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3759A - 재해재난 음성통보방법 - Google Patents

재해재난 음성통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3759A
KR20060023759A KR1020040072601A KR20040072601A KR20060023759A KR 20060023759 A KR20060023759 A KR 20060023759A KR 1020040072601 A KR1020040072601 A KR 1020040072601A KR 20040072601 A KR20040072601 A KR 20040072601A KR 20060023759 A KR20060023759 A KR 20060023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voice
telephone
voice notification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동일
Original Assignee
이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콤 (주) filed Critical 이콤 (주)
Priority to KR1020040072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3759A/ko
Publication of KR20060023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116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for emergency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해재난 음성통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 국가적 또는 지엽적으로 안내방송의 필요가 있을 경우, 원격지에서 유무선전화기, PC등을 이용하여 음성통보 시스템에 접속한 후 TTS, 전화녹음, 마이크녹음 등의 방법으로 재해재난 음성통보 내용을 녹음하면, 상기 음성통보 시스템에서 전화통신망을 통하여 안내방송이 필요한 지역의 음성방송시스템으로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음성방송시스템에 연결된 확성기로 음성방송을 하도록 하는 재해재난 음성통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방송이 필요한 지역의 주민들에게 시기적절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방송통보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자연 재해로 인한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며, 해당 전화기가 통화중인 경우에도 비상전화를 이용하여 방송이 누락되는 곳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재해, 재난, 119, 상황실, 동네방송

Description

재해재난 음성통보방법{DISASTER INFORMATION METHO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음성통보시스템 20. 전화통신망 22. 유무선 전화
30. 인터넷망 32. PC 40. 전화교환국
50. 음성방송 시스템 52. 확성기 54. 전화
60. 비상전화
100. 접속단계 110. 대상지역지정단계
120. 녹음단계 130. 호출단계
200. 코드검출단계 210. 음성출력단계
300, 330. 미통보전화번호 저장단계 310, 320. 비상연결단계
본 발명은 재해재난 음성통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 국가적 또는 지엽적으로 안내방송의 필요가 있을 경우, 원격지에서 유무선전화기, PC등을 이용하여 음성통보 시스템에 접속한 후 TTS, 전화녹음, 마이크녹음 등의 방법으로 재해재난 음성통보 내용을 녹음하면, 상기 음성통보 시스템에서 전화통신망을 통하여 안내방송이 필요한 지역의 음성방송시스템으로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음성방송시스템에 연결된 확성기로 음성방송을 하도록 하는 재해재난 음성통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허 제1999-79006호(특허출원 제1999-36513호, 발명의 명칭: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에는, 전화기와 접속되어 원격지의 전화로부터 걸려온 링잉신호를 검출하여 전화 통화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원격지의 전화로부터 전달된 음성을 출력하는 텔레폰 페이징 시스템; 상기 텔레폰 페이징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로부터 증폭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텔레폰 페이징 시스템 및 상기 증폭기에 전원을 공급 하는 전원 분산시스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이고, 상기 텔레폰 페이징 시스템은 상기 원격지의 전화로부터 걸려오는 링잉신호를 검출하는 링잉신호 검출부; 상기 링잉신호에 의해 전화통화상태를 유지하는 