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8222A - The unit to keep perpendicularity in various machine arms - Google Patents

The unit to keep perpendicularity in various machine ar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8222A
KR20070018222A KR1020050072670A KR20050072670A KR20070018222A KR 20070018222 A KR20070018222 A KR 20070018222A KR 1020050072670 A KR1020050072670 A KR 1020050072670A KR 20050072670 A KR20050072670 A KR 20050072670A KR 20070018222 A KR20070018222 A KR 20070018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timing pulley
sprocket
fixed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6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28737B1 (en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이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1020050072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737B1/en
Publication of KR20070018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2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7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23Q16/022Indexing equipment in which only the indexing movement is of importance
    • B23Q16/025Indexing equipment in which only the indexing movement is of importance by converting a continuous movement into a rotary index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007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while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013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3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endless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0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면에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가공 및 측정을 하는 다양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암과 그 내부에 비치된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벨트의 유기적인 결합이나 스프로켓과 체인 간의 유기적인 결합을 이용하여 아암의 최 끝단에 결합된 작업구는 항상 지면을 수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가공기나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ety of devices for processing and measuring while maintaining a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in particular by using an organic coupling between the arm and the timing pulley and the timing belt provided therein or an organic coupling between the sprocket and the chain The work tool, coupled to the extreme end of the arm, relates to the arm vertical holding unit of the machine or measuring instrument, which always provides a vertical view of the ground.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가공기나 측정기 및 계측기에 적용되어 항상 그 작업구를 수평면과 수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기에 사용이 편리하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variety of processing machines, measuring instruments and measuring instruments and is easy to use so that it is possible to always maintain the work tool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이지만 어떠한 위치로도 변경이 가능하며, 그러한 위치변경을 하여도 작업구가 항상 수평면과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별도의 위치고정수단이 필요 없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structure, but can be changed to any position, even if the position is changed, the work tool always maintains a vertical state with the horizontal plan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position fixing means.

더불어 본 발명은 측정이나 가공을 요하는 물품이나 재료를 이동시킬 필요없이 절곡되는 아암을 통해 직접 이동하여 계측이나 가공이 가능하기에 그 작업의 시간도 빠르고, 결과적으로 생산량의 증대와 경비의 절감을 가져온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and processed by directly moving through the bent arm without moving the goods or materials requiring measurement or processing, so that the time for the work is fast, and as a result, the production yield and the cost reduction can be improved. Bring.

브라켓, 타이밍풀리, 타이밍벨트, 아암, 스프로켓, 체인 등 Bracket, Timing Pulley, Timing Belt, Arm, Sprocket, Chain, etc.

Description

가공기나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The unit to keep perpendicularity in various machine arms}The unit to keep perpendicularity in various machine arms}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수직 수준측정기의 모습을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1 is a sid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general vertical level meter,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로 그린 작동도,2 is an operation diagram drawn as an example to explain the situ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2단 아암의 수직유지장치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vertical holding device of the two-stage ar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2단 아암의 수직유지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the vertical holding device of the two-stage ar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형태인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벨트로 작동하는 수직유지장치가 아암이 3단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rtical holding device operating with a timing pulley and a timing belt, which is a form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ree arms;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형태인 스프로켓과 체인을 통해 작동하는 수직유지장치를 도시한 도면,6 is a view showing a vertical holding device operating through a sprocket and a chain which is a form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the side.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 shown>

10; 제1타이밍풀리 11; 브라켓10; First timing pulley 11; Brackets

12; 제1아암 13; 축12; First arm 13; shaft

20; 제2타이밍풀리 30; 제3타이밍풀리20; Second timing pulley 30; Third Timing Pulley

40; 제4타이밍풀리 45; 작업구40; Fourth timing pulley 45; Working tool

61; 제1스프로켓 61; 브라켓61; First sprocket 61; Brackets

62; 제1아암 63; 축62; First arm 63; shaft

70; 제2스프로켓 80; 제3스프로켓70; Second sprocket 80; 3rd sprocket

81; 제2아암 90; 제4스프로켓81; Second arm 90; 4th sprocket

본 발명은 수평면에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가공 및 측정을 하는 다양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암과 그 내부에 비치된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벨트의 유기적인 결합이나 스프로켓과 체인 간의 유기적인 결합을 이용하여 아암의 최 끝단에 결합된 작업구는 항상 지면을 수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가공기나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ety of devices for processing and measuring while maintaining a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in particular by using an organic coupling between the arm and the timing pulley and the timing belt provided therein or an organic coupling between the sprocket and the chain The work tool, coupled to the extreme end of the arm, relates to the arm vertical holding unit of the machine or measuring instrument, which always provides a vertical view of the ground.

일반적으로 많은 가공기나 측정기 또는 기구들 중에서 지면에 수직이 되게 장착되어야만 하는 기구들이 많이 있다.In general, there are many machines, measuring instruments or instruments that must be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그럼 이중 도시된 도 1에서 같은 제품의 두께 측정기를 실예로 왜 수직을 이루어야만 하는 것인지를 설명한다.The reason why the thickness gauge of the same product is illustrated in FIG.

