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453A -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453A
KR20070017453A KR1020050117896A KR20050117896A KR20070017453A KR 20070017453 A KR20070017453 A KR 20070017453A KR 1020050117896 A KR1020050117896 A KR 1020050117896A KR 20050117896 A KR20050117896 A KR 20050117896A KR 20070017453 A KR20070017453 A KR 20070017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tain
vehicle
floor
passage
cross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6529B1 (ko
Inventor
윤도경
김승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7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529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 따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은 차량통행로(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분수(30)와 상기 바닥분수(30)의 인입부에 설치되는 인입차량감지센서(15)와 상기 바닥분수(30)의 출차부에 설치되는 출차차량감지센서(18)를 가지며, 상기 인입차량감지센서(15) 및 출차차량감지센서(18)와 연결되어 상기 바닥분수(3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가진다.

Description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및 그 방법{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for vehicle-passage way by means of fountains and the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의 제어부의 제어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의 다른 예를 보이는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의 제어부의 제어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100: 차량통행로 50, 500: 제어부
30: 바닥분수 200: 횡단보도바닥분수
300: 차량통행로바닥분수 80: 교통신호등
본 발명은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교통의 통제가 가능한 상태로 차량통행로에 분수를 설치한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경(造景)의 목적으로 분수가 사용되고 있으나 차량통행로에 분수가 설치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것은 분수에서 분사되는 물이 차량 또는 보행인의 시야를 막아 차량의 흐름 또는 보행인의 횡단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분수는 그 자체로서 훌륭한 조경수단으로서 차량의 통행로에 설치되어 차량통행로 및 그 주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특별히 이러한 경우 분수를 이용하여 교통의 통제가 가능하다면 더욱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통행로에 대하여 분수를 설치하여 조경을 할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되며, 특별히, 이러한 경우 분수를 이용하여 교통을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수를 활용하여 차량통행로의 조경을 행하면서 동시에 교통통제를 행할 수 있는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통행로에 대하여 분수로서 조경을 행하면서 차량의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는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횡단보도가 설치된 차량통행로에 대하여 분수를 설치하여 조경을 행하면서 교통신호시스템과 연계하여 차량 및 횡단인의 교통을 통제하여 교통안전을 도모할 수 있 는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은 차량통행로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분수와; 상기 바닥분수의 인입부에 설치되는 인입차량감지센서와; 상기 바닥분수의 출차부에 설치되는 출차차량감지센서와; 상기 인입차량감지센서 및 출차차량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분수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입차량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바닥분수에 대하여 차량의 인입이 감지되면 상기 바닥분수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차량인입시 분수정지수단과; 상기 출차차량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바닥분수에 대하여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면 상기 바닥분수를 작동하도록 하는 차량출차시 분수작동수단과; 상기 인입차량감지센서 및 상기 출차차량감지센서를 통하여 동시에 차량의 인입과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면 상기 바닥분수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차량의 동시 인입 및 출차 시 분수정지수단을 가지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분수는 분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분사압력을 공급하는 펌프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의 바닥분수에 대한 분수의 작동과 정지는 상기 펌프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인입차량감지센서 및 상기 출차차량감지센서는 하중감지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촬상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에서, 상기 차량통행로는 아파트 단지내부 또는 공원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은 횡단보도를 가지며 교통신호등이 설치된 차량의 통행로에 대하여,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횡단보도바닥분수와; 상기 차량의 통행로에서 상기 횡단보도의 인입부에 설치되는 차량통행로바닥분수와; 상기 교통신호등 제어기의 교통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와 상기 차량통행로바닥분수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교통신호등 제어기의 교통신호가 횡단신호인지여부를 판단하는 수단과; 상기 교통신호등 제어기의 교통신호가 횡단보도의 횡단신호인 경우 상기 차량통행로바닥분수를 작동하도록 하며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를 정지하도록 하는 횡단신호 시 차량통행로분수작동 및 횡단보도분수정지수단과; 상기 교통신호등 제어기의 교통신호가 횡단보도의 횡단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의 