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2329A - 쓰레기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329A
KR20070022329A KR1020067026529A KR20067026529A KR20070022329A KR 20070022329 A KR20070022329 A KR 20070022329A KR 1020067026529 A KR1020067026529 A KR 1020067026529A KR 20067026529 A KR20067026529 A KR 20067026529A KR 20070022329 A KR20070022329 A KR 20070022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y
waste disposal
cover tarpaulin
was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타르 데이어링
암브로스 바우어
Original Assignee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067026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2329A/ko
Publication of KR20070022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3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0Material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4Gas permeable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8Caps; Covers; Plugs; Pour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6Means for fast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6Nozzles; Sprayers; Spargers; Diffu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mmu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로 분해 가능한 성분을 가진 쓰레기 중 유기물을 산소성 분해하기 위한 폐쇄된 구조의 쓰레기 처리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 처리 장치(1)는 통기 및 탈기 장치를 구비한 베이(5)를 포함한다. 베이 벽 개구(7)를 통해 베이(5)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쓰레기 처리 챔버(16)는 베이 벽(6)의 하나 이상의 외부면에 배치된다. 쓰레기 처리 챔버(16)는 승강 장치(20)를 구비한, 수밀 방식 및 입자 밀봉 방식의, 공기 및 수증기 투과성 커버 타폴린(7)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 타폴린(30)은 고정 장치(40)에 의해 베이 벽(6) 및 바닥(50)에 대해 부동으로 그리고 기밀 방식으로 배치된 커버 타폴린 에지(32)를 포함한다. 승강 장치(20)는 팽창식 튜브(23)로 이루어진 공기압 지지 구조(2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타폴린(30)은 쓰레기 처리 챔버(16)의 적재 및 하역을 위해 상승됨으로써, 베이 벽 개구(7)를 통해 쓰레기가 베이(5) 내로 또는 베이(5)로부터 운반될 수 있다. 승강 장치(20)는 산소성 처리 과정의 지속 시간 동안 하강됨으로써, 커버 타폴린(30)이 처리될 쓰레기 상에 직접 놓인다.

Description

쓰레기 처리 장치{REFUSE TREATMENT PLANT}
본 발명은 미생물로 분해 가능한 성분을 가진 쓰레기 중 유기물의 생물학적 산소성 분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물 및 입자 밀봉 방식이지만, 공기 및 수증기 투과성인 커버 타폴린(tarpaulin)을 구비한 폐쇄된 구조의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 처리 분야에서는 고체 이주 쓰레기의 생물학적 성분을 건조 및 산소성 분해하기 위한 여러 장치 및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산소성 쓰레기 처리시 오래전부터 있었던 문제점은 여기서 발생하는 폐가스, 즉 에어로졸, 먼지, 세균, VOC(volatile organic compound)와 같은 많은 양의 유해 방출물 및 악취 물질을 포함하는 폐가스인데, 이 폐가스는 건강을 해칠 수 있고 지역적 방출 한계치가 있다.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많은 간단한 장치에서는 세균 방출 제어 및 악취 제어와 관련한 문제점들이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발생하는 모든 가스들이 방해 없이 주변 대기로 새어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없애기 위해, 오래전부터 폐쇄형 시스템에서 산소성 쓰레기 처리가 이루어지며, 구조적으로 폐쇄된 건축물, 예컨대 컨테이너, 일 그룹의 터널 또는 박스에서 퇴비로 만드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폐쇄형 시스템은 기밀 하기 때문에, 폐가스가 건축물 내에 남아서 거기서 의도적으로 흡입된다. 이러한 폐쇄형 시스템에서의 단점은 이러한 장치를 만들 때 드는 높은 투자 비용과, 시스템 내부에서 생기는 폐가스의 방출과 정화를 위해 쓰이는 높은 비용이다. 특히, 바이오 필터 또는 바이오 세척기를 포함하는 폐가스 처리용 비용이 매우 높다.
폐쇄형 장치에 대한 대안으로서, 수년 전부터 큰 표면의 투과성 커버 타폴린이 사용된다. 상기 커버 타폴린은 쌓아올린 쓰레기 더미를 완전히 커버한다. 상기 커버링의 투과성은, 쓰레기 더미가 액티브하게 통기될 수 있고 동시에 세균 방출에 대한 보호 및 악취 감소가 주어지도록, 선택된다. 예컨대, DE 4231414 C2호에는 수밀하고 통기성인 박막 적층물을 가진 퇴비 더미용 커버링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커버링은 여러 단점을 갖는다. 한편으로는 쓰레기 더미가 쌓여지고 커버링되는 것이 시간적으로 차례로 이루어진다. 즉, 더미가 먼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쌓여진 다음, 커버 타폴린이 그 위로 덮여질 수 있다. 개방된(커버되지 않은) 더미 주위로 공기가 자유로이 흐를 수 있으면,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방출을 야기한다. 또한, 더미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더미로부터 커버링이 제거됨으로써, 제거를 위한 장치가 쓰레기 더미에 자유로이 접근할 수 있고 커버링의 손상을 야기하지 않는다. 커버의 제거는 다시 바람직하지 않은 방출을 야기한다. 종종 공급된 쓰레기는 분류, 분쇄 또는 혼합과 같은 예비 처리를 거쳐야 한다. 이러한 예비 처리 후에, 쓰레기는 개방된 채로 지면을 통해 더미까지 운반되고, 이때 주변으로의 바람직하지 않은 방출물이 방출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커버 타폴린을 씌우고 벗길 때 복잡한, 적어도 부분적인 수 동 조작에 의해 많은 인건비가 발생한다. 커버링의 조작은 쓰레기 더미의 높은 높이 때문에 어렵다. 또한, 커버 타폴린을 누르기 위한 에지 하중 물건, 예컨대 물로 채워진 소방 호스 및 모래 주머니가 제거된 다음 다시 배치되어야 한다. 커버 타폴린을 씌우거나 벗기기 위한 기계적 와인딩 기계를 사용할 때도 바람직하게는 2명 이상의 사람이 필요하다. 또한, 커버 타폴린을 풀거나 감을 때 타폴린 재료의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는 특히 박막 재료일 때 커버 타폴린의 기능을 현저히 떨어뜨린다. 작업 안전의 면에서 볼 때도, 쓰레기 더미 위에서 커버 타폴린에 의한 작업은 담당하는 사람에 있어서 문제가 없지않다. 한편으로는 쓰레기 더미를 밟고 넘어갈 때 사고 위험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쓰레기 더미가 커버되지 않았을 때 사람이 커버될 재료 및 방출물에 직접 접촉하는데, 이는 사람의 건상상 위험을 의미한다.
개량예에서는, 커버 타폴린이 쓰레기 더미로부터 분리될 필요 없이, 일 그룹의 더미를 쌓고 제거하기 위해 커버 타폴린을 승강시킬 수 있는 팽창성 지지 소자들이 커버 타폴린에 제공된다. 그러나, 여기서도 방출의 문제가 있는데, 그 이유는 일 그룹의 더미를 쌓고 제거하는 동안 더미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 시간에 유해 방출물이 방해 없이 주변 공기로 방출될 수 있다.
입법자와, 국내 및 지역적 인가 당국은 향후 폐쇄형 시스템을 선호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쓰레기 중 유기 성분을 산소성 분해하기 위한 쓰레기 처리 장치를 주변에 대해 폐쇄형 시스템으로서 형성하고 개선하며 저렴하게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더미를 쌓고 제거할 때에도 주변으로의 유해 방출을 방지하는 더미 커버링을 사용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상기 목적은 하나 이상의 베이 벽, 하나의 베이 지붕 및 쓰레기의 도입 및 제거를 위한 입구를 가진 베이, 상기 베이 내로 그리고 상기 베이로부터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통기 및 탈기 장치, 및 베이 벽의 외부면에 배치된, 쓰레기 중 유기 성분을 산소성 분해하기 위한 쓰레기 처리 챔버를 포함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베이는 베이 벽 개구를 통해 쓰레기 처리 챔버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 벽 개구는 쓰레기를 베이로부터 쓰레기 처리 챔버 내로 도입하기 위해 그리고 처리된 쓰레기를 쓰레기 처리 챔버로부터 베이 내로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쓰레기 처리 챔버는 승강 장치를 구비한 커버 타폴린에 의해 형성된다. 커버 타폴린은 커버 타폴린 에지를 가지며, 상기 에지는 고정 장치에 의해 베이 벽에 대해 그리고 바닥에 대해 부동으로 그리고 기밀 방식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 장치는 폐쇄형 시스템을 형성하고, 폐쇄된 베이를 더미 커버링과 연결하여 하나의 단일 시스템을 형성한다. 특히, 이러한 장치에 의해 쓰레기를 공급으로부터 그 예비 처리 및 후속하는 산소성 처리를 통해 주변에 대해 폐쇄된 챔버 내에서의 배출까지 유지함으로써, 유해 방출물과 주변 공기와 접촉이 피해진다.
