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557A - 곡물 및 과실 오일 - Google Patents

곡물 및 과실 오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557A
KR20070024557A KR1020067025337A KR20067025337A KR20070024557A KR 20070024557 A KR20070024557 A KR 20070024557A KR 1020067025337 A KR1020067025337 A KR 1020067025337A KR 20067025337 A KR20067025337 A KR 20067025337A KR 20070024557 A KR20070024557 A KR 20070024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ight
concentration
vegetable
vegetabl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리사 매티
Original Assignee
카라펠리 피렌체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라펠리 피렌체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카라펠리 피렌체 에스. 피. 에이.
Priority to KR1020067025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4557A/ko
Publication of KR20070024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5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곡물 오일 및 과실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에 관계한다. 상기 오일은 옥수수 오일, 쌀 오일, 밀배아오일, 보리 오일, 귀리 오일, 호밀 오일, 수수 오일 및 기장 오일 및 호두 오일, 까막까치밥나무 오일, 아몬드 오일, 헤이즐넛 오일, 살구 오일, 복숭아 오일, 아보카도 오일, 버찌 오일, 수박 오일, 멜론 오일, 월귤나무 오일 및 오렌지 오일로부터 선택된다.

Description

곡물 및 과실 오일{CEREAL AND FRUIT OIL}
본원발명은 영양을 주기 위해 사용하는 오일에 관계한다.
폴리불포화 지방산 (비타민 F) , 특히 필수 지방산, 소위 오메가 3 (예를 들면 리놀렌산) 및 오메가 6 (예를 들면 리놀레산) 지방산은 우리의 몸체에 의해 합성되지 않으므로 식품으로 섭취되어야 한다. 특히, 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은 에이코사펜타엔산 및 도코사헥사엔산과 같은 필수 폴리불포화 지방산의 전구체이며, 우리 체내에서 중용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이들은 혈중 지질(plasma lipid) 수준을 조절하고, 세포막의 유동성을 유지시켜 탄성이 있는 동맥 벽을 제공하며, 따라서 동맥 압력을 조절하고, 그 결과 심혈관계를 보호하며, 이들은 우울증 방지 기능(anti-depressive function)을 하면서 중추신경계 세포의 활기(vitality)를 증진시키며, 이들은 면역 방어를 강화시키고 염증성 반응을 약화시킨다. 신체적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한 또다른 물질은 비타민 E인데, 이것은 항산화능(antioxidant activity)을 가지며 따라서 막의 지질 층을 손상시킬 수 있는 과산화지질(lipoperoxide)의 형성으로부터 세포막을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 E는 또한 미토콘드리아 수준의 세포 호흡에 관계하며, 따라서 세포 단백질 합성을 위한 에너지 생산에 필수적이다. 대부분의 가능한 천연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음에 도 불구하고, 상기 유익한 물질이 풍부하고 따라서 영양적으로 유효한 오일로서 제공될 수 있는 오일의 제공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더욱, 상기 오일은 무엇보다도 천연 드레싱(raw dressing)으로 사용 가능해야하며, 그 결과 상기 유익한 물질은 이들 특성의 부분적인 또는 전체적인 손실을 동반하는 어떠한 분해도 겪지 않는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오일은 상쾌한 맛을 가져야 하고, 관용적으로 올리브 오일을 사용하는 않는, 지중해 지역 이외의 나라에서 수용가능한 맛을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본원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오일이다. 본원의 오일은 전술한 물질 내에 천연적으로 풍부한 오일 혼합물로부터 유도된 곡물 및 과실 오일이다.
인간의 신체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가적인 물질은 감마 오리자놀로 알려져 있다. 감마 오리자놀은 스테롤, 페룰린산 및 테르펜 알코올을 포함하는 물질의 혼합물이다. 오로지 쌀 오일에서 발견되는 감마 오리자놀은 LH 호르몬과 상호작용하는 혈중 트리글리세리드(blood triglyceride)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그 결과 폐경기 효과를 조절하는데 도움을 주고 엔도르핀, 테스토스테론 및 성장 호르몬 수준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영양적으로 유효한 오일은 일정량의 쌀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수득 될 수 있음이 관찰되었으며, 이하에서 상세히 제시될 것이다.