분수를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차량통행로바닥분수를 정지하도록 하는 비횡단신호 시 횡단보도분수작동 및 차량통행로분수정지수단을 가지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와 차량통행로바닥분수는 각각 분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분사압력을 공급하는 펌프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의 이들 바닥분수에 대한 분수의 작동과 정지는 상기 펌프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는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방법은 아파트 단지 내 또는 공원의 차량통행로에 설치된 바닥분수에 대하여, 상기 바닥분수의 인입부에 설치된 인입차량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바닥분수에 대하여 차량의 인입이 감지되 면 상기 바닥분수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차량인입시 분수정지단계와; 상기 바닥분수의 출차부에 설치된 출차차량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바닥분수에 대하여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면 상기 바닥분수를 작동하도록 하는 차량출차시 분수작동단계와; 상기 인입차량감지센서 및 상기 출차차량감지센서를 통하여 동시에 차량의 인입과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면 상기 바닥분수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차량의 동시 인입 및 출차 시 분수정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하는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방법은 횡단보도를 가지며 교통신호등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횡단보도바닥분수와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서 횡단보도의 인입부에 설치되는 차량통행로바닥분수를 가지는 차량의 통행로에 대하여, 상기 교통신호등의 교통신호가 횡단보도의 보행자 횡단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교통신호등의 교통신호가 횡단보도의 횡단신호인 경우 상기 차량통행로바닥분수를 작동하도록 하며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를 정지하도록 하는 횡단신호 시 차량통행로분수작동 및 횡단보도분수정지단계와; 상기 교통신호등의 교통신호가 횡단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의 분수를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차량통행로바닥분수를 정지하도록 하는 비 횡단신호 시 횡단보도분수작동 및 차량통행로분수정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만일 상기 교통신호등의 교통신호가 횡단신호인 경우, 차량통행로바닥분수의 분수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통행로분수작동여부판단단계와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의 분수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횡단보도분수작동여 부판단단계를 더욱 가지며; 이때
상기 횡단신호 시 차량통행로분수작동 및 횡단보도분수정지단계는 상기 차량통행로바닥분수작동여부판단단계의 판단결과 차량통행로바닥분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차량통행로바닥분수를 작동시키는 차량통행로바닥분수작동단계와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작동여부판단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가 작동하는 경우 그 작동을 정지시키는 횡단보도분수정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만일 상기 교통신호등 제어기의 교통신호가 횡단신호가 아닌 경우, 차량통행로바닥분수의 분수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통행로분수작동여부판단단계와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의 분수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횡단보도분수작동여부판단단계를 더욱 가지며; 이때 상기 비 횡단신호 시 횡단보도분수작동 및 차량통행로분수정지단계는 상기 차량통행로바닥분수작동여부판단단계의 판단결과 차량통행로바닥분수가 작동하는 경우 차량통행로바닥분수를 정지하도록 하는 차량통행로바닥분수정지단계와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작동여부판단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가 정지한 경우 이를 작동하도록 하는 횡단보도분수작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을 보인다. 차량의 통행로(10)가 제공되며, 본 발명에 따른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 스템은 상기 차량의 통행로(10)의 바닥면에 대하여 설치된 바닥분수(30)를 가지며 또한 상기 바닥분수(30)에 대한 인입부 및 출차부에 각각 설치된 인입차량감지센서(15)와 출차차량감지센서(18)를 가진다.
상기 차량의 통행로(10)는 예를 들어 공원 또는 아파트 단지 내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바닥분수(30)는 지면 등의 바닥면의 하부에 분수의 노즐이 설치되어 분수의 작동시 바닥면을 넘어서 분수가 분출하는 것으로서 분수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는 바닥면에 형성되는 바닥판 등을 통하여 사람 및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바닥분수의 구조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0388150에서 보이며, 기본적으로 분수의 분사노즐(31)과 상기 분사노즐(31)에 분사압력을 공급하는 펌프(35)를 가진다.
상기 인입차량감지센서(15)는 상기 바닥분수(30)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출차차량감지센서(18)는 상기 바닥분수(30)를 관통하여 출차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입차량감지센서(15)와 출차차량감지센서(30)는, 예를 들어, 하중감지센서가 될 수 있으며 다른 경우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 상기 바닥분수(30)의 인입부와 출차부에 대하여 각각 촬상카메라를 설치하여 바닥분수(30)에 대한 차량의 인입과 출차를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경우 촬상카메라가 상기 인입차량감지센서(15)와 출차차량감지센서(30)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은 제어부(50)를 가지 며, 상기 제어부(50)는 중앙처리장치(54)를 중심으로 메모리(56)를 가지며 또한 입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Interface)부(53)와 출력장치와의 인터페이스 부(51)를 가진다.
상기 중앙처리장치(5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상기 메모리(56)는 롬(ROM) 및 램(RAM)을 포함하고 중앙처리장치(54)의 동작순서를 결정하는 프로그램이나 중앙처리장치(54)에 의하여 처리되어야 할 데이터를 기억한다.