상기 쓰레기 처리 장치에 의해, 산소성 처리 과정이 베이로부터 인접한 쓰레기 처리 챔버 내로 옮겨진다. 베이 벽 개구는 폐쇄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어 또는 게이트가 쓰레기 처리 챔버를 베이의 내부로부터 기밀 방식으로 분리한다. 쓰레기 처리 챔버를 채우거나 비우기 위해서만 베이 벽 개구가 개방되고, 처리의 전체 지속 시간 동안에는 상기 베이 벽 개구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베이는 현저히 작게 설계되고 형성될 수 있다. 베이는 쓰레기를 수용하기 위해서만 그리고 경우에 따라 필요한 처리 작업, 예컨대 분쇄 또는 혼합을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전체 장치에 대한 투자 비용이 감소되고, 동시에 작은 베이에 의해 작은 통기 및 탈기 용량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해서, 보다 작은, 따라서 보다 저렴한 베이 탈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후속하는 바이오 필터가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처리될 폐가스의 양이 선행 기술에 따른 폐쇄형 장치에서 보다 훨씬 적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투자 비용 및 작동 비용이 감소된다. 또한, 베이는 훨씬 더 긴 수명을 갖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강한 산소성 처리 과정에 더 이상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타폴린은 수밀성 및 통기성의 박막을 갖는다. 박막은 내부 및 외부에 대해 보호 배리어로서 작용한다. 내부에 대해 박막은 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일사가 강할 경우 건조를 방지한다. 외부에 대해 박막은 세균 방출 및 악취 배출을 방지하고, 그 통기성으로 인해 쓰레기 처리 챔버 내에서 산소성 분해에 의해 생기는 CO2 및 공기가 박막을 통해 새어나갈 수 있게 하며, 이때 커버 타폴린에서 압력 상승이 일어나지 않는다. 쓰레기 처리 챔버로부터 나온 폐가스는 특별히 흡입될 필요가 없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통기성 박막을 통해 예비 정화되어 주변으로 새어나가기 때문이다. 박막의 다공 구조는 폐가스로부터 나온 모든 유해 성분을 필터링한다. 바람직하게는 수밀성 및 통기성인 박막은 다공성이다. 박막의 다공성 실시예로 인해, 커버 타폴린은 200 Pa의 차압에서 3 내지 100 ㎥/㎡/h의 통기성을 갖는다.
또한, 박막을 가진 커버 타폴린은 20 ㎡Pa/W 보다 작은 수증기 투과 저항을 갖기 때문에 커버 타폴린을 통한 높은 수증기 투과를 보장한다. 상기 낮은 수증기 투과 저항은 젖은 재료의 건조 또는 발생한 공정수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쓰레기의 퇴적 및 물 뿌리기 그리고 그에 수반되는 잘못된 공정이 방지된다. 수증기 투과 및 통기성은 처리될 쓰레기가 충분히 통기되는 것을, 즉 처리될 쓰레기에 산소가 충분히 제공되고 압력 상승 없이 반응 생성물이 새어나갈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박막을 가진 커버 타폴린은 물 침투 압력이 10kPa 보다 클 때 수밀하다. 이는 강수에 의한 습윤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박막은 하나 이상의 직물 층과 결합된다. 직물 적층물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높은 수밀성 및 통기성과 더불어, 다공 박막이 악취 및 세균과 같은 방출물의 보류에 특히 적합하기 때문이다.
쓰레기 처리 챔버의 커버 타폴린은 커버 타폴린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승강 장치를 갖는다. 높이 조절은 페이 로우더 또는 텔레스코픽 벨트 컨베이어, 푸시 플로어 또는 스크레이퍼 플로어 또는 유사한 기술에 의해 처리 챔버를 채우고 비우기 위해 필요하다. 즉, 쓰레기 처리 챔버를 채우고 비우기 위해, 커버 타폴린은 충분히 큰 간격을 두고 쓰레기를 향해 배치됨으로써, 장치 또는 기계가 쓰레기 처리 챔버 내로 이동될 수 있어야 한다.
산소성 처리 과정 동안, 커버 타폴린이 처리될 쓰레기 상에 직접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산소성 분해 과정이 촉진되고, 커버 타폴린을 통한 수증기 투과가 촉진된다. 이러한 이유로, 커버 타폴린이 산소성 처리 동안 하강되거나 쓰레기 상에 직접 놓인다.
커버 타폴린의 승강은 커버 타폴린 에지를 제외하고 이루어진다. 쓰레기 처리 챔버가 커버 타폴린의 승강 동안 폐쇄형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서, 커버 타폴린 에지는 고정 장치에 의해 베이 및 바닥에 대해 부동으로 기밀방식으로 배치된다. 고정 장치는 커버 타폴린 에지를 쓰레기 처리 챔버의 전방 영역에서 베이 벽의 외부면에 고정시킨다. 쓰레기 처리 챔버의 측면 영역 및 단부 영역에 있는 커버 타폴린 에지는 고정 장치에 의해 바닥 또는 설치 벽에 직접 고정된다. 이와 관련해서, 기밀 방식은 폐가스가 장치의 내부로부터 베이와 처리 챔버 사이의 연결부 및 고정부를 통해 바닥으로 새어나올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부동 고정은 커버 타폴린 에지가 베이 벽 및 바닥 또는 설치 벽에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승강 과정 동안 커버 타폴린은 움직이지만, 커버 타폴린 에지는 움직이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압 승강 장치가 제공된다. 공기압 승강 장치는 다수의 팽창성 튜브를 갖는다. 장치의 상승 상태는 압축 공기로 채워진 튜브에 의해 구현된다. 이로 인해, 커버 타폴린은 상승되어 움직일 수 있는 베이 또는 챔버를 형성하며, 이것 내에서 처리될 쓰레기가 쌓여질 수 있다.
장치가 하강된 상태에서, 튜브들은 공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즉, 튜브들이 비어 있고 커버 타폴린은 쓰레기 더미를 덮는다. 따라서, 커버 타폴린은 통상의 더미 커버링과 같이 쓰레기 상에 놓인다.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들은 액체로 채워진다.
고정 장치는 예컨대, 스크류, 클램프, 못, 리벳 또는 척과 같은 고정 요소를 포함한다. 베이 벽 및 바닥 또는 설치 벽 내에 고정 요소의 고정은 면으로 그리고 기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쓰레기 처리 챔버는 주변에 대해 입자 밀봉 방식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고정 장치는 순응성(adaptive)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순응성 재료는 커버 타폴린 에지와 베이 벽 사이에 그리고 커버 타폴린 에지와 바닥 또는 설치 벽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재료는 벽 및 바닥 내의 평편하지 않음을 보상한다. 따라서, 어떤 나쁜 공기도 장치의 내부로부터 벽 또는 바닥 내의 공기 채널 또는 공기 브릿지를 통해 주변으로 나가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전체 장치에 있어서 나쁜 공기 비율이 감소된다. 순응성 재료로는 쉽게 변형 가능한 모든 가요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발포재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 플라스틱,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와 같은 직물 재료가 바람직하게는 방수 코팅되거나 또는 소수성 가공되어 사용된다. 순응성 재료는 스트립 또는 밴드로서 면으로 사용되고, 가능한 채널, 홈, 슬롯, 개구 및 다른 오목부를 기밀 방식으로 채우기에 충분한 재료가 있으면, 코킹 스트립도 사용될 수 있다. 밀봉할 개구의 크기 및 깊이에 따라 재료가 단층으로 또는 다층으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클램핑 프레임이 제공되며, 상기 프레임 내에 커버 타폴린 에지가 기밀 방식으로 클램핑된다. 클램핑 프레임 자체가 베이 벽 개구 내로 기밀 방식으로 클램핑되거나 또는 다른 모든 공지된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응하게 바닥 또는 설치 벽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은 도면을 참고로 하는 하기의 설명 및 특별한 실시예에 나타난다.
