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2662A -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및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 Google Patents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및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662A
KR20070022662A KR1020067018506A KR20067018506A KR20070022662A KR 20070022662 A KR20070022662 A KR 20070022662A KR 1020067018506 A KR1020067018506 A KR 1020067018506A KR 20067018506 A KR20067018506 A KR 20067018506A KR 20070022662 A KR20070022662 A KR 20070022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layer
electric double
electrolyte
layer capacitor
quaternary ammo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미 치바
Original Assignee
닛뽕 카릿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 카릿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 카릿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8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2662A/ko
Publication of KR20070022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H01G11/62Liqu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solute, e.g. salts, anions or cations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에틸렌카보네이트 및 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혼합 용매 중, 제 4급 암모늄염을 전해질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이다. 본 발명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은 점성률이 낮고, 저온 영역에서도 전해액이 응고하지 않는 우수한 저온 특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넓은 온도 범위에서 높은 전도도를 나타내고, 장기 신뢰성이 우수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및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ELECTROLYTIC SOLUTION FOR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본 발명은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및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저온 특성 등이 우수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및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는 분극성 전극과 전해액의 계면에 형성되는 전기 이중층을 이용한 전하축적 디바이스이다.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에 이용되는 전해액은 전해액의 점성률이 높다든지, 그의 전도도가 낮으면 캐패시터의 내부저항이 크게 되어 방전/충전 시에, 전압이 강하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저점성률이며, 또한 고전도도인 것이 요구된다. 더욱이 전해액에는 그 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내구성도 요구된다.
종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으로서는 특히 장기간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프로필렌카보네이트(이하, "PC"라 약기한다) 중에, 테트라플루오로붕산 트리에틸메틸암모늄(이하, "TEMA-BF4"라 약기한다)으로 표시되는 제 4급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진 전해질을 용해시킨 것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0-114105호 공보 참조).
그러나, PC 용매는 30℃에서의 점성률이 약 2.5 mPa·s로 높기 때문에, 이 용매에 전해질을 용해시킨 전해액은 점성률이 높고, 또한 전도도가 낮음으로, 이 전해액을 이용해 제작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는 내부 저항이 커져 버리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로부터, 점성률이 낮고, 우수한 저온 특성과 장기 신뢰성을 가지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점성률이 낮고, 우수한 저온 특성, 즉 저온 영역에서도 전해액이 응고되지 않고, 넓은 온도 범위에서 높은 전도도를 나타내고, 더욱이 장기 신뢰성이 우수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과 이 전해액을 이용하여 제작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적어도 에틸렌카보네이트(이하, "EC"라 약기한다) 및 PC를 함유하는 혼합 용매에, 제 4급 암모늄염을 전해질로서 용해시킨 전해액은 점성률이 낮고, 저온 영역에서도 응고하는 일 없이, 넓은 온도 범위에서 높은 전도도를 나타내며, 장기 신뢰성이 우수한 것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EC 및 PC를 함유하는 혼합 용매 중, 제 4급 암모늄염을 전해질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해액을 이용하여 제작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은 아래와 같다.
1 …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2 … 제1 전극(음극)
3 … 제2 전극(양극)
4 … 제1 용기체
5 … 제2 용기체
6 … 세파레이터
7 … 비도전성 재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전해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은 전해질로서의 제 4급 암모늄염을, 적어도 EC 및 PC를 함유하는 혼합 용매 중에 용해시킨 것이다. 상기 혼합 용매로서 사용되는 EC 및 PC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혼합 용매 중에서의 EC 및 PC의 용량 혼합비율은 제 4급 암모늄염을 충분히 용해시켜, 얻어지는 전해액이 저점성률이고, 저온에서도 응고하기 어려우면,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20:80 내지 40:60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25:75 내지 35:65이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0:70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 4급 암모늄염은 전해질로서 작용하고, 저온 특성이나 내전압의 효과가 있는 물질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65321029-PCT00001
(식중, R1 내지 R4는 알킬기를 나타내던가, R1과 R2 및/또는 R3과 R4는 함께 되어 환을 형성하여도 좋고, A-는 쌍음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식(1)에 있어서, R1 내지 R4가 알킬기인 경우, 그 알킬기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기로는 같거나 다른 탄소수 1∼3개의 알킬기이고,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같거나 다른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다.
또, 상기 식(1)에 있어서, R1과 R2 및/또는 R3와 R4가 함께 되어 형성하는 환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4∼8원환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5원환인 피롤리딘환 또는 6원환인 피페리딘환이다.
