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1302A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1302A
KR20070021302A KR1020077000278A KR20077000278A KR20070021302A KR 20070021302 A KR20070021302 A KR 20070021302A KR 1020077000278 A KR1020077000278 A KR 1020077000278A KR 20077000278 A KR20077000278 A KR 20077000278A KR 20070021302 A KR20070021302 A KR 20070021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opening degree
opening
air conditioner
mov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나오 야스토미
세이지 오카
미키오 이토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0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1302A/ko
Publication of KR2007002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운전에 따른 적절한 공기의 흡입량을 확보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한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제1 흡입구(21)가 설치된 실내기 케이싱(2)과, 정면 패널(6)과, 이동 기구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정면 패널(6)은, 실내기 케이싱(2)으로부터 이반(離反)하도록 이동하여 제1 흡입구(21)를 열고, 실내기 케이싱(2)에 근접하도록 이동하여 제1 흡입구(21)를 닫는다. 이동 기구는, 제1 흡입구(21)가 소망하는 개도(開度)로 열리도록 정면 패널(6)을 이동시킨다. 제어부는 이동 기구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1 흡입구(21)의 개도를 소망하는 개도로 변경 가능하다.
공기 조화기, 실내기, 정면 패널, 흡입구, 케이싱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케이싱에 설치된 흡입구를 덮는 개폐 패널을 구비하는 것이 있다. 이 개폐 패널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에는, 흡입구를 덮는 것에 의하여, 흡입구를 외부로부터 은폐할 수 있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 시에는, 흡입구를 개방하도록 개폐 패널이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의 흡입이 확보된다(특허 문헌 1 참조). 이것에 의하여, 의장성과 송풍 성능을 양립시킬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98129(제1도)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기 조화기에서는, 개폐 패널은 일률의 개도(開度)로 흡입구를 열 뿐이어서, 운전에 따른 적절한 공기의 흡입량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예를 들면, 근년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통상의 냉방·난방 운전 모드 외에, 실내를 급속히 냉방 또는 난방하고 싶은 경우에 냉방 또는 난방의 출력이 증대되는 「파워풀 운전」이나, 수면 시 등에 운전음이 억제되는 「취침 운전」 등과 같이, 복수의 운전 모드 중에서 하나의 운전 모드가 선택되어 운전이 행하여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른 운전 모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개폐 패널이 열리는 경우에는, 각 운전 모드에 있어서 적절한 운전이 행하여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의 예로 설명하면, 파워풀 운전과 통상 운전에서는 필요한 흡입량이 다르기 때문에, 파워풀 운전과 통상 운전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개폐 패널이 열리는 경우에는, 파워풀 운전 시의 흡입량이 부족하여 충분히 능력을 확보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혹은, 파워풀 운전에 있어서 필요한 송풍 능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송풍 장치의 출력이나 압축기의 주파수를 과잉으로 증대시키게 되어, 소비 전력이 증대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운전에 따른 적절한 공기의 흡입량을 확보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가 설치된 케이싱과, 개폐 패널과, 이동 기구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개폐 패널은, 케이싱으로부터 이반(離反)하도록 이동하여 흡입구를 열고, 케이싱에 근접하도록 이동하여 흡입구를 닫는다. 이동 기구는, 흡입구가 소망하는 개도로 열리도록 개폐 패널을 이동시킨다. 제어부는 이동 기구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이동 기구를 제어하여, 흡입구의 개도를 소망하는 개도로 변경 가능하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어부는, 흡입구의 개도를 소망하는 개도로 변경 가능하다. 이 때문에,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따른 적절한 개도로 흡입구를 열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운전에 따른 적절한 공기의 흡입량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이고, 제어부는, 이동 기구를 제어하여, 흡입구의 개도를 복수 단계로 변경 가능하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어부는, 흡입구의 개도를 복수 단계로 변경 가능하다. 이 때문에,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따른 적절한 개도로 흡입구를 열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운전에 따른 적절한 공기의 흡입량을 확보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이고,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송풍 장치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송풍 장치에 의한 풍량에 따라서, 흡입구의 개도를 소망하는 개도로 변경 가능하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송풍 장치에 의한 풍량에 따라서, 흡입구의 개도를 소망하는 개도로 변경 가능하다. 이 때문에, 송풍 장치에 의한 풍량에 적합한 공기의 흡입량을 확보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이고, 제어부는, 복수의 운전 모드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운전 모드에서 공기 조화 운전을 실행 가능하고, 선택된 운전 모드에 대응한 개도로 흡입구를 연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선택된 운전 모드에 대응한 개도로 흡입구가 열리는 제어가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운전 모드에 관계없이 같은 개도로 흡입구가 열리는 것이 아니라, 각 운전 모드에 적합한 개도로 흡입구를 열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복수의 운전 모드의 각각에 있어서 적절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4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이고, 복수의 운전 모드로부터 하나의 운전 모드를 선택하여 제어부에 지시하기 위한 지시 장치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이동 기구를 제어하여, 지시 장치로부터 지시된 운전 모드에 대응한 개도로 흡입구를 연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지시 장치로부터 지시된 운전 모드에 대응한 개도로 흡입구가 열리는 제어가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운전 모드에 관계없이 같은 개도로 흡입구가 열리는 것이 아니라, 각 운전 모드에 적합한 개도로 흡입구를 열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복수의 운전 모드의 각각에 있어서 적절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5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이고,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송풍 장치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복수의 