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327A -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및 인터넷을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및 인터넷을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327A
KR20070024327A KR1020060018474A KR20060018474A KR20070024327A KR 20070024327 A KR20070024327 A KR 20070024327A KR 1020060018474 A KR1020060018474 A KR 1020060018474A KR 20060018474 A KR20060018474 A KR 20060018474A KR 20070024327 A KR20070024327 A KR 20070024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mergency call
internet
emergency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한
Original Assignee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05007850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60050668A/ko
Application filed by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2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46Clamp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 to the wall opening; Fastening frames by tightening or drawing them against a surface parallel to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58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filling up the joints, e.g. by ceme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69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 E06B1/6076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of screw-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착신 기능을 갖춘 유무선 인터넷 망에 접속되는 비상 착신 단말기 및 상기 비상 착신 단말기의 비상 착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터넷 모듈과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티브이모듈을 포함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TV(IPTV)인 비상착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송출되는 신호를 상기 인터넷 모듈을 통해 수신받아 수신된 신호가 비상착신신호인지를 판단하고, 비상착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터넷 TV가 비상착신모드로 전환되도록 하여 전원을 온시키고,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재해, 재난 등과 같이 지역적 또는 국가적으로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지역의 사용자들의 인터넷 TV, 인터넷 폰 등을 이용하여 비상상황 경보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상상황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비상착신, 재난, 재해, 쌍방향, 위치추적

Description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및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Emergency receipt service device based on internet and service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맥어드레스(MAC Address)를 이용한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IPTV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인터넷 모듈
101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03 : 제 1 저장부
105 : 제 1 제어부 107 : 입출력부
109 : 음성 D/A 변환부 111 : NTSC 엔코더
113 : 그래픽 처리부
200 : 티브이 모듈
201 : 튜너/IF부 203 : A/V 스위칭부
205 : 영상처리부 207 : 표시부
209 : 제 2 저장부 211 : 제 2 제어부
213 : 음성처리부 215 : 스피커
300 : 인터넷폰 301 : 저장부
305 : 제어부 400 : 통신단말기
500 : 컴퓨터 장치
본 발명은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재해, 재난 등과 같이 지역적 또는 국가적으로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지역의 사용자들의 유선전화번호를 별도의 DB로 구축한 후 DB에 등록된 사용자의 유선전화기로 비상착신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화가 대중화되면서 다양한 환경에서 전화를 사용하게 된다. 특히, 이동통신의 발달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가정에서는 무선 전화기가 대중화되면서 전화는 이제 집안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가능하게 되었다.
휴대용 전화기는 다양한 장소(예를 들면 공공도서관, 회의 장소, 공연장, 교회, 극장, 법원, 교육장소 등과 같은 정숙이 요구되는 장소)와 조건하에서 사용되는데, 불시에 들리는 벨음량으로 인해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게 되므로, 벨 소리를 보통 진동모드로 전환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보통 휴대 전화기를 사용자는 사용자들은 단말기를 휴대할 때 자신이 착용하고 있는 옷의 주머니나 특히 여성 사용자의 경우 작은 가방, 또는 핸드백에 넣어 휴대하고 다니므로, 단말기의 상태가 진동(Etiquette)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때때로 전화가 걸려오는 것을 감지하지 못하여 중요한 전화를 놓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특허공보 제10-2003-27191호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자동 긴급수신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착신호 발생시에, 착신음의 출력 모드를 검사하고, 검사결과에 따라, 착신음의 출력 모드가 진동 모드이면 발신 번호(동일 번호)를 확인하여 착신시도 횟수와 소정시간 내에 정해진 착신시도 횟수를 비교한 후 상기 소정시간 내에 정해진 착신시도 횟수 이상이면, 상기 진동모드를 벨 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벨 소리로 착신음을 출력하고, 상기 소정시간 내에 정해진 착신시도 횟수 보다 적으면, 상기 진동모드로 착신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 경우 자동응답을 해지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긴급전화를 수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같은 번호가 3번 반복해야 진동이 해제되어 벨소리모드로 전환되나, 긴급 상황에서는 정작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범지역적으로 또는 국가적으로 재해, 재난이 발생한 경우 특히, 대부분 취침을 하는 새벽의 경우 해당 지역주민 또는 국민들에게 싸이렌 등과 같은 방식이외에는 달리 알릴 방법이 없기 때문에 그 피해가 적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폐단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재해, 재난 등과 같이 지역적 또는 국가적으로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인터넷 TV를 이용하여 비상착신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및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폰을 이용하여 비상착신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및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비상착신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및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유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터넷 모듈과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티브이모듈을 포함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TV(IPTV)인 비상착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송출되는 신호를 상기 인터넷 모듈을 통해 수신받아 수신된 신호가 비상착신신호인지를 판단하고, 비상착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터넷 TV가 비상착신모드로 전환되도록 하여 전원을 온시키고,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 오디오 신호의 출력볼륨레벨을 미리 설정된 출력볼륨레벨만큼 업(UP)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현재의 채널을 