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670A -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 Google Patents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670A
KR20130068670A KR1020110135979A KR20110135979A KR20130068670A KR 20130068670 A KR20130068670 A KR 20130068670A KR 1020110135979 A KR1020110135979 A KR 1020110135979A KR 20110135979 A KR20110135979 A KR 20110135979A KR 20130068670 A KR20130068670 A KR 20130068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data
voice
information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9832B1 (ko
Inventor
현규남
장희동
김영구
Original Assignee
(주)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135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8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8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6/00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재난정보에서 문자데이터를 추출하여 문자데이터를 음성데이터로 전환하는 TTS(Text To Speech)제어부; 상기 TTS제어부를 구동하는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동정보저장부; 상기 TTS제어부에서 추출된 문자데이터 및 전환되는 음성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음성전환 대응정보를 음소 또는 음절 단위로 저장하는 음성데이터베이스부; 를 포함하는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은 재난, 재해 등이 발생하거나 , 예측이 되는 지역에 경보를 제공하여 인명 피해와 재산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Description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Module of alert for disasters and accidents}
본 발명의 재난재해경보 자동음성통보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에서 재난재해경보 데이터를 송출하여 해당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자동변환하여 출력 및 통보하는 모듈에 관한 것이다.
재난재해는 해일, 홍수, 폭설, 지진 등 다양한 형태로 전국 어느곳에서든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재빨리 알리지 않으면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일으킨다.
그러나, 종래의 재난재해 관리 장치는 단순히 특정 지역을 재난재해 관리 지역을 관리자가 일일이 모니터링하다가 특정 지역에서 재난재해의 발생을 인식한 후에야 비로소 대처하게 되어 재난재해에 대한 피해가 확대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재난재해가 발생하지 않지 않더라도 해당 지역의 재난재해 가능성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습득하기 어려워 재난재해가 빈번한 지역의 경우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사람이나 거주자에게 불안감 등을 조성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CDMA모듈을 이용하여 전화, 문자메시지 또는 패킷으로 전달되는 재난재해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T-DMB의 EWS로 전달되는 재난재해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직접 재난재해 정보를 제공하고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은 재난정보에서 문자데이터를 추출하여 문자데이터를 음성데이터로 전환하는 TTS(Text To Speech)제어부; 상기 TTS제어부를 구동하는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동정보저장부; 상기 TTS제어부에서 추출된 문자데이터 및 전환되는 음성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음성전환 대응정보를 음소 또는 음절 단위로 저장하는 음성데이터베이스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에 있어서, 상기 TTS제어부는 Xroshot(크로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작동하고, 상기 크로샷 서비스 제공 서버에 문자데이터를 전송하고 변환된 음성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에 있어서, 상기 재난정보는 문자메시지로 전달이 되고, 상기 문자메시지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문자데이터 형태의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바디; 발신자로부터 발신되는 문자메시지의 데이터용량정보를 포함하는 체크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는 CDMA망을 통하여 전달되는 SMS(short message service)형태 또는 T-DMB망을 통하여 전달되는 EWS(Emergency Warning System)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에 있어서, 상기 구동정보저장부의 운영체제 데이터는 펌웨어 형태로 구성되며, 새로운 펌웨어로 갱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에 있어서, 상기 구동정보저장부의 운영체제 데이터의 구동시 상기 구동정보저장부에서 메모리부로 운영체제 데이터를 기록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난, 재해 등이 발생하거나 , 예측이 되는 지역에 경보를 제공하여 인명 피해와 재산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다양한 유무선 통신방식을 적용하므로 일부의 통신방식이 불가한 경우에도 신속하고 신뢰성이 있는 경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의 경로를 도시한 도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장치의 세부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의 세부구성도.
도4는 재해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 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장치(이하 ‘재난방송장치’라고도 한다.)및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모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의 경로를 도시한 도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의 경로는 재해상황실(10), 재난방송장치(20) 및 재난경보장치(30)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재해상황실(10)은 일반적으로 지진, 홍수, 하천범람, 태풍, 폭설, 산불 등의 정보, 기상청의 태풍, 해일, 쓰나미, 풍랑주의보, 대설주의보등의 정보, 교통정보 센터의 도로 소통, 결빙, 폭설, 도로유실, 하천범람 정보, 소방본부의 산불, 화재 사고 등에 관련된 정보를 재해가 일어나는 현장에 직접 수집하거나 또는 온 오프라인으로 전달받는 형태로 수집하기 위하여 각 지역별로 설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기관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재해상황실이나 이와 유사한 기관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재해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기관 또는 사용자의 형태도 적용할 수 있다.