운전 모드 중 제1 운전 모드가 지시된 경우에는, 송풍 장치의 출력을 제1 풍량으로 하는 것과 함께 이동 기구를 제어하여 흡입구를 제1 개도로 연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운전 모드 중 제2 운전 모드가 지시된 경우에는, 송풍 장치의 출력을 제1 풍량보다도 작은 제2 풍량으로 하는 것과 함께 이동 기구를 제어하여 흡입구를 제1 개도보다도 큰 제2 개도로 연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2 운전 모드에 있어서, 송풍 장치의 출력이 제1 풍량보다도 작은 제2 풍량으로 되는 것에 의하여, 제1 운전 모드보다도 송풍 장치의 운전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운전 모드에 있어서, 흡입구가 제1 개도보다도 큰 제2 개도로 열리는 것에 의하여, 제1 운전 모드에서보다도 빨아 들여지는 공기의 압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어, 낮은 풍량으로 필요한 공기 조화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운전음을 억제하는 것과 함께 공기 조화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5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이고,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송풍 장치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복수의 운전 모드 중 제1 운전 모드가 지시된 경우에는, 송풍 장치의 출력을 제1 풍량으로 하는 것과 함께 이동 기구를 제어하여 흡입구를 제1 개도로 연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운전 모드 중 제3 운전 모드가 지시된 경우에는, 송풍 장치의 출력을 제1 풍량으로 하는 것과 함께 이동 기구를 제어하여 흡입구를 제1 개도보다도 큰 제2 개도로 연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3 운전 모드에 있어서, 송풍 장치의 출력은 제1 풍량인 채로, 흡입구가 제1 개도보다도 큰 제2 개도로 열린다. 이 때문에, 빨아 들여지는 공기의 압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어, 흡입 공기에 의한 바람 가르는 소리를 억제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6 발명 또는 제7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이고, 제2 개도란, 흡입구가 최대로 열리는 개도이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흡입구가 제2 개도로 열리는 것에 의하여, 흡입구가 최대로 열린다. 이 때문에, 흡입 공기의 압력 손실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5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이고,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송풍 장치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복수의 운전 모드 중 제1 운전 모드가 지시된 경우에는, 송풍 장치의 출력을 제1 풍량으로 하는 것과 함께 이동 기구를 제어하여 흡입구를 제1 개도로 연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운전 모드 중 제4 운전 모드가 지시된 경우에는, 송풍 장치의 출력을 제1 풍량보다도 큰 제3 풍량으로 하는 것과 함께 이동 기구를 제어하여 흡입구를 제1 개도보다도 큰 제3 개도로 연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4 운전 모드에 있어서, 송풍 장치의 출력이 제1 풍량보다도 큰 제3 풍량으로 되는 것과 함께 흡입구가 제1 개도보다도 큰 제3 개도로 열린다. 이 때문에, 빨아 들여지는 공기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어 송풍 장치의 출력의 증대에 따라서 보다 많은 공기를 빨아 들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보다 큰 공기 조화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9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이고, 제3 개도란, 흡입구가 최대로 열리는 개도이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흡입구가 제3 개도로 열리는 것에 의하여, 흡입구가 최대로 열린다. 이 때문에, 흡입 공기의 압력 손실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어, 보다 많은 공기를 빨아 들일 수 있다.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 발명 내지 제10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이고, 케이싱에는 취출구가 더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폐 패널은, 취출구를 개폐하는 제1 패널부와, 제1 패널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흡입구를 개폐하는 제2 패널부를 가지며, 운전 정지 상태에 있어서는 흡입구와 취출구를 닫는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운전 정지 상태에 있어서는, 일체의 개폐 패널에 의하여 흡입구와 취출구가 닫힌다. 이 때문에, 운전 정지 상태에 있어서 흡입구와 취출구를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구와 취출구를 닫을 정도의 크기의 개폐 패널이 케이싱에 대하여 이반·근접하는 것에 의하여 흡입구가 개폐되기 때문에, 각 운전 모드에 대응한 개폐 패널의 이동이 시각적으로 분명하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운전 모드의 지시를 시인할 수 있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따른 적절한 개도로 흡입구를 열 수 있어, 운전에 따른 적절한 공기의 흡입량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어부는, 흡입구의 개도를 복수 단계로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따른 적절한 개도로 흡입구를 열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운전에 따른 적절한 공기의 흡입량을 확보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송풍 장치에 의한 풍량에 적합한 공기의 흡입량을 확보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운전 모드에 관계없이 같은 개도로 흡입구가 열리는 것이 아니라, 각 운전 모드에 적합한 개도로 흡입구를 열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운전 모드의 각각에 있어서 적절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운전 모드에 관계없이 같은 개도로 흡입구가 열리는 것이 아니라, 각 운전 모드에 적합한 개도로 흡입구를 열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운전 모드의 각각에 있어서 적절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2 운전 모드에 있어서, 운전음을 억제하는 것과 함께 공기 조화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3 운전 모드에 있어서, 빨아 들여지는 공기의 압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어, 흡입 공기에 의한 바람 가르는 소리를 억제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흡입구가 최대로 열리기 때문에, 흡입 공기의 압력 손실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4 운전 모드에 있어서, 보다 큰 공기 조화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4 운전 모드에 있어서 흡입구가 최대로 열리기 때문에, 보다 많은 공기를 빨아 들일 수 있다.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운전 정지 상태에 있어서 흡입구와 취출구를 외부로부터 보이기 않도록 할 수 있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 모드의 지시를 시인할 수 있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정면도.
도 2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III-III 단면도.
도 4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정면 패널이 떼어내진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정면도.
도 6은 이동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 블록도.