비상상황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채널로 변경시켜, 해당 방송신호가 표시부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응답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응답요청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무응답신호와 함께 인터넷 TV의 고유번호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폰(VOIP 폰) 기능을 포함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폰을 구동시키기 위한 펌웨어가 저장되어 있는 한편, 비상착신 신호에 대응하는 비상착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사용자가 숫자 등과 같은 키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부; 사용자에 의도에 따라 전체시스템이 인터넷폰 모드로 작동되도록 하는 한편, 컴퓨터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비상착신 신호에 응하여 상기 인터넷폰 모드를 비상착신모드로 절환시킨 후 비상착신모드로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발광부가 점멸되도록 하는 한편, 부저를 작동시켜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부저음의 출력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폰이 연결되어 있는 상기 컴퓨터장치로 비상착신모드 전환 완료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컴퓨터 장치로 하여금 화면상에 비상착신 관 련 사이트가 표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 있어서,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맥어드레스 및 통화를 위한 신호를 수신받는 인터넷 연결부; 자신에 할당된 맥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맥어드레스 저장부; 상기 인터넷 연결부를 통해 입력된 맥어드레스가 상기 맥어드레스 저장부에 저장된 맥어드레스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맥어드레스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인터넷 연결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맥어드레스 제어부; 상기 맥어드레스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응하여 전체 모드가 통화모드로 작동되도록 하거나, 비상착신 모드로 전체 시스템이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리하여 음성신호와 톤신호를 출력하는 프로토콜 처리부;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에 적당한 신호로 처리하는 음성처리부;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입력되는 톤신호를 처리하는 톤처리부; 상기 음성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이 압축된 경우 복원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정 내용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통화모드 및 비상착신모드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맥어드레스와 함께 수신된 정보가 비상착신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비상착신 신호인 경우 스피커를 통해 비상착신 벨소리가 출력되도록 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응답요구 안내 메시지를 출력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응답요구 안내 메시지에 응하여 응답신호를 입력하면, 비상착신 신호를 송출한 서버로 맥어드레스와 응답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모듈과 티이브모듈을 포함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1) 유선 PSTN/LAN/CABLE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비상착신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2) 비상착신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3) 비상착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티브이 모듈이 작동되도록 하는 전원 온(ON)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4) 전원이 온되면 현재 모드를 비상착신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5) 안테나를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한 후 표시부로 영상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볼륨레벨을 미리 설정된 출력볼륨레벨만큼 업(UP)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티브이 모듈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현재의 채널을 비상상황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채널로 변경시켜,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비상상황 방송신호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표시부의 화면상에 응답요구 메시지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응답신호가 입력된 경우 비상상황과 관련된 웹사이트가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1) 제어부는, 컴퓨터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체크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비상착신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2) 제어부는, 비상착신 신호인 경우 구동부를 제어하여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하는 한편, 부저를 작동시켜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컴퓨터장치로 비상착신모드 전환 완료신호를 송출하여, 컴퓨터 장치로 하여금 화면상에 비상착신 관련 사이트가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맥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모드를 수행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1) 인터넷을 통해 소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신호가 맥어드레스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하여, 맥어드레스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2) 맥어드레스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맥어드레스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맥어드레스가 일치하는지를 체크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3) 맥어드레스와 함께 비상상황 경보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4) 비상상황 경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비상상황 경보신호에 따라 현재 모드를 비상착신모드로 전환시킨 후 스피커로 비상알림 벨소리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응답요구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응답요구 메시지에 응하여 응답신호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응답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비상착신 서비스 신호를 송출한 서버로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응답요구 메시지에 응하여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자신의 맥어드레스에 매칭시켜 무응답신호를 상기 비상착신 신호를 송출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 실시예1 )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특징은 인터넷 TV를 이용하여 비상착신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인터넷 TV는 통상적으로 IPTV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에 해당되는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단말기인 인터넷 TV에 대해 설명하기 이전에 인터넷 TV를 이용한 비상착신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인터넷 TV를 이용한 비상착신 서비스 시스템은 인터넷 TV의 고유번호를 DB로 구축하고 있으며,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DB의 인터넷 TV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비상착신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비상착신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망과, 인터넷 TV로 구성된다.
