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513B1 -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513B1
KR101737513B1 KR1020140195517A KR20140195517A KR101737513B1 KR 101737513 B1 KR101737513 B1 KR 101737513B1 KR 1020140195517 A KR1020140195517 A KR 1020140195517A KR 20140195517 A KR20140195517 A KR 20140195517A KR 101737513 B1 KR101737513 B1 KR 101737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llet
forklift
black box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3526A (ko
Inventor
정명환
서종필
권상우
Original Assignee
오토아이티(주)
주식회사 로보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아이티(주), 주식회사 로보아이티 filed Critical 오토아이티(주)
Priority to KR1020140195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513B1/ko
Publication of KR20160083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고내에 화물이 적재되는 팔렛트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팔렛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되는 충격관련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팔렛트 블랙박스와, 상기 창고내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팔렛트 블랙박스에서 전송되는 충격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정보 수집기와, 상기 팔렛트를 운반하여 화물운송차량에 적재시키기 위한 지게차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정보 수집기에서 전송되는 정보와 상기 지게차의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되는 충격정보와 주행정보를 조합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지게차 블랙박스와, 상기 지게차 블랙박스 또는 정보 수집기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팔렛트가 물류창고에 입고되어 화물차량으로 적재되기까지의 물류이동정보가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에 저장되고, 관련 정보를 연동시켜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하여 화물 파손에 따른 물류관리의 책임소재가 명확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팔렛트가 낙하되는 가속도를 센싱하여 팔렛트의 낙하유무를 판단하고, 지게차의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경고하도록 하여 화물 손상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신속한 물류관리가 이루어지도로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using palette black box and forklift black box }
본 발명은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이 물류창고에 입고되어 화물운송차량으로 적재되기까지의 물류이동정보가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에 저장되고, 관련 정보를 연동시켜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하여 물류관리에서의 책임소재가 명확해지도록 하고, 화물이 손상될 경우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인터넷과 같은 통신기술이 발달되고, 각종 쇼핑몰 및 물류배송 산업이 급속하게 발달되고 있으며, 이에 힘입어 원격지로 배송되는 물량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물류배송 과정에서 화물이 파손되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화물을 창고에 입고하여 출고되는 과정에서 파손에 의한 책임이 불분명하여 분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가의 화물인 경우에는 화물 자체에 충격감지수단을 부착하여 충격을 감지하여 단말기를 통해 원격지에서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는 고가의 화물에서만 적용가능한 것으로 일반 화물은 이와 같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게 된다.
특히, 화물은 물류센터 등의 창고로 입고되는 과정에서 하역하는 경우나, 창고내에서 화물을 화물운송차량에 다시 적재하기 위해 지게차로 화물을 들어올리는 과정과 지게차에 안착된 화물을 화물운송차량에 적재시키는 과정에서 화물 파손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게 되며, 화물 이송중 어느 단계에서 충격이 가해졌는지에 대한 책임소재가 다소 불분명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물류관리 시스템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일반 화물에서도 충격감지를 통한 물류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화물 이송간 파손의 책임소재가 명확해지도록 하며, 화물 손상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물류관리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7792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팔렛트와 지게차에 블랙박스를 설치하고, 팔렛트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의 정보를 상호 연동시켜 물류관리에서의 책임소재가 명확해지도록 하고, 팔렛트가 낙하되어 화물이 손상되는 것을 즉각적으로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창고내에 화물이 적재되는 팔렛트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팔렛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되는 충격관련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팔렛트 블랙박스와, 상기 창고내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팔렛트 블랙박스에서 전송되는 충격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정보 수집기와, 상기 팔렛트를 운반하여 화물운송차량에 적재시키기 위한 지게차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정보 수집기에서 전송되는 정보와 상기 지게차의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되는 충격정보와 주행정보를 조합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지게차 블랙박스와, 상기 지게차 블랙박스 또는 정보 수집기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팔렛트 블랙박스는 상기 팔렛트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지하는 충격량 센싱모듈과, 상기 팔렛트에 충격이 가해지는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정보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충격감지부와,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센싱되는 충격관련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암호화된 충격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충격정보 저장메모리부와, 상기 충격정보 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정보를 상기 정보 수집기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충격량 센싱모듈에서 센싱되는 충격량이 일정값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시간정보 생성모듈에서 시간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충격량값과 충격발생시간정보를 상기 충격정보 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되도록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제어한다.
