내외층(81A, 81B)의 대향면에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양측부(74)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98)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98)는 내외층(81A, 81B) 사이에 개재하고,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신장된 상태에서 이들 내외층(81A, 81B)의 대향면에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70, 72)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94)와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98)와의 사이에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되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보조 탄성 부재(99)가 물품(20C)에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보조 탄성 부재(99)는 내외층(81A, 81B) 사이에 개재하고,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신장된 상태에서 이들 내외층(81A, 81B)의 대향면에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탄성 부재(94, 98, 99)는 내외층(81A, 81B)과 탄성 부재(94, 98, 99)와의 사이에 간극이 없도록 내외층(81A, 81B)과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이들 탄성 부재(94, 98, 99)의 양단 가장자리부(100, 101, 102)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70, 72)의 양측부(74)에 위치하고 있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70, 72)의 양측부(74)에서는 이들 탄성 부재(94, 98, 99)의 양단 가장자리부(100, 101, 102) 가 내외층(81A, 81B)의 대향면에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으며, 내외층(81A, 81B)과 이들 탄성 부재(94, 98, 99)와의 사이에 간극이 없고, 내외층(81A, 81B)과 탄성 부재(94, 98, 99)가 상호 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94, 98, 99)의 양단 가장자리부(100, 101, 102)는 고정 영역(83)과 피고정 영역(85)을 횡단하지 않고, 이들 영역(83, 85)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103, 104)의 내측 근방에서 끝나 있다.
표리면 시트(75, 76)끼리의 접합, 표리면 시트(75, 76)와 샘 방지 커프(77)와의 접합, 샘 방지 커프(77)와 탄성 부재(90)와의 접합, 내외층(81A, 81B)의 접합, 샘 방지 커프(77)와 필름편(84)과의 접합, 내외층(81A, 81B)과 탄성 부재(94, 98, 99)와의 접합에는 접착제(도시하지 않음)가 사용되고 있다. 접착제는 시트(75, 76), 커프(77)나 내외층(81A, 81B)에 스파이럴 형상이나 물결 형상, 지그재그 형상, 도트 형상, 줄무늬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에는 핫멜트형 접착제나 아크릴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물품(20C)은 고정 영역(83)을 피고정 영역(85)에 고정하고, 앞 몸통 둘레 영역(70)의 양측부(74)와 뒤 몸통 둘레 영역(72)의 양측부(74)를 연결한 상태로 착용된다. 착용중에 배설된 배설물은 표면 시트(75)를 투과하여 코어(78)에 흡수 유지된다. 앞 몸통 둘레 영역(70)의 양측부(74)가 상호 중첩되어 대향면이 긴밀하게 접합된 내외층(81A, 81B), 샘 방지 커프(77)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대향면 사이에 간극이 없다. 그 결과, 착용 중에 앞 몸통 둘레 영역(70)의 양측부(74)를 통하여 착용자의 체온이 점착층(86)에 확실하게 전달된다. 그것에 의해, 점착제의 경화에 의해 저하된 점착력을 회복시키고, 점착층(86)의 점착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온에서의 고정 영역(83)과 피고정 영역(85)과의 박리 강도는 3∼8 N/25 mm(바람직하게는 4∼6 N/25 mm)의 범위에 있다. 36∼40℃ 하에서 고정 영역(83)이 피고정 영역(85)에 고정되어 1시간 후의 박리 강도는 5∼11 N/25 mm(바람직하게는 6∼9 N/25 mm), 36∼40℃ 하에서 고정 영역(83)이 피고정 영역(85)에 고정되어 3시간 후의 박리 강도는 6∼12 N/25 mm(바람직하게는 7∼10 N/25 mm)의 범위에 있다. 