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331B1 -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331B1
KR100690331B1 KR1020050006198A KR20050006198A KR100690331B1 KR 100690331 B1 KR100690331 B1 KR 100690331B1 KR 1020050006198 A KR1020050006198 A KR 1020050006198A KR 20050006198 A KR20050006198 A KR 20050006198A KR 100690331 B1 KR100690331 B1 KR 100690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ire
maximum
measuring
loa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370A (ko
Inventor
임정수
정제순
Original Assignee
임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수 filed Critical 임정수
Priority to KR102005000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3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85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5Sport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63B21/063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the weights being lifted by rigi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6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중량체 및 중량체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웨이트 기구의 와이어에 적어도 일부 결합되고 로드셀을 구비한 탈부착식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을 사용하여,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을 측정함으로써 용이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여러 신체 부위의 최대 근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량체, 와이어, 로드셀, 인장력, 최대 근력, 탈부착

Description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A UNIT,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1 REPETITION MAXIMUM}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최대 근력을 측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을 웨이트 기구에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최대 근력을 측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을 웨이트 기구에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최대 근력 측정 장치에 구비된 표시 유닛의 일예시도.
본 발명은 최대 근력을 측정하기 위한 유닛,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웨이트 기구에 탈부착가능한 측정 유닛, 그 유닛을 포함하는 측정 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하여 웨이트 기구의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을 측정함으로써 최대 근력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각종 스트레스로 지친 심신에 활력을 불어넣고 건강을 증진시키 기 위해 다양한 운동을 즐기고 있다. 이 중에서 근력 증진을 위한 대표적인 운동으로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웨이트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개인의 근력 평가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는 최대 근력(1 RM; 1 Repetition Maximum)을 측정하여 근력을 평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피측정자로 하여금 다양한 중량의 중량체를 들어올리게 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최대 근력을 측정하여 왔으나, 이러한 방법은, 특히 초보자, 노약자, 여성 등에게 근육 손상 또는 혈압 상승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고, 또한, 측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측정자가 편안하게 들 수 있는 무게를 선택하고 반복을 최대한 시행한 후 그 횟수를 확인하여, 100 - (반복횟수×2) = % 1RM의 식으로부터 최대 근력을 구하는 간접적인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근육 손상 및 장시간 소요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고, 피측정자의 선택 중량, 반복 횟수 및 근육 피로도에 따라 정확도에 많은 편차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등속성 운동 장비에 의한 최대 근력 측정이 시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장비는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등속성 장비로 근력을 측정했다 하더라도, 실제로 웨이트 기구를 사용하여 운동하고자 할 때에는 운동 강도 설정을 위한 최대 근력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 측정 방법으로 다시 측정해야만 하는 모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중량체 및 중량 체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웨이트 기구의 와이어에 적어도 일부 결합되고 로드셀을 구비한 탈부착식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을 사용하여,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을 측정함으로써 용이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여러 신체 부위의 최대 근력을 측정가능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의 일형태는, 중량체 및 중량체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웨이트 기구의 와이어에 탈부착가능한 최대 근력 측정 유닛으로서, 와이어에 각각 클램핑되는 2개의 클램핑 부재;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 및 2개의 클램핑 부재의 각각을 로드셀의 양측에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피측정자가 들어올릴 수 없는 중량 상태로 설정된 중량체를 피측정자가 들어올리려고 힘을 가하고 있을 때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은 상기 2개의 연결 부재를 따라 로드셀의 양측에 작용하는 인장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의 다른 형태는, 중량체 및 중량체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웨이트 기구의 와이어에 탈부착가능한 최대 근력 측정 유닛으로서, 와이어에 클램핑되는 1개의 클램핑 부재; 중량체에 삽입되는 