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3690A -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3690A
KR20070013690A KR1020050068212A KR20050068212A KR20070013690A KR 20070013690 A KR20070013690 A KR 20070013690A KR 1020050068212 A KR1020050068212 A KR 1020050068212A KR 20050068212 A KR20050068212 A KR 20050068212A KR 20070013690 A KR20070013690 A KR 20070013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plate assembly
building
connection member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0664B1 (ko
Inventor
최경철
박용성
Original Assignee
박용성
최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성, 최경철 filed Critical 박용성
Priority to KR1020050068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66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3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glass elements, i.e. wherein an outer layer is not of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61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2Floor elements with an anti-skid main surface, other than with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소정 두께를 가지는 상부 유리판과; 상부 유리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유리판;을 포함하며, 하부 유리판에는 체결유닛이 결합되는 체결공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가 개시된다.
유리판, 계단, 너트, 볼트

Description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A glass panel assembly for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결합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10,210..상부 유리판 20,120,220..하부 유리판
15,115..접착용 시트 22,122,222..체결공
30.. 체결유닛 31,131,231..연결부재
40,140..높이 조절유닛 41,141..볼트부재
42,43,142,143..너트부재
본 발명은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바닥, 벽 또는 계단으로 사용가능한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물을 시공할 때, 외관상의 문제와 완공시간 등을 고려하여 건물의 외벽이나, 바닥 및 계단 등을 유리판으로 시공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건물 내의 계단의 경우에는, 유리판으로 계단을 시공하게 되면 외관상 심플하고, 깔끔한 느낌을 주게 된다. 또한, 유리판으로 시공하게 되면, 일반 콘크리트 등으로 시공하는 경우보다 간단하고 빨리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유리판으로 계단을 시공할 경우에는, 각 계단의 발판이 될 부분 즉, 유리판을 소정 강도에 견딜 수 있고, 또는 파손이 되더라도 파손 후 파편의 비산으로 인한 무너짐을 대비할 수 있도록 여러 장의 유리를 접합한다. 그런 다음, 유리판의 양단부가 관통되는 구멍을 뚫은 다음, 그 구멍에 체결용 나사 등을 결합한 뒤, 그 체결용 나사를 벽이나 바닥, 또는 지지프레임 등에 체결함으로써,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유리판을 관통하여 체결용 나사 등을 결합하기 때문에, 체결용 나사가 유리계단 즉, 유리판의 상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럴 경우, 돌출된 나사 등으로 인하여 외관이 보기 좋지 않고, 보행자의 신발이 걸리는 등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리판에 형성된 구멍이나, 외부로 노출된 체결용 나사에 먼지나 이물질이 끼게 되면, 쉽게 오염되고 청소하기도 힘들게 된다. 따라서, 오랜 기간이 지나면, 외관상 보기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존과 같은 유리계단의 시공방식은, 시공상의 여러 공정으로 인해서 그 설치기간이 오래 걸리고, 완성도도 떨어지는 등의 어려운 문제들이 많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외관의 오염을 최소화시키고 시공상의 난이도를 완화시켜 시공 완성도를 높여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상부 유리판과; 상기 상부 유리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유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유리판에는 체결유닛이 결합되는 체결공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상부 유리판에 가까운 상부에서 확장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유리판은 접착용 시트에 의해 서로 접착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접착용 시트는 고온 및 고압에 의해 용융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유리판을 접착시킬 수 있는 수지계열의 물질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며, 나사공을 가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는 외경이 확장형성된 플랜지부가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체결공에 압입결합되는 수지계열의 탄성재인 것이 좋다.
또한, 소정 설치면에 대해서 상기 상부 및 하부유리판의 자세 및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유닛은, 상기 체결유닛에 결합되며, 외주에 나사선이 형성된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에 상하로 나사 결합되며, 회전시 서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한 한 쌍의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하부 유리판의 적어도 1면에는 소정 문양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으며, 상기 상부 유리판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유리판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는, 제1유리판과; 상기 제2유리판의 어느 일면에 접합되는 제2유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유리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체결공에 결합되며,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는 높이 조절유닛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노출 단부로부터 인입 형성된 나사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유리판은 접착용 시트에 의해 접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체결공은 상기 접합부 쪽에서 확장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확장형성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일단이 확장된 플랜지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유리판중에서 상기 체결공이 형성되지 않은 유리판에는 소정 문양의 패턴이 형성된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는 건물의 계단 시공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계단의 발판에 해당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는, 제1유리판(10)과, 제2유리판(20)과, 체결유닛(30) 및 높이 조절유닛(40)을 구비한다.