상기 인입차량감지센서(15) 및 출차차량감지센서(18)는 상기 제어부(50)와 연결되어 각각 바닥분수(30)에 대하여 차량의 인입과 차량의 출차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로 입력하며, 상기 제어부(50)는 이들 센서(15)(18)의 감지 값에 따라 상기 바닥분수(30)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50)가 상기 인입차량감지센서(15) 및 출차차량감지센서(18)의 감지 값에 따라 상기 바닥분수(30)를 제어하는 흐름도(flow chart)를 보인다.
먼저, 상기 차량통행로(10)에 설치된 바닥분수(30)는 그 분수펌프(35)가 작동(ON)되어 분수가 용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통행로(10) 및 그 주변에 미려한 조경을 연출한다. (단계 S201)
만일 상기 바닥분수(30)에 대하여 차량의 인입과 출차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 (단계 S202) 상기 바닥분수(30)의 펌프(35)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단계 S203) 이에 따라 상기 바닥분수는 작동을 중단한다.
또한 단순하게 차량의 인입만이 감지되는 경우 (단계 S205)에도 상기 바닥분수(30)의 펌프(35)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단계 S203) 이에 따라 상기 바닥분수는 작동을 중단한다.
이후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면 (단계 S204) 다시 분수펌프(35)를 작동(ON)하여 분수가 작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에 따라 예를 들어 한대의 차량이 상기 바닥분수(30)를 통과하는 경우, 그 인입이 감지되면 바닥분수의 작동이 멈추어 차량은 바닥분수에 의하여 방해를 받지 않고 통과할 수 있게 되고, 이후 그 출차가 감지되면 다시 분수의 작동이 재개되는 것이다. 만일 다수대의 차량이 관통하는 경우,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한대는 출차하고 한대는 인입하는 경우 이러한 출차와 인입이 동시에 감지되어 인입되는 차량을 위하여 바닥분수(30)의 작동은 정지되고 이후 최후의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면 다시 바닥분수(30)의 작동이 재개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차량의 통행로(10)에 대하여 바닥분수(30)가 설치되어 그 작동의 결과 미려한 조경을 펼치며, 차량의 통행이 있을 때 바닥분수(30)는 작동을 멈추어 차량의 통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의 다른 예를 보인다.
이 경우 차량통행로(100)는 횡단보도(130)를 가지며 중앙선(110)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횡단보도(130)에 대하여 교통신호등(80)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횡단보도(130)에는 횡단보도바닥분수(200)가 설치 되고 중앙선(110)에 의하여 분리된 각 차선에는 상기 횡단보도(130)의 차량의 진행방향에서 보았을 때 인입부에 차량통행로바닥분수(300)가 각각 설치되어있다. 특별히 상기 차량통행로바닥분수(300)는 횡단보도(130)에 대한 차량의 정지선(145)의 전방에서 횡단보도(130) 이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중앙처리장치(504)와 메모리(506)를 가지며 입력단 및 출력단측의 인터페이스부(503)(501)를 가지는 제어부(500)가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교통신호등 제어기(85)의 교통신호를 입력받아 교통신호등의 교통신호를 판별하고 또한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200) 및 차량통행로바닥분수(300)의 펌프(250)(350)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200) 및 차량통행로바닥분수(300)의 펌프(250)(350)를 제어하여 그 노즐단(210)(310)에서 분수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도 4는 상술한 제어부(500)의 제어동작의 예를 보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500)는 교통신호등(80)의 교통신호가 보행인의 횡단보도 횡단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401) 즉 교통신호등의 교통신호가 보행인의 입장에서 파란등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보행인의 횡단보도 횡단신호인 경우, 차량통행로 바닥분수의 펌프(350)가 정지(OFF)하여 있는지를 판단하며(단계 S402), 만일 그러한 경우 차량통행로의 바닥분수의 펌프(350)를 작동하여 분수가 용출되도록 한다. (단계 S403) 다음, 횡단보도바닥분수의 펌프(250)가 작동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횡단보도바 닥분수의 펌프(25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단계 S405)
이 경우, 횡단신호가 거의 끝날 때 쯤이 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시간을 상기 제어부(500) 세팅하고 그 시간이 되면 아직 횡단신호임에도 불구하고 횡단보도바닥분수의 펌프(3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럼으로써 보행인의 횡단중 횡단신호가 차량통행신호로 바뀌는 것을 방지한다.
