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873A - Mold assembly,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ld assembly,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873A
KR20070017873A KR1020050072515A KR20050072515A KR20070017873A KR 20070017873 A KR20070017873 A KR 20070017873A KR 1020050072515 A KR1020050072515 A KR 1020050072515A KR 20050072515 A KR20050072515 A KR 20050072515A KR 20070017873 A KR20070017873 A KR 20070017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upport
deck plate
fastening bolt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41431B1 (en
Inventor
홍원기
Original Assignee
(주)엠씨에스공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씨에스공법 filed Critical (주)엠씨에스공법
Priority to KR1020050072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431B1/en
Publication of KR2007001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8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4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측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과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주입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 본체;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과 접촉하여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해 그 나사단부가 지지부재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을 차례로 관통하여 거푸집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돌출된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모두 감싸도록 결합되는 매립용 너트;를 포함하는 거푸집 조립체 및 복합형강보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tangular bottom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eam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nd a pair of side walls integrally form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floor, the space to be injected concrete by the floor and side walls Formwork body forming; A support member that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 body to support the form body; A fastening bolt having a screw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the bottom of the form body in order to fix the support member to the formwork to protrude into the form inner space; It discloses a formwork assembly and a composite steel beam and a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a buried nut coupled to surround all of the screw end of the protruding fastening bolt.

거푸집, H형강, 보 Formwork, H-beam, beam

Description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복합형강보 및 건축물 시공방법{Mold assembly,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Form assembly,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to 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lab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a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H형강에 보강철근이 배근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reinforcing bars are arranged in the H-beam in the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VII-VII'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 of FIG. 6.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H형강에 거푸집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formwork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H-beam in the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IX-IX'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X-IX 'of FIG. 8.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물을 시공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constructing a slab structure using a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를 효과적으로 타설하는 동시에 설치와 탈형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거푸집 조립체를 채용한 복합형강보 및 이들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work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roved formwork assembly that is easy to install and demould while simultaneously placing concret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mposite steel beam employing the formwork assembly as described above and a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m.

일반적으로, H형강보는 건물의 각 층의 바닥 또는 천장인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H형강보(12)와 슬래브(11)는 슬래브 구조체(10)를 이룬다.In general, H-beams are widely used to support slabs, which are floors or ceilings of each floor of a building. 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H-shaped steel beam 12 and the slab 11 forms a slab structure (10).

한편, 건물의 각 층의 높이는 실내 공간의 높이와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를 더한 것이다. 즉,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를 줄일수록 각 층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같은 층수의 건물이라도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가 작을수록 그 층고가 작아지기 때문에 시공비가 줄어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is the height of the interior space and the height of the slab structure (10). That is, as the height of the slab structure 10 is reduced, the height of each layer may be reduced. Therefore, even if the building of the same number of floors, as the height of the slab structure 10 is smaller, the height of the floor is smaller,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상기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H)는 H형강보(12)의 높이(H1)와 슬래브(11)의 높이(H2)를 더한 것이다.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H)를 줄이기 위해서 H형강보(12)의 높이(H1) 또는 슬래브(11)의 높이(H2)를 줄이게 되면 슬래브 구조체(10)의 지지력 또는 휨 저항력이 약해지게 되어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여기에서, 미설명 참조부호 11a는 슬래브(11)에 배근된 철근이다.The height H of the slab structure 10 is obtained by adding the height H1 of the H-shaped steel beam 12 and the height H2 of the slab 11. When the height H1 of the H-shaped steel beam 12 or the height H2 of the slab 11 is reduced in order to reduce the height H of the slab structure 10, the supporting force or the bending resistance of the slab structure 10 becomes weak. There is a problem that affects the safety of the structure. Here,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11a is a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to the slab 11.

또한,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H)를 줄이기 위해 H형강보(12)의 크기를 줄이면, 이 경우 H형강보의 횡단면적도 감소하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 축력 및 휨응력에 대해서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size of the H-beams 12 is reduced in order to reduce the height H of the slab structure 10,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beams is also reduced, which is vulnerable to compressive and bending stresses 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H형강보(12)의 상부 플렌지(12a)와 상응하는 홈(14a)이 형성된 데크플레이트(14)를 H형강보(12)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 구조체(15)를 제작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2, the deck plate 14 having the groove 14a corresponding to the upper flange 12a of the H-beam 12 is provided in the H-beam 12. After tha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lab structure 15 by pouring concrete has been proposed.

상기 슬래브 구조체(15)는 상기 홈(14a)의 깊이만큼 그 높이가 줄어들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슬래브 구조체(15)는 슬래브(13)에 수직 방향(A)으로 작용하는 응력에 대해서는 효과적이지만, 슬래브(13)에 평행한 방향(B)으로 작용하는 응력에 대해서는 홈(14a)이 있는 부분의 슬래브(13)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전단 응력 및 휨 응력이 크게 집중되고 압축력에도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The slab structure 15 has an advantage that the height is reduced by the depth of the groove (14a). However, while the slab structure 15 is effective for the stress acting in the direction A perpendicular to the slab 13, the groove 14a is not effective for the stress acting in the direction B parallel to the slab 13. Since the thickness of the slab 13 is thi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hear stress and the bending stress are largely concentrated and also susceptible to the compressive force.

도 3은 H형강보(12)의 웹(12b)에 용접된 거치대(16)와, 거치대(16)에 설치된 데크플레이트(17)를 포함하는 슬래브 구조체(19)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웹(12b)에 거치대(16)를 용접하여 설치하고, 거치대(16) 위에 데크플레이트(17)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H형강보(12)의 소정 부분이 콘크리트에 매설되도록 한 슬래브 구조체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ab structure 19 including a cradle 16 welded to the web 12b of the H-shaped steel beam 12 and a deck plate 17 installed on the cradle 16. That is, the slab which welds the cradle 16 to the web 12b and installs the deck plate 17 on the cradle 16 to cast concrete so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beam 12 is embedded in the concrete. It is a structure.

상기 슬래브 구조체(19)는 도 2의 슬래브 구조체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웹(12b)에 거치대(16)를 용접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쳐야 하고, 거치대(16)와 웹(12b)의 용접 부분이 견고하지 못한 경우에는 구조물의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slab structure 19 has an advantage that it is structurally safe compared to the slab structure of FIG. However, the process of welding the cradle 16 to the web 12b has to be additionally performed, and if the welding portions of the cradle 16 and the web 12b are not firm, there is a problem that seriously affects the safety of the structure. .

또한, 상기 슬래브 구조체들에서는 H형강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화재 에 취약하다. 즉, 화재로 인한 고열이 그대로 H형강에 전달되어 H형강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노출된 H형강은 별도의 내화 피복 처리가 되어야만 한다.In addition, the slab structures are vulnerable to fire because the H-beam is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high heat due to the fire is transmitted to the H-shaped steel as it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H-shaped steel is deformed. To prevent this, the exposed H-beams must be treated with a separate fireproof coating.

