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1602A -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1602A
KR20070021602A KR1020050076031A KR20050076031A KR20070021602A KR 20070021602 A KR20070021602 A KR 20070021602A KR 1020050076031 A KR1020050076031 A KR 1020050076031A KR 20050076031 A KR20050076031 A KR 20050076031A KR 20070021602 A KR20070021602 A KR 20070021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communication interface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9200B1 (ko
Inventor
안현태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컴퓨터 filed Critical (주)코리아컴퓨터
Priority to KR1020050076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200B1/ko
Publication of KR2007002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로서,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를 검출하여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검출부와, 상기 컨테이너에 충격이 가해지는지 또는 상기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가 착탈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충격 여부 신호를 생성하는 충격 감지부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와 상기 충격 감지부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 또는 상기 충격 여부 신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는 제어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 상기 충격 감지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의 실시간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이를 기초로 효율적인 컨테이너 물류 관리가 가능하게 하고, 컨테이너의 충격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이를 기초로 재난 발생 또는 밀수 여부의 파악을 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관세 업무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컨테이너, 위치 추적, 충격 감지, 단말기, GPS, CDMA, 무선 LAN, 도난, 밀수, 주행 거리, 주행 방향, 물류 시스템

Description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TERMINAL FOR CONTAINER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감지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감지 단말기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컨테이너 110: 위성 수신기
115: GPS 송수신기 120: GPS 위성
125: 중계 위성 130: 기지국
140: 인터넷망 150: 웹서버
155: 통신 장치 160: 데이터베이스
165: 데이터 로거 170: 클라이언트
210: 위치 검출부 220: 충격 감지부
230: 통신 인터페이스부 240: 제어부
250: 전원부 260: 모듈 선택부
270: 컨테이너 정보 저장부 280: 디스플레이부
290: 지도 데이터 저장부 300: 주행 거리 검출부
310: 주행 방향 검출부
본 발명은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컨테이너의 실시간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이를 기초로 효율적인 컨테이너 물류 관리가 가능하게 하고, 컨테이너의 충격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이를 기초로 재난 발생 또는 밀수 여부의 파악을 할 수 있는 효율적인 관세 업무 처리를 지원하는 컨테이너 부착용 감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품의 수출입 등의 물류 처리에 있어서 화물의 운반을 위해서는 주로 컨테이너(container)가 이용된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목재 또는 금속으로 제조되며 선박이나 화물차량에 적재되어서 운반된다.
이러한 컨테이너를 이용한 화물 운송에 있어서 컨테이너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은 효율적인 물류 처리를 위해서 필요하다.
현재 특히 수출입 화물이나 환적 등의 업무를 처리하는 보세 구역에서 반입 또는 반출되는 컨테이너를 검사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담 인력을 배치하여 수작업으로 검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컨테이너의 출입 상황에 대한 실시간 파악이 어려우며 또한 이동중인 컨테이너에 대한 실시간 상황 파악을 위한 시스템이 도입되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환적 컨테이너의 경우 재선적 여부의 파악이 쉽지 않은 실 정이며 또한 적재시 일반 부두와 컨테이너 터미널 간의 원활한 위치 추적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컨테이너의 상황 파악과 함께 밀수 또는 도난 방지를 위한 방안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즉 컨테이너를 이용한 화물 운송 도중에 컨테이너를 개방하여 내부의 화물을 절취하거나 또는 운송 도중의 도난 가능성 또는 화물 운송자에 의한 화물 절도의 가능성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이동 중의 컨테이너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또한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화물 차량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방안도 도입되지 않은 상태이다. 예컨대 미등록 보세 운송 차량에 의해서 화물이 운송되는 경우 관세 업무의 처리가 원활하지 못하다.