곡물 및 과실 오일은 폴리불포화 지방산, 감마 오리자놀 및 비타민 E의 훌륭한 공급원이다. 특히 과실 오일의 폴리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80%를 초과할 수 있으 며, 비타민 E는 곡물배아 오일 내에서 0.2%를 초과할 수 있다.
영양적인 관점에서, 더 풍부한 제품을 얻기 위하여, 전술한 필수 물질이 첨가된 많은 수의 건강보조식품 또는 고체 및 액체 식품이 시장에 존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일은 식물성 오일만이 갖는 영양적으로 중요한 물질의 "부케(bouque)"를 함유하지 않는다. 활성 물질(예를 들면, 비타민, 오메가 3, 오메가 6, 감마 오리자놀 등)의 추가적인 첨가 없이 곡물로부터 그리고 과실로부터 직접 수득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곡물 및 과실 오일은 천연 식료품이며, 추가로 첨가될 양 만큼의 상기 활성 성분은 이미 출발 제품 자체 내에 존재한다. 상기 곡물 및 과실 오일을 혼합함으로써, 뛰어난 영양 특성을 가지며, 과실로부터 그리고 첨가되는 천연 착향료로부터 주로 유도되는 매우 우수하고 특별한 향기(flavour)가 제공된 천연 제품이 수득 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식물성 오일의 혼합으로부터 수득된 오일에 관계하며, 상기 오일은 하나 이상의 곡물 오일 및 하나 이상의 과실 오일임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오일은 여러 개의 곡물 오일의 혼합물 및 여러 개의 과실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곡물 오일은 옥수수 오일, 쌀 오일, 밀배아오일, 보리 오일, 귀리 오일, 호밀 오일, 수수 오일 및 기장 오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은 옥수수 오일, 쌀 오일 및 밀배아오일이다.
상기 과실 오일은 호두 오일, 까막까치밥나무 오일, 아몬드 오일, 헤이즐넛 오일, 살구 오일, 복숭아 오일, 아보카도 오일, 버찌 오일, 수박 오일, 멜론 오일, 월귤나무 오일 및 오렌지 오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실 오일은 헤이즐넛 오일, 까막까치밥나무 오일, 살구 오일, 버찌 오일 및 오렌지 오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실 오일은 헤이즐넛 오일 및 까막까치밥나무 오일이다.
곡물 오일 및 과실 오일 이외에, 상기 오일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착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향료는 천연 착향료, 천연동등성분 착향료, 필수 곡물 오일 및 필수 과실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물 및 과실 착향료는 보리, 귀리, 옥수수, 쌀, 호밀, 수수, 밀, 기장, 호두, 아몬드, 헤이즐넛, 까막까치밥나무, 살구, 복숭아, 아보카도, 버찌, 수박, 멜론, 월귤나무, 오렌지 및 바닐라 착향료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물 및 과실 착향료는 옥수수, 쌀, 밀, 호두, 아몬드, 헤이즐넛, 까막까치밥나무, 살구 및 복숭아 착향료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향료는 천연 곡물 착향료이다.
곡물 및 과실 오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기술, 즉 가장 일반적으로 천연 미가공 재료, 즉 곡물 및 과실의 씨앗 또는 배아의 추출 또는 압착에 의해 수득된다. 바람직하게는 산성도 및 과산화물의 수준을 교정하고 불쾌한 냄새 및 향기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모든 오일은 시장으로 보내지기 전에 정제된다. 정제 공정은 또한 각각의 오일에 각각의 오일 자체의 특징적인 향기를 제공하는 천연 물질을 부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천연 착향료의 첨가는 잔류 천연 향기의 증강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되는 향기를 갖는 최종 제품의 수득을 가능하게 한다.
본원발명의 목적을 형성하는 오일은 요구되는 향기, 색, 점도(consistency), 밀도 및 영양가를 수득하기에 적절한 양으로 하나 이상의 곡물 오일 및 하나 이상의 과실 오일을 혼합시킴으로써 수득된다. 곡물 오일은 70 중량% 내지 98 중량%, 바람직하게는 82 중량% 내지 97.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2 중량% 내지 97 중량%의 양으로 혼합된다. 과실 오일은 2 중량%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1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혼합된다.