한편, 종래의 보 시공과정에 있어서는, 보의 뼈대를 이루는 H형강을 설치하고 이를 둘러싸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위에 데크 플레이트 등을 거치시킨 다음 보와 슬래브를 타설하였다. 상기 거푸집은 H형강을 둘러싸는 거푸집 역할과 함께 슬래브 타설용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하므로 동바리 등의 지지체에 의해 그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거푸집 하부의 공간은 동바리 등의 지지구조물로 채워져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또한, 상기 거푸집의 구조가 복잡하여 이를 설치하고 해체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해체된 거푸집은 다시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beam construction process, the H-beams forming the skeleton of the beam is installed, the formwork surrounding it is installed, the deck plate, etc. are mounted thereon, and then the beam and slab is poured. The formwork should serve to support the slab pour deck plate together with the formwork surrounding the H-shaped steel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lower portion must be stably supported by a support such as a club. Therefore, the space under the formwork is filled with supporting structures such as clubbing, so it is difficult to secure a working space. In addition,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formwork is complicated,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install and dismantle 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assembled formwork can not be recycled agai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고 동바리 등의 지지구조물 없이 설치될 수 있는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it is to provide a formwork assembly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dismantled, and can be installed without a support structure, such as club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거푸집 조립체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층고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복합형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e steel beam which can effectively reduce the height of the floor without affecting the safety of the structure by using the formwork assembly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거푸집 조립체 및 복합형강보를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the formwork assembly and the composite bea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는,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측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과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주입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 본체;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과 접촉하여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해 그 나사단부가 지지부재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을 차례로 관통하여 거푸집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돌출된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모두 감싸도록 결합되는 매립용 너트;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tangular bottom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eam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nd a pair of side walls integrally form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bottom, A formwork body forming a space into which concrete is to be injected by the floor and the sidewalls; A support member that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 body to support the form body; A fastening bolt having a screw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the bottom of the form body in order to fix the support member to the formwork to protrude into the form inner space; And a buried nut coupled to surround all of the screw ends of the protruding fastening bolts.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결합되는 강관이 될 수 있다.Here, the support member may be a steel pipe coupl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cross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또한,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 상단부 에지에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를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eck plate support provided at an edge of the sidewall upper end of the form body.

바람직하게,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 상기 거푸집 측벽의 상단부 에지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deck plate support,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in contact with the upper edge of the formwork sidewall; And a support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coupling portion.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감싸서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매립용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More preferably, the deck plate support is fixed by a fastening bolt penetrat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and the side wall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and a buried nut that surrounds the screw end of the fastening bolt to block contact with concret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에는 그 위에 놓여지는 데크 플레이트와의 결 합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다.More preferably,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for engagement with the deck plate placed thereon.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 상호간을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횡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ateral reinforcement member installed to connect and support the side walls of the form body.

바람직하게, 상기 횡보강부재는, 나사산이 형성된 철근의 양단이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을 관통한 뒤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Preferably, the lateral reinforcement member, both ends of the threaded reinforcing bar is fixed by a nut after passing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form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기둥이 되는 형강에 보 축조를 위해 H형강을 연결하는 단계; (b) 보를 구성하는 보강철근을 상기 H형강 주위에 배근하는 단계; (c) 상기 보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측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거푸집 본체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과 접촉하여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해 그 나사단부가 지지부재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을 차례로 관통하여 거푸집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돌출된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모두 감싸도록 결합되는 매립용 너트를 포함하는 거푸집 조립체를 상기 H형강에 매달아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거푸집 조립체 위에 데크 플레이트를 거치시키는 단계; (e) 상기 거푸집 조립체와 데크 플레이트에 콘크리트를 투입하고 양생하는 단계; 및 (f) 상기 체결볼트를 풀어서 상기 거푸집 조립체를 탈형시키는 동시에 상기 매립용 너트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남아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 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connecting the H-beam for beam construction to the section steel to be a pillar; (b)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s constituting the beam around the H-beam; (c) a form body comprising a rectangular bottom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eam and a pair of side walls integrally form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bottom, and the form body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 body;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fastening bolt, the fastening bolt of the screw end of which is sequentially penetrated through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bottom of the formwork body to protrude into the form inner space to fix the supporting member to the formwork, and the screw of the protruding fastening bolt Suspending the formwork assembly to the H-shaped steel including a buried nut coupled to surround all of the ends; (d) mounting a deck plate over the formwork assembly; (e) injecting and cur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assembly and the deck plate; And (f) releasing the formwork assembly by releasing the fastening bolts so that the embedding nut remains embedded in concrete and is provided with a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에서, 상기 거푸집 조립체는, 일단이 상기 매립용 너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설치된 다.Preferably, in the step (c), the form assembly is installed by a connecting member,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buried nu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에서, 상기 거푸집 조립체는, 측벽의 상단부가 상기 H형강의 상부 플렌지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Preferably, in step (c), the formwork assembly is installed such th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is located below the upper flange of the H-beam.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는, 횡보강부재에 의해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 상호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step (c)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side walls of the formwork body by a lateral reinforcing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d)에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그 단부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의 지지부 위에 거치된다.Preferably, in step (d), the deck plate is mounted at an end thereof on the support of the deck plate support.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에서 배근되는 보강철근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며 그 양단부가 상기 H형강의 웹의 양측면과 맞닿아 고정되도록,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 철근; 및 상기 스터럽 철근에 H형강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reinforcing steel reinforcement in the step (b) wraps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s and both ends thereof are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beams so that both ends of the H-beams abuts and fixed A plurality of installed stub bars; And a plurality of first tensile / compression bar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beams on the stirrup reinforcing bars.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철근은, 그 일단부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 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reinforcing bar is a plurality of mounting members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edge of both sides of the stirrup reinforcement, the other end is formed to extend outward in both directions; And at least one second tensile / compression reinforcing 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mounting member.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계(d)는, 슬래브가 형성되는 영역에 보강철근을 배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 in the area where the slab is formed.

상기 슬래브가 형성되는 영역에 배근되는 보강철근은, 상기 H형강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 철근; 및 상기 지지 철근과 인접하도록 상기 H형강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 철근;을 포함한다.Reinforcing bars are arranged in the area where the slab is formed, the support reinforcing bar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shaped steel; And connecting bars installed across the H-beams to be adjacent to the supporting bar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 상기 H형강 주위에 배근된 보강철근;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측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과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주입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 본체;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과 접촉하여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해 그 나사단부가 지지부재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을 차례로 관통하여 거푸집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 상기 돌출된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모두 감싸도록 결합되는 매립용 너트; 및 상기 H형강을 지지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매립용 너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복합형강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with each other; Reinforcing bars arranged around the H-shaped steel; A rectangular floo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eam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nd a pair of side walls integrally form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floor, the formwork forming a space into which concrete is to be injected by the floor and the side walls; main body; A support member that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 body to support the form body; A fastening bolt having a screw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the bottom of the form body in order to fix the support member to the formwork to protrude into the form inner space; A buried nut coupled to surround all of the screw ends of the protruding fastening bolts; And a connecting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uried nu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to support the H-shaped stee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a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나타낸다.4 shows a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100)는 그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장방형의 거푸집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거푸집 본체는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바닥(110)과, 상기 바닥(110) 양측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측벽(120)(130)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110)과 측벽(120)(130)에 의해 콘크리트가 주입될 공간이 형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ormwork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tangular formwork body in which concrete is poured therein. The form body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bottom 110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eam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nd a pair of side walls 120 and 130 integrally form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floor 110, The floor 110 and the sidewalls 120 and 130 form a space in which the concrete is to be injected.