이러한 화물 차량을 이용하는 컨테이너 운송에 있어서 컨테이너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해서 2003년 12월 30일자로 출원되고 2005년 7월 7일 공개된 "컨테이너의 위치 추적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특허공개번호 제10-2005-0070729호는 이러한 컨테이너의 위치 추적 시스템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상기 특허공개번호 제10-2005-0070729호에 개시된 컨테이너의 위치 추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되듯이 컨테이너(100)에 일체로 구비되며 GPS 위성(120)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위성 수신기(110)와, 위성 수신기(1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컨테이너 (100)의 위치를 송신하는 GPS 송수신기(115)를 구비한다. 즉 컨테이너(110)에 위성 수신기(110)와 GPS 송수신기(115)로 이루어진 단말기를 일체화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GPS 송수신기(115)로부터 수신되는 컨테이너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중계위성(120)과, 중계위성(120)으로부터 송신되는 컨테이너의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130)과, 기지국(130)과 인터넷을 통하여 연계되고, 컨테이너의 위치신호에 의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로거(165)와, 컨테이너의 위치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160)를 가지며 웹페이지에 컨테이너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버(150)와, 웹 서버(150)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컨테이너의 위치를 제공받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70)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컨테이너의 위치를 수신받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컨테이너의 위치 추적을 위해서 중계 위성을 이용함으로써 통신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컨테이너에 대한 부가 정보 예컨대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차량이나 운전자에 대한 정보, 또는 컨테이너에 적재된 화물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특허공개번호 제10-2005-0070729호에 개시된 시스템은 단순히 컨테이너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능을 제공할 뿐이며 도난이나 밀수 방지를 위해서 컨테이너의 상태를 전송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위성 수신기(110)와 GPS 송수신기(115)로 이루어진 단말기를 컨테이너에 일체화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이러한 단말기가 구성되지 않은 컨테이너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을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방안도 연구되고 있다.
예컨대 주식회사 사일릭스에 의해서 2002년 10월 29일자로 출원되고 2002년 11월 18일자로 공개된 "MYBI 카드를 이용한 DSRC 컨테이너 물류정보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특허공개번호 제10-2002-0086452호는 이러한 ITS 및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컨테이너에 부착되는 단말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공개번호 제10-2002-0086452호는 스마트카드를 읽을 수 있으며 통신을 위해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규격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화물 차량에 설치하고 이를 요금소, 항만 출입구 및 주요 컨테이너 운송로에 설치되는 노변 기지국(RSE)에서 판독하여 컨테이너 물류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술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10-2002-0086452호는 별도의 RSE를 컨테이너의 주요 운송로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은 단순히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화물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이며 컨테이너 운반 도중에 도난 또는 파손 등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없다.
또한 주식회사 케이티티텔레콤에 의해서 2001년 6월 23일자로 출원되고 2004년 7월 20일자로 등록된 "디에스알씨 시스템을 이용한 화물 차량 위치 추적 및 게이트 통관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제어방법"이라는 명칭의 특허등록번호 제10-0442171호 역시 DSRC 통신 시스템과 RSE를 이용한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등록번호 제10-0442171호는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화물 차량에 컨테이너의 ID 번호와 화물 목록 및 하역 위치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차량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차량 탑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 탑재 장치는 컨테이너가 아닌 화물 차량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효율적인 물류 관리를 위해서 화물 목록이나 하역 위치 등을 화물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또한 이를 DSRC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RSE를 통하여 화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컨테이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지만 예컨대 컨테이너에 가해지는 충격 등의 컨테이너의 상태를 파악하지는 못한다. 또한 특히 컨테이너 운송 도중에 운전자에 의해서 고의로 또는 강제적으로 화물이 강탈당하는 경우 등에 대해서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함으로써 물류 관리의 전산화를 수행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컨테이너의 파손이나 도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의 실시간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이를 기초로 효율적인 컨테이너 물류 관리가 가능하게 하고, 컨테이너의 충격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이를 기초로 재난 발생 또는 밀수 여부의 파악을 할 수 있는 효율적인 관세 업무 처리를 지원하는 컨테이너 부착용 감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로 서,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를 검출하여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검출부와, 상기 컨테이너에 충격이 가해지는지 또는 상기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가 착탈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충격 여부 신호를 생성하는 충격 감지부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와 상기 충격 감지부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 또는 상기 충격 여부 신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는 제어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 상기 충격 감지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로서,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를 검출하여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검출부와, 상기 컨테이너에 충격이 가해지는지 또는 상기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가 착탈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충격 여부 신호를 생성하는 충격 감지부와,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컨테이너 정보 저장부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 상기 컨테이너 정보 저장부, 상기 충격 감지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호간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 또는 상기 충격 여부 신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는 제어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 상기 컨테이너 정보 저장부, 상기 충격 감지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다중 대역 안테나와 CDMA 또는 무선 LAN을 포함하는 다수의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다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다중 대역 안테나를 통하여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이를 기초로 상기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위치 검출부에 제공하고, CDMA 통신 모듈 또는 무선 LAN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다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선택된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컨테이너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CDMA 통신 모듈 또는 무선 LAN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다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송수신 상태가 양호한 통신 모듈을 선택하여 상기 컨테이너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모듈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모듈 선택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다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선택된 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미리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는 RFID 태그 형태로 상기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에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는 상기 컨테이너의 실(seal) 또는 외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컨테이너 부착용 감지 단말기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감지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감지 단말기는 위치 검출부(210)와, 충격 감지부(220)와, 통신 인터페이스부(230)와, 제어부(240)와, 전원부(250)를 포함한다. 또한 모듈 선택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210)는 컨테이너의 위치를 검출하여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하여 GPS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노변 장치(RSE)를 통하여 위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비용 면에서 GPS 신호를 수신하여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것보다 비용 면에서 불리하다.