즉, 종래의 두께 측정기(1)의 경우 선반(2)의 상부로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지지기둥(3)이 부착되며, 상기 지지기둥(3)의 상단에 선반 면에 수평인 수평바(4)를 결합시키고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hickness gauge 1, a support column 3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elf 2, and a horizontal bar horizontal to the shelf surface at the top of the support column 3 ( 4) are combined.

따라서 두께를 측정해야만 하는 철판이나 부품(5)의 조건에 따라 상기 지지 기둥(3)을 상부로 뺀 상태로 다시 고정을 하고, 상기 수평바(4)를 뽑거나 집어넣은 상태로 고정을 하여 정확히 수직을 맞춘 상태에서, 끝단에 고정된 게이지(6)에서 방사되는 레이저를 통해 그 두께를 측정한다.Therefore,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 of the iron plate or component (5) to measure the thickness, the support pillar (3) is pulled back to the upper state, and the horizontal bar (4) is pulled out or inserted into a fixed state exactly In the vertical position, the thickness is measured by a laser emitted from the gauge 6 fixed to the end.

물론 이러한 작동은 상기 도시된 형태의 두께 측정기(1)에 한정된 방식이고, 대다수의 두께 측정기는 그 수직이 정확히 맞춘 상태이어야 만 하기에 상기 지지기둥과 수평바가 연동할 수 없는 상태로 고정된 형태의 것이 대다수이다.Of course, this operation is limited to the thickness gauge 1 of the type shown, and the majority of the thickness gauges have to be in a state where the verticality is exactly aligned so that the support pillar and the horizontal bar are fixed in such a state that they cannot interlock. Is the majority.

이러한 두께 측정구는 상기 수평바의 끝단에 고정된 게이지에 맞추어 선반 위에 놓인 철판이나 부품을 이리 저리 옮겨가며 그 두께를 측정한다.The thickness measuring instrument measures the thickness by moving the steel plate or the parts placed on the shelf in accordance with the gauge fixed to the end of the horizontal bar.

따라서 이러한 두께 측정기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such a thickness gauge has many problems.

첫째, 지지기둥(3)과 수평바(4)가 연동할 수 있게 구성된 측정기(1)의 경우, 상기 지지기둥(3)과 수평바(4)를 뽑아 사용을 하는 번거로움도 있고, 상기 수평바(4)를 뻗은 상태에서는 그 수직이 정확히 맞지 않아 게이지(6)의 측량에 정확도가 떨어질 소지가 많다.First, in the case of the measuring device 1 configured such that the support column 3 and the horizontal bar 4 can be interlocked, there is a hassle to pull out the support column 3 and the horizontal bar 4 and use the horizontal. In the extended state of the bar 4, the verticality thereof is not exactly matched, so that the accuracy of the gauge 6 may be poor.

둘째, 상기 지지기둥(3)과 수평바(4)를 조절하기 위해 연동을 시키기 위해서는 조절구(7)를 풀러 다시 조이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 과정은 측정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비되는 결과를 초래한다.Second, in order to interlock to adjust the support column (3) and the horizontal bar (4), it is necessary to loosen and retighten the adjusting mechanism (7), which results in a time-consuming process for the measurement. .

셋째, 지지기둥과 수평바가 완전히 고정된 형태의 측정기(1)의 경우, 선반 위에 놓여진 철판이나 부품을 이리 저리 옮겨가며 각 부분의 두께를 측정하여야 하기에 계측하기가 번거롭다. Third, in the case of the measuring device 1 in which the supporting column and the horizontal bar are completely fixed, it is cumbersome to measure the thickness of each part by moving the iron plate or the parts placed on the shelf.

또한 상기 철판이나 부품을 이리 저리 옮기는 과정에서 상기 철판이나 부품 과 선반 사이에 이물질이 낀다면 그 두께의 측정은 정확도 면에서 뒤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In addition, if foreign matter is caught between the iron plate or the part and the shelf during the movement of the iron plate or the part, the measurement of the thickness may result in inferior accuracy.

그리고 전술한 형태의 두께 측정기는 수평면과 수직을 이루어야만 하는 가공기나 측정기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기존에 이렇게 수평면과 항상 수직을 이루어야만 하는 가공기나 측정기는 많은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measuring device of the above-described type is only one embodiment of a processing machine or measuring device that must b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and there exist many types of processing machines or measuring devices that must always b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드릴을 이용하여 구멍을 뚫는 가공기도 항상 지면과 수직의 상태를 이루어야 하고, 접합을 위한 용접기의 경우도 항상 수직을 이루어야만 하며, 이 밖에 많은 형태의 가공기나 측정기들이 항상 지면과 수직의 상태를 이루어야만 작업이 가능한 형태의 것이 많이 있다.Machines that make holes using drills should always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welders for joining should always be perpendicular, and many other types of machines or measuring instruments should always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re are many things that can only be done.