이러한 거푸집 본체는 유리 섬유, 카본 섬유, 케블라 또는 이들의 혼합 섬유 또는 FRP 섬유가 와인딩 또는 압출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is form body is formed by winding or extruding glass fibers, carbon fibers, kevlar or mixed fibers or FRP fibers thereof, and may preferabl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100)는 보 구조물 시공시에 미리 설치된 H형강에 거치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이때, 거푸집 조립체(100)가 휘어지거나 손상되지 않고 원형을 제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보강수단이 마련된다.The formwork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placed in the concrete after being mounted in H-beams pre-install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beam structure. At this time, the formwork assembly 100 is provided with reinforcement means for supporting the formwork body so that the original form can be properly maintained without bending or damage.

상기 보강수단은 거푸집 본체의 바닥(110) 하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바람직하게 스틸 등의 금속 소재로 제조된 강관 형상을 가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의 바닥(110)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로 배열된다.The reinforcement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140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110 of the form body. The support member 140 preferably has a steel pipe shap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and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cross the bottom 110 of the formwork in a transverse direction as shown.

상기 지지부재(140)는 체결볼트(150)에 의해 거푸집에 고정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재(140)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체결볼트(150)가 상기 지지부재 (140)의 관통공과 거푸집 본체의 바닥(110)을 차례대로 관통하여 그 나사단부가 거푸집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다.The support member 140 is fixed to the formwork by the fastening bolt 150, preferably, the support member 14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and the fastening bolt 150 is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member 140 and the form body Through the bottom 110 of the in turn, the screw end is protruded into the form interior space.

상기 돌출된 체결볼트(150)의 나사단부에는 매립용 너트(160)가 체결된다. 상기 매립용 너트(160)는 상기 체결볼트(150)의 나사단부를 모두 감싸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체결볼트(150)가 콘크리트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거푸집 해체시 상기 체결볼트(150)를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반면 상기 매립용 너트(160)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 채로 남아 있게 된다.A buried nut 160 is fastened to the screw end of the protruding fastening bolt 150. The buried nut 160 is formed to cover all of the screw ends of the fastening bolts 150 and blocks the fastening bolts 150 from contact with concrete, thereby smoothly removing the fastening bolts 150 when dismantling the formwork. While the embedding nut 160 remains embedded in the concrete.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매립용 너트(160)는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100)를 H형강에 매다는 결합 지지체가 되는 부분이 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매립용 너트(160) 사이의 거리(D)는 H형강의 하부 플렌지의 너비(도 7의 W 참조)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uried nut 160 is a portion to be a bonding support for suspending the formwork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H-shaped steel. Thus, the distance D between adjacent buried nuts 160 preferably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s (see W in FIG. 7).

상기 체결볼트(150)와 매립용 너트(160)의 결합 개수와 위치는 시공되는 보 구조물과 거푸집의 크기 및 규모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립용 너트(160)와 거푸집 본체의 바닥(110) 사이에는 시멘트 누출을 방지하는 패킹 테이프(미도시)가 더 부착될 수 있다.The coupling number and position of the fastening bolt 150 and the buried nut 160 may be appropriate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size of the beam structure and the formwork to be constructed. Preferably, a packing tape (not shown) may be further attached between the buried nut 160 and the bottom 110 of the form body to prevent cement leakag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140)는 거푸집의 바닥(110)을 가로지르는 연속적인 강관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체결볼트(150)와 매립용 너트(160)의 결합 지점 각각에 독립적으로 구비된 와셔 타입의 플레이트가 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비록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110)의 하면과 면접촉하는 연속적인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부재는 거푸집의 바닥(110) 하면과 접촉하여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어떠한 수단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140 is illustrated as a continuous steel pipe across the bottom 110 of the formwork, but is not limited to this, each coupling point of the fastening bolt 150 and the buried nut 160, respectively It may also be a washer-type plate provided independently.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ntinuous plat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110 of the formwork body. Furtherm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ny means for supporting the formwork body in contact with the bottom 110 of the formwork.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120)(130) 상단부 에지에는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170)가 설치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17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래브를 시공할 경우 데크 플레이트 등을 올려 놓고 거치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k plate support 170 is installed at the upper edge of the side walls 120 and 130 of the form body. The deck plate support 170 is for mounting the deck plate, etc. when installing the slab as described below.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170)는 바람직하게, 상기 측벽(120)(130)의 상단부 에지와 접촉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171)와, 상기 결합부(171)로부터 수평으로, 바람직하게는 양측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위에 거치되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17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172)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171)의 반대측에 금속 소재의 보조 결합부(17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결합부(173)는 측벽(120)(130)의 상단부 에지부를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는 연속적인 스트립 형태를 이룰 수 있다.The deck plate support 170 is preferably a coupling portion 171 coup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edge of the side walls 120 and 130, and horizontally from the coupling portion 171, preferably both sides outward. And a support part 172 extending in the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deck plate mounted thereon. Preferably, in order to support the support part 172 more stably, an auxiliary coupling part 173 of a metal material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part 171. More preferably, the auxiliary coupling portion 173 may have a continuous strip shape extending side by side along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side walls 120 and 130.

상기 결합부(171)(173)는 다양한 방법으로 거푸집 본체의 측벽(120)(130)에 결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71)(173)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여기에 측벽을 관통하는 체결볼트(180) 등을 체결함으로써 거푸집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양생 후에 거푸집 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해 상기 체결볼트(180)는 매립용 너트(181)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171)(173)와 본체 사이에는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용 수지(182)가 더 도포될 수 있다.The coupling parts 171 and 173 may be coupled to the side walls 120 and 130 of the formwork body in various ways. Preferably, the coupling parts 171 and 173 form coupling holes in the coupling parts 171 and 173 as shown. It can be coupled to the formwork body by fastening the fastening bolt 180 and the like passing through the side wall. As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bolt 180 is coupled to the buried nut 181 to dismantle the formwork assembly after curing the concrete. Preferably, an adhesive resin 182 may be further applied between the coupling parts 171 and 173 to prevent leakage of concrete.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17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해 볼트 등을 체결할 수 있도록 결합공(172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172 is preferably formed with a coupling hole 172a to fasten a bolt or the like for coupling with the deck plate, a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대향하는 거푸집 본체의 측벽(120)(130)을 상호간 연결하여 이를 지지하는 횡보강부재(190)가 더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벽(120)(130)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여기에 철근과 같은 소재의 횡보강부재(19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횡보강부재(190)의 양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120)(13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삽입된 후 너트(191)에 의해 양단이 나사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횡보강부재(19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를 H형강에 거치시킬 때에 조립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reinforcing member 190 is further provided to connect and support the sidewalls 120 and 130 of the formwork body facing each other. Specifically, through-holes may be formed in the sidewalls 120 and 130, and a lateral reinforcing member 190 of a material such as rebar may be further installed therein. Thread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ateral reinforcement member 190, and both ends thereof are screwed by nuts 191 after being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ide walls 120 and 130 of the form body. Preferably, the lateral reinforcement member 190 is assembled when mounting the formwor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H-shaped steel as described below.

바람직하게, 상기 횡보강부재(190)의 단부가 거푸집 본체의 측벽(120)(130)을 더욱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측벽(120)(130)과 너트(191) 사이에 보강부재(192)를 개재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횡보강부재(19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을 할 때, 콘크리트의 하중으로 인해 거푸집 본체의 측벽(120)(130)이 바깥으로 벌어지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Preferably, the reinforcing member between the side wall 120, 130 and the nut 191 so that the end of the lateral reinforcing member 190 can more firmly support the side wall (120, 130) of the form body. 192) can be intervened. The lateral reinforcing member 190 prevents the side wall 120, 130 of the formwork body from spreading out or collapsing due to the load of the concrete when placing concrete as described below.