재난방송장치(20)는 실제로 재난재해가 일어나는 지역주민에게 해당 재난재해 정보를 신속하게 전파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재난방송장치(20)를 재해상황실(10)에서 유선 또는 무선의 다양한 통신방식으로 전달되는 재난재해정보를 각 통신방식에 맞게 수신하여 지역주민에게 전파할 수 있다.
재난경보장치(30)는 재난방송장치(20)와 연동되는 장치로써, 재난방송장치(20)로 전달되는 재난재해정보가 방송을 위한 음성형태로 변화되어 재난경보장치(30)로 전달되면 재난경보장치(30)에 포함되는 스피커 또는 앰프를 통해 지역주민에게 알려지게 된다.
재난경보장치(30)는 재난방송장치(20)의 하부 구성으로 속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하, 재해상황실(10)에서 전파하는 재난재해정보를 재난방송장치(20)를 통해 지역주민에게 방송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방송장치의 세부구성도이다.
재난방송장치는 자동음성 통보 모듈(200), 유선통신부(210), 무선통신부(220), 백업메모리부(230), 오디오처리부(240), 엠프콘트롤러부(250), 전원관리부(260), 전원제어부(270),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선통신부(210) 및 무선통신부(220)는 각각 외부에서 유선 및 무선통신망으로 전달되는 재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유선통신부(210)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공중교환전화망)망을 통하여 재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PSTN망은 전화교환 설비에 전화 회선을 접속하여 가입자 간에 통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망을 말한다.
재난정보를 전달하는 재해상황실(10)과 재난정보를 방송하는 재난방송장치(20)는 PSTN망에 가입자로 존재하며, 재해상황실(10)에서 PSTN망을 통하여 재난방송장치(20)에 접속한 후 재난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무선통신부(220)는 T-DMB부(2210), CDMA부(2220), Wi-Fi(2230)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DMB부(2210)는 T-DMB(지상파DMB)망을 통하여 송출되는 EWS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DMB망은 174Mhz 내지 216Mhz 주파수 대역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망을 의미한다.
T-DMB망은 수신자가 이동중에도 높은 수신율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일방에서 통신장치만 존재하면 데이터를 수신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특성이 존재한다.
EWS정보는 재해상황실(10)에서 T-DMB망을 통하여 송신하거나 재해상황실(10)에 전달된 재해정보를 가공하여 송신하게 된다.
EWS정보는 경보음과 긴급정보를 조합하여 구성하고, EWS정보를 수신하는 T-DMB부(2210)에서 T-DMB망을 통하여 전달된 EWS정보에 따라 경보음이 인식되고, 그 이후에 긴급정보를 재난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CDMA부(220)는 CDMA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재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CDMA망은 이동통신망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이 코드분할 방식으로 다중접속하여 통신이루어지는 망을 말한다.
CDMA망은 음성, 문자메시지, 패킷데이터 등의 형태로 재난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Wi-Fi부(2230)는 무선인터넷망을 통하여 재난정보 및 재난방송장치의 동작점검을 실행하는 명령프로토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재난방송장치(20)에서 비가청 주파수대역의 파장을 사용하여 재난경보장치(30)의 출력을 점검하는 제어명령, CID의 가입자의 목록을 등록하거나 삭제하는 제어명령, 재난방송장치(20)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제어명령, 로컬제어, PSTN, CDMA 또는 T-DMB 등의 통신방식을 선택하고 해당 통신방식에 따라 재난방송을 진행하는 제어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통신부(210) 및 무선통신부(220)를 통하여 전달되는 재난정보는 재난방송을 위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자동음성 통보 모듈(200)는 재난정보의 송출자의 방송권한 인증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정보는 CID로 구성하여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으로 재난정보가 도달하면 재난정보를 송출한 CID를 확인하여 인증된 송출자의 정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ID는 전화접속을 위한 발신자의 발신번호가 될 수 있다.