라드(rod);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 클램핑 부재를 로드셀의 일측에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 및 라드를 로드셀의 타측에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피측정자가 들어올릴 수 없는 중량 상태로 설정된 중량체를 피측정자가 들어올리려고 힘을 가하고 있을 때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은 제1 및 제2 연결 부재를 따라 로드셀의 양측에 작용하는 인장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은 웨이트 기구의 와이어에 탈부착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측정 유닛만으로도 각각의 신체 부위의 근력 측정을 위한 여러 웨이트 기구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웨이트 기구의 중량체를 피측정자가 들어올릴 수 없는 중량 상태, 바람직하게는 최대 중량 상태로 설정하고, 피측정자가 그 중량체를 들어올리려고 가하고 있는 힘, 즉,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1회의 시행만으로 용이하게 최대 근력의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복적 시행의 필요가 없어 근육 손상 등을 유발시키지 않고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도 매우 단축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최대 근력 측정 장치의 일형태는, 상기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의 로드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유닛; 및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의 로드셀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대 근력 측정 장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최대 근력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최대 근력 측정 장치의 다른 형태는, 표시 유닛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값을 프린트하는 프린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최대 근력 측정 방법의 일형태 는, 중량체 및 중량체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웨이트 기구의 중량체를 피측정자가 들어올릴 수 없는 중량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의 측정에 의해 최대 근력의 측정이 가능한 최대 근력 측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와이어에 결합시키는 단계; 피측정자로 하여금 중량체에 들어올리는 힘을 가하게 하는 단계; 및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최대 근력 측정 방법의 다른 형태는, 상기 최대 근력 측정 방법에 있어서, 최대 근력 측정 장치는 상기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중 어느 한 형태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최대 근력 측정 방법에 있어서는, 웨이트 기구의 중량체를 피측정자가 들어올릴 수 없는 중량 상태, 바람직하게는 최대 중량 상태로 설정하고, 피측정자가 그 중량체를 들어올리려고 가하고 있는 힘, 즉,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1회의 시행만으로 용이하게 최대 근력의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복적 시행의 필요가 없어 근육 손상 등을 유발시키지 않고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도 매우 단축된다.
또한, 본 방법에 있어서 최대 근력 측정 장치는 최대 근력을 측정하고자 할 때 웨이트 기구에 결합시켜 사용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측정 장치만으로도 각각의 신체 부위의 근력 측정을 위한 여러 웨이트 기구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최대 근력 측정 유닛(10)은 클램핑 부재(11A,11B), 로드셀(12) 및 연결 부재(13A,13B)를 포함하고 있다.
클램핑 부재(11A,11B)는 웨이트 기구(20; 도 2 참조)의 와이어(22)에 탈부착가능한 최대 근력 측정 유닛(10)을 와이어(22)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있어서, 클램핑 부재(11A)는 상측에서 와이어(22)를 그 사이에 두고 꽉 죄고 있고, 클램핑 부재(11B)는 하측에서 와이어(22)를 그 사이에 두고 꽉 죄고 있다.
로드셀(12)은 중량에 의한 압축 또는 신장 등의 변형량을 전기 신호로 출력하는 중량 측정 소자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장력의 측정이 가능한 것을 사용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S자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인장력의 측정이 가능한 한, 그 형태는 불문한다. 로드셀(12)에는 리드선(14)이 구비되어 있어, 로드셀(1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유닛(도시되지 않음), 및 로드셀(12)로부터의 출력값을 나타내주는 표시 유닛(50; 도 5 참조)과 접속된다.
연결 부재(13A,13B)는 각각의 클램핑 부재(11A,11B)와 로드셀(12)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 부재(13A)는 클램핑 부재(11A)와 로드셀(12)의 상측을 연결하고 있고, 연결 부재(13B)는 클램핑 부재(11B)와 로드셀(12)의 하측을 연결하고 있는데, 최대 근력 측정시 와이어(22)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 즉, 와이어(22)를 따른 윗방향으로의 장력과 아랫방향으로의 중력이 로드셀(12)에 그대로 작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연결 부재(13A,13B)에는 클램핑 부재(11A,11B) 사이의 간격 조절 및 영점 조정을 위한 조정 수단(15A,15B)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핑 부재(11A), 연결 부재(13A), 로드셀(12)을 차례로 잇는 각, 및 클램핑 부재(11B), 연결 부재(13B), 로드셀(12)을 차례로 잇는 각은 직각으로 각각 형성하여, 와이어(22)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로드셀(12)에 더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제1 실시예에 따른 최대 근력 측정 유닛(10)을 웨이트 기구(20)에 결합한 상태의 개략도인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최대 근력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웨이트 기구(20)는 복수의 중량체(21), 사람이 손, 발, 팔뚝, 발목 등으로 중량체(21)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비된 그립(24), 중량체(21)와 그립(24)을 연결하는 와이어(22), 및 복수의 중량체(21)의 중량 상태 설정을 위한 핀(23)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최대 근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중량체(21)를 피측정자가 들어올릴 수 없는 중량 상태, 즉, 최대 중량 상태로 설정한다. 통상적으로, 최대 중량 상태는 핀(23)을 최하위의 중량체(21)에 삽입함으로써 달성된다.
