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623A - 장착된 압력 센서를 갖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 Google Patents

장착된 압력 센서를 갖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623A
KR20070019623A KR1020060076496A KR20060076496A KR20070019623A KR 20070019623 A KR20070019623 A KR 20070019623A KR 1020060076496 A KR1020060076496 A KR 1020060076496A KR 20060076496 A KR20060076496 A KR 20060076496A KR 20070019623 A KR20070019623 A KR 20070019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pressure
block
insert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레그 이. 포드
티모씨 제이. 그린
데이비드 이. 허버트
해롤드 엘. 바우만
피터 엠. 야코브슨
마크 엘. 델'에바
Original Assignee
이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턴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60076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9623A/ko
Publication of KR20070019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17Selector apparatus with electric switches or sensors not for gear or range selection, e.g. for controlling 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06Layout of electro-hydraulic control circuits, e.g.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06Layout of electro-hydraulic control circuits, e.g. arrangement of valves
    • F16H2061/0209Layout of electro-hydraulic control circuits, e.g. arrangement of valves with independent solenoid valves modulating the pressure individually for each clutch or br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입구로부터 개별적인 출구로의 압력을 제어하도록 각각 동작 가능하며 매니폴드 블록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를 갖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가 게시되어 있다. 감지 포트는 감지된 압력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신 위에 시일링된 압력 센서를 각각의 출구에서 가지고 있다. 압력 센서는 인터페이스 상에 장착되며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인터페이스는 트랜스듀서가 매니폴드 블록에 부착된 인터페이스 및 감지 포트 위에서 시일링될 때, 프레임이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 상의 단자로의 배요닛 접속(bayonet connection)에 의해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슬롯을 내부에 갖는다.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 압력 센서, 감지 포트, 인터페이스.

Description

장착된 압력 센서를 갖는 전자-유압 매니폴드{ELECTRO-HYDRAULIC MANIFOLD ASSEMBLY WITH MOUNTED PRESSURE SENSORS}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매니폴드 블록, 밸브, 압력 센서 및 인터페이스의 투시도.
도2a 및 2b는 분리 라인 II-II을 따라 분할된 도1의 어셈블리의 단일 확대도.
도3은 도1의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4는 도3의 섹션 표시 라인 4-4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5는 도3의 섹션 표시 라인 5-5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6은 압력 센서 배열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3의 일부의 확대도.
도7은 도6의 섹션 표시 라인 7-7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부가적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평면도.
본 출원은 미국 특허 제6,929,031호인 2003년 3월 28일자로 출원된 USSN10/401,408호의 일부계속출원이다.
본 발명은 동력공급 시에 각각의 밸빙 챔버를 위한 개별적인 출구로의 유체 압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내부에 포팅(porting)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밸브를 각각 갖는 다수의 밸브 챔버와 연통되어 있는 유압 유체 압력 입구를 가지는 유형의 매니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 유형의 매니폴드는 예를 들어, 전자 제어기로 변속기의 시프팅 패턴 및 속도 변화는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한 자동차용 자동 속도-변화 동력 변속기 내의 클러치 액추에이터로서 서보-액추에이터에서 유압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이 배열은 전자 제어기가 노속(road speed), 스로틀 위치(throttle position) 및 엔진 RPM과 같은 차량 작동 파라미터의 다수의 입력을 실시간에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현대의 차량 자동 변속기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전자 제어기는 또한 이용 가능한 공지된 엔진 동력, 차량 질량 및 작동 파라미터 입력을 토대로 최적의 시프팅 패턴을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그러나, 희망하는 시프팅을 이루기 위해 각각의 변속기 속도 변화 클러치 액추에이터로의 유압 유체 압력을 제어하는 시프팅 패턴을 제공할 시에, 각각의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밸브의 출구에서 압력 센서를 제공하면 차례로 맞물림 및 맞물림해제 동안 클러치에 의해 변속된 토크에 비례하는 실제로 클러치 상에서의 힘의 아날로그인 클러치 액추에이터 압력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배열은 특정 기어 세트에 대해 변속된 토크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제공하므로, 변속기 시프팅의 실시간 폐쇄 루프 제어를 제공한다. 이 배열은 전자 제어기에 의 한 개방 루프 시프트 제어를 위한 소정의 시프팅 알고리즘에 대한 바람직한 대안이다.
