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691A -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691A
KR20070020691A KR1020050074871A KR20050074871A KR20070020691A KR 20070020691 A KR20070020691 A KR 20070020691A KR 1020050074871 A KR1020050074871 A KR 1020050074871A KR 20050074871 A KR20050074871 A KR 20050074871A KR 20070020691 A KR20070020691 A KR 20070020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aximum
guide bar
load
loa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7728B1 (ko
Inventor
임정수
Original Assignee
임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수 filed Critical 임정수
Priority to KR1020050074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728B1/ko
Priority to PCT/KR2006/000164 priority patent/WO2007021062A1/en
Priority to TW095103087A priority patent/TWI287445B/zh
Publication of KR20070020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5Sport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isometric or isokinetic,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or wherein the speed of the motion is independent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 A63B21/002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isometric or isokinetic,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or wherein the speed of the motion is independent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for isometric exercising,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바, 가이드바용 관통홀을 구비한 중량체 및 중량체 중 최상위 중량체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웨이트 기구의 가이드바에 결합되고 로드셀을 구비한 탈부착식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을 사용하여, 중량체가 들어올려질 때 발생되는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로드셀에 의해 감지함으로써, 용이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여러 신체 부위의 최대 근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량체, 가이드바, 로드셀, 수직상방의 하중, 최대 근력, 탈부착

Description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A UNIT,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1 REPETITION MAXIMU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부재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 부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의 정면도,
도 4는 최대 근력을 측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을 웨이트 기구에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최대 근력 측정 장치에 구비된 표시 유닛의 일예시도.
본 발명은 최대 근력을 측정하기 위한 유닛,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웨이트 기구에 탈부착가능한 측정 유닛, 그 유닛을 포함하는 측정 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하여 웨이트 기구의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감지함으로써 최대 근력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각종 스트레스로 지친 심신에 활력을 불어넣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운동을 즐기고 있다. 이 중에서 근력 증진을 위한 대표적인 운동 으로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웨이트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개인의 근력 평가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는 최대 근력(1 RM; 1 Repetition Maximum)을 측정하여 근력을 평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피측정자로 하여금 다양한 중량의 중량체를 들어올리게 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최대 근력을 측정하여 왔으나, 이러한 방법은, 특히 초보자, 노약자, 여성 등에게 근육 손상 또는 혈압 상승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고, 또한, 측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측정자가 편안하게 들 수 있는 무게를 선택하고 반복을 최대한 시행한 후 그 횟수를 확인하여, 100 - (반복횟수×2) = % 1RM의 식으로부터 최대 근력을 구하는 간접적인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근육 손상 및 장시간 소요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고, 피측정자의 선택 중량, 반복 횟수 및 근육 피로도에 따라 정확도에 많은 편차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등속성 운동 장비에 의한 최대 근력 측정이 시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장비는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등속성 장비로 근력을 측정했다 하더라도, 실제로 웨이트 기구를 사용하여 운동하고자 할 때에는 운동 강도 설정을 위한 최대 근력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 측정 방법으로 다시 측정해야만 하는 모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이드바, 가이드바용 관통홀을 구비한 중량체 및 중량체 중 최상위 중량체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 함하는 웨이트 기구의 가이드바에 결합되고 로드셀을 구비한 탈부착식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을 사용하여, 중량체가 들어올려질 때 발생되는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로드셀에 의해 감지함으로써, 용이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여러 신체 부위의 최대 근력을 측정가능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은, 가이드바, 가이드바용 관통홀을 구비한 중량체 및 중량체 중 최상위 중량체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웨이트 기구에 탈부착가능한 최대 근력 측정 유닛으로서, 가이드바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부재; 클램핑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로드셀; 및 중량체가 들어올려질 때 발생되는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로드셀에 전달하도록 로드셀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하중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은 하중 전달 부재가 최상위 중량체와 접촉하도록 가이드바에 결합되어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로드셀에 의해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은 클램핑 부재에 의해 웨이트 기구의 가이드바에 탈부착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측정 유닛만으로도 각각의 신체 부위의 근력 측정을 위한 여러 웨이트 