상기 인터넷 TV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영상 및 음성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인터넷 모듈(100)과 일반 티브이 방송 프로그램 및 상기 인터넷 모듈(100)의 인터넷 정보를 화면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티브이 모듈(200)로 구분된다.
먼저, 인터넷 모듈(100)은 PSTN/LAN/CABLE 등의 유선 네트워크 망 또는 무선 네트워크망과 인터넷 모듈(100)을 접속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1)와, 기본 프로그램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저장부(103)와, 상기 네트워트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한 정보 송/수신 및 영상/음성 변환을 제어하는 제 1 제어부(105)와, 상기 티브이 모듈(200)과 인터넷 모듈(100)의 제어정보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부(107)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입력된 인터넷 정보 중 음성정보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티브이 모듈(200)로 전송하기 위한 음성 D/A 변환부(109)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입력된 인터넷 정보 중 영상정보를 그래픽 처리하기 위한 그래픽 처리부(113)와, 그래픽 처리부(113)의 출력을 NTSC 엔코딩하여 티브이 모듈(200)로 출력하기 위한 NTSC 엔코더(111)로 구성된다.
그리고 티브이 모듈(20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영상/음성신호를 선국 및 중간주파 처리하기 위한 튜너/IF부(201)와,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207) 및 스피커(215)와, 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튜너/IF부(201)를 통해 선국된 영상/음성신호와 인터넷 모듈(100)을 통해 전송된 영상/음성신호중 하나를 선택 출력하는 A/V 스위칭부(2203)와, 기본 프로그램 및 채널에 따른 선국 주파수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제 2 저장부(209)와, 리모컨을 통해 입력된 티브이/인터넷모드 절환명령 및 각종 동작명령에 따라 A/V 스위칭부(203)를 포함한 티브이 모듈(200) 각부를 제어하는 제 2 제어부(244)와, 상기 A/V 스위칭부(203)의 출력을 상기 표시부(207) 및 스피커(215)를 통해 출력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영상처리부(205) 및 음성처리부(2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211)는 인터넷 모듈(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1) 및 입출력부(107)를 통해 비상착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비상착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인터넷 TV가 비상착신모드로 전환되도록 하여 전원을 온시키고,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제어부(211)는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 오디오 신호의 출력볼륨레벨을 미리 설정된 출력볼륨레벨만큼 업(UP)시키는 한편, 상기 제 2 제어부(211)는 현재의 채널을 비상상황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채널로 변경시켜, 해당 방송신호가 표시부(207) 및 스피커(215)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2 제어부(211)는 사용자가 응답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응답요 청 메시지를 출력한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제 2 제어부(211)는 입출력부(107)를 통해 제 1 제어부(105)로 무응답 신호를 출력하고, 제 1 제어부(105)는 무응답신호와 함께 인터넷 TV의 고유번호를 비상착신 서비스서버로 송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해당되는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인터넷 TV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터넷 TV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는 인터넷 TV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하고 싶을 경우 리모컨의 티브이/인터넷 모드 절환키를 눌러 인터넷 티브이의 동작상태를 인터넷 모드로 절환시킨다.
즉, 티브이 모듈(200)의 제 2 제어부(211)는 사용자의 인터넷 모드 절환명령을 인식하여 A/V 스위칭부(203)를 인터넷 모듈(100)측으로 절환시키고 인터넷 모듈(100)의 입/출력부(107)를 통해 인터넷 모드 절환명령을 전송한다.
이어서 인터넷 모듈(100)의 제 1 제어부(105)는 상기 인터넷 모드 절환명령을 인식하여 제 1 저장부(103)로부터 기설정된 해당 제품의 포털 사이트(Portal site) 주소정보를 읽어들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해당 포털 사이트로 접속한 다음 해당 화면구성을 위한 영상정보를 읽어들이고 티브이 모듈(100)을 통해 출력 가능하도록 영상 처리한다.