그러나, 시프트 클러치 작동 압력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전기 밸브 출구에서 압력 센서를 제공하면, 어셈블리의 복잡성, 크기 및 비용이 증가되는데, 그 이유는 이 구조가 매니폴드 상에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밸브 및 다수의 센서를 접속시키는 개별적인 전기 리드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대량 생산 시에 설치하기 용이하고 간단하며, 또한 충분히 저비용으로 상기 기술을 경쟁적인 대량 경차 생산에 바람직하도록 하는 변속기 시프트 제어 모듈 또는 매니폴드 어셈블리에서 다수의 압력 센서 및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방법 및 수단을 찾아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매니폴드 블록 내의 개별적이거나 분리된 압력 출구로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를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에 제공하며, 각 출구에서 감지 포트를 갖는다. 다수의 압력 센서는 상기 블록으로의 인터페이스의 부착 시에 각 밸브 상의 단자와 접속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된 전기 전도성 스트립에 부착된 전기 리드로 인터페이스상에 장착된다. 인터페이스가 매니폴드 블록에 부착될 때, 트랜스듀서 각각은 감지 포트 중 하나와 각각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가 매니폴드 블록에 부착될 때, 하나의 작동에 서 압력 트랜스듀서의 설치 및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로의 전기 리드의 개별적인 접속을 허용한다.
도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10으로 도시되어 있고, 매니폴드 블록(12), 일반적으로 14로 도시되어 있는 전기 인터페이스 및 다수의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16, 18, 20, 22, 24, 26, 28. 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면들이 인터페이스(14)로서 리드 프레임을 나타낼지라도, 인터페이스(14)는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광섬유 케이블, 도금 트레이스(plated trace), 가요성 회로,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 무선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통신 신호 및 동력을 분배시키는 임의의 구조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4)는 각각의 트랜스듀서에 대한 준비된 참조 번호에 의해 각각 표시된 전기 전도성 패드에 고정되거나 부착된 리드를 각각 갖는 다수의 압력 센서 또는 트랜스듀서(32, 34, 36, 38, 40)를 포함한다.
매니폴드 블록(12)은 상기 매니폴드 블록(12)의 수직 확장 측(54)에서 수평으로 형성된 다수의 밸빙 캐비티(42, 44, 46, 48, 50)를 가지며, 상기 밸빙 캐비티 각각은 블록의 아래쪽에 연결되며(도시되지 않음) 클러치 작동을 시프팅하기 위해 자동 변속기 밸브 몸체 내의 제어 압력 통로와 같이 제어되도록 장치 내의 대응하는 유압 통로와 연결되도록 적응되는 56, 58, 60, 62, 64, 66으로 각각 표시된 출구 통로를 갖는다.
각각의 밸브(16 내지 26)가 도2b에서 참조 번호 68, 70, 72, 74, 76, 78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밸브 상에 제공된 한 쌍의 O-링 시일(O-ring seal) 사이에 서 상부에 형성된 출구 통로(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밸브 블록을 통하여 형성된 입구 통로(도시되지 않음)가 각각의 밸빙 챔버(42, 44, 46, 48, 50, 52)의 하부에서 입구(90, 92, 94, 96, 98, 100)와 각각 연통되고, 도2b에서 각각 78, 80, 82, 84, 86, 88로 표시된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입구로 가압된 유체를 제공한다.
도2a 및 2b를 참조하면, 한 쌍의 보조 밸브 챔버(102, 104)는 매니폴드(12)의 수평으로 확장한 상부면에서 형성되며; 이의 하부에서 각각 형성된 입구 통로(106, 108)를 각각 갖는다. 출구 포트는 도2b에서 볼 수 있고 참조 번호 110으로 표시된 출구들 중 하나로 변속기 내의 보조 기능으로 흐름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의 각 챔버(102, 104)의 측면에 형성된다.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28, 30)는 챔버(102, 104) 내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밸브(16 내지 26 및 28, 30)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자신에 접속하기 위해 거기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확장하는 각각 103 내지 132로 표시된 한 쌍의 전기 커넥터 단자를 갖는다.
블록(12)은 자신의 상부면 상에 형성되고 참조 번호(134, 136, 138, 140, 142)로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이격된 감지 포트를 가지며; 각각의 포트(134 내지 142)는 블록 내의 중간 통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각각 출구 통로(56 내지 66) 중 하나로 블록 내에서 내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포트(134-142)는 변속기 밸브 몸체 내의 통로에 연결될 수 있다.
