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911A - 적층블럭, 다단적층식 토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적층블럭, 다단적층식 토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911A
KR20070020911A KR1020050075288A KR20050075288A KR20070020911A KR 20070020911 A KR20070020911 A KR 20070020911A KR 1020050075288 A KR1020050075288 A KR 1020050075288A KR 20050075288 A KR20050075288 A KR 20050075288A KR 20070020911 A KR20070020911 A KR 20070020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lock
front panel
laminate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8895B1 (ko
Inventor
한일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은산업
Priority to KR1020050075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895B1/ko
Publication of KR20070020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양 측단에 맞물림부가 각각 형성된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양 측단보다 안쪽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설되며, 상면에 전면패널쪽 부분이 높고 배면패널쪽 부분이 낮은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사이드패널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패널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설되는 한 쌍의 배면패널;을 포함하는 적층블럭과, 이 적층블럭을 구비하는 토목구조물과, 또한 이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전면패널, 사이드패널, 배면패널, 옹벽, 호안, 토목구조물, 관통공

Description

적층블럭, 다단적층식 토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TACK-TYPE BLOCK, MULTISTAGE STACK-TYPE CIVIL WORK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블럭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블럭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적층블럭간의 연결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L형단면블럭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세로 보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시공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옹벽용 또는 호안용으로 사용되는 적층블럭, 다단적층식 토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옹벽이라 함은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를 일컫는 말로서, 이는 지표지반(地表地盤)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이러 한 토목구조물은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에 주로 필요하다.
한편 호안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하안(河岸)·해안(海岸)·둑을 보호해서 유수에 의한 물가선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비탈면에 시설하는 공작물을 말한다.
종래 이들 용도로 사용되던 토목구조물 중에는 다수의 블럭을 다단으로 수직으로 또는 경사지게 쌓고블럭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토사 등(토사, 굵은 모래, 자갈 및 흙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같다)을 채워 구축한 것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토목구조물은 다단 적층시 각 블럭을 정렬 배치하는데 용이하지 않고 또한 최하단 블럭의 아랫면에 조성된 기초면의 토사 등이 부등침하되거나 또는 블럭의 내부공간부에 채워진 토사 등이 유출되는 경우 토목구조물이 유지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시공이 보다 간편하고, 지반침하나 토사 등의 유출에도 견딜 수 있으며, 또한 식생용 공간을 구비할 수 있는 용벽용 또는 호안용 적층블럭과, 다단적층식 토목구조물과, 이 토목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양 측단에 맞물림부가 각각 형성된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양 측단보다 안쪽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설 되며, 상면에 전면패널쪽 부분이 높고 배면패널쪽 부분이 낮은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사이드패널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패널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설되는 한 쌍의 배면패널;을 포함하는 적층블럭을 제공한다.
이 적층블럭은 상기 사이드패널의 상면에 제1의 보 삽입용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패널의 상기 관통공의 하단에 제2의 보 삽입용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양 측단에 맞물림부가 각각 형성된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양 측단보다 안쪽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설되며, 그 상면에 전면패널쪽 부분이 높고 배면패널쪽 부분이 낮은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사이드패널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패널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설되는 한 쌍의 배면패널을 포함하는 적층블럭과; 전방부 및 바닥면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L자형 단면을 가진 긴 바의 형태로 되어 있고, 양 측단에 맞물림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L형단면블럭;을 포함하는 토목구조물을 제공한다.