또한, 상기 지게차 블랙박스는 상기 지게차의 위치 정보를 위성으로부터 수신하는 GPS 수신부와, 상기 지게차의 일측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상기 지게차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영상생성부와,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생성되는 위치정보와 상기 영상생성부를 통해 생성되는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암호화하는 제2 제어부와, 상기 암호화된 주행정보가 저장되는 주행정보 저장메모리부와, 상기 주행정보 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에서는 팔렛트가 지게차에 안착된 다음에는 상기 팔렛트 블랙박스에서 전송되는 충격정보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지게차 블랙박스로 직접적으로 전송되도록 하되, 상기 팔렛트 블랙박스에서 충격관련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지게차 블랙박스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시간대의 주행정보를 함께 추출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더욱이, 상기 충격감지부는 상기 팔렛트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싱모듈을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가속도 센싱모듈에서 검출된 가속도값이 일정값 이상이고, 상기 충격량 센싱모듈에서 일정 충격값이 센싱되면 팔렛트가 낙하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2 제어부에서는 지게차의 위치정보와 충격이 가해지는 시간정보가 포함된 낙하관련 충격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팔렛트가 물류창고에 입고되어 화물차량으로 적재되기까지의 물류이동정보가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에 저장되고, 관련 정보를 연동시켜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하여 화물 파손에 따른 물류관리의 책임소재가 명확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팔렛트가 낙하되는 가속도를 센싱하여 팔렛트의 낙하유무를 판단하고, 지게차의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경고하도록 하여 화물 손상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신속한 물류관리가 이루어지도로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팔렛트 블랙박스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정보 수집기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지게차 블랙박스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가 연동되어 물류관리가 이루어지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지게차로 화물 운반중에 팔렛트가 낙하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팔렛트 블랙박스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은 정보 수집기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4는 지게차 블랙박스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은 팔렛트 블랙박스(10)와, 다수개의 팔렛트 블랙박스(10)의 정보를 무선망을 통해 수집하는 정보 수집기(20)와, 지게차 블랙박스(30)와, 관리서버(40) 및 관리자 단말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팔렛트 블랙박스(10)는 물류창고내에 화물이 적재되는 팔렛트의 일측에 장착되어 팔렛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충격정보를 무선으로 정보 수집기(20)로 송출한다. 팔렛트 블랙박스(10)는 자석을 이용하여 도체로 이루어지는 팔렛트의 어느 위치에든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팔렛트 블랙박스(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감지부(11), 제1 제어부(12), 충격정보 저장메모리부(13) 및 무선 송수신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충격감지부(11)는 팔렛트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지하는 충격량 센싱모듈(11a)과, 팔렛트에 충격이 가해지는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정보 생성모듈(1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충격 감지부는 충격량 센싱모듈(11a)에서 충격이 감지될 경우에 시간정보 생성모듈(11b)에서 시간정보가 생성되도록 한다.
제1 제어부(12)는 상기의 충격감지부(11)에서 생성되는 충격관련 정보 즉, 충격량값과 충격이 발생되는 시점의 시간정보를 암호화하도록 한다. 아울러 제1 제어부(12)는 팔렛트에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량 센싱모듈(11a)에서 충격량을 센싱하고, 센싱된 충격량값이 단순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인지 아니면, 가해진 충격량이 팔렛트에 안착되는 화물에 영향을 끼칠 정도의 충격량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소정의 기준값을 설정하여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시간정보 생성모듈(11b)에서 충격이 가해진 시간대의 시간정보를 생성시킨다. 다시 말하자면, 팔렛트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기설정된 충격량값 이상으로 도달하지 않는 단순한 충격정보는 별도로 저장되지 않도록 하여 관리자 단말기(50)에 필요한 충격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한다.
충격정보 저장메모리부(13)는 제1 제어부(12)에서 암호화된 충격관련 정보가 저장되며, 충격정보 저장메모리부(13)에 저장되는 정보는 무선 송수신부(14)를 통해 외부로 송출된다.
정보 수집기(20)는 창고내에 팔렛트가 입고되는 입구측과 출하되는 출구측에 2개 설치될 수 있으며, 창고내 다수개의 팔렛트 블랙박스(10)에서 전송되는 충격관련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 수집기(20)는 수집된 정보를 팔렛트 블랙박스(10)별로 구분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1)와, 메모리부(21)에 저장되는 정보를 관리서버(40) 또는 지게차 블랙박스(30)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22)를 포함한다.
