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3222A - 복합형 기억 장치, 데이터 기입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복합형 기억 장치, 데이터 기입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3222A
KR20070013222A KR1020060069043A KR20060069043A KR20070013222A KR 20070013222 A KR20070013222 A KR 20070013222A KR 1020060069043 A KR1020060069043 A KR 1020060069043A KR 20060069043 A KR20060069043 A KR 20060069043A KR 20070013222 A KR20070013222 A KR 20070013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area
identification information
physical address
logical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메 니시무라
다께시 사사
데쯔야 다무라
가즈야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2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3Management of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26Reducing size or complexity of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8Hybrid storag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형 기억 매체에서,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에 따라서 데이터의 기입 제한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10)와, 제2 데이터 영역과, 제1 데이터 영역과 제2 데이터 영역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식별 정보 테이블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11)와, 호스트 기기(4)의 종류에 따라서, 식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부(14)와, 정보 선택부(14)에서 선택된 위치 정보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로 변환하거나, 또는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15)와, 변환부(15)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호스트 기기(4)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영역에 기입하는 제1 기입부와,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제2 데이터 영역에 기입하는 제2 기입부를 구비한다.
호스트 기기, 인터페이스부, 기기 인식부, 데이터 할당부, 버퍼 메모리, 리드 라이트 채널부, 헤드부, HDD 제어부

Description

복합형 기억 장치, 데이터 기입 방법 및 프로그램{HYBRID MEMORY DEVICE, DATA WRITING METHOD AND PROGRAM}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복합형 기억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HDD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복합형 기억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각 식별 정보의 의미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디렉토리 영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된 데이터가 복합형 기억 장치에 기입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제1 플로우차트.
도 7은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된 데이터가 복합형 기억 장치에 기입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제2 플로우차트.
도 8은 데이터 영역 A와 데이터 영역 B의 제1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데이터 영역 A와 데이터 영역 B의 제2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된 데이터가 복합형 기억 장치에 기입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제3 플로우차트.
도 11은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된 데이터가 복합형 기억 장치에 기입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제4 플로우차트.
도 12는 데이터 영역 A와 데이터 영역 B의 제3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된 데이터가 복합형 기억 장치에 기입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제5 플로우차트.
도 14는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된 데이터가 복합형 기억 장치에 기입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제6 플로우차트.
도 15는 기록 매체의 일부의 영역과, 불휘발성 기억 매체의 일부의 영역에 LBA가 중복하여 부여되어 있는 영역 X가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복합형 기억 장치
2 : 기록 매체
3 : 불휘발성 기억 매체
4 : 호스트 기기
10 : HDD
11 : 메모리
12 : 인터페이스부
13 : 기기 인식부
14 : 처리 유닛
15 : 변환부
16 : 데이터 할당부
20 : 헤드부
21 : 구동부
22 : 서보 제어부
23 : 리드 라이트 채널부
24 : 버퍼 메모리
25 : HDD 제어부
26 : 연산 처리부(CPU)
30 : 리드 라이트부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3-12337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3-125358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 2002-150699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개 2000-324435호 공보
본 발명은, 기록 매체와, 불휘발성 기억 매체를 구비하며, 공통되는 파일 시스템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기입 및 판독이 행하여지는 복합형 기억 장치와, 해당 복합형 기억 장치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이터 기입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 다.
하드디스크 장치(이하, HDD(Hard Disc Drive)라고 함)는, 퍼스널 컴퓨터(PC) 등의 외부 스토리지로서 이용되며, 기록 밀도의 향상에 수반하여, 대용량화가 진행되어, 최근 AV 홈 서버, 차량 탑재 기기 등의 다양한 컨슈머 AV 기기에의 응용이 실현 및 기대되고 있다.
또한, HDD는, 디스크의 소직경화가 진행되어,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나, 휴대 음악 플레이어 등의 모바일 기기에서는, 1.8inch 및 1inch 오더의 HDD의 활용이 예상되고 있다.
한편, 플래시 메모리로 대표되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는, 저소비 전력, 고속 기동, 내충격성 등의 이점이 있으며, 1GB를 초과하는 대용량화가 진행되고 있어, 용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어플리케이션에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모바일 기기에 응용하는 소형 스토리지로서는, 특히, 저코스트, 대용량, 저소비 전력, 고속 응답성 등이 요구된다.
그러나, HDD는, 데이터의 기록 재생이 가능하게 되는, 소위 기동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전원의 투입으로부터 몇 초를 필요로 한다. 한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서는, 순식간에 기동 상태로 할 수 있어 즉응성이 우수하며, 예를 들면, 기기의 전원을 투입한 순간부터 데이터의 기록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HDD를 항상 아이들 상태(기록 재생의 대기 상태)로 해 두면, 쓸데없는 소비 전력이 발생하여, 전원 용량에 한계가 있는 모바일 기기에서는 전원 효율이 나빠지게 된다. 또한, 트랙 상에 결함 섹터가 발생한 경우에는, HDD에서는 대체 처리에 의해 전송 속도가 열화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HDD의 단점을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이점으로 보충하는, HDD와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융합시킨 하이브리드 스토리지의 개발이 기대된다. 본원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하이브리드 스토리지를 하나의 파일 시스템에서 관리하고, 활용하는 구성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것을 제안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내지 4 참조).
예를 들면, 종래에는, HDD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나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 데이터는, HDD의 소정 영역에 저장되어 있어, HDD가 기동 상태로 되지 않으면 판독할 수 없었다. 따라서, HDD로부터 그 시스템 데이터를 판독할 때까지는, 기기의 전원이 투입된 후에도 얼마동안 기기의 사용을 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에서는, 시스템 데이터를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 저장하는 구성으로 하여, 기기의 전원이 투입된 직후부터 사용 상태로 할 수 있는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HDD에서는,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할 수 있도록 될 때까지, 몇 초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HDD가 기동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특허 문헌 2에서는, 데이터의 기록 시에서는, 선두부터 소정 시간의 데이터를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 기입하고, 그 후의 데이터를 기동 후의 HDD에 기입하며, 또한, 데이터의 재생 시에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그 후의 데이터를 기동 후의 HDD로부터 판독하는 구성으로 하여, 기기의 전원이 투입된 직후부터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할 수 있 는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인용 문헌 3에는, 결함 섹터에 대해서도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스페어 영역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전송 속도의 열화를 방지하는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HDD를 비디오 카메라 등에 이용한 경우, 기록 중에 낙하나 충격 등으로 돌연 전원의 차단이 발생하여, 파일 시스템이 등록되지 않았을 때에는, 데이터의 재생 동작이 불능으로 되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HDD의 소정의 영역에 정기적으로 파일 시스템을 갱신할 필요가 있지만, 파일 시스템의 갱신에 의해 기록 속도가 현저하게 저하하게 된다. 따라서, 인용 문헌 4에는, 파일 시스템을 갱신하는 영역을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 할당하여, 전송 속도의 열화를 발생시키지 않고, 데이터의 보호를 행하는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과도적인 상태의 데이터 영역으로서만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하고, 정상 상태에서는 HDD를 이용하면, 소용량의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와 대용량의 HDD를 조합함으로써, 저코스트로 퍼포먼스가 양호한 스토리지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런데, 하이브리드 스토리지에서는, 저코스트로 억제하기 위해 가능한 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용량을 적게 하여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당연히, 하이브리드 스토리지를 이용하는 호스트 기기가, HDD 영역과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영역을 의식하지 않고 소비(기입)하면, 그 장점을 살리기 전에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영역을 다 쓰게 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스토리지의 응용으로서, 호스트 기기에는, DSC, 휴대 음악 플레이어, 비디오 카메라 등이 생각된다. 최근의 DSC 등은, PC와의 접속이 가능하여, PC 상에서 DSC 등에 내장되어 있는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판독하거나, PC측으로부터 기입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DSC 등에서 기록된 리무버블 스토리지를 PC에 접속하여, 상기 리무버블 스토리지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할 수도 있다.
그러나, PC 등의 범용 기기에서는, 소정의 파일 시스템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관리를 행하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스토리지 내의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영역과 HDD 영역을 각각 인식할 수 없다. 즉, PC 등의 범용 기기에서는, 하이브리드 스토리지를 하나의 스토리지로밖에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데이터를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영역에 기록을 개시하여, 그 메모리 영역이 데이터로 기록 완료된 경우에, HDD 영역에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는 구성이나, 또는, HDD가 기동 상태로 된 후에 HDD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하여, 그 HDD 영역이 기록 완료된 경우에,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영역에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하이브리드 미디어의 장점을 살릴 수 없게 된다.