이 토목구조물은 상기 적층블럭의 상기 사이드패널의 상면에 제1의 보 삽입용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블럭의 상기 사이드패널의 상기 관통공의 하단에 제2의 보 삽입용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의 보 삽입용 홈 및 상기 제2의 보 삽입용 홈에 각각 삽입되는 가로 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 토목구조물은 일단에 상기 가로 보의 중앙위치에 끼워맞춰지는 부분 을 가지며 타단에 보강용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긴 바의 형태인 세로 보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부 및 바닥면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L자형 단면을 가진 긴 바의 형태로 되어 있고, 양 측단에 맞물림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L형단면블럭의 복수개를 서로 인접하는 L형단면블럭의 측단에 형성된 맞물림부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연결시켜 기초단을 형성하고, 이 기초단의 바닥면 상면 높이까지 토사 등을 메우고 다지는 단계, 양 측단에 맞물림부가 각각 형성된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양 측단보다 안쪽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설되며, 그 상면에 전면패널쪽 부분이 높고 배면패널쪽 부분이 낮은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사이드패널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패널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설되는 한 쌍의 배면패널을 포함하고 있는 적층블럭의 복수개를, 상기 적층블럭의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이 상기 L형단면블럭의 상기 전방부 후면에 맞닿게 함과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적층블럭의 전면패널 측단에 형성된 맞물림부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기초부 상에 일렬로 쌓고, 상기 적층블럭의 사이드패널 상면의 단차의 아래단 높이까지 토사등을 메우고 다지는 단계, 상기 일렬로 쌓인 적층블럭의 사이드패널 상면의 단차에 새로운 적층블럭의 전면패널 전면이 맞닿게 함과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적층블럭의 전면패널 측단에 형성된 맞물림부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새로운 적층블럭의 열을 쌓고 다시 적층블럭의 사이드패널 상면의 단차의 아래단 높이까지 토사 등을 메우고 다지는 것을 반복하여 적층블럭을 다층 쌓는 단계, 및 최상단 적층블 럭의 사이드패널의 단차에 전방부의 전면이 맞닿도록 L형단면블럭을 쌓아 마감단을 형성하여 시공을 마무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토목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 토목구조물 시공방법에 의하면, 상기 적층블럭의 상기 사이드패널의 상면에 제1의 보 삽입용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블럭의 상기 사이드패널의 상기 관통공의 하단에 제2의 보 삽입용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의 보 삽입용 홈 및 상기 제2의 보 삽입용 홈에 각각 가로 보가 삽입되게 된다.
또한, 이 토목구조물 시공방법에 의하면, 일단에 상기 가로 보의 중앙위치에 끼워맞춰지는 부분을 가지며 타단에 보강용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긴 바의 형태인 세로 보가 상기 가로 보의 중앙위치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이 토목구조물 시공방법에 의하면, 상기 적층패널을 쌓을 때 상기 적층패널의 배면패널에 부직포가 부착되게 된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적층블럭(1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적층블럭(100)은 크게 전면패널(110), 한 쌍의 사이드패널(120, 120') 및 한 쌍의 배면패널(130, 130')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블럭이다.
먼저 전면패널(110)은 적층시 전면에 나타나게 되는 부분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관을 위해 자연석의 형상으로 될 수도 있고,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안용으로 사용될 때 소파기능을 잘 수행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긴 홈이 형성되어 있는 요철의 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전면패널(110)의 양 측단에는 맞 물림부(111, 111')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시공시 서로 인접하는 전면패널이 서로 맞물려 유지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패널(120, 120')은 전면패널(110)의 양 측단보다 안쪽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설되어 있다. 이 사이드패널(120, 120')의 상면에는 전면패널(110)쪽 부분이 높고 배면패널(130)쪽 부분이 낮은 단차가 형성되어 있어서 시공시 그 윗단에 쌓이는 적층블럭을 이 단차에 맞추어 쉽게 정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패널(120, 120')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22, 1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시공시 토사 등을 수용하여 이 토사 등과 맞물려 견고하게 유지된다.
한편, 사이드패널(120, 120')의 상면에는 제1의 보 삽입용 홈(121, 12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122, 122')의 하단에는 제2의 보 삽입용 홈(123, 1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적층블럭의 홈 사이에 가로 보(301, 302)를 끼워넣으면 인접하는 양 적층블럭간의 연결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패널(120, 120')에는 한 쌍의 배면패널(130, 130')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설되어, 시공시 토사 등이 채워지면 배면패널(130, 130')이 토사 등과의 견고하게 맞물려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패널(130, 130')은 위에서 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사이드패널(120, 120')과의 모서리 부분이 보다 두껍게 되어 있어서, 강도 보강의 효과가 있다.
상술한 적층블럭(100)은 지표면에 바로 시공하는 것도 생각할 수는 있지만, 통상 기초단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초단을 형성하기 위 해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L형단면블럭(200)을 구비한다. L형단면블럭(200)은 전방부 및 바닥면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L자형 단면을 가진 긴 바(210)의 형태로 되어 있고, 양 측단에 맞물림부(212, 21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에 관통공(21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적층블럭(100)의 경우와 유사하게 맞물림부(212, 212')에 의해 시공시 서로 인접하는 L형단면블럭(200)이 서로 맞물려 유지될 수 있고, 또한 관통공(211)이 토사 등을 수용하여 토사 등과 맞물려 L형단면블럭(200)이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된다.
한편, 적층블럭(100)에 설치된 가로 보(302)에 보강을 위해 도 5에 도시된 세로 보(400)를 추가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세로 보(400)는 그 일단이 가로 보(302)의 중앙위치에 끼워맞춰지는 부분(401)을 가지며 타단에는 보강용 부분(402)이 형성되어 있는 긴 바의 형태이다. 보강용 부분(402)이 토사 등에 묻히게 됨으로써 전체 구조물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연결된 상태는 도 4 참조).
