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6930A - 화상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6930A
KR20070016930A KR1020060048305A KR20060048305A KR20070016930A KR 20070016930 A KR20070016930 A KR 20070016930A KR 1020060048305 A KR1020060048305 A KR 1020060048305A KR 20060048305 A KR20060048305 A KR 20060048305A KR 20070016930 A KR20070016930 A KR 20070016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ever
buttons
switch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4164B1 (ko
Inventor
임일명
양홍석
김연배
김성운
김남우
유병인
최창규
홍선기
박준호
황광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8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164B1/ko
Priority to US11/497,292 priority patent/US7294794B2/en
Priority to RU2008104028/09A priority patent/RU2381588C2/ru
Priority to PCT/KR2006/003048 priority patent/WO2007027018A1/en
Priority to JP2008524893A priority patent/JP4897809B2/ja
Priority to CN2006800286657A priority patent/CN101238532B/zh
Priority to EP06823613.2A priority patent/EP1911055B1/en
Publication of KR20070016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Liquid crystal
    • H01H2219/012Liquid crystal programm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2Actuators integral with membrane
    • H01H2221/004U-shaped openings surrounding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6Lever; Roc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7Actuators transpa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1Mounting on appliance
    • H01H2223/014Mounting on appliance located in re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누름에 대응하여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화상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누름에 응답하여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에 투명한 윈도우를 가지고, 상기 윈도우를 중심으로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수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눌려지는 다수의 레버형 버튼; 상기 윈도우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되고 상기 레버형 버튼의 눌려지는 부분에 대응되게 배치된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치기판; 및 상기 각 윈도우에 대응되는 영역에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는, 상기 화상 버튼 입력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윈도우 대응 영역에 상기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각각 변화된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버튼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Input device with display butt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100, 200; 키패드 101, 201, 301: 버튼
110, 210: 탄성플레이트 120, 220: 프레임
130, 230: 탄성부 131, 231, 331: 자유단부
132, 232: 고정단부 140, 250, 340: 스위치기판
150, 260, 350: 스위치 202, 302: 윈도우
240, 270, 292, 312: 개구부 280, 380: 디스플레이 패널
290: 보강판 300: 버튼 플레이트
310: 패드 360: 보강구조물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화상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패널 위에 윈도우를 갖는 다수의 레버형 버튼을 배치하여 상기 윈도우를 통해 화상을 표시하고 동시에 얇은 두께와 우수한 입력감을 제공하는 화상 버튼 입력장치 및 상기 화상 버튼 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튼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누름에 대응하여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경우, 버튼이 눌렸다가 다시 올라오는 입력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버튼 입력 장치는 탄성 수단을 포함한다. 버튼 입력 장치에 포함되는 탄성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돔(dome) 형태를 가지는 금속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 버튼 입력 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나, 버튼 입력 장치가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경우는 우수한 입력감을 제공하기 어렵고, 우수한 입력감을 제공하는 경우는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구조가 복잡해서 조립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두께가 얇고 입력감이 우수한 화상 버튼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화상 버튼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누름에 응답하여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에 투명한 윈도우를 가지고, 상기 윈도우를 중심으로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수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눌려지는 다수의 레버형 버튼;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 아래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윈도우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되고 상기 레버형 버튼의 눌려지는 부분에 대응되게 배치된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버튼의 움직임에 따라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기판;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각 윈도우에 대응되는 영역에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은 개별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버튼; 및 상기 다수의 버튼 아래에 마련된 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각 버튼에 대응되는 부분이 부분적으로 절개된 다수의 탄성부가 마련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투명 