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956A -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 - Google Patents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956A
KR20070020956A KR1020050075367A KR20050075367A KR20070020956A KR 20070020956 A KR20070020956 A KR 20070020956A KR 1020050075367 A KR1020050075367 A KR 1020050075367A KR 20050075367 A KR20050075367 A KR 20050075367A KR 20070020956 A KR20070020956 A KR 20070020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arm
guide groove
arm head
hi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3615B1 (ko
Inventor
장광용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5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615B1/ko
Publication of KR20070020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45Joints between elements
    • B60S1/345Joints betwee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a link piece and a mounting head
    • B60S1/3456Locks or stays for holding arms in fully folded back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크백 상태로 리테이너가 젖혀질 때 리테이너의 회동각이 규제되도록 하여 리테이너와 아암 헤드 간의 접촉에 의한 긁힘 현상이나 미 도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아암 헤드의 타단에 형성된 힌지부에 일단으로 형성된 힌지부가 힌지결합되는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의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아암 스트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아암 헤드의 타단 측에 형성된 축에 타단이 고정된 클립에 고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리테이너가 회동하여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 헤드 및 리테이너의 힌지부 중 어느 하나의 힌지부에 회전축을 중심을 하는 호형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힌지부에 상기 리테이너의 회동시 상기 안내홈을 따라 상대 이동하는 규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의 회동시 상기 규제돌기가 상기 안내홈의 끝단과 접촉하여 상기 리테이너의 회동각을 규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와이퍼 아암, 아암 헤드, 리테이너

Description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WIPER ARM APPARATUS CAPABLE OF LOCK BACK}
도 1 은 종래의 와이퍼 아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와이어 아암 장치의 로크백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아암 헤드 34: 힌지부
36: 회전축 38: 안내홈
40: 리테이너 42: 힌지부
44: 축공 46: 규제돌기
본 발명은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크백 상태로 리테이너가 젖혀질 때 리테이너와 아암 헤드 간의 접촉에 의한 긁힘 현상이나 미도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윈드실드 글래스(windshield glass)에는 우천시에 시야를 확보하거나 윈드실드 글래스에 쌓인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윈드실드 글래스를 닦아주는 와이퍼 장치(wiper system)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와이어 장치는 와셔액 탱크에서 펌핑된 와셔액을 분사노즐을 매개로 윈드실드 글래스(windshield glass)에 분사시키고 와이퍼 아암을 회동시켜 와이퍼 블레이드로 닦아주게 되는 데, 와이퍼 모터에 회동축을 매개로 연결된 와이퍼 아암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결합되어 있으며 와이퍼 모터를 회동시키면 좌우 양측의 와이퍼 아암이 회동하면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회동시켜 전면 유리를 세척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퍼 장치는 윈드실드 글래스에 물기나 눈이 결빙되어 있는 경우에 와이퍼를 강제적으로 구동시키면 와이어 블레이드가 찢어지거나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와이퍼 블레이드를 윈드실드 글래스로부터 이격시킨 후 결빙을 제거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환시와 장시간 미 사용시에도 블레이드의 고무가 유리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퍼 블레이드를 윈드실드 글래스로부터 이격시켜 놓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를 윈드실드 글래스로부터 이격되게 위로 젖혀져 유지되는 상태를 소위 로크백(Lock Back)상태라고 한다.