정의 및 시험 방법:
통기 및 탈기 장치: 생물학적 쓰레기 처리 장치의 폐가스 중의 방출 관련 공기 오염을 줄이기 위한, 특히 악취 물질, 기후 관련 가스, 유기 물질 및 먼지의 방출 제한을 위한 그리고 생존력 및 증식력이 있는 미생물의 감소를 위한 (폐가스 정화) 장치.
쓰레기 처리 장치: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성분을 가진 이주 쓰레기 또는 다른 쓰레기를 생물학적 방법에 의해 또는 생물학적 방법과 물리적 방법의 조합에 의해 처리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 이 장치는 특히 산소성 조건 하에서 쓰레기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방출은 생물학적 쓰레기 처리 장치로 인한 공기 오염이다. 쓰레기 처리 장치의 폐가스 흐름은 특정 방출 한계값을 유지해야 한다. 상기 방출 한계값은 예컨대 독일에서는 2002년 7월 24일자 연방 방출 보호법(TA_공기)에 규정되어 있다. 방출은 먼지, 에어로졸, 악취, 세균, 균포자, 종자 또는 다른 유사한 방출물의 배출을 총합해서 의미한다.
물 침투 압력 테스트
물 침투 압력 테스트는 재료 시편의 한 측면에 대해 물을 가압하며 재료 시편의 다른 측면에서 물의 통과를 관찰하는 것에 의존하는 유체 정력학적 저항 테스트이다.
수압은 20±2℃의 압축된 증류수를 100 ㎠의 면적을 가진 재료 시편에 점점 가압하는 테스트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물 상승 압력은 60±3 cmH2O/min이다. 수압은 시편의 다른 측면에서 물이 갖는 압력이다. 정확한 조치는 1981년 ISO 표준 No. 811에 규정되어 있다. "방수"는 재료가 적어도 10 kPa의 물 침투 압력을 견디는 것을 의미한다.
"다공성" 은 재료가 재료의 내부 구조를 통해 매우 작은, 미시적 다공을 가지며 상기 다공이 서로 연결된 연속하는 연결부 또는 재료의 한 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으로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공의 크기에 따라서, 재료는 공기와 수증기에 대해 투과성이지만, 유동성 물은 다공을 통과할 수 없다.
다공 크기의 측정은 플로리다, Hialeah, Coulter Electronics, Inc.에서 제조된 코울터 포로미터(Coulter PorometerTM)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코울터 포로미터는 ASTM 표준 E1298-89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다공 매체 내의 다공 크기 분포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기기이다.
그러나, 이용 가능한 모든 다공성 재료의 다공 크기가 상기 코울터 포로미터에 의해 결정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공 크기가 예컨대 광 또는 전자 현미경과 같은 현미경을 사용해서 결정될 수 있다.
미세 다공(microporous) 박막의 사용시, 이 박막은 0.1 내지 100 ㎛의 평균 다공 크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의 평균 다공 크기를 갖는다.
수증기 투과 저항 Ret
Ret 값은 부분 압력 기울기가 일정할 때 미리 주어진 표면을 통한 잠재 열 증발 흐름을 결정하는 표면 구조물 또는 재료의 특수한 재료 특성이다.
"수증기 투과성"은 재료가 150(㎡xPa)/W 미만의 수증기 투과 저항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구조물은 20(㎡xPa)/W 미만의 Ret를 갖는다. 수증기 투과성은 Bekleidungsphysiologischen Instituts e.V. Hohenstein의 표준 테스트 규정 No. BPI 1.4(1987)에 규정된 Hohenstein MDM Dry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통기성
통기성은 표면 구조물의 ㎡ 당 ㎥/h 으로 표시되고, 취리히 소재 Textest Instruments의 통기성 테스트 장치(FX 3300)를 사용해서 결정된다. 통기성은 ISO 9237(1995)에 의해 결정된다.
"통기성"은 200 Pa의 차압이 주어질 때 재료가 3 내지 100 ㎥/㎡/h의 통기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기밀성: 본 발명의 범주에서는 커버 타폴린 에지와 베이 벽 또는 커버 타폴린 에지와 바닥 또는 설치 벽의 결합 지점에서 공기가 내부로부터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장치의 작동 중에 약한 초과압을 가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기밀한 장치는 테스트 지점에서 안개 및 증기 덩어리를 갖지 않는다. 물론, 인공적 안개에 의한 테스트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기밀성은 입자 밀봉을 포함한다.
커버 타폴린 에지: 커버 타폴린의 에지측 경계이며, 전체 타폴린 둘레로 연장된다.
입자 밀봉: 쓰레기 처리 챔버에서 입자 밀봉은 입자 > 0.3㎛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입자는 공기 운반된,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의 입자, 예컨대 먼지, 포자 , 꽃가루 또는 에어로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 장치의 개략도.
도 1a는 도 1의 쓰레기 처리 챔버(16a)의 확대도.
도 1b는 도 1의 쓰레기 처리 챔버(16b)의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쓰레기 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쓰레기 처리 챔버의 커버 타폴린의 횡단면도.
도 5는 커버 타폴린 에지의 실시예.
도 6은 도 1의 쓰레기 처리 장치의 단면도.
도 6a는 도 6의 쓰레기 처리 챔버(16a)의 확대도.
도 6b는 도 6의 쓰레기 처리 챔버(16b)의 확대도.
도 7은 도 6의 부분 A 내의 고정 장치의 실시예의 확대도.
도 8은 도 6의 부분 A 내의 고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
도 9는 도 6의 부분 B 내의 고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
도 10은 고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
도 11 및 도 12는 기계적 높이 조절 구조를 가진 처리 챔버를 가진 쓰레기 처리 장치.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 장치(1)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쓰레기 처리 장치(1)는 하나 이상의 베이 벽(6), 베이 지붕(9) 및 입구(12)를 포함하는 베이(5)로 이루어진다. 측면의 베이 벽(6)의 외부면(8)에는 각각 다수의 쓰레기 처리 챔버(16)가 배치된다. 베이 지붕(9) 내에는 개구(11)가 배치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공기가 베이(5)의 내부로 들어온다. 입구(12)는 주변과 쓰레기 처리 장치(1) 사이의 연결부이며, 바람직하게는 단부측 베이 벽(6) 내에 폐쇄 가능하게 배치된다. 쓰레기(2)는 입구(12)를 통해 쓰레기 처리 장치(1) 내로 도입되어 제거된다. 예컨대, 입구(12)는 롤링 셔터 게이트 또는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되는 문에 의해 구현된다.
베이(5)는 처리될 쓰레기(1)가 쓰레기 처리 챔버(16) 내에서 산소성 분해되 기 전에, 상기 쓰레기의 수납, 예비 처리 및 분배를 위해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 쓰레기(2)는 베이(5) 내에서 분쇄, 혼합 및/또는 분류된다. 그리고 나서, 쓰레기(2)는 하나 이상의 쓰레기 처리 챔버(16) 내에서 쓰레기 더미로 형성된다. 각각의 쓰레기 처리 챔버(16) 내에서 그 안에 적층된 쓰레기(2)의 유기 성분의 산소성 분해가 일어난다. 산소성 처리 과정에 후속해서, 처리된 쓰레기가 다시 베이(5) 내로 그리고 베이(5)로부터 입구(12)를 통해 운반된다. 베이 벽(6)에 단 하나의 쓰레기 처리 챔버(16)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는 총 6개의 쓰레기 처리 챔버(16), 각각 3개가 나란히 제공된다. 쓰레기 처리 챔버(16)의 수는 임의이고 쓰레기 처리 장치(1)의 크기 및 스루풋에 의존한다.