본원발명의 제품이 전술한 것으로부터 선택되는 단일 착향료를 포함한다면, 사용되는 양은 그밖의 다른 구성성분의 중량에 대하여 0.02 중량% 내지 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 내지 0.07 중량%이다. 여러 개의 착향료가 포함된다면, 첨가되는 양은 그밖의 다른 구성성분의 중량에 대하여 0.03 중량% 내지 0.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0.15 중량%이다.
이상적으로, 본원발명의 오일은 천연 착향료를 함께 첨가한 옥수수 오일, 쌀 오일, 밀배아오일, 호두 오일 및 까막까치밥나무 오일의 혼합물이다.
상기 오일은 다음 표 1에 제시된 양으로 혼합물 내에 존재한다.
조성 범위 (중량%) 바람직한 조성 범위 (중량%)
옥수수 오일 84-92 85-88
쌀 오일 8-13 9-12
밀배아오일 0.05-2 0.07-1.5
호두 오일 1-4 2-3
까막까지밥나무 오일 0.05-0.5 0.1-0.3
바람직하게는, 본원발명은 다음 표 2에 제시된 양으로 지방산, 오메가 3 폴리불포화 지방산 및 비타민 F (폴리불포화 지방산)로 구성된 지질을 포함하고 또한 비타민 E 및 γ-오리자놀을 포함하는 제품에 관계한다.
구성성분 농도 범위 선호되는 농도 범위
지질 지방산 90-100%* 95-100%*
오메가 3 0.5-2%* 0.8-1.8%*
비타민 F 45-60%* 46-54%*
비타민 E 0.01-0.40%** 0.018-0.025%**
γ-오리자놀 0.01-0.10%** 0.02-0.04%**
* 지방산, 오메가 3 폴리불포화 지방산 및 비타민 F (폴리불포화 지방산)의 백분율은 최종 혼합물의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현된다;
**γ-오리자놀 및 비타민 E의 백분율은 지질의 전체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현된다.
일반적으로, 지방산은 다음 표 3에 제시된 양으로 포화, 모노불포화 및 폴리불포화 지방산 (비타민 F)을 포함한다.
농도 범위 (중량%) 바람직한 농도 범위 (중량%)
포화 지방산 10-20% 14-18%
모노불포화 지방산 25-36% 28-34%
폴리불포화 지방산 45-60% 46-54%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방산은 다음 표 4에 제시된 조성을 갖는다.
농도 범위 (중량%) 바람직한 농도 범위 (중량%)
C16:0 7-18% 10-15%
C16:1 0-2% 0.01-0.15%
C18:0 0.5-3.5% 1.5-3%
C18:1 25-37% 28-35%
C18:2 44-56% 47-52%
C18:3(오메가 3) 0.5-2% 0.8-1.8%
C18:4 0-0.05% 0.005-0.02%
C20:0 0-1% 0.3-0.8%
C20:1 0-0.3% 0.04-0.2%
C22:0 0.05-0.3% 0.08-0.2%
C24:0 0.05-0.4% 0.08-0.3%
여기에 표현된 모든 백분율 농도는 최종 혼합물의 중량에 대한 백분율을 의미한다.
본원발명의 목적을 형성하는 제품은 약 0.920 g/mL의 전형적인 평균 밀도를 갖는다.
상기 곡물 및 과실 오일을 혼합함으로써, 뛰어난 영양 특성이 있고, 과실 오일의 존재로부터 그리고 첨가되는 천연 착향료로부터 주로 유도되는 특별한 향기(flavour)가 제공된 천연 제품이 수득 될 수 있다.