윈도우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탄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각 버튼의 외곽선을 따라 부분적으로 절개된 자유단부와, 절개되지 않은 고정단부를 가지고, 상기 버튼이 눌릴 때 상기 자유단부가 움직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플레이트는 금속 판 또는 플라스틱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은, 하나의 버튼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 플레이트는 다수의 버튼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각 버튼 영역의 둘레 중 고정된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가 부분적으로 절개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은, 상기 버튼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의 윈도우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버튼 패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 패드의 배면에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은, 개별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버튼; 및 상기 각 버튼의 고정된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은, 상기 다수의 버튼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버튼의 윈도우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버튼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버튼 패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 패드에서 각 버튼의 고정되는 일단에 대응되는 부분을 지지하는 스위치기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버튼 패드의 배면에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기판은 상기 레버형 버튼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형 버튼의 윈도우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는 상기 스위치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기판의 배면을 지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는 상기 스위치기판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기판의 배면을 지지하는 보강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는, 전술한 화상 버튼 입력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윈도우 대응 영역에 상기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각각 변화된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버튼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예로 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레버형 버튼과 상기 스위치 기판이 각각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각각 여러 실시 형태를 가지는 이들 두 구성 요소가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아래에 제시된 여러 실시예들을 통해 더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입력 장치에 대해 상 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화상 버튼 입력 장치는 다수의 버튼(202)이 평면적으로 배치된 키패드(200), 상기 키패드(200) 아래에 마련된 탄성플레이트(210), 상기 탄성플레이트(210) 아래에 마련된 스위치기판(250) 및 상기 스위치기판(250) 아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패널(28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별적으로 마련된 상기 다수의 버튼(202)과 상기 다수의 버튼(202)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탄성부(230)를 갖는 상기 탄성플레이트(210)가 다수의 레버형 버튼을 구성한다.
상기 키패드(200)는 투명 윈도우(202)를 구비한 다수의 버튼(201)이 평면적으로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버튼(201)의 윈도우(202) 부분은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윈도우(202) 바깥쪽 부분은 불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플레이트(210)는 상기 키패드(20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각 버튼(201)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다수의 탄성부(230)가 마련되고, 상기 탄성부(230)에는 상기 투명 윈도우(202)에 대응되는 개구부(240)가 마련된다. 버튼(201)이 눌리면 상기 버튼(201)의 하부가 상기 탄성부(230)의 자유단부(231)를 누르고, 그에 따라 고정단부(232)를 중심으로 굽힘 변형이 일어나며 탄성 복원력이 다시 상기 버튼(201)에 미치게 된다.
상기 탄성플레이트(210)는 굽힘 변형에 대하여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판 또는 금속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화상 버튼 입력 장치의 박형화를 위해 얇 은 두께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과 상기 개구부(240)로 인해 좁은 폭의 고정단부(232)에 응력(stress)이 집중되는 점을 고려하면, 얇은 두께와 좁은 폭으로도 탄성플레이트로서 충분한 강도와 수명을 제공할 수 있는 금속 판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판의 소재로는 몇몇 예로서 스테인레스스틸, 알루미늄합금 또는 마그네슘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위치기판(250)은 상기 윈도우(202)에 대응되는 개구부(270)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201)의 윈도우(202) 바깥 부분에 대응되도록,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탄성부(230)의 자유단부(231)에 대응되게 배치된 다수의 스위치(2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60)는 상기 자유단부(231)와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의 스위치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260)는 탄성 돔 스위치로서 외부에 돔 형태의 탄성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돔 내부에 탄소 접점(미도시)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80)은 적어도 일부분, 예를 들면 투명 윈도우(202)가 마련된 다수의 버튼(201)을 통해 투영될 화상들을 출력하는 부분이 상기 스위치기판(250) 아래에 배치된다. 다시말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80)은 화상 버튼 기능을 위해 따로 마련된 것일 수도 있고, 전자 장치의 메인 디스플레이패널의 일부분이 화상 버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기판(250) 아래에 배치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8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상기 버튼(201)의 윈도우(202)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탄성플레이 트(210)와 스위치기판(250)에 각각 마련된 개구부(240, 270)들은 상기 윈도우(202)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사용자의 누름에 대응하여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키패드(200), 탄성플레이트(210), 스위치기판(25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00)에 포함된 버튼(201)들 중 하나를 누르면, 상기 버튼(201) 밑에 위치하는 탄성부(230)가 프레임(220)에 고정된 고정단부(232)를 중심으로 굽힘 변형되어, 자유단부(231)가 그 압력에 의해 눌리게 된다. 