지게차 블랙박스(30)는 GPS 수신부(31), 영상생성부(32), 제2 제어부(33), 주행정보 저장메모리부(34) 및 무선 송수신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GPS 수신부(31)는 지게차의 위치 정보를 위성으로부터 수신한다.
영상생성부(32)는 지게차의 일측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지게차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것으로서, 특히 지게차의 전방에 로딩되는 팔렛트 부분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다.
제2 제어부(33)는 GPS 수신부(31)를 통해 생성되는 위치정보와 상기 영상생성부(32)를 통해 생성되는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암호화하고, 팔렛트 블랙박스(10)에 충격이 가해지는 시간대의 주행정보만을 관리서버(4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주행정보 저장메모리부(34)는 제2 제어부(33)에서 암호화된 주행정보가 저장된다.
무선 송수신부(35)는 주행정보 저장메모리부(34)에 저장되는 정보를 관리서버(40)로 전송한다.
관리서버(40)는 지게차 블랙박스(30) 또는 정보 수집기(2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필요에 따라 관련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50)로 전송한다.
관리자 단말기(50)는 관리서버(40)로부터 전송되는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관련 정보를 출력하고, 출력되는 관련 정보에 따라 관리자가 물류를 관리하도록 한다.
아울러, 팔렛트 블랙박스(10)의 충격감지부(11)에는 팔렛트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싱모듈(11c)이 더 포함되어, 지게차로 운반중에 팔렛트의 낙하로 인한 화물 손상을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속도 센싱모듈(11c)은 G-센서를 이용하여 가속도를 검출하도록 하며, 가속도 센싱모듈(11c)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값이 일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제1 제어부(12)에서는 가속도값이 검출된 시점의 충격량 센싱모듈(11a)에서 센싱된 충격량값이 일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충격량값 또한 일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제2 제어부(33)에서는 지게차의 위치정보와 충격이 가해진 시간정보가 포함된 충격관련 정보를 관리서버(40)로 전송하게 된다. 아울러 충격이 발생된 시간대의 영상정보도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관리자 단말기(50)에서 관련 정보를 확인하여 즉각적으로 대처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가 연동되는 물류관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가 연동되어 물류관리가 이루어지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팔렛트 블랙박스(10)에서 창고내에 위치하는 팔렛트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지될 경우(S501), 제1 제어부(12)에서는 가해지는 충격량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지의 유무를 파악하고(S502), 충격량값이 일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충격이 가해지는 시간정보를 생성하고(S503), 충격량값 정보와 시간정보가 포함된 충격정보를 암호화하여 충격정보 저장메모리부(13)에 저장한다(S504).
이렇게 저장된 다수개의 팔렛트 충격정보는 창고내 입고,출고측에 설치되는 정보 수집기(20)에 수집된다(S505).
그리고 정보 수집기(20)에 저장되는 팔렛트 블랙박스(10) 충격정보중 지게차에 운송되는 팔렛트의 충격정보가 지게차 블랙박스(30)로 전송된다(S506). 또한 지게차에 장착되는 팔렛트 블랙박스(10)가 무선통신을 통해 근거리에서 지게차 블랙박스(30)와 무선통신으로 충격정보가 지게차 블랙박스(30)로 직접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여기서 팔렛트 블랙박스(10)와 지게차 블랙박스(30)간에 사용되는 무선통신은 지그비 통신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앞서, 지게차 블랙박스(30)에서는 GPS 수신부(31)와 영상생성부(32)에 의해 상시 지게차의 위치정보 및 지게차 주변환경을 촬영하여 생성되는 영상정보가 포함되는 주행정보를 생성하고(S507), 주행정보를 제2 제어부(33)에 의해 암호화하여 주행정보 저장메모리부(34)에 저장시킨다(S508). 그리고 주행정보 저장메모리부(34)에 저장되는 관련 주행정보를 관리서버(40)로 전송하여 각 지게차마다의 주행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S509).
아울러, 정보 수집기(20)에 수집되는 충격정보는 상기와 같이 팔렛트가 지게차에 의해 이송되지 않더라도, 관련 정보가 관리서버(40)로 직접 전송되어 전체 팔렛트의 충격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S513).