그러나 연동이 자유로우면서도 그 수직을 별도의 작업을 수행함이 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측정기나 가공기는 전무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However, it was judged that there was no measuring device or processing machine that could freely interlock and could always maintain the vertical without any additional work.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은 수평면에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가공 및 측정을 하는 다양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암과 그 내부에 비치된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벨트의 유기적인 결합이나 스프로켓과 체인 간의 유기적인 결합을 이용하여 아암의 최 끝단에 결합된 작업구는 항상 지면을 수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가공기나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relates to various apparatuses for processing and measuring while maintaining perpendicular to a horizontal plane. Work tools coupled to the extreme end of the arm using organic bonding are intended to provide an arm holding unit of the machine or measuring instrument that always faces the ground vertically.

따라서 본 발명은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의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과 고정된 제1타이밍풀리와; 상기 제1타이밍풀리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1아암과; 상기 제1아암의 끝단에 내장되어 그 축을 통해 회전하는 제2타이밍풀리와 동일 축에 고정된 제3타이밍풀리와; 상기 제3타이밍풀리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2아암과; 상기 제2아암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4타이밍풀리와; 상기 제4타이밍풀리에 수직으로 고정된 작업구가; 상기 제1타이밍풀리와 제2타이밍풀리를 제1타이밍벨트로 연결하고, 상기 제3타이밍풀리와 제4타이밍풀리를 제2타이밍벨트로 연결하여, 상기 제1타이밍풀리는 제1아암의 내부에서 브라켓에 고정되지만, 나머지 타이밍풀리는 벨트의 작용으로 회전하는 가공기나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bracket fixed to one side of the body, the first timing pulley fixed with the bracket; A hollow first arm incorporating the first timing pulley; A third timing pulley fixed to the same axis as the second timing pulley embedded in the end of the first arm and rotating through the axis; A hollow second arm incorporating the third timing pulley; A fourth timing pulley rotatably fixed to an end of the second arm; A work tool fixed perpendicularly to the fourth timing pulley; The first timing pulley and the second timing pulley are connected with a first timing belt, and the third timing pulley and the fourth timing pulley are connected with a second timing belt, and the first timing pulley has a bracket inside the first arm. The remaining timing pulley is intended to provide an arm holding unit of the machine or measuring machine which rotates under the action of the belt.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구성의 타이밍풀리와 벨트를 스프로켓과 체인을 통해서도 달성할 수 있는 가공기나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rm vertical holding unit of a processing machine or a measuring machine which can achieve the timing pulley and belt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rough a sprocket and a chain.

더불어 본 발명은 전술된 상기 제2아암의 끝에는, 풀리와 아암 및 스프로켓과 체인을 연결하여 3 내지 7개의 다단 아암으로 구성될 수 있는 가공기나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m vertical maintenance unit of the processing machine or measuring device that can be composed of three to seven multi-stage arms by connecting the pulley, the arm and the sprocket and the chain at the end of the second arm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수평면에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가공 및 측정을 하는 다양한 장치란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그 목적이 유사하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related art i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ety of apparatuses for processing and measuring while maintaining a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그러나 아암을 연동하여 끝단에 고정된 작업구의 위치를 변경시켜도 항상 지평면과 수직을 이루고 있다는 점과, 그에 따라 작업이나 측정이 용이하다는 점 및 그로 인하여 다양하고 많은 측정기와 계측기 및 가공기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owever, even if you change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fixed to the end by interlocking the arms, it is alway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and it is easy to work or measure accordingly, and thus can be applied to various measuring instruments, instruments, and machines. Since there is a great feature in that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with the drawings shown.

우선 도시된 도 2 내지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11)의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11)과 고정된 제1타이밍풀리(10)가 있고; 상기 제1타이밍풀리(10)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1아암(12)이 있다.2 to 6,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timing pulley 10 fixed to the bracket 11 inside the bracket 11 fixed to one side of the body; There is a hollow first arm 12 having the first timing pulley 10 embedded therein.

또한 상기 제1아암(12)의 끝단에 내장되어 그 축(13)을 통해 회전하는 제2타이밍풀리(20)와 동일 축(13)에 고정된 제3타이밍풀리(30)가 있고; 상기 제3타이밍풀리(30)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2아암(31)가 형성된다.A second timing pulley (30) fixed to the same shaft (13) as the second timing pulley (20) embedded in the end of the first arm (12) and rotating through the shaft (13); A hollow second arm 31 having the third timing pulley 30 embedded therein is formed.

또한 상기 제2아암(31)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4타이밍풀리(40)가 있고; 상기 제4타이밍풀리(40)에 수직으로 고정된 작업구(45)가 비치된다.There is also a fourth timing pulley 40 rotatably fixed to the end of the second arm 31; The work tool 45 fixed to the fourth timing pulley 40 is vertically provided.

따라서 상기 제1타이밍풀리(10)와 제2타이밍풀리(20)를 제1타이밍벨트(16)로 연결하고, 상기 제3타이밍풀리(30)와 제4타이밍풀리(40)를 제2타이밍벨트(17)로 연결하며, 상기 제1타이밍풀리(10)는 제1아암(12)의 내부에서 브라켓(11)에 고정되지만, 나머지 타이밍풀리는 벨트의 작용으로 회전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first timing pulley 10 and the second timing pulley 20 are connected to the first timing belt 16, and the third timing pulley 30 and the fourth timing pulley 40 are second timing belts. The first timing pulley 10 is fixed to the bracket 11 inside the first arm 12, but the remaining timing pulley is rotated by the action of the belt.