충격 감지부(220)는 컨테이너에 충격이 가해지는지 또는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가 착탈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충격 여부 신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컨테이너의 외벽 또는 실(seal)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가 부착되는 경우 컨테이너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또는 컨테이너의 실이 개방되는 경우 이러한 충격을 충격 감지부(220)를 통하여 감지하여 충격 여부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중 대역 안테나를 포함하여, GPS 신호 또는 무선 LAN 규격의 신호 또는 CDMA 규격을 포함하는 다수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CDMA 통신 모듈(235a), 무선 LAN 통신 모듈(235b), GPS 통신 모듈(235c) 등의 다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는 예컨대 다중 대역 안테나를 통하여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검출부(210)에서 이를 기초로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를 생성하도록 위치 검출부(2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무선 LAN 규격의 신호 또는 CDMA 규격을 통하여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예컨대 무선 LAN AP(Access Point)가 배치된 구역의 경우 무선 LAN으로 기타 구역의 경우에는 CDMA 규격으로 선택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기타 규격 예컨대 USN이나 DSRC 등의 규격을 지원하여 해당 구역에서는 해당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중 안테나는 GPS 신호에 대응되는 1575.42 MHZ 또는 1227.6 MHz의 반송파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824 내지 849 MHz의 송신 주파수와 869 내지 894 MHz의 수신 주파수를 사용하는 CDMA 규격 또는 2.412 내지 2.4835 GHz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LAN 규격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다수의 통신 모듈 모두에 대해서 동작을 수행하는 것보다는 이러한 통신 모듈 중에서 송수신 상태가 최적인 통신 모듈을 선택하여 해당 통신 모 듈을 사용하도록 제어하면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감지 단말기는 CDMA 통신 모듈(235a) 또는 무선 LAN 통신 모듈(235b)을 포함하는 다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송수신 상태가 최적인 통신 모듈을 선택하여 이를 통하여 컨테이너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모듈 선택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선택부(260)는 제어부(240)와의 통신을 통하여 컨테이너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선택된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모듈 선택부(26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30)의 다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선택된 통신 모듈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통신 모듈 선택시에는 각각의 통신 모듈로 입력되는 링크 신호를 확인하여 이를 기초로 통신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위치 검출부(210)와 충격 감지부(220)와 통신 인터페이스부(230)의 동작을 제어하며,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 또는 충격 여부 신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통신 인터페이스부(230)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위치 검출부(210) 또는 충격 감지부(22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 제어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어부(240)는 컨테이너 데이터를 항상 외부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주기마다 예컨대 1분 단위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충격 감지부(220)를 통하여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이를 즉시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하여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비록 일정 주기마다 통신을 수행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구성을 취하더라도 충격 감지와 같은 경우 도난 또는 밀수 등의 방지를 위하여 즉시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240)는 컨테이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현재 단말기의 전원 잔량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단말기 전원 소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전원부(250)는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감지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감지 단말기는 위치 검출부(210)와, 충격 감지부(220)와, 통신 인터페이스부(230)와, 제어부(240)와, 전원부(250)와, 모듈 선택부(260)와, 컨테이너 정보 저장부(270)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80) 또는 지도 데이터 저장부(290) 또는 주행 거리 검출부(300) 또는 주행 방향 검출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210)와, 충격 감지부(220)와, 통신 인터페이스부(230)와, 제어부(240)와, 전원부(250)와, 모듈 선택부(260)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감지 단말기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를 생략한다.