고정 영역(83)과 피고정 영역(85)과의 박리 강도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물품(20A)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36∼40℃의 체온 부근의 온도가 앞 몸통 둘레 영역(70)의 양측부(74)에 전달되면, 점착제의 점착력이 강해진다. 그 결과, 고정 영역(83)과 피고정 영역(85)과의 사이의 박리 강도가 강해진다.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 14∼17을 참조하면, 이 물품(20D)의 구성이 제3 실시 형태의 물품(20C)과 다른 것은 앞뒤 몸통 둘레 영역(70, 72)의 양측부(74)의 대부분이 섬유 부직포제의 내외층(105A, 105B), 내외층(106A, 106B)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과, 고정 영역(83)이 점착층(107)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과, 탄성 부재(94, 98)의 양단 가장자리부(100, 101)가 고정 영역(83)과 피고정 영역(85)을 횡단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밖의 구성은 물품(20C)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물품(20D)에서의 그 밖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앞 몸통 둘레 영역(70)의 양측부(74)는 대략 표리면 시트(75, 76) 및 샘 방지 커프(77)와 다른 부재의 섬유 부직포제의 내외층(105A, 105B)으로 형성되어 있 다. 내외층(105A, 105B)은 상호 중첩되어 대향면이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으며, 대향면 사이에 간극이 없고, 대향면끼리 밀착되어 있다.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내층(105A)은 친수성이며,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외층(105B)보다도 높은 흡수도를 갖는다. 외층(105B)은 친수성 또는 소수성 중 어느 하나라도 좋다. 내층(105A)의 흡수도를 외층(105B)보다도 높게 하기 위해서는 2개의 방법이 있다. 제1 방법으로서는 내층(105A)을 구성하는 섬유 표면에 친수화제를 도포하거나 또는 내층(105A)을 구성하는 섬유에 친수화제를 이겨 넣음으로써, 내층(105A)에 적량의 친수화제를 함유시킨다. 제2 방법으로서는 내층(105A)의 섬유 밀도를 외층(105B)보다도 높게 하는 동시에, 내층(105A)의 평량을 외층(105B)보다도 높게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방법을 병용하여도 좋다. 뒤 몸통 둘레 영역(72)의 양측부(74)는 대략 표리면 시트(75, 76) 및 샘 방지 커프(77)와 다른 부재의 섬유 부직포제의 내외층(106A, 106B)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외층(106A, 106B)은 상호 중첩되어 대향면이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으며, 대향면 사이에 간극이 없고, 대향면끼리 밀착되어 있다. 내외층(106A, 106B)은 친수성이어도 좋고, 소수성이어도 좋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70, 72)의 양측부(74)에서는 코어(78)의 측 가장자리(95)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표리면 시트(75, 76)의 측부(96, 97)와 샘 방지 커프(77)의 기부(87)가 약간 연장되고, 측부 커프(77)의 기부(87) 및 시트(75, 76)의 측부(96, 97)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내외층(105A, 105B) 및 내외층(106A, 106B)이 연장되어 있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70, 72)의 양측부(74)에서는 표리면 시트(75, 76)와 측부(96, 97)와 샘 방지 커프(77)의 기부(87)가 내외층(105A, 105B) 및 내외층(106A, 106B)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시트(75, 76), 커프(77)의 내외면과 내외층(105A, 105B) 및 내외층(106A, 106B)의 대향면이 접합되어 있다. 가랑이 아래 영역(71)의 양측부(74)는 코어(78)의 측 가장자리(95)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리면 시트(75, 76)의 측부(96, 97)와 샘 방지 커프(77)의 기부(87)로 형성되어 있다. 가랑이 아래 영역(71)의 양측부(74)에서는 표리면 시트(75, 76)의 측부(96, 97)와 샘 방지 커프(77)의 기부(87)가 중첩되고, 이들 시트(75, 76, 77)의 내외면이 접합되어 있다.