또한, 팔렛트가 지게차에 안착되면 정보 수집기(20)를 통해 팔렛트 블랙박스(30)의 충격정보가 지게차 블랙박스(30)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지그비 통신을 통해 팔렛트 블랙박스(30)의 충격정보가 지게차 블랙박스(30)로 직접적으로 전송된다. 이렇게 팔렛트 블랙박스(30)의 충격정보가 지게차 블랙박스(30)로 직접적으로 전송되면, 제2 제어부(33)에서는 팔렛트 충격발생 당시의 시간정보에 해당하는 주행정보를 별도로 추출하여(S510) 팔렛트의 충격정보와 지게차의 주행정보를 함께 관리서버(40)로 전송한다(S511).
이렇게 관리서버(40)로 전송된 팔렛트의 충격정보와 지게차의 주행정보는 관리자 단말기(50)로 전송되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한다(S512).
이렇게 하여 관리자 단말기(5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된 팔렛트의 충격정보와 지게차의 주행정보를 충격발생 당시의 팔렛트의 충격정보와 지게차의 주행정보와 비교하여 물류관리의 문제가 된 공정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자 단말기(50)에 수시로 충격정보에 따른 관련 정보가 별도로 출력되도록 하여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지게차로 화물 운반중에 팔렛트가 낙하하여 화물에 큰 손상이 가해질 수 있어 더욱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화물 운반중에 지게차에서 팔렛트가 낙하되는 것을 관리자가 단말기를 통해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팔렛트의 가속도를 검출하여 팔렛트의 낙하유무를 판단하도록 한다.
도 6은 지게차로 화물 운반중에 팔렛트가 낙하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팔렛트가 지게차에 안착된 상태에서 팔렛트 블랙박스(10)에서는 가속도 센싱모듈(11c)에 의해 팔렛트의 가속도를 감지하게 된다(S610).
가속도 센싱모듈(11c)에서 감지되는 가속도값이 일정 가속도값 이상으로 판단되면(S620), 팔렛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도록 한다(S630). 만일 팔렛트에 감지된 가속도값이 일정 가속도값 이상으로 판단되지 않으며 다시 계속적으로 가속도를 감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팔렛트에 가해지는 충격값이 일정 충격량값 이상으로 판단되면(S640), 팔렛트가 지게차에서 낙하된 것으로 인식하고 지게차의 현재 위치정보와 충격이 가해진 시간정보가 포함된 충격관련 정보를 생성하여(S650), 관리서버(40)로 낙하관련 충격정보를 전송한다(S660).
관리서버(40)로 전송되는 낙하관련 충격정보는 즉각적으로 관리자 단말기(50)로 전송되어 경고알람이 출력되도록 한다(S670).
이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50)로 전송된 낙하관련 충격정보를 통해 관리자가 지게차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즉각적으로 현장상황에 대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팔렛트가 입고되어 화물차량으로 적재되기까지의 물류이동정보가 팔렛트 블랙박스(10)와 지게차 블랙박스(30)에 저장되고, 관련 정보를 연동시켜 관리자 단말기(50)에 제공되도록 하여 물류관리에서의 책임소재가 명확해지도록 하고, 화물이 손상될 경우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팔렛트 블랙박스 11 : 충격감지부
11a : 충격량 센싱모듈 11b : 시간정보 생성모듈
11c : 가속도 센싱모듈 12 : 제1 제어부
13 : 충격정보 저장메모리부 14 : 무선 송수신부
20 : 정보 수집기 21 : 메모리부
22 : 무선 송수신부
30 : 지게차 블랙박스 31 : GPS 수신부
32 : 영상생성부 33 : 제2 제어부
34 : 주행정보 저장메모리부 35 : 무선 송수신부
40 ; 관리서버
5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7)

  1. 창고내에 화물이 적재되는 팔렛트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팔렛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되는 충격관련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팔렛트 블랙박스와;
    상기 창고내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팔렛트 블랙박스에서 전송되는 충격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정보 수집기와;
    상기 팔렛트를 운반하여 화물운송차량에 적재시키기 위한 지게차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정보 수집기에서 전송되는 정보와 상기 지게차의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되는 충격정보와 주행정보를 조합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지게차 블랙박스와;
    상기 지게차 블랙박스 또는 정보 수집기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팔렛트 블랙박스는
    상기 팔렛트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지하는 충격량 센싱모듈과, 상기 팔렛트에 충격이 가해지는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정보 생성모듈과, 상기 팔렛트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싱모듈을 포함하는 충격감지부와;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센싱되는 충격관련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암호화된 충격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충격정보 저장메모리부와;
    상기 충격정보 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정보를 상기 정보 수집기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게차 블랙박스는
    상기 지게차의 위치 정보를 위성으로부터 수신하는 GPS 수신부와;
    상기 지게차의 일측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상기 지게차의 전방에 로딩되는 팔렛트 부분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생성부와;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생성되는 위치정보와 상기 영상생성부를 통해 생성되는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암호화하는 제2 제어부와;
    상기 암호화된 주행정보가 저장되는 주행정보 저장메모리부와;