컨테이너 정보 저장부(270)는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는 예컨대 컨테이너에 적재된 화물에 대한 정보,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운 송 수단에 대한 정보, 예컨대 차량 번호,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운전자에 대한 정보 또는 배송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는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컨테이너 정보 저장부(270)는 RFID 태그 형태로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에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RFID 태그 형태로 컨테이너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RFID 리더가 배치된 구역, 예컨대 컨테이너 출고장 또는 입고장의 게이트를 컨테이너를 실은 차량이 통과할 때 자동적으로 이를 판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감지 단말기에 있어서, 컨테이너 데이터 또는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를 컨테이너에 부착하는 경우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동작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고장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감지 단말기에 있어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 저장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도 데이터 저장부(290)를 포함하는 구성은, 제어부(240)에서 지도 데이터와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를 기초로 컨테이너가 정상적으로 운행되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컨테이너가 정상적인 운행 경로로 운반되고 있는지 여부를 지도 데이터를 기초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컨테 이너 데이터는 이러한 사항을 운행 정보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감지 단말기에 있어서, 컨테이너를 탑재한 운송 수단의 주행 거리를 검출하는 주행 거리 검출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행 거리 검출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은, 제어부(240)에서 주행 거리와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를 기초로 컨테이너가 정상적으로 운행되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운송 수단, 예컨대 화물 차량의 주행 거리가 비정상적으로 큰 경우 이를 감지하여 비정상적인 운행, 예컨대 밀수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초가 된다. 이를 위해서 컨테이너 데이터는 이러한 사항을 운행 정보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감지 단말기에 있어서, 컨테이너를 탑재한 운송 수단의 주행 방향을 검출하는 주행 방향 검출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행 방향 검출부(310)를 포함하는 구성은, 제어부(240)에서 주행 방향과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를 기초로 컨테이너가 정상적으로 운행되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운송 수단, 예컨대 화물 차량의 주행 방향이 비정상적으로 큰 경우 이를 감지하여 비정상적인 운행, 예컨대 밀수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초가 된다. 이를 위해서 컨테이너 데이터는 이러한 사항을 운행 정보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감지 단말기는 컨테이너 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컨테이너 물류를 전산화하는 경우 컨테이너 정보에 대한 송수신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는 RFID 형태로 저장되어 전송되거나 또는 별도의 데이터로서 저장되어 컨테이너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테이너 부착용 감지 단말기는 컨테이너의 외벽 또는 실(seal)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컨테이너의 충격을 감지하기 위해서 컨테이너에 부착함으로써 운행 도중에 컨테이너의 파손이 생기거나 컨테이너의 실이 열리는 경우 등을 감지하여 이러한 경우 밀수 또는 도난 등의 재난 상황으로 간주하여 충격 여부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본 발명이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를 통하여 정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의 실시간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이를 기초로 효율적인 컨테이너 물류 관리가 가능하게 하고 컨테이너의 충격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이를 기초로 재난 발생 또는 밀수 여부의 파악을 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관세 업무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Claims (16)

  1.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로서,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를 검출하여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검출부와,
    상기 컨테이너에 충격이 가해지는지 또는 상기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가 착탈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충격 여부 신호를 생성하는 충격 감지부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와 상기 충격 감지부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 또는 상기 충격 여부 신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는 제어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 상기 충격 감지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2.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로서,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를 검출하여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검출부와,
    상기 컨테이너에 충격이 가해지는지 또는 상기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가 착탈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충격 여부 신호를 생성하는 충격 감지부와,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컨테이너 정보 저장부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 상기 컨테이너 정보 저장부, 상기 충격 감지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호간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 또는 상기 충격 여부 신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는 제어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 상기 컨테이너 정보 저장부, 상기 충격 감지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다중 대역 안테나와 CDMA 또는 무선 LAN을 포함하는 다수의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다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다중 대역 안테나를 통하여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이를 기초로 상기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위치 검출부에 제공하고, CDMA 통신 모듈 또는 무선 LAN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다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선택된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컨테이너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CDMA 통신 모듈 또는 무선 LAN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다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송수신 상태가 양호한 통신 모듈을 선택하여 상기 