본 발명의 제 4급 암모늄염(1)으로서는 R1과 R2만이 환을 형성하고, R3와 R4는 알킬기인 제 4급 암모늄염이어도, R1과 R2 및 R3와 R4가 양쪽 모두 각각 환을 형성하고 있는 제 4급 암모늄염이어도 좋다.
또한, 제 4급 암모늄염(1)의 쌍음이온 A-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붕산 음이온, 헥사플루오로인산 음이온, 과염소산 음이온,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이미드 음이온 등이 바람직하다. 이 중,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전리도, 경제성 등이 특히 양호한 테트라플루오로붕산 음이온 등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급 암모늄염(1)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테트라플루오로붕산 트리에틸메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디에틸디메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에틸트리메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디메틸피롤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디에틸피롤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에틸메틸피롤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스피로-(1,l')-비피롤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디메틸피페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디에틸피페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스피로-(1,l')-비피페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피페리딘-1-스피로-1'-피롤리디늄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테트라플루오로붕산 트리에틸메틸암모늄, 다음 식(2)로 표시되는 테트라플루오로붕산 스피로-(1,l')-비피롤리디늄, 다음 식(3)으로 표시되는 테트라플루오로붕산 피페리딘-1-스피로-1'-피롤리디늄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65321029-PCT00002
본 발명의 전해액에서의 제 4급 암모늄염(1)의 농도는 전해액 전체에 대해, 0.5∼3 mo1/ℓ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0.8∼2.5 mol/ℓ이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2.0 mo1/ℓ이다.
제 4급 암모늄염의 농도가 0.5 mol/ℓ 미만에서는 전도도가 부족한 경우가 있으며, 또한, 3 mo1/ℓ 보다 많은 경우는 저온 특성이 저하함과 동시에, 경제성에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해액의 조제에 있어서는 필수 성분인 EC 및 PC의 혼합용매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부용매를 혼합해도 좋다. 이 부용매로서는 비프로톤성 극성용매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γ-부티로락톤, γ-바렐로락톤 등의 락톤류;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술포란 등의 술폰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부용매는 EC 및 PC 혼합용매의 상기 우수한 효과를 악화하지 않는 범위에서 병용되며, 그의 함유량은 EC 및 PC의 합계 100용량부에 대해서, 0∼30용량부가 바람직하고, 특히 10∼20용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전해액은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의 전해액으로서 매 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액이 이용되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형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필름형, 코인형, 원통형, 상자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는 캐패시터용의 분극성 전극 2매 사이에 세파레이터를 끼워 넣고, 구동용 전해액으로서 본 발명의 전해액을 상기 분극성 전극에 함침시키고, 이것을 다시 외장 케이스에 수용시킴으로서 제작된다.
상기 분극성 전극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활성탄 분말, 탄소섬유 등의 다공성 탄소 재료; 산화 루테늄 등의 귀금속 산화물 재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등의 도전성 고분자 재료 등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다공성 탄소 재료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구조의 일례로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트상의 탄소 전극을 세파레이터를 개입시켜 접합시킴으로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형성한 후, 전해액을 함침시켜, 제1 용기체와 제2 용기체를 비전도성 재료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봉지한 것을 들 수 있다.
도 1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1에서 2는 제1 전극, 3은 제2 전극, 4는 제1 용기체, 5는 제2 용기체, 6은 세파레이터, 7은 비도전성 재료를 나타낸다. 도 1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1 에서는 제1 전극 2를 음극 2, 제2 전극 3을 양극 3으로 했다.
상기 제1 용기체 4와 제2 용기체 5의 재료는 전해액에 의해 부식되지 않고 전도성이 있는 물질이면,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음극 2와 양극 3을 격리하는 세파레이터 6으로서는 전해액이 통과하기 쉽고, 전기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한 재질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올레핀계 부직포, 다공질 테플론, 레이온계 초지 등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는 음극 2와 양극 3에 본 발명의 전해액을 충전함으로서, 제1 용기체와 제2 용기체 사이를 본 발명의 전해액으로 채우고, 그런 다음, 비도전성 재료 7을 이용하여 제1 용기체 4와 제2 용기체 5를 밀봉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전해액의 충전 방법으로서는 캐패시터에 이용하는 각 부재를 120∼300℃에서가열 진공 건조한 후, 건조 아르곤 중에서 음극 2 및 양극 3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에이징(aging)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이징은 실온에서, 2∼3V의 전압으로 5∼100시간 정도의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하기로는 감압 탈포하여 본 발명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완성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EC와 PC를 혼합시킴으로서 각각의 용제가 가지는 특장을 유지하면서, 각각의 용제가 가지는 결점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EC와 PC를 20:80 내지 40:60로 혼합한 용매는 제 4급 암모늄염의 용해능이 보다 높고, 고농도의 전해액을 조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얻어지는 전해액은 보다 저점성률이고, 보다 우수한 저온 특성을 나타내며, 또한, 넓은 온도 범위에서 높은 전도도를 나타냈다. 또한, 특히 25:75 내지 35:65로 혼합한 용매를 이용함으로서 전해액의 저온 특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점성률이 낮고, 저온에서도 전해액이 응고하지 않고, 넓은 온도 범위에서 높은 전도도를 나타내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한층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하등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EC 및 PC의 용량 혼합 비율을 바꾼 용매(EC: PC=10:90, 30:70, 50: 50)에, 각각 전해질인 TEMA-BF4를 용해시켜, 농도 1.5 mol/ℓ의 전해액(이하, "TEMA-BF4/(EC+PC)"라 약기한다) No. 1∼3을 조제했다.