통화유지부; 상기 통화유지부로부터 통화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원격지의 전화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처리하기 전에 차임신호를 발생하는 차임신호 발생부; 담당자 이외의 사 람이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담당자에게 비밀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링잉신호를 검출한 후 통화상태를 유지하기 전에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이를 비교 검출하는 비밀번호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안내 방송 시스템은, 방송 책임자가 안내 방송을 할 수 없는 지역에 있거나 그 밖에 일을 보고 있을 때에도 안내 방송을 보다 편안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은 있지만, 상기 전화기로부터 링잉신호가 발생하면 일반전화인지 방송통보인지를 사용자로서는 즉시 구분할 수 없었으며, 상기 전화기가 통화중인 경우에는 안내방송통보를 할 수 없어, 주민들이 즉각 조치를 취할 수 없어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입을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 국가적 또는 지엽적으로 안내방송의 필요가 있을 경우, 원격지에서 유무선전화기, PC등을 이용하여 음성통보 시스템에 접속한 후 TTS, 전화녹음, 마이크녹음 등의 방법으로 재해재난 음성통보 내용을 녹음하면, 상기 음성통보 시스템에서 전화통신망을 통하여 안내방송이 필요한 지역의 음성방송시스템으로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음성방송시스템에 연결된 확성기로 음성방송을 하도록 하므로써, 방송이 필요한 지역의 주민들에게 시기적절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방송통보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자연 재해로 인한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최소 화하도록 하며, 해당 전화기가 통화중인 경우에도 비상전화를 이용하여 방송이 누락되는 곳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재해재난 음성통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재해재난 음성통보 방법은, 원격지의 재해재난 음성통보 책임자가 PC 또는 유무선 전화를 이용하여 음성통보 시스템에 접속하는 접속단계와; 재해재난 음성통보를 할 지역 또는 전화번호를 지정하는 대상지역지정단계와; 상기 음성통보 시스템에서 TTS, 전화녹음, 마이크녹음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재해재난에 사용할 음성을 녹음하는 녹음단계와; 상기 음성통보 시스템은, 전화통신망을 통하여 대상지역의 해당 전화번호를 호출하는 호출단계와; 해당 전화번호의 음성방송시스템은, 호출자의 CID, IP, ID, 비밀번호 등 인식가능 코드를 검출하는 코드검출단계와; 재해재난 음성통보인 경우 상기 음성방송시스템에 연결된 확성기를 활성화시켜 전송되는 재해재난 음성을 출력시키고, 재해재난 음성통보가 아닌 경우 상기 음성방송시스템에 연결된 전화로 호를 연결하는 음성출력단계;를 갖는다.
상기 호출단계에서 해당 전화번호가 통화중이거나, 음성방송시스템이 응답하지 않으면, 해당 전화번호와 연계된 비상전화를 호출하여 재해재난 음성통보를 하는 비상연결단계;를 추가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출단계 또는 비상연결단계에서 연결되지 않은 전화번호 또는 비상전화번호를 음성통보시스템에 저장하는 미통보전화번호 저장단계;를 추가로 갖는 것 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출단계에서 음성통보시스템이 전화통신망을 통하여 해당전화번호를 호출할 때는 복합주파수부호(DTMF)를 이용하여 CID, IP, ID, 비밀번호 등 인식가능 코드와 음성통보가 동시에 전송될 수도 있다.
여기서, "TTS"는 Text To Speech(음성합성)으로서, PC에서 타이핑된 문자를 음성으로 합성하여 녹음하는 것이며, 이하 명세서에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CID"는 Caller ID(발신자 전화번호)로서 본 발명에서는 음성통보시스템에 지정된 전화번호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재해재난 통보를 구성하는 시스템은, 음성통보시스템(10), 전화통신망(20), 유무선 전화(22), 인터넷망(30), PC(32), 전화교환국(40), 음성방송 시스템(50), 확성기(52), 전화(54), 비상전화(60)로 구성된다.
원격지에 있는 재해재난 음성통보 관계자는 유무선 전화(22) 또는 PC(32)으로 전화통신망(20) 또는 인터넷망(30)을 경유하여 음성통보시스템(10)에 접속하여 음성방송할 소정의 지역을 지정한다. 음성통보시스템(10)은 상기 유무선 전화(22) 또는 PC(32)에 TTS, 전화녹음, 마이크녹음 등의 방법으로 방송내용을 녹음하도록 하고, 방송내용은 음성통보시스템(10)에 저장된다.