키패드(200)는 프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탄성플레이트(210)은 굽힘 변형에 대해 탄성을 가지는 금속 판 또는 프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얇은 두께로 충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테인레스스틸, 알루미늄합금, 또는 마그네슘합금 등의 금속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230)가 눌림에 따라, 스위치기판(250)에 포함된 스위치(260)들 중 상기 눌려진 탄성부(230) 밑에 위치하는 스위치가 눌려지게 되고, 스위치기판(250)은 상기 눌려진 스위치(260)에 대응하는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스위치기판(250)에 포함된 스위치 각각에 대응되는 스위치 신호들이 존재하고, 스위치기판(250)은 눌려진 스위치에 대응하는 스위치 신호의 값을 1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눌렀던 버튼에서 손을 떼면, 상기 눌려졌던 탄성부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고, 그에 따라 상기 눌려졌던 스위치도 윈래의 위치로 돌아오게된다. 상기 스위치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옴에 따라, 스위치기판(250)는 상기 스위치에 대 응하는 스위치 신호의 값을 1에서 0으로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스위치 신호에 따라 변화된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패널(280)을 키패드(200)에 포함된 버튼(201)들과 동일한 개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패널(280)에서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화상들은, 스위치기판(250)의 개구부(270)와 탄성플레이트(210)의 개구부(240) 및 투명 윈도우(202)를 통해 각각의 버튼(201) 상에 표시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화상 버튼 입력 장치의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다. 다만, 상기 스위치기판(250)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80) 사이에 상기 스위치기판(250)의 배면을 지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80)을 보호하는 보강판(2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판(290)에는 상기 탄성플레이트(210) 및 상기 스위치기판(25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버튼(201)의 윈도우(202)에 대응되는 개구부(292)가 마련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는 하나의 버튼 플레이트(300)의 일부분에 마련된 다수의 레버형 버튼(301)을 갖는다. 상기 버튼 플레이트(300)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을 커버하는 전면커버일 수 있다. 상기 버튼 플레이트(300)는 다수의 버튼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각 버튼 영역의 둘레 중에서 고정된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가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그 자유단부(331)가 탄성적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된다. 상기 레버형 버튼(301)에는 역시 투명 윈도우(302)가 마련되고, 상기 버튼(301)의 배면에는 버튼 패드(31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버튼 패드(310)에는 상기 윈도우(302)에 대응되는 개구부(312)가 마련된다. 상기 버튼 패드(310)는 레버형 버튼(301) 조작시 쿠션감을 주고, 상기 버튼 플레이트(300)의 절개부를 통한 이물질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실리콘 또는 우레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버형 버튼(301)의 아래에는 상기 윈도우(302) 바깥쪽의 눌려지는 부분, 즉 상기 자유단부(331)에 대응되게 배치된 다수의 스위치(350)를 구비한 스위치기판(340)이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버튼 패드(310)의 배면(310')에는 다수의 스위치(350)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돌기(315)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치(350)는 상기 버튼(301)의 동작에 의해 눌린 뒤 스스로 복원될 수 있는 탄성 돔 스위치일 수 있다. 탄성력을 제공하는 돔 형태의 구조물 내에 탄소 접점(미도시)이 마련된 것일 수 있고, 상기 돔 형태의 구조물의 소재로는 주로 금속이 이용된다. 다만, 돔 스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누름에 감응하는 스위치이면 다른 형태의 것이라도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기판(340) 아래에는 디스플레이패널(380)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기판(340) 아래에는 상기 스위치기판(340)의 배면을 지지하는 보강구조물(360)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기판(340)은 디스플레이패널(380) 외부의 인접한 영역(382)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패널(380) 내부 의 가장자리 영역이 상기 각 버튼(301)의 윈도우(302)를 통해 투영되도록 하고, 상기 버튼(301)의 자유단부(331)는 상기 스위치기판(340) 상에 배치된 스위치(350)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는 스위치(350) 신호에 따라 변화된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패널(380)을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과 버튼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나누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버튼(301)들과 동일한 개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영역에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화상들은, 상기 패드(310)의 개구부(312) 및 투명 윈도우(302)를 통해 각각의 버튼(301) 상에 표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형 버튼은 개별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버튼(401)과 상기 각 버튼(401)의 고정된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형 버튼은 상기 다수의 버튼(401) 아래에 배치된 버튼 패드(4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버튼 패드(410)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 패드(410)에서 각 버튼의 고정되는 일단에 대응되는 부분(414)을 지지하는 스위치기판(440)의 일부분(444)일 수 있다.