즉, 도 3과 4에서처럼, 상부로 개구된 브라켓(11)에는 제1아암(12)이 힌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제1아암(12)의 내부에 제1타이밍풀리(10)의 축(A)이 상기 브라켓(11)과 체결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3 and 4, a first arm 12 is hinged to the bracket 11 that is opened upward, and an axis A of the first timing pulley 10 is formed inside the first arm 12. ) Is fastened to the bracket (11).

보다 정확하게 말해서 상기 제1타이밍풀리(10)의 축(A)은 상기 브라켓(11)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상기 제1아암(12)은 상기 제1타이밍풀리(10)의 축(A)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다는 것이다.More precisely, the axis A of the first timing pulley 10 is completely fixed to the bracket 11, but the first arm 12 is the axis A of the first timing pulley 10. ) Is rotatable.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아암(12)의 제1타이밍풀리(10)의 축(A)과의 유기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고정된 축(A)을 힌지로 상기 제1아암(12)의 축공 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베어링을 장착하여도 무방하다.Although not shown, the first arm 12 may be hinged to the fixed axis A for organic coupling with the axis A of the first timing pulley 10 of the first arm 12. In order to make the shaft hole rotate easily, a separate bearing may be installed.

그리고 상기 제1아암(12)의 타측 내부에는 축(13)을 통해 결합된 제2타이밍풀리(20)가 있다. And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rm 12 there is a second timing pulley 20 coupled via the shaft 13.

이 제2타이밍풀리(20)는 전술된 제1타이밍풀리(10)와 동일한 형태이며 같은 크기 및 그 피치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회전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second timing pulley 20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timing pulley 10 described above and has the same size and the same pitch,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second timing pulley 20 is rotatable.

즉, 전술된 제1타이밍풀리(10)는 그 축(A)이 브라켓(11)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이지만, 제2타이밍풀리(20)는 제1아암(12)의 타측 축공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다는 것이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first timing pulley 10 has a shaft A completely fixed to the bracket 11, but the second timing pulley 20 is rotatable by being fitted into the other shaft hole of the first arm 12. It is.

물론 상기 제2타이밍풀리(20)의 축(13)과 제1아암(12)의 축공과의 유기적인 결합을 위해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어링을 장착하여도 무방하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for organic coupling between the shaft 13 of the second timing pulley 20 and the shaft hole of the first arm 12, a bearing may be mounted.

또한 도 4에서 보이듯 상기 제2타이밍풀리(20)의 축(13)은 제3타이밍풀리(30)의 축과 동일 축인 일체 형상이며, 상기 제2타이밍풀리(20)의 측면에 제3타이밍풀리(30)가 고정되고, 그 제3타이밍풀리(30)를 외부에서 감싼 제2아암(31)이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shaft 13 of the second timing pulley 20 has an integral shape that is the same axis as the axis of the third timing pulley 30, and a third timing pulley on the side of the second timing pulley 20. The 30 is fixed and the 2nd arm 31 which wraps the 3rd timing pulley 30 from the outside is comprised.

여기서 제2타이밍풀리(20)와 제3타이밍풀리(30) 및 제2아암(31)의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설명하자면, 제2,3타이밍풀리(20,30)는 그 축(13)을 통해 일체로 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아암(31)은 그 축공을 통해 상기 제3타이밍풀리(30)와 결합하고 있다.Here, to describe the organic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timing pulley 20, the third timing pulley 30, and the second arm 31, the second and third timing pulleys 20 and 30 may rotate the shaft 13. The second arm 31 is coupled to the third timing pulley 30 through the shaft hole.

즉, 제2아암(31)의 축공이 상기 축(13)의 외주 지름보다 넓으며, 축(13)과 상기 제2아암(31) 간의 유기적인 회전가능한 결합을 위해 미도시된 베어링을 장착할 수도 있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That is, the shaft hole of the second arm 31 is wid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shaft 13, and a bearing, not shown, can be mounted for the organic rotatable coupling between the shaft 13 and the second arm 31. May be combined in the state.

다시 말해서 상기 제2타이밍풀리(20)와 제1아암(12)과의 결합과 제3타이밍풀리(30)와 제2아암(31)과의 결합관계가 동일하게 구성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timing pulley 20 and the first arm 12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third timing pulley 30 and the second arm 31 are identical.

또한 상기 제2아암(31)의 타측 끝단에는 제4타이밍풀리(40)가 결합되어 있고 그 제4타이밍풀리(40)에는 도시된 작업구(45)가 결합되어 있는데, 지면을 수직으로 바라본 상태로 결합하여 있다.In addition, a fourth timing pulley 4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rm 31, and the work tool 45 shown is coupled to the fourth timing pulley 40, which is viewed vertically from the ground. Are combined.