그러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거푸집 조립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이 흐름도로 나타나 있다.Then, a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a formwork assembly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건축물의 기둥이 될 위치에 설치된 형강(도 6의 200) 사이에 시공하는 보의 뼈대가 되는 H형강(20)을 연결하여 설치한다(단계 S100). 예를 들어, 상기 형강(200)은 건축물의 기둥이 될 위치의 지면에 타립되고, 이어서, 소정 지하층까지 터파기를 진행함으로써 그 상부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First, the H-shaped steel 20, which is a skeleton of a beam to be constructed, is installed between the section steels (200 in FIG. 6) installed at a position to be a pillar of a building (step S100). For example, the section steel 200 may be submerged on the ground at a position to be a pillar of a building, and then a por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section steel 200 may be exposed by carrying out a trench to a predetermined basement floor.

일반적으로, 상기 H형강(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상부 플렌지(21) 및 하부 플렌지(22)와, 상기 상하부 플렌지(21)(22)를 서로 연결하는 웹(23)을 포함한다.In general, the H-beam 20 is a web connecting the upper flange 21 and the lower flange 22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21 and 22 arranged side by side as shown in FIG. 23).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H형강(20)은 슬래브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되도록 시공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내화 피복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shaped steel 20 is constructed to be embedded in the slab concrete structure,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us does not require a separate fireproof coating treatment.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강(200)의 일측에 지지용 브라켓(210)을 설치하고 여기에 H형강(20)의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H형강(20)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체결볼트(220)를 삽입하여 브라켓(210)과 결합시킴으로써 H형강(2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the support bracket 21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haped steel 200, and the end of the H shaped steel 20 may be fixed thereto. At this time, by inserting the fastening bolt 220 in the coupling hole formed at the end of the H-shaped steel 20 to be coupled to the bracket 210, the H-shaped steel 20 can be fixed stably.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H형강에 대한 설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용접을 비롯한 그 밖에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H형강이 연결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lthough the installation configuration for the H-shaped steel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H-shaped steel may be connected by various other coupling methods including welding.

이어서, 상기 H형강(2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를 구성하는 보강철근 즉, H형강(20)을 감싸는 보강철근을 배근한다(단계 S200).Subsequently,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H-shaped steel 20 is completed,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reinforcing bars constituting the beam, that is, the reinforcing bars surrounding the H-shaped steel 20, are disposed (step S2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철근은 H형강(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스터럽 철근(30)과, 상기 H형강(20)과 나란하게 배근되는 복수의 인장/압축 철근(40)(50)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ing bar is a stub steel reinforcement 3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H-shaped steel 20, a plurality of tension / parallel to the H-shaped steel 20 Compression reinforcing bars 40 and 50.

상기 스터럽 철근(30)은 하부 플렌지(22)를 감싸도록 폐쇄형을 이루며 그 양단이 H형강(20)의 웹(23)의 양측과 맞닿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됨으로써 지지된다.The stirrup reinforcing bar 30 is closed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22 and both ends thereof are supported by being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by contacting both sides of the web 23 of the H-shaped steel 20.

상기 스터럽 철근(30)은 H형강(20)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을 H형강(20)의 횡단면에 걸쳐 고루 분산시키는 작용과, 횡단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The stirrup reinforcement 30 serves to evenly distribute the compressive force 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shaped steel 20 over the cross section of the H-shaped steel 20, and to resist the shear force acting perpendicular to the cross-section.

상기 인장/압축 철근(40)(50)은 거푸집 조립체에 작용하는 인장 및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지지체가 된다. 바람직하게, 제1 인장/압축 철근(40)은 상기 스터럽 철근(30)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바람직하게 H형강(20)의 하부 플렌지(22)와 상기 스터럽 철근(30)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tension / compression bars 40 and 50 become supports that resist tensile and compressive stresses acting on the formwork assembly. Preferably, the first tension / compression rebar 40 is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stirrup reinforcement 30, preferably between the lower flange 22 of the H-shaped steel 20 and the stirrup reinforcement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arranged.

또한, 상기 보강철근은 상기 스터럽 철근(30)의 모서리 상단에 설치된 거치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35)는 'ㄱ'자 형태를 이루며, 그 일단부(35a)가 상기 스터럽 철근(30)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용접되거나 결속되어 고정되며, 그 타단부(35b)는 보의 양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거치부재(35)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설치되거나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bar may include a mounting member 35 installed on the top edge of the stirrup reinforcement (30). The mounting member 35 has a '-' shape, the one end (35a) is fixed or welded to the upper edge of both sides of the stirrup reinforcement 30, the other end (35b) is both sides of the beam Extend outwards; The mounting member 35 may be installed as a w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may be installed at a selective position as necessary.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재(35)의 연장부(35b)에는 제2 인장/압축철근(50)이 거치되도록 결합되는데, 이 경우 상기 제2 인장/압축철근(50)은 거푸집 조립체의 중심으로부터 가능한 양측방향 바깥쪽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둥형강(200)을 비껴 지나갈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ension portion 35b of the mounting member 35 is coupled to the second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ement 50 is mounted, in this case the second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ement 50 is the formwork assembly Since it is as far outward as possible from the center, it is possible to pass through the columnar steel 200 as shown in FIG.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인장/압축철근(50)은 H형강(20)의 상부 플렌지(21) 보다 상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거치부재(35)의 연장부(35b)가 H형강(20)의 상부 플렌지(21)보다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 인장/압축철근(50)도 상부 플렌지(2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tension / compression rebar 50 may be configured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upper flange 21 of the H-beam 20. That is, the extension part 35b of the mounting member 35 may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upper flange 21 of the H-shaped steel 20, and accordingly, the second tension / compression rebar 50 may also be located in the upper flange. It may be located above or below 21.

상기 인장/압축 철근(40)(50)들은 용접되거나 또는 철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The tension / compression rebars 40 and 50 may be welded or secured by fastening means such as wires and such fastening means are not limited b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거치부재(35)에 거치된 인장/압축철근(5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보조 캡 바아(45)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캡 바아(45)는 상기 양측에 있는 인장/압축철근(50)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인장/압축철근(50)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 캡 바아(45)의 양단부가 인장/압축철근(50)을 감싸도록 배치한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 또는 결속 등의 방법으로 상호 결합시키게 된다. 대안으로서, 상기 연장부(35b)의 끝단이 예컨대, 하방으로 절곡되어 인장/압축철근(5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uxiliary cap bar 45 may be further installed to stably couple the tension / compression rebar 50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35. The auxiliary cap bar 45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ement bar 50 on both sides thereof is bent to surround the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ement (50). Accordingly, both ends of the auxiliary cap bar 45 are disposed to surround the tension / compression bar 50, and then coupled to each other by a method such as welding or binding as described above. As an alternative, the end of the extension part 35b may be configured to be bent downward, for example, to enclose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nsion / compression bar 50.

비록 본 실시예에서 보강철근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 다양한 철근들의 배열이 채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reinforcing bar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bvious that an arrangement of various other bars may be employed.