그리고 인터넷 모듈(100)에서 영상처리된 정보는 티브이 모듈(200)의 A/V 스위칭부(203)를 통해 영상처리부(205) 및 음성처리부(213)를 거쳐 표시부(207) 및 스피커(215)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인터넷 TV를 이용하여 비상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경우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TN/LAN/CABLE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망 또는 무선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TV의 인터넷 모듈(100)의 제 1 제어부(105)는 PSTN/LAN/CABLE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망 또는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비상착신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한다(단계:S101).
체크 결과 비상착신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단계:S103), 판단 결과 비상착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 1 제어부(105)는 입출력부(107)를 통해 제 2 제어부(211)로 전원 온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 2 제어부(211)는 티브이 모듈(200)로 전원이 공급되어 온되도록 한 후 현재 모드를 비상착신 모드로 전환시킨 후(단계:S105), 튜너/IF부(20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한 후 A/V 스위칭부(203)를 통해 영상처리부(205) 및 음성처리부(213)로 출력되도록 하여 표시부(207)를 통해 영상신호가 출력되고 스피커(215)를 통해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제 2 제어부(211)는 인터넷 TV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볼륨레벨을 미리 설정된 출력볼륨레벨만큼 업(UP)시켜 사용자들이 신속하게 비상상황을 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출력볼륨레벨을 단계적으로 업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 2 제어부(211)는 상기와 같이 출력볼륨레벨 뿐만 아니라 현재의 채널을 비상상황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채널로 변경시켜,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비상 상황 방송신호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비상상황에 대한 대비책을 신속하게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S107).
한편, 제 1 제어부(105)는 제 2 제어부(211)로 하여금 화면상에 응답요구 메시지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 제어한다(단계:S109). 그리고, 제 2 제어부(211)는 사용자가 상기 응답요구 메시지에 응하여 응답신호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S113). 판단 결과 사용자가 응답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제 2 제어부(211)는 제 1 제어부(105)로 응답신호를 송신하고(단계:S111), 제 1 제어부(105)는 A/V 스위칭부(203)를 통해 비상상황과 관련된 웹사이트가 표시부(207)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S113 단계의 판단 결과 응답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단계:S117) 제2 제어부(211)는 무응답신호를 입출력부(107)를 통해 제 1 제어부(105)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 1 제어부(105)는 무응답신호와 인터넷 TV 고유정보를 함께 비상착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상착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비상착신 서비스 서버의 관리자가 알 수 있도록 하여 차후 대책이 마련되도록 한다.
(실시예2)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의 특징은 컴퓨터 장치와 연결된 인터넷 폰을 이용하여 비상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가 적용된 인터넷폰(300)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폰을 구동시키기 위한 펌웨어가 저장되어 있는 한편, 비상착신 신 호에 대응하는 비상착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301)와, 사용자가 숫자 등과 같은 키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부(303)와, 사용자에 의도에 따라 전체시스템이 인터넷폰 모드로 작동되도록 하는 한편, 컴퓨터 장치(500)로부터 입력되는 비상착신 신호에 응하여 상기 인터넷폰 모드를 비상착신모드로 전환시킨 후 비상착신모드로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부(305)와, 상기 제어부(305)의 제어에 응하여 발광부(309)가 점멸되도록 하는 한편, 부저(311)를 작동시켜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구동부(307)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05)는 부저음의 출력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305)는 상기 인터넷폰이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장치(500)로 비상착신모드 전환 완료신호를 송출하여, 컴퓨터 장치(500)로 하여금 화면상에 비상착신 관련 사이트가 표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해당되는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인터넷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폰에 구비된 제어부(305)는 컴퓨터 장치(500)와 연결된 통신케이블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체크한다(단계:S201). 체크 결과 입력되는 신호가 비상착신 신호인지를 판단한다(단계:S203). 판단 결과 비상착신 신호인 경우 제어부(305)는 구동부(307)를 제어하여 발광부(309)가 점등되도록 하는 한편, 부저(311)를 작동시켜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한다(단계:S205). 이때, 컴퓨터 장치(5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비상 착신 정보인지의 여 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저장부(301)에 비상착신 정보를 미리 저장시켜 놓은 후 컴퓨터 장치(500)로부터 소정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저장부(301)에 저장되어 있는 비상착신 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비상착신 신호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305)는 부저음의 출력간격을 조절한다. 즉, 시간이 지날수록 부저음의 출력간격이 짧아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305)는 상기 인터넷폰이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장치(500)로 비상착신모드 전환 완료신호를 송출하여, 컴퓨터 장치(500)로 하여금 화면상에 비상착신 관련 사이트가 표출되도록 한다.