높은 영양 함량을 갖는 천연 제품이 되는 것 이외에, 본원발명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곡물 및 과실 오일은 매우 강한 향기를 갖지 않는 추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제품은 샐러드, 야채, 그릴 미트(grilled meat) 등을 위한 드레싱으로서 가공하지 않고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또다른 식료품, 예를 들면 케이크, 프라이드 식품(fried food), 소스(sauces)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오일은 다음의 표 5에 제시된 백분율 조성을 갖는, 옥수수 오일, 쌀 오일, 밀배아오일, 호두 오일, 까막까치밥나무 오일 및 천연 착향료를 혼합함으로써 수득되다.
옥수수 오일 (중량%) 쌀 오일 (중량%) 밀배아 오일 (중량%) 호두 오일 (중량%) 까막까치밥나무 오일 (중량%)
밀도(g/㎖) 0.921 0.916 0.921 0.923 0.924
C16:0 12.1 19.4 15.5 7.5 6.5
C16:1 0.1 0.3 0.2 0.1 0.1
C18:0 2.0 2.1 0.8 2.8 1.7
C18:1 31.2 44.0 18.5 16.7 10.8
C18:2 53.0 31.5 56.6 60.2 48.4
C18:3 (오메가 3) 0.7 0.6 6.2 12.4 28.4
C18:4 0 0 0 0 3.7
C20:0 0.5 1.2 0.2 0.1 0
C20:1 0 0.5 1.7 0.2 0.4
C22:0 0.2 0 0.1 0 0.1
C24:0 0.2 0.4 0.2 0 0
포화 지방산 15.0 23.1 16.8 10.4 8.3
모노불포화 지방산 31.3 44.8 20.4 17.0 11.3
폴리불포화 지방산 53.7 32.1 62.8 72.6 80.5
전체 지방산 100 100 100 100 100
비타민 F (C18:2 및C18:3) 53.7 32.1 62.8 72.6 76.8
γ-오리자놀 0 0.4 0 0 0
비타민 E* 0.017 0.034 0.25 0 0
*비타민 E 및 γ-오리자놀의 백분율은 지질의 전체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현된다. 다른 모든 백분율은 최종 혼합물의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현된다.
전술한 오일은 다음의 표 6에 제시된 양으로 천연 곡물 착향료와 혼합된다.
조성(중량%)
옥수수 오일 86%
쌀 오일 10%
밀배아 오일 1%
호두 오일 2.8%
까막까치밥나무 오일 0.2%
전연 곡물 착향료 0.05%*
*그밖의 다른 구성성분의 중량에 대한 중량 백분율
혼합물은 교반되어 모든 구성성분의 완전한 혼합을 달성한다.
그 결과 다음의 표 7에 제시된 양으로, 백분율 조성 및 오일 100 mL 당 영양가를 갖는 제품이 수득되었다.
제품의 조성% 제품 100 ㎖당 영양가
밀도 0.920
C16:0 12.7
C16:1 0.1
C18:0 2.0
C18:1 31.9
C18:2 51.1
C18:3 (오메가 3) 1.1
C18:4 0.007
C20:0 0.6
C20:1 0.1
C22:0 0.2
C24:0 0.2
포화 지방산 15.6 14.4
모노불포화 지방산 32.1 29.6
폴리불포화 지방산 52.2 48.1
전체 지방산 100 92.1
비타민 E* 0.021 21.0mg (RDA 210%)
γ-오리자놀* 0.04 40 mg
*비타민 E 및 γ-오리자놀의 백분율은 지질의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현된다.
다른 설명이 없는 한, 여기에 제시된 중량 백분율은 최종 혼합된 제품의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현된다.
본원발명은 곡물 오일 및 과실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에 관계한다. 상기 오일은 옥수수 오일, 쌀 오일, 밀배아오일, 보리 오일, 귀리 오일, 호밀 오일, 수수 오일 및 기장 오일 및 호두 오일, 까막까치밥나무 오일, 아몬드 오일, 헤이즐넛 오일, 살구 오일, 복숭아 오일, 아보카도 오일, 버찌 오일, 수박 오일, 멜론 오일, 월귤나무 오일 및 오렌지 오일로부터 선택된다.