상기 보강철근의 배근이 완료되면, 이어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형강(20)에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100)를 매달아 설치한다(단계 S300). 바람직하게, 상기 거푸집 조립체(100)는 연결부재(60)에 의해 H형강의 하부 플렌지(22)에 매달리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60)의 일단은 거푸집 본체의 바닥(110)에 설치된 매립용 너트(16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그 타단은 H형강(20)의 하부 플렌지(22)의 양측단부 상면에 걸쳐지도록 고정된다. 도 8에서는 매립용 너트(160)와 연결부재(60)의 결합관계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이들을 실선으로 도시하여 나타내었다.When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bar is completed, the formwork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spended from the H-shaped steel 20 as shown in FIGS. 8 and 9 (step S300). Preferably, the formwork assembly 100 is connected to the lower flange 22 of the H-shaped steel by the connecting member 60 to be suspended. That is,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60 is fixed to the embedding nut 160 installed on the bottom 110 of the formwork body by welding or the like,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flange 22 of the H-shaped steel 20. It is fix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both ends. In FIG. 8, in order to clearly show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uried nut 160 and the connecting member 60, they are shown in solid lines.

이때, 상기 거푸집 측벽(120)(130)의 상단부가 H형강(20)의 상부 플렌지(21) 아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래브를 축조할 경우 효과적으로 층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form side wall 120, 130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flange 21 of the H-shaped steel 20 to effectively reduce the height when building the slab as described below.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거푸집 조립체(100)가 H형강(2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연결부재(60)에 의해 매립용 너트(160)가 지지되고, 상기 매립용 너트(160)는 지지부재(140)를 결합시키는 체결볼트(150)와 결합되므로, 결과적으로 거푸집 본체(100)가 하부로 처지지 않고 지지부재(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100)는 연결부재(60)에 의해 H형강(20)에 지지되므로 그 하부에 동바리와 같은 별도의 지지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거푸집 하부의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formwork assembly 100 is coupled to the H-shaped steel 20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buried nut 160 is supported by the connecting member 60, and the buried nut 160 is supported by a support member ( Since it is coupled with the fastening bolt 150 for coupling the 140, as a result the form body 100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40 without sagging dow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ormwork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on the H-shaped steel 20 by the connecting member 60,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supporting structure such as a copper bar at the bottom thereof, and thus the work space under the formwork Can be secured.

나아가,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투입할 때 측벽(120)(130)이 벌어지거나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횡보강부재(190)가 조립될 수 있다. 즉, 거푸집 본체의 일측 측벽(12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횡보강부재(190)를 삽입하여, 그 타단이 H 형강(20)의 웹(23)에 형성된 관통공(도 6의 23a 참조)을 통과한 후 타측 측벽(130)에 형성된 관통공을 빠져나오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횡보강부재(190)의 양단에 너트(191)를 체결한다. 바람직하게,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측벽(120)(130)과 너트(191) 사이에 보강부재(192)를 개재시킬 수 있다.Furthermore,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member 190 may be assembled to prevent the side walls 120 and 130 from opening or collapsing when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That is, the lateral reinforcing member 190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one side wall 120 of the form body,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formed in the web 23 of the H-shaped steel 20 (see 23A in FIG. 6).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other side wall 130. In this state, the nuts 191 are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lateral reinforcement member 190. Preferably, the reinforcing member 192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ide walls 120 and 130 and the nut 191 for a more firm coupling.

비록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H형강(20)의 웹(23)에 형성된 관통공(23a)을 통과해 상기 측벽(120)(13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호 연결하도록 매립튜브가 설치되고, 여기에 철근과 같은 횡보강부재를 삽입하고 그 양단을 너트로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에 횡보강부재를 제거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buried tube is installed to interconnect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ide walls 120 and 130 through the through holes 23 a formed in the web 23 of the H-beam 20. A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such as reinforcing bars can be inserted therein and fixed at both ends thereof with a nut. In this case, the lateral reinforcing member can be removed after concrete pouring and curing.

상기와 같이, H형강(20)에 대한 거푸집 조립체(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조립체(100) 위에 데크 플레이트(300)를 거치시킨다(단계 S400).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formwork assembly 100 for the H-shaped steel 20 is completed, the deck plate 300 is mounted on the formwork assembly 100 as shown in FIG. 10 (step S400).

상기 데크 플레이트(300)는 통상적으로 스틸 소재로 제작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거푸집 본체의 측벽(120)(130)의 상단부 에지에 있는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170) 위에 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크 플레이트(300)와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170)는 상호 체결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185)가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170)의 지지부(172)에 형성된 결합공(172a)과 데크 플레이트(300)에 형성된 관통공을 차례대로 통과한 후 매립용 너트(186)에 결합된다. 상기 매립용 너트(18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볼트(185)의 콘크리트에 대한 접촉을 차단하고, 콘크리트 타설시에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는 너트이다.The deck plate 300 is typically made of steel and, as shown, its end is mounted on the deck plate support 170 at the top edge of the side walls 120 and 130 of the formwork body. Preferably, the deck plate 300 and the deck plate support 170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for this purpose, as shown, the fastening bolt 185 is formed on the support 172 of the deck plate support 170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coupling hole (172a) and the deck plate 300 in order is coupled to the buried nut (186). The embedding nut 186 is a nut that blocks the contact of the fastening bolt 185 to the concrete as described above, and is embedded in the concrete during the concrete pouring.

다음으로, 상기 데크 플레이트(300)의 설치와 함께, 슬래브가 형성되는 영역에 보강철근을 배근한다(단계 S500). 본 실시예 따르면, 슬래브에 배근되는 철근은 바람직하게, H형강(20)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 철근(310)과, 상기 H형강(20)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 철근(3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철근(320)은 지지 철근(310)과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일측의 지지 철근(310)에 미치는 압축력을 타측에 있는 지지 철근(31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된 철근들이 서로 소정 간격 이내로 접근되어 있을 경우에 철근들 사이에서 응력이 상호 전달될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 있다.Next,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deck plate 300, reinforcing bar is placed in the area where the slab is formed (step S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inforcing bars reinforcement to the slab preferably includes support reinforcing bars 3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shaped steel 20, and connecting reinforcing bars 320 installed across the H-shaped steel 20. do. Preferably,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320 is installed to be adjacent to the support reinforcement 310, and serves to transfer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support reinforcement 310 on one side to the support reinforcement 310 on the other side. It is already known that stresses can be transferred between reinforcing bars when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concrete are approach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또한, 슬래브 및 기둥의 적어도 일부를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해 추가 거푸집(도 8의 305)을 더 설치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데크 플레이트(300) 위에는, 보의 양측에 있는 슬래브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메탈래스(metal lath)(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dditional formwork 305 of FIG. 8 may be further installed to concrete at least a portion of the slab and column. More preferably, on the deck plate 300, metal lath (not shown) may be provided only for a part of the slab on both sides of the beam.

이상과 같이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 기둥 및 슬래브 형성부위에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양생한다(단계 S600). 콘크리트가 타설됨에 따라 매립용 너트(160)(181)(186)와 횡보강부재(190)도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다. 이때, 상기 횡보강부재(190)는 콘크리트 무게에 의해 거푸집 조립체(100)가 측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formwork assembly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10, the concrete is injected and cured in the beam, pillar and slab formation site (step S600). As concrete is poured, the embedding nuts 160, 181, 186 and the lateral reinforcement member 190 are also embedded in the concrete. At this time, the lateral reinforcement member 190 prevents the formwork assembly 100 is deformed laterally by the weight of the concrete.