상기 제1유리판(10)은 제2유리판(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하부터는 상부 유리판이라 칭하고, 제2유리판(20)은 하부 유리판이라고 칭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유리판(10)(20) 각각은 서로 소정 두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 유리판(10)(20)은 대략 10 내지 20mm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 유리판(10)은 상면이 미끄럼 방지를 위해 소정거칠기를 갖도록 처리되어 있고, 하면은 매끄럽다. 그리고 하부 유리판(1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 이상에는 소정 형상의 문양(1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양(12)은 하부 유리판(20)에 마주하는 상부 유리판(10)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가공에 많은 비용이 들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상기 문양(12)은 소정 형상의 필름을 상부 유리판(10)의 하면에 부착하여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문양(12)을 하부 유리판(2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면 이상에 마련할 경우에는 외부 먼지나 오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문양(12)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부 유리판(10)에 형성된 문양(12)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유리판(10)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방지 수단은 상부 유리판(10)의 상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스크레치 등의 패턴을 형성시켜서 마련할 수도 있으며,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의 미끄럼 방지 테이프를 상기 상부 유리판(10)의 일부 또는 전면에 부착함으써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미끄럼 방지 수단이 문양에 의해 스크래치 패턴 방식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문양에 의해서 미끄럼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미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유리판(20)은 상부 유리판(10)의 하면에 소정 접착용 시트(15)에 의해 접합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용 시트(15)는 고온 및 고압에 의해 용융되는 수지계열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서, 상기 접착용 시트 (15)는 폴리비닐부틸렌, 에스텔비닐아세틸, 레진 등의 물질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상기 하부 유리판(20)은 복수의 체결공(22)을 가진다. 각 체결공(22)은 하부 유리판(20)의 양단부 각각에 치우치게 마련된다. 체결공(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유리판(20)의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체결공(22)은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공(22)은 상부 유리판(10) 쪽이 다른 부분보다 더 확장형성된 확장부(23)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확장부(23)는 상부 및 하부유리판(10)(20)의 접합부분 쪽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유닛(30)은 상기 체결공(22)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1)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31)는 체결공(2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 연결부재(31)는 하단으로부터 소정 깊이 형성된 나사공(31a)을 가진다. 상기 나사공(31a)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부재(31)를 관통하고 있지는 않다. 그리고 연결부재(31)의 상단에는 다른 부분보다 확장형성된 플랜지부(31b)가 마련된다. 상기 플랜지부(31b)는 상기 확장부(23)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부(31b)는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며, 연결부재(3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재(31)는 하부 유리판(20)의 상부로부터 체결공(22)에 끼워진다. 그리고 플랜지부(31b)가 체결공(22)보다는 큰 직경을 갖기 때문에, 체결공(22)을 통해서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플랜지부(31b)가 확장부(23)에 접촉되어 지지됨으로써, 상부 유리판(10)을 통해서 하부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재(31)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1)는 바 람직하게는 강도가 세고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1)는 상기 체결공(22)에 압입결합 가능한 수지계열의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31)는 강도가 세고 가벼운 기능성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높이 조절유닛(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된 상부 및 하부 유리판(10,20)을 설치면(1)에 대해서 높이 및 자세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높이 조절유닛(40)은 일단은 상기 연결부재(3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설치면(1)에 연결되는 볼트부재(41)와, 상기 볼트부재(41)에 설치되는 한 쌍의 너트부재(42,43)를 구비한다. 상기 볼트부재(41)는 상기 각 연결부재들(31) 각각의 나사공(31a)에 나사 결합된다. 이 볼트부재(41)는 외주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볼트부재(41)에는 한 쌍의 너트부재(42,43)가 상하로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부재(42,43)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하부 유리판(20)과 설치면(1) 사이의 설치간격을 제한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유리판(10,2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부재(41)의 길이는 유리판들(10,20)의 설치조건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볼트부재(41)는 설치면(1)에 대해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설치면에 볼트부재(41)가 통과하는 설치공을 마련하고, 그 설치공을 통과하도록 충분히 긴 볼트부재를 마련하여 설치공에 끼운 뒤, 설치공을 통과한 부분을 별도의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부 쪽의 너트부재(42)는 하부 유리판(20)에 밀착되고, 하부 쪽의 너트부재(43)는 설치면(1)에 밀착됨으로써, 유리판 조립체의 자세 및 높이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부 유리판(10)에 특히, 상부에는 필요에 따라서 미끄럼 방지 수단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하부 유리판(20)의 적어도 1면 이상에 문양(12)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유리판(20)의 경우에는 상기 체결공(22)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확장부(23)를 함께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체결공(22) 각각에 연결부재(31)를 끼워넣는다. 