또한, HDD나 불휘발성 고체 메모리에 기입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나, 중요한 데이터에 대하여, 간이하게 백업하기 위한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호스트 기기가 DSC 등의 전용 기기인 경우에는 물론, PC 등의 범용 기기인 경우에도, 장점을 살려서 데이터의 기록 재생이 행하여지 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영역과 HDD 영역을 아울러 갖는 복합형 기억 장치와, 해당 복합형 기억 장치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이터 기입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억 장치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와,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인식 수단에 의한 인식 결과와, 제1 물리 어드레스와 제2 물리 어드레스를 관리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제1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제2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가 동일한 논리 어드레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논리 어드레스마다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식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 수단과, 정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변환 수단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수단과, 데이터 할당 수단에 의해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거나, 또는/및 데이터 할당 수단에 의해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 된 데이터를,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기입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입 방법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 및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3 데이터 영역 및 제4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복합형 기록 장치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이터 기입 방법으로서,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공정과, 인식 공정에 의한 인식 결과와, 제1 물리 어드레스와 제2 물리 어드레스를 관리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제1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제2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가 동일한 논리 어드레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논리 어드레스마다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식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 공정과,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공정과, 변환 공정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공정과,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거나, 또는/및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 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기입 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 및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3 데이터 영역 및 제4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복합형 기록 장치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공정과, 인식 공정에 의한 인식 결과와, 제1 물리 어드레스와 제2 물리 어드레스를 관리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제1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제2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가 동일한 논리 어드레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논리 어드레스마다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식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 공정과,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공정과, 변환 공정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공정과,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거나, 또는/및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기입 공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억 장치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와,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인식 수단에 의한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물리 어드레스와 제2 물리 어드레스를 관리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제1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제2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가 동일한 논리 어드레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논리 어드레스에 데이터의 기입을 거부하는 취지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1 식별 정보 테이블, 또는 제1 식별 테이블과, 논리 어드레스 중 제2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논리 어드레스마다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을 판독하는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수단과,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제1 식별 정보 테이블, 또는 제1 식별 정보 테이블과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 수단과, 정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변환 수단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수단과, 데이터 할당 수단에 의해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거나, 또는/및 데이터 할당 수단에 의해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기입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입 방법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 및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3 데이터 영역과 제4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복합형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이터 기입 방법으로서,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공정과, 인식 공정에 의한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물리 어드레스와 제2 물리 어드레스를 관리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제1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제2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가 동일한 논리 어드레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논리 어드레스에 데이터의 기입을 거부하는 취지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1 식별 정보 테이블, 또는 제1 식별 테이블과, 논리 어드레스 중 제2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논리 어드레스마다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을 판독하는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과,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제1 식별 정보 테이블, 또는 제1 식별 정보 테이블과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 공정과,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 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공정과, 변환 공정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공정과,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거나, 또는/및 데이터 할당 수단에 의해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기입 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 및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3 데이터 영역과 제4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복합형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공정과, 인식 공정에 의한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물리 어드레스와 제2 물리 어드레스를 관리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제1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제2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가 동일한 논리 어드레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논리 어드레스에 데이터의 기입을 거부하는 취지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1 식별 정보 테이블, 또는 제1 식별 테이블과, 논리 어드레스 중 제2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논리 어드레스마다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식 별 정보 테이블을 판독하는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과,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제1 식별 정보 테이블, 또는 제1 식별 정보 테이블과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 공정과,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공정과, 변환 공정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공정과,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거나, 또는/및 데이터 할당 수단에 의해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기입 공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억 장치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와,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인식 수단에 의한 인식 결과에 따라서, 제1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제1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제1 논리 어드레스에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1 식별 정보 테이블과, 제2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고, 제1 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동일한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는 제2 논리 어드 레스로 구성되며, 제2 논리 어드레스에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을 판독하는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수단과,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제1 식별 정보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제1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제1 정보 선택 수단과, 인식 수단에 의한 인식 결과에 따라서,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제2 식별 정보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제2 정보 선택 수단과, 제1 정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1 논리 어드레스와, 제2 정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서로 대응시킨 변환 테이블을 생성하는 변환 테이블 생성 수단과, 제1 정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1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제2 정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변환 수단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수단과, 데이터 할당 수단에 의해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1 기입 수단과, 데이터 할당 수단에 의해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2 기입 수단과, 제2 기입 수단에 의해 제2 데이터 영역에 기입된 데이터를, 변환 테이블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한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3 기입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입 방법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복합형 기억 장치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이터 기입 방법으로서,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공정과, 인식 공정에 의한 인식 결과에 따라서, 제1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제1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제1 논리 어드레스에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1 식별 정보 테이블과, 제2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고, 제1 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동일한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는 제2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제2 논리 어드레스에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을 판독하는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과,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제1 식별 정보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제1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제1 정보 선택 공정과, 인식 공정에 의한 인식 결과에 따라서,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제2 식별 정보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제2 정보 선택 공정과, 제1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제1 논리 어드레스와, 제2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서로 대응시킨 변환 테이블을 생성하는 변환 테이블 생성 공정과, 제1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제1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제2 정보 선택 공정에 서 선택된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공정과, 변환 공정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공정과,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변환 공정에서 변환된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1 기입 공정과,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변환 공정에서 변환된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2 기입 공정과, 제2 기입 공정에 의해 제2 데이터 영역에 기입된 데이터를, 변환 테이블 생성 공정에서 생성한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3 기입 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복합형 기억 장치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공정과, 인식 공정에 의한 인식 결과에 따라서, 제1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제1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제1 논리 어드레스에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1 식별 정보 테이블과, 제2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고, 제1 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동일한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는 제2 논리 어드 레스로 구성되며, 제2 논리 어드레스에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을 판독하는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과,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제1 식별 정보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제1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제1 정보 선택 공정과, 인식 공정에 의한 인식 결과에 따라서,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제2 식별 정보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제2 정보 선택 공정과, 제1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제1 논리 어드레스와, 제2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서로 대응시킨 변환 테이블을 생성하는 변환 테이블 생성 공정과, 제1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제1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제2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공정과, 변환 공정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공정과,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변환 공정에서 변환된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1 기입 공정과,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변환 공정에서 변환된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2 기입 공정과, 제2 기입 공정에 의해 제2 데이터 영역에 기입된 데이터를, 변환 테이블 생성 공정에서 생성한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3 기입 공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은,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를 탑재한 하드디스크 기억 장치(Hard Disc Drive, HDD)와 FLASH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기억 매체를 갖고, 소정의 파일 시스템에 기초하여, HDD의 데이터 영역과 불휘발성 기억 매체의 데이터 영역을 일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일체적인 데이터 영역으로서 취급하는 복합형 기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파일 시스템으로서 MS-DOS 호환 FAT 파일 시스템을 채용한 예에 대한 설명을 행한다.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소정의 데이터 사이즈마다 어드레스(이하, 물리 어드레스라고 함)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영역 A로 이루어지는 기록 매체(2)를 갖는 HDD(10)와, 소정의 데이터 사이즈마다, 그 데이터 영역 A의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일련의 어드레스(이하, 메모리 어드레스라고 함)이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영역 B와, 소정의 어드레스(이하, 논리 어드레스라고 함)마다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식별 정보 테이블로 이루어지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3)를 갖는 메모리부(11)와, 호스트 기기(4)를 인식하는 기기 인식부(13)와, 불휘발성 기억 매체(3)로부터 식별 정보 테이블을 판독하고, 기기 인식부(13)에 의한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처리 유닛(14)과, 처리 유닛(14)에서 선택된 논리 어드레스를 소정의 테이블에 기초하여, 데이터 영역 A에 대응하는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거나, 혹은 데이터 영역 B에 대응하는 메모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부(15)와, 변환부(15)에서 변환되는 물리 어드레스 혹은 메모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호스트 기기(4)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HDD(10) 또는 메모리부(11)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부(16)를 구비하며, IDE, SCSI, FC 또는 USB 등의 규격을 채용하는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하여, 전용기 또는 범용기 등의 호스트 기기(4)가 접속된다. 또한, 데이터 영역 A 및 데이터 영역 B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8, 도 9 및 도 12와 함께 후술한다.
여기서, 전용기란, 복합형 기억 장치(1)의 장점을 살려서 효율적으로 기록 재생 처리를 행하는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음악 플레이어 등의 어플리케이션 기기로서, 예를 들면, 기동 시에 Identify Device Command(ATA 규격)를 접속되어 있는 복합형 기억 장치(1)에 발행하고, 그 복합형 기억 장치(1)에 관한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여, 그 복합형 기억 장치(1)가 기록 매체(2)와 불휘발성 기억 매체(3)의 복합형 기억 장치인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기기를 말한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 전용기란, 복합형 기억 장치(1)를 인식 가능, 즉 HDD(10)와 메모리부(11)를 구별할 수 있는 기기를 말한다.
한편, 범용기는, 고유의 파일 시스템에 따라서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기기로서, 그 파일 시스템에서 규정되어 있지 않은 구성의 기억 장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는 기기를 말한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 범용기란, 복합형 기억 장치(1)를 인식 불가, 즉 HDD(10)와 메모리부(11)를 구별할 수 없어, 복합형 기억 장치(1)를 단일의 데이터 영역이라고 인식하는 기기를 말한다.
HDD(1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록 매체(2)에 데이터를 기입하고,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는 헤드부(20)와, 기록 매체(2)를 소정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수로 구동하는 구동부(21)와, 헤드부(20)와 구동부(21)를 제어하는 서보 제어부(22)와, 헤드부(20)와 접속되어 있으며,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리드 라이트 채널부(23)와, 일시적으로 데이터가 버퍼링되는 버퍼 메모리(24)와, 서보 제어부(22)와 리드 라이트 채널부(23)를 제어하는 HDD 제어부(25)와, 소정의 연산을 행하여, 서보 제어부(22) 및 리드 라이트 채널부(23) 등에 필요한 커맨드 및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동작시키는 연산 처리부(CPU)(26)와, 데이터가 기입되고, 기입된 데이터가 판독되는 기록 매체(2)를 구비한다.
서보 제어부(22)는, 기록 매체(2)를 소정 방향으로 소정 속도로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동부(21)를 제어하며, 또한, 변환부(15)로부터 공급되는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록 매체(2) 상의 소정의 장소에 액세스하기 위해 헤드부(20)의 구동을 제어한다.
