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677B1 -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 Google Patents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677B1
KR101339677B1 KR1020110131476A KR20110131476A KR101339677B1 KR 101339677 B1 KR101339677 B1 KR 101339677B1 KR 1020110131476 A KR1020110131476 A KR 1020110131476A KR 20110131476 A KR20110131476 A KR 20110131476A KR 101339677 B1 KR101339677 B1 KR 101339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broadcasting
information
broadcast
tex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880A (ko
Inventor
현규남
장희동
김영구
Original Assignee
(주)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131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6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64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사용자가 CDMA 망을 통해 재난방송장치로 전화접속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전화접속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권한범위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방송권한범위에 따라 방송을 허용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하여 음성으로 재해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재해 정보를 방송으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은 재난, 재해 등이 발생하거나 , 예측이 되는 지역에 경보를 제공하여 인명 피해와 재산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Description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Method of alert for disasters and accidents}
본 발명의 재난재해경보 자동음성통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에서 재난재해경보 데이터를 송출하여 해당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자동변환하여 출력 및 통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난재해는 해일, 홍수, 폭설, 지진 등 다양한 형태로 전국 어느곳에서든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재빨리 알리지 않으면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일으킨다.
그러나, 종래의 재난재해 관리 시스템은 단순히 특정 지역을 재난재해 관리 지역을 관리자가 일일이 모니터링하다가 특정 지역에서 재난재해의 발생을 인식한 후에야 비로소 대처하게 되어 재난재해에 대한 피해가 확대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재난재해가 발생하지 않지 않더라도 해당 지역의 재난재해 가능성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습득하기 어려워 재난재해가 빈번한 지역의 경우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사람이나 거주자에게 불안감 등을 조성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CDMA모듈을 이용하여 전화, 문자메시지 또는 패킷으로 전달되는 재난재해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T-DMB의 EWS로 전달되는 재난재해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직접 재난재해 정보를 제공하고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은 사용자가 CDMA 망을 통해 재난방송장치로 전화접속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전화접속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권한범위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방송권한범위에 따라 방송을 허용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하여 음성으로 재해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재해 정보를 방송으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전화접속 신호의 CID(call Identification)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은 사용자가 CDMA 망을 통해 재난방송장치로 재해 정보를 문자메시지 형태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문자메시지가 재난방송정보인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문자메시지에서 재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재해 정보를 TTS(text to speech)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재해 정보를 방송으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해 정보를 TTS 처리하는 단계; 는, Xroshot(크로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은 사용자가 CDMA 망을 통해 재난방송장치로 재해 정보를 패킷 형태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패킷이 재난방송정보인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패킷에서 재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재해 정보에 따라 저장된 다수의 재난 방송 음성 중에서 하나의 재난 방송 음성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재난 방송 음성을 방송으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난 방송 음성은 MP3(MPEG Audio Layer-3)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은 T-DMB(Terrestrial-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망을 통해 EWS(Emergency Warning System) 정보가 송출되는 단계; 재난방송장치에서 상기 EW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EWS 정보에서 재해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재해 정보를 TTS(text to speech)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재해 정보를 방송으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해 정보를 TTS 처리하는 단계; 는, 상기 재해 정보는 문자 정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자 정보와 음성데이터베이스의 음성 정보를 음절 또는 어절 단위로 매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은 사용자가 재난방송장치의 스위치 인터럽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 인터럽트에 따라 방송 우선순위를 로컬제어로 변경하는 단계; 재난방송장치에 저장된 다수의 재난 방송 음성 중에서 하나의 재난 방송 음성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재난 방송 음성을 방송으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은 사용자가 재난방송장치에 마이크 인터럽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 인터럽트에 따라 방송 우선순위를 로컬제어로 변경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하여 음성으로 재해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재해 정보를 방송으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해 정보를 방송으로 송출하는 단계; 는, 미리 정하여진 음성 포맷과 음량으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난, 재해 등이 발생하거나 , 예측이 되는 지역에 경보를 제공하여 인명 피해와 재산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다양한 유무선 통신방식을 적용하므로 일부의 통신방식이 불가한 경우에도 신속하고 신뢰성이 있는 경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의 경로를 도시한 도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MA 방식을 통한 재난방송 방법의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MA 방식을 통한 재난방송 방법의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MA 방식을 통한 재난방송 방법의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MB 방식을 통한 재난방송 방법의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제어방식을 통한 재난방송 방법의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제어방식을 통한 재난방송 방법의 흐름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방식을 통한 재난방송장치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9는 재해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의 구성도.