개별적으로 분리된 상기 버튼(401)은 투명한 플라스틱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적어도 일부분에 투명한 윈도우(미도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버튼 패드(410)는 상기 윈도우에 대응되는 개구부(412)를 구비한다. 상기 버튼 패드(410) 는 상기 버튼(401) 조작시 쿠션감을 주고, 상기 버튼(401) 주위의 틈새를 통한 이물질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실리콘 또는 우레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튼 패드(410)의 배면에는 스위치기판(440) 상의 다수의 스위치(450)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돌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기판(440)은 상기 버튼 패드(410)와 디스플레이 패널(4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치기판(440)은 상기 버튼(401)의 윈도우 및 상기 버튼 패드(410)의 개구부(412)에 대응되는 개구부(44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기판(440)의 배면에도 디스플레이 패널(480)을 보호하는 보강판이 개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버튼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401)을 누르면 상기 버튼 패드(410)의 개구부(412) 바깥 부분(413, 414)이 압력을 받는다. 이때, 상기 부분들 중 일측(413)은 배면에 배치된 스위치기판(440)의 대응 부분(444)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413)은 상기 스위치기판(440)의 대응 부분에 마련된 스위치(450)을 누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는, 하나의 버튼 플레이트(500)의 일부분에 마련된 다수의 레버형 버튼(501)을 갖는다. 상기 버튼 플레이트(500)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을 커버하는 전면커버일 수 있다. 상기 버튼 플레이트(500)는 다수의 버튼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각 버튼 영역의 둘레 중에서 고정된 일단(532)을 제외한 나머지가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그 자유단 부(531)가 탄성적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된다. 상기 레버형 버튼(501)에는 역시 투명 윈도우(502)가 마련되고, 상기 버튼(501)의 배면에는 버튼 패드(51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버튼 패드(510)에는 상기 윈도우(502)에 대응되는 개구부(512)가 마련된다. 상기 버튼 패드(510)는 레버형 버튼(501) 조작시 쿠션감을 주고, 상기 버튼 플레이트(500)의 절개부를 통한 이물질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실리콘 또는 우레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버형 버튼(501)의 아래에는 디스플레이 패널(580)이 마련되고, 스위치들(55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80)의 외부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기판(54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80)을 구동하는 회로기판과 일체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레버형 버튼(501)의 상기 윈도우(502)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8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윈도우(502) 바깥쪽의 눌려지는 부분, 즉 상기 자유단부(531)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80) 외부에 인접하게 마련된 스위치(550)에 대응된다. 상기 버튼 패드(510)의 배면(미도시)에는 상기 스위치(550)에 각각 대응되는 돌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치(550)로는 상기 버튼(501)의 동작에 의해 눌린 뒤 누르는 힘이 사라지면 스스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형태의 누름 감응 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탄성 돔 스위치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버튼 입력 장치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형 버튼은 다수의 개구부(612)를 가지는 버튼 패드(610)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개별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버튼(601)으 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601)은 제1측단(632)이 윈도우(602)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버튼 패드(610)의 개구부(612) 바깥 부분 중 일측(614)에 걸쳐지고, 윈도우(602)를 중심으로 상기 일단(632)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측단(631)은 상기 버튼 패드(610) 배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확장된다.
상기 레버형 버튼의 아래에는 디스플레이 패널(680)이 배치되고, 다수의 스위치(650)는 상기 도 5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패널(680)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역시 상기 다수의 스위치(650)를 구비하는 스위치기판(64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680)을 구동하는 회로기판과 일체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스위치(650)는 상기 다수의 버튼(601)의 제2측단(631)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된다.