물론 이때 상기 제2아암(31)의 축공과 제4타이밍풀리(40) 간의 결합도 상기 축공이 제4타이밍풀리(40)의 축(B)보다도 그 지름이 다소 크며, 그 내부에 베어링을 장착하여 상기 아암이 용이하게 연동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는 것이다. Of course, at this time, the coupling between the shaft hole of the second arm 31 and the fourth timing pulley 40 is also larger in diameter than that of the shaft B of the fourth timing pulley 40, and a bearing is mounted therein. By considering the arm can be easily interlocked.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타이밍풀리(40)는 제1타이밍벨트(16)와 제2타이밍벨트(17)로 연결된다.The first to fourth timing pulleys 40 are connected to the first timing belt 16 and the second timing belt 17.

아무튼 본 발명의 구성은 전술된 것처럼, 결합되어 있고,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yway,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operation thereof is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개념적인 것일 수도 있다.Referring first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ceptual.

즉, 다양한 구성들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본 발명과 동일한 작용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same action a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organic combination of various component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그 자세한 구성들의 기재를 가급적 피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s is avoided as much as possible.

이유는 본 발명의 개념을 추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요건 간의 결합은 많기 때문이다.The reason is that there are many combinations between various types of configuration requirements that can pursue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지 본 발명에서는 그 기술적 사상을 달성할 수 있는 필수 구성요소만을 전부 기재하는 방식으로만 기술하며, 추후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이 창안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essential components capable of achieving the technical idea are described in a manner of describing all, and more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created later.

아무튼 본 발명의 작용을 도 2의 예시 작동도를 통해 제1타이밍풀리(10)와 제2타이밍풀리(20) 및 제1아암(12)의 작동모습을 살펴본다.Anyway, the operation of the first timing pulley 10, the second timing pulley 20, and the first arm 12 will be described through the exemplary operation of FIG. 2.

먼저 도시된 도 2의 제1아암(12)을 잡고, 하부로 내려가게 되면, 도시된 것처럼 제1타이밍풀리(10)의 축(A)은 브라켓(11)에 고정된 상태이기에 제1아암(12)의 축공이 제1타이밍풀리(10)의 축(A)을 고정된 힌지로 삼아 외주면을 타고 회전하게 된다.First, when the first arm 12 of FIG. 2 is held and descends downward, the first arm (A) of the first timing pulley 10 is fixed to the bracket 11 as shown. The shaft hole of 12) rotat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using the shaft A of the first timing pulley 10 as a fixed hinge.

물론 이러한 작용은 제1아암(12)의 상하 연동으로 작용할 것이다.Of course, this action will act as a vertical linkage of the first arm (12).

그리고 상기 제1아암(12)의 타단에는 제2타이밍풀리(20)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제2타이밍풀리(20)의 회전과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작업구(45)가 고정되어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결합된다.In addition, the second timing pulley 20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arm 12 in a rotatable state, and the work tool 45 is rot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otation of the second timing pulley 20. It is fixed and coupled to the ground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상기 제1아암(12)의 연동은 제1타이밍풀리(10)와 제2타이밍풀리(20)를 연결하는 제1타이밍벨트(16)를 좌우로 이동시키게 되어 그 길이만큼 제2타이밍풀리(20)를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Therefore, the interlocking operation of the first arm 12 moves the first timing belt 16 connecting the first timing pulley 10 and the second timing pulley 20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second timing pulley ( 2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결국 상기 제1아암(12)이 연동하여도 그 연동각도 만큼 제2타이밍풀리(20)는 회전하여 상기 제2타이밍풀리(20)에 결합된 작업구(45)는 수평면과 직각의 방향을 유지하는 것이다.As a result, even when the first arm 12 is interlocked, the second timing pulley 20 is rotated by the interlocking angle so that the work tool 45 coupled to the second timing pulley 20 maintains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It is.

물론 이러한 작용은 상기 제1아암(12)을 역방향인 상부로 올려도 같은 작용을 한다.Of course, this action also works the same as raising the first arm 12 in the reverse direction.

즉, 제2타이밍풀리(20)가 도시된 도 2의 화살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결합된 작업구(45)를 수평면과 직각의 방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second timing pulley 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rrow direction of FIG. 2 to maintain the combined working tool 45 at right angles to the horizontal plane.

나아가 도 3처럼 제2아암(31)이 상기 제1아암(12)과 겹쳐 결합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은 수직유지 유니트를 작동시켜 보면 다음과 같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3, when the second arm 31 operates the vertical holding unit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econd arm 31 overlaps with the first arm 12, the following operation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 제2아암(31)의 내부에는 제2타이밍풀리(20)의 축(13)과 동일한 축(13)을 사용하는 제3타이밍풀리(30)가 내장되어 있다.Here, the third timing pulley 30 using the same shaft 13 as the shaft 13 of the second timing pulley 20 is embedded in the second arm 31.

따라서 제1아암(12)을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제2아암(31) 만을 상하로 연동시켜보면, 도 3에서처럼 제2아암(31)은 하부로 내려가며 연동을 한다.Therefore, when only the second arm 31 is interlocked up and down in a state where the first arm 12 is not operated, the second arm 31 moves downward while interlocking as shown in FIG. 3.