전술한 바와 같이 보의 양측에 있는 슬래브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메탈래스(metal lath)(미도시)를 설치한 경우에는,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기둥과 기둥 사이의 보 및 그 양측에 있는 슬래브의 일부만 타설되어 소위 "T"자 단면의 보 구 조물이 형성된다. 그 사이의 나머지 영역은 추후 슬래브가 타설되어야 할 영역으로 남아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보 및 슬래브와 함께 지하외벽의 일부도 동시에 타설된다. 이때 상기 데크플레이트(300)는 해체되지 않고 영구 구조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etal lath (not shown) is provided only for a part of the slab on both sides of the beam, after the concrete is cured, the beam between the column and the column and the slab on both sides of the slab Only part is poured to form a so-called "T" shaped cross section. The remaining area in between will remain the area where the slab will later be poured. In addition, preferably, part of the basement outer wall together with the beam and the slab is poured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the deck plate 300 may be used as a permanent structure without being dismantl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보의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면, 이러한 보가 토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되므로, 종래의 스트러트와 같은 별도의 가설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crete pouring of the beam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such a beam can withstand the earth pressure sufficiently,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construction, such as a conventional strut.

상술한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와 콘크리트의 타설 공정은 지하층 바닥까지 연속적으로 행해지며, 예컨대 지하층의 바닥까지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이 완료되면, 이어서 지하 바닥층에서부터 위로 올라오면서 슬래브와 지하 벽면을 시공하게 된다.The above-described formwork installation and concrete pouring process are continuously performed to the basement floor, for example, when the concrete placement and curing to the bottom of the basement floor is completed, then the slab and the basement wall are constructed while moving up from the basement floor.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지하층의 보 구조물을 전층이 아닌 일부층에만 듬성듬성하게 시공하고 바닥층의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후에 나머지 층에 대한 슬래브와 보 시공을 할 수도 있다. 이때, 바닥층에서부터 위로 올라오면서 슬래브와 지하 벽면을 시공하는 동시에 지상층의 공사도 함께 진행함으로써 소위 '업-업(Up-Up) 공법'에 따라 시공을 할 수 있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construct the beam structure of the basement layer only on a part of the floor, not the entire floor, and after slaying the slab and the beam for the rest of the floor after the concrete is laid. You can also construct. At this time,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and the basement wall surface while going up from the bottom floor and procee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ground floor at the same time, it can b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o-called 'Up-Up method'.

또 다른 대안으로서, 지상층의 바닥에 대한 보와 일부 슬래브 시공이 완료된 후, 지하층 터파기와 지하층 시공을 하면서 동시에 지상층 시공을 병행함으로써, 소위 '탑-다운(Top-Dopwn) 공법'에도 적용가능하다. 여기에서는, 지하층 터파기와 보 시공을 진행하면서 지상층의 보와 슬래브 시공이 병행된다.As another alternative, after the beam and some slab construction of the ground floor is completed, the ground floor construction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basement dig and the underground construction, so that it is also applicable to the so-called 'Top-Dopwn' method. Here, the ground floor beam and slab construction are performed in parallel while the underground floor trench and beam construction are in progress.

이러한, 시공법이 가능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이용하여 보를 시공할 경우 토압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기 때문이다.Such a construction method is possible because the construction of the beam by using the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fficiently resist the earth pressure.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에 따르면,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상기 거푸집 조립체(100)를 탈형하여 다시 재활용할 수 있다(단계 S700). 즉, 체결볼트(150)(180)(185)는 콘크리트와 접촉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풀어서 해체할 수 있으며, 이때 매립용 너트(160)(181)(186)는 양생된 콘크리트 속에 매립된 채로 남아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formwor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crete is cured, the formwork assembly 100 can be demolded and recycled again (step S700). That is, the fastening bolts 150, 180, and 185 are easily disconnected and dismantled because the contact with the concrete is blocked, and the embedding nuts 160, 181, and 186 are embedded in the cured concrete. Will remain.

상기와 같이 너트와 체결볼트를 풀면 거푸집 조립체(100)는 쉽게 분리된다. 바람직하게, 거푸집 조립체(10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거푸집 본체의 외측에 해체고리(미도시)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거푸집 조립체(100)의 탈형을 더욱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에 앞서 미리 거푸집 본체의 바닥(110) 및 측벽(120)(130)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박리제를 도포하는 것이 좋다.When the nut and fastening bolts are loosened as above, the formwork assembly 100 is easily separated. Preferably, the disassembly ring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formwork body to facilitate separation of the formwork assembly 100. More preferably, in order to further facilitate the demoulding of the formwork assembly 100, it is preferable to apply a release agent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110 and the sidewalls 120 and 130 of the formwork body in advance before the concrete is placed. .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거푸집 조립체가 H형강에 조립된 상태의 복합형강보가 제공된다. 이러한 복합형강보의 구성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site steel beam is provided in which the formwork assembly is assembled to the H-beam.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site steel beam is the same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복합형강보는 H형강(20)과 상기 H형강(20)을 지지하도록 하부에 결합되는 거푸집 조립체(10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거푸집 조립체(100)가 건축물 시공과정에서 H형강(20)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제작 현장에서 미리 H형강(20)에 결합된 상태로 생산된다.Composite steel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ormwork assembly 1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to support the H-shaped steel 20 and the H-shaped steel 20. That is, the formwork assembly 100 is not installed in the H-beams 20 during the building construction process, but is produced in a state in which the formwork assembly 100 is coupled to the H-beams 20 in advance.

상기 거푸집 조립체(100)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즉, 지지부재(140)는 체결볼트(150)와 매립용 너트(160)에 의해 거푸집에 고정된다.The form assembly 10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upport member 140 is fixed to the formwork by the fastening bolt 150 and the buried nut 160.

또한, 연결부재(60)의 일단은 상기 거푸집 조립체의 매립용 너트(16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H형강(20)의 하부 플렌지(22)의 양단부에 고정됨으로써 거푸집 조립체(100)가 H형강(20)을 감싸도록 지지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60 is fixed to the embedding nut 160 of the formwork assembly by welding,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lower flange 22 of the H-shaped steel 20 to formwork assembly 100 Is supported to surround the H-beams (20).

이때, 상기 거푸집 측벽(120)(130)의 상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H형강(20)의 상부 플렌지(21) 아래에 위치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form side wall (120, 130) is to be positioned below the upper flange 21 of the H-shaped steel 20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H형강(20)의 주위에는 도 6 및 도 7에서 설명되었던 보강철근이 배근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bars described in FIGS. 6 and 7 are disposed around the H-shaped steel 20.

본 실시예의 복합형강보를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H형강(20)의 양단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이 될 형강(200)에 연결하여 고정시킨다.When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the composite steel beam of the present embodiment, both ends of the H-shaped steel 20 are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shaped steel 200 to be a pillar as shown in FIG. 8.

그런 다음, 데크 플레이트(300)와 슬래브용 보강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Then, the process of injecting concrete and injecting the deck plate 300 and the reinforcement for the slab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비록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거푸집 조립체와 복합형강보는 길이 방향을 따라 위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콘크리트 타설시에 거푸집 조립체가 받게되는 하중으로 인해 형강보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그 형상이 위로 볼록하도록 만곡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 및 복합형강보가 콘크리트의 무게로 인해 다소 처지더라도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ormwork assembly and the composite steel can be formed convexly curved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o prevent the shape beams from sagging downward due to the load received by the formwork during concrete placement, the shape of the form assembly and the composite steel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omewhat sag due to the weight of concret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formwork assembly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층고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다.First, the formwor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an effectively reduce the height of the floor without affecting the safety of the structure.