도 8은 개폐 동작 시의 이동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개폐 동작 시의 정면 패널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제1 열림 상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 : 실내기 케이싱(케이싱)
3 : 송풍 팬(송풍 장치) 6 : 정면 패널(개폐 패널)
7 : 이동 기구 8 : 제어부
9 : 리모컨(지시 장치) 20 : 취출구
21 : 제1 흡입구(흡입구) 61 : 제1 패널부
62 : 제2 패널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한다. 도 1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의 정면도이고, 도 2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의 측면도이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실내의 벽면에 장착되는 벽걸이형 실내기이며, 실내의 냉난방 등의 공기 조화를 행한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실내기 케이싱(2, 케이싱)과, 송풍 팬(3, 송풍 장치, 도 3 참조), 팬 모터(4, 도 7 참조), 수평 플랩(5), 정면 패널(6), 이동 기구(7, 도 6 참조), 제어부(8, 도 7 참조), 리모컨(9, 지시 장치, 도 7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실내기 케이싱]
실내기 케이싱(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수평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10), 송풍 팬(3), 팬 모터(4), 도시하지 않는 제어 부품 등을 수용한다. 실내기 케이싱(2)의 정면에는, 정면 패널(6)이 장착되어 있다. 정면 패널(6)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내기 케이싱(2)에는, 취출구(20), 제1 흡입구(21, 흡입구) 및 제2 흡입구(22)가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도 3은 실내기(1)의 측면 단면도이다.
취출구(20)는, 실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통하는 개구(開口)이며, 제1 케이 싱면(23)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케이싱면(23)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기 케이싱(2)의 저면(底面)의 전측(前側) 부분을 구성하고 있고, 취출구(20)는, 실내기 케이싱(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케이싱면(23)은, 전단(前端)이 상방(上方)에 위치하도록 경사하고 있다. 취출구(20)는, 실내기 케이싱(2)의 폭(W) 방향(실내기 케이싱(2)의 긴쪽 방향, 도 1 참조)으로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수평 플랩(5)이 설치된다.
도 3에 도시하는 제1 흡입구(21)는, 실내기 케이싱(2) 내로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하는 개구이며, 제2 케이싱면(24)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케이싱면(2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기 케이싱(2)의 정면 즉 전면(前面)을 구성하고 있고, 제1 흡입구(21)는, 실내기 케이싱(2)의 정면에 설치된다. 제2 케이싱면(24)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평탄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상단(上端)이 전방(前方)에 위치하도록 약간 경사하고 있다. 제2 케이싱면(24)의 하단(下端)은, 제1 케이싱면(23)의 상단과 연속하고 있고, 제2 케이싱면(24)은, 제1 케이싱면(23)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이루고 있다. 즉 제1 케이싱면(23)과 제2 케이싱면(24)은, 굴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비교적 완만한 각도를 이루고 있다.
제2 흡입구(22)는, 실내기 케이싱(2) 내로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하는 개구이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기 케이싱(2)의 천면(天面, 25)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흡입구(22)는, 실내기 케이싱(2)의 폭(W)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송풍 팬 및 팬 모터]
도 3에 도시하는 송풍 팬(3)은, 가늘고 긴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중심축이 수평 방향에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 크로스 플로우 팬이다. 송풍 팬(3)의 둘레면에는 날개가 설치되어 있고, 송풍 팬(3)이 중심축 둘레에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류를 생성한다. 이 공기류는, 제1 흡입구(21) 및 제2 흡입구(22)로부터 받아들여지고 실내 열교환기(10)를 통하여 취출구(20)로부터 실내로 불어내는 공기의 흐름이다. 송풍 팬(3)은, 측면에서 볼 때 실내기(1)의 대체로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팬 모터(4, 도 7 참조)는, 송풍 팬(3)을 중심축 둘레에 회전 구동한다. 팬 모터(4)는, 실내기(1)의 정면에서 볼 때 송풍 팬(3)의 우측방(右側方)에 송풍 팬(3)과 같은 축에 배치되어 있다. 송풍 팬(3)은, 후술하는 제어부(8)에 의하여 회전수가 제어되고, 송풍 팬(3)에 의한 송풍량이 제어부(8)에 의하여 제어된다.
[수평 플랩]
수평 플랩(5)은, 취출구(20)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취출구(20)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를 안내한다. 수평 플랩(5)은, 실내기 케이싱(2)의 폭(W) 방향으로 가늘고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실내기 케이싱(2)의 폭(W) 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 함) 가능하게 취출구(20)에 설치된다. 수평 플랩(5)은, 플랩 모터(50, 도 7 참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수평 플랩(5)은, 취출구(20)보다도 약간 작은 형상을 가지지만,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출구(20)를 닫는 수평 플랩(5)의 상단과 실내기 케이싱(2)의 사이에는, 간극(間隙, G)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간극(G)이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수평 플랩(5)은, 취출구(20)에 있어서 제한 적게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도 5는, 정면 패널(6)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실내기(1)의 정면도이다.
[정면 패널]
정면 패널(6)은, 실내기 케이싱(2)의 전면에 설치되며, 실내기 케이싱(2)으로부터 이반하도록 이동하여 제1 흡입구(21)를 열고, 실내기 케이싱(2)에 근접하도록 이동하여 제1 흡입구(21)를 닫는 것에 의하여 제1 흡입구(21)를 개폐한다. 또한, 정면 패널(6)은, 닫힘 상태에 있어서, 실내기 케이싱(2)의 적어도 일부와, 취출구(20)를 닫는 수평 플랩(5)의 적어도 일단(一端)을 덮어, 제1 흡입구(21)와 취출구(20)를 닫는다. 구체적으로는, 정면 패널(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플랩(5)의 긴 변을 이루는 상단 근방, 제1 케이싱면(23) 및 제2 케이싱면(24)의 도중까지의 부분에 외측으로부터 겹친다. 따라서, 정면 패널(6)은, 닫힘 상태에 있어서, 상술한 수평 플랩(5)의 상단과 취출구(20) 사이의 간극(G)을 덮는다. 정면 패널(6)은, 실내기 케이싱(2)의 제1 케이싱면(23) 및 제2 케이싱면(24)의 굴곡을 따르도록 굴곡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정면 패널(6)은, 실내기 케이싱(2)의 폭(W) 방향으로 취출구(20)보다도 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실내기 케이싱(2)의 폭(W)과 대략 같은 폭(W)을 가진다. 또한, 정면 패널(6)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음매를 가지지 않는다. 정면 패널(6)은, 제1 패널부(61)와 제2 패널부(62)를 가진다.