재난방송장치(20) 전화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에 맞는 방송의 권한이 있는지 파악하고 방송의 권한이 인증되면 방송을 허가한다.
전화접속을 시도하는 재해상황실(10)의 사용자는 CDMA 망을 통해 음성으로 현재 일어나고 있는 재해상황에 대한 정보를 재난방송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방송의 권한이 인증되지 않는 경우에는 방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허가되지 않음을 알린 후에 통화를 차단할 수 있다.
자동음성 통보 모듈(200)는 유선통신부(210) 및 무선통신부(220)로 전달되는 재난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방송권한을 판단하고, 재난정보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자동음성 통보 모듈(200)의 각 세부구성은 도3을 통하여 후술한다.
백업메모리부(230)는 재난정보에 대응하는 재난방송 음성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재난방송 음성정보는 해일, 홍수, 폭설, 지진 등 다양한 형태의 재난에 따라 각각 별도의 방송을 위한 음성정보를 구비하고 이를 각 재난정보에 대응하여 방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지진이 일어난 재난지역에 재난방송을 취할 경우 재해상황실(10)에서 재난방송장치로 지진에 대한 재난정보를 전달하고, 백업메모리부(230)에 저장된 지진에 대응하는 재난방송 음성정보가 출력된다.
백업메모리부(230)는 재난방송 음성정보를 MP3(MPEG Audio Layer-3) 형태로 저장하여 새로운 재난 방송음성정보를 제작하여 추가하거나 변경된 재난방송 음성정보를 삭제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240)는 자동음성 통보 모듈(200)에서 음성데이터로 변환된 재난정보를 재난경보장치(30)를 통해 송출하기 위하여 출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재난경보장치(30)는 재난지역의 행정시설 등 외부환경에 설치된 앰프시설을 통해서 재난지역주민에게 알려질 수 있으며, 다르게는 재난지역의 소규모 시설에 위치한 앰프시설을 통해서 알려질 수도 있다. 따라서 방송이 이루어지는 방송환경에 맞게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앰프콘트롤러부(250)는 오디오처리부(240)에서 출력의 크기가 조절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출력장치를 통하여 방송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처리부(240)와 앰프콘트롤러부(250)는 별개의 구성으로 존재하지 않고, 2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나의 구성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전원관리부(260)는 재난경보장치(20)의 각 구성에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할 수 있다.
재난경보장치(20)가 재난지역에 존재하는 경우 일반전력선으로 제공되는 전력이 단전되는 경우 재난경보장치(20)가 작동을 정지할 수 있으므로, 전원관리부(260)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
전원제어부(270)는 외부에서 전원관리부(260)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비상시에는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비상용 전원공급장치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장치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80)는 장비의 동작상태와 수행되고 있는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현재 재난지역에 홍수가 발상한 경우라면 어느 곳으로부터 어떠한 통신망을 통하여 홍수에 대한 재난정보를 수령하였고, 현재 방송출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인지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재난방송장치(20)는 로컬제어를 위한 통제스위치(미도시) 또는 마이크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컬제어는 재난 방송 장치를 유무선 통신으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재난 방송 장치(20)를 현장에서 제어하는 방식이다.
재난방송장치(20)는 방송을 위한 제어방식의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고, 다양한 통신방식에 따라 재난방송이 이루어지는 경우라도 스위치 인터럽트를 최상위 제어방식으로 설정하여 놓은 상태에서 스위치 인터럽트를 가하면 현장에서 제어하는 로컬 제어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제스위치를 조작하여 스위치 인터럽트를 전달하여 백업메모리부(230)에 저장된 재난 방송 음성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홍수재난이 발생한 경우 홍수재난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눌러 홍수재난에 대응하는 방송 음성을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마이크연결부에 마이크 인터럽트를 전달하여 마이크를 통해 재난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재난방송장치(20)는 방송을 위한 제어방식의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고, 다양한 통신방식에 따라 재난방송이 이루어지는 경우라도 스위치 인터럽트를 최상위 제어방식으로 설정하여 놓은 상태에서 마이크 인터럽트를 가하면 현장에서 제어하는 로컬 제어로 변경할 수 있다.