둘째, 본 발명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휨응력 및 압축 응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해준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ffectively resist bending stress and compressive stress acting on the structure.

셋째,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H형강에 별도의 내화 피복을 할 필요가 없다.Thir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fire-resistant coating on the H-beams.

넷째,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는 미리 제작되어 H형강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양생 후에는 거푸집을 간단하게 탈형시켜 재활용할 수 있다.Fourth, since the formwor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in advance and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H-shaped steel, construction is very easy, and after the curing of the concrete, the formwork can be easily demolded and recycled.

Claims (30)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측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과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주입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 본체;A rectangular floo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eam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nd a pair of side walls integrally form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floor, the formwork forming a space into which concrete is to be injected by the floor and the side walls; main body;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과 접촉하여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A support member that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 body to support the form body; 상기 지지부재를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해 그 나사단부가 지지부재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을 차례로 관통하여 거푸집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 및A fastening bolt having a screw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the bottom of the form body in order to fix the support member to the formwork to protrude into the form inner space; And 상기 돌출된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모두 감싸도록 결합되는 매립용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Forming assembly comprising a; buried nut is coupled to surround all of the screw end of the protruding fastening bol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결합되는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The support member is a formwork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pipe is coupl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cross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work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 상단부 에지에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Formwork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deck plate support provided on the edge of the side wall of the formwork body.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The deck plate support, 상기 거푸집 측벽의 상단부 에지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결합부; 및A coupling portion coupled in contact with an upper edge of the form side wall; And 상기 결합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Formwork assembly comprising a support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coupling port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The deck plate support,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A fastening bolt penetrating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oupling part and the side wall; 상기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감싸서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매립용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Formwork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by wrapping the nut end of the fastening bolt to block the contact with the concrete block.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지지부에는 그 위에 놓여지는 데크 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Formwork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with the deck plate placed thereon.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 상호간을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횡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Formwork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side reinforcing member is installed to connect and support the side wall of the formwork body.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횡보강부재는,The lateral reinforcement member, 나사산이 형성된 철근의 양단이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을 관통한 뒤 너트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Formwork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threaded reinforcing bar is fixed by a nut after passing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formwork body. (a) 기둥이 되는 형강에 보 축조를 위해 H형강을 연결하는 단계;(a) connecting the H-beams for beam construction to the beams to be columns; (b) 보를 구성하는 보강철근을 상기 H형강 주위에 배근하는 단계;(b)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s constituting the beam around the H-beam; (c) 상기 보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측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거푸집 본체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과 접촉하여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해 그 나사단부가 지지부재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을 차례로 관통하여 거푸집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돌출된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모두 감싸도록 결합되는 매립용 너트를 포함하는 거푸집 조립체를 상기 H형강에 매달아 설치하는 단계;(c) a form body comprising a rectangular bottom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eam and a pair of side walls integrally form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bottom, and the form body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 body;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fastening bolt, the fastening bolt of the screw end of which is sequentially penetrated through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bottom of the formwork body to protrude into the form inner space to fix the supporting member to the formwork, and the screw of the protruding fastening bolt Suspending the formwork assembly to the H-shaped steel including a buried nut coupled to surround all of the ends; (d) 상기 거푸집 조립체 위에 데크 플레이트를 거치시키는 단계;(d) mounting a deck plate over the formwork assembly; (e) 상기 거푸집 조립체와 데크 플레이트에 콘크리트를 투입하고 양생하는 단계; 및(e) injecting and cur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assembly and the deck plate; And (f) 상기 체결볼트를 풀어서 상기 거푸집 조립체를 탈형시키는 동시에 상기 매립용 너트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남아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f) releasing the formwork assembly by releasing the fastening bolts and at the same time leaving the buried nut to be embedded in concret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단계(c)에서,In step (c), 상기 거푸집 조립체는, 일단이 상기 매립용 너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The form assembly is a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is fixed to the buried nut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by a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단계(c)에서,In step (c), 상기 거푸집 조립체는, 측벽의 상단부가 상기 H형강의 상부 플렌지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The formwork assembly, the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is installed below the upper flange of the H-beam.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단계(c)에서,In step (c),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결합되는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The support member is a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pipe is coupl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cross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단계(c)는,Step (c) is, 횡보강부재에 의해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 상호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Building construction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upporting by connecting the side wall of the formwork body by a lateral reinforcing member.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거푸집 조립체는,The formwork assembly, 상기 거푸집 본체 측벽의 상단부 에지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를 포함하고,A deck plate support having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nd in contact with an upper edge of the form body sidewall, and a support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coupling portion, 상기 단계(d)에서In step (d)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그 단부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의 지지부 위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The deck plate is a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is mounted on the support of the deck plate support.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The deck plate support,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A fastening bolt penetrating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oupling part and the side wall; 상기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감싸서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매립용 너트에 의해 상기 거푸집 본체 측벽의 상단부 에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upper edge of the side wall of the formwork body by a buried nut to block the contact with the concrete by wrapping the screw end of the fastening bolt.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지지부와 데크 플레이트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체결볼트가 상기 지지부와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공을 통과하여 매립용 너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support part and the deck plate, and a fastening bolt is coupled to the buried nut through the coupling hol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deck plat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단계(b)에서 배근되는 보강철근은,Reinforcing bar is reinforced in step (b),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며 그 양단부가 상기 H형강의 웹의 양측면과 맞닿아 고정되도록,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 철근; 및A plurality of stirrup bar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beams so as to surround the lower flanges of the H-beams and both ends thereof abut against both side surfaces of the web of the H-beams; And 상기 스터럽 철근에 H형강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And a plurality of first tensile / compression bar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beam to the stub steel.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보강철근은,The rebar, 그 일단부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A plurality of mounting members whose one end is fixed to upper edges of both sides of the stirrup reinforcement and the other end extends outward in both directions; And 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at least one or more second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ement is fixed to the mount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단계(d)는,Step (d) is, 슬래브가 형성되는 영역에 보강철근을 배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Building construc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inforcing reinforcing bar in the area where the slab is formed.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슬래브가 형성되는 영역에 배근되는 보강철근은,Reinforcing bars are reinforced in the area where the slab is formed, 상기 H형강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 철근; 및Support bars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beam; And 상기 지지 철근과 인접하도록 상기 H형강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And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installed across the H-beam to be adjacent to the supporting reinforcing bar.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데크 플레이트 상에는, 보의 양측에 있는 슬래브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메탈래스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On the deck plate, the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glass is provided only for a part of the area of the slab on both sides of the beam.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An H-beam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상기 H형강 주위에 배근된 보강철근;Reinforcing bars arranged around the H-shaped steel;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측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과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주입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 본체;A rectangular floo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eam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nd a pair of side walls integrally form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floor, the formwork forming a space into which concrete is to be injected by the floor and the side walls; main body;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과 접촉하여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A support member that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 body to support the form body; 상기 지지부재를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해 그 나사단부가 지지부재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을 차례로 관통하여 거푸집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A fastening bolt having a screw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the bottom of the form body in order to fix the support member to the formwork to protrude into the form inner space; 상기 돌출된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모두 감싸도록 결합되는 매립용 너트; 및A buried nut coupled to surround all of the screw ends of the protruding fastening bolts; And 상기 H형강을 지지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매립용 너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And a connecting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uried nu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to support the H-beam.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결합되는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The support member is a composite steel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pipe coupl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cross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 상단부 에지에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The composite steel beam further comprises a deck plate support provided at the upper edge of the side wall of the formwork body. 제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The deck plate support, 상기 거푸집 측벽의 상단부 에지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결합부; 및A coupling portion coupled in contact with an upper edge of the form side wall; And 상기 결합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Composite steel beam comprising a support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coupling portion. 제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The deck plate support,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A fastening bolt penetrating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oupling part and the side wall; 상기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감싸서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매립용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Composite steel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bolt is wrapped by a buried nut to block the contact with the concrete by wrapping the screw end of the bolt.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지지부에는 그 위에 놓여지는 데크 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The support portion is a composite steel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ole is formed for coupling with the deck plate placed thereon.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보강철근은,The rebar,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며 그 양단부가 상기 H형강의 웹의 양측면과 맞닿아 고정되도록,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 철근; 및A plurality of stirrup bar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beams so as to surround the lower flanges of the H-beams and both ends thereof abut against both side surfaces of the web of the H-beams; And 상기 스터럽 철근에 H형강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And a plurality of first tensile / compression reinforcing bar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shaped steel to the stirrup reinforcing bars. 제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보강철근은,The rebar, 그 일단부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A plurality of mounting members whose one end is fixed to upper edges of both sides of the stirrup reinforcement and the other end extends outward in both directions; And 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Composite steel beam comprising a; at least one or more second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ing bars fixed to the mount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22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2 to 29, wherein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 상호간을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횡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Composite steel beam further comprises a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is installed to connect and support the side wall of the form body.
KR1020050072515A 2005-08-08 2005-08-08 Mold assembly,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414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515A KR100741431B1 (en) 2005-08-08 2005-08-08 Mold assembly,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515A KR100741431B1 (en) 2005-08-08 2005-08-08 Mold assembly,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873A true KR20070017873A (en) 2007-02-13
KR100741431B1 KR100741431B1 (en) 2007-07-20