제1 패널부(61)는, 정면 패널(6)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 수평 플랩(5)의 상 단을 덮는 부분이다. 제1 패널부(61)는, 정면 패널(6)의 하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패널부(62)는, 정면 패널(6)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 제1 흡입구(21)를 덮는 부분이다. 제2 패널부(62)는, 정면 패널(6)의 상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1 패널부(61)의 상단과 제2 패널부(62)의 하단은 연속하고 있고, 제1 패널부(61)와 제2 패널부(62)는, 정면 패널(6)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 제1 케이싱면(23) 및 제2 케이싱면(24)을 따르도록 소정 각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덧붙여, 정면 패널(6)은, 양 측단이 각각 제1 지지 부재(71)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도 10 참조). 2개의 제1 지지 부재(71)는, 실내기 케이싱(2)의 양 측단에 설치되어 있고, 각각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지지 부재(71)가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정면 패널(6)이 이동한다.
[이동 기구]
도 6에 도시하는 이동 기구(7)는, 제1 흡입구(21)가 소망하는 개도로 열리도록 정면 패널(6)을 이동시킨다. 이동 기구(7)는, 정면 패널(6)이 제1 흡입구(21)를 닫은 닫힘 상태(도 9(a)의 상태)와, 정면 패널(6)이 닫힘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 흡입구(21)를 연 제1 열림 상태(도 9(b)의 상태)와, 정면 패널(6)이 제1 상태로부터 한층 더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 흡입구(21)를 한층 더 크게 연 제2 열림 상태(도 9(c)의 상태)로 정면 패널(6)을 이동시킨다. 정면 패널(6)이 닫힘 상태로부터 제1 열림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정면 패널(6)은 평행 이동하고, 정면 패널(6)이 제1 열림 상태로부터 제2 열림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정면 패널(6)은 회전 이동한다. 정면 패널(6)이 제1 열림 상태일 때, 제1 흡입구(21)는 제1 개도로 열린다. 또한, 정면 패널(6)이 제2 열림 상태일 때, 제1 흡입구(21)는 제1 개도보다도 큰 최대 개도인 제2 개도로 열린다. 이동 기구(7)는, 제1 지지 부재(71)와 제2 지지 부재(72)와 패널 구동 모터(73, 도 7 참조)를 가진다.
제1 지지 부재(71)는, 정면 패널(6)의 측단에 정면 패널(6)에 대략 수직으로 고정되어 정면 패널(6)을 지지하는 판상(板狀)의 부재이며, 정면 패널(6)의 좌측단과 우측단의 각각에 설치된다. 제1 지지 부재(71)의 상단은, 전측이 상방에 위치하고 후측(後側)이 하방(下方)에 위치하도록 경사하고 있고, 후술하는 제2 피니언 기어(79)와 나사 감합(嵌合)하는 래크 기어(74, rack gear)가 제1 지지 부재(71)의 상단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지지 부재(71)의 중앙 부분에는, 제1 슬릿부(75), 제2 슬릿부(76), 제3 슬릿부(77)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슬릿부(75), 제2 슬릿부(76), 제3 슬릿부(77)는, 각각 제1 지지 부재(71)의 양면을 관통하는 슬릿이며, 제1 지지 부재(71)와 마찬가지로 전측이 상방에 위치하고 후측이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슬릿부(75)는, 후하방(後下方)으로부터 전상방(前上方)으로 직선상(直線狀)으로 연장되는 직선 부분(751)과, 직선 부분(751)의 후단(後端)에 연속하고 하방으로 약간 패여 만곡(彎曲)한 만곡부(752)를 가지고 있다. 제2 슬릿부(76) 및 제3 슬릿부(77)도 제1 슬릿부(75)와 같은 형상이다. 제2 슬릿부(76)는 제1 슬릿부(75)의 하방에 위치하고, 제3 슬릿부(77)는 제2 슬릿부(76)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 슬릿부(75), 제2 슬릿부(76), 제3 슬릿부(77)는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72)는, 제1 지지 부재(71)를 평행 이동 및 회전 이동 가능하 게 지지하는 부재이며, 실내기 케이싱(2)의 우측면의 내측과 좌측면의 내측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72)는, 서로 나사 감합하는 제1 피니언 기어(78)와 제2 피니언 기어(79)를 가지고 있다. 제1 피니언 기어(78)는, 패널 구동 모터(73)의 회전을 제2 피니언 기어(79)로 전달한다. 제2 피니언 기어(79)는, 제1 피니언 기어(78)로부터 전달된 회전을 전술한 래크 기어(74)로 전달한다. 또한, 제2 지지 부재(72)의 중앙부 부근에는, 제1 지지 조부(爪部)(721)와 제2 지지 조부(72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지지 조부(721)는, 제2 지지 부재(7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제1 지지 부재(71)의 제1 슬릿부(75)에 삽입된다. 제1 지지 조부(721)는, 제1 슬릿부(75)에 걸려 제1 지지 부재(71)를 지지한다. 제2 지지 조부(722)도, 제1 지지 조부(721)와 마찬가지로 제2 지지 부재(7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제1 지지 부재(71)의 제3 슬릿부(77)에 삽입된다. 제2 지지 조부(722)는, 제3 슬릿부(77)에 걸려 제1 지지 부재(71)를 지지한다. 제1 지지 조부(721) 및 제2 지지 조부(722)는, 정면 패널(6)이 개폐 동작을 행할 때에, 제1 슬릿부(75) 및 제2 슬릿부(76)에 대하여 접동(摺動, 접촉하여 미끄러져 움직임)하고, 전후로 이동하는 정면 패널(6)을 지지한다.