이때 제2아암(31)의 축공은 상기 제2,3타이밍풀리(20,30)의 축(13)보다 지름이 크기에 축(13)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아암(31) 만이 연동을 한다.At this time, the shaft hole of the second arm 31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shaft 13 of the second and third timing pulleys 20 and 30, and only the second arm 31 is interlocked with the shaft 13 fixed. do.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제2아암(31)과 제1아암(12)에 내장된 제2,3타이밍풀리(20,30)는 고정된 제1타이밍풀리(10)에 제1타이밍벨트(16)로 연결되어 있기에 회전이 고정되는 것이다. More precisely, the second and third timing pulleys 20 and 30 embedded in the second arm 31 and the first arm 12 are connected to the first timing belt 16 to the fixed first timing pulley 10. Rotation is fixed because it is connected.

따라서 제2아암(31) 만이 상하 연동을 하고 그 연동이 가져오는 거리만큼 상기 제2타이밍벨트(17)는 좌우 연동을 한다.Therefore, only the second arm 31 is interlocked up and down, and the second timing belt 17 i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the distance brought by the linkage.

물론 상기 제2타이밍벨트(17)의 좌우 연동은 그 연동 길이만큼을 보상받기 위해 제4타이밍풀리(40)를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밖에 없다.Of course, the left and right linkage of the second timing belt 17 has no choice but to rotate the fourth timing pulley 4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compensate for the linkage length.

이유는 제2와 3타이밍풀리(20,30)는 고정된 제1타이밍풀리(10)와 제1타이밍벨트(16)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에 그 회전이 중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The reason is that since the second and third timing pulleys 20 and 30 are connected through the fixed first timing pulley 10 and the first timing belt 16, the rotation thereof is stopped.

따라서 상기 제4타이밍풀리(40)는 제2아암(31)의 연동 각도만큼 도시된 도면 의 화살표 방향으로 역으로 회전하여 제4타이밍풀리(40)에 고정된 작업구(45)를 항상 수평면과 직각의 방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fourth timing pulley 40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the drawing as shown by the interlocking angle of the second arm 31 so that the work tool 45 fixed to the fourth timing pulley 40 is always in the horizontal plane. Is to maintain the right direction.

나아가 만일 제1아암(12)과 제2아암(31)이 같이 상하 연동을 하고, 서로 다른 각도와 방향으로 연동을 한다 할지라도, 서로 그 풀리와 벨트를 통해 보상시켜 작업구를 항상 수평면과 수직의 방향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Furthermore, even if the first arm 12 and the second arm 31 are vertically interlocked together and interlocked at different angles and directions, the work tool is alway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by compensating through the pulleys and belts. Can be maintained in the direction of.

그리고 본 발명의 수직유지 유니트는 도 4에서 보이듯,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11)에는, 그 내부에 수평회전 힌지(38)를 구성하고 있다.In the vertical hold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bracket 11 fixed to one side of the base has a horizontal rotating hinge 38 therein.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직유지 유니트는 수평방향으로도 회전가능하여 어떠한 물품이나 철판을 가공하고 측정할 수 있으며 수평상태의 선반 위에 어떠한 위치에 올려 져 있다 할지라도 가공이나 측정이 용이하다. Therefore, the vertical hold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rocess and measure any article or steel plate, even if it is placed on any position on the shelf in the horizontal state is easy to process or measure.

한편 본 발명의 개념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2아암(31)의 끝에, 풀리와 아암을 연결하여 3 내지 7개의 다단 아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end of the second arm 31, it may be composed of three to seven multi-stage arms by connecting the pulley and the arm.

즉, 아무리 많은 단수의 아암을 연결하여도 본 발명의 작용을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기에 그 끝단의 작업구는 항상 수평면과 수직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no matter how many arms are connected, the working tool of the end is always kept vertical to the horizontal plane because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ways maintained the same.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된 제1실시예와는 달리 도시된 도 6에서처럼, 모든 구성을 동일하게 유지하되, 상기 타이밍풀리를 스프로켓으로 상기 타이밍풀리를 대응하는 체인으로 대체하여 제작해도 무방하다.And unlik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6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but may be manufactured by replacing the timing pulley with a corresponding chain with the timing pulley sprocket.

즉, 도 6과 7에서처럼,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61)의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61)과 고정된 제1스프로켓(60)가 있고; 상기 제1스 프로켓(60)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1아암(62)이 형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s. 6 and 7,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ide the bracket 61 fixed to one side of the base, the bracket 61 and the first sprocket 60 are fixed; A hollow first arm 62 having the first sprocket 60 therein is formed.

또한 상기 제1아암(62)의 끝단에 내장되어 그 축(63)을 통해 회전하는 제2스프로켓(70)와 동일 축(63)에 고정된 제3스프로켓(80)가 있고; 상기 제3스프로켓(80)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2아암(81)가 형성된다.There is also a third sprocket (80) fixed to the same axis (63) as the second sprocket (70) embedded in the end of the first arm (62) and rotates through the axis (63); A hollow second arm 81 having the third sprocket 80 therein is formed.