도 1 은 종래의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선회축(4)을 통해 와이퍼 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아암 헤드(2)와, 상기 아암 헤드(2)에 힌지결합된 리테이너(8)와, 상기 리테이너(8)의 내부까지 일부가 연장되고 타단에 와이퍼 블레이드(10)가 결합되는 아암 스트립(12), 일단은 아암 스트립(12)에 연결되고 타단은 C형 클립(14)에 의해 연결되는 스프링(16)을 포함한다. C형 클립(14)의 타단은 아암 헤드(2)의 힌지부측에 위치한 축(3)에 고정되어 있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와이어 아암 장치의 로크백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교체 등의 경우에 사용자는 리테이너(8)를 회동시켜 젖힘으로서 로크백 상태를 만드는 데, 리테이너를 젖히면 리테이너(8)의 상면끝단(9)이 아암 헤드(2)의 상면에 접할 때 까지 회동된다. 이 때 리테이너(8)의 상면 끝단과 아암 헤드(2)의 상면이 접하면서 긁힘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 아임 헤드(2) 상면의 도장이 벗겨지게 되면서 품질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와 같이 리테이너(8)의 끝단이 아암 헤드(2)의 상면에 접촉하는 현상은 도장 공정에서 문제를 유발하는 데, 일반적으로 와이퍼 아암의 도장시 리테이너(8)를 로크백 상태로 한 후 페인팅을 하게 된다. 그러나 로크백 상태에서 리테이너(8)의 끝단(9)이 아암 헤드(2)의 상면에 접촉하여 있게 되므로 이 부분은 도장이 되지 않아 미도장 부분이 남게 되므로 도장 불량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클립(14)의 설계시 리테이너(8)의 젖힘 각도를 계산하여 리테이너가 일정 각 이상으로 젖혀지지 않게 하는 방안이 사용되고 있으나, 클립(14)의 엄격한 품질관리를 위해 불필요한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고, 클립(14)과 아임 헤드(2) 간의 조립 산포 및 사용에 따른 클립(14)의 변형에 의해서도 상기 문제점들은 발생할 수 있는바 품질 관리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로크백 상태로 리테이너가 젖혀질 때 리테이너의 회동각이 규제되도록 하여 리테이너와 아암 헤드 간의 접촉에 의한 긁힘 현상이나 미 도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아암 헤드의 타단에 형성된 힌지부에 일단으로 형성된 힌지부가 힌지결합되는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의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아암 스트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아암 헤드의 타단 측에 형성된 축에 타단이 고정된 클립에 고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리테이너가 회동하여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 헤드 및 리테이너의 힌지부 중 어느 하나의 힌지부에 회전축을 중심을 하는 호형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힌지부에 상기 리테이너의 회동시 상기 안내홈을 따라 상대 이동하는 규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의 회동시 상기 규제돌기가 상기 안내홈의 끝단과 접촉하여 상기 리테이너의 회동각을 규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암 헤드의 힌지부에는 중심으로 상기 회전축이 돌설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힌지부에는 중심으로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축공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상기 안내홈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돌기가 돌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아암 헤드(30)의 일단의 선회축(미도시)이 와이퍼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에는 힌지부(34)가 형성된다. 힌지부(34)에는 회전축(36)이 돌설되어 형성되며, 힌지부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축(36)을 호의 중심으로 하는 호형의 안내홈(38)의 형성된다.
리테이너(40)는 일단으로 힌지부(42)가 형성되어 상기 아암 헤드(30)의 힌지부(34)와 결합되는 데, 아암 헤드의 힌지부(34)에 형성된 회전축(36)이 끼워지는 축공(44)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아암 헤드(30)의 안내홈(38)에 대응하는 규제돌기(46)가 형성된다. 아암 헤드(30) 및 리테이너(40)의 힌지부(34,42)가 결합될 때 규제돌기(46)는 안내홈(38) 상에 위치하게 되며, 리레이너(40)가 로크백 상태로 젖혀질 때 규제돌기(46)가 안내홈(38)을 따라 이동하면서 안내홈(38)의 끝단(39)과 접촉하여 리테이너(40)의 회동각을 규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리테이너(40)는 아암 스트립과 결합되어 있는데, 아암 스트립의 일부가 리테이너(4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와이퍼 블레이드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암 스트립의 리테이너(40) 내부에 위 치하는 일단에는 스프링(16)의 일단이 결합되며 스프링(16)의 타단은 C형 클립(14)에 고정되어 있다.