도10은 TTS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 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의 경로를 도시한 도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의 경로는 재해상황실(10), 재난방송장치(20) 및 재난경보장치(30)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재해상황실(10)은 일반적으로 지진, 홍수, 하천범람, 태풍, 폭설, 산불 등의 정보, 기상청의 태풍, 해일, 쓰나미, 풍랑주의보, 대설주의보등의 정보, 교통정보 센터의 도로 소통, 결빙, 폭설, 도로유실, 하천범람 정보, 소방본부의 산불, 화재 사고 등에 관련된 정보를 재해가 일어나는 현장에 직접 수집하거나 또는 온 오프라인으로 전달받는 형태로 수집하기 위하여 각 지역별로 설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기관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재해상황실이나 이와 유사한 기관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재해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기관 또는 사용자의 형태도 적용할 수 있다.
재난방송장치(20)는 실제로 재난재해가 일어나는 지역주민에게 해당 재난재해 정보를 신속하게 전파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재난방송장치(20)를 재해상황실(10)에서 유선 또는 무선의 다양한 통신방식으로 전달되는 재난재해정보를 각 통신방식에 맞게 수신하여 지역주민에게 전파할 수 있다.
재난경보장치(30)는 재난방송장치(20)와 연동되는 장치로써, 재난방송장치(20)로 전달되는 재난재해정보가 방송을 위한 음성형태로 변화되어 재난경보장치(30)로 전달되면 재난경보장치(30)에 포함되는 스피커 또는 앰프를 통해 지역주민에게 알려지게 된다.
재난경보장치(30)는 재난방송장치(20)의 하부 구성으로 속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하, 재해상황실(10)에서 전파하는 재난재해정보를 재난방송장치(20)를 통해 지역주민에게 방송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MA 방식을 통한 재난방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S110 단계는 재해상황실(10)에서 CDMA 망을 통해 재난방송장치(20)로 전화연결을 실행하는 단계이다.
재난방송장치(20)에는 CDMA 망을 통하여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CDMA 모듈이 포함되고, 재해상황실(10)에서 해당 CDMA 모듈에 할당된 접속번호로 전화접속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S120 단계는 전화접속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이다.
재난방송장치(20)에서는 CDMA 망을 통하여 전화접속을 통해 재난방송장치(20)를 제어하려는 사용자의 정보를 파악한다.
바람직하게는 전화접속 신호의 CID를 사용자 정보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ID는 전화접속을 위한 발신자의 발신번호가 될 수 있다.
재난방송장치(20) 전화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에 맞는 방송의 권한이 있는지 파악하고 방송의 권한이 인증되면 방송을 허가한다.
방송의 권한이 인증되지 않는 경우에는 방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허가되지 않음을 알린 후에 통화를 차단할 수 있다.
S130 단계는 음성으로 재해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이다.
전화접속을 시도하는 재해상황실(10)의 사용자는 CDMA 망을 통해 음성으로 현재 일어나고 있는 재해상황에 대한 정보를 재난방송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S140 단계는 재난방송장치(20)로 전달된 재해 정보를 적절한 음성 정보형태인 재난 경보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재난경보장치(30)는 지역주민에게 방송을 송출하기 위하여 지역주민이 거주하는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재난방송장치(20)는 설치된 재난경보장치(30)의 용도에 맞게 음성 포맷 및 음량을 변환하여 재난경보장치(30)로 전달할 수 있다.
S150 단계는 재난방송장치(20)에서 재난경보장치(30)로 S140 단계에서 변환된 재난 경보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이다.
S160 단계는 재난경보장치(30)에서 S150 단계에서 전달된 재난 경보 정보를 방송 송출하는 단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MA 방식을 통한 재난방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S210 단계는 재해상황실(10)에서 CDMA 망을 통해 재난방송장치로 재해 정보를 문자메시지 형태로 전달하는 단계이다.
재난방송장치(20)에서는 CDMA 망을 통하여 전달된 문자메시지가 재난방송정보인지를 파악하고 재난방송정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문자메시지에서 재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재난방송정보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문자메시지를 발신한 발신번호를 분석하거나, 문자메시지에서 재난방송정보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특정한 키워드를 부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문자메시지를 SMS 형태로 할 수 있다.
S220 단계는 S210 단계에서 추출된 재해 정보를 TTS(text to speech)처리하는 단계이다.
TTS 처리는 도9 및 도10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9는 재해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의 구성도이다.