또한 상기 제2아암(81)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4스프로켓(90)가 있고; 상기 제4스프로켓(90)에 수평면과 수직으로 고정된 작업구(95)가 비치된다.There is also a fourth sprocket (90) rotatably fixed to the end of the second arm (81); The fourth sprocket 90 is provided with a work tool 95 fixed perpendicularly to a horizontal plane.

따라서 상기 제1스프로켓(60)와 제2스프로켓(70)를 제1체인(66)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3스프로켓(80)와 제4스프로켓(90)를 제2체인(67)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스프로켓(60)는 제1아암(62)의 내부에서 브라켓(61)에 고정되지만, 나머지 스프로켓는 체인의 작용으로 회전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rst sprocket 60 and the second sprocket 70 are connected to the first chain 66, and the third sprocket 80 and the fourth sprocket 90 are connected to the second chain 67. The first sprocket 60 is fixed to the bracket 61 inside the first arm 62, but the remaining sprocket rotates by the action of the chain.

즉, 전술된 제1실시예와 그 구성이 모두 동일하지만, 풀리와 타이밍벨트를 스프로켓과 체인으로 대체한 점만이 다르고, 그 작동 역시 동일하다.That is, although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pulley and the timing belt is replaced with the sprocket and the chain, the operation is also the same.

또한 상기 제 2실시예의 본 발명 즉,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61)에는, 그 내부에 수평회전 힌지(88)를 구성하여 수평방향으로 360도 회전가능하게 구성한 것도 동일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that is, the bracket 61 fixed to one side of the base, it is also configured to be configured to rotate 360 degre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forming a horizontal rotation hinge 88 therein.

더불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도, 상기 제2아암(81)의 끝에는, 스프로켓와 아암을 연결하여 3 내지 7개의 다단 아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second arm 81, it may be composed of three to seven multi-stage arms by connecting the sprocket and the arm.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발명은 다양한 가공기나 측정기 및 계측기에 적용되어 항상 그 작업구를 수평면과 수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기에 사용이 편 리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use because i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machines, measuring instruments and measuring instruments to always maintain the work tool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이지만 어떠한 위치로도 변경이 가능하며, 그러한 위치변경을 하여도 작업구가 항상 수평면과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별도의 위치고정수단이 필요 없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structure, but can be changed to any position, even if the position change work tool always maintains a vertical state with the horizontal plane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osition fixing means.

더불어 본 발명은 측정이나 가공을 요하는 물품이나 재료를 이동시킬 필요없이 절곡되는 아암을 통해 직접 이동하여 계측이나 가공이 가능하기에 그 작업의 시간도 빠르고, 결과적으로 생산량의 증대와 경비의 절감을 가져온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and processed by directly moving through the bent arm without moving the goods or materials requiring measurement or processing, so that the time for the work is fast, and as a result, the production yield and the cost reduction can be improved. Bring.

Claims (6)