고정 영역(83)은 뒤 몸통 둘레 영역(72)의 내면에 양측부(74)를 따라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107)으로 형성되어 있다. 점착층(107)은 코어(78)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피고정 영역(85)은 앞 몸통 둘레 영역(70)의 외면에 양측부(74)를 따라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86)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점착층(86)은 코어(78)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점착층(107)에는 점착층(86)과 동일한 점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점착층(107)의 두께 치수는 점착층(86)과 동일하게 5∼10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94)는 내외층(81A, 81B), 내외층(105A, 105B), 내외층(106A, 106B) 사이에 개재하고,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신장된 상태에서 내외층(81A, 81B), 내외층(105A, 105B), 내외층(106A, 106B)의 대향면에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98)는 내외층(81A, 81B), 내외층(105A, 105B), 내외층(106A, 106B) 사이에 개재하고,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신장된 상태에서 내외층(81A, 81B), 내외층(105A, 105B), 내외층(106A, 106B)의 대향면에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보조 탄성 부재(99)는 내외층(81A, 81B), 내외층(105A, 105B), 내외층(106A, 106B) 사이에 개재하고,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신장된 상태에서 내외층(81A, 81B), 내외층(105A, 105B), 내외층(106A, 106B)의 대향면에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내외층(81A, 81B), 내외층(105A, 105B), 내외층(106A, 106B)과 이들 탄성 부재(94, 98, 99)와의 사이에 간극이 없도록 내외층(81A, 81B), 내외층(105A, 105B), 내외층(106A, 106B)과 탄성 부재(94, 98, 99)가 상호 밀착되어 있다.
이들 탄성 부재(94, 98, 99)의 양단 가장자리부(100, 101, 102)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70, 72)의 양측부(74)에 위치하고 있다. 앞 몸통 둘레 영역(70)의 양측부(74)에서는 내외층(105A, 105B), 내외층(106A, 106B)과 이들 탄성 부재(94, 98, 99)와의 사이에 간극이 없고, 탄성 부재(94, 98, 99)의 단 가장자리부(100, 101, 102)가 내외층(105A, 105B), 내외층(106A, 106B)의 대향면에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보조 탄성 부재(99)의 단 가장자리부(102)는 고정 영역(83)과 피고정 영역(85)을 횡단하지 않고, 이들 영역(83, 85)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103, 104)의 내측 근방에서 끝나 있다.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94)의 단 가장자리부(100) 및 다리 둘레 탄성 부재(98)의 단 가장자리부(101)가 고정 영역(83)과 피고정 영역(85)을 각각 횡단하고 있다. 보조 탄성 부재(99)의 단 가장자리부(102)는 고정 영역(83)과 피고정 영역(85)을 횡단하지 않고, 이들 영역(83, 85)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103, 104)의 내측 근방에서 끝나 있다. 탄성 부재(94, 98)는 고정 영역(83)과 피고정 영역(85)을 각각 횡단하고 있지만, 내외층(105A, 105B), 내외 층(106A, 106B)의 대향면 사이 및 내외층(105A, 105B), 내외층(106A, 106B)과 탄성 부재(94, 98, 99)의 단 가장자리부(100, 101, 102)와의 사이에 간극이 없고, 상호 대향하는 층끼리 및 각 탄성 부재와 이들을 유지하는 층이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착용자의 체온이 앞 몸통 둘레 영역(70)의 양측부(74)에 확실하게 전달된다.
앞 몸통 둘레 영역(70)의 양측부(74)에 있어서,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외층(105B)의 흡수도보다도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내층(105A)의 흡수도 쪽이 높기 때문에, 내층(105A)에 흡수 유지된 착용자의 땀 등의 체액이 외층(105B)으로 이행되어 외층(105B)의 표면에서 기화되는 일이 없다. 흡수된 체액의 기화를 막음으로써 점착층의 점착제 온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부직포에는 스펀레이스, 니들펀치, 멜트블로운, 서멀본드, 스펀본드, 케미컬 본드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에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스티렌계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에는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 병렬형 복합 섬유, 이형 중공 섬유, 미다공 섬유, 접합형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필름에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필름 형상으로 압출 성형한 후, 소정의 배율로 일축 또는 이축 연신하여 제조된 연신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코어(46, 78)는 입자 형상이나 섬유 형상의 고흡수성 폴리머와 플러프 펄프와의 혼합물, 또는 입자 형상이나 섬유 형상의 고흡수성 폴리머와 플러프 펄프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와의 혼합물이며, 소정의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 코어(46, 78)는 그것의 형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전체가 티슈 페이퍼나 친수성 섬유 부직포 등의 투수성 시트(도시하지 않음)에 포피(包被)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물품(20A)은 피고정 영역(33)이 필름편(34)이 아니라, 제2 실시 형태의 물품(20B)과 동일하게 점착층(59)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물품(20B)은 피고정 영역(33)이 점착층(59)이 아니라, 물품(20A)과 동일하게 필름편(34)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의 물품(20C)은 고정 영역(83)이 필름편(84)이 아니라, 제4 실시 형태의 물품(20D)과 동일하게 점착층(107)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물품(20D)은 고정 영역(83)이 점착층(107)이 아니라, 물품(20C)과 동일하게 필름편(84)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 도시한 물품(20A, 20B, 20C, 20D)에서는 앞 몸통 둘레 영역(23, 70)이 특허청구 범위에서의 제1 몸통 둘레 영역에 해당하고, 뒤 몸통 둘레 영역(25, 72)이 특허청구 범위에서의 제2 몸통 둘레 영역에 해당하지만, 앞 몸통 둘레 영역(23, 70)이 특허청구 범위에서의 제2 몸통 둘레 영역에 해당하며, 뒤 몸통 둘레 영역(25, 72)이 특허청구 범위에서의 제1 몸통 둘레 영역에 해당하여도 좋다.