리드 라이트 채널부(23)는, 데이터의 기입 동작 시에, 데이터 할당부(16)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를 부호화(변조)하고, 기록 재생계의 특성에 적합한 디지털 비트 계열로 변환한 후, 변환 후의 데이터를 헤드부에 공급한다. 또한, 리드 라이트 채널부(23)는, 데이터의 판독 동작 시에, 헤드부(20)로부터 공급된 재생 신호로부터 고역 노이즈를 제거한 후에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C)에 의해 디지털화하고, 최우 복호법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한 후, 복조를 행한다.
버퍼 메모리(24)는, 데이터의 기입 시에서, HDD 제어부(25)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 할당부(16)를 통하여 호스트 기기(4)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버퍼링되어, 데이터가 소정량에 도달했을 때에, 데이터가 판독되며, 판독된 데이터가 리드 라이트 채널부(23)에 공급된다. 또한, 버퍼 메모리(24)는, 데이터의 판독 시에서, HDD 제어부(25)의 제어에 의해, 리드 라이트 채널부(23)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버퍼링되어, 데이터가 소정량에 도달했을 때에, 데이터가 판독되며, 판독된 데이터가 데이터 할당부(16) 및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하여 호스트 기기(4)에 공급된다. 또한, 버퍼링 메모리(24)는, 데이터의 판독 시 및 기입 시에, 일시적으로 데이터의 버퍼링을 행하여 전송 속도의 차이에 의한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있다.
HDD 제어부(25)는, 버퍼 메모리(24)와 리드 라이트 채널부(23) 사이, 및 버퍼 메모리(24)와 데이터 할당부(16)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후술하는 FAT 파일 시스템에 의해 관리하며, 데이터의 포맷에 관계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HDD 제어부(25)는, 해당 처리를 행할 때에, 오류 정정 부호에 의한 부호화, 오류 검출 및 오류 정정에 관계되는 처리도 아울러 행한다.
또한, 기록 매체(2)는,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이며, FAT 파일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고 있고, 포맷에 의해 소정의 데이터 사이즈마다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영역 A를 갖는다.
메모리부(1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환부(15)에 의해 변환된 메모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데이터 할당부(16)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불휘발성 기억 매체(3)에 기입하고, 기입한 데이터를 판독하는 리드 라이트부(30)와, 불휘발성 기억 매체(3)를 갖는다.
불휘발성 기억 매체(3)는, 예를 들면, FAT 파일 시스템이 채용되어 있는 NAND형 FLASH 메모리 카드(Memory Stick, Compact Flash, SD Card 등)이며, 소정의 데이터 사이즈마다, 기록 매체(2)의 데이터 영역 A의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일련의 어드레스(메모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영역 B와, 메모리 어드레스마다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식별 정보 테이블을 갖는다.
본원 발명에서는, 기록 매체(2)의 데이터 영역 A와, 불휘발성 기억 매체(3)의 데이터 영역 B가 FAT(File Allocation Table) 파일 시스템에 의해 통합되어, 일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일체적인 데이터 영역으로서 관리되고 있다.
여기서, FAT 파일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FAT란, 파일이 클러스터에 어떻게 저장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말하며, 그 테이블에 의해 호스트 기기(4)를 관리하고 있는 포맷 시스템을 말한다. 포맷은, 데이터의 기억 영역을 소정 사이즈의 영역마다 구획 정리하여 번호(물리 어드레스)를 매기는 작업을 말하며, 기록 매체(2)에 형성되어 있는 트랙을 섹터라고 하는 영역으로 분할하는, 소위 물리 포맷과, 복수의 섹터를 클러스터라고 하는 단위로 통합하여, 시스템 영역 C, 디스크 영역, 데이터 영역을 작성하는, 소위 논리 포맷에 의해 완료된다.
또한, 1섹터는, 기록 매체(2)에서 데이터를 기록하는 최소의 단위(보통 512byte)이며, 본 발명에서도 이것을 최소 단위로 한다. 호스트 기기(4)는, 기록 매체(2)에 대하여 논리 블록 어드레스(LBA)를 이용하여 액세스를 행한다. 또한, 파일을 관리하는 FAT 파일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섹터(N개)를 1클러스터로 하고, 이것을 데이터의 기입 및 판독의 최소 단위로 하고 있다.
포맷에 의해 생성된 시스템 영역 C는, 마스터 부트 레코드와 FAT가 기입되는 FAT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마스터 부트 레코드는, 호스트 기기(4)로부터 보아 LBA 「0」의 섹터이며, 부트 스트랩 코드나 파티션 테이블이 기록되어 있다.
FAT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의 빈 정보 등의 소정의 정보가 각 식별 정보로 나타내어져 있다. 예를 들면, 식별 정보 「0000h」는, 대응하는 클러스터는 「빈」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고, 또한, 식별 정보 「0002h∼FFF6h」는, 대응하는 클러스터는 「할당 완료」된 상태이며, 또한, 대응하는 값은, 다음에 계속되는 클러스터 번호인 것을 나타내고 있고, 또한, 식별 번호 「FFF7h」는, 대응하는 클러스터는 「결함 클러스터」인 것을 나타내고 있고, 또한, 식별 번호 「FFF8h∼FFFFh」는, 대응하는 클러스터는 「할당 완료」된 상태인 파일 엔드(End Of File, EOF)를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영역은, 파일의 정보를 관리하는 디렉토리 영역과, 실제의 데이터가 기입되는 데이터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디렉토리 영역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디렉토리(각 파일)에 관하여, 파일명, 확장자, 속성, 최신 갱신 시간, 개시 클러스터 어드레스 및 파일 사이즈의 정보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복합형 기억 장치(1)의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 최초로 판독되는 시스템 영역 C를, 전원 투입 후, 데이터의 액세스가 가능하게 될 때까지 소정 시간을 필요로 하는 HDD(10)가 아니라, 순식간에 데이터의 액세스가 가능한 불휘발성 기억 매체(3)에 형성한다.
따라서, HDD(10)의 기록 매체(2)는, 소정의 데이터 사이즈마다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영역 A를 갖고 이루어지며, 메모리부(11)의 불휘발성 기억 매체(3)는, 소정의 데이터 사이즈마다 메모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영역 B와, 데이터 영역 A의 물리 어드레스와 데이터 영역 B의 메모리 어드레스와 대응지어져 있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어 있는 FAT를 포함하는 시스템 영역 C를 갖고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복합형 기록 장치(1)에 호스트 기기(4)가 접속되고, 전원이 투입된 직후에, 시스템 영역 C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기 인식부(13)는, 인터페이스부(12)에 접속되어 있는 호스트 기기(4)가, HDD(10)와 메모리부(11)를 각각 구별할 수 있는 전용기인지, HDD(10)와 메모리부(11)를 각각 구별할 수 없는 범용기인지를 인식한다. 기기 인식부(13)는, 인식 결과를 처리 유닛(14)에 공급한다.
처리 유닛(14)은, 연산 처리를 행하는 CPU와, 데이터의 일시 보존에 이용되는 RAM을 구비하며, 불휘발성 기억 매체(3)에 저장되어 있는 시스템 영역 C로부터 FAT를 판독하고, 판독한 FAT의 선택 포인터를 기기 인식부(13)로부터 공급되는 인식 결과에 따라서 이동시켜,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한다. 처리 유닛(14)은, 선택한 논리 어드레스를 변환부(15)에 공급한다.
변환부(15)는,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그 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물리 어드레스 또는 메모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어드레스 변환 테이블을 갖는다. 변환부(15)는, 변환 후의 어드레스가 물리 어드레스 일 때에 는, 그 물리 어드레스를 HDD(10)에 공급하고, 변환부의 어드레스가 메모리 어드레스일 때에는, 그 메모리 어드레스를 메모리부(11)에 공급한다. 또한, 변환부(15)는, 변환 결과를 데이터 할당부(16)에 공급한다.
데이터 할당부(16)는, 변환부(15)로부터 공급된 변환 결과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하여 호스트 기기(4)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HDD(10) 또는 메모리부(11)에 할당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할당부(16)는, 변환부(15)로부터, 논리 어드레스를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한 취지의 정보가 공급된 경우에는,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하여 호스트 기기(4)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HDD(10)에 할당하고, 한편, 논리 어드레스를 메모리 어드레스로 변환한 취지의 정보가 공급된 경우에는,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하여 호스트 기기(4)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메모리부(11)에 할당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합형 기억 매체(1)는, 물리 어드레스로서 0002h 내지 7FFFh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영역 A를 갖는 기록 매체(2)와, 메모리 어드레스로서 8000h 내지 8FFFh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영역 B를 갖고, 또한 소정의 FAT를 포함하는 시스템 영역 C를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3)로 이루어진다.
또한, FAT는, 예를 들면, 데이터 영역 A와 데이터 영역 B를 일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일체적으로 취급하기 위해서, 데이터 영역 A에 대응하는 논리 어드레스로서 0000h 내지 7FFFh가 부여되고, 데이터 영역 A와 연속되도록, 데이터 영역 B에 대응하는 논리 어드레스로서 8000h 내지 8FFFh가 부여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해당 FAT에 따라서, 데이터의 기입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영역 A가 모두 「할당 완료」로 되었을 때에 데이터 영역 B에 데이터가 기입되게 된다.
또한, 포맷에 의해 형성되는 1섹터의 용량을 512Byte로 하고, 64섹터로 1클러스터를 구성하면, 1클러스터의 용량은,
64×512B≒32KB
로 되며, 기록 매체(2)의 데이터 영역 B의 데이터 용량은,
32KB×32767≒1GB
로 된다. 또한, 불휘발성 기억 매체(3)의 데이터 영역 B의 용량은, 4096클러스터에 상당하므로,
32KB×4096≒128MB
로 된다.