마이크 인터럽트는 별도로 구비된 마이크가 연결된 상태에서 마이크 인터럽트 스위치를 조작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마이크를 부착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에 마이크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그 연결을 인식하여 마이크 인터럽트가 발생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마이크연결부에 마이크를 연결하고 육성으로 마이크에 재난정보를 전달하여 해당 재난정보가 방송으로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자동음성 통보 모듈(200)는 무선통신부, 유선통신부, 통제스위치 및 마이크연결부를 통해서 전송되는 재난정보의 방송우선순위를 미리 설정하고, 동시에 여러개의 재난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방송우선순위에 따라 재난방송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장치의 자동음성 통보 모듈의 세부구성도이다.
자동음성 통보 모듈(200)는 TTS제어부(2100), 구동정보저장부(2200), 메모리부(2300), 음성데이터베이스부(2400), 데이터통신부(2500), 전원관리부(2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TS제어부(2100)는 재난정보에서 문자데이터를 추출하여 문자데이터를 음성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TTS제어부(2100)는 CDMA부로 전달되는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 또는 문자메시지를 분석하여 문자데이터로 구성되는 재난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4를 참고하면, 재해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의 구성도를 알 수 있다.
문자메시지는 헤더, 바디 및 체크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더는 발신자의 발신번호 또는 미리 부여된 고유한 식별번호, EWS의 고유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바디는 방송의 매체가 되는 문자로 이루어진 재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체크섬은 재난방송의 정상적인 데이터 수신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문자메시지의 데이터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TTS제어부(2100)는 문자메시지 형태로 전달된 재난정보에서 헤더를 확인하여 재난정보가 포함되지 분석 후 방송권한이 인증이 되면 바디에 있는 재난 정보를 문자데이터로 추출하여 음성데이터로 변환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TTS제어부는 Xroshot(크로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작동하고, 크로샷 서비스 제공 서버에 문자데이터를 전송하고 변환된 음성데이터를 제공
Xroshot 서비스는 웹페이지 http://www.xroshot.com/ 를 통하여 문자데이터의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상세한 방법을 알 수 있다.
재난방송정보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문자메시지를 발신한 발신번호를 분석하거나, 문자메시지에서 재난방송정보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특정한 키워드를 부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문자메시지를 SMS 형태로 할 수 있다.
구동정보저장부(2200)는 자동음성 통보 모듈(200)를 구동하는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운영체제 데이터는 펌웨어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새로운 펌웨어로 업그레이드하여 운영체제 데이터를 개선할 수 있다.
일례로, 구동정보저장부는 ROM으로 구성할 수 있다.
메모리부(2300)는 TTS제어부(2100)에서 추출된 문자데이터 및 전환되는 음성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2300)는 구동정보저장부(2200)가 구동이 되면, 운영체제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여 데이터 처리속도를 증가할 수 있다.