도 7a, 도 7b는 상기 화상 버튼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 예로서,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것이다. 각 버튼(201)의 윈도우를 통해 가변 화상이 표시되는 간단한 예를 보인다. 도 7a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 모드에서 사용자가 전화 걸기 기능을 표시하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된 버튼(201)을 누르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버튼들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0부터 9까지의 정수, 통화 시작, 통화 종료 기능을 표시하는 화상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입력 장치에 의하면, 버튼 입력 장치로서 우수한 입력감을 제공하면서도 두께 및 포함되는 부품의 수를 현저히 감소 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 화상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장치의 두께 및 조립 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2)

  1. 사용자의 누름에 응답하여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에 투명한 윈도우를 가지고, 상기 윈도우를 중심으로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수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눌려지는 다수의 레버형 버튼;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 아래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윈도우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되고 상기 레버형 버튼의 눌려지는 부분에 대응되게 배치된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버튼의 움직임에 따라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기판;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각 윈도우에 대응되는 영역에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화상 버튼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은,
    개별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버튼; 및
    상기 다수의 버튼 아래에 마련된 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각 버튼에 대응되는 부분이 부분적으로 절개된 다수의 탄성부가 마련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투명 윈도우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탄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버튼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각 버튼의 외곽선을 따라 부분적으로 절개된 자유단부와, 절개되지 않은 고정단부를 가지고, 상기 버튼이 눌릴 때 상기 자유단부가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버튼 입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플레이트는 금속 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버튼 입력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플레이트는 플라스틱 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버튼 입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은 하나의 버튼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 플레이트는 다수의 버튼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각 버튼 영역의 둘레 중 고정된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가 부분적으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버튼 입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은, 상기 버튼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의 윈도우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버튼 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버튼 입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패드의 배면에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버튼 입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은,
    개별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버튼; 및
    상기 각 버튼의 고정된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버튼 입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은, 상기 다수의 버튼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버튼의 윈도우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버튼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버튼 패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 패드에서 각 버튼의 고정되는 일단에 대응되는 부분을 지지하는 스위치기판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버튼 입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패드의 배면에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버튼 입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기판은 상기 레버형 버튼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형 버튼의 윈도우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버튼 입력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기판의 배면을 지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버튼 입력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버튼 입력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기판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기판의 배면을 지지하는 보강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버튼 입력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회로기판과 일체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버튼 입력 장치.
  17. 적어도 일부에 투명한 윈도우를 가지고, 상기 윈도우를 중심으로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수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눌려지는 다수의 레버형 버튼;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 아래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윈도우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되고 상기 레버형 버튼의 눌려지는 부분에 대응되게 배치된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버튼의 움직임에 따라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기판;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각 윈도우에 대응되는 영역에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윈도우 대응 영역에 상기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각각 변화된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버튼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은,
    개별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버튼; 및