기구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웨이트 기구의 중량체가 들어올려질 때 발생되는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1회의 시행만으로 용이하게 최대 근력의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복적 시행의 필요가 없어 근육 손상 등을 유발시키지 않고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도 매우 단축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량체가 들어올려질 때 발생되는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이라고 하는 것은, 피측정자가 근력 측정을 위해 웨이트 기구의 중량체를 들어올리려는 힘을 가할 때 그에 따라 중량체에 수직 윗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힘을 일컫는 것이고, 더 정확하게는, 피측정자가 발휘하고 있는 힘에 의해 중량체에 그렇게 수직 윗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힘으로부터, 웨이트 기구에 설정되어 있는 중량체 중량 상태의 중량만큼을 뺀 힘을 일컫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의하면,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을 웨이트 기구의 가이드바에 단단하게 결합하는 클램핑 부재,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이 가이드바에 결합될 때 웨이트 기구의 최상위 중량체와 접촉하도록 되는 하중 전달 부재, 및 하중 전달 부재를 통하여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전달받아 감지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최대 근력의 측정이 용이한 탈부착식 유닛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하중 전달 부재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중 전달 부재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라는 의미는, 하중 전달 부재 그 자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구성은 물론, 하중 전달 부재에 결합되는 다양한 길이의 보조 부재들에 의해 높낮이 조절을 구현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며,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최상위 중량체와 접촉하게 되는 것은 하중 전달 부재에 결합된 보조 부재가 될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최상위 중량체의 관통홀 둘레로부터 수직상 방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바가 관통하도록 되어 있는 돌출홀을 더 구비하고 있는 웨이트 기구의 경우에, 웨이트 기구마다 제각각인 다양한 돌출홀 높이에 따라 적절하게 하중 전달 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을 웨이트 기구에 결합함으로써, 돌출홀보다 높은 위치로부터 드러나 있는 상기 가이드바를 클램핑하면서도 하중 전달 부재가 그 높이를 극복하고 최상위 중량체와 접촉할 수 있게 하였으므로, 예를 들어 하중 전달 부재의 길이가 짧아 최상위 중량체와 접촉하지 못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이 상기 로드셀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것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다양한 돌출홀 높이의 웨이트 기구에서도 용이하게 최대 근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최대 근력 측정 장치는, 상기 구성 중 어느 하나의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의 로드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유닛; 및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의 로드셀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최대 근력 측정 장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그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표시 유닛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값을 프린트하는 프린트 유닛,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 등을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최대 근력 측정 방법은, 가이드바, 가이드바용 관통홀을 구비한 중량체 및 중량체 중 최상위 중량체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웨이트 기구에 탈부착가능한 최대 근력 측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최상위 중 량체와 접촉하도록 최대 근력 측정 장치를 가이드바에 결합하는 단계; 및 중량체가 들어올려질 때 발생되어 최대 근력 측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최대 근력 측정 장치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최대 근력 측정 장치는 상기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최대 근력 측정 방법에 의하면, 웨이트 기구의 가이드바에 탈부착가능한 최대 근력 측정 장치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측정 장치만으로도 각각의 신체 부위의 근력 측정을 위한 여러 웨이트 기구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웨이트 기구의 중량체가 들어올려질 때 발생되는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1회의 시행만으로 용이하게 최대 근력의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복적 시행의 필요가 없어 근육 손상 등을 유발시키지 않고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도 매우 단축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량체가 들어올려질 때 발생되어 최대 근력 측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이라고 하는 것은, 피측정자가 근력 측정을 위해 웨이트 기구의 중량체를 들어올리려는 힘을 가할 때 그에 따라 중량체에 수직 윗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힘을 일컫는 것이고, 더 정확하게는, 피측정자가 발휘하고 있는 힘에 의해 중량체에 그렇게 수직 윗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힘으로부터, 웨이트 기구에 설정되어 있는 중량체 중량 상태의 중량만큼을 뺀 힘을 일컫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탈부착식 최대 근력 측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웨이트 기구의 최상위 중량체에 접촉하도록 최대 근력 측정 장치와 가이드바가 단단하게 결합된 후, 최대 근력 측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최대 근력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대 근력 측정 방법에 있어서, 최대 근력 측정 장치는 앞서 설명한 최대 근력 측정 유닛으로 구성되고, 나아가,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의 로드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유닛,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의 로드셀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 유닛, 표시 유닛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값을 프린트하는 프린트 유닛,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 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대 근력 측정 유닛(30)과 그 유닛(30)을 구성하고 있는 클램핑 부재(10) 및 감지 부재(20)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클램핑 부재(10)는, 최대 근력 측정 유닛(30; 도 3)을 웨이트 기구(40; 도 4)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고정부(11), 이동부(12), 삽입부(13), 조절부(14) 및 결합부(15)로 이루어져 있다.