    상기 주행정보 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제어부에서는 팔렛트가 지게차에 안착된 다음에는 상기 팔렛트 블랙박스에서 전송되는 충격정보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지게차 블랙박스로 직접적으로 전송되도록 하되, 상기 팔렛트 블랙박스에서 충격관련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지게차 블랙박스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시간대의 주행정보를 함께 추출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가속도 센싱모듈에서 검출된 가속도값이 일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제어부에서는 상기 가속도값이 검출된 시점에서 상기 팔렛트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판단하여 상기 충격량 센싱모듈에서 센싱된 충격량이 일정값 이상으로 센싱될 경우에는 상기 팔렛트가 낙하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2 제어부에서는 지게차의 위치정보와 충격이 가해지는 시간정보 및 영상정보가 포함된 낙하관련 충격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량 센싱모듈에서 센싱되는 충격량이 일정값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시간정보 생성모듈에서 시간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충격량과 충격발생시간정보를 상기 충격정보 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되도록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195517A 2014-12-31 2014-12-31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KR101737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517A KR101737513B1 (ko) 2014-12-31 2014-12-31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517A KR101737513B1 (ko) 2014-12-31 2014-12-31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526A KR20160083526A (ko) 2016-07-12
KR101737513B1 true KR101737513B1 (ko) 2017-05-19

Family

ID=56505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517A KR101737513B1 (ko) 2014-12-31 2014-12-31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5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828B1 (ko) 2018-12-28 2019-05-29 최형식 물류 자동화 창고
KR20240056916A (ko) 2022-10-24 2024-05-02 (주)애니토이 소재 저장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6598A (ja) * 2008-05-26 2010-01-14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用衝撃検出装置及び産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00B1 (ko) 2005-08-19 2007-11-23 (주)코리아컴퓨터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6598A (ja) * 2008-05-26 2010-01-14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用衝撃検出装置及び産業車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828B1 (ko) 2018-12-28 2019-05-29 최형식 물류 자동화 창고
KR20240056916A (ko) 2022-10-24 2024-05-02 (주)애니토이 소재 저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526A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3888B1 (en) On-demand designated delivery locator
US8738318B2 (en) Dynamic electric power line monitoring system
CN106500608B (zh) 用于测量对象高度以进行车顶净空检测的系统和方法
US8922431B2 (en) Apparatus, a system and a method for collission avoidance
CN108572645B (zh) 无人驾驶运输系统
US10535040B2 (en) Product movement and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US9664793B2 (en) System for GPS location, impact, and temperature recorder for a transporting container
US7432804B2 (en) Emergency notification apparatus for vehicle
JP7199003B2 (ja) 搬送装置、受信機能付き搬送装置、搬送システム、上位システム、搬送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039940A1 (en) Environmental parameter monitor with wide area communication
KR20150104863A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배송 물품의 무인 수취 시스템
CN106054163A (zh) 用于主动确定净空高度并产生警报的设备及方法
KR101737513B1 (ko) 팔렛트 블랙박스와 지게차 블랙박스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JP2022088458A (ja) データブリッジを有する能動的容器
US10278043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an associ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while in an assigned domain
CN104736458A (zh) 传感器吊舱
US20190041868A1 (en) Autonomous Vehicle-Based Item Retrieval System and Method
CN110356276A (zh) 用于将电动车辆定位在充电桩上的方法及相关的充电桩
KR100796531B1 (ko) 이동 객체의 위치 관리 시스템 및 위치 관리 방법
KR20150056703A (ko) 컨테이너 위치정보 전송기 및 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위치추적 시스템
US10546492B2 (en) Method for providing variables for obtaining a service at a service location
EP3734527B1 (en) Verification of cargo transportation unit position
CN113170286A (zh) 资产跟踪通信装置
JP2015175645A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05180A (ko) IoT 기반 국가간 물류 배송 추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