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5775A -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5775A
KR20070015775A KR1020050070349A KR20050070349A KR20070015775A KR 20070015775 A KR20070015775 A KR 20070015775A KR 1020050070349 A KR1020050070349 A KR 1020050070349A KR 20050070349 A KR20050070349 A KR 20050070349A KR 20070015775 A KR20070015775 A KR 20070015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ke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1913B1 (ko
Inventor
윤영신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0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913B1/ko
Publication of KR20070015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 상에서 이미지 편집 시 편집하고자 하는 영역으로 커서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모리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표시부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기 설정된 이미지 편집 키를 선택함에 따라, 이미지 편집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의 화면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할하여 표시부 상에 표시하는 화면 분할부; 이미지 편집 시 화면 분할부에 의해서 분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 영역 각각에 키와 매칭되는 식별번호를 할당하고 해당 화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키 매칭부;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키 입력 신호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해당 화면 영역으로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 상에서 이미지를 편집할 때 편집하고자 하는 영역으로 용이하게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Description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User Interface Method for Editing Imag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 110 : 제어부
120 : 입력부 130 : 메모리
140 : 무선 통신부 150 : 표시부
160 : 화면 분할부 170 : 키 매칭부
180 : 커서 이동부 190 : 출력부
본 발명은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 상에서 이미지 편집 시 편집하고자 하는 영역으로 커서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CS, PDA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에 카메라 기능을 부가함에 따라, 통신사 및 관련 업체는 이동통신 단말의 카메라 기능과 관련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예를 들어, 카메라 기능과 관련되는 부가 서비스는 이미지 형태의 액자 틀을 제공하여 촬영되는 이미지가 액자 틀과 합성되도록 하거나, 촬영되는 이미지의 색상을 변경(예를 들어, 흑백, 갈색, 회색 등)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촬영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촬영되어 이동통신 단말에 기 저장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이미지를 편집하고자 하여 이동통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되어 있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편집을 수행할 영역으로 이동하는데, 도 1의 A영역을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우측 방향키 및 하향 방향키를 이용하여 커서를 A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법은 유선 단말(예를 들어, PC)에서 이미지 편집 시 적용되는 방식과 동일하게 구현하는 것으로, 마우스를 구비하는 유선 단말에서는 편집 영역으로의 커서 이동이 용이하지만, 이동통신 단말에서는 그러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운용자는 이동통신 단말 상에서의 이미지 편집 시 사용자에게 커서 이동이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을 제공할 필요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편집 시, 이미지의 표시 화면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할하고 각각의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편집하고자 하는 영역으로 커서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어부, 이동통신 단말의 입력 제어를 위한 입력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상태나 사용자가 요청한 이벤트 처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 음성 통화 서비스나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 필요한 데이터를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로서,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기 설정된 이미지 편집 키를 선택함에 따라, 이미지 편집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의 화면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할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는 화면 분할부; 이미지 편집 시 상기 화면 분할부에 의해서 분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 영역 각각에 키와 매칭되는 식별번호를 할당하고 해당 화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키 매칭부;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키 입력 신호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해당 화면 영역으로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이동부;를 포함한다.
다른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미지 편집 키를 선택함에 따라 이미지 편집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이미지 편집 모드를 구동하는 제 1 단계;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의 화면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할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분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 영역 각각에 키와 매칭되는 식별번호를 할당하고 해당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제 3 단계;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특정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키 입 력 신호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해당 화면 영역으로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것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100)은 제어부(110), 입력부(120), 메모리(130), 무선 통신부(140), 표시부(150), 화면 분할부(160), 키 매칭부(170), 커서 이동부(180) 및 출력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 이동통신 단말(100)의 입력 제어를 위한 입력부(12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30),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140),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상태나 사용자가 요청한 이벤트 처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150) 및 음성 통화 서비스나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 필요한 데이터를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190)는 이동통신 단말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화면 분할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1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표시부(150) 상에 표시하고, 사용 자가 기 설정된 이미지 편집 키를 선택함에 따라, 이미지 편집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도 3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150)의 화면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할하여 표시부(150) 상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화면 분할부(160)가 이동통신 단말(100)의 키패드 상에 구비되어 있는 키의 수(예를 들어, 숫자 키 9개, 숫자 키와 식별부호 키를 포함하는 12개 등)와 동일하게 화면을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운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화면 분할부(160)는 분할하는 화면을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투영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처리하여 이미지의 상부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이미지 편집 요청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키패드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키 중 임의로 설정된 키, 이동통신 단말(100)에 별도로 구비되는 이미지 편집 요청 키 및 이동통신 단말(100)이 제공하는 이미지 편집 요청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전송되는 신호이다. 상기, 이미지는 사진, 캐릭터 이미지, 이모티콘 이미지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이다.
키 매칭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 편집 시 화면 분할부(160)에 의해서 분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 영역 각각에 키와 매칭되는 식별번호를 할당하여 해당 화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키 매칭부(170)는 화면 분할부(160)에 의해서 9개로 분할된 화면 영역에 키와 매칭되는 식별번호1 ~ 식별번호9를 각각 할당하고 해당 화면 영역에 식별번호가 표시되도록 한다.