컨테이너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모듈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선택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다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선택된 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미리 저장되는 것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는 RFID 태그 형태로 상기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에 저장되는 것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데이터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 잔량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 는 것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검출부 또는 상기 충격 감지부 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일정 주기마다 상기 컨테이너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 여부 신호를 통하여 충격을 감지하는 경우 이를 즉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것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데이터 또는 상기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 데이터와 상기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컨테이너가 정상적으로 운행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운행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컨테이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를 탑재한 운송 수단의 주행 거리를 검출하는 주행 거리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거리와 상기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컨테이너가 정상적으로 운행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운행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컨테이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를 탑재한 운송 수단의 주행 방향을 검출하는 주행 방향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방향과 상기 컨테이너 위치 정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컨테이너가 정상적으로 운행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운행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컨테이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는 상기 컨테이너의 실(seal) 또는 외부에 부착 되는 것인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KR1020050076031A 2005-08-19 2005-08-19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KR100779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031A KR100779200B1 (ko) 2005-08-19 2005-08-19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031A KR100779200B1 (ko) 2005-08-19 2005-08-19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602A true KR20070021602A (ko) 2007-02-23
KR100779200B1 KR100779200B1 (ko) 2007-11-23

Family

ID=4163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031A KR100779200B1 (ko) 2005-08-19 2005-08-19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2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198B1 (ko) * 2007-04-27 2008-09-18 (주) 넥스모어시스템즈 Rfid와 gps를 이용한 이동형 위치 확인 시스템
KR101022850B1 (ko) * 2008-09-30 2011-03-17 애니데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전원상태 검출기능을 가지는 추적장치 및 전원상태 검출장치
KR20190089484A (ko) * 2018-01-23 2019-07-3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513B1 (ko) 2014-12-31 2017-05-19 오토아이티(주)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1014B2 (ja) * 2003-08-25 2009-10-07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用のバンパー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198B1 (ko) * 2007-04-27 2008-09-18 (주) 넥스모어시스템즈 Rfid와 gps를 이용한 이동형 위치 확인 시스템
KR101022850B1 (ko) * 2008-09-30 2011-03-17 애니데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전원상태 검출기능을 가지는 추적장치 및 전원상태 검출장치
KR20190089484A (ko) * 2018-01-23 2019-07-3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드럼용 위치추적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200B1 (ko) 200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6228B2 (en) Passive container track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7484662B2 (en) Recording of location event information in RFID tags
US7339469B2 (en) Shipping container monitoring and tracking system
US20020061758A1 (en) Mobil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for automating fleet operations
US70307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suring reliable loading of materials on aricraft and other vehicles
US7728727B2 (en) Dynamic inventory during transit
US200901606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tracking inventories
US20060220857A1 (en) RF Tags for Tracking and Locating Travel Bags
US200402155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relative movement of maritime containers and other cargo
EP1246094A1 (en) Container surveillance system and related method
US200600912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items using wirelessly-enabled devices
CN102105896A (zh) 具有安装于一叉车叉齿的射频识别读取器的智能物流系统
JP2008506608A (ja) 中間準備地域における在庫及びディズパッチ処理を自動化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EP1683280A1 (en) System for sending information of container and system for trac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JP2007219730A (ja) アクティブ型rfidタグ、搬送用収納器、搬送用車両、倉庫および物流管理システム
JP2008030929A (ja) 荷物管理装置及び配送管理ステム
US20100253483A1 (en) Freight container cargo-wo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rfid technology
WO2007022802A1 (en) Method and installation to monitor the content of a storage area
KR100779200B1 (ko)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KR100558829B1 (ko) 지하철을 이용한 순환식 물류 배송 처리 방법
KR100723042B1 (ko) 저궤도 위성을 이용한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6681367B2 (ja) 盗難検知システム
JP2006069758A (ja) 搬送システム
JP2006069729A (ja) 車両積み降ろし荷物検品システム
KR20210155057A (ko) 컨테이너 실시간 위치추적 부착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