베이(5)와 쓰레기 처리 챔버(16) 사이에는 폐쇄 가능한 개구 형태의 슬루스(sluice)가 베이 벽(6) 내에 제공되고, 상기 슬루스는 베이(5)의 내부를 쓰레기 처리 챔버(16)의 내부와 연결한다. 상기 베이 벽 개구는 쓰레기(2)를 베이(5)로부터 쓰레기 처리 챔버(16) 내로 도입하고 분해된 쓰레기를 상기 쓰레기 처리 챔버(16)로부터 베이(5) 내로 빼내기 위해 사용되며, 충분한 크기를 가져서 예컨대 페이 로우더, 접개들이 플로어, 벨트 컨베이어와 같은 적재 및 하역 차량 또는 장치가 상기 개구를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베이 벽 개구는 예컨대 롤링 셔터 게이트에 의해 폐쇄 가능하며 실제로는 쓰레기 처리 챔버(16)의 적재 및 하역을 위해서만 개방되어야 한다. 따라서, 쓰레기 처리 챔버 내에서의 산소성 분해 과정이 최적으로 진행되고, 유해 방출물이 쓰레기 처리 챔버(16)로부터 베이(5) 내로 도달될 수 없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구는 베이(5)에 대해 기밀 방식으로 폐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는 설치 벽(18)이 제공되며, 상기 설치 벽은 개별 쓰레기 처리 챔버(16)를 측면으로 제한한다. 설치 벽(18)은 바닥(16) 상에 설치되고 2.50 m 내지 3 m의 최대 높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치 벽(18)의 높이는 2 m 내지 2.50 m 이다.
쓰레기 처리 챔버(16)는 각각 커버 타폴린(30)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 타폴린은 승강 장치(20)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 장치(20)는 예컨대 팽창성 튜브(23)로 이루어진 공기압 지지 구조(22)에 의해 형성된다. 쓰레기 처리 챔버(16) 내에서 산소성 처리 과정이 일어난다. 이를 위해, 쓰레기 처리 챔버(16b)는 하강된 상태에 있어서, 즉 승강 장치(20)가 하강되어서, 그것에 고정된 커버 타폴린(30)이 처리될 쓰레기 상에 직접 놓인다. 맞은편 베이 벽(6)에서 쓰레기 처리 챔버(16a)는 세워진 상태로 도시된다. 즉, 승강 장치(20) 및 그것에 고정된 커버 타폴린(30)은 상승된다. 상승 과정에 의해, 적재 및 하역 장치 또는 적재 및 하역 차량이 접근 가능한 챔버가 형성된다. 따라서, 베이 벽 개구를 통해 쓰레기(2)가 챔버 내로 운반될 수 있거나 또는 챔버로부터 운반될 수 있다.
커버 타폴린(30)은 커버 타폴린 에지(32)를 갖는다. 상기 커버 타폴린 에지는 고정 장치(40)에 의해 베이 벽(6)에 그리고 쓰레기 처리 챔버(16)를 제한하는 설치 벽(18)에 부동으로 그리고 기밀 방식으로 배치된다. 설치 벽이 없는 경우에, 커버 타폴린 에지(32)는 바닥(50) 상에 직접 기밀 방식으로 고정 가능하다.
도 1a는 상승된 상태의 도 1에 따른 쓰레기 처리 챔버(16a)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쓰레기 처리 챔버(16a)는 승강 장치(20)를 구비한 커버 타폴린(30)에 의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장치는 공기압 높이 조절 구조(22)이고 팽창성 튜브(2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튜브에는 팬(24)을 통해 공기가 공급된다. 커버 타폴린 에지(32)는 고정 장치(40)에 의해 베이 벽(6)의 외부면(8)에 그리고 설치 벽(18) 상에 고정된다.
도 1b는 하강된 상태의 도 1에 따른 쓰레기 처리 장치(16b)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공기압 승강 장치(22)의 튜브(23)에 공기가 없으므로, 커버 타폴린(30)이 쓰레기 더미 상에 직접 놓인다.
도 2는 도 1의 쓰레기 처리 장치(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베이(5)에는 베이 팬(4)이 접속되며, 상기 팬은 방출물로 오염된 공기를 베이(5)의 내부로부터 흡입한다. 베이 지붕(9) 내에는 공기 공급구(11)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 공급구를 통해 깨끗한 공기가 베이(5) 내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공급구(11)는 베이의 임의의 장소에 제공될 수 있다. 베이 입구(12)의 개방도 신선한 공기를 공급한다. 베이(5) 내에 일정한 저압이 형성된다. 즉, 베이(5) 내의 공기압이 대기압보다 낮다. 따라서, 정화되지 않은 공기가 제어되지 않은 상태로 주변으로 새어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베이 팬(4)은 흡입된 베이 공기를 정화시키는 폐가스 필터(3), 예컨대 바이오 필터와 연결된다. 베이 팬(4) 및 폐가스 필터(3)는 함께 폐가스 정화 장치를 형성한다.
마주 놓인 측면의 베이 벽(6)의 각각의 외부면(8)에는 각각 다수의 쓰레기 처리 챔버(16)가 갈퀴형으로 또는 터미널 형태로 배치된다. 각각의 쓰레기 처리 챔버(16)는 하나의 승강 장치(20)를 구비한다.
도 3은 베이(5) 및 마주놓인 측벽들(6)에 연결된 각각 3개의 쓰레기 처리 챔버(16)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 장치(1)의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베이(5)는 하나 이상의 베이 벽(6), 하나의 베이 지붕(9) 및 하나의 베이 입구(12)로 구성된다. 베이 팬(4)은 베이(5)의 하나의 단부면에 배치되고, 베이로부터 폐가스를 흡입한다. 장치(1)의 크기에 따라 다수의 팬 및 바이오 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베이 지붕(9) 내의 공기 공급구(11)는 신선한 주변 공기를 베이(5)에 공급한다. 측면 베이 벽(6)의 외부면(8)에는 각각 3개의 쓰레기 처리 챔버(16)가 연결된다. 각각의 쓰레기 처리 챔버(16)는 커버 타폴린 에지(32)를 가진 커버 타폴린(30)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쓰레기 처리 챔버(16)는 바닥측이 설치 벽(18)에 의해 제한된다. 설치 벽(18)은 쓰레기 처리 챔버(16)의 외측면 경계로서 사용되고, 동시에 쓰레기 처리 챔버(16) 내로 그리고 쓰레기 처리 챔버(16)로부터 쓰레기의 운반이 용이해지며, 쓰레기를 설치 벽들(18) 사이에 쓰레기 더미로 적층하는 것이 간단해진다. 전방의 쓰레기 처리 챔버(16a)는 상승된 상태로 도시되고, 나머지 쓰레기 처리 챔버들(16b)은 하강된 상태로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 타폴린 에지(32)는 고정 장치(40)에 의해 베이 벽(6)에 그리고 설치 벽(18)에 고정된다. 커버 타폴린(30)은 팽창 가능한 튜브(23) 형태의 공기압 승강 장치(22)를 구비한다. 각각의 쓰레기 처리 챔버(16)와 베이(5) 사이에는 각각 슬루스 개구(도시 생략)가 베이 벽(6) 내에 제공되고, 상기 슬루스 개구는 베이(5)의 내부를 쓰레기 처리 챔버(16)의 내부와 연결한다. 슬루스 개구는 주로 폐쇄되며, 쓰레기(2) 또는 처리된 쓰레기가 쓰레기 처리 챔버(16) 내로 또는 쓰레기 처리 챔버(16)로부터 운반될 때만 개방되어야 한다.
각각의 쓰레기 처리 챔버(16)는 커버 타폴린(30)의 승강 장치(20)로 인해 2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산소성 처리 과정 동안, 쓰레기 처리 챔버(16b)는 하강된 상태이다. 즉, 커버 타폴린(30)이 직접 쓰레기 상에 놓인다. 쓰레기 처리 챔버(16a)를 채우고 비우기 위해서만 이것은 상승된 상태에 있다. 승강 장치(20)가 상승됨으로써, 이 승강 장치와 연결된 커버 타폴린(30)이 상승된다. 따라서, 적재 및 하역 장치 또는 차량이 쓰레기 처리 챔버(16a)의 내부에 이를 수 있다.