상기 비상착신신호는 기설정된 CID일 수 있다. CID 란 발신자 표시 또는 발신자 번호 표시라는 뜻으로 사용되며, Caller ID 또는 Caller Identification의 약어로 사용된다. 즉, CID란 상기 통신단말기(100)로 전화를 건 자의 신원의 표시로, 발신자의 번호를 기본으로 하고, 발신자의 신원을 증명할 수 있거나, 신원에 대응될 수 있는 발신자의 신원 정보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상기 제어부(305)는 상기 수신되는 발신자의 ID, 즉 CID가 비상착신신호 또는 비상착신번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수신된 CID 값이 비상착신번호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저장부(301) 상기 CID 값이 비상착신번호로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9119라는 번호는 재난 등의 비상상황에서만 발신되는 번호인 경우, 상기 9119라는 CID는 상기 비상착신번호의 한 예가 된다. 상기와 같은 등록된 비상착신번호는 기상과 관련된 비상착신번호는 9110, 테러와 관련된 비상착신번호는 9112 등과 같이 비상상 황의 종류에 따라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등록된 비상착신번호로 CID값이 인지될 때, 상기 제어부(305)의 소프트웨어는 비상상황 경보정보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 실시예3 )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의 특징은 무선 인터넷폰을 이용하여 비상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즉, 무선 인터넷폰에 연결된 비상착신 서비스 서버는 무선 인터넷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무선 인터넷폰으로만 비상착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다시 무선 인터넷폰으로부터 재 전송되는 맥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비상착신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가 적용된 무선 인터넷폰을 포함한 인터넷통신 가능한 통신단말기(400)은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맥어드레스 및 통화를 위한 신호를 수신받는 인터넷 연결부(401)와, 상기 인터넷 연결부(401)를 통해 입력된 맥어드레스가 맥어드레스 저장부(405)에 저장된 맥어드레스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맥어드레스가 일치하는 경우 인터넷 연결부(40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맥어드레스 제어부(403)와, 자신에 할당된 맥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맥어드레스 저장부(405)와, 상기 맥어드레스 제어부(40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응하여 전체 모드가 통화모드로 작동되도록 하거나, 비상착신 모드로 전체 시스템이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부(407)와, 상기 제어부(407)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제어부(407)를 통해 입력되는 신 호를 분리하여 음성신호와 톤신호를 출력하는프로토콜 처리부(409)와,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409)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에 적당한 신호로 처리하는 음성처리부(411)와,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409)에서 입력되는 톤신호를 처리하는 톤처리부(413)와, 상기 음성처리부(41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이 압축된 경우 복원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부(415)와, 제어부(407)의 제어에 따라 소정 내용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423)와, 통화모드 및 비상착신모드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421)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맥어드레스와 함께 수신된 정보가 비상착신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비상착신 신호인 경우 스피커(417)를 통해 비상착신 벨소리가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407)는 표시부(423)를 통해 응답요구 안내 메시지를 출력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응답요구 안내 메시지에 응하여 응답신호를 입력하면, 인터넷 연결부(401)를 통해 비상착신 신호를 송출한 서버로 맥어드레스와 응답신호를 송출하여, 사용자가 비상착신 서비스를 제공받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해당되는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인터넷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맥어드레스 제어부(403)는 인터넷 연결부(401)를 통해 소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신호가 맥어드레스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한다(단계:S301). 체크 결과 맥어드레스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S303). 판단 결과 맥어드레스가 수신되는 경우 맥어드레스 제어부(403)는 수신된 맥어드레스와 맥어드레스 저장부(405)에 저장된 맥어드레스가 일치하는지를 체크한다(단계:S305). 체크 결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S307). 판단 결과 일치하는 경우 맥어드레스 제어부(403)는 맥어드레스와 함께 비상상황 경보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S309). 판단 결과 비상상황 경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제어부(407)로 전송하고, 제어부(407)는 비상상황 경보신호에 따라 현재 모드를 비상착신모드로 전환시킨 후 스피커(417)로 비상알림 벨소리가 출력되도록 한다(단계:S311).
한편, 제어부(407)는 표시부(423)에 응답요구 메시지를 출력(단계:S315)시킨 후, 사용자가 상기 응답요구 메시지에 응하여 응답신호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S316). 판단 결과 사용자가 응답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407)는 비상착신 서비스 신호를 송출한 서버로 응답신호를 송신한다(단계:S317).