C형 클립(14)은 일단은 스프링(16)에 고정되고 타단은 아암 헤드(30)의 힌지부(34)에 형성된 축(33)에 고정되어 스프링(16)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의 작용을 살펴본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의 로크백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리테이너(40)를 윈드실드 글래스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리테이너(40)를 회전축(34)을 중심으로 젖히면 리테이너(40)가 회동하게 된다. 이때 리테이너(40) 힌지부(42)의 규제돌기(46)가 안내홈(38)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규제돌기(46)가 안내홈(38)의 끝단(39)과 접촉하여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리테이너(40)는 설계시 고려된 각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고, 로크백 상태에서 아암 헤드(30)와 리테이너(40) 간의 갭(g)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즉, 리테이너(40)의 상면 끝단(41)이 아암 헤드(30)의 상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백시 아암 헤드(30)의 상면이 긁히거나 도장 공정에서 미도장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남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첨부된 청구 항들은 전술한 실시예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함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테이너가 로크백 상태로 젖혀질 때, 규제돌기가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리테이너의 회동각을 규제하게 됨으로 로크백 상태에서 리테이너의 상면 끝단과 아암 헤드의 상면이 일정한 갭을 가지고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로크백 상태가 반복되더라도 리테이너와 아암 헤드 간의 간섭에 의한 긁힘이 발생하지 않고 도장공정에서 품질관리가 용이해 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아암 헤드의 타단에 형성된 힌지부에 일단으로 형성된 힌지부가 힌지결합되는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의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아암 스트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아암 헤드의 타단 측에 형성된 축에 타단이 고정된 클립에 고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리테이너가 회동하여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 헤드 및 리테이너의 힌지부 중 어느 하나의 힌지부에 회전축을 중심을 하는 호형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힌지부에 상기 리테이너의 회동시 상기 안내홈을 따라 상대 이동하는 규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의 회동시 상기 규제돌기가 상기 안내홈의 끝단과 접촉하여 상기 리테이너의 회동각을 규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헤드의 힌지부에는 중심으로 상기 회전축이 돌설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힌지부에는 중심으로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축공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상기 안내홈에 대응하는 상기 규제돌기가 돌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
KR1020050075367A 2005-08-17 2005-08-17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 KR100693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367A KR100693615B1 (ko) 2005-08-17 2005-08-17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367A KR100693615B1 (ko) 2005-08-17 2005-08-17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956A true KR20070020956A (ko) 2007-02-22
KR100693615B1 KR100693615B1 (ko) 2007-03-14

Family

ID=4365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367A KR100693615B1 (ko) 2005-08-17 2005-08-17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095B1 (ko) * 2008-10-29 201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와이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9459U (ja) * 1984-05-29 1985-12-16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ワイパ装置
JPH0580928U (ja) * 1992-04-03 1993-11-02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ウインドワイパー
JP3864373B2 (ja) 2001-04-06 2006-12-27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アー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095B1 (ko) * 2008-10-29 201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와이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615B1 (ko)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582B1 (ko) 와이퍼 장치
CN107444350A (zh) 用于擦拭车辆的风挡的系统
KR100693615B1 (ko) 로크백이 가능한 와이퍼 아암 장치
JP2015500174A (ja) ウィンドスクリーン用ワイパーアーム
US3404423A (en) Windshield cleaning apparatus
JP2008168796A (ja) 車両用ワイパ装置
US8365345B1 (en) Windshield wiper lifter
KR101211096B1 (ko) 와이퍼 장치
CN113365886B (zh) 平片型风挡刮水器装置
KR20210046435A (ko) 오염제거장치
US8166604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wiper blade removal
KR100371643B1 (ko) 와이퍼 암에 구비된 자동차용 에어워셔액분사노즐
KR102111736B1 (ko) 워셔액 분사 노즐 결합 구조가 개선된 와이퍼 장치
KR100536998B1 (ko)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 암
KR100189365B1 (ko) 보조 블레이드를 갖춘 자동차의 와이퍼장치
KR100610967B1 (ko) 리어 와이퍼 암의 와이퍼 블레이드 고정 구조
KR0141358B1 (ko) 세척액노즐이 일체로 장착된 차량용 와이퍼아암
EP3746339B1 (en) A windscreen wiper arm, particularly for automobiles
CN113748056A (zh) 平片型风挡刮水器装置
KR100527128B1 (ko) 블레이드 교환이 용이한 자동차의 와이퍼 장치
KR200424193Y1 (ko) 와이퍼 조립체
KR20060074155A (ko) 스토퍼가 구비된 와이퍼
KR20070035632A (ko) 차량 전면유리창 세정을 위한 세정액 분사노즐장치
JP2005531452A (ja) リフトオフを制限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るワイパーデバイス
KR100612181B1 (ko) 차량용 윈드 실드 와셔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