또한, 도 8에는, 호스트 기기(4)로부터 공급된 파일(File1)이, 클러스터 마다 분할되어, 데이터 영역 A에 기입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파일을 판독할 때에는, 디렉토리 영역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파일명을 검색하여, 「File1」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데이터로부터 제1 클러스터의 선두를 나타내는 논리 어드레스를 추출하며, 그 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FAT를 참조하여, 데이터 영역 B로부터 File1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판독함으로써, 데이터의 판독을 행한다.
또한, 복합형 기억 매체(1)는, 인터페이스부(12)에 호스트 기기(4)가 접속되 었을 때에, 기기 인식부(13)에서 그 호스트 기기(4)가 전용기인지 범용기인지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따라서 처리 유닛(14)에서 데이터의 기입 동작을 제어한다. 복합형 기억 장치(1)는, 인터페이스부(12)에 전용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행하고, 한편, 인터페이스부(12)에 범용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12)에 전용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복합형 기억 매체(1)의 데이터의 기입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T1에서, 복합형 기억 매체(1)는,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T2로 진행하며,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T7로 진행한다.
기록 매체(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보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서 구동부(21)에 의한 회전 구동이 개시되어,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여, 데이터의 기입이 가능하게 될 때까지 몇 초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될 때까지, 데이터 할당부(16)를 제어하여 전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불휘발성 기억 매체(2)의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하고,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된 경우에, 데이터 할당부(16)를 제어하여 전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기록 매체(2)의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한다.
스텝 ST2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B의 선두로부터 빈 클러스터를 검출한다. 처리 유닛(14)은, 데이터 영역 B로부터 FAT를 판독하고, 판독한 FAT를 RAM에 전개한다. 처리 유닛(14)은, 기기 인식부(13)로부터 공급된 인식 결과에 의해 호스트 기기(4)가 전용기인 것으로 인식하고, 선택 포인터를 RAM에 전개되어 있는 FAT의 논리 어드레스 8000h의 위치로 이동시켜, 그 선택 포인터에 의해 논리 어드레스 8000h로부터 논리 어드레스 8FFFh를 향하여 빈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검색한다.
스텝 ST3에서, 처리 유닛(14)은, 검출한 빈 영역에 의한 기입 개시 위치의 논리 어드레스와, 전송되는 데이터의 길이와, 기입 동작을 명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변환부(15)에 공급한다.
스텝 ST4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B의 소정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변환부(15)는, 어드레스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메모리 어드레스로 변환하고, 변환된 메모리 어드레스를 메모리부(11)에 공급한다. 또한, 변환부(15)는,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메모리 어드레스로 변환한 취지를 데이터 할당부(16)에 통지한다.
데이터 할당부(16)는, 변환부(15)로부터의 통지에 따라서,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하여 공급되는 데이터를 메모리부(11)에 할당한다. 메모리부(11)는, 변환부(15)로부터 공급된 메모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데이터 할당부(16)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한 다.
스텝 ST5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한 후,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스텝 ST6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종료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종료하는 경우에는, 스텝 ST12로 진행하며, 데이터의 기입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스텝 ST1로 되돌아간다. 또한, 스텝 ST1로 되돌아가서,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스텝 ST2 내지 스텝 ST5를 반복하여 행한다.
스텝 ST7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A의 선두로부터 빈 클러스터를 검출한다. 처리 유닛(14)은, 선택 포인터를 RAM에 전개되어 있는 FAT의 논리 어드레스 0002h의 위치로 이동시켜, 그 선택 포인터에 의해 논리 어드레스 0002h로부터 논리 어드레스 8FFFh를 향하여, 빈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처리 유닛(14)은, 도시하지 않은 기록 매체(2)의 기동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로부터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된 취지의 정보를 받아, 스텝 ST7로 진행해도 된다.
스텝 ST8에서, 처리 유닛(14)은, 검출한 빈 영역에 의한 기입 개시 위치의 논리 어드레스와,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의 길이와, 기입 동작을 명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변환부(15)에 공급한다.
스텝 ST9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A의 소정의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변환부(15)는, 어드레스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고, 변환된 물리 어드레스를 HDD(10)에 공급한다. 또한, 변환부(15)는,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한 취지를 데이터 할당부(16)에 통지한다.
데이터 할당부(16)는, 변환부(15)로부터의 통지에 따라서,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하여 공급되는 데이터를 HDD(10)에 할당한다. HDD(10)는, 변환부(15)로부터 공급된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데이터 할당부(16)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T10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한 후,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스텝 ST11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종료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의 기입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스텝 ST12로 진행하며, 데이터의 기입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스텝 ST7로 되돌아가서, 스텝 ST8 내지 스텝 ST11을 반복한다.
스텝 ST12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스텝 ST2 내지 스텝 ST4에 의해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한 신규 데이터, 및 스텝 ST7 내지 스텝 ST9에 의해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한 신규 데이터에 대응하여 FAT 및 디렉토리를 갱신한다.
또한, 복합형 기억 매체(1)에 기입된 데이터는, 기입된 순서대로 판독되게 되기 때문에, 각 파일의 선두 데이터가 데이터 영역 A에 기입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데이터의 판독 동작에서, 기록 매체(2)의 기동을 대기하지 않으면 데이터의 판독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의 기입 동작에서,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의 유무에 상관없이, 전용기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소정 시간만큼, 즉, 기록 매체(2)의 기동에 요하는 시간만큼, 자동적으로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하도록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B로부터 각 파일의 선두의 데이터를 판독하며, 그 선두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있을 때에 기록 매체(2)의 기동 작업을 행하여, 그 선두의 데이터와 연결 관계에 있는 데이터를 기동 후의 데이터 영역 A로부터 판독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 시간을 설정하지 않고 순식간에 데이터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터페이스부(12)에 범용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복합형 기억 장치(1)의 데이터의 기입 처리에 대하여 도 7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스텝 ST20에서, 복합형 기억 매체(1)는, 데이터 영역 A의 선두로부터 빈 클러스터를 검출한다. 복합형 기억 매체(1)는,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의 완료를 대기하여, 데이터 영역 A의 선두로부터 빈 클러스터의 검출을 행한다.
처리 유닛(14)은, 데이터 영역 B로부터 FAT를 판독하고, 판독한 FAT를 RAM에 전개한다. 처리 유닛(14)은, 선택 포인터를 RAM에 전개되어 있는 FAT의 논리 어드레스 0002h의 위치로 이동시켜, 그 선택 포인터에 의해 논리 어드레스 0002h로부터 논리 어드레스 8FFFh를 향하여, 빈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검색한다.
스텝 ST21에서, 처리 유닛(14)은, 검출한 빈 영역에 의한 기입 개시 위치의 논리 어드레스와, 전송되는 데이터의 길이와, 기입 동작을 명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변환부(15)에 공급한다.
스텝 ST22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A의 소정의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변환부(15)는, 어드레스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고, 변환된 물리 어드레스를 HDD(10)에 공급한다. 또한, 변환부(15)는,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한 취지를 데이터 할당부(16)에 통지한다.
데이터 할당부(16)는, 변환부(15)로부터의 통지에 따라서,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하여 공급되는 데이터를 HDD(10)에 할당한다. HDD(10)는, 변환부(15)로부터 공급된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데이터 할당부(16)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T23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한 후,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스텝 ST24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종료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의 기입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스텝 ST25로 진행하며, 데이터의 기입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스텝 ST20으로 되돌아가서, 스텝 ST20 내지 스텝 ST24를 반복한다.
스텝 ST25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한 신규 데이터에 대응하여 FAT 및 디렉토리를 갱신한다.
또한, 스텝 ST1 내지 스텝 ST12 및 스텝 ST20 내지 스텝 ST25를 프로그램화하여, 그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실행함으로써 복합형 기억 장치(1)에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행하게 해도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불휘발성 기억 매체(3)의 데이터 영역 B가 데이터 영역 A 뒤에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전용기에 의한 데이터 영역 B에의 데이터의 기입 처리는, 데이터 영역 A의 전체 영역이 「할당 완료」로 될 때까지 행하여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록 매체(1)는, 호스트 기기(4)의 종류에 따라서 데이터 영역에의 기입 동작을 제한하므로, 범용기에 의해 데이터의 기입 동작이 행하여진 경우에도, 데이터 영역 B의 전체 영역이 「할당 완료」로 되지 않는 한 데이터 영역 A에는 데이터가 기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록 매체(1)는, 범용기에서 데이터의 기입 동작이 행하여진 후라도, 전용기에 의해, 비트 코스트가 저렴한 기록 매체(2)와, 고속 응답성, 저소비 전력 등에 우위성이 있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3)를, 각각의 특성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데이터의 기입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록 매체(1)는, 데이터의 재생 시에는 데이터 영역 B에 저장되어 있는 FAT로부터 연결 정보를 찾음으로써, 인터페이스부(12)에 접속되어 있는 호스트 기기(4)가 범용기라도 데이터의 판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용기에 의해 기입한 데이터를 범용기에서 판독할 수 있으며, 또한, 범용기에 의해 기입한 데이터를 전용기에서 판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기기(4)가 범용기이었던 경우에는, 데이터의 기입 시에는, 데이터 영역 B에 데이터의 기입을 금지하고, 한편, 호스트 기기(4)가 전용기이었던 경우에는, 데이터의 기입 시에는, 통상과 같이, 데이터 영역 B에도 데이터의 기입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물리 어드레스로서 0000h 내지 7FFFh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영역 A를 갖는 기록 매체(2)와, 메모리 어드레스로서 8000h 내지 8FFFh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영역 B를 갖고, 또한 제1 FAT와 제2 FAT를 포함하는 시스템 영역 C를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3)로 이루어진다.