클램핑 부재(10)는, 웨이트 기구(40)의 가이드바(46; 도 4)를 삽입부(13)를 통하여 넣어 고정부(11)에 밀착시킨 후, 조절부(14)를 회전시켜 이동부(12)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가이드바(46)와 밀착시킴으로써, 고정부(11)와 이동부(12)에 의해 가이드바(46)를 단단히 클램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결합부(15)의 하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감지 부재(20)가 고정결합되어 있다.
도 2에 정면도로 도시된 감지 부재(20)는, 웨이트 기구(40)의 중량체(41; 도 4 참조)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하중 전달 부재(21), 로드셀(22), 결합부(23) 및 케이블(24)로 이루어져 있다.
하중 전달 부재(21)는, 최대 근력 측정 유닛(30)을 웨이트 기구(40)에 결합할 때, 웨이트 기구(40)의 중량체(41) 중 가장 위에 있는 최상위 중량체(41)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 중량체(41)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인가받아 로드셀(22)에 전달하게 된다.
하중 전달 부재(21)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하중 전달 부재(21)를 회전시켜 높낮이가 조절되게 하는 등 하중 전달 부재(21) 그 자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은 물론, 하중 전달 부재(21)에 결합되는 다양한 길이의 별도의 보조 부재들(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고 경우에 따라 적절한 길이의 보조 부재를 결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 등도 포함하는 것이며,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최상위 중량체(41)와 접촉하게 되는 것은 하중 전달 부재(21)에 결합된 보조 부재이고, 그 보조 부재가 중량체(41)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인가받아 하중 전달 부재(21)를 통하여 로드셀(22)에 전달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하중 전달 부재(21)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예를 들어, 최상위 중량체(41)의 관통홀(도시되지 않음) 둘레로부터 수직상방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바(46)가 관통하도록 되어 있는 돌출홀(45; 도 4 참조)을 더 구비하고 있는 웨이트 기구(40)의 경우에, 웨이트 기구(40)마다 제각각인 다양한 돌출홀(45) 높이에 따라 적절한 보조 부재를 사용하거나 하여 하중 전달 부재(21)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최대 근력 측정 유닛(30)을 웨이트 기구(40)에 결합함으로써, 돌출홀(45)보다 높은 위치로부터 드러나 있는 상기 가이드바(46)를 클램핑하면서도 하중 전달 부재(21)가 그 높이를 극복하고 최상위 중량체(41)와 접촉할 수 있게 하므로, 예를 들어 하중 전달 부재(21)의 길이가 짧아 최상위 중량체(41)와 접촉하지 못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중량체(41)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이 상기 로드셀(22)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것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다양한 돌출홀(45) 높이의 웨이트 기구(40)에서도 용이하게 최대 근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로드셀(22)은 중량에 의한 압축 또는 신장 등의 변형량을 전기 신호로 출력하는 중량 측정 소자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압축력의 측정이 가능한 것을 사용하고 있고, 압축력, 즉, 중량체(41)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의 측정이 가능한 한, 그 형태는 불문한다.