만약, 피측정자가 들어올릴 수 있는 중량 상태로 설정하여 놓고 최대 근력을 측정하려 한다면, 그때 피측정자가 중량체(21)를 들어올림으로써 와이어(22)를 따라 작용하는 중력 및 장력은 들어올린 중량체(21)만큼의 중량에 불과할 것이어서, 그 측정값은 피측정자의 최대 근력이라 할 수 없다.
반면에, 피측정자가 들어올릴 수 없는 중량 상태, 바람직하게는 최대 중량 상태로 설정하여 놓은 후 피측정자로 하여금 중량체(21)에 들어올리는 힘을 가하게 한다면, 중량체(21)는 들어올려지지 않고, 따라서, 와이어(22)를 따라 작용하는 장력은 피측정자의 최대 근력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량체(21)를 최대 중량 상태로 설정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근력 측정 유닛(10)을 클램핑 부재(11A,11B)를 이용하여 웨이트 기구(20)의 와이어(22)에 결합시킨다.
그후, 피측정자로 하여금 중량체(21)에 들어올리는 힘을 가하게 하면, 와이어(22)를 따라 인장력이 작용하고, 그 인장력은 연결 부재(13A,13B)를 따라 로드셀(12)의 상측 및 하측에 인장력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의 인장력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피측정자의 최대 근력이라 할 수 있다.
로드셀(12)에 의해 측정된 값은 로드셀(12)의 리드선(14)을 통하여 연결된 표시 유닛(50)에 의해 표시되는데, 표시 유닛(50)은 지시 바늘과 같은 아날로그 방식, 수치로서 나타내주는 디지털 방식 등 그 형태는 불문하지만, 그래픽 표시 등 다양한 정보의 제공이 가능한 디지털 디스플레이(52)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 유닛(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유닛(53)을 구비하고 있어 측정 결과를 프린트할 수 있도록 하고, 로드셀(1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유닛(도시하지 않음)의 역할도 겸하도록 하고, 증폭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로드셀(12)로부터의 미세한 출력을 증폭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각종 메뉴 버튼, 기능 버튼 등을 구비하고 있어 측정 결과에 따라 피측정자에게 적 합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로드셀(12)과 표시 유닛(50)을 리드선(14)과 리드선(51)을 통한 유선 접속이 아닌 무선 통신 방식으로 하여도 좋고, 표시 유닛(50)과 컴퓨터(도시하지 않음) 등을 연결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에서 측정 결과 등을 활용하게 하거나 또는 인터넷과 연결하여 트레이닝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
(제2 실시예)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최대 근력 측정 유닛(30)은 클램핑 부재(31A), 삽입봉(31B), 로드셀(32) 및 연결 부재(33A,33B)를 포함하고 있다.
클램핑 부재(31A)는 웨이트 기구(40; 도 4 참조)의 와이어(42)에 탈부착가능한 최대 근력 측정 유닛(30)을 와이어(42)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42)를 그 사이에 두고 꽉 죄도록 되어 있고, 삽입봉(31B)은 웨이트 기구(40)의 중량체(41)에 삽입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로드셀(32)은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인장력의 측정이 가능한 것을 사용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S자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인장력의 측정이 가능한 한, 그 형태는 불문한다. 로드셀(32)에는 리드선(34)이 구비되어 있어, 로드셀(3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유닛(도시되지 않음), 및 로드셀(32)로부터의 출력값을 나타내주는 표시 유닛(50)과 접속된다.