다음으로 본 발명의 토목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설치지점의 기초 지질의 특성을 확인하고, 기초 바닥을 고르는 등 기초 저면을 고르는 작업을 한다.
이 기초 저면에 L형단면블럭(200)의 복수개를 서로 인접하는 맞물림부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길게 연결시켜 기초단을 형성하고, 이 기초단의 바닥면 상면 높이까지 토사 등을 메우고 다진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블럭(100)의 복수개를, 그 전면패널(110)의 전면이 L형단면블럭(200)의 전방부 후면에 맞닿게 함과 동시에 서로 인접 하는 맞물림부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기초부 상에 일렬로 쌓고, 적층블럭(100)의 사이드패널(120, 120') 상면의 단차의 아래단 높이까지 토사 등을 메우고 다지게 된다. 이 때 기초단의 L형단면블럭(200, 200)간의 이음위치와 적층블럭(100, 100)간의 이음위치가 서로 엇갈리게 쌓는 것이 강도 유지상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블럭(100)의 사이드패널(120, 120')의 상면에 제1의 보 삽입용 홈(121, 12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적층블럭(100)의 사이드패널(120, 120')의 관통공(122, 122')의 하단에 제2의 보 삽입용 홈(123, 123')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제1의 보 삽입용 홈(121, 121') 및 제2의 보 삽입용 홈(123, 123')에 각각 가로 보(301, 302)를 삽입시켜 적층블럭(100, 100)간의 연결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로 보(400)의 가로 보(302)에 끼움으로써 보강을 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패널(100)을 쌓을 때 적층패널(100)의 배면패널(130)에 부직포(500)를 부착시키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새로운 적층블럭(100)의 열을 쌓고 다시 적층블럭(100)의 사이드패널(120) 상면의 단차의 아래단 높이까지 토사 등을 메우고 다지는 것을 반복하여 적층블럭(100)을 다층 쌓게 된다.
마지막으로 최상단 적층블럭(100)의 사이드패널(120)의 단차에 전방부의 전면이 맞닿도록 L형단면블럭(200)을 재차 쌓아 마감단을 형성하여 시공을 마무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블럭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공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토사 등과 맞물리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가로 보 및 세로 보에 의해 구조물을 보강하기 때문에, 지반침하나 토사 등의 유출에도 잘 견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블럭의 상부가 개방되어 토사를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식생용 식생용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Claims (9)

  1. 양 측단에 맞물림부가 각각 형성된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양 측단보다 안쪽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설되며, 상면에 전면패널쪽 부분이 높고 배면패널쪽 부분이 낮은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사이드패널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패널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설되는 한 쌍의 배면패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패널의 상면에 제1의 보 삽입용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패널의 상기 관통공의 하단에 제2의 보 삽입용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블럭.
  3. 양 측단에 맞물림부가 각각 형성된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양 측단보다 안쪽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설되며, 그 상면에 전면패널쪽 부분이 높고 배면패널쪽 부분이 낮은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사이드패널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패널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설되는 한 쌍의 배면패널을 포함하는 적층블럭과;
    전방부 및 바닥면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L자형 단면을 가진 긴 바의 형태로 되어 있고, 양 측단에 맞물림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L형단면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블럭의 상기 사이드패널의 상면에 제1의 보 삽입용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블럭의 상기 사이드패널의 상기 관통공의 하단에 제2의 보 삽입용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의 보 삽입용 홈 및 상기 제2의 보 삽입용 홈에 각각 삽입되는 가로 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가로 보의 중앙위치에 끼워맞춰지는 부분을 가지며 타단에 보강용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긴 바의 형태인 세로 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
  6. 전방부 및 바닥면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L자형 단면을 가진 긴 바의 형태로 되어 있고, 양 측단에 맞물림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L형단면블럭의 복수개를 서로 인접하는 L형단면블럭의 측단에 형성된 맞물림부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연결시켜 기초단을 형성하고, 이 기초단의 바닥면 상면 높이까지 토사 등을 메우고 다지는 단계,
    양 측단에 맞물림부가 각각 형성된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양 측단보다 안쪽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설되며, 그 상면에 전면패널쪽 부분이 높고 배면패널쪽 부분이 낮은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사이드패널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패널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설되는 한 쌍의 배면패널을 포함하고 있는 적층블럭의 복수개를, 상기 적층블럭의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이 상기 L형단면블럭의 상기 전방부 후면에 맞닿게 함과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적층블럭의 전면패널 측단에 형성된 맞물림부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기초부 상에 일렬로 쌓고, 상기 적층블럭의 사이드패널 상면의 단차의 아래단 높이까지 토사 등을 메우고 다지는 단계,