제1 FAT는,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기화 시 또는 공장 출하 시에, 데이터 영역 A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논리 어드레스)로서, 0000h 내지 7FFFh가 부여되고, 데이터 영역 B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논리 어드레스)로서, 8000h 내지 8FFFh가 부여되며, 또한, 논리 어드레스 8000h 내지 8FFFh에 데이터의 기입을 금지하는 취지의 식별 정보, 예를 들면,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데이터 영역 외라는 취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9000h 내지 FFFFh), EOF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FFF8h 내지 FFFFh) 또는 결함 클러스터라는 취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FFF7h)가 기입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제2 FAT는,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기화 시 또는 공장 출하 시에, 데이터 영역 B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로서, 8000h 내지 8FFFh가 부여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12)에 전용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복합형 기억 매체(1)의 데이터의 기입 처리에 대하여 도 10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스텝 ST30에서, 복합형 기억 매체(1)는,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T31로 진행하며,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T36으로 진행한다.
기록 매체(2)는, 서보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서 구동부(21)에 의한 회전 구동이 개시되어,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여, 데이터의 기입이 가능하게 될 때까지 몇 초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될 때까지, 데이터 할당부(16)를 제어하여 전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불휘발성 기억 매체(2)의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하고,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된 경우에, 데이터 할당부(16)를 제어하여 전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기록 매체(2)의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한다.
스텝 ST31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B의 선두로부터 빈 클러스터를 검출한다. 처리 유닛(14)은, 데이터 영역 B로부터 제1 FAT 및 제2 FAT를 판독하고, 판독한 제1 FAT 및 제2 FAT를 RAM에 전개한다. 처리 유닛(14)은, 기기 인식부(13)로부터 공급된 인식 결과에 의해 호스트 기기(4)가 전용기인 것으로 인식하고, 선택 포인터를 RAM에 전개되어 있는 제2 FAT의 논리 어드레스 8000h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선택 포인터에 의해 논리 어드레스 8000h로부터 논리 어드레스 8FFFh를 향하여 빈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검색한다.
스텝 ST32에서, 처리 유닛(14)은, 검출한 빈 영역에 의한 기입 개시 위치의 논리 어드레스와, 전송되는 데이터의 길이와, 기입 동작을 명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변환부(15)에 공급한다.
스텝 ST33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B의 소정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변환부(15)는, 어드레스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메모리 어드레스로 변환하고, 변환된 메모리 어드레스를 메모리부(11)에 공급한다. 또한, 변환부(15)는,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메모리 어드레스로 변환한 취지를 데이터 할당부(16)에 통지한다.
데이터 할당부(16)는, 변환부(15)로부터의 통지에 따라서,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하여 공급되는 데이터를 메모리부(11)에 할당한다. 메모리부(11)는, 변환부(15)로부터 공급된 메모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데이터 할당부(16)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한 다.
스텝 ST34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한 후,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스텝 ST35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종료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종료하는 경우에는, 스텝 ST41로 진행하며, 데이터의 기입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스텝 ST30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스텝 ST30으로 되돌아가서,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스텝 ST31 내지 스텝 ST34를 반복하여 행한다.
스텝 ST36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A의 선두로부터 빈 클러스터를 검출한다. 처리 유닛(14)은, 선택 포인터를 RAM에 전개되어 있는 제1 FAT의 논리 어드레스 0002h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선택 포인터에 의해 논리 어드레스 0002h로부터 논리 어드레스 8FFFh를 향하여, 빈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처리 유닛(14)은, 도시하지 않은 기록 매체(2)의 기동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로부터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된 취지의 정보를 받아, 스텝 ST36으로 진행해도 된다.
스텝 ST37에서, 처리 유닛(14)은, 검출한 빈 영역에 의한 기입 개시 위치의 논리 어드레스와,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의 길이와, 기입 동작을 명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변환부(15)에 공급한다.
스텝 ST38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A의 소정의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변환부(15)는, 어드레스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고, 변환된 물리 어드레스를 HDD(10)에 공급한다. 또한, 변환부(15)는,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한 취지를 데이터 할당부(16)에 통지한다.
데이터 할당부(16)는, 변환부(15)로부터의 통지에 따라서,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하여 공급되는 데이터를 HDD(10)에 할당한다. HDD(10)는, 변환부(15)로부터 공급된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데이터 할당부(16)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T39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한 후,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스텝 ST40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종료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의 기입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스텝 ST41로 진행하며, 데이터의 기입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스텝 ST36으로 되돌아가서, 스텝 ST37 내지 스텝 ST40을 반복한다.
스텝 ST41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스텝 ST31 내지 스텝 ST33에 의해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한 신규 데이터, 및 스텝 ST36 내지 스텝 ST38에 의해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한 신규 데이터에 대응하여 제1 FAT, 제2 FAT 및 디렉토리를 갱신한 다.
또한, 제1 FAT를 갱신할 때에 있어서, 초기화 시 또는 공장 출하 시에 데이터 영역 B에 대응하는 논리 어드레스에 기입된 데이터의 기입을 금지하는 취지의 식별 정보는, 제2 FAT의 논리 어드레스에 신규로 기입된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실제의 식별 정보)로 갱신된다. 따라서, 데이터 영역 A와의 연결도 발생하며, 데이터 영역 B 내에서의 연결도 발생한다. 또한, 결함 클러스터로서 등록되는 경우도 있으며, 기입 종료 시에는 EOF로서도 등록된다.
또한, 복합형 기억 매체(1)에 기입된 데이터는, 기입된 순서대로 판독되게 되기 때문에, 각 파일의 선두 데이터가 데이터 영역 A에 기입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데이터의 판독 동작에서, 기록 매체(2)의 기동을 대기하지 않으면 데이터의 판독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의 기입 동작에서,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의 유무에 상관없이, 전용기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소정 시간만큼, 즉, 기록 매체(2)의 기동에 요하는 시간만큼, 자동적으로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B로부터 각 파일의 선두의 데이터를 판독하며, 그 선두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있을 때에 기록 매체(2)의 기동 작업을 행하여, 그 선두의 데이터와 연결 관계에 있는 데이터를 기동 후의 데이터 영역 A로부터 판독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 시간을 설정하지 않고 순식간에 데이터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터페이스부(12)에 범용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복합형 기억 장치(1)의 데이터의 기입 처리에 대하여 도 11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스텝 ST50에서, 복합형 기억 매체(1)는, 데이터 영역 A의 선두로부터 빈 클러스터를 검출한다. 복합형 기억 매체(1)는,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의 완료를 대기하여, 데이터 영역 A의 선두로부터 빈 클러스터의 검출을 행한다.
처리 유닛(14)은, 데이터 영역 B로부터 제1 FAT를 판독하고, 판독한 제1 FAT를 RAM에 전개한다. 처리 유닛(14)은, 선택 포인터를 RAM에 전개되어 있는 제1 FAT의 논리 어드레스 0002h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선택 포인터에 의해 논리 어드레스 0002h로부터 논리 어드레스 8FFFh를 향하여, 빈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논리 어드레스 8000h부터 8FFFh까지는, 데이터의 기입을 금지하는 취지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 유닛(14)은, 논리 어드레스 0000h 내지 논리 어드레스 7FFFh에 「기입 완료」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신규 데이터의 기입을 행할 수 없다.
스텝 ST51에서, 처리 유닛(14)은, 검출한 빈 영역에 의한 기입 개시 위치의 논리 어드레스와, 전송되는 데이터의 길이와, 기입 동작을 명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변환부(15)에 공급한다.
스텝 ST52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A의 소정의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변환부(15)는, 어드레스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물리 어드레스 로 변환하고, 변환된 물리 어드레스를 HDD(10)에 공급한다. 또한, 변환부(15)는,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한 취지를 데이터 할당부(16)에 통지한다.
데이터 할당부(16)는, 변환부(15)로부터의 통지에 따라서,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하여 공급되는 데이터를 HDD(10)에 할당한다. HDD(10)는, 변환부(15)로부터 공급된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데이터 할당부(16)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T53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한 후,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스텝 ST54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종료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의 기입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스텝 ST55로 진행하며, 데이터의 기입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스텝 ST50으로 되돌아가서, 스텝 ST50 내지 스텝 ST54를 반복한다.
스텝 ST55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한 신규 데이터에 대응하여 제1 FAT 및 디렉토리를 갱신한다.
또한, 스텝 ST30 내지 스텝 ST41 및 스텝 ST50 내지 스텝 ST55를 프로그램화하여, 그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실행함으로써 복합형 기억 장치(1)에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행하게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록 매체(1)는, 호스트 기기(4)의 종류에 따라서 데이터 영역에의 기입 동작을 제한하므로, 범용기에 의해 데이터의 기입 동작이 행하여지는 경우에는, 데이터 영역 B의 전체 영역이 기입 금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기입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록 매체(1)는, 범용기에서 데이터의 기입 동작이 행하여진 후라도, 전용기에 의해, 비트 코스트가 저렴한 기록 매체(2)와, 고속 응답성, 저소비 전력 등에 우위성이 있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3)를, 각각의 특성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데이터의 기입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록 매체(1)는, 데이터의 재생 시에는 데이터 영역 B에 저장되어 있는 제1 FAT로부터 연결 정보를 찾음으로써, 인터페이스부(12)에 접속되어 있는 호스트 기기(4)가 범용기이어도 데이터의 판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용기에 의해 기입한 데이터를 범용기에서 판독할 수 있으며, 또한, 범용기에 의해 기입한 데이터를 전용기에서 판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기기(4)가 범용기이었던 경우에는, 데이터 영역 B에의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금지하고, 한편, 호스트 기기(4)가 전용기이었던 경우에는, 통상과 같이, 데이터 영역 B에도 데이터의 기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영역 B는, 전용기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유하는 것으로서 사용된다.