쓰레기 처리 챔버(16a)는 상승된 상태에 있다. 즉, 튜브(23)은 팽창되고 커버 타폴린(30)은 상승되었다. 쓰레기는 개방된 베이 벽 개구를 통해 쓰레기 처리 챔버(16a) 내로 또는 쓰레기 처리 챔버(16a)로부터 운반될 수 있다.
쓰레기 처리 챔버(16b)는 하강된 상태에 있다. 튜브(23)에 공기가 없고, 이로 인해 커버 타폴린(30)은 쓰레기(2) 상에 놓이며, 산소성 분해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 벽 개구는 폐쇄되어 있다.
커버 타폴린 에지(32)는 커버 타폴린(30)의 외부 에지측 경계이다. 쓰레기 처리 챔버(16)는 커버 타폴린 에지(32)를 통해 베이(5) 및 바닥(50) 또는 설치 벽(18)에 고정 연결된다. 이를 위해, 커버 타폴린 에지(32)는 고정 장치(40)에 의해 베이 벽(6) 및 바닥 또는 설치 벽에 대해 부동으로 기밀 방식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주변에 대해 폐쇄된 쓰레기 처리 챔버(16)가 형성된다. 커버 타폴린 에지(32)의 기밀 방식 고정은, 쓰레기 처리 챔버(16)의 내부로부터 주변으로, 예컨대 커버 타폴린 에지(32)와 베이 벽(6) 사이의 공기 브릿지를 통해 폐가스의 나쁜 공 기 흐름이 이루어질 수 없게 한다. 부동 고정은 커버 타폴린 에지(32)가 커버 타폴린(30)의 승강 과정 동안에도 항상 고정적으로 움직일 수 없게 그 고정된 위치에 머물러 있어서, 쓰레기 처리 챔버(16)가 항상 폐쇄형 시스템으로서 주어진다는 견지에서 움직일 수 없는 고정이다.
쓰레기 처리 챔버(16a)는 전방 및 단부 영역, 그리고 그 사이에 놓인 측면 영역을 갖는다. 전방 영역은 베이 벽(6)에 인접하고 베이 벽 개구를 둘러싼다. 전방 영역 내의 커버 타폴린 에지(32)는 베이 벽(6)에 고정된다. 측면 영역 및 단부 영역 내의 커버 타폴린 에지(32)는 설치 벽(18) 상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측면 영역 및 단부 영역 내의 커버 타폴린 에지(32)는 바닥(50) 상에 직접 고정된다.
승강 장치(20)는 공기압 지지 구조(22) 또는 기계적 높이 조절 구조(26)를 포함한다.
공기압 지지 구조(22)는 하나 이상의 유체로 채워질 수 있는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 소자(23)를 갖는다. 지지 소자를 채우는 유체는 가스, 증기, 액체 또는 가스 및 액체일 수 있다. 즉, 지지 소자는 하나 이상의 가스 또는 하나 이상의 액체 또는 하나 이상의 가스 및 하나 이상의 액체로 채워질 수 있다. 지지 소자들은 적어도 기밀 방식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소자들은 팽창성 튜브(23)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승강 장치(20)는 전방 영역 및 단부 영역을 가진 반원형 터널을 갖는다. 전방 영역은 커버 타폴린 에지(32)를 통해 베이 벽(6)에 고정된 다. 지지 소자의 실시예에 따라, 승강 장치는 세워진 상태로 임의의 형상, 예컨대 장방형, 둥근 지붕형,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기압 승강 장치(22)는 임의의 많은 지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커버 타폴린(30)의 충분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전체 장치에 충분한 안정성을 주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지지 소자들이 필요하다. 도 3에는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그리고 수평으로 배치된 지지 소자들이 주어지며, 이들은 서로 크로스되어 배치된다. 지지 소자들은 바닥에 대해 일정한 각으로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공기압 승강 장치(22)는 하나 이상의 유체 유입부(51) 및 하나 이상의 유체 배출부(5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유입부(51)는 동시에 유체 배출부(53)이다. 각각의 지지 소자는 고유의 유체 유입부(51)와 유체 배출부(53)를 갖거나, 또는 지지 소자들이 유체가 모든 지지 소자들을 통해 흐를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되는 경우, 모든 지지 소자들에 대해 하나의 유체 유입부(51) 및 하나의 유체 배출부(53)로 충분하다. 유체 유입부(51)는 지지 소자 내의 개구이고, 상기 개구 내로 팬(24)에 대한 연결 부재가 용접된다. 연결 부재는 예컨대 PVC 파이프일 수 있다. 유체 배출부(53)는 예컨대 이탈리아, 마일랜드 소재의 Scoprega S.p.A 사의 통상의 밸브이다. 팬(24)은 공기압 승강 장치(23) 외부에서 유체 유입부(51)에 접속되고 지지 소자들에 하나 이상의 유체를 공급한다.
지지 소자들(2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즉, 지지 소자들(23)이 서로 직접 그 접촉점에서 연결되거나, 지지 소자들(23)이 개별 접촉점에서만 서로 연결되거나, 개별 지지 소자만이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지지 소자들(23)이 간접 적으로 예컨대 연결 스트립, 레일 또는 라인과 같은 보조 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모든 실시예가 가능하다. 지지 소자들(23)은 예컨대 커버 타폴린을 통해서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지지 소자(23)는 인접한 지지 소자(23)와 개별 접촉점에서 연결된다. 지지 소자들(23)의 연결은 세워진 상태에서 안정한 자체 지지(self-supporting) 구조가 주어지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소자들(23)은 그 교차점 또는 접촉점에서 중첩되고, 수평의 그리고 수직의 지지 소자들(23)의 접촉되는 표면들이 서로 접착되거나, 꿰매지거나, 용접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소자들(23)은 교차점 또는 접촉점에서, 수평 지지 소자들의 횡단면이 수직의 지지 소자들의 횡단면 내로 돌출하도록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유체가 하나의 점으로부터 지지 소자들(23)의 전체 구조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이는 단 하나의 팬(24)만이 승강 장치에 접속되면 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조는 특히 안정적인데, 그 이유는 바람직한 압력 분배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개별적인,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 소자들만이 제공되며, 이 지지 소자들은 수평의 유체 파이프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유체 파이프는 지붕 합각 머리 내에 또는 바닥 근처에 연장될 수 있고, 유체 유입부(51)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모든 지지 소자들에 분배한다. 유체 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강성의 플라스틱 파이프 또는 금속 파이프이고, 유체 유입부(51)에 주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물론, 상기 파이프는 가요성 기밀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세워진 상태에서 3차원의 구조물이 형성된다면, 지지 소자들(23)은 모든 임의의 서로 간의 배치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소자들(23)은 액체 또는 가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유체로 채워질 수 있다. 즉, 이들은 가스 또는 액체가 관류할 수 있는 횡단면을 가져야 한다. 지지 소자(23)의 내부에 필요한 경우 제공되는 보강 소자는 그 관류 가능성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커버 타폴린(30)의 충분한 안정성 및 지지면을 위해, 지지 소자(23)의 횡단면은 적어도 10 cm의 직경을 가져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경은 50 cm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 소자들은 적어도 80 cm의 직경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90 cm 내지 110 cm의 직경을 갖는다.
지지 소자들은 예컨대 튜브 또는 다른 중공체와 같은 임의의 3차원 구조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 소자들(23)은 튜브이다. 지지 소자들(23)은 임의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둥근 횡단면이 특히 바람직하다. 둥근 횡단면은 간단히 제조되고 지지 소자들(23) 내에서 최적의 압력 분배를 가능하게 한다. 지지 소자들은 예컨대 타원형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소자들은 가스로 팽창 가능한 튜브(23)이다. 가스로는 바람직하게는 지지 소자들(23) 내에서 적어도 200 Pa의 초과압을 갖는 공기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공기는 적어도 10 kPa의 초과압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는 15 내지 22 kPa의 초과압으로 작동된다. 공기 외에 헬륨 또는 다른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소자들(23)은 예컨대 물과 같은 액체로 채워질 수 있 다.