도2a 및 4를 참조하면, 참조 번호 144, 146으로 표시된 일반적으로 직각 구 성을 갖는 한 쌍의 브래킷은 분기 또는 슬롯(148 내지 158)을 각각 가지고 있고, 각각의 밸빙 캐비티에서 밸브를 유지하기 위하여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솔레노이드 밸브(16 내지 26) 상에서 160 내지 170으로 각각 표시된 그루브를 통하여 수용된다. 브래킷(144, 146)은 상기 브래킷 내의 개구(173, 175, 177, 179)를 통하여 스크류(172, 174, 176, 178)에 의해 매니폴드 블록(12) 상에 유지되며, 블록(12)의 상부면에 제공된 탭핑된 홀(tapped hole)(180, 182, 184, 186)과 나사 결합된다.
브래킷은 부가적으로 변속기 하우징으로의 접속을 위하여 자신을 통과하는 볼트 또는 스크류(도시되지 않음)를 유지하기 위하여 매니폴드 블록 내에 제공된 유지 패스너 홀(retaining fastener hole)(190, 192, 194, 196, 198)과 부합하는 내부에 각각 형성된 개구(180, 182, 184, 186, 188)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매니폴드 블록은 변속기 덱(transmission deck)으로의 부착을 위해 자신을 통과하는 볼트 및 스크류를 수용하는 부가적인 홀(193, 195, 197, 199)을 갖는다.
도1, 2a, 3, 4 및 5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14)는 각각 밸브(16 내지 26)의 전기 단자(103 내지 124)로의 접속을 위해 위치지정되도록 인터페이스 상에 위치되고 이격된 배열로 쌍으로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슬롯(200 내지 224)을 갖는다. 제2 세트의 슬롯(225 내지 230)은 수직으로 확장하는 밸브(28, 30)를 수용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 내에 형성된 상승된 부분(232, 234)의 최상부 상에 제공되며, 슬롯(225 내지 230)은 전기 단자(1126 내지 132) 중 하나 위에 각각 직접적으로 위치되도록 위치지정된다.
인터페이스(14)는 내부에 제공된 다수의 전기 커넥터 핀을 가지는 자신의 한 단부 상에 형성된 전기 리셉터클 부분(240)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전기 커넥터 핀 중 다섯 개가 도면에 도시되고 참조 번호 242 내지 250으로 표시된다. 단자(242 내지 250)와 같은 전기 단자는 각각 프레임(14) 내에서 확장하는 전도성 스트립(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고, 32', 34', 36', 38', 40'와 같은 패드들 중 하나 및 일부가 슬롯(200 내지 224) 및 슬롯(226 내지 230)에서 노출된 도시되지 않은 스트립에 또한 접속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전체 인터페이스(14)는 매니폴더 블록(12) 위에서 수용되고, 단자(103 내지 132)와의 동시적인 전기 접속이 행해진다. 그 후, 인터페이스(14)는 스크류(252, 254, 256)에 의해 블록(12)에 고정된다. 인터페이스(14)를 블록(12)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반드시 개별적인 패스너가 필요로 되는 것을 아니라는 것을 주의하라;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는 블록(12)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도2a, 4 및 5를 참조하면, 243, 245, 247, 249, 251로 각각 표시된 다수의 O-링은 각각의 감지 포트(134 내지 142)의 최상부에서 형성된 환형 그루브 또는 카운터 보어(counter bore) 내에 각각 배치되며, 자신과 관련된 각각의 압력 트랜스듀서(32 내지 40)의 하부면과의 포트의 상단부에 대한 시일링을 위해 제공한다. O-링은 카운터 보어 내에 미리-위치되고, 센서(32 내지 40) 중 하나의 하부면에 대해 각각 시일링된다.