    상기 다수의 버튼 아래에 마련된 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각 버튼에 대응되는 부분이 부분적으로 절개된 다수의 탄성부가 마련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투명 윈도우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탄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각 버튼의 외곽선을 따라 부분적으로 절개된 자유단부와, 절개되지 않은 고정단부를 가지고, 상기 버튼이 눌릴 때 상기 자유단부가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플레이트는 금속 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플레이트는 플라스틱 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은 하나의 버튼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 플레이트는 다수의 버튼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각 버튼 영역의 둘레 중 고정된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가 부분적으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은, 상기 버튼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의 윈도우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버튼 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패드의 배면에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은,
    개별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버튼; 및
    상기 각 버튼의 고정된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레버형 버튼은, 상기 다수의 버튼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버튼의 윈도우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버튼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버튼 패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 패드에서 각 버튼의 고정되는 일단에 대응되는 부분을 지지하는 스위치기판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패드의 배면에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기판은 상기 레버형 버튼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형 버튼의 윈도우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기판의 배면을 지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3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기판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기판의 배면을 지지하는 보강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회로기판과 일체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KR1020060048305A 2005-08-04 2006-05-29 화상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1214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305A KR101214164B1 (ko) 2005-08-04 2006-05-29 화상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US11/497,292 US7294794B2 (en) 2005-08-04 2006-08-02 Button input apparatus with display functi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RU2008104028/09A RU2381588C2 (ru) 2005-08-04 2006-08-03 Кноп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с функцией индикации и переносное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его
PCT/KR2006/003048 WO2007027018A1 (en) 2005-08-04 2006-08-03 Button input apparatus with display functi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2008524893A JP4897809B2 (ja) 2005-08-04 2006-08-03 画像ボタン入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用電子装置
CN2006800286657A CN101238532B (zh) 2005-08-04 2006-08-03 具有显示功能的键输入装置和具有该装置的便携式电子设备
EP06823613.2A EP1911055B1 (en) 2005-08-04 2006-08-03 Button input apparatus with display functi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71394 2005-08-04
KR1020050071394 2005-08-04
KR1020060033538 2006-04-13
KR20060033538 2006-04-13
KR1020060048305A KR101214164B1 (ko) 2005-08-04 2006-05-29 화상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629A Division KR101214166B1 (ko) 2005-08-04 2007-06-04 화상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930A true KR20070016930A (ko) 2007-02-08
KR101214164B1 KR101214164B1 (ko) 2012-12-21

Family

ID=3771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305A KR101214164B1 (ko) 2005-08-04 2006-05-29 화상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94794B2 (ko)
EP (1) EP1911055B1 (ko)
JP (1) JP4897809B2 (ko)
KR (1) KR101214164B1 (ko)
CN (1) CN101238532B (ko)
RU (1) RU2381588C2 (ko)
WO (1) WO20070270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9139B2 (en) 2007-06-21 2011-02-15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cable grounding
US20080224915A1 (en) * 2007-03-13 2008-09-18 Sony Corporation And Sony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a universal remote control device
KR100859649B1 (ko) * 2007-04-19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기능 키 패드용 표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기기
KR100865398B1 (ko) * 2007-04-19 2008-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키 패드용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0839741B1 (ko) * 2007-04-19 2008-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기능 키 패드용 표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기기
US9838059B2 (en) 2007-06-21 2017-12-05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touch screen communication device
US20170168637A1 (en) * 2007-06-21 2017-06-15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touch screen device
KR100898669B1 (ko) * 2007-08-23 2009-05-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버튼 장치
KR100936219B1 (ko) * 2007-09-03 2010-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의 버튼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US20090195416A1 (en) * 2008-02-01 2009-08-06 Michael Goren Input assembly and technique for improved data entry
EP2159772A1 (en) * 2008-08-28 2010-03-03 Thomson Licensing SA Environment friendly remote control