이때 연결부재(31)는 플랜지부(31b)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부 유리판(20)의 상면으로부터 연결부재(31)를 체결공(22)에 끼워 넣는다. 그런 다음, 상부 유리판(10)과 하부 유리판(20) 사이에 접착용 시트(15)를 개재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부 및 하부 유리판(10,20)을 밀착시켜서 접합시킨다. 이때 상기 접착용 시트(15)를 고온 및 고압, 구체적으로는, 대략 130℃ ± 50℃의 온도하에서 소정 압력으로 대략 40 ∼ 100분 정도의 시간을 경과시키면, 접착용 시트(15)가 녹으면서 두 유리판(10,20)을 접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31)를 먼저 하부 유리판(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두 유리판(10,20)을 결합하게 되면, 상부 유리판(10)에는 별도의 체결공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상부 유리판(1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깔끔한 외 관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1)가 체결공(22)에서 빠지지 않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두 유리판(10,20)을 접합한 후에는 상기 볼트부재(41)를 연결부재(31)에 연결하고, 한 쌍의 너트부재(42,43)를 볼트부재(41)에 연결하면 된다. 그리고 볼트부재(41)의 타단은 설치면(1)에 설치함으로써, 간단하게 유리계단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 유리판(110,120)은 접착용 시트(115)에 의해 상하로 접합되어 있다. 하부 유리판(120)에는 복수의 체결공(12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122)의 경우에는 상하로 일정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22)에는 체결유닛으로서 연결부재(131)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체결공(122)에 압입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연결부재(131)는 탄성변형 가능한 고무재질 또는 수지계열의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연결부재(131)는 하부 유리판(120)과 상부 유리판(1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122)에 강제로 압입결합될 수 있다. 더축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로 형성되는 연결부재(131)의 상단에는 확장형성된 프랜지부(131a)가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 플랜지부(131a)는 상기 체결공(122)의 내경보다도 큰 외경으로 확장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131)를 체결공(122)에 압입결합할 때, 플랜지부(131a)가 압 축되면서 체결공(122)에 억지끼워지게 되어, 체결공(122)에 압입된 연결부재(131)가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이 연결부재(131)에는 나사공(131a)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공(131a)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높이 조절유닛(140)에 설치된다. 상기 높이 조절유닛(140)은 연결부재(131)의 나사공(131a)에 결합되는 볼트부재(141)와, 볼트부재(141)에 설치되는 한 쌍의 너트부재(142,143)를 구비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높이 조절유닛(140)은 앞서 설명한 높이 조절유닛(4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의 경우에는 상부 유리판(210)과 하부유리판(220)이 접착시트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구조에서, 상기 상부유리판(21)의 상부에 소정두께의 발판(240)이 적층되게 설치된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상부 유리판(210)과 상기 발판(240)은 체결공이 형성되지 않은 구성을 가지며, 서로는 접착용 시트로 접합되어 있다. 상기 발판(240)의 경우에는, 상부 유리판(210)과 동일한 두께 및 동일 재료로 된 유리판일 수 있다. 또한 발판(240)은 목재나 대리석과 같은 석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발판(240)은 플라스틱과 같이 소정 물질로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유리판(220)의 경우에는 상부가 확장형성된 복수의 체결공(222)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하부 유리판(220)은 상부 유리판(210)과 접착용 시트에 의해 접합된다. 상기 체결공(222) 각각에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연결부재(231)가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리판들은 복수개가 적층된 상태로 조 립될 수 있으며, 상부에 마련된 유리판에만 체결공을 형성시키지 않고, 하부에 마련된 유리판에만 체결공을 형성하고, 그 체결공에 연결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가 유리판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오물이나 이물질에 의해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최상부에 설치된 유리판의 상면에 문양을 마련하여 미적효과와 함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에 따르면, 복수의 유리판을 접합시켜서 조립하게 되므로 강도가 증가하게 되며, 파손시에도 파편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유리판 중에서 하부의 유리판에만 체결공을 마련하여 체결유닛을 연결함으로써, 상부의 유리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청소하기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부 유리판 사이에 문양 등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미적 감각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도, 하부 유리판에 체결공을 형성하되, 상부가 확장되게 형성시킴으로써, 연결부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확장된 체결공 및 연결부재의 플랜지부로 인하여 유리판들을 통해서 연결부재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높이 조절유닛을 더 구비함으로써, 유리판의 설치면에 대해서 계단 등 을 시공시 용이하게 높이 및 자세조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7)

  1. 소정 두께를 가지는 상부 유리판과;