지지 소자들(23)은 액체 및 가스로도 채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액체는 지지 소자(23)의 하부 부분에 그리고 가스는 지지 소자(23)의 상부 부분에 도입된다. 상기 하부 부분은 지지 소자(23)의 바닥 근처 영역, 예컨대 벽 영역을 포함하고, 상부 부분은 바닥으로부터 먼 영역, 예컨대 지붕 영역을 포함한다. 이는 유체가 동시에 바닥(50) 상의 장치를 안정화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지지 소자 내의 너무 높은 압력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초과압 밸브(55)가 제공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초과압 밸브(55)는 예컨대 내압이 25 kPa 이상일 때 개방되고, 따라서 초과압에 의한 지지 소자의 파괴를 방지한다. 예컨대, 미국, 플로리다, 세인트 피터스버그 소재, 제조업자 Halkey Roberts의 초과압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지지 소자들(23)에 대한 재료로는 수밀하고 기밀한 재료, 예컨대 PVC 코팅된 지지체 직물이 사용된다. 상기 재료는 긴 수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충분한 내기후성 및 내마모성을 가져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료가 가요성을 가져서 폴딩될 수 있음으로써, 하강된 상태에서 지지 소자들(23)이 수축될 수 있다. 상기 폴딩 가능성의 특징은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데, 그 이유는 지지 소자들(23)을 비우는 동안 그리고 비운 후에, 커버 타폴린(30)을 쓰레기 더미의 표면 상에 정확한 배치를 위해서, 장치의 수축이 제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쓰레기 처리 챔버(16)의 커버 타폴린(30)은 공기압 승강 장치(20)의 지지 소자(23)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상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 타폴린(30)은 지지 소자들(23) 사이에 배치되고, 특히 원주 방향으로 지지 소자들(23)에 의해 제한된 커버 타폴린(30)의 면이 채워지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타폴린(30)은 지지 소자들의 하부면 상에 배치된다. 커버 타폴린(30)은 모든 공지된 고정 방식으로 지지 소자들(2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을 위한 고정 방법은 압력 또는 자석 버튼, 벨크로(velcro), 후크에 의한 결합, 꿰맴, 접착, 용접 또는 마찰 결합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타폴린(30)의 오염 또는 손상 시에 상기 커버 타폴린(30)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교체하기 위해, 커버 타폴린(30)은 지지 소자들(23)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다.
실시예에서, 커버 타폴린(30)은 지지 소자들(23)의 전체 하부면을 커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커버 타폴린(30)이 승강 장치(20)의 지붕 영역의 하부면만을 커버한다. 상기 특히 저렴한 실시예는 승강 장치(20)의 벽 부분에 설치된 수밀성 보호층(56)을 추가로 사용한다. 상기 수밀성 보호층(56)은 일반적으로 커버 타폴린(30)보다 저렴하고 예컨대 PVC 코팅된 지지체 직물과 같은 강한 내마모성 재료를 갖는다. 따라서, 쓰레기 처리 챔버(16)가 상승된 상태에서 기계 및 차량에 의한 측벽의 손상에 대해 추가로 보호된다.
쓰레기 처리 챔버 내에서 쓰레기 더미의 충분한 통기를 위해, 커버 타폴린(30)이 충분한 통기성을 가짐으로써, 쓰레기 내의 유기 성분의 산소성 분해 과정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 커버 타폴린(30)의 통기성은 200 Pa의 차압이 주어질 때 3 내지 100 ㎥/㎡/h 이다. 커버 타폴린(30)은 물 침투 압력이 10 kPa 보다, 바람 직하게는 50 kPa 보다 클 때 수밀하다. 물 침투 압력은 1 MPa까지 일 수 있다.
커버 타폴린(30)의 수증기 투과 저항 Ret은 15 ㎡Pa/W 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10 ㎡Pa/W 보다 작다.
커버 타폴린은 통기성 및 수밀성 직물, 통기성 및 수밀성 박막 또는 통기성 및 수밀성 박막을 가진 적층물이다. 직물로는 예컨대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직물과 같은 타이트 압축된 또는 타이트 직조된 직물이 사용될 수 있다.
승강 장치(20)가 하강된 상태에서 커버 타폴린이 쓰레기 더미의 표면 상에 놓이고 커버 타폴린 및 지지 소자의 초과 재료가 쓰레기 더미 둘레에서 폴딩될 수 있도록, 커버 타폴린(30)은 가요성, 그에 따라 폴딩 가능한 재료이어야 한다.
수밀성 및 통기성 커버 타폴린으로는 바람직하게 하나의 박막(34)과 하나 이상의 직물 층(36)을 포함하는 적층물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막(34)이 다공성이고, 상기 박막의 다공은 필요한 가스 스루풋이 가능하도록 충분히 커야 한다. 박막(34)은 예컨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또는 플루오로폴리머 그룹으로 선택된 재료이다.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박막이 미세 다공 박막이다. 박막은 얇고, 가볍고, 가요성이며 폴딩 가능하다. 상기 박막은 추가로 수증기 투과성이며, 통기성이고 수밀하다.
바람직한 미세 다공 박막은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플루오로폴리머;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및 그 조합물;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신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으로 이루어진 박막이 사용된다. ePTFE로 이루어진 박막은 5-500㎛, 바람직하게는 15-60㎛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재료는 다수의 개방된, 서로 연결된 중공 챔버, 큰 중공 챔버 용적 및 큰 두께를 특징으로 한다. 신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은 부드럽고, 가요성을 가지며, 안정한 화학적 특성, 가스 및 증기에 대한 높은 투과성 및 양호한 방오 특성의 표면을 갖는다.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냉간 파괴 강도가 높기 때문에 모든 기후의 지역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재료는 가스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다. 다공성 및 다공 크기는 가스 확산이 방지되도록 선택된다. 평균 다공 크기는 0.1-100 ㎛,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일 수 있고, 전술한 코울터 테스트(Coulter Test)에 따라 결정된다. 다공율은 30-90%, 바람직하게는 50-80%이다. 동시에, 재료는 수밀하다. 이러한 다공성 박막을 신장된 PTFE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예컨대 미국 특허 US 3,953,566 및 US 4,187,390 호에 공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미세 다공 박막은 그것을 추가로 보호하고 그 강도를 높이는 직물 지지체 재료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체 재료는 연속적인 또는 불연속적인 접착제 층에 의해 박막의 표면 중 하나 이상에 적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체 재료가 짜여진 또는 뜨여진, 천연 또는 합성 직물 재료로 이루어진 직물 표면 구조물이다. 부직포도 사용될 수 있다. 직물 재료로는 특히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유리 섬유, 플루오로폴리머 또는 PTFE로 직조된 직물이 적합하다. 지지체 재료는 외부로 대기를 향하도록 배치 된다. 별법으로서, 다른 박막 표면상에 다른 직물 표면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박막은 방오 가공된다. 박막의 방오 가공은 박막의 다공이 현저히 감소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박막이 오일율 > 1, 이상적으로는 오일율 > 5 을 가짐으로써, 유기물에 의한 습윤 및 오염이 영구 방지된다. 방오 가공은 바람직하게는 DE 43083692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방오 가공된 ePTFE 박막이 특히 바람직하다. 방오 가공된 미세 다공 박막은 하나 이상의 직물 적층된 지지체 층을 가질 수 있다.
직물 지지체 재료의 경우, 비교적 높은 오일율은 통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플루오로 카본 코팅의 사용에 의해 얻어진다. 통상, 액상의 방오 가공제가 방오 가공 재료상에, 예컨대 침지(dipping), 함침(impregnation), 스퍼터링, 코팅, 페인팅, 롤링에 의해 제공된다.
3층-적층물 형태의 특히 바람직한 커버 타폴린은 도 4에 도시된다. 2개의 직물 지지체 재료(36) 사이에는 수밀한, 수증기 투과성 박막(34)이 배치된다. 박막은 바람직하게는 ePTFE로 이루어진 미세 다공 박막이다. 박막의 다공 크기는 0.1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이다. 이러한 작은 다공 크기는 세균 및 바이오-에어로졸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동시에, 주변과의 충분한 가스 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적층물은 예컨대 WO 01/21394 A1호에 개시되고 W.L. Gore & Associates GmbH(뮌헨의 푸츠브룬 소재)를 통해 Gore®-Cover로 구매 가능하다.