연결 부재(33A)는 클램핑 부재(31A)와 로드셀(32)의 거리를 이어줄 수 있을 만큼의 긴 봉을 구비하여 클램핑 부재(31A)와 로드셀(32)의 상측을 연결하고 있고, 연결 부재(33B)는 삽입봉(31B)과 로드셀(32)의 하측을 연결하고 있는데, 최대 근력 측정시 와이어(42)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 즉, 와이어(42)를 따른 윗방향으로의 장력과 아랫방향으로의 중력이 로드셀(42)에 그대로 작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연결 부재(33A,33B)에는 클램핑 부재(31A)와 삽입봉(31B) 사이의 간격 조절 및 영점 조정을 위한 조정 수단(35A,35B)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핑 부재(31A), 연결 부재(33A), 로드셀(32)을 차례로 잇는 각, 및 삽입봉(31B), 연결 부재(33B), 로드셀(32)을 차례로 잇는 각은 직각으로 각각 형성하여, 와이어(42)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로드셀(32)에 더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제2 실시예에 따른 최대 근력 측정 유닛(30)을 웨이트 기구(40)에 결합한 상태의 개략도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최대 근력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웨이트 기구(40)는 복수의 중량체(41), 사람이 손, 발, 팔뚝, 발목 등으로 중량체(41)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비된 그립(44), 중량체(41)와 그립(44)을 연결하는 와이어(42), 및 복수의 중량체(41)의 중량 상태 설정을 위한 핀(43)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최대 근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중량체(41)를 피측정자가 들어올릴 수 없는 중량 상태, 즉, 최대 중량 상태로 설정한다. 통상적으로, 최대 중량 상태는 핀(43)을 최하위의 중량체(41)에 삽입함으로써 달성된다.
만약, 피측정자가 들어올릴 수 있는 중량 상태로 설정하여 놓고 최대 근력을 측정하려 한다면, 그때 피측정자가 중량체(41)를 들어올림으로써 와이어(42)를 따라 작용하는 중력 및 장력은 들어올린 중량체(41)만큼의 중량에 불과할 것이어서, 그 측정값은 피측정자의 최대 근력이라 할 수 없다.
반면에, 피측정자가 들어올릴 수 없는 중량 상태, 바람직하게는 최대 중량 상태로 설정하여 놓은 후 피측정자로 하여금 중량체(41)에 들어올리는 힘을 가하게 한다면, 중량체(41)는 들어올려지지 않고, 따라서, 와이어(42)를 따라 작용하는 장력은 피측정자의 최대 근력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량체(41)를 최대 중량 상태로 설정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근력 측정 유닛(30)의 상측은 클램핑 부재(31A)를 이용하여 웨이트 기구(40)의 와이어(42)에 결합시키고, 측정 유닛(30)의 하측은 삽입봉(31B)을 이용하여 중량체(41)의 삽입구에 삽입시킨다. 이때, 삽입봉(31B)이 삽입되는 중량체(41)는 핀(43)이 삽입된 중량체(41)보다 상측에 있는 중량체(41)이기만 하면 되지만, 그 중 최상위 중량체(41)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후, 피측정자로 하여금 중량체(41)에 들어올리는 힘을 가하게 하면, 와이어(42)를 따라 인장력이 작용하고, 그 인장력은 연결 부재(33A,33B)를 따라 로드셀(32)의 상측 및 하측에 인장력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의 인장력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피측정자의 최대 근력이라 할 수 있다.
측정값의 표시 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 중량체를 최대 중량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최대 근력 측정 장치를 결합시키는 단계는 그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할 것이고, 표시 유닛에 포함된 전원 공급 유닛 및 프린트 유닛은 표시 유닛과 분리하여 별개의 것으로 구성해도 좋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량체 및 중량체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웨이트 기구의 와이어에 적어도 일부 결합되고 로드셀을 구비한 탈부착식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웨이트 기구에 최대 근력 측정 장치를 각각 설치해 놓을 필요가 없으므로, 여러 신체 부위의 최대 근력 측정을 위한 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을 측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최대 근력의 측정이 가능하므로, 근육이 손상될 위험이 없고, 장시간이 소요되지도 않는다.

Claims (9)

  1.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웨이트 기구의 상기 와이어에 탈부착가능한 최대 근력 측정 유닛으로서,
    상기 와이어에 각각 클램핑되는 2개의 클램핑 부재;
    상기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 및
    상기 2개의 클램핑 부재의 각각을 상기 로드셀의 양측에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피측정자가 들어올릴 수 없는 중량 상태로 설정된 상기 중량체를 상기 피측정자가 들어올리려고 힘을 가하고 있을 때 상기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은 상기 2개의 연결 부재를 따라 상기 로드셀의 양측에 작용하는 인장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근력 측정 유닛.