수평면에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가공 및 측정을 하는 다양한 장치에 있어서, In a variety of devices for processing and measuring while keeping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11)의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11)과 고정된 제1타이밍풀리(10)와;A first timing pulley 10 fixed to the bracket 11 in the bracket 11 fixed to one side of the body; 상기 제1타이밍풀리(10)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1아암(12)과;A hollow first arm (12) having the first timing pulley (10) embedded therein; 상기 제1아암(12)의 끝단에 내장되어 그 축(13)을 통해 회전하는 제2타이밍풀리(20)와 동일 축(13)에 고정된 제3타이밍풀리(30)와;A third timing pulley 30 fixed to the same shaft 13 as the second timing pulley 20 which is embedded at the end of the first arm 12 and rotates through the shaft 13; 상기 제3타이밍풀리(30)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2아암(31)과;A hollow second arm 31 having the third timing pulley 30 embedded therein; 상기 제2아암(31)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4타이밍풀리(40)와;A fourth timing pulley 40 rotatably fixed to an end of the second arm 31; 상기 제4타이밍풀리(40)에 수평면과 수직으로 고정된 작업구(45)가;A work tool 45 fixed to the fourth timing pulley 40 at right angles to a horizontal plane; 상기 제1타이밍풀리(10)와 제2타이밍풀리(20)를 제1타이밍벨트(16)로 연결하고, 상기 제3타이밍풀리(30)와 제4타이밍풀리(40)를 제2타이밍벨트(17)로 연결하ㅁ며 상기 제1타이밍풀리(10)는 제1아암(12)의 내부에서 브라켓(11)에 고정되지만, 나머지 타이밍풀리는 벨트의 작용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기나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The first timing pulley 10 and the second timing pulley 20 are connected to the first timing belt 16, and the third timing pulley 30 and the fourth timing pulley 40 are connected to the second timing belt ( 17) and the first timing pulley 10 is fixed to the bracket 11 inside the first arm 12, but the remaining timing pulley is rotated by the action of the belt of the processing machine or the measuring device. Arm vertical hold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11)은,The bracket 11 fixed to one side of the body, 그 내부에 수평회전 힌지(38)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기나 측정기 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An arm vertical holding unit of a processing machine or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horizontal rotating hinge (38) is formed therei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아암(31)의 끝에는,At the end of the second arm 31, 풀리와 아암을 연결하여 3 내지 7개의 다단 아암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기나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Arm vertical holding unit of the processing machine or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mposed of three to seven multi-stage arms by connecting the pulley and the arm. 수평면에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가공 및 측정을 위한 다양한 장치에 있어서, In a variety of devices for processing and measuring while maintaining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61)의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61)과 고정된 제1스프로켓(60)와;A first sprocket 60 fixed to the bracket 61 in the bracket 61 fixed to one side of the body; 상기 제1스프로켓(60)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1아암(62)과;A hollow first arm (62) having the first sprocket (60) therein; 상기 제1아암(62)의 끝단에 내장되어 그 축(63)을 통해 회전하는 제2스프로켓(70)와 동일 축(63)에 고정된 제3스프로켓(80)와;A third sprocket (80) embedded in the end of the first arm (62) and fixed to the same shaft (63) as the second sprocket (70) rotating through the shaft (63); 상기 제3스프로켓(80)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2아암(81)과;A hollow second arm 81 having the third sprocket 80 therein; 상기 제2아암(81)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4스프로켓(90)와;A fourth sprocket (90) rotatably fixed to an end of the second arm (81); 상기 제4스프로켓(90)에 수평면과 수직으로 고정된 작업구(95)가;A work tool 95 fixed to the fourth sprocket 90 at right angles to a horizontal plane; 상기 제1스프로켓(60)와 제2스프로켓(70)를 제1체인(66)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3스프로켓(80)와 제4스프로켓(90)를 제2체인(67)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1스프로켓(60)는 제1아암(62)의 내부에서 브라켓(61)에 고정되지만, 나머지 스프로켓는 체인의 작용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기나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 니트.Connecting the first sprocket 60 and the second sprocket 70 to the first chain 66, and connecting the third sprocket 80 and the fourth sprocket 90 to the second chain 67; The first sprocket (60) is fixed to the bracket (61) in the interior of the first arm (62), but the rest of the sprocket arm vertical maintenance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of the action of the chain.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61)은,The bracket 61 fixed to one side of the body, 그 내부에 수평회전 힌지(88)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기나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An arm vertical holding unit of a processing machine or a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horizontal rotating hinge 88 is formed therein.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2아암(81)의 끝에는,At the end of the second arm 81, 스프로켓와 아암을 연결하여 3 내지 7개의 다단 아암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기나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Arm vertical holding unit of the processing machine or measuring instru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mposed of three to seven multi-stage arms by connecting the sprocket and the arm.
KR1020050072670A 2005-08-09 2005-08-09 The unit to keep perpendicularity in machine arms KR1007287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670A KR100728737B1 (en) 2005-08-09 2005-08-09 The unit to keep perpendicularity in machine ar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670A KR100728737B1 (en) 2005-08-09 2005-08-09 The unit to keep perpendicularity in machine ar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222A true KR20070018222A (en) 2007-02-14
KR100728737B1 KR100728737B1 (en) 2007-06-15

Family

ID=4163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670A KR100728737B1 (en) 2005-08-09 2005-08-09 The unit to keep perpendicularity in machine ar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7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807B1 (en) * 2012-10-31 2014-07-17 박성준 Driving stability device for pipe cut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358Y1 (en) * 1993-12-29 1996-06-28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Tool setting device for compensating for tool wear having a cleaning device
KR100248873B1 (en) * 1998-01-23 2000-04-01 한용희 Grinder for braun tube
KR100462689B1 (en) * 2002-10-04 2004-12-17 한국수자원공사 Phyto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ed with lead using indigenous herbaceous plants,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807B1 (en) * 2012-10-31 2014-07-17 박성준 Driving stability device for pipe cu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737B1 (en) 200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6615B2 (en) Transfer equipment
JP2013006238A (en) Horizontal articulated robot
KR100728737B1 (en) The unit to keep perpendicularity in machine arms
KR100732009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roundness
CN108489457A (en) A kind of geological profile survey device
CN109974646A (en) A kind of production of OLED material is with can be with the detector of activity detection anticollision
JP2011240448A (en) Wire-driven robot
CN208916254U (en) A kind of rotary feeding mechanism that cross-line uses
KR102195604B1 (en) Apparatus for guiding electric power screwdriver
KR101034025B1 (en) metal bar bending device
JP4722300B2 (en) Needle bar stroke adjustment device
KR1018500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orsional lash of intermediate shaft assembly
JP3646067B2 (en) Sewing machine needle bar stroke changing device
US11060838B2 (en)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CN2883271Y (en) Plate conveyer
CN209230484U (en) Testing agency
KR20180047053A (en) A compound profile meter
CN114018718B (en) A testing platform for irregular structure
CN207366134U (en) It is a kind of to be used to measure the device that object mass center deviates shaft degree
SE1350632A1 (en) drilling rig
JP2015055515A (en) Lifting device of measuring instrument
CN110193743A (en) A kind of alignment positioning device and to boring machine
JPH1078316A (en) Apparatu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walls of cylindrical screen
CN106644340A (en) Angular vibration platform
JP2008524580A (en)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