상기 음성통보시스템(10)은 전화통신망(20) 또는 인터넷망(30)에 연결되어 있으며, 재해재난 음성통보 관계자의 전화번호, IP, ID, 비밀번호등이 저장된 음성통보 관계자DB(미도시), 통보대상의 명칭, 담당자이름, 통보대상 전화번호, 담당자 비상전화번호 등이 저장된 통보대상DB(미도시), 음성메모리부(미도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해재난 음성통보 관계자가 음성통보시스템(10)에 업로드를 완료하면, 음성통보시스템(10)은 즉시 또는 예약된 시간에 상기 전화통신망(20)과 전화교환국(40)을 경유하여 통보대상 전화번호를 호출한다. 통보대상 전화번호가 호출되면, 음성방송시스템(50)은 호출자의 CID, IP, ID, 비밀번호 등 인식가능 코드를 검출하여, 해당 호출이 음성통보시스템(10)에서 온 음성통보인지 일반전화인지를 인식한다.
해당 호출이 음성통보시스템(10)에서 온 음성통보인 경우에는 확성기(52)를 작동시키고, 음성통보시스템(10)의 음성메모리부(미도시)로부터 해당 음성을 전송받아 확성기(52)로 출력시킨다. 이 경우 음성통보시스템(10)에서는 음성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인코딩하고, 음성방송시스템(50)에서는 이를 디코딩한다.
해당 호출이 음성통보시스템(10)에서 온 음성통보가 아닌 경우에는 전화(54)로 호를 연결한다.
전화(54)가 통화중이거나 고장 등으로 음성방송 시스템(50)이 음성통보 시스템(10)의 통보에 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정회수의 링잉신호 또는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음성통보시스템(10)의 통보대상DB에 저장된 해당 지역의 비상전화(60)를 호출한다. 비상전화(60)가 응답을 하면, 비상전화(60)를 호출한 취지와 함께 음성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송출한다.
비상전화(60)로 재해재난 음성통보를 들은 관계자는 음성방송 시스템(50)을 수동으로 전환하고 방송을 하거나, 대체 방송수단을 수배하여 방송한다.
상기 비상전화(60)도 호출에 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지역 전화번호 및/또는 비상전화번호를 음성통보 시스템(10)의 미수신지역DB(미도시)에 저장하고, 지속적으로 호출한다.
상기 비상전화(60)는 다수개 기록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재해재난 통보 방법은, 접속단계(100), 대상지역지정단계(110), 녹음단계(120), 호출단계(130), 코드검출단계(200) 음성출력단계(210), 미통보전화번호 저장단계(300, 330), 비상연결단계(310, 320)로 구성된다.
접속단계(100)은 원격지에 있는 재해재난 음성통보 관계자가 다양한 형태로 도1의 음성통보시스템(10)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접속방법은 일반전화, 핸드폰, PDA,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 핸드폰이나 PDA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대상지역지정단계(110)는 접속단계(100)에서 접속한 재해재난 음성통보 관계자가 음성통보할 지역을 지정하는 단계이다. 음성통보를 전국적으로 해야 하는 경 우(민방위운동, 적기공습, 전쟁발발 등)에는 전체를 지정하면 되고, 태풍, 폭우, 폭설 등과 같이 지엽적으로 음성방송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지역을 선정한다.
녹음단계(120)는, 대상지역의 지정이 완료되고 음성방송할 내용을 녹음한다. 녹음은 TTS, 전화녹음, 마이크녹음 등의 방법으로 방송내용을 녹음한다. 방송내용은 도1의 음성통보 시스템(10)에 저장된다. 필요에 따라서 과거의 방송내용은 따로 백업하여 저장할 수 있다.
대상지역지정단계(110) 또는 녹음단계(120) 다음에 재해재난 음성통보 송출시기를 지정할 수 있다. 즉시 송출하는 것이 디폴트로 지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출단계(130)는 대상지역의 전화번호를 차례로 호출하는 단계이다. 음성통보시스템(10)의 용량이나 회선 등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는 다수를 한꺼번에 호출할 수도 있다.
코드검출단계(200)에서는, 호출단계(130)에서 호출된 해당전화번호의 음성방송시스템(도1의 도면부호 50)에서 CID, IP, ID, 비밀번호등을 검출하여 음성통보인지 통상의 전화인지를 파악한다. 이 경우에 음성방송시스템(도1의 도면부호 50)에서는 음성통보 관계자의 CID, IP, ID,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이 저장되어 있다.