  2.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웨이트 기구의 상기 와이어에 탈부착가능한 최대 근력 측정 유닛으로서,
    상기 와이어에 클램핑되는 1개의 클램핑 부재;
    상기 중량체에 삽입되는 라드;
    상기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
    상기 클램핑 부재를 상기 로드셀의 일측에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라드를 상기 로드셀의 타측에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피측정자가 들어올릴 수 없는 중량 상태로 설정된 상기 중량체를 상기 피측정자가 들어올리려고 힘을 가하고 있을 때 상기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재를 따라 상기 로드셀의 양측에 작용하는 인장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근력 측정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에는 영점 조정을 위한 조정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근력 측정 유닛.
  4. 제1항 또는 제2항의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상기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의 로드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유닛; 및
    상기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의 로드셀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근력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유닛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값을 프린트하는 프린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근력 측정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근력 측정 장치.
  7.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웨이트 기구의 상기 중 량체를 피측정자가 들어올릴 수 없는 중량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의 측정에 의해 최대 근력의 측정이 가능한 최대 근력 측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와이어에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피측정자로 하여금 상기 중량체에 들어올리는 힘을 가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를 따라 작용하는 인장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근력 측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근력 측정 장치는 제1항의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근력 측정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근력 측정 장치는 제2항의 최대 근력 측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근력 측정 방법.
KR1020050006198A 2005-01-24 2005-01-24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 KR100690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198A KR100690331B1 (ko) 2005-01-24 2005-01-24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198A KR100690331B1 (ko) 2005-01-24 2005-01-24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370A KR20060085370A (ko) 2006-07-27
KR100690331B1 true KR100690331B1 (ko) 2007-03-09

Family

ID=37175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198A KR100690331B1 (ko) 2005-01-24 2005-01-24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1681B2 (en) 2012-11-16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ne repetition maximum (1RM) estimat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009B1 (ko) * 2015-02-06 2016-10-17 (주)힐닉스 근력측정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1681B2 (en) 2012-11-16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ne repetition maximum (1RM) estimat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370A (ko) 200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437B2 (en) Weight applying unit for calibration and weight applying method for calibration
JP3948617B2 (ja) 筋肉測定装置
WO2009093632A1 (ja) 重心バランス判定装置
JP6158294B2 (ja) 手掌の握る力を測定するシステム
CN201691940U (zh) 踝关节等长肌力测试装置
WO2009093631A1 (ja) 重心バランス判定装置
JP2010088724A (ja) ハンディ型トレーニング機器
KR100717728B1 (ko)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
KR100690331B1 (ko) 최대 근력 측정 유닛, 장치 및 방법
JP6715453B2 (ja) 指握力測定装置
KR100408698B1 (ko) 최대근력 측정기반 근력운동 프로그램 제공장치
EP2140808A1 (en) State-of-Exercise Measuring Apparatus and Biometric Apparatus
EP1928317A1 (en) Evaluation method of a sports performance
EP1554977B1 (en) Impedance based muscular strengh measuring device
JP2018526043A (ja) スポーツ選手の上肢の生理的パラメータを分析および定量化するための、試験用機器を装備したデバイス、ならびに関連する方法
KR20190024100A (ko) 난이도조절 팔굽혀펴기 측정기
EP3463089A1 (de) Vorrichtungsanordnung zur erfassung körperlicher leistungswerte eines probanden sowie verfahren zur ermittlung körperlicher leistungswerte eines probanden
KR102577898B1 (ko) 악력측정 및 손아귀 근력 강화훈련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KR20210037787A (ko) 로드셀을 이용한 양팔 운동기구
KR102535422B1 (ko) 휴대가 가능한 근력운동기구용 근력측정장치
JP4875917B2 (ja) 筋力測定装置
EP4116989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monitoring of exercises performed in gloves
EP4116990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monitoring of exercises performed in gloves
TWI768242B (zh) 一種運動器材設備力道量測裝置
JP2024029486A (ja) トレーニング支援システム、及びトレーニング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