문자메시지는 헤더, 바디 및 체크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더는 발신자의 발신번호 또는 미리 부여된 고유한 식별번호, EWS의 고유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바디는 방송의 매체가 되는 문자로 이루어진 재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체크섬은 재난방송의 정상적인 데이터 수신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문자메시지의 데이터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10은 도9를 통해 설명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고 문자메시지에서 재해 정보를 추출하여 TTS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재난 방송장치(20)는 외부로부터 문자메시지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2500), 수신한 문자메시지 정보를 TTS 처리하는 TTS 제어부(2100), 문자로 이루어진 재난 정보를 음성 데이터 형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해당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베이스(2400)를 포함할 수 있다.
재난방송장치(20)는 파싱된 재해 정보를 음성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별도의 임베디드 TT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임베디드 TTS 모듈은 TTS 처리를 위하여 문자 형태의 데이터에 매칭하는 음성 형태의 데이터를 음소 또는 음절 단위로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임베디드 TTS 모듈은 파싱된 재해 정보를 미리 저장된 음성 형태의 데이터에 대응시켜 음소 또는 음절 단위로 변환할 수 있다.
S910 단계는 데이터통신부(2500)로 전달된 문자메시지를 TTS 제어부(2100)로 전달하는 단계이다.
S920 단계는 TTS 제어부(2100)에서 문제 메시지의 구조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문자 메시지는 도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헤더, 바디, 체크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헤더를 통해 전달된 문자메시지가 재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인지와 어떤 주체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체크섬을 통해 전달된 문자메시지의 정보가 올바르게 도착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S930 단계는 S920 단계에서 분석된 문자메시지에서 바디부분을 파싱하는 단계이다.
도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디는 재해 정보를 문자의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
S940 단계는 S930 단계에서 파싱된 바디부분의 문자와 음성데이터베이스(2400)에 저장된 음성을 음절 또는 어절 단위로 매칭하는 단계이다.
S940 단계를 통해 문자와 음성의 대응과정이 완료가 되면, 대응하는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재난 경보장치(30)로 전달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는 TTS처리를 위하여 Xroshot(크로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동할 수 있다.
Xroshot 서비스는 웹페이지 http://www.xroshot.com/ 를 통하여 TTS 처리의 상세한 방법을 알 수 있다.
S230 단계 내지 S250 단계는 도2의 S140 단계 내지 S160 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MA 방식을 통한 재난방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S310 단계는 재해상황실(10)에서 CDMA 망을 통해 재난방송장치(20)로 재해 정보를 패킷 형태로 전달하는 단계이다.
S320 단계는 S310 단계에서 전달된 패킷이 재난방송정보인지를 파악하고 패킷에 포함된 재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재해정보는 재난방송장치(20)의 조작을 제어하는 명령 프로토콜을 분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재난방송장치(20)는 패킷이 재난방송정보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패킷을 발신한 발신번호를 분석할 수 있다.
S320 단계는 분석된 패킷의 명령 프로토콜에 따라 저장된 다수의 재난 방송 음성 중에서 하나의 재난 방송 음성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재난방송장치(20)에 다양한 종류의 재해에 맞는 각각의 재난 방송 음성을 MP3(MPEG Audio Layer-3)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명령 프로토콜은 다양한 제어명령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로 재난방송장치(20)에서 비가청 주파수대역의 파장을 사용하여 재난경보장치(30)의 출력을 점검하는 제어명령, CID의 가입자의 목록을 등록하거나 삭제하는 제어명령, 재난방송장치(20)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제어명령 등이 있다.
S330 단계 내지 S350 단계는 도2의 S140 단계 내지 S160 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MB 방식을 통한 재난방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S410 단계는 T-DMB(Terrestrial-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망을 통해 EWS(Emergency Warning System) 정보가 송출되는 단계이다.
재해상황실(10)은 T-DMB 망을 통하여 EWS 정보를 송출하기 위하여, 별도의 T-DMB 방송장비를 구비하여 송출하거나 T-DMB 망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기관을 통할 수 있다.
EWS 정보는 재난종류, 재난지역, 재난시간, 재난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S420 단계는 재난방송장치(20)에서 EWS 정보를 수신하고 EWS 정보에서 재해 정보를 파싱(parsing)하는 단계이다.
재난방송장치(20)는 T-DMB 망을 통하여 전달되는 EWS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T-DMB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재난방송장치(20)는 EWS 정보가 재난 재해에 관련된 정보인지를 별도의 코드 분석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파악하고, 재난의 종류, 지역, 시간, 내용에 관련된 정보를 파싱하게 된다.
S430 단계는 S420단계에서 파싱된 재해 정보를 TTS(text to speech)처리하는 단계이다.