만약, 화면 분할부(160)가 이동통신 단말의 키패드 상에 구비되어 있는 키의 수 이상으로 화면을 분할하였을 경우, 키 매칭부(170)는 각각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해당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한다.
커서 이동부(180)는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화면 영역으로 표시부(150)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1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모리(1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표시부(150)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미지 편집 키를 선택함에 따라 이미지 편집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이미지 편집 모드를 구동한다(S101).
여기에서, 이미지 편집 요청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키패드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키 중 임의로 설정된 키, 이동통신 단말(100)에 별도로 구비되는 이미지 편집 요청 키 및 이동통신 단말(100)이 제공하는 메뉴 중 이미지 편집 요청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전송되는 신호이다.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100)은 도 3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150)의 화면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할하고, 이를 상기 이미지의 상부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50)에 표시한다(S103).
여기에서, 화면 분할부(160)가 이동통신 단말(100)의 키패드 상에 구비되어 있는 키의 수(예를 들어, 숫자 키 9개, 숫자 키와 식별부호 키를 포함하는 12개 등)와 동일하게 화면을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운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통신 단말(100)은 단계 S103에서 분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 영역 각각에 키와 매칭되는 식별번호를 할당하고 해당 화면 영역에 표시한다(S105).
예를 들어, 도 3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키 매칭부(170)는 화면 분할부(160)에 의해서 9개로 분할된 화면 영역에 키와 매칭되는 식별번호1 ~ 식별번호9를 각각 할당하고 해당 화면 영역에 식별번호가 표시되도록 한다.
만약, 화면 분할부(160)가 이동통신 단말의 키패드 상에 구비되어 있는 키의 수 이상으로 화면을 분할하였을 경우, 키 매칭부(170)는 각각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해당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1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특정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S107),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해당 화면 영역으로 표시부(150)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킨다(S109).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은 이동통신 단말 상에서 이미지를 편집할 때 편집하고자 하는 영역으로 용이하게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제어부, 이동통신 단말의 입력 제어를 위한 입력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상태나 사용자가 요청한 이벤트 처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 음성 통화 서비스나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 필요한 데이터를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로서,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기 설정된 이미지 편집 키를 선택함에 따라, 이미지 편집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의 화면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할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는 화면 분할부;
    이미지 편집 시 상기 화면 분할부에 의해서 분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 영역 각각에 키와 매칭되는 식별번호를 할당하고 해당 화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키 매칭부; 및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키 입력 신호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해당 화면 영역으로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 요청 신호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키패드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키 중 임의로 설정된 키,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별도로 구비되는 이미지 편집 요청 키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제공하는 메뉴 중 이미지 편집 요청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전송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분할부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할하는 화면을 상기 이미지가 투영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처리하여 상기 이미지의 상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사진, 캐릭터 이미지, 이모티콘 이미지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5. 이동통신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미지 편집 키를 선택함에 따라 이미지 편집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이미지 편집 모드를 구동하는 제 1 단계;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의 화면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할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분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 영역 각각에 키와 매칭되는 식별번호를 할당하고 해당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제 3 단계; 및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특정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키 입력 신호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해당 화면 영역으로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키패드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키 중 임의로 설정된 키,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별도로 구비되는 이미지 편집 요청 키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제공하는 메뉴 중 이미지 편집 요청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이미지 편집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할하는 화면을 상기 이미지가 투영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처리하여 상기 이미지의 상부에 표시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050070349A 2005-08-01 2005-08-01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0681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349A KR100681913B1 (ko) 2005-08-01 2005-08-01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349A KR100681913B1 (ko) 2005-08-01 2005-08-01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775A true KR20070015775A (ko) 2007-02-06
KR100681913B1 KR100681913B1 (ko) 2007-02-12

Family

ID=4161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349A KR100681913B1 (ko) 2005-08-01 2005-08-01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9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6636A1 (en) * 2008-01-29 200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using divided screen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6636A1 (en) * 2008-01-29 200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using divided screen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US9052818B2 (en) 2008-01-29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using divided screen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913B1 (ko) 2007-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950B1 (ko) 화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화상통신용단말기
KR100375054B1 (ko) 표시장치 및 그 조작방법
US20050143124A1 (en) Mobile terminal with ergonomic imaging functions
US79914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creen in mobile terminal
JP567123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1009881B (zh) 用于在移动通信终端中显示背景图像的方法
JP2008263297A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端末
KR2009004249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CN111526232B (zh) 一种基于双屏终端的摄像头控制方法及双屏终端
JP2011170860A (ja) デバイスメニュー
US2006009997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function of confiirming receiver&#39;s identity by displaying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r and method thereof
JP4001706B2 (ja) 携帯通信端末の機能設定装置
KR100681913B1 (ko) 이미지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JP2008084323A (ja) 携帯通信端末
EP3128722A1 (en) Fil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12799557B (zh) 一种水墨屏显示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6059117A (ja) 携帯端末
US20160246493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KR2004002985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
KR10054833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20060110671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표시방법
JP4444186B2 (ja) 視認性を向上させた表示装置
KR100875825B1 (ko) 다중 대기화면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단말 및 이를 위한방법
KR10115891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키패드의 이미지 표시 장치 및 방법
JPH09325876A (ja) メニュー項目選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