이것과는 별도로, PC 용매에만 TEMA-BF4를 용해시켜, 농도 1.5 mol/ℓ의 전해액 No. 4(이하, "TEMA-BF4/PC"라 약기한다)를 조제했다.
얻어지는 각 전해액의 온도 30℃에서의 점성률 및 온도 -40℃ 및 30℃에서의 전도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1
전해액 No. 전해액 조성 전해질 농도 (mol/ℓ)
1 TEMA-BF4/(EC+PC) EC: PC= 10: 90 1.5
2 TEMA-BF4/(EC+PC) EC: PC= 30: 70 1.5
3 TEMA-BF4/(EC+PC) EC: PC= 50: 50 1.5
4 TEMA-BF4/PC EC: PC= 0: 100 1.5
표 2
Figure 112006065321029-PCT00003
표 2의 결과로부터, PC 용매만을 사용한 전해액 No. 4에 비해, EC 및 PC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전해액 No. 1∼3은 저점성률이고, 또한 넓은 온도 범위에서 높은 전도도를 나타내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EC: PC가 50: 50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전해액 No. 3은 -40℃에서 응고해 버렸지만, EC: PC가 10: 90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전해액 No. 1 및 EC: PC가 30: 70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전해액 No. 2는 -40℃의 초저온 영역에서도 응고하지 않고, 저온 특성이 양호하였다. 그리 하여 이 온도에서도 충분한 전도성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전해액 No. 2는 전해액 No. 1과 비교하여 점성률이 낮고, 전도도가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전해액 No. 1 및 No. 2, 특히 전해액 No. 2는 내저온성이 높고, 한랭지 전용 캐패시터 전해액으로서 이용 가능함이 밝혀졌다.
실시예 2
분극성 전극으로서 활성탄 분말(입경 20 ㎛, 비표면적 2000㎡/g) 90 질량%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분말 10 질량%를 롤로 혼련, 압연 하여 두께 0.4 mm의 시트를 제작했다. 이 시트를, 직경 13 mm Ф로 타발하여 원판상 전극을 제작했다.
상기 원판상 전극 2매에, 폴리프로필렌제 세파레이터를 끼워 넣고, 실시예 1에서 조제한 전해액 No. 2(TEMA-BF4/(EC+PC), EC: PC=30: 70)를 진공 함침시키고, 이어서 이 전극을 스테인리스제 케이스에 올려놓고, 가스켓를 개재하여 스테인리스제 뚜껑을 일체적으로 잡아 막아 정격전압 2.7 V, 정전 용량 1.5F의 코인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조제했다.
얻어진 캐패시터에 온도 70℃의 항온조 중, 전압 2.7 V를 1000시간 인가시켜 장기 신뢰성 시험을 행했다.
초기 및 장기 신뢰성 시험 후의, 30℃ 및 -20℃에서의 정전 용량값 및 내부 저항값을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캐패시터의 정전 용량은 전압 2.7 V로 1시간 충전한 후, 1 mA로 방전시켰을 때의 전압 구배로부터 구하고, 표 중의 값은 샘플 15개의 측정값의 평균치이다.
또한, 동일하게 실시예 1에서 조제한 전해액 No. 4 (TEMA-BF4/PC)를 이용하여 상기 방법으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조제하고, 동일하게 평가했다. 결과를 표 3에 함께 나타낸다.