S430 단계는 도10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 도3의 S220 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440 단계 내지 S460 단계는 도2의 S140 단계 내지 S160 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제어방식을 통한 재난방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S510 단계는 사용자가 재난방송장치의 스위치 인터럽트를 전달하는 단계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다르게 본 실시예는 재난 방송 장치를 유무선 통신으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재난 방송 장치(20)를 현장에서 제어하는 방식이다.
재난방송장치(20)는 방송을 위한 제어방식의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고, 다양한 통신방식에 따라 재난방송이 이루어지는 경우라도 스위치 인터럽트를 최상위 제어방식으로 설정하여 놓은 상태에서 스위치 인터럽트를 가하면 현장에서 제어하는 로컬 제어로 변경할 수 있다.
S520 단계는 재난방송장치(20)에 저장된 다수의 재난 방송 음성 중에서 하나의 재난 방송 음성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재난방송장치(20)는 다양한 종류의 재해에 맞는 각각의 재난 방송 음성을 MP3 형태로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위치 인터럽트 이후에 현재의 재난 상황에 맞는 재난 방송 음성을 선택할 수 있다.
S530 단계 내지 S550 단계는 도2의 S140 단계 내지 S160 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제어방식을 통한 재난방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6과 마찬가지로 재난 방송 장치를 유무선 통신으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재난 방송 장치(20)를 현장에서 제어하는 방식이다.
S610 단계는 사용자가 재난방송장치의 마이크 인터럽트를 전달하는 단계이다.
재난방송장치(20)는 방송을 위한 제어방식의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고, 다양한 통신방식에 따라 재난방송이 이루어지는 경우라도 스위치 인터럽트를 최상위 제어방식으로 설정하여 놓은 상태에서 마이크 인터럽트를 가하면 현장에서 제어하는 로컬 제어로 변경할 수 있다.
마이크 인터럽트는 별도로 구비된 마이크가 연결된 상태에서 마이크 인터럽트 스위치를 조작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마이크를 부착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에 마이크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그 연결을 인식하여 마이크 인터럽트가 발생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S620 단계는 재난방송장치(20)에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으로 현재 일어나고 있는 재해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S530 단계 내지 S550 단계는 도2의 S140 단계 내지 S160 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방식을 통한 재난방송장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S710 단계는 사용자가 재난방송장치(20)에 Wi-Fi 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재난방송장치(20)를 제어하기 위하여 별도의 Wi-Fi 통신이 가능한 PC를 통해 재난방송장치(20)에 접속할 수 있다.
재난방송장치(20)는 Wi-Fi 망을 통한 통신을 위하여 Wi-Fi 모듈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한된 사용자에 한하여 재난방송장치(20)에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별도의 인증절차를 부가할 수 있다.
S720 단계는 Wi-Fi 망을 통하여 재난방송장치(20)의 조작을 제어하는 명령 프로토콜을 전달하는 단계이다.
S730 단계는 S720 단계에서 전송된 명령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는 단계이다.
제어명령의 종류는 다수이며, 그 예로 재난방송장치(20)에서 비가청 주파수대역의 파장을 사용하여 재난경보장치(30)의 출력을 점검하는 제어명령, CID의 가입자의 목록을 등록하거나 삭제하는 제어명령, 재난방송장치(20)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제어명령, 로컬제어, PSTN, CDMA 또는 T-DMB 등의 통신방식을 선택하고 해당 통신방식에 따라 재난방송을 진행하는 제어명령 등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재해상황실
20 : 재난방송장치
30 : 재난경보장치

Claims (12)

  1. 사용자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해 재난방송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가 재해 정보인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재해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권한범위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방송권한범위에 따라 방송을 허용하는 단계; 및
    상기 재해 정보를 방송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방송장치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맞는 방송의 권한이 있는지 파악하고 방송의 권한이 인증되면 방송을 허가하며, 방송의 권한이 인증되지 않는 경우에는 방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허가되지 않음을 알린 후에 네트워크 연결을 차단하며,
    상기 데이터는 문자메시지이며,
    상기 재해 정보를 방송으로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메시지에서 재난방송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재난방송정보를 TTS(text to speech)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TTS 처리된 재난방송정보를 방송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가 재해 정보인지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메시지를 발신한 발신번호를 분석하거나, 상기 문자메시지에서 재해 정보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특정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여부를 분석하여 재해 정보인지를 여부를 파악하며,
    상기 문자메시지는 헤더, 바디 및 체크섬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헤더는 발신자의 발신번호 또는 미리 부여된 고유한 식별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방송의 매체가 되는 문자로 이루어진 재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섬은 재난방송의 정상적인 데이터 수신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문자메시지의 데이터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재해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재난방송정보를 TTS(text to speech)처리하는 단계는,
    Xroshot(크로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재해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4. 사용자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해 재난방송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가 재해 정보인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재해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권한범위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방송권한범위에 따라 방송을 허용하는 단계; 및