도 7에 도시하는 패널 구동 모터(73)는, 제어부(8)의 제어를 받아 회전 구동된다. 패널 구동 모터(73)는, 제1 피니언 기어(78)로 회전을 전달하여, 제1 지지 부재(71)를 제2 지지 부재(72)에 대하여 이동시킨다.
[제어부]
도 7에 도시하는 제어부(8)는, 후술하는 리모컨(9)으로부터 지시를 받아, 상 술한 이동 기구(7)의 패널 구동 모터(73), 팬 모터(4), 플랩 모터(50)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8)가 지시를 받는 운전 모드에는, 통상의 냉방·난방 운전, 취침 운전, 파워풀 운전 등이 있다. 취침 운전은, 통상의 냉방·난방 운전보다도 팬 모터(4)의 구동음이나 흡입 공기의 바람 가르는 소리 등의 운전음을 저감시켜, 실내를 고요하게 유지하는 운전 모드이다. 파워풀 운전은, 통상의 냉방·난방 운전보다도 냉방·난방 능력을 증대시켜 실내의 냉방·난방을 신속하게 행하는 운전 모드이다.
제어부(8)는, 통상의 냉방·난방 운전 모드의 지령을 받았을 때는, 팬 모터(4)를 제어하여 송풍 팬(3)에 의한 출력을 제1 풍량으로 하는 것과 함께, 패널 구동 모터(73)를 제어하여 정면 패널(6)을 제1 열림 상태로 이행시켜 제1 흡입구(21)를 제1 개도로 연다.
또한, 제어부(8)는, 취침 운전의 지령을 받았을 때는, 팬 모터(4)를 제어하여, 송풍 팬(3)에 의한 출력을 제1 풍량보다도 작은 제2 풍량으로 하는 것과 함께, 패널 구동 모터(73)를 제어하여 정면 패널(6)을 제2 열림 상태로 이행시켜 제1 흡입구(21)를 제2 개도로 연다.
나아가, 제어부(8)는, 파워풀 운전의 지령을 받았을 때는, 팬 모터(4)를 제어하여 송풍 팬(3)의 출력을 제1 풍량보다도 큰 제3 풍량으로 하는 것과 함께, 패널 구동 모터(73)를 제어하여 정면 패널(6)을 제2 열림 상태로 하여 제1 흡입구(21)를 제2 개도로 연다.
덧붙여, 제어부(8)는, 운전 정지의 지령을 받았을 때는, 팬 모터(4)를 제어하여 송풍 팬(3)을 멈추고, 플랩 모터를 제어하여 취출구(20)를 닫는 것과 함께, 패널 구동 모터(73)를 제어하여 정면 패널(6)을 닫힘 상태로 한다.
[리모컨]
리모컨(9)은, 거주자 등이 실내기의 운전 내용을 지시하기 위한 장치이며, 거주자 등은 리모컨(9) 상에 설치된 복수의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운전 내용을 리모컨(9)에 입력할 수 있다. 리모컨(9)은, 실내기(1) 전원의 온·오프, 통상 난방 운전, 통상 냉방 운전, 취침 운전, 파워풀 운전 등의 운전 모드의 선택, 온도 설정, 타이머 설정 등의 입력을 받아 지령 신호를 적외선 통신 등의 통신 수단에 의하여 제어부(8)로 송신한다.
<개폐 동작>
다음으로, 정면 패널(6)의 개폐 동작에 대하여 도 8 및 도 9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정지 시에는, 수평 플랩(5)에 의하여 취출구(20)가 닫히는 것과 함께 정면 패널(6)이 닫힘 상태로 된다. 닫힘 상태에서는,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71)의 제1 슬릿부(75)의 전단과 제1 지지 조부(721)가 근접하고, 제1 지지 부재(71)의 제3 슬릿부(77)의 전단과 제2 지지 조부(722)가 근접하고 있으며, 정면 패널(6)은,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흡입구(21)를 덮는 것과 함께 수평 플랩(5)의 상단을 덮고 있다. 이 닫힘 상태에 있어서, 제1 패널부(61)는, 수평 플랩(5)의 상단, 수평 플랩(5)의 상단과 취출구(20) 사이의 간극(G) 및 제1 케이싱면(23)의 취출구(20) 근방을 덮는다. 또한, 제2 패널부(62)는 제2 케이싱면(24)을 덮는다. 정면 패널(6)은, 굴곡한 형상 을 가지고 있어, 닫힘 상태에서는, 제1 케이싱면(23) 및 제2 케이싱면(24)을 따라서, 제1 케이싱면(23) 및 제2 케이싱면(24)에 근접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기(1)의 운전 정지 시에, 수평 플랩(5)의 상단에서부터 제1 흡입구(21)까지의 부분이 외부로부터 은폐된다.