표 3
Figure 112006065321029-PCT00004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전해액(전해액 No. 4)을 이용하여 제작한 캐패시터는 저온시의 정전 용량 감소율 및 내부 저항 상승률이 모두 높은데 대해, 본 발명의 전해액을 이용해 제작한 캐패시터(전해액 No. 2)는 저온시의 정전 용량 감소율 및 내부 저항 상승률이 모두 낮고, 넓은 온도 범위에서 우수한 전기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온도 70℃의 항온조 중, 전압 2.7 V를 1000시간 인가시킨 다음에도, 전해액 No. 2는 저온시의 정전 용량 감소율 및 내부 저항 상승률이 낮고, 넓은 온도 범위에서 우수한 전기 특성을 나타내고, 장기 신뢰성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3
우선, 피롤리딘에 할로겐화제로서 디클로로부탄을 반응시켜, 염소화 스피로-(1,l')-비피롤리디늄을 합성한 후, 테트라플루오로붕산을 당량 첨가해 중화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감압 하에서 탈수 및 염화수소를 제거하여 테트라플루오로붕 산 스피로-(1,l')-비피롤리디늄(이하, "SBP-BF4"라 약기한다)를 얻었다.
그 다음에, EC 및 PC의 혼합 비율을 바꾼 용매(EC: PC=10:90, 30: 70, 50:50,)에 전해질인 SBP-BF4를 용해시켜, 농도 1.5 mol/ℓ의 전해액(이하, "SBP-BF4/(EC+PC)"라 약기한다.) No. 5∼7을 조제했다. 또한, PC 단독에 전해질인 SBP-BF4를 용해시켜, 농도 1.5 mol/ℓ의 전해액(이하, "SBP-BF4/PC"라 약기한다.) No. 8을 조제했다.
표 4에 나타낸 상기 전해액 5∼7 및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제한 전해액 No. 4(TEMA-BF4/PC)에 대해, 온도 30℃에서의 점성률 및 온도 -40℃ 및 30℃에서의 전도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표 4
전해액 No. 전해액 조성 전해질 농도(mol/ℓ)
5 SBP-BF4/(EC+PC) EC: PC= 10: 90 1.5
6 SBP-BF4/(EC+PC) EC: PC= 30: 70 1.5
7 SBP-BF4/(EC+PC) EC: PC= 50: 50 1.5
8 SBP-BF4/PC EC: PC= 0: 100 1.5
4 TEMA-BF4/PC EC: PC= 0: 100 1.5
표 5
Figure 112006065321029-PCT00005
표 5의 결과로부터, PC 용매만을 이용한 전해액 No. 4나 No. 8에 비해, EC 및 PC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전해액 No.5∼7은 저점성률이고, 또한 넓은 온도 범위에서 높은 전도도를 나타냄을 알았다.
또한, EC: PC가 50:50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전해액 No. 7은 -40℃로 응고해 버렸지만, EC: PC가 10: 90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전해액 No. 5 및 EC: PC가 30: 70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전해액 No. 6은 -40℃의 초저온 영역에서도 응고하지 않고 저온 특성이 양호했다. 그리 하여 이 온도에서도 충분한 전도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해액 No. 6은 전해액 No. 5와 비교하여, 점성률이 낮고, 전도도가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전해액 No. 5 및 No. 6, 특히 전해액 No. 6은 내저온성이 높고, 한랭지 전용 캐패시터 전해액으로서 이용 가능함이 밝혀졌다.
실시예 4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원판상 전극을 제작했다.
상기 원판상 전극 2매에, 폴리프로필렌제 세파레이터를 끼워 넣고, 실시예 3에서 조제한 전해액 No. 6, 전해액 No. 8, 실시예 1에서 조제한 전해액 4를 각각 진공 함침시키고, 이어서 이 전극을 스테인리스제 케이스에 재치한 후, 개스킷을 개재하여 스테인리스제 뚜껑을 일체로 봉해, 정격전압 2.7 V, 정전 용량 1.5 F의 코인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조제했다.
얻어진 캐패시터에, 온도 70℃의 항온조 중, 전압 2.7 V를 1000시간 인가시켜 장기 신뢰성 시험을 실시했다. 초기 및 장기 신뢰성 시험 후의 30℃ 및 -20℃에서의 정전 용량값 및 내부 저항값을 표 6에 나타낸다.
또한, 캐패시터의 정전 용량은 전압 2.7 V에서 1시간 충전 후, 1 mA로 방전시켰을 때의 전압 구배로부터 구하고, 표 중의 값은 샘플 15개의 측정값의 평균치이다.