만약 상기 S316 단계의 판단 결과 응답요구 메시지에 응하여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407)는 자신의 맥어드레스에 매칭시켜 무응답신호를 상기 비상착신 신호를 송출한 서버로 전송(단계:S319)하여 비상착신 서비스 서버의 관리자가 알 수 있도록 하여 차후 대책이 마련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 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은 재해, 재난 등과 같이 지역적 또는 국가적으로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지역의 사용자들의 인터넷 TV, 인터넷 폰 등을 이용하여 비상상황 경보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상상황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TV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방송 오디오 신호의 출력볼륨레벨을 미리 설정된 레벨만큼 업(UP)시켜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여 그 다음 행동이 즉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착신 신호를 수신한 인터넷 TV를 구동시킬 뿐만 아니라 비상상황에 대한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채널을 선국하여 화면상에 비상상황 보도방송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식하는 한편 어떤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대피방안을 강구해 내거나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TV 또는 인터넷폰으로 제공되는 비상착신 경보신호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그 기능이 오프되도록 하여 비상착신 경보신호가 소음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유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터넷 모듈과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티브이모듈을 포함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TV(IPTV)인 비상착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송출되는 신호를 상기 인터넷 모듈을 통해 수신받아 수신된 신호가 비상착신신호인지를 판단하고, 비상착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터넷 TV가 비상착신모드로 전환되도록 하여 전원을 온시키고,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2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 오디오 신호의 출력볼륨레벨을 미리 설정된 출력볼륨레벨만큼 업(UP)시키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1)는,
    현재의 채널을 비상상황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채널로 변경시켜, 해당 방송신호가 표시부(207) 및 스피커(215)를 통해 출력되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1)는,
    사용자가 응답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응답요청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무응답신호와 함께 인터넷 TV의 고유번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6.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폰(VOIP 폰) 기능을 포함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폰을 구동시키기 위한 펌웨어가 저장되어 있는 한편, 비상착신 신호에 대응하는 비상착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301);
    사용자가 숫자 등과 같은 키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부(303);
    사용자에 의도에 따라 전체시스템이 인터넷폰 모드로 작동되도록 하는 한편, 컴퓨터 장치(500)로부터 입력되는 비상착신 신호에 응하여 상기 인터넷폰 모드를 비상착신모드로 절환시킨 후 비상착신모드로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부(305); 및
    상기 제어부(305)의 제어에 응하여 발광부(309)가 점멸되도록 하는 한편, 부저(311)를 작동시켜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구동부(30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5)는,
    부저음의 출력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5)는,
    상기 인터넷폰이 연결되어 있는 상기 컴퓨터장치(500)로 비상착신모드 전환 완료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컴퓨터 장치(500)로 하여금 화면상에 비상착신 관련 사이트가 표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9.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 있어서,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맥어드레스 및 통화를 위한 신호를 수신받는 인터넷 연결부(401);
    자신에 할당된 맥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맥어드레스 저장부(405);
    상기 인터넷 연결부(401)를 통해 입력된 맥어드레스가 상기 맥어드레스 저장부(405)에 저장된 맥어드레스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맥어드레스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인터넷 연결부(40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맥어드레스 제어부(403);
    상기 맥어드레스 제어부(40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응하여 전체 모드가 통화모드로 작동되도록 하거나, 비상착신 모드로 전체 시스템이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부(407);
    상기 제어부(407)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제어부(407)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리하여 음성신호와 톤신호를 출력하는 프로토콜 처리부(409);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409)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에 적당한 신호로 처리하는 음성처리부(411);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409)에서 입력되는 톤신호를 처리하는 톤처리부(413);
    상기 음성처리부(41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이 압축된 경우 복원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부(415);
    상기 제어부(407)의 제어에 따라 소정 내용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423); 및
    통화모드 및 비상착신모드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421);
    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맥어드레스와 함께 수신된 정보가 비상착신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비상착신 신호인 경우 스피커(417)를 통해 비상착신 벨소리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7)는,