로드셀(22)은 감지 부재(20)의 결합부(23)와 클램핑 부재(10)의 결합부(15)의 결합에 의해 클램핑 부재(10)의 하측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고, 그 고정 방식은 나사 결합, 일체식 등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로드셀(22)은 영점 조정 수단, 적절한 케이싱 등을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로드셀(22)은, 케이블(24)을 통하여, 로드셀(2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유닛(도시되지 않음), 및 로드셀(22)로부터의 출력값을 나타내주는 표시 유닛(50; 도 5 참조)과 접속된다.
이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대 근력 측정 유닛(30)을 웨이트 기구(40)에 결합한 상태의 개략도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최대 근력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웨이트 기구(40)는 복수의 중량체(41), 사람이 손, 발, 팔뚝, 발목 등으로 중량체(41)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비된 그립(44), 중량체(41)와 그립(44)을 연결하는 와이어(42), 및 복수의 중량체(41)의 중량 상태 설정을 위한 핀(43), 중량체(41)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46), 가이드바(46)가 관통하도록 각각의 중량체(41)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도시되지 않음), 중량체(41) 중 최상위 중량체(41)의 관통홀 둘레로부터 수직상방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바(46)의 일부를 감싸는 돌출홀(45)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최대 근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근력이 약한 사람이라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중량체(41)를 최소 중량 상태로 설정하게 되고, 물론, 이것은 최대 근력 측정 유닛(30)을 웨이트 기구(40)에 결합시킨 후에 행하여도 좋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최소 중량 상태는 핀(43)을 전혀 삽입하지 않거나 또는 최상위 중량체(41)에 핀(43)을 삽입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렇게 최소 중량 상태로 설정하 는 이유는, 웨이트 기구(40)를 피측정자가 들어올릴 수 없는 너무 무거운 중량 상태로 설정하여 놓고 피측정자로 하여금 중량체(41)에 힘을 가하게 한다면, 피측정자는 최대 근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중량체(41)가 들어올려지지 않기 때문에 하중 전달 부재(21)에 전달되는 힘은 전혀 없는 것으로 되므로, 이러한 때에는 근력의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피측정자가 들어올릴 수 있는 중량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중량체(41)로부터 수직상방으로 하중 전달 부재(21)에 인가되는 힘은 피측정자가 발휘하고 있는 힘에서 웨이트 기구(40)가 설정되어 있는 중량을 뺀 만큼의 힘밖에는 안될 것이므로, 피측정자가 최대로 힘을 발휘하고 있어도, 하중 전달 부재(21)로부터 전달되어 로드셀에서 감지되는 힘 자체가 피측정자의 최대 근력이라 볼 수는 없을 것이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표시 유닛(50) 등을 통하여 피측정자의 최대 근력으로 나타내어져야 하는 수치는 근력 측정시 설정되었던 중량체(41)의 중량을 고려하여 산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만 고려된다면, 피측정자가 들어올릴 수 있는 중량 상태로 설정하기만 하는 한, 반드시 상기한 바와 같은 최소 중량 상태로만 설정할 필요는 없는 것이고, 피측정자에 따라 다른 적절한 중량 상태, 예를 들어, 남자, 여자, 노인, 아이 등에 따라 다른 중량 상태로 설정하거나, 또는, 어느 누구에게나 동일한 중량 상태로 설정하되 최대 근력이 가장 잘 측정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실험적으로 얻어진 소정의 중량 상태로 설정하여도 좋은 것이다.
이와 같이, 중량체(41)를 소정의 중량 상태, 바람직하게는, 최소 중량 상태 로 설정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근력 측정 유닛(30)을 클램핑 부재(10)를 이용하여 웨이트 기구(40)의 가이드바(46)에 결합시킨다.
이 때, 클램핑 부재(10)는 돌출홀(45) 높이보다 높은 위치로부터 드러나와 있는 가이드바(46)의 소정 부분을 단단하게 클램핑하면서도 하중 전달 부재(21)는 최상위 중량체(41)에 접촉하도록 된다.