표 6
Figure 112006065321029-PCT00006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전해액(전해액 No. 4) 및 PC 단독의 전해액(전해액 No. 8)을 이용해 제작한 캐패시터는 저온 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감소율 및 내부 저항 상승률이 모두 높은데 대해, 본 발명의 전해액을 이용해 제작한 캐패시터(전해액 No. 6)는 저온 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감소율 및 내부 저항 상승률이 모두 낮고, 넓은 온도 범위에서 우수한 전기 특성을 나타냈다. 또, 온도 70℃의 항온조 중, 전압 2.7 V를, 1000시간 인가시킨 후에도, 전해액 No. 6은 저온 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감소율 및 내부 저항 상승률이 낮고, 넓은 온도 범위에서 우수한 전기 특성을 나타내고, 장기 신뢰성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EC 및 PC의 혼합 용매에, 제 4급 암모늄염을 전해질로서 용해한 본 발명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은 저점성률임과 동시에, 우수한 저온 특성을 나타내고, 또한, 넓은 온도 범위에서 높은 전도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이 전해액을 이용해 제작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는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서, 우수한 전기 특성과 장기 신뢰성을 가지며, 소형 전자기기로부터 대형 자동차 용도까지, 광범위한 산업분야에 있어서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에틸렌카보네이트 및 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혼합 용매중, 제 4급 암모늄염을 전해질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2. 제 1항에 있어서, 에틸렌카보네이트 및 프로필렌카보네이트의 용량 혼합 비율이 20: 80 내지 40: 60인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4급 암모늄염이 식(1)
    Figure 112006065321029-PCT00007
    (식중, R1 내지 R4는 알킬기를 나타내던가, R1과 R2 및/또는 R3와 R4는 함께 되어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고, A-는 쌍음이온을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것인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4. 제 3항에 있어서, 제 4급 암모늄염이, 식(1) 중, R1 내지 R4가 같거나 달러도 좋은, 메틸기, 에틸기 또는 프로필기인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제 4급 암모늄염이 식(1) 중, R1이 메틸기이고, R2, R3 및 R4가 에틸기인 것인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6. 제 3항에 있어서, 제 4급 암모늄염이 식(1) 중, R1과 R2 및/또는 R3와 R4가 함께 되어 피롤리딘환 및/또는 피페리딘환을 형성하는 것인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7. 제 3항 내지 제 6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제 4급 암모늄염이 식(1) 중, A-가 테트라플루오로붕산 음이온인 것인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8. 제 3항 내지 제 7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제 4급 암모늄염이 테트라플루오로붕산 트리에틸메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디에틸디메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에틸트리메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디메틸피롤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디에틸피롤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에틸메틸피롤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스피로-(1,l')-비피롤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디메틸피페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디에틸피페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 스피로-(1,l')-비피페리디늄 및 테트라플루오로붕산 피페리딘-1-스피로-1'-피롤리디늄으로 이루어진 군에 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9. 제 1항 내지 제 8항의 어느 1항 기재의 전해액을 이용하여 제작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10. 제1 용기체 및 이것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전극, 제2 용기체 및 이것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전극 및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격리하는 세파레이터로 되고, 제1 용기체와 제2 용기체 사이를 제 1항 내지 제 8항의 어느 1항 기재의 전해액으로 채우고, 다시 비전도성 재료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밀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KR1020067018506A 2004-03-12 2004-07-27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및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KR20070022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8506A KR20070022662A (ko) 2004-03-12 2004-07-27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및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70394 2004-03-12
JPJP-P-2004-00070395 2004-03-12
KR1020067018506A KR20070022662A (ko) 2004-03-12 2004-07-27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및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662A true KR20070022662A (ko) 2007-02-27

Family

ID=4365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506A KR20070022662A (ko) 2004-03-12 2004-07-27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및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26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75970B (ko)
US6980415B2 (en) Electrolyte for 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 and 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 using the electrolyte
JP4908236B2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解液及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US7656645B2 (en) Electrolytic solution for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JP2000150319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JP2017535944A (ja) 高温edlc用の電解質
KR101814573B1 (ko) 전기 2중층 커패시터
KR20070022662A (ko)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및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JP4502380B2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解液及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H0332203B2 (ko)
KR20140138978A (ko) 커패시터용 전해액,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리튬 이온 커패시터
JP2006351915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解液及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2005175239A5 (ko)
JPS62252927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2005175239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解液及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5063172B2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解液
JP4798609B2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解液及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H0774061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2002222739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及びそのための電解液
JP2005260030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解液及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2007189024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McEwen et al. EMIPF, BASED NONAQUEOUS ELECTROLYTES FOR ELECTROCHEMICAL CAPACITORS
JPS63140516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H11135375A (ja) 電気化学キャパシタ用電解液
JPS6312123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