정면 패널(6)이 닫힘 상태로부터 제1 열림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 제1 지지 부재(71)는,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슬릿부(75)의 직선 부분(751)의 후단이 제1 지지 조부(721)에 근접하고 제3 슬릿부(77)의 직선 부분(771)의 후단이 제2 지지 조부(72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슬릿부(75)의 직선 부분(751)은 제1 지지 조부(721)에 대하여 접동하고, 제3 슬릿부(77)의 직선 부분(771)은 제2 지지 조부(722)에 대하여 접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지지 부재(71)는, 비스듬히 전상방으로 평행 이동하고, 정면 패널(6)은,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스듬히 전상방으로 평행 이동한다(화살표 A1 참조). 이때, 제1 패널부(61)가 제1 케이싱면(23)을 따라서 비스듬히 전상방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제2 패널부(62)가 제2 케이싱면(2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비스듬히 전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정면 패널(6)은 취출구(20) 및 제1 흡입구(21)를 연다. 이때, 제1 패널부(61)는, 하단이 취출구(20)의 상단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제1 패널부(61)가 취출구(20)로부터의 취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는 것과 함께, 제1 패널부(61)가 제2 패널부(62)와 제2 케이싱면(24) 사이의 하부를 막는다. 그리고 취출구(20)를 닫고 있던 수평 플랩(5)이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취출구(20)가 열린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패널부(62)와 제2 케 이싱면(24) 사이의 상부는 열려 있어, 제1 흡입구(21)로부터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할 수 있다. 덧붙여, 제1 열림 상태에 있어서는, 제2 패널부(62)와 제2 케이싱면(24) 사이의 양 측부는 제1 지지 부재(71)에 의하여 막혀 있고, 이 제1 지지 부재(71)가 가림판으로 되어 외부로부터 제1 흡입구(21)를 통하여 실내기 케이싱(2)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정면 패널(6)이 제1 열림 상태로부터 제2 열림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 제1 지지 부재(71)는,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슬릿부(75)의 만곡부(752)가 제1 지지 조부(721)에 걸리고, 제3 슬릿부(77)의 만곡부(772)가 제2 지지 조부(722)에 걸리도록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지지 부재(71)는 회전 이동하고, 정면 패널(6)은,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이 전방으로 넘어가도록 회전 이동한다(화살표 A2 참조). 이때, 제1 패널부(61)의 하단은 제1 열림 상태에 있어서의 위치 그대로이며, 정면 패널(6)이 제1 패널부(61)의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제2 패널부(62)의 상단이 전방을 향하여 회전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패널부(62)와 제2 케이싱면(24) 사이의 상부가 한층 더 열리고, 제1 흡입구(21)가 한층 더 열려 제2 개도로 된다.
덧붙여, 정면 패널(6)이 제2 열림 상태로부터 제1 열림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정면 패널(6)이 상기와는 반대로 회전 이동한다. 또한, 실내기(1)의 운전 정지 시에는, 수평 플랩(5)이 회동하여 취출구(20)를 닫은 후, 정면 패널(6)이 상기와는 반대로 평행 이동하여, 수평 플랩(5)의 상단에서부터 제1 흡입구(21)까지의 부분이 다시 외부로부터 은폐된다.
<특징>
(1)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에서는,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수평 플랩(5)의 상단에서부터 제1 흡입구(21)까지의 부분이 정면 패널(6)에 의하여 은폐된다. 이 때문에, 수평 플랩(5)을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비교적 큰 간극(G)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에서는, 인테리어성이 향상하는 등 미관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정면 패널(6)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이와 같은 간극(G)을 정면에 노출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간극(G)을 작게 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 경우, 수평 플랩(5)의 회전 방향에 제한이 생긴다. 따라서,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에서는, 그와 같은 수평 플랩(5)의 회전 방향의 제한이 완화되어 있다.
(2)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에서는, 취침 운전에 있어서 제1 흡입구(21)가 제2 개도로 열리는 것과 함께 풍량이 제2 풍량으로 저감된다. 이것에 의하여, 송풍 팬(3)의 회전수를 억제할 수 있어, 운전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개도가 제2 개도로 증대되는 것에 의하여, 공기의 흡입의 압력 손실이 저감된다. 이것에 의하여, 운전음을 저감하는 것과 함께 개도 변경 전의 공기 조화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3)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에서는, 파워풀 운전에 있어서 제1 흡입구(21)가 제2 개도로 열리는 것과 함께 풍량이 제3 풍량으로 증대된다. 이것에 의하여, 공기 조화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의 흡입의 압력 손실이 저감되는 것에 의하여, 제1 개도로 파워풀 운전이 행하여지는 경우보다도 낮은 송풍 팬(3)의 회전수나 압축기의 주파수에 의하여, 파워풀 운전에 필요한 공기 조화 능력을 출력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운전음이나 소비 전력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워풀 운전 시에는, 정면 패널(6)이 제2 열림 상태로 되어 정면 패널(6)이 전방으로 크게 돌출한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파워풀 운전이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거주자 등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소구(訴求)하는 효과가 생긴다.
(4)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에서는, 정면 패널(6)이 굴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을 개시한 때에는 취출구(20)를 덮고 있던 정면 패널(6)이 취출구(20)를 여는 위치까지 비스듬히 전상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취출구(20)가 열리는 것과 함께 제1 패널부(61)가, 제2 패널부(62)와 제2 케이싱면(24) 사이의 하단을 막는 상태로 된다. 또한, 정면 패널(6)이 제1 열림 상태로부터 제2 열림 상태로 이행하여 개도가 한층 더 크게 될 때에도, 정면 패널(6)이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기 때문에, 제1 패널부(61)가 제2 패널부(62)와 제2 케이싱면(24) 사이의 하단을 막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제1 열림 상태 및 제2 열림 상태에 있어서, 취출구(20)로부터 불어내진 공기가, 제2 패널부(62)와 제2 케이싱면(24) 사이의 하부를 통하여 다시 제1 흡입구(21)로부터 빨아 들여지는 쇼트서킷(short circuit)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쇼트서킷에 의한 실내기의 공기 조화 능력의 저하나 이슬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쇼트서킷이 방지되기 때문에, 정면 패널(6)을 비교적 크게 이동시킬 수 있어, 제2 패널부(62)와 제2 케이싱면(24) 사이의 상부에 설치되는 개구의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5)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에서는, 상기와 같이 2종류의 형상이 조합된 슬릿부(75, 77)의 형상에 의하여 정면 패널(6)의 궤적이 직선 형상과 원호(圓弧) 형상의 2단계로 변화한다. 이 때문에, 복잡한 기구를 갖출 필요가 없고, 하나의 패널 구동 모터(73)를 펄스 제어하는 것만에 의하여 정면 패널(6)의 개도 조정이 가능하다.