제3 실시예에서는, 복합형 기억 장치(1)는, 예를 들면, 소정의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영역 A를 갖는 기록 매체(2)와, 소정의 메모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영역 B를 갖고, 또한 제3 FAT와 제4 FAT를 포함하는 시스템 영역 C를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3)로 이루어진다.
제3 FAT는,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 A에 대응하는 소정의 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며, 제4 FAT는,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 B에 대응하는 소정의 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12)에 전용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복합형 기억 매체(1)의 데이터의 기입 처리에 대하여 도 13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스텝 ST60에서, 복합형 기억 매체(1)는,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T61로 진행하며,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T67로 진행한다.
기록 매체(2)는, 서보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서 구동부(21)에 의한 회전 구동이 개시되어,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여, 데이터의 기입이 가능하게 될 때까지 몇 초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될 때까지, 데이터 할당부(16)를 제어하여 전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불휘발성 기억 매체(2)의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하며,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된 경우에, 데이터 할당부(16)를 제어하여 전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기록 매체(2)의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한다.
스텝 ST61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A의 선두로부터 빈 클러스터를 검출한다. 처리 유닛(14)은, 데이터 영역 B로부터 제3 FAT를 판독하고, 판독한 제3 FAT를 RAM에 전개한다. 처리 유닛(14)은, 선택 포인터를 RAM에 전개되어 있는 제2 FAT의 소정의 논리 어드레스의 위치로 이동시켜, 그 소정의 논리 어드레스로부터 말미의 논리 어드레스를 향하여 빈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검색한다.
스텝 ST62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B의 선두로부터 빈 클러스터를 검출한다. 처리 유닛(14)은, 또한, 데이터 영역 B로부터 제4 FAT를 판독하고, 판독한 제4 FAT를 RAM에 전개한다. 처리 유닛(14)은, 기기 인식부(13)로부터 공급된 인식 결과에 의해 호스트 기기(4)가 전용기인 것으로 인식하고, 선택 포인터를 RAM에 전개되어 있는 제3 FAT 및 제4 FAT의 소정의 논리 어드레스의 위치로 이동시켜, 그 선택 포인터에 의해 상기 소정의 논리 어드레스로부터 말미의 논리 어드레스를 향하여 빈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검색한다. 처리 유닛(14)은, 검색한, 제3 FAT의 빈 영역을 나타내는 논리 어드레스와, 제4 FAT의 빈 영역을 나타내는 논리 어드레스가 대응지어진 변환 테이블을 생성한다. 생성된 변환 테이블은, 데이터 영역 B의 소정의 에리어에 기억된다.
스텝 ST63에서, 처리 유닛(14)은, 제4 FAT로부터 검출한 빈 영역에 의한 기입 개시 위치의 논리 어드레스와, 전송되는 데이터의 길이와, 기입 동작을 명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변환부(15)에 공급한다.
스텝 ST64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B의 소정의 메모리 어 드레스에 대응하는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변환부(15)는, 어드레스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메모리 어드레스로 변환하고, 변환된 메모리 어드레스를 메모리부(11)에 공급한다. 또한, 변환부(15)는,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메모리 어드레스로 변환한 취지를 데이터 할당부(16)에 통지한다.
데이터 할당부(16)는, 변환부(15)로부터의 통지에 따라서,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하여 공급되는 데이터를 메모리부(11)에 할당한다. 메모리부(11)는, 변환부(15)로부터 공급된 메모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데이터 할당부(16)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T65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한 후,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스텝 ST66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종료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종료하는 경우에는, 스텝 ST72로 진행하며, 데이터의 기입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스텝 ST60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스텝 ST60으로 되돌아가서,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스텝 ST61 내지 스텝 ST65를 반복하여 행한다.
스텝 ST67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A의 선두로부터 빈 클러스터를 검출한다. 처리 유닛(14)은, 선택 포인터를 RAM에 전개되어 있는 제3 FAT의 소정의 논리 어드레스의 위치로 이동시켜, 그 선택 포인터에 의해 선두의 논리 어드레스로부터 말미의 논리 어드레스를 향하여, 빈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처리 유닛(14)은, 도시하지 않은 기록 매체(2)의 기동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로부터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가 완료된 취지의 정보를 받아, 스텝 ST67로 진행해도 된다.
스텝 ST68에서, 처리 유닛(14)은, 검출한 빈 영역에 의한 기입 개시 위치의 논리 어드레스와,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의 길이와, 기입 동작을 명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변환부(15)에 공급한다.
스텝 ST69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A의 소정의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변환부(15)는, 어드레스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고, 변환된 물리 어드레스를 HDD(10)에 공급한다. 또한, 변환부(15)는,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한 취지를 데이터 할당부(16)에 통지한다.
데이터 할당부(16)는, 변환부(15)로부터의 통지에 따라서,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하여 공급되는 데이터를 HDD(10)에 할당한다. HDD(10)는, 변환부(15)로부터 공급된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데이터 할당부(16)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T70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한 후,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스텝 ST71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종료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의 기입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스텝 ST72로 진행하며, 데이터의 기입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스텝 ST67로 되돌아가서, 스텝 ST68 내지 스텝 ST71을 반복한다.
스텝 ST72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B에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 영역 B에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T73으로 진행하며, 데이터 영역 B에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T74로 진행한다. 복합형 기억 장치(1)는, 예를 들면, 스텝 ST62에서 생성한 변환 테이블을 참조하여, 데이터 영역 B에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T73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스텝 ST61 내지 스텝 ST63에 의해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한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 A에 카피한다. 복합형 기억 장치(1)는,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 B의 메모리 어드레스 XX0021h부터 XX0024h까지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메모리 어드레스 XX0021h부터 XX0024h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데이터를, 스텝 ST62에서 생성한 변환 테이블을 참조하여, 데이터 영역 A의 소정의 물리 어드레스(1234h 내지 1237h)에 카피한다.
스텝 ST74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스텝 ST61 내지 스텝 ST63에 의해 데이터 영역 B에 기입한 신규 데이터, 및 스텝 ST66 내지 스텝 ST68에 의해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한 신규 데이터에 대응하여 제3 FAT, 제4 FAT, 디렉토리, 및 스텝 ST62에서 생성한 변환 테이블을 갱신한다.
다음으로, 인터페이스부(12)에 범용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복합형 기억 장치(1)의 데이터의 기입 처리에 대하여 도 14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스텝 ST80에서, 복합형 기억 매체(1)는, 데이터 영역 A의 선두로부터 빈 클러스터를 검출한다. 복합형 기억 매체(1)는, 데이터 영역 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준비의 완료를 대기하여, 데이터 영역 A의 선두로부터 빈 클러스터의 검출을 행한다.
처리 유닛(14)은, 데이터 영역 B로부터 제3 FAT를 판독하고, 판독한 제3 FAT를 RAM에 전개한다. 처리 유닛(14)은, 선택 포인터를 RAM에 전개되어 있는 제3 FAT의 소정의 논리 어드레스로 이동시켜, 그 선택 포인터에 의해 소정의 논리 어드레스로부터 말미의 논리 어드레스를 향하여, 빈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검색한다.
스텝 ST81에서, 처리 유닛(14)은, 검출한 빈 영역에 의한 기입 개시 위치의 논리 어드레스와, 전송되는 데이터의 길이와, 기입 동작을 명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변환부(15)에 공급한다.
스텝 ST82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A의 소정의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변환부(15)는, 어드레스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고, 변환된 물리 어드레스를 HDD(10)에 공급한다. 또한, 변환부(15)는, 처리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논리 어드레스를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한 취지를 데이터 할당부(16)에 통지한다.
데이터 할당부(16)는, 변환부(15)로부터의 통지에 따라서,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하여 공급되는 데이터를 HDD(10)에 할당한다. HDD(10)는, 변환부(15)로부터 공급된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데이터 할당부(16)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T83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전송 길이의 분만큼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한 후, 호스트 기기(4)에 인터럽트를 건다.
스텝 ST84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종료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의 기입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스텝 ST85로 진행하며, 데이터의 기입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스텝 ST80으로 되돌아가서, 스텝 ST80 내지 스텝 ST84를 반복한다.
스텝 ST85에서, 복합형 기억 장치(1)는, 데이터 영역 A에 기입한 신규 데이터에 대응하여 제3 FAT 및 디렉토리를 갱신한다.