하중 전달 부재(21)가 최상위 중량체(41)에 접촉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로 최대 근력 측정 유닛(30)이 가이드바(46)에 결합된다면, 피측정자가 중량체(41)를 들어올릴 때 발생되는 중량체(41)로부터의 수직상방으로의 하중은 하중 전달 부재(21)가 최상위 중량체(41)로부터 떨어져 있는 거리만큼 최상위 중량체(41)가 들어올려진 후에야 하중 전달 부재(21)에 인가되고 하중 전달 부재(21)에 급작스럽게 부딪혀 인가되는 등 정확한 근력 측정에 방해가 되는 요인이 생기게 되므로, 하중 전달 부재(21)는 최상위 중량체(41)에 접촉하게 되는 상태로 최대 근력 측정 유닛(3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후, 피측정자로 하여금 중량체(41)에 들어올리는 힘을 가하게 하면, 그 힘은 와이어(42)를 통하여 중량체(41)에 전달되어 중량체(41)에 수직 윗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게 되고, 그 힘 중 설정된 중량만큼을 뺀 힘이 하중 전달 부재(21)에 수직상방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렇게 하중 전달 부재(21)로부터 전달되어 로드셀(22)에 의해 감지된 힘은 로드셀(22)의 케이블(24)을 통하여 연결된 표시 유닛(50)에 의해 피측정자의 근력값(최대 근력값)으로 산출되어 표시되는데, 표시 유닛(50)은 지시 바늘과 같은 아 날로그 방식, 수치로서 나타내주는 디지털 방식 등 그 형태는 불문하지만, 그래픽 표시 등 다양한 정보의 제공이 가능한 디지털 디스플레이(52)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 유닛(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유닛(53)을 구비하고 있어 측정 결과를 프린트할 수 있도록 하고, 로드셀(2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유닛(도시되지 않음)의 역할도 겸하도록 하고, 증폭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여 로드셀(22)로부터의 미세한 출력을 증폭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각종 메뉴 버튼, 기능 버튼 등을 구비하고 있어 측정 결과에 따라 피측정자에게 적합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웨이트 기구(40)의 설정된 소정의 중량 상태에 따라 적절한 선택 모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로드셀(22)과 표시 유닛(50)을 케이블(24)과 케이블(51)을 통한 유선 접속이 아닌 무선 통신 방식으로 하여도 좋고, 표시 유닛(50)과 컴퓨터(도시되지 않음) 등을 연결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에서 측정 결과 등을 활용하게 하거나 또는 인터넷과 연결하여 트레이닝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 유닛에 포함된 전원 공급 유닛 및 프린트 유닛은 표시 유닛과 분리하여 별개의 것으로 구성해도 좋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바, 가이드바용 관통홀을 구비한 중량체 및 중량체 중 최상위 중량체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웨이트 기구의 가이드바에 결합되고 로드셀을 구비한 탈부착식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웨이트 기구에 최대 근력 측정 장치를 각각 설치해 놓을 필요가 없게 되므로, 여러 신체 부위의 최대 근력 측정을 위한 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중량체가 들어올려질 때 발생되는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로드셀에 의해 감지함으로써, 용이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여러 신체 부위의 최대 근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근육이 손상될 위험이 없고, 장시간이 소요되지도 않는다.

Claims (5)

  1.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용 관통홀을 구비한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 중 최상위 중량체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웨이트 기구에 탈부착가능한 최대 근력 측정 유닛으로서,
    상기 가이드바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부재;
    상기 클램핑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로드셀; 및
    상기 중량체가 들어올려질 때 발생되는 상기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상기 로드셀에 전달하도록 상기 로드셀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하중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은 상기 하중 전달 부재가 상기 최상위 중량체와 접촉하도록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되어 상기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상기 로드셀에 의해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근력 측정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전달 부재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근력 측정 유닛.
  3.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의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상기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의 상기 로드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유닛; 및
    상기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의 상기 로드셀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근력 측정 장치.
  4.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용 관통홀을 구비한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 중 최상위 중량체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웨이트 기구에 탈부착가능한 최대 근력 측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최상위 중량체와 접촉하도록 상기 최대 근력 측정 장치를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중량체가 들어올려질 때 발생되어 상기 최대 근력 측정 장치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기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상기 최대 근력 측정 장치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근력 측정 방법.