도2a를 참조하면, 브래킷(144 및 146)은 압력 센서(32 내지 40)에 감지 포트(134 내지 142)에 대한 유극(clearance)을 제공하여, 이를 통해 상부로 확장하도 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형성된 272, 274, 276 및 278, 280으로 각각 표시된 유극 개구를 갖는다는 것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6 및 7을 참조하면, 전형적인 고체 상태 압력 센서 다이(340)의 장착을 위한 하나의 가능한 배열 및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다이는 인터페이스(14)에 임베딩되는, 도6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컨덕터의 단부에 제공되는 노출된 패드(340')로 부착하기 위하여 다이로부터 확장하는 리드(344)로 세라믹 디스크(342) 상에 장착된다. 다이(340)는 에폭시 수지 또는 세라믹 디스크로의 다른 적절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본딩된다. 그 후, 다이로부터의 리드 와이어(344)는 용접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각각 패드(340')에 부착된다. 그 후, 다이(340)를 둘러싸는 인터페이스(14) 내에 제공되는 리세스된 캐비티(346)는 예를 들어, 실리콘 겔과 같은 포팅 에이전트(potting agent)로 충전되어, 전기 접속을 보호한다. 그 후, 실리콘 겔로 충전된 것과 같은 리세스된 캐비티는 부가적인 보호를 위해 적절한 플라스틱 커버(350)로 시일링될 수 있다. 압력 신호가 적절한 개구 또는 감지 홀(348)을 통해 들어가서, 감지된 압력을 다이(340)의 하부면에 인가하도록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디스크(342)는 적절한 탄력적인 시일 링(352)에 의해 매니폴드 감지 포트 위에서 시일링된다. 도6 및 7의 실시예에서의 매니폴드의 감지 포트 및 압력 센서에 대한 시일링이 도1 내지 5의 실시예(10)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달성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8 및 9는 인터페이스(14) 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한 대안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당업자들은 이러한 대안적인 인터페이스(14)가 본 발명의 시스템(10) 내 로 통합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할 것이다. 도8은 폴리머 베이스와 같은 비-전도성 베이스(406)에 도포된 전도성 장착 영역(404) 및 전도성 트레이스(402)를 포함하는 도금 트레이스(400)의 일례를 도시한다. 전도성 장착 영역(404)은 변속기 제어 유닛(TCU)에 상호접속되고 압력 트랜스듀서를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도금 트레이스(400)를 베이스(406)에 도포하면 압력 트랜스듀서가 매니폴드(12)에 부착하게 된다.
도9는 인터페이스(14)로서 사용될 수 있는 플렉스 회로(flex circuit)(410)의 일례를 도시한다. 플렉스 회로(410)는 매니폴드(12)에 장착되어, 시스템(10)에서 압력 트랜스듀서 어셈블리가 상호접속되도록 한다. 플렉스 회로(410)는 주 라인(414)으로부터 확장하는 다수의 분기(412)를 포함한다. 각각의 분기(412)는 임의의 공지된 방법을 통하여 플렉스 회로(410)를 전기 커넥터 핀에 접속시키는 홀(41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신에 접속된 고체 상태 압력 트랜스듀서를 가져서, 인터페이스가 전자-유압 매니폴더 블록 상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부의 밸브 솔레노이드 오퍼레이터(valve solenoid operator)용 전기 단자에 접속될 수 있으며, 동시에 매니폴더 블록 내에 제공된 감지 포트와의 압력 시일링된 접속을 행하는 인터페이스의 특정하고 새로운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에 대한 간단하고 조립하기 용이한 구성을 제공하며, 와이어링 하네스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이와 같은 매니폴드의 대량 생산을 위한 비용 효율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를 갖는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예들로부터, 당업자들은 광섬유, 와이어 하네스, 와이어 시스템 등과 같은 다른 인터페이스가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이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되었을지라도, 상기 본 발명이 변경 및 변형될 수 있고, 단지 다음의 청구항에 의해서만 국한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량 생산 시에 설치하기 용이하고 간단하며, 또한 충분히 저비용으로 상기 기술을 경쟁적인 대량 경차 생산에 바람직하도록 하는 변속기 시프트 제어 모듈 또는 매니폴드 어셈블리에서 다수의 압력 센서 및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방법 및 수단이 제공된다.