또한, 스텝 ST60 내지 스텝 ST74 및 스텝 ST80 내지 스텝 ST85를 프로그램화하여, 그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실행함으로써 복합형 기억 장치(1)에 데이터의 기입 처리를 행하게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록 매체(1)는, 외부에 개방되며, 데이터 영역 A를 관리하는 제3 FAT와, 매체 내부에서만 이용되며, 데이터 영역 B를 관리하는 제4 FAT를 갖고, 호스트 기기(4)의 종류에 따라서 데이터 영역에의 기입 동작을 제한하며, 또한 데이터의 기입 종료 후에 데이터 영역 B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 A에 카피하므로, 데이터 영역 B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도 판독도 범용기에서는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록 매체(1)는, 범용기에서 데이터의 기입 동작이 행하여진 후라도, 전용기에 의해, 비트 코스트가 저렴한 기록 매체(2)와, 고속 응답성, 저소비 전력 등에 우위성이 있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3)를, 각각의 특성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데이터의 기입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록 매체(1)는, 데이터의 재생 시에는 데이터 영역 A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면 되므로, 전용기에 의해 기입한 데이터를 범용기에서 판독할 수 있으며, 또한, 범용기에 의해 기입한 데이터를 전용기에서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는, 동화상을 순식간에 기록하는 실시예를 나타냈지만, 비트 코스트가 저렴한 기록 매체(10)와, 고속 액세스, 저소비 전력인 불휘발성 기억 매체(3)를 갖는 복합형 기억 장치(1)의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록 매체(10)의 기동 및 대기 시에는 전력 소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고속 기동, 고속 대체 처리, 혹은 빈번하게 액세스하는 파일이나 소용량의 파일은, 항상 불휘발성 기억 매체(3)에 기입하는 구성으로 함으로 써,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어, 전원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록 매체(1)에서는, FAT의 관리를 기록 매체(2)의 내부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호스트 기기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어, 데이터 영역 A 및 데이터 영역 B의 용량이 증가해도 그것에 대응하는 FAT를 호스트 기기(4)는 고려할 필요가 없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호스트 기기(4)가, 기기 인식부(13), 처리 유닛(14) 및 변환부(15)와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조작 인식부(12), 기기 인식부(13), 처리 유닛(14) 및 변환부(15)에 의한 각각의 동작을 호스트 기기(4)측에 행하게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2)는, 복합형 기억 장치(1)에 대하여, 논리 섹터 번호(LSN)가 아니라, 논리 블록 어드레스(LBA)를 사용한 액세스를 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개념도와 같이, 기록 매체(2)의 일부의 영역과, 불휘발성 기억 매체(3)의 일부의 영역에 LBA가 중복하여 부여되어 있는 영역 X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5에서는, 시스템 영역 C와, 통합 데이터 영역에 영역 X가 형성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영역 X는, 시스템 영역 C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데이터 할당부(16)는, 예를 들면, FAT 영역 및 디렉토리 영역에 기입되는 정보는, 자동적으로 영역 X에 기록하도록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억 장치(1)는, 예를 들면, 시스템 영역 C에 영역 X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FAT 등이 기록 매체(2)와, 불휘발성 기억 매체(3)의 쌍방에 기록되게 되어, 강고한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매체(2)로서 하드디스크를 상정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억 매체이면 본 발명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CD나 DVD 등이어도 된다.
또한, 복합형 기억 매체(1)의 데이터 영역을 관리하는 파일 시스템으로서 FAT 파일 시스템을 이용했지만, 데이터를 파일로서 관리하는 시스템이면 어떠한 것을 적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복합형 기억 장치(1)에 의한 일련의 처리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범용의 컴퓨터 등에 인스톨된다. 또한, 해당 프로그램은, CD-ROM과 같은 리무버블 미디어에 기록되어 유저에 배포되어도 되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저의 컴퓨터에 다운로드됨으로써 배포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록 매체는, 호스트 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데이터 영역에의 기입 동작을 제한하므로, 범용기에 의해 데이터의 기입 동작이 행하여진 경우에도, 기록 매체의 데이터 영역이 모두 「할당 완료」로 되지 않는 한 불휘발성 기억 매체의 데이터 영역에는 데이터가 기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록 매체는, 범용기에서 데이터의 기입 동작이 행하여진 후라도, 전용기에 의해, 비트 코스트가 저렴한 기록 매체와, 고속 응답성, 저소비 전력 등에 우위성이 있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를, 각각의 특성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데이터의 기입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입 방법 및 프로그램은, 호스트 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데이터 영역에의 기입 동작을 제한하는 복합형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입하므로, 범용기가 접속된 경우에는, 기록 매체의 데이터 영역이 모두 「할당 완료」로 되지 않는 한 불휘발성 기억 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입 방법 및 프로그램은, 범용기에서 데이터의 기입 동작이 행하여진 후라도, 전용기에 의해, 비트 코스트가 저렴한 기록 매체와, 고속 응답성, 저소비 전력 등에 우위성이 있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를, 각각의 특성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데이터의 기입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록 매체는, 호스트 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불휘발성 기억 매체의 데이터 영역에의 기입 동작을 제한하므로, 범용기에 의해 데이터의 기입 동작이 행하여지는 경우에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의 데이터 영역의 전체 영역이 기입 금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기입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록 매체는, 범용기에서 데이터의 기입 동작이 행하여진 후라도, 전용기에 의해, 비트 코스트가 저렴한 기록 매체와, 고속 응답성, 저소비 전력 등에 우위성이 있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를, 각각의 특성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데이터의 기입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입 방법 및 프로그램은, 호스트 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데이터 영역에의 기입 동작을 제한하는 복합형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 입하므로, 범용기에 의해 데이터의 기입 동작이 행하여지는 경우에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의 데이터 영역의 전체 영역이 기입 금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입 방법 및 프로그램은, 범용기에서 데이터의 기입 동작이 행하여진 후라도, 전용기에 의해, 비트 코스트가 저렴한 기록 매체와, 고속 응답성, 저소비 전력 등에 우위성이 있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를, 각각의 특성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데이터의 기입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록 매체는, 외부에 개방되며, 기록 매체의 데이터 영역을 관리하는 FAT와, 매체 내부에서만 이용되며, 불휘발성 기억 매체의 데이터 영역을 관리하는 FAT를 갖고, 호스트 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데이터 영역에의 기입 동작을 제한하며, 또한 데이터의 기입 종료 후에 불휘발성 기억 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를 기록 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카피하므로, 불휘발성 기억 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도 판독도 범용기에서는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기록 매체는, 범용기에서 데이터의 기입 동작이 행하여진 후라도, 전용기에 의해, 비트 코스트가 저렴한 기록 매체와, 고속 응답성, 저소비 전력 등에 우위성이 있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를, 각각의 특성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데이터의 기입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입 방법 및 프로그램은, 외부에 개방되며, 기록 매체의 데이터 영역을 관리하는 FAT와, 매체 내부에서만 이용되며, 불휘발성 기억 매체의 데이터 영역을 관리하는 FAT를 갖고, 호스트 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데 이터 영역에의 기입 동작을 제한하는 복합형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입하므로, 범용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지 않고, 한편, 전용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입하고, 기입한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카피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입 방법 및 프로그램은, 범용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기입도 판독도 불휘발성 기억 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액세스시키지 않으므로, 범용기에서 데이터의 기입 동작이 행하여진 후라도, 전용기에 의해, 비트 코스트가 저렴한 기록 매체와, 고속 응답성, 저소비 전력 등에 우위성이 있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를, 각각의 특성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데이터의 기입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3)

  1.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한 인식 결과와,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와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를 관리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가 동일한 논리 어드레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논리 어드레스마다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식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 수단과,
    상기 정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수단과,
    상기 데이터 할당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거나, 또는/및 상기 데이터 할당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기입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기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수단은,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가 상기 기록 매체와 상기 불휘발성 기억 매체를 식별할 수 없는 호스트 기기라는 취지가 통지된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상기 식별 정보 테이블의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논리 어드레스 중으로부터, 빈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고,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어 있는 호스트 기기가 상기 기억 매체와 상기 불휘발성 기억 매체를 식별할 수 있는 호스트 기기라는 취지가 통지된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상기 식별 정보 테이블의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논리 어드레스 중으로부터, 빈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기억 장치.
  3.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 및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3 데이터 영역 및 제4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복합형 기록 장치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이터 기입 방법으로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공정과,
    상기 인식 공정에 의한 인식 결과와,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와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를 관리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가 동일한 논리 어드레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논리 어드레스마다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식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 공정과,
    상기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공정과,
    상기 변환 공정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공정과,
    상기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거 나, 또는/및 상기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기입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입 방법.
  4.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 및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3 데이터 영역 및 제4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복합형 기록 장치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공정과,
    상기 인식 공정에 의한 인식 결과와,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와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를 관리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가 동일한 논리 어드레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논리 어드레스마다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식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 공정과,
    상기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공정과,
    상기 변환 공정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공정과,
    상기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거나, 또는/및 상기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기입 공정
    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한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와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를 관리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가 동일한 논리 어드레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논리 어드레스에 데이터의 기입을 거부하는 취지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1 식별 정보 테이블, 또는 상기 제1 식별 테이블과, 상기 논리 어드레스 중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논리 어드레스마다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을 판독하는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수단과,
    상기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테이블, 또는 상기 제1 식별 정보 테이블과 상기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 수단과,
    상기 정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수단과,
    상기 데이터 할당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거나, 또는/및 상기 데이터 할당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기입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기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수단은,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가 상기 기록 매체와 상기 불휘발성 기억 매체를 식별할 수 없는 호스트 기기라는 취지가 통지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식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빈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고,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가 상기 기록 매체와 상기 불휘발성 기억 매체를 식별할 수 있는 호스트 기기라는 취지가 통지된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상기 제2 식별 정보 테이블로부터 빈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2 식별 테이블에 빈 영역이 없을 때에는, 상기 제1 식별 테이블로부터 빈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기억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의 기입을 거부하는 취지의 식별 정보는, 의사적으로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는 이미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의사적으로 제2 데이터 영역은 결함 클러스터인 취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의사적으로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을 데이터 영역 외라는 취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또는 의사적으로 엔드 오브 파일(EOF)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기억 장치.