Claims (24)

  1. 하나 이상의 과실 오일(fruit oil)과 혼합된 하나 이상의 곡물 오일(cereal oil)인 식물성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오일 및 과실 오일은 옥수수 오일(corn oil), 쌀 오일(rice oil), 밀배아오일(wheat germ oil), 보리 오일(barley oil), 귀리 오일(oat oil), 호밀 오일(rye oil), 수수 오일(sorgum oil) 및 기장 오일(millet oil) 및 호두 오일(walnut oil), 까막까치밥나무 오일(blackcurrant oil), 아몬드 오일(almond oil), 헤이즐넛 오일(hazelnut oil), 살구 오일(apricot oil), 복숭아 오일(peach oil), 아보카도 오일(avocado oil), 버찌 오일(cherry oil), 수박 오일(water melon oil), 멜론 오일(melon oil), 월귤나무 오일(blueberry oil) 및 및 오렌지 오일(orange oil)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오일 및 과실 오일은 옥수수 오일, 쌀 오일, 밀배아오일 및 호두 오일 및 까막까치밥나무 오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착향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착향료는 천연 착향료, 천연동등성분 착향료(nature-identical flavouring), 필수 곡물 오일(essential cereal oil) 및 필수 과실 오일(essential fruit oil) 및 이들의 혼합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및 과실 착향료는 다음의 착향료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보리, 귀리, 옥수수, 쌀, 호밀, 수수, 밀, 기장, 호두, 아몬드, 헤이즐넛, 까막까치밥나무, 살구, 복숭아, 아보카도, 버찌, 수박, 멜론, 월귤나무, 오렌지 및 바닐라 착향료.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및 과실 착향료는 다음의 착향료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옥수수, 쌀, 밀, 호두, 아몬드, 헤이즐넛, 까막까치밥나무, 살구 및 복숭아 착향료.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곡물 오일은 최종 혼합물의 70 중량% 내지 98 중량%의 양으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곡물 오일은 82 중량% 내지 97.5 중량%, 바람직하게는 92 중량% 내지 97 중량%의 양으로 혼합됨 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과실 오일은 2 중량%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과실 오일은 약 2.5 중량% 내지 18 중량%,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12. 제 4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 착향료가 사용되는 경우 제품에 첨가되는 착향료의 양은 그밖의 다른 구성성분의 중량에 대하여 0.02 중량% 내지 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 내지 0.07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13. 제 4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착향료가 사용되는 경우 제품에 첨가되는 착향료의 양은 그밖의 다른 구성성분의 중량에 대하여 0.03 중량% 내지 0.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0.15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14. 제 2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옥수수 오일은 84 중량% 내지 92 중량%, 바람직하게는 85 중량% 내지 88 중량%의 양으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15. 제 2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쌀 오일은 8 중량% 내지 13 중량%, 바람직하게는 9 중량% 내지 12 중량%의 양으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16. 제 2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배아오일은 0.05 중량%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7 중량%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17. 제 2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두 오일은 1 중량% 내지 4 중량%,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까막까치밥나무 오일은 0.05 중량% 내지 0.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0.3 중량%의 양으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90 중량% 내지 100 중량%, 바 람직하게는 95 중량% 내지 100 중량% 농도의 지방산을 포함하는 지질; 45 중량%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46 중량% 내지 54 중량% 농도의 비타민 F; 0.5 중량%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8 중량% 내지 1.8 중량% 농도의 오메가 3을 포함하고; 또한 전체 지질 중량의 0.01 중량% 내지 0.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 내지 0.04 중량% 농도의 γ-오리자놀; 지질 중량의 0.01 중량% 내지 0.4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8 중량% 내지 0.025 중량%의 비타민 E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10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4 중량% 내지 18 중량% 농도의 포화 지방산; 25 중량% 내지 36 중량%, 바람직하게는 28 중량% 내지 34 중량% 농도의 모노불포화지방산; 45 중량%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46 중량% 내지 54 중량% 농도의 폴리불포화지방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21.