만일 교통신호등(80)의 교통신호가 횡단신호가 아닌 경우, 횡단보도바닥분수의 펌프(250)가 정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러한 경우 횡단보도바닥분수의 펌프(250)를 정지시키고 (단계 S407), 차량통행로바닥분수의 펌프(350)가 작동중인지를 판단하여 (단계 S408) 그러한 경우 차량통행로바닥분수(350)를 정지시킨다. (단계 S409)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부(500)의 제어동작에 따라 교통신호등(80)의 신호가 횡단신호시는 횡단보도바닥분수(200)는 작동을 멈추고 차량통행로바닥분수(300)가 작동하여 조경을 미려하고 연출하면서 차량의 횡단보도로의 진입을 막아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교통신호등(80)의 신호가 횡단신호가 아닌 경우, 역으로 차량통행로바닥분수(300)의 작동은 멈추고 횡단보도바닥분수(200)가 작동하여 보행자의 횡단을 막으면서 미려한 조경을 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분수를 활용하여 차량통행로의 조경을 행하면서 동시에 교통통제를 행하고 있으며.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Claims (9)

  1. (a) 차량통행로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분수와;
    (b) 상기 바닥분수의 인입부에 설치되는 인입차량감지센서와;
    (c) 상기 바닥분수의 출차부에 설치되는 출차차량감지센서와;
    (d) 상기 인입차량감지센서 및 출차차량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분수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d1) 상기 인입차량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바닥분수에 대하여 차량의 인입이 감지되면 상기 바닥분수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차량인입시 분수정지수단과;
    (d2) 상기 출차차량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바닥분수에 대하여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면 상기 바닥분수를 작동하도록 하는 차량출차시 분수작동수단과;
    (d3) 상기 인입차량감지센서 및 상기 출차차량감지센서를 통하여 동시에 차량의 인입과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면 상기 바닥분수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차량의 동시 인입 및 출차 시 분수정지수단을 가지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분수는 분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분사압력을 공급하는 펌프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의 바닥분수에 대한 분수의 작동과 정지는 상기 펌프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차량감지센서 및 상기 출차차량감지센서는 하중감지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촬상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통행로는 아파트 단지내부 또는 공원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5. 횡단보도를 가지며 교통신호등이 설치된 차량의 통행로에 대하여,
    (a)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횡단보도바닥분수와;
    (b) 상기 차량의 통행로에서 상기 횡단보도의 인입부에 설치되는 차량통행로바닥분수와;
    (c) 상기 교통신호등 제어기의 교통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와 상기 차량통행로바닥분수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c1) 상기 교통신호등 제어기의 교통신호가 횡단신호인지여부를 판단하는 수단과;
    (c2) 상기 교통신호등 제어기의 교통신호가 횡단보도의 횡단신호인 경우 상 기 차량통행로바닥분수를 작동하도록 하며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를 정지하도록 하는 횡단신호 시 차량통행로분수작동 및 횡단보도분수정지수단과;
    (c2) 상기 교통신호등 제어기의 교통신호가 횡단보도의 횡단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의 분수를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차량통행로바닥분수를 정지하도록 하는 비횡단신호 시 횡단보도분수작동 및 차량통행로분수정지수단을 가지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와 차량통행로바닥분수는 각각 분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분사압력을 공급하는 펌프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의 이들 바닥분수에 대한 분수의 작동과 정지는 상기 펌프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7. 아파트 단지 내 또는 공원의 차량통행로에 설치된 바닥분수에 대하여,
    (a) 상기 바닥분수의 인입부에 설치된 인입차량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바닥분수에 대하여 차량의 인입이 감지되면 상기 바닥분수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차량인입시 분수정지단계와;
    (b) 상기 바닥분수의 출차부에 설치된 출차차량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바닥분수에 대하여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면 상기 바닥분수를 작동하도록 하는 차량출차시 분수작동단계와;
    (c) 상기 인입차량감지센서 및 상기 출차차량감지센서를 통하여 동시에 차량의 인입과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면 상기 바닥분수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차량의 동시 인입 및 출차 시 분수정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방법.