  8.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 및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3 데이터 영역과 제4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복합형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이터 기입 방법으로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공정과,
    상기 인식 공정에 의한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와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를 관리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가 동일한 논리 어드레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논리 어드레스에 데이터의 기입을 거부하는 취지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1 식별 정보 테이블, 또는 상기 제1 식별 테이블과, 상기 논리 어드레스 중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논리 어드레스마다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을 판독하는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과,
    상기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테이블, 또는 상기 제1 식별 정보 테이블과 상기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 공정과,
    상기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 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공정과,
    상기 변환 공정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공정과,
    상기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거나, 또는/및 상기 데이터 할당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기입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입 방법.
  9.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 및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3 데이터 영역과 제4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복합형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공정과,
    상기 인식 공정에 의한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와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를 관리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의 일부가 동일한 논리 어드레스에 의해 구 성되어 있고, 상기 논리 어드레스에 데이터의 기입을 거부하는 취지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1 식별 정보 테이블, 또는 상기 제1 식별 테이블과, 상기 논리 어드레스 중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논리 어드레스마다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을 판독하는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과,
    상기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테이블, 또는 상기 제1 식별 정보 테이블과 상기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 공정과,
    상기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공정과,
    상기 변환 공정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공정과,
    상기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거나, 또는/및 상기 데이터 할당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기입 공정
    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0.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한 인식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제1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논리 어드레스에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1 식별 정보 테이블과,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동일한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는 제2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논리 어드레스에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을 판독하는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수단과,
    상기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제1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제1 정보 선택 수단과,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한 인식 결과에 따라서, 상기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제2 식별 정보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제2 정보 선택 수단과,
    상기 제1 정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1 논리 어드레스와, 상기 제2 정 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서로 대응시킨 변환 테이블을 생성하는 변환 테이블 생성 수단과,
    상기 제1 정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1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상기 제2 정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수단과,
    상기 데이터 할당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1 기입 수단과,
    상기 데이터 할당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2 기입 수단과,
    상기 제2 기입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기입된 데이터를, 상기 변환 테이블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한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3 기입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기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가 상기 기록 매체와 상기 불휘발성 기억 매체를 식별할 수 없는 호스트 기기라는 취지가 통지된 경우에는,
    상기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수단은, 상기 불휘발성 기억 매체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정보 테이블을 판독하고,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가 상기 기록 매체와 상기 불휘발성 기억 매체를 식별할 수 있는 호스트 기기라는 취지가 통지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수단은, 상기 불휘발성 기억 매체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정보 테이블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기억 장치.
  12.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복합형 기억 장치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이터 기입 방법으로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공정과,
    상기 인식 공정에 의한 인식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제1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논리 어드레스에 소정의 식별 정보 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1 식별 정보 테이블과,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동일한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는 제2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논리 어드레스에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을 판독하는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과,
    상기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제1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제1 정보 선택 공정과,
    상기 인식 공정에 의한 인식 결과에 따라서, 상기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제2 식별 정보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제2 정보 선택 공정과,
    상기 제1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제1 논리 어드레스와, 상기 제2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서로 대응시킨 변환 테이블을 생성하는 변환 테이블 생성 공정과,
    상기 제1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제1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상기 제2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공정과,
    상기 변환 공정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공정과,
    상기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변환 공정에서 변환된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1 기입 공정과,
    상기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변환 공정에서 변환된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2 기입 공정과,
    상기 제2 기입 공정에 의해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기입된 데이터를, 상기 변환 테이블 생성 공정에서 생성한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3 기입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입 방법.
  13. 제1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1 데이터 영역을 갖는 기록 매체와, 제2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제2 데이터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와, 호스트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복합형 기억 장치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호스트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 공정과,
    상기 인식 공정에 의한 인식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제1 논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논리 어드레스에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1 식별 정보 테이블과,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논리 어드레스의 일부와 동일한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는 제2 논 리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논리 어드레스에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식별 정보 테이블을 판독하는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과,
    상기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제1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제1 정보 선택 공정과,
    상기 인식 공정에 의한 인식 결과에 따라서, 상기 식별 정보 테이블 판독 공정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제2 식별 정보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제2 정보 선택 공정과,
    상기 제1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제1 논리 어드레스와, 상기 제2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서로 대응시킨 변환 테이블을 생성하는 변환 테이블 생성 공정과,
    상기 제1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제1 논리 어드레스를, 제1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며, 상기 제2 정보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제2 논리 어드레스를,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2 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변환 공정과,
    상기 변환 공정의 변환 처리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영역 또는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 공정과,
    상기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변환 공정에서 변환된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1 데이터 영역 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1 기입 공정과,
    상기 데이터 할당 공정에 의해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변환 공정에서 변환된 상기 제2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제2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2 기입 공정과,
    상기 제2 기입 공정에 의해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 기입된 데이터를, 상기 변환 테이블 생성 공정에서 생성한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영역의 소정의 장소에 기입하는 제3 기입 공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060069043A 2005-07-25 2006-07-24 복합형 기억 장치, 데이터 기입 방법 및 프로그램 KR200700132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15106 2005-07-25
JP2005215106A JP2007034537A (ja) 2005-07-25 2005-07-25 複合型記憶装置、データ書込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222A true KR20070013222A (ko) 2007-01-30

Family

ID=3767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043A KR20070013222A (ko) 2005-07-25 2006-07-24 복합형 기억 장치, 데이터 기입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05030B2 (ko)
JP (1) JP2007034537A (ko)
KR (1) KR20070013222A (ko)
CN (1) CN10041282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2465B2 (en) * 2001-07-05 2012-02-21 Digimarc Corporation Watermarking to set video usage permissions
CN101436159B (zh) * 2007-11-14 2012-11-28 深圳市朗科科技股份有限公司 存储介质管理方法
KR101506578B1 (ko) * 2008-07-17 2015-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보안을 위한 파일 시스템 구성 방법 및 장치, 그에의해 만들어진 데이터 보안 영역에 접근하는 방법 및 장치,그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
CN101901194A (zh) * 2009-08-31 2010-12-01 深圳市朗科科技股份有限公司 可根据地理位置进行功能限制的存储设备及其方法
US20110181396A1 (en) * 2010-01-25 2011-07-28 Hilla Jr Ralph Rfid information data on external memory
JP5652724B2 (ja) 2010-06-29 2015-01-14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タンパク質を包含した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フィルム、それを電極とするセンサ及び発電デバイス
US9053249B2 (en) 2011-11-08 2015-06-09 Imation Corp. Removable memory cartridge and docking station compatible with media drive expansion slots
US10741568B2 (en) 2018-10-16 2020-08-11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Precision tuning for the programming of analog neural memory in a deep learn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WO2022139859A1 (en) * 2020-12-23 2022-06-30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Input and digital output mechanisms for analog neural memory in a deep learn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1530A (en) * 1993-02-05 1999-11-23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Interface device receivable in card storage device slot of host computer
JP3544476B2 (ja) * 1998-09-11 2004-07-21 富士通株式会社 メモリ管理テーブル作成方法
JP3888569B2 (ja) * 1999-03-11 2007-03-0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2002150699A (ja) * 2000-11-06 2002-05-2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747144B2 (en) * 2001-10-01 2010-06-29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control
JP3770138B2 (ja) * 2001-10-18 2006-04-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2005003952A1 (ja) * 2003-07-07 2005-01-13 Hitachi Ulsi Systems Co., Ltd. 記憶装置および記憶システム
JP4371739B2 (ja) * 2003-09-02 2009-11-25 株式会社東芝 シリアルataインタフェースを持つ電子機器及びシリアルataバスのパワーセーブ方法
JP2005302152A (ja) * 2004-04-12 2005-10-27 Sony Corp 複合型記憶装置、データ書込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04859A (zh) 2007-01-31
US8205030B2 (en) 2012-06-19
CN100412820C (zh) 2008-08-20
US20070050583A1 (en) 2007-03-01
JP2007034537A (ja)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4149A (ko) 복합형 기억 장치, 데이터 기입 방법 및 프로그램
KR20070013222A (ko) 복합형 기억 장치, 데이터 기입 방법 및 프로그램
JP4735100B2 (ja) 複合型記憶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472219B2 (en) Data-storage apparatus, data-storage method and recording/reproducing system
KR101636777B1 (ko) 하이브리드 저장 장치 및 그에 대한 논리 블록 어드레스 할당 방법
US9201783B2 (en) Method for managing address mapping information and storage device applying the same
US8291185B2 (en) Data storing location managing method and data storage system
US20100235605A1 (en) Enhancement of storage life expectancy by bad block management
RU2440629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вода оптического диска
JP2007193883A (ja) 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及び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US20060047889A1 (en) Memor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nonvolatile memory
KR20120121742A (ko) 주소 사상 정보 관리 방법, 디스크 드라이브에서의 액세스 방법, 네트워크를 통한 주소 사상 정보 관리 방법과 이를 적용한 저장 장치, 컴퓨터 시스템 및 저장매체
US8433847B2 (en) Memory drive that can be operated like optical disk drive and method for virtualizing memory drive as optical disk drive
JP4736594B2 (ja) 複合型記憶装置、データ書込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02791B2 (ja) データ記憶装置及びデータアクセス方法
KR20110041843A (ko) 하이브리드 저장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4496790B2 (ja) データ記憶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再生システム
US20070104038A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JP2006313514A (ja) 複合型記憶装置、アクセ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01026B2 (ja) 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記録方法、並びに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8117491A (ja)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269915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3257156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7004976A (ja)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のフォーマット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