Claims (7)

  1. 제1 몸통 둘레 영역;
    제2 몸통 둘레 영역;
    상기 제1 및 제2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
    상기 제1 및 제2 몸통 둘레 영역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부;
    상기 양단부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의 상기 양측부의 내면에 설치된 고정 영역;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상기 양측부의 외면에 상기 고정 영역을 박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설치된 피고정 영역;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상기 양측부가 긴밀하게 중첩된 복수장의 시트를 포함하는 것;
    상기 고정 영역이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 내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이며, 상기 점착층이 가온하에서 연화되는 것; 및
    상기 피고정 영역이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 외면에 긴밀하게 접합된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 외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 중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일회용 착용물품.
  2. 제1 몸통 둘레 영역;
    제2 몸통 둘레 영역;
    상기 제1 및 제2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
    상기 제1 및 제2 몸통 둘레 영역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부;
    상기 양단부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의 상기 양측부의 내면에 설치된 고정 영역;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상기 양측부의 외면에 상기 고정 영역을 박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설치된 피고정 영역;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상기 양측부가 긴밀하게 중첩된 복수장의 시트를 포함하는 것;
    상기 고정 영역이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 내면에 긴밀하게 접합된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 내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 중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
    상기 피고정 영역이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 외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이며, 상기 점착층이 가온하에서 연화되는 것을 포함하는 일회용 착용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단부에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고,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의 양측부를 따라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며, 세로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되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보조 탄성 부재가 상기 제1 및 제 2 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와 상기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와의 사이에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보조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가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로 연장되어 나오고, 상기 시트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시트의 대향면에 긴밀하게 접합되어 있는 착용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가 상기 피고정 영역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 근방에서 끝나 있는 착용물품.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부가 상기 피고정 영역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 근방에서 끝나 있는 착용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두께 치수가 5∼100 ㎛의 범위에 있는 착용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온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 영역과 상기 피고정 영역과의 박리 강도가 3∼8 N/25 mm의 범위에 있고, 36∼40℃ 하에서 1시간 방치한 후의 박리 강도가 5∼11 N/25 mm, 3시간 방치한 후의 박리 강도가 6∼12 N/25 mm의 범위에 있는 착용물품.