    응답요구 안내 메시지를 출력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응답요구 안내 메시지에 응하여 응답신호를 입력하면, 비상착신 신호를 송출한 서버로 맥어드레스와 응답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12. 인터넷모듈과 티이브모듈을 포함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1) 유선 PSTN/LAN/CABLE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비상착신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2) 비상착신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3) 비상착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티브이 모듈이 작동되도록 하는 전원 온(ON)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4) 전원이 온되면 현재 모드를 비상착신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5) 안테나를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한 후 표시부로 영상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볼륨레벨을 미리 설정된 출력볼륨레벨만큼 업(UP)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티브이 모듈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현재의 채널을 비상상황 방송신호를 수신 하는 채널로 변경시켜,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비상상황 방송신호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표시부의 화면상에 응답요구 메시지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응답신호가 입력된 경우 비상상황과 관련된 웹사이트가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
  17. 컴퓨터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1) 제어부는, 컴퓨터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체크하여, 입력되는 신호 가 비상착신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2) 제어부는, 비상착신 신호인 경우 구동부를 제어하여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하는 한편, 부저를 작동시켜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컴퓨터장치로 비상착신모드 전환 완료신호를 송출하여, 컴퓨터 장치로 하여금 화면상에 비상착신 관련 사이트가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
  19. 맥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모드를 수행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1) 인터넷을 통해 소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신호가 맥어드레스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하여, 맥어드레스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2) 맥어드레스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맥어드레스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맥어드레스가 일치하는지를 체크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3) 맥어드레스와 함께 비상상황 경보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4) 비상상황 경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비상상황 경보신호에 따라 현재 모드를 비상착신모드로 전환시킨 후 스피커로 비상알림 벨소리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응답요구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응답요구 메시지에 응하여 응답신호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응답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비상착신 서비스 신호를 송출한 서버로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
  21. 제 22 항에 있어서,
    응답요구 메시지에 응하여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자신의 맥어드레스에 매칭시켜 무응답신호를 상기 비상착신 신호를 송출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 방법.
KR1020060018474A 2005-08-25 2006-02-24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및 인터넷을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방법 KR200700243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78502A KR20060050668A (ko) 2004-08-25 2005-08-25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무선 및 유선 통신 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20050078500 2005-08-25
KR1020050078502 2005-08-25
KR20050078500A KR20060050666A (ko) 2004-08-25 2005-08-25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무선 및 유선 통신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268A Division KR20070113177A (ko) 2005-08-25 2007-11-07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및 인터넷을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327A true KR20070024327A (ko) 2007-03-02

Family

ID=38099038

Famil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123A KR100751562B1 (ko) 2005-08-25 2006-02-24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에서의비상착신 서비스 방법
KR1020060018354A KR20070024321A (ko) 2005-08-25 2006-02-24 이동 통신사의 비상착신 서비스 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20060018472A KR20070024326A (ko) 2005-08-25 2006-02-24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발신자번호 표시단말기, 통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서비스 방법 및 발신자번호 표시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서비스방법
KR1020060018121A KR100723932B1 (ko) 2005-08-25 2006-02-24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그서비스 방법
KR1020060018122A KR20070024318A (ko) 2005-08-25 2006-02-24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그서비스 방법
KR1020060018355A KR20070024322A (ko) 2005-08-25 2006-02-24 이통 통신사의 비상착신 서비스 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20060018475A KR20070024328A (ko) 2005-08-25 2006-02-24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및 인터넷을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방법
KR1020060018474A KR20070024327A (ko) 2005-08-25 2006-02-24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및 인터넷을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방법
KR1020060018454A KR20070024323A (ko) 2005-08-25 2006-02-24 비상착신 서비스 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20060018124A KR20070024320A (ko) 2005-08-25 2006-02-24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에서의비상착신 서비스 방법
KR1020060018455A KR20070024324A (ko) 2005-08-25 2006-02-24 비상착신 서비스 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20060018471A KR20070024325A (ko) 2005-08-25 2006-02-24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발신자번호 표시단말기, 통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서비스 방법 및 발신자번호 표시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서비스방법
KR1020070113268A KR20070113177A (ko) 2005-08-25 2007-11-07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및 인터넷을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123A KR100751562B1 (ko) 2005-08-25 2006-02-24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에서의비상착신 서비스 방법