Family

ID=4163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515A KR100741431B1 (en) 2005-08-08 2005-08-08 Mold assembly,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431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19Y1 (en) * 2012-11-23 2013-10-08 이규봉 Construction structure for joining steel or reinforced steel concrete column and beam with reinforcing end part
KR20140003973U (en) * 2012-12-17 2014-06-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Jack-up platform with detachable spud can
KR101512944B1 (en) * 2014-08-27 2015-04-16 강병구 super composite beam assembly
KR102116934B1 (en) * 2019-02-28 2020-05-29 현빈개발 주식회사 Pressurized type Pre-embedded Anchor by Pressurized for Bridge Inspection Facilit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CN113250379A (en) * 2020-09-29 2021-08-13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Position-adjustable tie bar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thereof
KR20210130966A (en) * 2020-04-23 2021-11-02 주식회사 포스코 Composite beam and floor structure
CN114960747A (en) * 2022-06-13 2022-08-30 北京韩建河山管业股份有限公司 Large-diameter PCCP exhaust valve chamber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049B1 (en) 2009-04-03 2011-10-31 전호건 Steel Mold Assembly for Base of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Base of Bridge using Steel Mold Assembly
KR100957591B1 (en) 2009-08-24 2010-05-14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Concreate block,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ate block and steel frame construction for using the concreate block, method for execution steel frame construction for using the concreate block
WO2011049260A1 (en) * 2009-10-23 2011-04-28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Concrete block with space,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crete block with space, steel beam formed by using the concrete block with spac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eel beam
KR100954447B1 (en) 2010-01-12 2010-04-27 (주)동하이엔지 Beam structural for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7015A (en) * 1993-05-10 1994-11-15 Fujita Corp Method of assembling beam formwork
JPH1030333A (en) 1996-07-18 1998-02-03 Hidetsugu Hamada Construction method of temporary scaffold in steel encas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beam scaffold device
JPH10325173A (en) 1997-05-27 1998-12-08 Kobayashi Jun Construction method of beam, beam formwork device, and cap for side plate
JP3200813B2 (en) 1999-05-27 2001-08-20 日本鋼管ライトスチール株式会社 Beam formwork structure and its forming method
JP3524075B2 (en) 2001-06-12 2004-04-26 鹿住工務店株式会社 Formwork equipment and formwork method
KR200383490Y1 (en) 2005-02-17 2005-05-03 주식회사 에스밸류엔지니어링 System for constructing composite reinforced concrete girders and beams using FRP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19Y1 (en) * 2012-11-23 2013-10-08 이규봉 Construction structure for joining steel or reinforced steel concrete column and beam with reinforcing end part
KR20140003973U (en) * 2012-12-17 2014-06-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Jack-up platform with detachable spud can
KR101512944B1 (en) * 2014-08-27 2015-04-16 강병구 super composite beam assembly
WO2016032215A1 (en) * 2014-08-27 2016-03-03 주식회사 인비젼코리아 Large assembly composite beam
KR102116934B1 (en) * 2019-02-28 2020-05-29 현빈개발 주식회사 Pressurized type Pre-embedded Anchor by Pressurized for Bridge Inspection Facilit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20210130966A (en) * 2020-04-23 2021-11-02 주식회사 포스코 Composite beam and floor structure
CN113250379A (en) * 2020-09-29 2021-08-13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Position-adjustable tie bar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thereof
CN113250379B (en) * 2020-09-29 2023-10-27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Position-adjustable tie bar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N114960747A (en) * 2022-06-13 2022-08-30 北京韩建河山管业股份有限公司 Large-diameter PCCP exhaust valve chamber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CN114960747B (en) * 2022-06-13 2024-02-27 北京韩建河山管业股份有限公司 Large-caliber PCCP (prestressed concrete cylinder pipe) exhaust valve chamber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1431B1 (en) 200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431B1 (en) Mold assembly,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47661B1 (en) Mold-concrete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926140B1 (en) Structure for using precast member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903628B1 (en) Precast Double Wall Structure with Enhanced Seismic Performan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862278B1 (en) Steel composite concrete member
KR101776129B1 (en) Built-up type precast double structure for slab and wall and double precast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61785B1 (en) Mold-concrete composite crossbeam
KR20090068536A (en) Concrete-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s of slab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761786B1 (en) Concrete-composite Crossbeam
KR20120140386A (en) Composite girder using inner molding memb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with
KR100343960B1 (en) Steel concrete structure
KR100775359B1 (en) Concrete-mold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89319B1 (en) Carbon-glass fiber composite concrete mol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894650B1 (en) Rahmen bridge with preflexion lo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200395627Y1 (en) Concrete composite Crossbeam
KR20090043625A (en)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s using asymmetric girder
KR200391986Y1 (en) Carbon-glass fiber composite concrete mold
KR100540625B1 (en) Constructing Method of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In-Situ Concrete Panel Having Embedded Lower Flange
KR100640244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s and walls using erection piles without preliminary wall-attached supports
KR100860592B1 (en) Temporary system for vertical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at block
KR102140407B1 (en) Mamanufacturing method of PSC girder using end form steel plate
KR100694763B1 (en) Construction methods of underground structure adopting concrete-composite crossbeam
KR100664965B1 (en) Carbon-glass fiber composite concrete mol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203012B1 (en) Executing method of building works used a pc slab
KR20070035183A (en) Separating method of Monowall with spandrel gi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