KR1020067025759A 2004-06-30 2005-06-30 일회용 착용물품 KR100822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94187 2004-06-30
JPJP-P-2004-00194187 2004-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566A true KR20070024566A (ko) 2007-03-02
KR100822131B1 KR100822131B1 (ko) 2008-04-15

Family

ID=3551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759A KR100822131B1 (ko) 2004-06-30 2005-06-30 일회용 착용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758559B2 (ko)
EP (1) EP1764068B1 (ko)
JP (1) JP4847867B2 (ko)
KR (1) KR100822131B1 (ko)
CN (1) CN100560042C (ko)
MY (1) MY139135A (ko)
TW (1) TWI272097B (ko)
WO (1) WO20060040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0188A1 (en) * 2003-07-10 2005-01-13 Glaug Frank S. Efficiently manufacturable absorbent disposable under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disposable article
GB0325129D0 (en) 2003-10-28 2003-12-03 Smith & Nephew Apparatus in situ
CN102715984B (zh) 2005-09-06 2014-07-09 施乐辉股份有限公司 具有微型泵的独立伤口敷料
BRPI0616591A2 (pt) 2005-09-07 2011-06-28 Tyco Healthcare aparelho de curativo de ferimento independente
BRPI0615765A2 (pt) 2005-09-07 2011-05-24 Tyco Healthcare curativo para ferimento com reservatório a vácuo
US20070073262A1 (en) * 2005-09-28 2007-03-29 Kimberly Babusik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779625B2 (en) 2006-05-11 2010-08-24 Kalypto Medical, Inc. Device and method for wound therapy
US20080287899A1 (en) * 2007-05-14 2008-11-20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80287898A1 (en) * 2007-05-14 2008-11-20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80287897A1 (en) * 2007-05-14 2008-11-20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323258B2 (en) * 2007-07-27 2012-1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Quiet adhesive fastening system for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GB0722820D0 (en) 2007-11-21 2008-01-02 Smith & Nephew Vacuum assisted wound dressing
AU2008327660B2 (en) 2007-11-21 2014-02-13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EP2214611B1 (en) * 2007-11-21 2018-12-26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US11253399B2 (en) 2007-12-06 2022-02-22 Smith & Nephew Plc Wound filling apparatuses and methods
GB0723872D0 (en) * 2007-12-06 2008-01-16 Smith & Nephew Apparatus for topical negative pressure therapy
US20130096518A1 (en) 2007-12-06 2013-04-18 Smith & Nephew Plc Wound filling apparatuses and methods
US8506544B2 (en) 2010-06-21 2013-08-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pant with efficient design and convenient single-section side stretch panels
EP2825220B2 (en) 2012-03-12 2021-03-03 Smith & Nephew PLC Reduced pressure apparatus and methods
EP3288508B1 (en) 2015-04-27 2020-01-08 Smith & Nephew plc Reduced pressure apparatuses
AU2017230775B2 (en) 2016-03-07 2021-12-23 Smith & Nephew Plc Wound treatment apparatuses and methods with negative pressure source integrated into wound dressing
CN109121396B (zh) 2016-04-26 2022-04-05 史密夫及内修公开有限公司 与具有流体侵入抑制部件的一体化负压源一起使用的伤口敷料和方法
CA3022587A1 (en) 2016-05-03 2017-11-09 Smith & Nephew Plc Systems and methods for driving negative pressure sources in negative pressure therapy systems
CN109069710B (zh) 2016-05-03 2022-04-12 史密夫及内修公开有限公司 优化到负压治疗系统中的负压源的功率传输
EP3452129B1 (en) 2016-05-03 2022-03-23 Smith & Nephew plc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 activation and control
WO2018037075A1 (en) 2016-08-25 2018-03-01 Smith & Nephew Plc Absorbent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ressing
US11564847B2 (en) 2016-09-30 2023-01-31 Smith & Nephew Plc Negative pressure wound treatment apparatuses and methods with integrated electronics
AU2017375560B2 (en) 2016-12-12 2023-07-06 Smith & Nephew Plc Pressure wound therapy status indication via external device
JP7361606B2 (ja) 2017-03-08 2023-10-16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 障害状態の存在下での陰圧創傷療法装置の制御
EP3621667A1 (en) 2017-05-09 2020-03-18 Smith & Nephew PLC Redundant controls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s
GB201718070D0 (en) 2017-11-01 2017-12-13 Smith & Nephew Negative pressure wound treatment apparatuses and methods with integrated electronics
EP3681550B1 (en) 2017-09-13 2023-11-08 Smith & Nephew PLC Negative pressure wound treatment apparatuses