일례로, 메모리부는 RAM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음성데이터베이스부(2400)는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음성전환 대응정보를 음소 또는 음절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TTS제어부(2100)는 음성데이터베이스부(2400)에 저장된 음성으로 전환하도록 음소 또는 음절단위로 저장되어 있는 대응정보를 추출한 문자데이터와 대응하여 음성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데이터통신부(2500)는 UART, I2C, SPI, USB, GPIO 등의 데이터통신을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관리부(2600)는 자동음성 통보 모듈의 각 구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재해상황실
20 : 재난방송장치
200 : 자동음성 통보 모듈
2100 : TTS제어부
2200 : 구동정보저장부
2300 : 메모리부
2400 : 음성데이터베이스부
2500 : 데이터통신부
2600 : 전원관리부
210 : 유선통신부
220 : 무선통신부
2210 : T-DMB부
2220 : CDMA부
2230 : Wi-Fi부
230 : 백업메모리부
240 : 오디오 처리부
250 : 앰프콘트롤러부
260 : 전원관리부
270 : 전원제어부
280 : 디스플레이부
30 : 재난경보장치

Claims (6)

  1. 재난정보에서 문자데이터를 추출하여 문자데이터를 음성데이터로 전환하는 TTS(Text To Speech)제어부;
    상기 TTS제어부를 구동하는 운영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동정보저장부;
    상기 TTS제어부에서 추출된 문자데이터 및 전환되는 음성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음성전환 대응정보를 음소 또는 음절 단위로 저장하는 음성데이터베이스부; 를 포함하는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TS제어부는 Xroshot(크로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작동하고,
    상기 크로샷 서비스 제공 서버에 문자데이터를 전송하고 변환된 음성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정보는 문자메시지로 전달이 되고,
    상기 문자메시지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문자데이터 형태의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바디;
    발신자로부터 발신되는 문자메시지의 데이터용량정보를 포함하는 체크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는 CDMA망을 통하여 전달되는 SMS(short message service)형태 또는 T-DMB망을 통하여 전달되는 EWS(Emergency Warning System)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정보저장부의 운영체제 데이터는 펌웨어 형태로 구성되며, 새로운 펌웨어로 갱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정보저장부의 운영체제 데이터의 구동시 상기 구동정보저장부에서 메모리부로 운영체제 데이터를 기록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KR1020110135979A 2011-12-16 2011-12-16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KR101279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979A KR101279832B1 (ko) 2011-12-16 2011-12-16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979A KR101279832B1 (ko) 2011-12-16 2011-12-16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670A true KR20130068670A (ko) 2013-06-26
KR101279832B1 KR101279832B1 (ko) 2013-06-28

Family

ID=48864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979A KR101279832B1 (ko) 2011-12-16 2011-12-16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8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252B1 (ko) * 2016-12-06 2017-11-07 팬톰 주식회사 재난문자 음성화/시각화 자동 전송 시스템
CN112233382B (zh) * 2020-10-27 2021-11-02 成都市美幻科技有限公司 地震预警播报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493B1 (ko) * 2004-12-20 2006-11-14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개발 문자음성변환을 이용한 비상재난/재해메시지 전송시스템및 그 장치의 운용방법
KR20070066263A (ko) * 2005-12-21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헤드셋을 통한 단문 메시지의 음성 메시지 변환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86966B1 (ko) * 2006-02-09 2007-02-26 주식회사 삼호테크놀 디엠비 자동 경보 수신 시스템
KR100904300B1 (ko) * 2008-12-12 2009-06-25 씨아이씨라이프(주) 음성합성엔진(tts)을 이용한 자동 안내 방송 장치 및 자동 안내 방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832B1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6004B2 (ja) 非常通報システム及び方法
US7683792B2 (en) In home multi disaster alarm system
EP1900230B1 (en) Urgent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20040203568A1 (en) Computerized warning system interface and method
JP6080289B2 (ja) 非常放送設備
KR101604554B1 (ko) 국지적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476778B1 (ko) 마을 방송 시스템
JP2007066034A (ja) 災害報知システム
KR101279832B1 (ko)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KR101318208B1 (ko)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장치
KR100588493B1 (ko) 문자음성변환을 이용한 비상재난/재해메시지 전송시스템및 그 장치의 운용방법
KR101906256B1 (ko) Dmb 재난방송 수신데이터를 활용한 전관안내방송 시스템
KR101339677B1 (ko)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KR102445527B1 (ko) 자가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상황알림에 사용하는 방송장비와 ai기법을 활용한 단말장애 관리기능
KR100769341B1 (ko) 대용량 재해재난 메시지의 동시 다중전송이 가능한비상재해재난 경보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815842B1 (ko) 재난대피 방송 방법 및 시스템
RU131549U1 (ru) Адресная пообъектовая система оповещения
CN116192313A (zh) 广播控制方法、广播接入装置和应急广播系统
KR101604129B1 (ko) 옥내용 경보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84695Y1 (ko) 문자음성변환을 이용한 비상재난/재해메시지 전송시스템
KR102607096B1 (ko) 재난 및 민방위 경보 수신시 즉시 방송이 가능한 경보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단말장치, 그리고 동작방법
KR20010049145A (ko) 재해 자동 경보 시스템
Niebla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public warning
KR100694307B1 (ko) 전화를 이용한 재난 경보용 앰프 방송시스템
KR20060023759A (ko) 재해재난 음성통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