(6)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의 미관의 관점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닫힘 상태가 가장 인테리어성이 좋고, 미관이 좋다. 그리고 제1 흡입구(21)의 개도가 큰 만큼,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의 외형이 변화하여 인테리어성이 저하한다. 이 때문에, 제2 열림 상태가 가장 미관이 나쁘고, 제1 열림 상태는 제2 열림 상태보다도 미관이 좋다. 그리고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에서는, 리모컨(9)으로부터 운전 모드를 지시하는 것에 의하여, 정면 패널(6)의 상태를 닫힘 상태, 제1 열림 상태, 제2 열림 상태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거주자 등은, 운전 모드를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미관의 관점으로부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의 외형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
(1)
상기 실시예에서의 취침 운전에 있어서, 제어부(8)는, 팬 모터(4)를 제어하여 송풍 팬(3)의 출력을 제1 풍량으로 하는 것과 함께 패널 구동 모터(73)를 제어하여 제1 흡입구(21)를 제2 개도로 여는 제어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이 제어의 경우, 송풍 팬(3)에 의한 풍량은 통상 냉방·난방 운전과 같은 제1 풍량이지만, 제1 흡입구(21)가 보다 크게 열리는 것에 의하여, 흡입 공기의 바람 가르는 소리가 저감되고, 운전음이 저감된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원활한 개폐 동작을 위하여 정면 패널(6)의 하단의 길이가 짧게 되어 있고, 수평 플랩(5)의 하단 근방은 정면 패널(6)에 의하여 덮여 있지 않다. 그러나 미관 향상의 관점에서는, 정면 패널(6)이 수평 플랩(5)의 전체를 덮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반대로, 닫힘 상태의 정면 패널(6)은, 미관의 관점에서는 제1 흡입구(21) 및 취출구(20)의 가능한 한 넓은 범위를 덮는 것이 좋지만, 반드시 제1 흡입구(21) 및 취출구(20)의 모두를 완전하게 덮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흡입구(21) 및 취출구(2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이면 된다.
또한, 닫힘 상태의 정면 패널(6)은, 제1 취출구(20)를 닫은 상태이지만, 반드시 완전하게 밀봉한 상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약간의 개도로 열려 있는 경우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3)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개도는 제1 흡입구(21)의 최대 개도이지만, 제2 개도가 최대 개도가 아니라, 제1 흡입구(21)가 보다 큰 개도로 열리는 것이 가능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다른 운전 모드나 필터의 유지 보수 시 또는 정면 패널(6)을 떼어낼 때 등에 있어서, 제1 흡입구(21)가 제2 개도보다도 한층 더 크게 열리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2 개도가 최대 개도인 경우에도, 정면 패널(6)에 약간의 유격(裕隔)이 설치되어 있어 수동으로 제2 개도보다도 한층 더 크게 열 수 있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4)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운전 모드와 다른 타 운전 모드가 리모컨(9)으로부터 지시되어도 무방하고,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의 미관의 관점으로부터 선택되는 운전 모드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거주자가 수면 중이어서 실내기(1)의 외관이 신경이 쓰이지 않는 경우에 선택되는 야간 운전 모드나, 거주자가 실내에 부재여서 실내기(1)의 외관이 신경이 쓰이지 않는 경우에 실내의 환기 등을 행하는 부재 시 운전 모드 등이 선택 가능하게 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운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정면 패널(6)이 제2 열림 상태로 된다. 거주자 등이 실내기(1)의 외관을 신경쓰지 않는 경우에 선택되는 운전 모드이기 때문에, 제1 흡입구(21)를 크게 열어 팬 모터(4)의 회전수나 압축기의 주파수를 저감시켜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5)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면 패널(6)은 닫힘 상태로부터, 제1 열림 상태 및 제2 열림 상태의 2개의 열림 상태로 변화하지만, 3개 이상의 열림 상태로 변화하는 것이어도 무방하고, 제1 흡입구(21)가 3단계 이상의 단계로 열리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즉 제어부(8)는 제1 흡입구(21)의 개도를 복수 단계의 소망하는 개도로 변경 가능하면 되고, 상기 실시예의 2단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파워풀 운전 시와 취침 운전 시에서는, 제1 흡입구(21)가 같은 제2 개도로 열리지만, 다른 개도로 열려도 무방하다.
나아가, 상기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운전 모드에 있어서는 제1 흡입구(21)는 같은 개도로 열리고 있지만, 동일한 운전 모드에 있어서 제1 흡입구(21)의 개도가 조정되어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운전 상황에 따른 보다 치밀한 개도 조정이 가능하다.
(6)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면 패널(6)은, 평행 이동과 회전 이동의 2개의 태양(態樣)으로 이동하지만, 이동의 태양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정면 패널(6)이 닫힘 상태로부터 제1 열림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정면 패널(6)의 궤적은 엄밀하게 직선상일 필요는 없고, 약간 만곡한 곡선상이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정면 패널(6)이 제1 열림 상태로부터 제2 열림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정면 패널(6)의 궤적은 엄밀하게 원호상일 필요는 없고 원호상이 아닌 곡선상이어도 무방하다.