KR1020060018354A KR20070024321A (ko) 2005-08-25 2006-02-24 이동 통신사의 비상착신 서비스 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20060018472A KR20070024326A (ko) 2005-08-25 2006-02-24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발신자번호 표시단말기, 통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서비스 방법 및 발신자번호 표시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서비스방법
KR1020060018121A KR100723932B1 (ko) 2005-08-25 2006-02-24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그서비스 방법
KR1020060018122A KR20070024318A (ko) 2005-08-25 2006-02-24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그서비스 방법
KR1020060018355A KR20070024322A (ko) 2005-08-25 2006-02-24 이통 통신사의 비상착신 서비스 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20060018475A KR20070024328A (ko) 2005-08-25 2006-02-24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및 인터넷을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454A KR20070024323A (ko) 2005-08-25 2006-02-24 비상착신 서비스 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20060018124A KR20070024320A (ko) 2005-08-25 2006-02-24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에서의비상착신 서비스 방법
KR1020060018455A KR20070024324A (ko) 2005-08-25 2006-02-24 비상착신 서비스 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20060018471A KR20070024325A (ko) 2005-08-25 2006-02-24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발신자번호 표시단말기, 통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서비스 방법 및 발신자번호 표시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서비스방법
KR1020070113268A KR20070113177A (ko) 2005-08-25 2007-11-07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및 인터넷을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3) KR1007515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02B1 (ko) * 2007-09-27 2010-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길 잃음 방지 장치 및 방법
US8300560B2 (en) 2007-12-28 2012-10-30 Motorola Mobility Llc Using auxiliary information to direct users of wireless devices to safety in response to emergency alert system alerts
US8422987B2 (en) * 2007-12-28 2013-04-16 Motorola Solutions, Inc. Prompting and directing users to safety during emergency situations
KR101248157B1 (ko) * 2011-05-02 2013-03-26 민병설 다국적 언어로 지원되는 음성 재난 경보 시스템
KR101237414B1 (ko) * 2012-05-30 2013-02-27 강원식 영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비상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604750B1 (ko) * 2013-10-29 2016-03-18 주식회사 쏠리드 비상 상황 중계 시스템 및 그 중계 방법
KR101692186B1 (ko) * 2016-03-24 2017-01-03 서문수 비상호출 기능을 구비하는 화상통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6797A (ja) * 1995-12-28 1997-07-15 Seidensha:Kk 音声通報応答装置
KR19990008885A (ko) * 1997-07-04 1999-02-05 김상태 안내방송 기능을 갖는 화재 경보 장치
JP3644325B2 (ja) 1999-10-14 2005-04-27 株式会社デンソー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通信装置
KR100395692B1 (ko) 2000-08-02 2003-08-25 (주) 코콤 홈 매니저를 이용한 비상 호출 시스템
KR100462560B1 (ko) * 2001-03-31 2004-12-20 (주)시티콤 전화망을 이용한 안내방송의 동보 전송방법 및 시스템
KR20060023759A (ko) * 2004-09-10 2006-03-15 이콤 (주) 재해재난 음성통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328A (ko) 2007-03-02
KR20070024326A (ko) 2007-03-02
KR20070024322A (ko) 2007-03-02
KR20070024325A (ko) 2007-03-02
KR20070024321A (ko) 2007-03-02
KR20070024317A (ko) 2007-03-02
KR20070024323A (ko) 2007-03-02
KR100723932B1 (ko) 2007-05-31
KR20070113177A (ko) 2007-11-28
KR100751562B1 (ko) 2007-08-27
KR20070024319A (ko) 2007-03-02
KR20070024320A (ko) 2007-03-02
KR20070024318A (ko) 2007-03-02
KR20070024324A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39684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operation mode of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unit
KR20070113177A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 및 인터넷을기반으로 하는 비상착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 서비스방법
TW408536B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having a handset with non-telephone functionality
JPH08125720A (ja) 受信機
KR100575926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수신알림 제어 방법
KR101128200B1 (ko) 수신자 상태 자동 응답 기능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수신자 상태 자동 응답 방법
JP2002077324A (ja) 他の電子機器を制御可能な電子機器
US819513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udio processing method thereof
GB2340338A (en) A telephone arranged to generate a waiting message
JPH08307488A (ja) 着信音自動調整機能付携帯電話機
JPH11243446A (ja) 通信装置
KR100362526B1 (ko) 간접음성 응답기능을 갖는 통신기기용 단말기
JP2852248B2 (ja) 防災通報システム
KR20010099186A (ko) 회의모드 선택에 따른 자동 응답 장치 및 방법
JP2000092219A (ja) 応答制御装置
JP2001309427A (ja) 携帯移動通信機の作動モードを自動的に切換える装置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JP2000032118A (ja) 通話装置
JPH1168894A (ja) インターホン
JP2002252710A (ja) 集合住宅通話システム
KR20040065374A (ko) 인터폰을 이용한 부재중 메시지 알림 방법 및 장치
JPH1023539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20050023750A (ko) 티브이 시청 중 전화벨 무음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1197164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における着信呼出方法
KR20050078686A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중 호 착신 알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