Claims (13)

  1.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10)에 있어서:
    다수의 밸빙 챔버(42, 44, 46, 48, 50, 52)와 연통되어 있는 입구 포트를 갖는 매니폴드 블록(12)으로서, 상기 각각의 챔버는 개별적인 출구 포트(56, 58, 60, 62, 64, 66) 및 각각의 출구 포트와 연통되어 있는 압력 감지 포트(134, 136, 138, 140, 142)를 가지는, 상기 매니폴드 블록;
    상기 입구 포트 및 각각의 개별적인 출구 포트 사이에서 상기 각각의 챔버 내의 압력을 제어하도록 배치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밸브(16, 18, 20, 22, 24, 26, 28, 30);
    다수의 전기 단자(103 내지 132) 세트를 갖는 상기 블록 상에 배치된 인터페이스(14)를 포함하며, 상기 각 세트는 상기 밸브 중 하나와 전기 접속을 행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인서트(342)를 포함하며, 각각의 인서트는 자신을 통과하는 통로를 가지고, 상기 각각의 통로는 상기 압력 감지 포트 중 하나와 각각 연통되도록 위치되며,
    각각의 인서트는 상기 통로와 연통되어 있는 압력 트랜스듀서(32, 34, 36, 38, 40)를 상부에서 가지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리드 프레임, 광섬유 케이블, 도금 트레이스, 플렉스 회 로, 와이어 하네스, 및 무선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압력 트랜스듀서를 장착하기 위한 전도성 장착 영역 및 전도성 트레이스를 갖는 도금 트레이스이며, 상기 도금 트레이스는 비-전도성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밸브와의 전기 접속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기 커넥터에 각각 접속되는 다수의 브랜치를 갖는 플렉스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압력 트랜스듀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서 컨덕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이(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 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단자 세트 및 상기 압력 트랜스듀서는 외부 전기 접속을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서 공통 리셉터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트랜스듀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상의 전기 컨덕터 상에 형성된 패드(340')에 부착되는 리드(34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노출된 표면으로 임베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
  10.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10)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블록(12) 내에 입구 통로 및 다수의 이격된 밸빙 챔버(42, 44, 46, 48, 50, 52)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밸빙 챔버는 각각의 출구 통로에 형성된 감지 포트(134, 136, 138, 140, 142)와 연통되어 있는 개별적인 출구 통로(56, 58, 60, 62, 64, 66)를 가지는, 상기 입구 통로 및 밸빙 챔버 형성 단계;
    감지 포트 중 하나와 각각 정렬되는 다수의 감지 구멍을 갖는 전기 인터페이스(14)를 형성하고, 상기 감지 구멍 중 하나와 연통되어 있는 통로를 각각 가지는 다수의 인서트(342)를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
    각각의 밸빙 챔버 내에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밸브(16, 18, 20, 22, 24, 26, 28, 30)를 장착하고, 입구 통로로부터 각각의 개별적인 출구로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밸브를 포팅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인서트 통로 위에 압력 트랜스듀서(32, 34, 36, 38, 40)를 장착하고, 상기 트랜스듀서를 상기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블록에 부착하고, 상기 각각의 감지 구멍을 상기 감지 포트(348) 중 하나와 정렬시키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각각의 밸브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를 부착하는 상기 단계는 리드 프레임, 광섬유 케이블, 도금 트레이스, 플렉스 회로, 와이어 하네스, 및 무선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상기 블록으로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다수의 인서트를 배치하는 상기 단계는 세라믹 인서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 제조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다수의 인서트를 배치하는 상기 단계는 각각의 노출된 인서트의 표면을 남기도록 다수의 인서트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20060076496A 2005-08-12 2006-08-12 장착된 압력 센서를 갖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KR20070019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496A KR20070019623A (ko) 2005-08-12 2006-08-12 장착된 압력 센서를 갖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02,744 2005-08-12
KR1020060076496A KR20070019623A (ko) 2005-08-12 2006-08-12 장착된 압력 센서를 갖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623A true KR20070019623A (ko) 2007-02-15

Family

ID=4365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496A KR20070019623A (ko) 2005-08-12 2006-08-12 장착된 압력 센서를 갖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96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975B1 (ko) 압력 센서가 장착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한 전기-유압매니폴드 조립체
JP5136741B2 (ja) 圧力センサを備えた電気油圧マニホールドのアセンブリ
US20060032541A1 (en) Electro-hydraulic manifold assembly with mounted pressure sensors
US7707872B2 (en) Method for testing a hydraulic manifold
US7073410B2 (en) Hydraulic motor vehicle gearbox control device with a plastic hydraulic distribution plate and conductors integrated therein
US20040118466A1 (en) Electro-hydraulic manifold assembly and pressure sensor therefor
US9200705B2 (en) Electro-hydraulic actuation group for an automotive servo-assisted mechanical transmission
JP4665226B2 (ja) 電気式流体圧サーボ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486996B2 (en) Transmission control unit having pressure transducer package
US6544138B2 (en) Electro-hydraulic module for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US6189571B1 (en) Valve manifold device
US8474824B2 (en) Pressure sensing module having an integrated seal plate and method of assembling pressure sensing module
US7908734B2 (en) Manifold assembly having a centralized pressure sensing package
KR20070019623A (ko) 장착된 압력 센서를 갖는 전자-유압 매니폴드
KR19980087041A (ko) 자동 변속기용 제어 장치 및 자동 변속기
EP2330322B1 (en) Electronic hydraulic control module
US7383735B2 (en) Pressure transducer package for a manifold
KR101964820B1 (ko) 커넥터 모듈
KR20070116803A (ko) 전자 유압식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