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7 중량% 내지 18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15 중량% 농도의 C16:0; 0 중량%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0.15 중량% 농도의 C16:1; 0.5 중량% 내지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3 중량% 농도의 C18:0; 25 중량% 내지 37 중량%, 바람직하게는 28 중량% 내지 35 중량% 농도의 C18:1; 44 중량% 내지 56 중량%, 바람직하게는 47 중량% 내지 52 중량% 농도의 C18:2; 0.5 중량% 내지 2 중량%, 바람직하 게는 0.8 중량% 내지 1.8 중량% 농도의 C18:3 (오메가 3); 0 중량% 내지 0.0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내지 0.02 중량% 농도의 C18:4; 0 중량%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3 중량% 내지 0.8 중량% 농도의 C20:0; 0 중량% 내지 0.3 중량%, 바람직하게는 0.04 중량% 내지 0.2 중량% 농도의 C20:1; 0.05 중량% 내지 0.3 중량%, 바람직하게는 0.08 중량% 내지 0.2 중량% 농도의 C22:0; 0.05 중량% 내지 0.4 중량%, 바람직하게는 0.08 중량% 내지 0.3 중량% 농도의 C2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22. 86 중량% 옥수수 오일, 10 중량% 쌀 오일, 1 중량% 밀배아오일, 2.8 중량% 호두 오일, 및 0.2 중량% 까막까치밥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23. 15.6 중량% 포화 지방산, 32.1 중량% 모노불포화지방산, 52.2 중량% 폴리불포화지방산 (비타민 F) (여기서 1.1 중량%는 오메가 3) 을 포함하는 지질을 포함하며, 또한 지질 전체 중량의 0.021 중량%의 비타민 E 및 지질 전체 중량의 0.04 중량%의 γ-오리자놀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 모노불포화 및 폴리불포화 지방산은 12.7 중량% C16:0; 0.1 중량% C16:1; 2.0 중량% C18:0; 31.9 중량% C18:1; 51.1 중량% C18:2; 1.1 중량% C18:3 (오메가 3); 0.007 중량% C18:4; 0.6 중량% C20:0; 0.1 중량% C20:1; 0.2 중량% C22:0 및 0.2 중량% C24: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KR1020067025337A 2006-12-01 2004-06-14 곡물 및 과실 오일 KR20070024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5337A KR20070024557A (ko) 2006-12-01 2004-06-14 곡물 및 과실 오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5337A KR20070024557A (ko) 2006-12-01 2004-06-14 곡물 및 과실 오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557A true KR20070024557A (ko) 2007-03-02

Family

ID=38099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337A KR20070024557A (ko) 2006-12-01 2004-06-14 곡물 및 과실 오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45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383B1 (ko) * 2010-06-18 2013-02-05 대상 주식회사 지방산의 균형이 우수한 식물성 유지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383B1 (ko) * 2010-06-18 2013-02-05 대상 주식회사 지방산의 균형이 우수한 식물성 유지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1073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as the active ingredient components from Salvia sclarea seed
TW200539817A (en) Cereal and fruit oil
JP4866914B2 (ja) 心血管系疾患の予防においてプラス効果を有する機能性食品
EP0771531B1 (en) Stable edible oil composition
US20070141220A1 (en) Composition enriched in diglyceride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
CA2660781C (en) Cold formed cereal bar fortified with omega-3 fatty acids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US20070243304A1 (en) Omega-3 Fatty Acid Compositions With Honey
MX2008013129A (es) Productos alimenticios que comprenden acidos grasos poliinsaturados de cadena largay metodos para preparar los mismos.
EP2073648B1 (en) Food products fortified with omega-3 fatty acid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EP1863570B1 (en) A synergistically heat stable oil media having eicosa 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 hexaenoic acid (dha)
US5997935A (en) Crisp fried in grapeseed oil
KR20070024557A (ko) 곡물 및 과실 오일
KR101947889B1 (ko)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쌀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쌀눈
JPH08116878A (ja) α−リノレン酸含有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WO2001052660A1 (en) Composition of oils
KR100982012B1 (ko) 커피믹스 및 그 제조방법
Paden A 2 3 D 9/00 (200601) The presept 1nVe1nt1'on reliaiqes' to alverfletable o1l c1ompr11sf1ng
KR20160041827A (ko) 혼합 견과유 조성물
RU2035158C1 (ru) Козина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