음성출력단계(210)에서는 해당 호출이 음성통보인 것이 확인되면, 확성기를 작동시켜 음성통보를 출력한다. 해당 호출이 음성통보가 아닌 경우에는 전화로 호를 연결(220)한다.
미통보전화번호 저장단계(300)에서는 호출단계(130)에서 해당 전화번호가 응답하지 않은 전화번호를 음성통보시스템(도1의 도면부호 10)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 단계는 비상전화호출(310)이나 별도의 수작업으로 다른 전화번호를 호출하는 등 자동적인 음성통보의 오류를 보완하기 위한 작업을 의미한다. 해당전화번호가 통화중이거나 고장인 경우에는 미통보전화번호로 기록된다.
비상연결단계 중 비상전화호출과정(310)에서는 음성통보시스템(도1의 도면부호 10)에 미통보전화번호로 저장된 지역의 비상전화번호를 호출한다. 비상전화호출과정에서 비상전화가 응답하면, 해당 재해재난 음성을 통보한다(음성통보과정:320). 이 경우 비상전화로 연결을 한 취지도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상전화도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비상전화를 미통보전화번호로 저장한다(미통보전화번호 저장단계:330).
음성방송시스템(도1의 50)과 비상전화(도1의 60)가 모두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대체 통신수단을 찾는다. 비상전화는 음성방송시스템(도1의 50)에 다수개를 입력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상전화가 다수인 경우에는 차례로 비상전화를 호출한다.
비상전화로 재해재난 음성통보를 들은 관계자는 음성방송 시스템(도1의 50)을 수동으로 전환하고 방송을 하거나, 대체 방송수단을 수배하여 방송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이 필요한 지역의 주민들에게 시기적절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방송통보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자연 재해로 인한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며, 해당 전화기가 통화중인 경우에도 비상전화를 이용하여 방송이 누락되는 곳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화통신망을 이용한 재해재난 음성통보 방법에 있어서,
    원격지의 재해재난 음성통보 책임자가 PC 또는 유무선 전화를 이용하여 음성통보 시스템에 접속하는 접속단계와;
    재해재난 음성통보를 할 지역 또는 전화번호를 지정하는 대상지역지정단계와;
    상기 음성통보 시스템에서 TTS, 전화녹음, 마이크녹음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재해재난에 사용할 음성을 녹음하는 녹음단계와;
    상기 음성통보 시스템은, 전화통신망을 통하여 대상지역의 해당 전화번호를 호출하는 호출단계와;
    해당 전화번호의 음성방송시스템은, 호출자의 CID, IP, ID, 비밀번호 등 인식가능 코드를 검출하는 코드검출단계와;
    재해재난 음성통보인 경우 상기 음성방송시스템에 연결된 확성기를 활성화시켜 전송되는 재해재난 음성을 출력시키고, 재해재난 음성통보가 아닌 경우 상기 음성방송시스템에 연결된 전화로 호를 연결하는 음성출력단계;를 갖는 재해재난 음성통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단계에서 해당 전화번호가 통화중이거나, 음성방송시스템이 응답하지 않으면, 해당 전화번호와 연계된 비상전화를 호출하여 재해재난 음성통보를 하는 비상연결단계;를 추가로 갖는 재해재난 음성통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단계 또는 비상연결단계에서 연결되지 않은 전화번호 또는 비상전화번호를 음성통보시스템에 저장하는 미통보전화번호 저장단계;를 추가로 갖는 재해재난 음성통보 방법.