(7)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모컨(9)에 의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 모드에 따라서 제1 흡입구(21)의 개도가 조정되고 있지만, 자동 운전 등과 같이 제어부(8)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선택된 운전 모드에 따라서 제1 흡입구(21)의 개도가 조정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의 기동 시와, 기동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한 안정 시로 운전 모드가 자동적으로 변경되고, 변경된 운전 모드에 따라서 제1 흡입구(21)의 개도가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8)
상기 실시예에서는, 운전 모드마다 대응하여 제1 흡입구(21)의 개도가 조정되고 있지만, 1개의 운전 모드 중에서 일련의 동작으로서 제1 흡입구(21)의 개도가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어느 운전 모드에 있어서, 온도의 변화, 풍량의 변화, 시간의 경과 등에 따라서 제1 흡입구(21)의 개도가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운전에 따른 적절한 공기의 흡입량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로서 유용하다.

Claims (11)

  1. 흡입구(21)가 설치된 케이싱(2)과,
    상기 케이싱(2)으로부터 이반(離反)하도록 이동하여 상기 흡입구(21)를 열고, 상기 케이싱(2)에 근접하도록 이동하여 상기 흡입구(21)를 닫는 개폐 패널(6)과,
    상기 흡입구(21)가 소망하는 개도(開度)로 열리도록 상기 개폐 패널(6)을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7)와,
    상기 이동 기구(7)를 제어하는 제어부(8)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8)는, 상기 이동 기구(7)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구(21)의 개도를 소망하는 개도로 변경 가능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는, 상기 이동 기구(7)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구(21)의 개도를 복수 단계로 변경 가능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에 의하여 제어되는 송풍 장치(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8)는, 상기 송풍 장치(3)에 의한 풍량에 따라서, 상기 흡입구(21)의 개도를 소망하는 개도로 변경 가능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운전 모드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상기 운전 모드에서 공기 조화 운전을 실행 가능하고, 선택된 상기 운전 모드에 대응한 개도로 상기 흡입구(21)를 여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운전 모드로부터 하나의 상기 운전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8)에 지시하기 위한 지시 장치(9)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8)는, 상기 이동 기구(7)를 제어하여, 상기 지시 장치(9)로부터 지시된 상기 운전 모드에 대응한 개도로 상기 흡입구(21)를 여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에 의하여 제어되는 송풍 장치(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8)는, 복수의 상기 운전 모드 중 제1 운전 모드가 지시된 경우에는 상기 송풍 장치(3)의 출력을 제1 풍량으로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이동 기구(7)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구(21)를 제1 개도로 열고, 복수의 상기 운전 모드 중 제2 운전 모드가 지시된 경우에는 상기 송풍 장치(3)의 출력을 상기 제1 풍량보다도 작은 제2 풍량으로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이동 기구(7)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구(21)를 상기 제1 개도보다도 큰 제2 개도로 여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에 의하여 제어되는 송풍 장치(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8)는, 복수의 상기 운전 모드 중 제1 운전 모드가 지시된 경우에는 상기 송풍 장치(3)의 출력을 제1 풍량으로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이동 기구(7)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구(21)를 제1 개도로 열고, 복수의 상기 운전 모드 중 제3 운전 모드가 지시된 경우에는 상기 송풍 장치(3)의 출력을 상기 제1 풍량으로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이동 기구(7)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구(21)를 상기 제1 개도보다도 큰 제2 개도로 여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도는 상기 흡입구(21)가 최대로 열리는 개도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에 의하여 제어되는 송풍 장치(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8)는, 복수의 상기 운전 모드 중 제1 운전 모드가 지시된 경우에는 상기 송풍 장치(3)의 출력을 제1 풍량으로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이동 기구(7)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구(21)를 제1 개도로 열고, 복수의 상기 운전 모드 중 제4 운전 모드가 지시된 경우에는 상기 송풍 장치(3)의 출력을 상기 제1 풍량보다도 큰 제3 풍량으로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이동 기구(7)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구(21)를 상기 제1 개도보다도 큰 제3 개도로 여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개도는 상기 흡입구(21)가 최대로 열리는 개도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에는 취출구(20)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폐 패널(6)은, 상기 취출구(20)를 개폐하는 제1 패널부(61)와, 상기 제1 패널부(6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21)를 개폐하는 제2 패널부 (62)를 가지며, 운전 정지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흡입구(21)와 상기 취출구(20)를 닫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
KR1020077000278A 2004-07-14 2005-07-13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21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0278A KR20070021302A (ko) 2004-07-14 2005-07-13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06772 2004-07-14
KR1020077000278A KR20070021302A (ko) 2004-07-14 2005-07-13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302A true KR20070021302A (ko) 2007-02-22

Family

ID=4365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278A KR20070021302A (ko) 2004-07-14 2005-07-13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13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87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US7849706B2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KR102055939B1 (ko) 공기 조화기
JP4965618B2 (ja) 空気調節装置の風向変更装置
JP4339825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9210257A (ja) 空気調和機
KR10088807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468421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0168254B1 (ko) 자동흡입그릴의 열림각 조절장치
KR101431834B1 (ko) 공조장치
JP5184948B2 (ja) 空気調和機
JP4619983B2 (ja) 空気調和機
JP380119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6226562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の制御方法
JP200624242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の制御方法
KR20070021302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94761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7022290B1 (ja) 床置き型空気調和機
JP5091295B2 (ja) 空気調節装置の風向変更装置
JP465055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の制御方法
JP2009085505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318

Effective date: 2008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