CN102947775B (zh) * 2010-03-31 2016-04-20 丹麦技术大学 动态显示键盘和用在动态显示键盘中的键
US9667249B2 (en) * 2010-05-06 2017-05-30 BSH Hausgeräte GmbH Domestic appliance device
TWI500060B (zh) * 2010-09-10 2015-09-11 Htc Corp 可攜式電子裝置與按鍵圖標的切換方法
CN102446647A (zh) * 2010-10-15 2012-05-09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按键支撑结构
TWI398891B (zh) * 2010-10-15 2013-06-11 Altek Corp 電子裝置及其按鍵支撐結構
US8822851B2 (en) 2010-10-29 2014-09-0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ulti-mode keyboard
US8955995B2 (en) 2011-06-13 2015-02-17 Blackberry Limited Key lighting assembly
CN102856104B (zh) * 2011-07-01 2015-05-06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薄型按键及具有薄型按键的电子装置
KR101281974B1 (ko) * 2011-09-07 2013-07-05 주식회사 팬택 냉각 구조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TW201430892A (zh) * 2013-01-25 2014-08-01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裝置
JP6229158B2 (ja) * 2013-09-19 2017-1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操作スイッチおよび操作装置
KR102353350B1 (ko) * 2015-01-15 2022-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041349A1 (en) * 2016-09-01 2018-03-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Reconfigurable control device
JP7429845B2 (ja) * 2019-07-17 2024-0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入力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9927A (ja) * 1983-02-01 1984-08-11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薄膜形成方法
JPS59139927U (ja) * 1983-03-10 1984-09-19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ラツト形スイツチカバ−
JPS60178933A (ja) * 1984-02-25 1985-09-12 Nissan Motor Co Ltd 排気タ−ボチヤ−ジヤの過給圧制御装置
DE3806042C2 (de) * 1988-02-26 1994-09-15 Ernst Gaertner Optoelektronische Tastatur
JPH02144812A (ja) * 1988-11-25 1990-06-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操作釦装置
US5703625A (en) * 1995-01-06 1997-12-30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Illuminated push button display
JPH09198176A (ja) 1996-01-22 1997-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EP1016066A4 (en) 1997-03-31 2001-06-13 G & R Associates Inc COMPUTER / TELEPHONE INTEGRATION WITH INTELLIGENT KEYBOARD, AND ASSOCIATED METHOD
US5914676A (en) 1998-01-22 1999-06-22 Sony Corporation Multi-language display keypad
US6842170B1 (en) 1999-03-17 2005-01-11 Motorola, Inc. Display with aligned optical shutter and backlight cells applicable for use with a touchscreen
JP4223636B2 (ja) * 1999-07-28 2009-02-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US6798359B1 (en) 2000-10-17 2004-09-28 Swedish Keys Llc Control unit with variable visual indicator
JP4243007B2 (ja) 2000-06-09 2009-03-25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機能付多機能スイッチ装置
US6660948B2 (en) 2001-02-28 2003-12-09 Vip Investments Ltd. Switch matrix
JP2003015821A (ja) * 2001-06-29 2003-01-17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情報表示入力装置及びcn反射型液晶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US7656393B2 (en)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US11275405B2 (en) 2005-03-04 2022-03-15 Apple Inc.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JP2004214163A (ja) * 2002-11-15 2004-07-29 Sharp Corp キースイッチ
US6737596B1 (en) * 2003-05-08 2004-05-18 Lear Corporation Integrated switch bank
JP2005035426A (ja) * 2003-07-16 2005-02-10 Calsonic Kansei Corp 乗り物用モニタ装置
JP4432671B2 (ja) * 2004-03-01 2010-03-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照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1055A1 (en) 2008-04-16
CN101238532A (zh) 2008-08-06
EP1911055B1 (en) 2019-04-17
US7294794B2 (en) 2007-11-13
CN101238532B (zh) 2011-12-14
RU2008104028A (ru) 2009-08-10
KR101214164B1 (ko) 2012-12-21
EP1911055A4 (en) 2010-07-14
RU2381588C2 (ru) 2010-02-10
US20070029172A1 (en) 2007-02-08
JP2009503720A (ja) 2009-01-29
JP4897809B2 (ja) 2012-03-14
WO2007027018A1 (en)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164B1 (ko) 화상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JP4485103B2 (ja) 携帯端末装置
EP1566951B1 (en) Portable telepho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680676B1 (en) Switch unit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the switch unit
EP1914964B1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replaceable keypad cover
EP1389787B1 (en) Side button switch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ibration preventing device thereof
JP2011510459A (ja) キースイッチ及び電子機器
US6344622B1 (en) Switch device
JP2000149701A (ja) 押し釦装置及び携帯電話無線機
KR101214166B1 (ko) 화상 버튼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0008883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JP2008112302A (ja) 入力装置
JP4371895B2 (ja) キースイッチ構造
US7663070B2 (en) Four-way rocker switch with display
JP2002229478A (ja) 制御ボタンを形成する表示デバイスを有する電子装置
CN113451067B (zh) 按键单元以及电子设备
JP4749371B2 (ja) 携帯電子機器
JP2016031834A (ja) 電子機器
JP2000243181A (ja) 押圧型スイッチ構造
JP2021157863A (ja) キー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KR20130007240A (ko) 이동 단말기
KR20070068172A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1273837A (ja) スイッチ装置
JP2009016222A (ja) 電子機器におけるキー構造及び電子機器
JP2004311088A (ja) メタルドーム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たキー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