도 5는 커버 타폴린 에지(32)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편평한 보강 스트립이 타폴린(30)의 외부 에지에 고정된다. 상기 보강 스트립은 커버 타폴린 에지(32)를 형성하고, 예컨대 PVC로 양면이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직물로 편평한 스트립으로 형성된다. 보강 스트립은 그것의 강한 재료 구조로 인해 고정 장치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갖는다. 상기 스트립은 커버 타폴린(30)의 외부 에지를 따라 예컨대 다수의 시임(33)에 의해 고정되어서, 특히 보강 스트립이 승강 과정 동안 커버 타폴린(30)에 의한 부하에 의해 균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시임 대신에, 스트립을 설치하기 위한 접착 또는 용접과 같은 방법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따른 쓰레기 처리 장치(1)의 선 Ⅵ-Ⅵ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쓰레기 처리 챔버들(16a, 16b) 사이에는 베이(5)가 놓인다. 베이(5)의 지붕 내에는 신선한 공기를 베이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개구(11)가 있다. 쓰레기 처리 챔버들(16a, 16b)은 각각 폐쇄 가능한 베이 벽 개구(7)를 통해 베이(5)와 연결된다. 베이 벽 개구(7)는 예컨대 롤링 셔터 게이트 형태의 도어(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쓰레기 처리 챔버(16a)는 상승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커버 타폴린(30)은 승강 장치(20)에 의해 상승되고 쓰레기 더미(2) 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베이 벽 개구(7)가 개방됨으로써, 예컨대 페이 로우더가 쓰레기 더미를 쌓거나 제거하기 위해 진입될 수 있다. 쓰레기 처리 챔버(16b)는 하강된 상태에 있으므로, 승강 장치(20)가 하강되고, 커버 타폴린(30)이 쓰레기 더미를 직접 커버한다. 베이 벽 개구(7)는 폐쇄되어 있다.
각 처리 챔버(16a, 16b)의 각 커버 타폴린 에지(32)는 고정 장치(40)에 의해 베이 벽(6)에 그리고 설치 벽(18)에 고정된다. 고정 장치(40)는 커버 타폴린 에 지(32)를 베이 벽(6)에 대해 그리고 바닥(50)에 대해 부동으로 그리고 기밀 방식으로 배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고정 장치(40)는 예컨대 스크류, 못, 핀, 클램프, 리벳과 같은 고정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요소들은 커버 타폴린 에지(32)를 통해 베이 벽(6) 또는 설치 벽(18) 또는 바닥(50)에 편평하게 그리고 기밀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커버 타폴린 에지(32)는 승강 과정 동안 부동으로 그 고정 위치에 유지되고, 따라서 전체 쓰레기 처리 챔버(16)는 주변에 대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고정 장치(40)에 의한 커버 타폴린 에지(32)의 배치는 기밀하다. 즉, 쓰레기 처리 챔버(16)의 내부로부터 어떤 나쁜 공기 및 유해한 방출물도 빠져나갈 수 없다.
따라서, 전체 쓰레기 처리 챔버는 입자 기밀하다. 즉, 입자(> 0.3 ㎛)가 커버 타폴린을 통해서도 그리고 커버 타폴린과 베이 벽 또는 설치 벽 사이의 연결부를 통해서도 쓰레기 처리 챔버를 벗어날 수 없다. 베이 벽 개구(7)의 개방시에만 유해 방출물이 베이 내부로 빠져나갈 수 있으나, 거기서 이것이 흡입되어 폐가스 처리부에 공급될 수 있다.
벽과 바닥의 표면이 평탄하지 않음으로 인해, 그리고 벽 또는 바닥에 배치 시에 커버 타폴린 에지(32)의 폴딩 형성으로 인해, 순응성 재료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밀봉층(42)이 커버 타폴린 에지(32)와 벽 또는 바닥 사이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상기 밀봉층은, 쓰레기 처리 챔버(16)가 베이에 기밀 방식으로 고정되게 하기 위해, 벽 또는 바닥에서 평탄하지 않음을 보상하고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밀봉층 또는 순응성 재료(42)에 의해, 벽들(6, 18)과 커버 타폴린 에지(32) 사이의 기밀한 포지티브 결합이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커버 타폴린 에지(32)의 고정부 내부에 공기 브릿지가 형성되고 쓰레기 처리 챔버의 내부로부터 나쁜 공기가 주변으로 새어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순응성 재료는 탄성의 부드러운 재료, 예컨대 고무 또는 발포재이다. 순응성 재료로서, 가요성 재료는 발포재, 고무, 코팅된 지지체 재료, 폴리머 스트립, 코팅된 직물을 포함하는 재료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고정 장치(40)의 실시예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5)의 바닥에는 다수의 제1 바닥 개구(52)가 제공된다. 베이 팬(4)에 추가해서 공기는 베이(5)로부터 제1 바닥 개구(52)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쓰레기 처리 챔버(16a, 16b)의 내부의 바닥에는 다수의 제2 바닥 개구(54)가 제공된다. 상기 바닥 개구는 별도의 팬(60)을 통해 공기가 쓰레기 처리 챔버 내로 안내됨으로써, 쓰레기 더미가 통기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폐가스는 베이(5)로부터 제1 바닥 개구(52)를 통해 흡입되고, 바닥 채널을 통해 제2 바닥 개구(54)에 공급된다. 기본적으로 각각의 개별 쓰레기 처리 챔버에는 개별 팬(60)이 할당 배치된다. 상기 팬(60)은 산소성 처리 과정 동안 공기를 또는 필요한 경우 폐가스를 쓰레기 처리 챔버(16)의 내부로 안내한다. 따라서, 흡입된 베이 공기는 쓰레기의 통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기는 커버 타폴린(30)의 통기성 박막(34)을 통해 다시 주변으로 이른다. 공기의 정화는 박막의 다공 구조에서 일어난다.
도 6a는 상승된 상태의 도 6의 쓰레기 처리 챔버(16a)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공기압 승강 장치(22)는 공기로 채워지고, 베이 벽 개구(7)는 쓰레기 처리 챔버(16a)를 채우거나 비우기 위해 개방된다. 제2 바닥 개구(54)는 통기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베이(5)로부터 나온 정화되지 않은 공기는 베이 팬(4)에 의해 베이(5)의 내부로부터 제1 바닥 개구(52)를 통해 흡입되고 폐가스 필터(3)에서 정화 후에 주변으로 방출된다.
도 6b는 하강된 상태에서 도 6의 쓰레기 처리 챔버(16b)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공기압 승강 장치(22)의 튜브(23)에 공기가 없기 때문에, 커버 타폴린(30)은 쓰레기 상에 직접 놓인다. 베이 벽 개구(7)는 도어(10)에 의해 폐쇄된다. 베이(5)의 내부로부터 흡입된 폐가스는 통기 공기로서 제2 바닥 개구(54)를 통해 쓰레기 처리 챔버(16b) 내로 이른다.
도 7는 도 6 내의 영역(A)에서 고정 장치(40)의 실시예를 확대도로 도시한다. 베이 벽(6)과 커버 타폴린 에지(32) 사이에는 순응성 재료로 이루어진 밀봉층(42)이 배치된다. 상기 재료는 베이 벽(6) 내의 평탄하지 않음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됨으로써, 커버 타폴린 에지(32)와 베이 벽(6) 사이에 어떤 공기 채널도 형성되지 않는다. 밀봉층은 일 실시예에서 영구 변형 가능한 PVC 막이고, 예컨대 10 cm의 폭을 가진 편평한 스트립으로서 주어진다. 커버 타폴린 에지(32) 상에는 플레이트(46)가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다른 층과 함께 베이 벽(6)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편평한 압착력이 커버 타폴린 에지(32)와 밀봉층(42)에 가해진다. 상기 플레이트(46)는 규칙적으로 배치된 고정 스크류(44)용 개구를 가진 금속 플레이트일 수 있다. 스크류(44)는 플레이트(46), 커버 타폴린 에지(32) 및 밀봉층(42)을 통해 베이 벽(6) 내에 고정된다. 다수의 스크류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가 면으로 커버 타폴린 에지(32)와 밀봉층(42) 상에 가압되고, 층들을 베이 벽(6)에 대해 단단히 가압한다. 베이 벽(6)과 커버 타폴린 에지(32) 사이의 통기성 포지티브 결합이 형성된다. 설치 벽(18)의 영역에는, 동일한 상기 고정 구조에 따른 커버 타폴린 에지(32)가 각각의 설치 벽 상에 기밀 방식으로 그리고 부동으로 고정된다. 동일한 것이 바닥(50)에 고정 시에 적용된다.