    상기 상부 유리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유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유리판에는 체결유닛이 결합되는 체결공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상부 유리판에 가까운 상부에서 확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유리판은 접착용 시트에 의해 서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용 시트는 고온 및 고압에 의해 용융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유리판을 접착시킬 수 있는 수지계열의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며, 나사공을 가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는 외경이 확장형성된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체결공에 압입결합되는 수지계열의 탄성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 설치면에 대해서 상기 상부 및 하부유리판의 자세 및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유닛은,
    상기 체결유닛에 결합되며, 외주에 나사선이 형성된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에 상하로 나사 결합되며, 회전시 서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한 한 쌍의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리판의 적어도 1면에 소정 문양의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리판의 상부에 적 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 방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12. 제1유리판과;
    상기 제1유리판의 어느 일면에 접합되는 제2유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유리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체결공에 결합되며,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는 높이 조절유닛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노출 단부로부터 인입 형성된 나사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유리판은 접착용 시트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접합부 쪽에서 확장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확장형성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일단이 확장된 플랜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유닛은,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나사선이 형성된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에 상하로 나사 결합되며, 회전시 서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한 한 쌍의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17.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유리판중에서 상기 체결공이 형성되지 않은 유리판에는 소정 문양의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KR1020050068212A 2005-07-27 2005-07-27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KR100720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212A KR100720664B1 (ko) 2005-07-27 2005-07-27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212A KR100720664B1 (ko) 2005-07-27 2005-07-27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690A true KR20070013690A (ko) 2007-01-31
KR100720664B1 KR100720664B1 (ko) 2007-05-21

Family

ID=3801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212A KR100720664B1 (ko) 2005-07-27 2005-07-27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6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59B1 (ko) * 2007-11-20 2008-03-24 (주)에이치에이앤스틸 마감재 모듈
CN102330491A (zh) * 2011-07-01 2012-01-25 王福禄 多功能玻璃地砖及其用途
KR20200112474A (ko) * 2019-03-22 2020-10-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대피용 계단식 안전난간
KR102255477B1 (ko) * 2019-12-24 2021-05-24 채지은 목재마루 시공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882B1 (ko) * 2015-10-01 2016-03-02 주식회사 삼일지앤드엠 유리패널 고정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991A (ko) * 2000-10-16 2002-04-22 정명화 건축용 유리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0236836Y1 (ko) 2001-03-29 2001-10-10 선 문 김 건축 내장재용 유리판넬
KR200268195Y1 (ko) 2001-12-21 2002-03-15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크린룸의 바닥 판넬 지지를 위한 프레임용 클램핑 유니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59B1 (ko) * 2007-11-20 2008-03-24 (주)에이치에이앤스틸 마감재 모듈
CN102330491A (zh) * 2011-07-01 2012-01-25 王福禄 多功能玻璃地砖及其用途
KR20200112474A (ko) * 2019-03-22 2020-10-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대피용 계단식 안전난간
KR102255477B1 (ko) * 2019-12-24 2021-05-24 채지은 목재마루 시공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664B1 (ko) 200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664B1 (ko) 건축용 유리판 조립체
JPH0642146A (ja) ガラス外面構成要素を取り付ける装置
US20060076545A1 (en) Railing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es
US20010054264A1 (en) Trim for high pressure laminate and other decorative floor coverings
KR100585981B1 (ko) 건축물 계단 개선 구조
JP2022076520A (ja) 階段構造
JP6055602B2 (ja) タイル剥離予防方法
KR101877129B1 (ko) 계단 미끄럼 방지 안전 프레임 설치방법
KR102645101B1 (ko) 목재 연결 구조체
JPH067142Y2 (ja) 化粧板の取付構造
JP3558400B2 (ja) タイルパネルの補修方法
KR101850497B1 (ko) 모듈화된 마루바닥의 조립구조
JP5912897B2 (ja) 支柱支持具及びその固定方法
JP3086768U (ja) 屋内の両面段差解消スロープ
JP2001081924A (ja) 階段の構造
KR20060023020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101931904B1 (ko) 목재데크시스템
KR101569804B1 (ko) 미끄럼방지용 바닥판
KR200373283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0237599Y1 (ko) 천장등 지지구조
JPH0468154A (ja) 自在階段
KR200377852Y1 (ko) 실내용 발판
JP2000136079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床清掃用治具
KR20200136779A (ko) 난간동자의 연결구조체
JP3015115B2 (ja) 防音床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