KR1020040072601A 2004-09-10 2004-09-10 재해재난 음성통보방법 KR20060023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601A KR20060023759A (ko) 2004-09-10 2004-09-10 재해재난 음성통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601A KR20060023759A (ko) 2004-09-10 2004-09-10 재해재난 음성통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759A true KR20060023759A (ko) 2006-03-15

Family

ID=37129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601A KR20060023759A (ko) 2004-09-10 2004-09-10 재해재난 음성통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375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62B1 (ko) * 2005-08-25 2007-08-27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에서의비상착신 서비스 방법
KR100769341B1 (ko) * 2007-02-15 2007-10-24 (주)화진티엔아이 대용량 재해재난 메시지의 동시 다중전송이 가능한비상재해재난 경보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157908B1 (ko) * 2010-07-20 2012-06-22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기능이 추가된 방송용 동보장치
KR101339677B1 (ko) * 2011-12-09 2013-12-11 (주)섬엔지니어링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KR102141990B1 (ko) 2019-12-03 2020-08-06 (주)일신이디아이 지하철-철도 방송설비의 비상방송 단락 차단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137A (ko) * 1993-10-27 1995-05-17 정장호 사설 교환기의 재난 경보 자동 통보 회로
KR950022662A (ko) * 1993-12-24 1995-07-28 박병엽 전화기의 긴급메시지 송출방법
KR19990079006A (ko) * 1999-08-31 1999-11-05 박수남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
KR20000032595A (ko) * 1998-11-16 2000-06-15 김원규 자동수신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67817A (ko) * 2001-03-31 2001-07-13 배기환 전화망을 이용한 안내방송의 동보 전송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137A (ko) * 1993-10-27 1995-05-17 정장호 사설 교환기의 재난 경보 자동 통보 회로
KR950022662A (ko) * 1993-12-24 1995-07-28 박병엽 전화기의 긴급메시지 송출방법
KR20000032595A (ko) * 1998-11-16 2000-06-15 김원규 자동수신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79006A (ko) * 1999-08-31 1999-11-05 박수남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
KR20010067817A (ko) * 2001-03-31 2001-07-13 배기환 전화망을 이용한 안내방송의 동보 전송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62B1 (ko) * 2005-08-25 2007-08-27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에서의비상착신 서비스 방법
KR100769341B1 (ko) * 2007-02-15 2007-10-24 (주)화진티엔아이 대용량 재해재난 메시지의 동시 다중전송이 가능한비상재해재난 경보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157908B1 (ko) * 2010-07-20 2012-06-22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기능이 추가된 방송용 동보장치
KR101339677B1 (ko) * 2011-12-09 2013-12-11 (주)섬엔지니어링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KR102141990B1 (ko) 2019-12-03 2020-08-06 (주)일신이디아이 지하철-철도 방송설비의 비상방송 단락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2748A (en) Disaster alert by telephone system
US68395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US20100054427A1 (en) Telephone Network Messaging
JP2003152827A (ja) 移動電子機器が着呼に応答して環境配慮警報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方法。
KR100682215B1 (ko) 휴대용 전화장치
US8019056B2 (en) Interactive pre-programmed voice response system
KR100723932B1 (ko)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그서비스 방법
US6275577B1 (en) Call handling
KR20060023759A (ko) 재해재난 음성통보방법
US20030078081A1 (en) Call announcement system and method
KR100462560B1 (ko) 전화망을 이용한 안내방송의 동보 전송방법 및 시스템
JP2005005884A (ja) 防災情報通報方法および防災情報通報システム
KR0124475B1 (ko) 디지탈 셀룰라폰의 수신메세지 처리방법 및 그 장치
US20020090063A1 (en) Voiced mail with special alert feature
KR100694307B1 (ko) 전화를 이용한 재난 경보용 앰프 방송시스템
JP2994339B1 (ja) Phs端末を用いた警備方法
KR20130068670A (ko)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KR101318208B1 (ko)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장치
KR100711810B1 (ko) 이벤트 통지 시스템 및 방법
JPS63211949A (ja) 電話装置
JP702524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100652636B1 (ko) 휴대 단말기의 부재중메시지 전달 방법
JP4392710B2 (ja) ハンズフリーホンシステム
KR100255819B1 (ko) 무선호출시스템에있어서배경음악을수반하는메시지녹음방법
CN116320180A (zh) 一种消防信息的传递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