  5.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용 관통홀을 구비한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 중 최상위 중량체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웨이트 기구에 탈부착가능한 최대 근력 측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최상위 중량체와 접촉하도록 상기 최대 근력 측정 장치를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중량체가 들어올려질 때 발생되어 상기 최대 근력 측정 장치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기 중량체로부터의 수직상방의 하중을 상기 최대 근력 측정 장치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근력 측정 장치는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의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근력 측정 방법.
KR1020050074871A 2005-08-16 2005-08-16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 KR100717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871A KR100717728B1 (ko) 2005-08-16 2005-08-16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
PCT/KR2006/000164 WO2007021062A1 (en) 2005-08-16 2006-01-16 A unit,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1 repetition maximum
TW095103087A TWI287445B (en) 2005-08-16 2006-01-26 Unit for measuring one repetition maximum, device for measuring one repetition maximum, and method of measuring one repetition maxim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871A KR100717728B1 (ko) 2005-08-16 2005-08-16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691A true KR20070020691A (ko) 2007-02-22
KR100717728B1 KR100717728B1 (ko) 2007-05-11

Family

ID=3775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871A KR100717728B1 (ko) 2005-08-16 2005-08-16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17728B1 (ko)
TW (1) TWI287445B (ko)
WO (1) WO20070210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3281A (ko) * 2012-11-16 2014-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1rm 추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123B1 (ko) * 2014-11-19 2017-08-28 김병욱 최대 근력 측정기 및 최대 근력에 기초한 운동 처방 제공 시스템
KR101667009B1 (ko) 2015-02-06 2016-10-17 (주)힐닉스 근력측정운동기구
CN109662723A (zh) * 2017-10-13 2019-04-23 明跃国际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最大肌力值的测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6704A (ja) * 1995-08-29 1997-03-04 Seiichi Sato 筋力測定装置
KR100408698B1 (ko) * 2000-08-29 2003-12-06 김양수 최대근력 측정기반 근력운동 프로그램 제공장치
KR100513313B1 (ko) * 2000-09-19 2005-09-09 김양수 맞춤 운동 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UPS325602A0 (en) 2002-06-28 2002-07-18 Vardy, Terence Exercise apparatus
KR100788968B1 (ko) * 2004-09-20 2007-12-27 김일곤 동적최대근력 측정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3281A (ko) * 2012-11-16 2014-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1rm 추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21062A1 (en) 2007-02-22
KR100717728B1 (ko) 2007-05-11
TWI287445B (en) 2007-10-01
TW200708291A (en) 200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7547B2 (en) Weight applying unit for calibration and weight applying method for calibration
JP6158294B2 (ja) 手掌の握る力を測定するシステム
US20210031091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of Balanced Left/Right Conditioning
WO2017020499A1 (zh) 运动记录方法及装置
KR100717728B1 (ko)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
US6706003B2 (en) Muscle strength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US8016727B2 (en) State-of-exercise measuring apparatus and biometric apparatus
KR100466666B1 (ko) 체력건강정보의 측정이 가능한 헬스운동장비용 손잡이 구조
KR100408698B1 (ko) 최대근력 측정기반 근력운동 프로그램 제공장치
EP1554977B1 (en) Impedance based muscular strengh measuring device
KR100690331B1 (ko)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
CN112755465A (zh) 一种小腿力量测评和训练装置
KR101020305B1 (ko) 웨이트 머신 운동기의 중량설정 모니터링 시스템
US20230086790A1 (en) Automatic spotter lift force calculator an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use
JP4665118B2 (ja) 足握力測定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利用した転倒度表示機能付き体重計または身長計
CN109701249A (zh) 一种健身数据测试仪
KR102535422B1 (ko) 휴대가 가능한 근력운동기구용 근력측정장치
US201400582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 Body Force
CN213910248U (zh) 一种等长收缩测量下肢最大肌力的设备
KR20230092156A (ko) 체력측정 장치
CN218774273U (zh) 一种训练设备
JP4875917B2 (ja) 筋力測定装置
JP7117764B2 (ja) 片脚立位計測システム
KR200243905Y1 (ko)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KR101512247B1 (ko) 하지 근력 측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