    상기 재해 정보를 방송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방송장치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에 맞는 방송의 권한이 있는지 파악하고 방송의 권한이 인증되면 방송을 허가하며, 방송의 권한이 인증되지 않는 경우에는 방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허가되지 않음을 알린 후에 네트워크 연결을 차단하며,
    상기 데이터는 패킷 형태의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재해 정보를 방송으로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재난방송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재난방송정보를 분석하여, 저장된 다수의 재난방송음성 중에서 하나의 재난방송음성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재난방송음성을 방송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재난방송장치을 제어하는 명령 프로토콜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명령 프로토콜은 상기 재난방송장치에서 비가청 주파수대역의 파장을 사용하여 재난경보장치의 출력을 점검하는 제어명령, CID의 가입자의 목록을 등록하거나 삭제하는 제어명령, 재난방송장치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제어명령 또는 상기 재난방송장치가 로컬제어, PSTN, CDMA 또는 T-DMB 통신방식 중 선택된 통신방식으로 운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방송 음성은 MP3(MPEG Audio Layer-3)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전화접속 신호의 CID(call Identific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네트워크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10131476A 2011-12-09 2011-12-09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KR10133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476A KR101339677B1 (ko) 2011-12-09 2011-12-09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476A KR101339677B1 (ko) 2011-12-09 2011-12-09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880A KR20130064880A (ko) 2013-06-19
KR101339677B1 true KR101339677B1 (ko) 2013-12-11

Family

ID=4886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476A KR101339677B1 (ko) 2011-12-09 2011-12-09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3382A (zh) * 2020-10-27 2021-01-15 成都市美幻科技有限公司 地震预警播报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682B1 (ko) * 2022-05-23 2024-02-21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서버를 활용한 디지털 방송 송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400A (ko) * 2003-04-21 2004-10-28 제아정보통신(주) 재해상황통보시스템에 사용되는 자동신호분배장치 및 그를포함하는 통보장치
KR20060023759A (ko) * 2004-09-10 2006-03-15 이콤 (주) 재해재난 음성통보방법
KR100588493B1 (ko) 2004-12-20 2006-11-14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개발 문자음성변환을 이용한 비상재난/재해메시지 전송시스템및 그 장치의 운용방법
KR100691950B1 (ko) * 2005-05-1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긴급재난 경보 알림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 및 그의 경보알림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400A (ko) * 2003-04-21 2004-10-28 제아정보통신(주) 재해상황통보시스템에 사용되는 자동신호분배장치 및 그를포함하는 통보장치
KR20060023759A (ko) * 2004-09-10 2006-03-15 이콤 (주) 재해재난 음성통보방법
KR100588493B1 (ko) 2004-12-20 2006-11-14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개발 문자음성변환을 이용한 비상재난/재해메시지 전송시스템및 그 장치의 운용방법
KR100691950B1 (ko) * 2005-05-1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긴급재난 경보 알림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 및 그의 경보알림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3382A (zh) * 2020-10-27 2021-01-15 成都市美幻科技有限公司 地震预警播报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880A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6004B2 (ja) 非常通報システム及び方法
US9615233B2 (en) Method and system of managing distribution of alerts
US7683792B2 (en) In home multi disaster alarm system
US8242902B2 (en) Urgent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EP2487680B1 (en) Audio watermark detection for delivering contextual content to a user
WO2017211172A1 (zh) 应急案件处理方法、装置及城市应急联动系统
JP2018522327A (ja) Diy監視装置及び方法
JP6080289B2 (ja) 非常放送設備
CN204791389U (zh) 基于无线接入点的火灾报警系统、无线接入点
KR101604554B1 (ko) 국지적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7066034A (ja) 災害報知システム
KR101339677B1 (ko)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KR102121059B1 (ko)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비상 방송 시스템, 장치 및 기법
KR20110086211A (ko) 비상 전화의 지정 수신자 우선 연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16158B1 (ko) 안내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279832B1 (ko)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KR101890299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마을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2766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nouncement transmission
KR101318208B1 (ko)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장치
KR101906256B1 (ko) Dmb 재난방송 수신데이터를 활용한 전관안내방송 시스템
CN105989699A (zh) 一种终端信息处理方法、终端、系统
US8331221B2 (en) Automatic outage alert system
KR101604129B1 (ko) 옥내용 경보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39023B1 (ko)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
RU131549U1 (ru) Адресная пообъектовая система оповещ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