도 8은 도 6의 영역(A) 내의 고정 장치(40)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도로 도시한다. 여기서, 커버 타폴린 에지(32)는 도 5에 따른 보강 스트립에 의해 형성된다. 보강 스트립이 충분한 강도를 갖기 때문에, 플레이트(46)는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44)는 보강 스트립(32) 및 밀봉층(42)을 기밀 방식으로 베이 벽(6)에 고정시킨다.
도 9는 도 6의 영역(B) 내의 고정 장치(40)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도로 도시한다. 장치는 도 7에 거의 상응하지만, 층들이 베이 벽 개구(7) 및 베이 벽(6)의 내부면에 각을 이루며 고정된다.
도 10은 고정 장치(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프레임(48)에 상응하는 형상의 베이 벽 개구(7) 내에 커버 타폴린 에지(32)가 기밀 방식으로 클램핑된다. 프레임(48)은 기밀 방식으로 베이 벽 개구(7) 내로 압입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베이 벽(6)에 대한 커버 타폴린(30)의 고정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남은 커버 타폴린 에지는 수평으로 형성된 클램핑 프레임(49)에 의해 바닥(50) 또는 설치 벽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기계적 높이 조절 구조(26) 형태의 승강 장치(20)를 가진 처리 챔버(16)를 구비한 쓰레기 처리 장치(1)를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26)는 금속, 특히 특수강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설치 벽(18)에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빼내질 수 있는 지지체들(27)이 고정된다. 지지체들(27)은 지지 로드(28)와 연결되어 높이 조절 가능한 프레임을 형성한다. 프레임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는 커버 타폴린(30)이 고정되고, 상기 커버 타폴린(30)은 쓰레기 처리 챔버(16)를 형성한다. 도 11에서는 지지체(27)가 빼내지고, 커버 타폴린(30)이 상승되어 쓰레기 더미 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커버 타폴린 에지(32)는 전술한 고정 장치(40)에 의해 베이 벽(6)에 그리고 설치 벽(18)에 부동으로 그리고 기밀 방식으로 고정된다. 도 12에서, 지지체들(27)은 서로의 내부로 삽입되고, 쓰레기 처리 챔버(16)는 하강된 상태여서, 커버 타폴린(30)은 쓰레기 더미 위에 놓여 산소성 처리 과정을 촉진시킨다.

Claims (27)

  1. a) 베이 벽(6), 베이 지붕(9) 및 쓰레기(2)의 도입 및 제거를 위한 입구(12)를 구비한 베이(5);
    b) 상기 베이(5) 내로 그리고 상기 베이(5)로부터 공기를 공급하고 배출하기 위한 통기 및 탈기 장치(14);
    c) 상기 베이 벽(6)의 외부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쓰레기 처리 챔버(16); 및
    d) 상기 베이(5)를 상기 쓰레기 처리 챔버(16)와 연결하며, 상기 베이(5)로부터 상기 쓰레기 처리 챔버(16) 내로 상기 쓰레기(2)를 도입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쓰레기 처리 챔버(16)로부터 상기 베이(5) 내로 처리된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베이 벽 개구(7)
    를 포함하며, e) 상기 쓰레기 처리 챔버(16)는 승강 장치(20)를 구비한 커버 타폴린(30)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커버 타폴린(30)은 커버 타폴린 에지(32)를 가지며, 상기 커버 타폴린 에지(32)는 고정 장치(40)에 의해 상기 베이 벽(6) 및 상기 바닥에 대해 부동으로 그리고 기밀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처리 챔버(16)는 설치 벽(18)을 가지며, 상기 설치 벽(18)은 상기 쓰레기 처리 챔버(16)의 바닥 측을 제한하고, 상기 커버 타폴린(32)은 상기 베이 벽(6) 및 상기 설치 벽(18)에 대해 부동으로 그리고 기밀 방식 으로 배치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40)는 하나 이상의 순응성 재료(42)를 포함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42)는 발포재, 고무, 코팅된 지지체 재료 및 폴리머 스트립과 같은 가요성 재료를 포함하는 재료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42)는 코팅된 직물을 포함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42)는 상기 커버 타폴린 에지(32)와 상기 베이 벽(6) 사이에 그리고 상기 커버 타폴린 에지(32)와 상기 바닥(5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7. 제2항 및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42)는 상기 커버 타폴린 에지(32)와 상기 베이 벽(6) 사이에 그리고 상기 커버 타폴린 에지(32)와 상기 설치 벽(18)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40)는 상기 커버 타폴린 에지(32)가 고정된 하나 이상의 클램핑 프레임(48)을 포함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40)는 스크류, 못, 클램프, 리벳과 같은 고정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처리 챔버(16)는 주변에 대해 입자 밀봉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타폴린(30)은 수밀성 및 통기성 박막(34)을 포함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34)이 다공성인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34)이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또는 플루오로폴리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34)은 신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을 포함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34)이 하나 이상의 직물 층(36)과 결합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층(36)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유리 섬유 또는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타폴린(30)은 차압이 200 Pa일 때 3 내지 100 ㎥/㎡/h 의 통기성을 갖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20)는 공기압 지지 구조(22) 또는 기계적 높이 조절 구조(26)를 포함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지지 구조(22)는 다수의 팽창 가능한 튜브(23)를 갖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23)는 적어도 10 kPa의 압력을 견디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지지 구조(22)는 유체로 채워질 수 있는 다수의 튜브를 갖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높이 조절 구조(26)는 높이 조절 가능한 지지체(27)를 갖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7)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빼내질 수 있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5)의 바닥 내에 다수의 제1 바닥 개구(52)가 제공되고, 상기 통기 및 탈기 장치(14)는 상기 바닥 개구(52)를 통해 공기를 상기 베이(5)의 내부로부터 방출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25. 제1항 및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처리 장치(16)의 내부의 바닥 내에 다수의 제2 바닥 개구(54)가 제공되고, 상기 통기 및 탈기 장치(14)는 상기 베이(5)로부터 방출된 공기를 상기 제2 바닥 개구(54)를 통해 상기 쓰레기 처리 챔버(16)의 내부에 공급하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 벽 개구(7)은 폐쇄 가능한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및 탈기 장치(14)는 하나 이상의 폐가스 필터(3)를 갖는 것인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0067026529A 2004-05-28 2005-05-25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70022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6529A KR20070022329A (ko) 2004-05-28 2005-05-25 쓰레기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26694.8 2004-05-28
KR1020067026529A KR20070022329A (ko) 2004-05-28 2005-05-25 쓰레기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329A true KR20070022329A (ko) 2007-02-26

Family

ID=4365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529A KR20070022329A (ko) 2004-05-28 2005-05-25 쓰레기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23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4298C (en) Refuse treatment plant
KR20050084037A (ko) 덮개 장치
ZA200605846B (en) A containment device
WO2017181677A1 (zh) 一种自除臭堆肥化处理系统
ES2269181T5 (es) Cubierta para tratamiento aeróbico de materia biodegradable.
KR20150126366A (ko) 하나 또는 복수의 독성 물질을 포함하는 표면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E4440464C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minderung des Austritts umweltbelastender Bestandteile
US20090197327A1 (en) Culturing Bag
EP0525842B1 (en) Storage vessel
KR20070022329A (ko) 쓰레기 처리 장치
FI67805B (fi) Foerfarande och apparat foer impregnering av aotminstone en krpp som helt eller delvis bestaor av trae
UA76169C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containers with granular or powder-like material
US4156043A (en) Impregnation of fluid-permeable bodies
US20160297609A1 (en) Dust limiting insulation collection bag and method of collecting insulation
AU2004298284B2 (en) A containment device
JPH0457764A (ja) アスベストの包装方法
DE3445934A1 (de) Auskleidung der wandungen von behaeltern, tuermen, kaminen aus beton, stahlblech o.dg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