  8. 횡단보도를 가지며 교통신호등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횡단보도바닥분수와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서 횡단보도의 인입부에 설치되는 차량통행로바닥분수를 가지는 차량의 통행로에 대하여,
    (a) 상기 교통신호등의 교통신호가 횡단보도의 보행자 횡단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교통신호등의 교통신호가 횡단보도의 횡단신호인 경우 상기 차량통행로바닥분수를 작동하도록 하며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를 정지하도록 하는 횡단신호 시 차량통행로분수작동 및 횡단보도분수정지단계와;
    (c) 상기 교통신호등의 교통신호가 횡단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의 분수를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차량통행로바닥분수를 정지하도록 하는 비 횡단신호 시 횡단보도분수작동 및 차량통행로분수정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교통신호등의 교통신호가 횡단신호인 경우, 차량통행로바닥분수의 분수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통행로분수작동여부판단단계와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의 분수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횡단보도분수작동여부판단단계를 더욱 가지며; 이때
    상기 횡단신호 시 차량통행로분수작동 및 횡단보도분수정지단계는 상기 차량통행로바닥분수작동여부판단단계의 판단결과 차량통행로바닥분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차량통행로바닥분수를 작동시키는 차량통행로바닥분수작동단계와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작동여부판단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가 작동하는 경우 그 작동을 정지시키는 횡단보도분수정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만일 상기 교통신호등 제어기의 교통신호가 횡단신호가 아닌 경우, 차량통행로바닥분수의 분수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통행로분수작동여부판단단계와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의 분수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횡단보도분수작동여부판단단계를 더욱 가지며; 이때
    상기 비 횡단신호 시 횡단보도분수작동 및 차량통행로분수정지단계는 상기 차량통행로바닥분수작동여부판단단계의 판단결과 차량통행로바닥분수가 작동하는 경우 차량통행로바닥분수를 정지하도록 하는 차량통행로바닥분수정지단계와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작동여부판단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횡단보도바닥분수가 정지한 경우 이를 작동하도록 하는 횡단보도분수작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방법.
KR1020050117896A 2005-12-06 2005-12-06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96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896A KR100796529B1 (ko) 2005-12-06 2005-12-06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896A KR100796529B1 (ko) 2005-12-06 2005-12-06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453A true KR20070017453A (ko) 2007-02-12
KR100796529B1 KR100796529B1 (ko) 2008-01-21

Family

ID=4134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896A KR100796529B1 (ko) 2005-12-06 2005-12-06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5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517B1 (ko) * 2008-11-17 2009-02-06 (주)보원엔지니어링 도로의 횡단보도 전방에 설치되는 차량 세척장치
KR100913737B1 (ko) * 2007-11-09 2009-08-24 에스케이임업 주식회사 워터펜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752B1 (ko) 2009-07-23 2011-10-11 (주)셈투유 공원 등에 적용하는 스마트 분수 및 그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067A (ja) 1985-07-25 1987-02-05 Kubota Ltd 噴水遊戯設備の制御方法
JPS63283775A (ja) 1987-05-15 1988-11-21 Seiji Ikawa 水壁開閉装置
KR200329493Y1 (ko) 2003-07-14 2003-10-10 김진경 적외선센서를 구비한 분수장치
KR200388150Y1 (ko) 2005-04-13 2005-06-29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바닥분수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737B1 (ko) * 2007-11-09 2009-08-24 에스케이임업 주식회사 워터펜스 시스템
KR100882517B1 (ko) * 2008-11-17 2009-02-06 (주)보원엔지니어링 도로의 횡단보도 전방에 설치되는 차량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529B1 (ko) 2008-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739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датчика обнаружения объект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9862320B2 (en) Three-dimensional object detection device, and three-dimensional object detection method
KR101114968B1 (ko) 3지 교차로의 신호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949392B (zh) 一种车辆控制方法及装置
KR100796529B1 (ko) 차량통행로의 분수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6660B1 (ko) 차량 주차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415087A (zh) 用于自动化实施多次变道的变道辅助系统和方法
CN107527521A (zh) 一种车库引导系统及引导方法
EP0513146A1 (en) A parking-aid device
CN105894810A (zh) 用于监视在停车场上行驶的车辆的方法和设备
KR20050063468A (ko) 주차유도 시스템
CN109255978A (zh) 停车场违停监控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KR100897933B1 (ko) 멀티프로그램 분수장치
KR100999475B1 (ko) 주차장 조명 자동 제어장치
JP2003085562A (ja) 停止線認識装置、及び、その停止線認識装置を用いた車両用運転支援装置
US201900181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spection of watertightness of a vehicle
US11173905B2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KR100951474B1 (ko) 횡단보도 신호대기 보행자를 자동 감지하여교통신호제어기를 운영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8250756A (ja) 信号制御システム
JP7053334B2 (ja) 管制装置
CN108609010A (zh) 驻车辅助装置、车辆以及驻车辅助方法
CN202641673U (zh) 停车线识别装置以及使用该装置的车辆用驾驶辅助装置
CN113246916A (zh) 一种车辆清洗控制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102168296B1 (ko) 회전 교차로의 신호 미터링 운영 방법
KR20090130535A (ko)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