GB201718072D0 (en) 2017-11-01 2017-12-13 Smith & Nephew Negative pressure wound treatment apparatuses and methods with integrated electronics
US11497653B2 (en) 2017-11-01 2022-11-15 Smith & Nephew Plc Negative pressure wound treatment apparatuses and methods with integrated electronics
GB201718054D0 (en) 2017-11-01 2017-12-13 Smith & Nephew Sterilization of integrated negative pressure wound treatment apparatuses and sterilization methods
USD898925S1 (en) 2018-09-13 2020-10-13 Smith & Nephew Plc Medical dressing
GB201907716D0 (en) 2019-05-31 2019-07-17 Smith & Nephew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ing operational time of negative pressure wound treatment apparatuses
JP7333746B2 (ja) * 2019-12-04 2023-08-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2012827B1 (en) 2023-09-11 2024-06-18 Natura Resources LLC Nuclear reactor integrated oil and gas production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133A (ja) 1993-09-22 1995-04-04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3573487B2 (ja) * 1994-03-25 2004-10-06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175912B2 (ja) * 1995-10-04 2001-06-11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3271891B2 (ja) * 1996-03-22 2002-04-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P0974326B1 (en) 1998-07-24 2005-02-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aper Closure system
EP1016392A1 (en) 1998-12-30 2000-07-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ody applied tridimensional disposable article having a panty fastening system with time delayed activation
JP2000080337A (ja) * 1999-07-09 2000-03-21 Nitto Denko Corp 使い捨てカイロの固定用粘着シ―ト
BR0013510A (pt) * 1999-08-23 2002-05-28 Kimberly Clark Co Artigo absorvente que apresenta melhor ajuste ao corpo
JP2001181587A (ja) * 1999-10-13 2001-07-03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及び該粘着テープを使用した使い捨ておむつ並びに使い捨ておむつ本体へのテープ取り付け構造
US6572600B1 (en) * 2000-02-15 2003-06-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rticle with deactivatable adhesive
US6846374B2 (en) * 2000-05-16 2005-01-25 Kimberly-Clark Worldwide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refastened and refastenable pant with desired waist and hip fit
JP3699331B2 (ja) * 2000-05-26 2005-09-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3781950B2 (ja) * 2000-06-19 2006-06-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4520024B2 (ja) * 2000-12-05 2010-08-04 白十字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4093783B2 (ja) * 2002-03-29 2008-06-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4359534B2 (ja) * 2003-05-27 2009-11-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64068A1 (en) 2007-03-21
WO2006004015A1 (ja) 2006-01-12
TW200603774A (en) 2006-02-01
KR100822131B1 (ko) 2008-04-15
JP4847867B2 (ja) 2011-12-28
EP1764068B1 (en) 2012-11-07
JPWO2006004015A1 (ja) 2008-04-24
EP1764068A4 (en) 2009-07-29
CN100560042C (zh) 2009-11-18
TWI272097B (en) 2007-02-01
US7758559B2 (en) 2010-07-20
US8092441B2 (en) 2012-01-10
CN1976661A (zh) 2007-06-06
US20060000007A1 (en) 2006-01-05
US20100185169A1 (en) 2010-07-22
MY139135A (en) 200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131B1 (ko) 일회용 착용물품
TWI248345B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KR100784776B1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TWI252082B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5279185B2 (ja) 吸収性物品
JP4540127B2 (ja) 吸収性物品
KR100884838B1 (ko) 일회용 기저귀
JP5425937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のための外側カバー
TW200522921A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KR20110139231A (ko) 탄성 적층체 및 보강 부직포
US20020022819A1 (en) Products, which products are absorbent or can act as supports for absorbent articles
EP3549563B1 (en) Absorbent article
JP4976067B2 (ja) 吸収性物品
MX2011013664A (es) Articulo absorbente con paneles laterales elasticos repujados.
TW200414894A (en) Shaped elastic ear
JP4354827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4986544B2 (ja) 吸収性物品
BRPI0722210A2 (pt) Artigo higiênico com painéis laterais temporariamente fixados
JP4314147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2014124285A (ja) 吸収性物品
JP5369311B2 (ja) 止着テープ、止着テープの製造方法及び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JP2020162726A (ja) 吸収性物品
JP2013169284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