    상기 일렬로 쌓인 적층블럭의 사이드패널 상면의 단차에 새로운 적층블럭의 전면패널 전면이 맞닿게 함과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적층블럭의 전면패널 측단에 형성된 맞물림부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새로운 적층블럭의 열을 쌓고 다시 적층블럭의 사이드패널 상면의 단차의 아래단 높이까지 토사 등을 메우고 다지는 것을 반복하여 적층블럭을 다층 쌓는 단계, 및
    최상단 적층블럭의 사이드패널의 단차에 전방부의 전면이 맞닿도록 L형단면블럭을 쌓아 마감단을 형성하여 시공을 마무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 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블럭의 상기 사이드패널의 상면에 제1의 보 삽입용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블럭의 상기 사이드패널의 상기 관통공의 하단에 제2의 보 삽입용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의 보 삽입용 홈 및 상기 제2의 보 삽입용 홈에 각각 가로 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 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가로 보의 중앙위치에 끼워맞춰지는 부분을 가지며 타단에 보강용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긴 바의 형태인 세로 보가 상기 가로 보의 중앙위치에 끼워져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 시공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패널을 쌓을 때 상기 적층패널의 배면패널에 부직포가 부착되어 토사 등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 시공방법.
KR1020050075288A 2005-08-17 2005-08-17 적층블럭, 다단적층식 토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08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288A KR100708895B1 (ko) 2005-08-17 2005-08-17 적층블럭, 다단적층식 토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288A KR100708895B1 (ko) 2005-08-17 2005-08-17 적층블럭, 다단적층식 토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911A true KR20070020911A (ko) 2007-02-22
KR100708895B1 KR100708895B1 (ko) 2007-04-18

Family

ID=4162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288A KR100708895B1 (ko) 2005-08-17 2005-08-17 적층블럭, 다단적층식 토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03441A1 (en) * 2016-03-02 2019-07-04 Evergreen Walls, Inc.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834B1 (en) * 2002-09-16 2003-07-16 Wooil Eco River Sustem Co Ltd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vegetation retaining wall thereby
KR200393195Y1 (ko) * 2005-05-24 2005-08-18 이정수 옹벽 축조용 블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03441A1 (en) * 2016-03-02 2019-07-04 Evergreen Walls, Inc.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1149402B2 (en) * 2016-03-02 2021-10-19 Evergreen Walls, Inc.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220081868A1 (en) * 2016-03-02 2022-03-17 Evergreen Walls, Inc.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1661719B2 (en) * 2016-03-02 2023-05-30 Evergreen Walls, Inc.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8895B1 (ko) 200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7830B2 (en) Barrier wall made of sheet-pile components
KR101301915B1 (ko)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을 이용하여 축벽을 시공하는 방법
CN110777806B (zh) 多连杆平面框架永久支护结构及其施工工艺
JP4967105B2 (ja) 建築物における免震方法
KR101633853B1 (ko) 토압 저항력과 구조 일체화가 개선된 옹벽 시공용 친환경 개비블럭
KR100708895B1 (ko) 적층블럭, 다단적층식 토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53410B1 (ko) 벽강관말뚝의 연결구조체
CN111005389A (zh) 卸荷板式支护结构的施工方法
KR100515136B1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101045019B1 (ko) 블록식 옹벽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393515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CN213625433U (zh) 一种用于重力式与板桩式组合码头的衔接过渡结构
CN211665773U (zh) 卸荷板式支护结构
CN210887089U (zh) 一种节省空间的互锁坞式生态挡墙结构
JP5801599B2 (ja) 建築物
KR200369479Y1 (ko) 흙막이용 패널
EP2672015A1 (en) Retaining module
CN110565588B (zh) 一种垂直互锁生态砌块
KR100448442B1 (ko) 볼트접합강재를 구비한 옹벽보강재
JP2957995B1 (ja) 擁壁裏込め枠体
KR102493308B1 (ko) 블록 조립형 케이슨 시공방법
KR102558157B1 (ko)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CN210887088U (zh) 一种用于河道护岸的透水生态坞式挡墙底座
CN214061687U (zh) 一种柔性透水路堑挡墙
JP7266086B2 (ja) ハニカム補強法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